KR100801173B1 - 액정표시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대형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대형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1173B1
KR100801173B1 KR1020060029449A KR20060029449A KR100801173B1 KR 100801173 B1 KR100801173 B1 KR 100801173B1 KR 1020060029449 A KR1020060029449 A KR 1020060029449A KR 20060029449 A KR20060029449 A KR 20060029449A KR 100801173 B1 KR100801173 B1 KR 100801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display device
pixel
electromagnetic w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9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5641A (ko
Inventor
카즈히로 이시구치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05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56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1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1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666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with the matrix divided into sec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28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digital to analog [D/A] conversion circui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 G09G2360/141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the light conveying information used for selecting or modulating the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
    • G09G2360/142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the light conveying information used for selecting or modulating the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 the light being detected by light detection means within each pixe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14Control of polarity reversal in gener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Liquid Crystal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표시 장치를 대형화·고해상도화 했을 경우라도, 저소비 전력을 실현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대형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제1기판(투명 기판(103))과, 제1기판(투명 기판(103))과 대향하는 제2기판(투명 기판(103))과, 제1기판(투명 기판(103))과 제2기판(투명 기판(103))에 끼워진 액정(101)과, 제1기판(투명 기판(103))위의 화소마다 설치되어 액정(101)을 구동하는 구동 회로(301)와, 화소마다 또는 복수의 화소마다 설치되어 액정을 구동하기 위해 발전한 전력을 공급하는 광발전 소자(201)를 구비한다.
기판, 도광체, 구동 회로, 광발전 소자, 액정표시장치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대형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LARGE-SIZE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실시예 1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구동 회로의 일부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필터의 투과율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구동 회로의 파형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스타트 펄스신호의 전달을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배선을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타일링 한 대형 액정표시장치의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구동 회로의 파형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회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회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회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구동 회로의 일부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구동 회로의 파형을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회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회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회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구동 회로의 파형을 도시한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평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액정 102 : 투명전극
103 : 투명기판 104 : 씨일재
110 : 컬러 필터 151 : 도광판
152 : 주 광원 201 : 광발전 소자
210 : 분압 회로 301 : 구동 회로
302 : 멀티 플렉서 303 : 스위치
304, 305 : 충전 스위치 306 : 방전 스위치
307 : 콘덴서 311, 312 : 광센서
313 : 필터 314, 321, 322 : AND게이트
315, 316, 323 : 레지스터 320 : 인버터
401 : LED 701 : 화소
702 : 전송 방향의 화살표 703 : 스타트 펄스배선
801 : 액정표시장치.
[기술분야]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대형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특히, 대형화, 고해상도화, 저소비 전력화가 가능한 액정표시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대형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액정표시장치는, 액정을 광학 셔터로서 이용하는 것으로, 빛을 제어하고, 원하는 화상을 표시하는 디바이스이다. 즉, 액정표시장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나 유기EL(electro-luminescence)과 같이 자발광형이 아닌, 비자발광형의 표시장치이다. 그 때문에 액정표시장치에서는, 어떠한 광원이 필요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PC등에 이용되고 있는 투과형 액정표시장치의 경우에는, 백라이트라 불리는 광원을 배면에 설치하고 있다. 또한 휴대 단말 등에 이용되는 반사형 액정 표시장치 등의 경우는, 프론트라이트라 불리는 광원을 앞면에 설치하거나, 외광을 광원으로 하고 있다.
또한 액정표시장치는, 일반적으로 저소비 전력이지만, 광원을 제외한 액정패널부분의 소비 전력은 특히 낮다. 그 때문에 광원이 불필요한 반사형 액정표시장 치는, 전지 구동의 기기에 널리 채용되고 있다.
또한, 액정표시장치는, 세그먼트 방식에서 매트릭스 방식으로, 패시브 구동에서 액티브 구동으로 진화함으로써, 고해상도화, 대형화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액정표시장치의 고해상도화, 대형화는, 액정표시장치의 저소비 전력의 특성과 상반하는 것이다. 액정표시장치가 대형화하면, 소스 배선이나 게이트 배선의 배선 거리가 길어져, 이 배선의 배선 용량이 증대하고, 소비 전력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액정표시장치가 고해상도화하면, 1프레임 주기내에서의 소스 배선이나 게이트 배선의 전압변화가 많아지고, 소비 전력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액정표시장치가 대형화·고해상도화하면, 각 배선에 공급되는 신호의 지연이 커지게 되어, 소스 배선이나 게이트 배선의 한 쪽에서 구동하는 방식으로는 소정의 기간내에 소정의 전압을 액정에 인가하는 것이 적절하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특허문헌 1 또는 특허문헌 2에 있어서는, 저소비 전력을 달성하기 위해, 태양 전지를 설치한 액정표시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1-184033호
[특허문헌 2]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4-191645호
[발명의 개시]
그러나, 특허문헌 1 또는 특허문헌 2와 같이 단순히 태양 전지를 설치한 것 만으로는, 대형화·고해상도화 하는 것에 따른 소비 전력의 증가 및 신호의 지연을 해결할 수 없다. 또한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더욱 대형화·고해상도화가 진행되면, 태양 전지를 더욱 크게 하는 등의 수단을 취할 필요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를 대형화·고해상도화한 경우라도, 저소비 전력을 실현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대형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따른 해결 수단은, 제1기판과, 제1기판과 대향하는 제2기판과, 제1기판과 제2기판에 끼워진 액정과, 제1기판상의 화소마다 설치되어, 액정을 구동하는 구동 회로와, 화소마다 또는 복수의 화소마다 설치되어, 액정을 구동하기 위해서 발전(發電)한 전력을 공급하는 광발전 소자를 구비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실시예 1)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서는, 백라이트를 광원으로 하여, 표시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전압을 인가하는 투과형 액정표시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표시면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전압이 인가되는 액정표시장치(예를 들면 IPS(In-plane Switching)방식)이나 반사형 액정표시장치라도 좋다.
도 1에,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에 도시 하는 액정표시장치에서는, 각 화소에 있어서, 액정(101)이 대향하는 투명 전극(102)(예를들면 ITO(Indium Tin Oxide))에 끼워지고 있다. 투명 전극(102)은 유리 등의 한쌍의 투명 기판(103) 위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한 쌍의 투명 기판(103)은, 씨일재(104)로 붙여져 있다. 또한 한쪽의 투명 기판(103)에는, 화소마다 액정(101)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회로(301)가 설치되어 있다. 다른 쪽의 투명 기판(103)에는, 컬러 표시를 위한 컬러 필터(도시 생략)가 형성되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서는, 구동 회로(301)가 형성된 투명 기판(103)상의 화소 주위에, 또한 직렬 접속된 광발전 소자(201)가 설치되어 있다. 광발전 소자(201)는, 구동 회로(301) 및 투명전극(102)과 접속하고 있다. 또한, 광발전 소자(201)는, 백라이트 빛이 통과하는 화소의 개구부주변에 설치되어 있고,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에 이용되고 있는 블랙 매트릭스(이하, BM이라고도 한다)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에는, 보통 사용되는 주 광원(152)(예를 들면CCFL(Cold Cathode Fluorescent Lamp))과, 그와는 별도로 특정한 파장을 가진 LED(401)(Light Emitting Diode)를 구비하고 있다. LED(401)는 제어용 광원(제어용 전자파원)이며, 구동 회로(301)의 제어신호인 빛(전자파)을 공급한다. 또한, 주 광원(152)로부터의 빛과, LED(401)로부터의 빛(전자파)은 도광체(151)에서 서로 섞여, 액정 패널에 공급된다. 이에 따라 LED(401)로부터의 빛을 액정 패널 전체 면에 공급하는 수단을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 본 실시예에 따른 광발전 소자(201)는, 물성적으로 광기전력을 가지는 소자이며, PIN접합의 반도체가 좋은 특성을 나타낸다. 또한, PIN접합은, 소수 캐리어의 재결합을 감소시키기 위해 p형층과 n형층 사이에 비도프층(i형태층)을 설치한 구조의 접합이며, 아모퍼스 실리콘 태양 전지에 있어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또한 광발전 소자(201)는, 투명 기판(103)위에 형성해도 좋고, 별도 제조한 것을 실장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구동 회로(301)는, 기존의 TFT(Thin Film Transistor)액정 패널과 마찬가지로 아모퍼스 실리콘이나 폴리실리콘 TFT의 제조 공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광발전 소자(201)는, 백라이트로부터의 빛(주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받아 발전한다. 발전된 전압은, 구동 회로(301)에 공급되어, 원하는 전압이 되도록 조정한 후, 액정(101)에 인가된다. 일반적으로, 광발전 소자(201)는, 1셀당의 발전 전압은 작아, 수V 규모의 전압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직렬접속하여 사용한다. 단, 발전 전압이 큰 광발전 소자(201)이면, 도시하지 않지만, 화소마다 1셀 설치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도 2에, 광발전 소자(201)에서 발전된 전압을 액정(101)에 인가할 경우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2에서는, 3개의 셀이 직렬 접속한 광발전 소자(201)로부터 멀티 플렉서(302)가 원하는 전압을 추출하여 액정(101)에 인가한다.
일반적인 광발전 소자(201)에 있어서, 일정한 광강도하에서의 출력 전압은 출력전류의 증가와 함께 감소한다. 그러나, 액정(101)에 출력 전압을 인가할 경우, 액정(101)은 등가적으로 콘덴서로 간주할 수 있으므로, 충전이 종료하면 전류 는 흐르지 않게 된다. 그 때문에 최종적으로 도달하는 액정(101)의 인가전압이, 광발전 소자(201)의 포화 전압이 된다. 또 이 포화 전압은 광강도 의존성이 낮아, 그것을 무시할 수 있는 범위이면, 전압 레귤레이터를 두지 않고 백라이트를 광 조절(감광)할 수도 있다. 또한, 광발전 소자(201)는, 화소마다 개별적으로 설치해도 좋고, 같은 것을 주위의 복수의 화소에서 공유해도 좋다.
다음에 액정표시장치에 화상을 표시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각 화소의 구동 회로(301)에 소정의 제어신호를 보낼 필요가 있다. 종래의 액정표시장치와 같이, 액정 패널내에 소스 배선이나 게이트 배선을 설치하는 것으로도 실현할 수 있다. 그러나, 배경기술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대형화·고해상화했을 경우에는, 배선 용량의 증대 등의 이유에 의해, 소비 전력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서는, 소비 전력의 저감이 가능한 별도의 방법으로 각 화소의 구동 회로(301)에 소정의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서는, 액정 패널내에 소스 배선이나 게이트 배선을 설치하지 않고, 각 화소의 구동 회로(301)에 대하여 제어용의 빛(이하, 간단히 전자파라고도 한다)을 사용해서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있다. 그 때문에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서는, 각 화소의 구동 회로(301)에 전송된 전자파를 복조하는 복조부가 필요하게 된다. 이 복조부는 특정 주파수의 전자파를 선택하는 수단(예를 들면 광학필터)이나 선택한 전자파로부터 필요한 신호를 추출하는 수단(예를 들면 광센서)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빛과 같이 파장이 짧아지면, 물성적인 주파수 선택수단을 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단, 액정표시장치의 경우, 화소가 상당히 많아지므로, 모든 화소에 캐리어 주파수를 할당하여 구동 회로(301)를 제어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서는, 화소에 전압을 인가하는 타이밍인 스타트 펄스신호만 인접하는 화소 사이에 설치된 배선을 전송시키고, 구동 회로(301)의 제어 타이밍인 클록 신호 및 화소에 인가하는 데이터 신호에는 전자파를 이용하고 있다. 또한, 클록 신호와 데이터 신호는, 서로 다른 주파수(파장)의 전자파를 이용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백라이트에 설치된 특정한 파장을 가지는 LED(401)를 사용하여, 클록 신호나 데이터 신호를 구동 회로(301)에 전송한다. 구동 회로(301)에는,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클록 신호를 수광하는 광센서(311) 및 데이터 신호를 수광하는 광센서(312)를 가지고, 각각의 광센서(311,312)에는 서로 다른 파장의 전자파를 선택할 수 있는 필터(313)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광센서(312)가 2개 설치되어 있다.
백라이트 빛으로부터, 도광체(151)에서 주 광원(152)과 혼색된 제어용의 빛(전자파)을 필터(313)에서 분리하고 있다. 이 필터(313)는, 일반적인 컬러 필터나 프리즘, 슬릿 등의 간섭 필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 4에, 3개의 서로 다른 파장에 대하여, 3개의 서로 다른 필터의 투과율 특성이 나타나 있다. 도 4에 나타나 있는 각각의 필터를 사용함으로써, 제어용의 빛(전자파)을 각각의 파장으로 분리할 수 있다.
제어용 광원은, LED(401)로 설명했지만, 파장범위로서는 자외로부터 적외의 300nm에서 1㎛정도를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어떤 패턴의 제어신호에서도 표시 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자외나 적외와 같은 가시광 범위 이외의 파장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제어용 광원에 가시광의 광원을 선택할 경우, 제어신호의 패턴에 의해 점등 기간과 비점등 기간의 비율이 변하고, 표시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단, 광센서(311, 312)의 감도가 시감도에 비해 충분히 높을 경우, 즉 표시면을 보아도 제어용의 빛(전자파)의 점등·비점등을 거의 시인할 수 없는 경우, 점등 기간과 비점등 기간의 비율이 변화하는 경우라도 표시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는 없다 또한, 광센서(311, 312)의 감도가 시감도에 비해 충분히 높을 경우, 주 광원(152)의 스펙트럼의 약한 파장영역을 사용한 쪽이 S/N비가 높게 취해지므로 바람직하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하나의 화소에서 처리되는 신호의 파형도를 도 5에 도시한다. 이를 간략화게 하기 위해 광센서(311, 312)는, 선택된 빛을 수광하고 있을 때 하이 레벨을 출력하고, 빛을 수광하고 있지 않을 때 로 레벨을 출력하는 것으로 한다. 우선, 클록 신호용의 LED(401)의 점멸을, 필터(313)를 거쳐서 광센서(311)가 수광하고, 이에 따라 광센서(311)가 전체 화소 동시의 클록 신호를 생성한다. 도 3에서는 도시되고 있지 않지만, 최초에 기록이 이루어지는 화소에는, 스타트 펄스신호용의 LED(401)로부터의 빛을 광센서로 받아, 스타트 펄스신호를 생성한다. 생성된 스타트 펄스신호는, 인접하는 화소 사이에 설치된 배선을 통해, 순차 인접하는 화소에 전송된다.
화소에, 도 5와 같은, 스타트 펄스 입력이 입력되고, 도 3에 나타내는 AND게이트(314)에서 하이 레벨로 래치 되면, 광센서(312)에서 수광한 LED(401)(데이터 신호용)의 빛이 레지스터(315)에 전송된다. 도 5에서는, 스타트 펄스입력이 하이 레벨이고, 클록 신호가 상승했을 때(도면 중, 파선으로 나타내는 타이밍), 광센서(312)에서 수광한 데이터 0입력 및 데이터 1입력에 의거하여 데이터 0 및 데이터 1이 변화되게 된다.
도 3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3종류의 광센서(312)를 설치하고 있는 것으로, 데이터 신호용의 LED(401)는 2종류이며, 2Bit(4계조)의 인가 전압을 선택할 수 있다. 레지스터(315)에서 D/A변환에 필요한 디지털 Bit정보가 멀티 플렉서(302)에 전송되고, 멀티 플렉서(302)는, 이 디지털 Bit정보에 의거하여 소정의 인가 전압을 선택하여 액정(101)에 인가하고 있다.
구동 회로(301)는, 데이터 신호의 전송이 끝나면, 도 3의 레지스터(316)에서 다음의 화소를 위해 스타트 펄스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구동 회로(301)는, 도 5와 같은 스타트 펄스 출력을 캐스캐이드 접속된 다음의 화소에 출력한다. 또한, 이후의 화소에 관해서도 도 5에 나타낸 파형과 같은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이렇게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서는, 하나의 화소에 착안하면, 다음 스타트 펄스신호가 올 때까지(1리프레쉬 기간)는 같은 데이터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보통 이용되고 있는 액정표시장치에서는, 적어도 1수평기간내에 소정의 인가전압을 화소에 기록할 필요가 있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기록 시간이 1수평기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스타트 펄스신호가 올 때까지 기간확보 할 수 있으므로, 길게 충전 기간을 취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광발전 소자(201)의 발전 능력이 약해도 장시간(수 ms) 충전할 수 있고, 광발전 소자(201)의 사이즈 를 소형화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서는, 각 화소에 설치된 구동 회로(301)의 전원도, 광발전 소자(201)에 의해 공급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스타트 펄스신호는, 전기적인 배선에 의해 인접 화소 사이에 전송되고 있다. 보통, 매트릭스형 표시장치에 있어서의 화소의 제어는, 왼쪽에서 오른쪽에 스캔한 후, 다음 행의 왼쪽으로 귀환하도록 동작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스타트 펄스신호를 오른쪽에서 왼쪽에 귀환시키기 위해서는, 긴 배선이 필요하게 된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서는, 도 6에 나타내는 1선으로 스타트 펄스신호를 전송함으로써, 효과적으로 배선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서는, 화소(701) 사이의 스타트 펄스신호의 전송 방향을 화살표(702)로 나타내고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스타트 펄스신호를 왼쪽에서 오른쪽에 스캔한 후,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스캔한다. 단, 데이터 신호용의 LED(401)등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신호의 나열은, 1선의 스캔에 맞춰서 소팅(sorting)을 행하고 있다. 구체적인, 화소 구조를 도 7에 나타낸다. 도 7에서는, 화소(701)와 광발전 소자(201)가 구동 회로(301)로 접속되고, 인접하는 화소(701)의 구동 회로(301)끼리가 스타트 펄스배선(703)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 7에서는, 구동 회로(301) 안의 광센서(311, 312)도 도시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스타트 펄스신호의 기점이 되는, 최초에 기록이 이루어진 화소만, 전기적 배선 혹은 전용의 복조부가 필요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전용의 복조부를 설치할 경우, 전용 파장을 가진 광원을 사용하여, 이 전용 파장을 선택하여 수광하는 필터와 광센서를 구동 회로(301)에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있다. 한편, 전기적 배선을 설치할 경우, 이 전기적 배선을 사용하여 외부의 회로와 접속하고, 이 회로에서 생성한 스타트 펄스신호를 화소에 공급하는 구성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기점이 되는 스타트 펄스신호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일단 주 광원(152)을 소등시켜서 별도 준비한 센서로 검출하는 것이나, 일단 주 광원(152)을 소등시켜서 광발전 소자(201)의 발전 전압의 저하를 검출함으로써, 기점이 되는 스타트 펄스신호를 생성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제어신호에서는 있을 수 없는 조합 신호를 만들어, 이 신호를 이용하여 기점이 되는 스타트 펄스신호를 생성하는 방법도 생각할 수 있다.
단, 기점이 되는 스타트 펄스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전기적 배선을 설치하는 이외의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장점이 크다. 이것은, 스타트 펄스신호의 생성에도 전기적 배선을 사용해야만, 액정 패널에 접속되는 외부배선이 완전히 없어지기 때문이다. 액정 패널에 접속되는 외부배선이 없어지면, 액정 패널의 외주부분에 외부배선과 접속하는 접속 단자(수 mm정도)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본 실시예에서는, 씨일재(104)의 부분까지 액정 패널의 외형을 작게 할 수 있어, 대단히 액틀이 좁은 액정 패널이 된다.
또한 주 광원(152) 및 제어용 광원(LED(401))을 가지는 백라이트도 액정 패널과 마찬가지로, 액틀을 좁게 할 수 있는 것으로, 액정표시장치를 치밀하게 타일 링하여 대형 액정표시장치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8에, 액정표시장치를 치밀하게 타일링 했을 경우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액정 패널을 협 액틀화함으로써, 타일링 한 연결부 부분에 있어서의 표시로의 영향이 작아진다. 도 8과 같이 액정표시장치(801)를 타일링 했을 때, 백라이트의 광학계도 개별적으로 독립시키고 있으면, 개개의 제어용 광원은 인접하는 액정 패널을 제어할 필요가 없다. 그 때문에 제어용 광원의 주파수를 현저히 저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100화소 ×100화소의 액정표시장치(801)를 타일링하여서 1000화소 ×1000화소의 대형 액정표시장치로 했을 경우를 생각한다. 우선, 1000화소 ×1000화소의 전부를 하나의 제어용 광원으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리프레쉬 레이트가 60Hz이면 60Hz × 1OOO ×1OOO=60MHz의 주파수로 제어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100화소 ×100화소의 액정표시장치(801) 마다 독립된 제어용 광원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리프레쉬 레이트가 60Hz이면 60Hz ×1OO ×1OO = 600kHz의 주파수로 개개의 제어용 광원을 제어하면 된다.
덧붙여서, 타일링 하지 않고, 매우 큰 대형 액정표시장치를 제작할 경우, 제조상의 머더 글래스의 크기로 제약되게 된다. 예를 들어, 마더 글래스의 제약을 뺀다고 하더라도, 상기한 바와 같이 배선이 길어져 배선 용량이 비대화하고, 소비 전력이 증대하는 문제를 남기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서는, 광발전 소자(201)를 사용하여 구동에 필요한 전압을 액정 패널 내부에서 생성하고, 개개의 구동 회로(301)의 제어에도 전자파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내부에 긴 배선이 불필요하게 되고, 대형화·고해상도화해도 소비 전력을 극히 낮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서는, 액정 패널을 협 액틀화할 수 있기 때문에, 타일링 함으로써 대형 액정표시장치를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마더 글래스 사이즈의 제약을 받지 않고 고해상도의 대형 액정표시장치를 작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서는, 액정(101)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종래 BM에 의해 흡수시키고 있었던 빛을 유효하게 활용하므로, 사실상 액정 패널로의 투입 전력을 제로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서는, 액정 패널에 접속되는 배선이 없기 때문에, 와이어리스 액정 패널로서 여러가지 용도로의 응용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백라이트에 제어용 광원을 가한 방식을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프론트라이트에 제어용 광원을 가한 방식이라도 좋다. 또한 반사형의 액정표시장치의 경우, 제어용 광원만을 프론트라이트 또는 백라이트에 짜 넣고, 주 광원은 외광으로 조달하는 방식이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주 광원만을 백라이트에, 제어용 광원을 프론트라이트에 짜 넣을 수도 있다. 또한, 주 광원이 프론트라이트에 부착되어 있는 경우나 반사형의 경우에는, 광발전 소자(201)는 표시면 측의 기판에 설치된다.
(실시예 2)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컬러 표시를 하도록 할 경우, 일반적으로 컬러 필터를 사용하여 삼원색을 분리하고, 개별적으로 투과율을 제어하여 여러가지 색을 표시하고 있다. 본 발명도 동일한 방식에 의해, 컬러 표시가 가능하며, 각 화소에 컬러 필터를 설치함으로써 실현하고 있다.
한편, 광발전 소자(201)의 특성에 착안하면, 최근, 박막화된 광발전 소자(201)가 개발되고 있고, 이 광발전 소자(201)는 광 투과성을 가지고 있다. 덧붙여서, 이 광발전 소자(201)는 유색성을 나타내는 것도 개발되고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서는, 이 유색성을 나타내는 박막화된 광발전 소자(201)를 컬러 필터로서 사용한다. 이에 따라 개별 컬러 필터가 불필요하다. 또한 광발전 소자(201)의 배치 장소를 BM영역에 한정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화소의 개구부상에도 배치할 수 있고, 넓은 면적에 광발전 소자(201)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서는, 서브 픽셀의 배색은 일반적인 RGB삼원색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서는, 액정(101)을 구동하는 제어신호의 전송을, 삼원색 동시에 행해도 좋고, 예를 들면 R→G→B->R->G→…로 시퀀셜하게 행해도 좋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설명한 액정표시장치에서는, 각 화소가 4계조로 표현된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에서는, 보다 많은 계조표현이 가능하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액정표시장치의 다계조화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 액정표시장치의 다계조화에는, 제어하는 신호의 다수화와, 액정(101)에 인가하는 전압의 미세한 조정이 필요하게 된다.
우선, 액정표시장치의 다계조화에 의해, 제어하는 신호를 다수화하는 것은,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 비트를 늘리는 것이다. 실시예 1에 있어서, 데이터 비트가 증가하면, 그만큼 쓸데없이 제어용 광원(종류)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제어용 광원의 증가에 따라, 광센서나 필터의 종류를 구동 회로(301)내에 늘릴 필요가 있다. 단, 제어용 광원의 종류가 늘어나는 것은, 보다 좁은 파장범위에서 동작하는 밴드 패스 필터를 필요로 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서는, 단일의 제어용 광원에, 복수의 신호를 중첩시키는 방식을 사용한다. 구체적으로는, 1화소의 구동 회로(301)에,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2개의 광센서(312)을 설치하고, 이 2개의 광센서(312)가 2회의 클록 신호로 데이터를 포착하고 있다. 도 9에,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 구동파형을 나타낸다. 도 9는, 클록 신호, 스타트 펄스입력, 데이터 0입력 및 데이터 1입력은 기본적으로 도 5와 같다. 또한, 데이터 0입력 및 데이터 1입력은, 2개의 광센서(312)의 각각에 입력되는 데이터이다.
도 9에 있어서, 도 5와 다른 점은, 스타트 펄스입력의 상승부터 2회분의 클록 신호후에 스타트 펄스출력이 출력되고 있는 점이다. 즉,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기간(스타트 펄스입력에서 스타트 펄스출력까지)에 포함되는 클록 신호수가 2배가 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1회째의 클록 신호의 상승(파선Ⅰ)에서, 종래와 마찬가지로 데이터 0과 데이터 1을 포착하고, 2회째의 클록 신호의 상승(파선ⅠⅠ)에서, 새롭게 데이터 2와 데이터 3을 포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1의 2배의 데이터 비트(4bit)를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기간에 포함되는 클록 신호수를 2배로 하는 것으로, 제어용 광원(데이터 신호용) 종류의 2배의 계조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계조정보가 필요할 경우,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기간에 포함되는 클록 신호수를 필요한 만큼 늘리는 것으로 가능하게 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서는, 데이터 신호용 광원의 종류를 m으로 하고,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기간에 포함되는 클록 신호수 n으로 할 경우, m x n비트의 계조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데이터 신호의 송신을 패러렐-시리얼 전송화 하고 있다.
다음에 액정(101)에 인가하는 전압의 미세한 조정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0에, 광발전 소자(201)의 발전 전압을 분압하는 분압 회로(210)와, 그것을 선택하는 멀티 플렉서(302)를 가지는 구동 회로(301)의 일부를 나타낸다. 도 10에 나타내는 분압 회로(210)에서는, 단순한 저항분압의 예로 나타내고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분압 회로(210)는 저항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각종 수단을 사용해도 좋다. 또한 도 10에서는, 멀티 플렉서(302)의 후단에 전압 팔로어 등을 위한 버퍼(304)가 설치된다. 그러나, 액정(101)으로의 기록(충전)을 원하는 기간 내에 종료할 수 있는 것이면, 버퍼(304)를 특별히 설치할 필요는 없다.
다음에 별도의 조정 방법을 도 11에 나타낸다. 도 11에서는, 직렬 접속된 광발전 소자(201) 마다 저항을 설치하고 있다. 또한, 이 저항은, 광발전 소자(201) 이외의 부분에 형성해도 좋고, 광발전 소자(201)의 내부저항이라도 된다. 또한 도 11에서는, 광발전 소자(201)의 기호의 크기를 바꾸어, 각각 포화 발전 전압이 다른 것을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면 도 11의 광발전 소자(201)는, 위부터 8V, 4V, 2V, 1V의 포화 발전 전압을 각각 가지고 있다.
각 광발전 소자(201)에는, 병렬로 스위치(303)가 설치된다. 이 스위치(303)는, 광발전 소자(201)에 설치된 저항에 비해 충분히 낮은 저항값으로 ON할 수 있다. 또한, 도 11의 스위치(303)는, 위부터 비트3, 비트2, 비트1, 비트0으로 나타낸다. 모든 비트의 스위치(303)가 열려 있을 때는, 액정(101)에 15V가 인가되게 된다. 그리고, 예를 들면 비트3의 스위치(303)를 닫으면, 액정(101)에 7V가 인가되게 된다.
즉, 어느 한 스위치(303)(복수에서도 좋다)가 닫혀서 단락하면, 15V에서 해당하는 광발전 소자(201)의 포화 전압분 만큼 낮은 전압이 액정(101)에 인가되게 된다. 도 11에 나타내는 회로 구성으로 함으로써, 최소의 포화 발전 전압분 만큼의 전압분해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포화 발전 전압을 낮게 하기 위해서는, 광발전 소자(201) 자체의 특성을 조정해도 좋고, 도시하지 않지만, 각 광발전 소자(201)와 저항에 병렬하도록 별도의 저항을 삽입함으로써, 스위치(303)가 열려 있는 상태에서도 광발전 소자(201)의 포화 발전 전압 이하의 전압을 추출할 수도 있다.
다음에, 별도의 조정 방법을 도 12에 나타낸다. 도 12에서는, D/A변환을 행하고 있었던 것을 샘플/홀드형의 회로 구성으로 한 것이다. 이 회로 구성에 대응하는 제어용 광원의 수광계의 회로도를 도 13에 나타낸다. 또한, 도 13에 있어서의 구동파형을 도 14에 나타낸다. 도 12 내지 도 1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구동 회로(301)를 구성하는 것으로도, 임의의 인가전압을 액정(101)에 인가할 수 있 다.
우선, 도 14에 나타내는 파형에 있어서, 도 5와 다른 점은, 데이터 신호가 존재하지 않는 것과, 클록 신호의 하이 레벨 기간과 로 레벨 기간이 일정하지 않은 것이다. 도 12 내지 도 14에 나타내는 구성에 있어서도, 스타트 펄스신호는, 인접하는 화소 사이에 설치된 전기적 배선에 의해 전송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도 1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화소 n-1 로부터 전송된 스타트 펄스신호가, 화소 n에 스타트 펄스입력으로서 입력된다. 화소 n 스타트 펄스입력의 상승과 클록 신호의 하강에 동기(파선α) 하여, 화소 n방전 신호가 생성(상승)된다. 도 13을 사용하여 설명하면 화소 n 스타트 펄스신호의 하이 레벨과 인버터(320)에서 반전된 클록 신호의 하이 레벨이 AND게이트회로(321)에 입력되어, 화소 n 방전 신호가 생성된다.
화소 n 방전 신호가 생성되면, 도 12에 나타내는 방전 스위치(306)가 ON상태가 되고, 방전 스위치(306)에 병렬로 접속된 콘덴서(307)가 단락되어 전하가 없어지게 된다. 다음에, 클록 신호가 상승하면(파선β), 방전 신호가 소실하고, 충전 신호가 생성된다. 도 13을 사용해서 설명하면 화소 n 스타트 펄스신호의 하이 레벨과 클록 신호의 하이 레벨이 AND게이트(322)에 입력되어, 화소 n 충전 신호가 생성된다.
방전 신호가 소실함으로써, 도 12에 나타내는 방전 스위치(306)가 OFF상태가 되고, 화소 n 충전 신호가 생성되는 것으로, 충전 스위치(305)가 ON상태가 된다. 그리고, 소정의 시간 경과하여 클록 신호가 하강하면(파선γ), 충전 스위치(305)가 OFF상태가 된다. 이 충전 스위치(305)가 ON상태가 되고 있는 기간(충전 기간)에, 소정의 전하가 콘덴서(307)에 충전된다. 도 14에서는, 화소 n의 충전 신호의 변화에게 따르는, 화소 n의 충전 전압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또한, 소정의 전하는, 콘덴서(307), 광발전 소자(201)의 발전 전압, 광발전 소자(201)와 충전 스위치(305) 사이에 설치된 저항 및 충전 기간으로 결정된다.
콘덴서(307)에 충전된 전압은, 다음 스타트 펄스신호(예를 들면 1리프레쉬 레이트 기간)가 올 때까지, 버퍼(304)를 통해 액정(101)에 인가된다. 화소 n 스타트 펄스입력의 하강과 동시에(파선 γ), 도 13에 나타내는 레지스터(323)에서 다음 화소 n+1의 스타트 펄스입력(=화소 n 스타트 펄스출력)도 생성된다. 화소 n+1에 있어서도 동일한 구동이 행해진다. 구체적으로는, 클록 신호가 상승하면 (파선δ), 화소 n+1의 방전 신호가 소실하고, 화소 n+1의 충전 신호가 생성된다. 그리고, 소정 시간 경과하여 클록 신호가 하강하면(파선 ε), 충전 스위치(305)가 OFF상태가 된다. 도 14에서는, 화소 n+1은 화소 n에 비해 긴 충전 기간을 가지고 있다. 그 때문에 도 14에 나타내는 화소 n+1의 충전 전압은, 화소 n의 충전 전압보다 높아지고 있다.
화소 n+2 이후도, 동일한 구동을 순차 반복함으로써, 모든 화소에 임의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또한, 도 12에서는, 콘덴서(307)에 충전된 전압을, 버퍼(304)를 통해 액정(101)에 인가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충전 기간을 충분히 길게 할 수 있는 경우에는 버퍼(304) 및 콘덴서(307)를 생략하여, 직접 액정(101)에 광발전 소자(201)의 발전 전압을 인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14에서는, 클록 주기를 일정하게 하여, 하이 레벨 기간과 로 레벨기간의 비율(듀티비)로 인가 전압을 변화시키고 있지만, 클록 주기를 일정하게 한정할 필요는 없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서는, 데이터 신호에 복수의 신호를 중첩시키는 등의 다계조화의 방법을 적용하는 것으로, 기존의 액정표시장치와 동등한 다계조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실시예에서 나타낸 다계조화의 방법에 한정되지 않고, 디더(dither) 방법이나 펄스폭 변조 방법 등의 다른 다계조화의 방법을 적용해도 좋다.
(실시예 4)
액정표시장치는, 액정(101)에 직류전압을 계속해서 인가하면, 화소의 눌어붙기라 불리는 현상이 생긴다. 그 때문에 일반의 액정표시장치에서는, 프레임 마다 일정 주기로 액정(101)에 인가하는 전압의 극성을 반전시키는 교류 반전 구동을 행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도, 일반의 액정표시장치와 동일한 구동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5에, 본 실시예에 따른 광발전 소자(201) 및 구동 회로(301)의 일례의 구성 도를 나타낸다. 도 15에 나타내는 광발전 소자(201)는, 액정(101)에 인가하는 최대 전압의 2배 이상의 전압을 얻을 수 있도록, 직렬 접속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광발전 소자(201)는 3개의 셀이 직렬 접속되어 있지만, 도 15에 나타내는 광발전 소자(201)는 6개의 셀이 직렬 접속되어 있다.
도 15에서는, 직렬접속 밑 광발전 소자(201)의 중앙의 셀(위에서 부터 3개째의 셀)과 액정(101)의 한쪽의 전극이 접속되어 있다. 그 한쪽의 전극의 전위를 제 로로 하고, 다른 쪽의 전극을 멀티 플렉서(302)에 의해 양,음 임의의 전위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5에 나타내는 구성에 의해, 액정(101)에 인가하는 전압의 극성을 임의로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액정(101)을 교류 반전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전압의 극성을 변화시키는 제어는, 계조를 제어하는 신호와 같이 복조하는 것으로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인가전압의 극성을 변화시키는 별도의 구성을 도 16에 나타낸다. 도 16에서는, 광발전 소자(201)를 직렬접속하고, 각각의 광발전 소자(201)의 단자와, 액정(101)의 한쪽 또는 다른 쪽의 전극 모두가 접속할 수 있도록, 양쪽의 전극에 멀티 플렉서(302)를 채용한 구성이다. 액정(101)의 양쪽 전극에 멀티 플렉서(302)를 채용하는 것으로, 각각 임의의 전위를 선택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각각의 선택 전위의 대소관계에 의해 액정(101)에 인가되는 전압의 극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전압의 극성을 변화시키는 제어는, 계조의 제어신호와 조합하여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16과 같이 구성하는 것으로, 도 15의 경우에 비해 광발전 소자(201)의 수·면적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인가전압의 극성을 변화시키는 별도의 구성을 도 17에 나타낸다. 도 17에서는, 광발전 소자(201) 및 멀티 플렉서(302)의 수를 줄인 구성예이다. 도 17에서는, 액정(101)의 전극이 극성 선택용 스위치(303)를 통해 광발전 소자(201)와 접속된 구성이다. 극성 선택용 스위치(303)는, 극성선택신호에 의해 ON·OFF 하고, 액정(101)에 인가하는 전압의 극성을 변화시키고 있다. 또한, 계조 선택은, 직렬접속한 복수의 광발전 소자(201)를 멀티 플렉서(302)로 선택하는 구성이다. 또한 극성 선택신호는, 계조의 제어신호와 조합하여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액정(101)에 인가하는 전압의 극성을 소정의 주기로 반전시키므로, 화소의 눌어붙기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5)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제어용 광원(LED(401))의 파장은, 백라이트의 주 광원(152)의 파장과 서로 다른 것을 선택한다고 설명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주 광원(152) 그 자체를 제어용 광원으로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서는, 주 광원(152)을 제어용 광원으로서 사용하는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서는, 가시광 범위의 주 광원(152)을 제어용 광원으로서 사용하므로, 제어신호가 어떠한 패턴(예를 들면 전 화면 블랙과 전 화면 화이트)이라도, 광원의 광강도가 일정한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하나의 제어용 광원에 있어서의 점등시의 발광 강도를 Ⅰ, 점등·비점등 기간의 비율의 평균값(듀티비)을 D라고 했을 경우에, Ⅰ×D가 일정하게 되면, 사람의 눈이 감지하는 광강도(화이트 표시일 때)도 일정하게 된다. 또한, 제어용 광원을 주 광원(152)과는 별도로 설치하는 경우라도, 가시광 범위의 제어용 광원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마찬가지로 광원의 광강도가 일정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 때문에 클록 신호와 같은, 항상 일정한 주기로 ON·OFF를 반복하는 제어신호의 경우에는, 평균의 발광 강도 I는 일정하게 된다. 그러나, 데이터 신호에 대해서는, Ⅰ×D가 일정하게 되도록, 듀티비 D에 따라, 발광 강도 I를 변경하거나, 또는 발광 강도 I나 듀티비 D 모두 일정하게 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듀티비 D에 따라, 발광 강도 I를 변경하는 경우, 복수의 화상 데이터를 일단 메모리에 유지하고, 그 화상 데이터로부터, 제어용 광원이 ON상태에서, 또한 "1"이 되는 화상 데이터의 일정 기간내의 합계를 합계값 S로서 산출한다. 그 합계값 S로부터 듀티비 D를 산출한다. 듀티비 D는, 합계값 S을 합계값 S가 얻을 수 있는 최대값으로 나누어 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12Bit가 일정 기간 내의 화상 데이터로 할 경우에, 제어용 광원이 ON상태에서, 또한 "1”이 되는 화상 데이터가 9Bit이면, 합계값 S는 9가 되고, 합계값 S가 얻을 수 있는 최대값이 12이므로, 듀티비 D는 9/12=0.25가 된다.
그 후에 발광 강도 I를 설정하고, 메모리에 유지한 화상 데이터를 전송한다. 또한, 발광 강도 I는, 듀티비 D의 역수(1/D)에 비례하여 설정되지만, 합계값 S가 제로이면 발산하여 설정할 수 없다.
이것을 회피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전송이 데이터 전송기간 ta과 데이터 전송 중지기간 tb을 가질 경우에 있어서, 데이터 전송 중지 기간 tb에 제어용 광원을 항상 점등하면 좋다. 이렇게 하는 것으로, 듀티비 D가 제로가 되지 않고, 발광 강도 I의 설정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발광 강도 I의 최대값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데이터 전송기간 ta과 데이터 전송 중지기간 tb의 비율을 적절히 조정할 필요가 있다. 또 데이터 전송기간 ta과 데이터 전송 중지기간 tb이 반복되는 주기는, 일반적으로 1프레임 주기나, 1주사선 주기이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몇 화소 주기라도 좋다. 단, 1프레임 주기보다도 길어지면, 제어용 광원의 듀티비 D의 변 화가, 눈에 감지되는 주파수보다 늦어지므로, 깜박거리는 것을 느끼게 된다.
한편, 발광 강도 I나 듀티비 D도 일정하게 하는 경우에는, 메모리로의 화상 데이터의 유지나 발광 강도 I를 변경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어를 간략화할 수 있다. 어떠한 데이터 신호라도, 듀티비 D를 일정하게 하기 위해서는, 클록 신호와 같은 주기로 데이터 신호를 토글하면 된다. 구체적인 방법을, 도 18의 파형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8의 파형은, 클록 신호, 원래의 데이터 신호 및 발광 강도 I나 듀티비 D도 일정하게 되도록 변환한 데이터 신호를 나타내고 있다. 변환한 데이터 신호는, 1데이터 사이클(클록 주기와 같은 주기)의 기간에 데이터 신호의 ON기간과 OFF기간이 반드시 절반씩 가지고, 데이터 신호의 변화점이 클록 신호의 변화점에 대하여 1/4주기 어긋나 있다.
도 1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변환한 데이터 신호가 래치 된다(도 18의 경우, 클록의 상승(파선부))점에서, 원래의 데이터 신호와 같은 레벨이 주어지도록 되어 있다. 원래의 데이터 신호로부터 변환한 데이터 신호를 만들기 위해서는, 클록 신호의 하행으로부터 1/4주기 늦은 곳에서 원래의 데이터 신호의 ON·OFF상태에 맞추고, 또한 1/2주기(클록 신호의 하행으로부터 3/4주기) 늦은 곳에서, 앞에 맞춘 원래의 데이터 신호와 상태와 반대 상태로 하면 좋다.
또한, 클록 신호의 하행으로부터의 주기의 지연은 반드시 1/4주기로 할 필요는 없다. 단, 주기의 지연이 길어지면, 화소의 구동 회로의 셋업 기간이 짧아지고, 반대로 주기의 지연이 짧아지면, 액정(101)에 인가하는 전압의 홀드 기간이 짧아지는 폐해가 있다. 따라서, 화소의 구동 회로의 동작 가능 주파수에 대하여, 클 록 신호의 주파수가 충분히 느리면, 어느 정도의 폭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서는, 제어용 광원에 가시광 범위를 사용할 경우나, 주 광원(152)을 제어용 광원으로서도 사용할 경우, 제어용 광원의 점등·비점등 기간의 비율에 점등 기간의 광강도를 곱한 값이 일정하게 되도록 제어하므로, 사람 눈으로 느끼는 광강도가 일정이 되고, 깜박거리는 것을 느끼지 않는 액정표시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에서도, 백라이트의 주 광원(152)으로서 RGB등의 색을 가지는 LED가 사용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주 광원(152)을 제어용 광원으로서도 사용하는 경우에는, 광원의 부품수를 줄일 수 있고,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실시예 6)
실시예 5에서는, 백라이트의 주 광원(152)을 제어용 광원으로서도 사용하는 구성을 설명했다. 특히, RGB등의 색을 가지는 LED등을 광원으로서 채용할 경우, 이 광원의 스펙트럼 폭이 좁아, 각 색을 독립하여 제어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광원의 각 색을 각각 서로 다른 제어신호의 제어용 광원으로서 채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경우, 컬러 표시용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컬러 필터의 일부를, 구동 회로(301)에 설치한 광센서(311, 312)의 필터(313)로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9에, 컬러 필터를 필터(313)로서 이용하는 액정표시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9에서는, 유리의 투명 기판(103)위에 컬러 필터(110)가 형성되고, 이 컬러 필터(110) 사이에 구동 회로(30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9에서는, 화소를 구성하는 투명전극(102)등은 생략하고 있다.
구동 회로(301)에 설치된 광센서(311, 312)는, 투명 기판(103) 및 컬러 필터(110)을 통과하여 빛(전자파)을 수광한다. 컬러 필터(110)는, 상기한 바와 같이, 특정한 파장의 빛(전자파)을 선택하는 필터(313)로서 기능하고 있다. 그 때문에, 광센서(311, 312)는, 예를 들면 RGB의 LED(401)를 광원으로서 사용하고, RGB의 컬러 필터(110)를 사용했을 경우, RGB의 빛을 선택적으로 수광할 수 있다.
단, 지금까지의 실시예에서 주로 설명한 구성에서는, 데이터를 포착하기 위해서, 최저 클록 신호와 데이터 신호의 2종류의 광원이 필요했다. 그 때문에 하나의 화소에 설치되는 구동 회로(301)에는 적어도 2종류의 광센서(311, 312)를 설치할 필요가 있었다. 그러나, 컬러 필터(110)를 광센서(311, 312)의 필터(313)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화소에는 1종류의 컬러 필터(110)밖에 설치할 수 없으며, 하나의 화소에 2종류의 광센서(311, 312)를 설치하는 것은 곤란했다.
또한 단일광을 복조하여 데이터화하는 것도, 일반적인 전기회로이면 용이하지만, 액정표시장치와 같이 한정된 각 화소 내에, 그러한 회로로 실현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곤란하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서는, 광센서(311, 312)를 도 20이나 도 21과 같이 배치하는 것으로,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도 20에서는, 인접하는 2개의 화소의 경계에 광센서(311, 312)를 설치하여, 인접하는 2종류의 컬러 필터(110)를 공용하고 있다. 또한, 도 21에서는, 인접하는 4개의 화소의 경계에 광센서(311, 312)를 설치하여, 인접하는 4종류의 컬러 필터(110)를 공용하고 있다.
또한, 광센서(311, 312) 자체는, 복수의 화소에서 공용하지 않아도 실현가능하지만, 그 경우, 인접화소에 설치된 광센서(311, 312)의 출력을, 배선을 사용하여 전달 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광센서(311, 312) 자체를 복수의 화소에서 공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구성의 복잡화와, 배선 용량 등의 영향으로 신호 지연이 일어나 동작 가능 주파수가 낮아지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서는, 컬러 필터(110)의 일부를 광센서(311, 312)의 필터(313)로서 사용하므로, 별도 필터(313)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기재된 액정표시장치는, 화소마다 설치되어, 발전한 전력을 화소 및 구동 회로에 공급하는 광발전 소자를 구비하므로, 액정표시장치를 대형화·고해상도화했을 경우라도, 저소비 전력을 실현할 수 있다.

Claims (19)

  1. 제1기판과,
    상기 제1기판과 대향하는 제2기판과,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에 끼워진 액정과,
    상기 제1기판 위의 화소마다 설치되어, 상기 액정을 구동하는 구동 회로와,
    상기 화소마다 또는 복수의 상기 화소마다 설치되어, 상기 액정을 구동하기 위해서 발전하여 전압을 공급하는 광발전 소자와,
    전자파를 공급해서 상기 구동회로를 제어하는 제어용 전자파원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 회로는, 상기 전자파를 복조하는 복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발전 소자는, 상기 화소의 개구부 주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발전 소자는, 소정의 색을 가지고, 빛이 투과가능한 박막으로 형성되며, 상기 화소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4. 삭제
  5. 제 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는, 자외로부터 적외의 파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용 전자파원은, 백라이트에 삽입하고,
    상기 백라이트의 도광체에서, 상기 전자파와, 상기 백라이트의 주 광원으로부터의 빛이 서로 섞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용 전자파원은, 프론트라이트에 삽입되고,
    상기 프론트라이트의 도광체에서, 상기 전자파와, 상기 프론트라이트의 주 광원으로부터의 빛이 서로 섞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는, 가시광 범위 이외의 비가시광 범위의 파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용 전자파원은, 주 광원으로서도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용 전자파원은, 점등·비점등 기간의 비율이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용 전자파원은, 점등·비점등 기간의 비율에 점등 기간의 광강도를 곱한 값이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2. 제 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회로는, 상기 전자파 중 특정 파장범위를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필터를 더 구비하고, 상기 필터를 통과한 상기 전자파에 의거하여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컬러 표시화를 위한 컬러 필터의 일부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회로의 구동 타이밍인 클록 신호와, 상기 화소에 기록하는 데이터 신호로서 상기 전자파를 이용하고,
    상기 구동 회로는, 복수의 상기 필터를 사용하여 상기 전자파로부터 적어도 상기 클록 신호 및 상기 데이터 신호를 각각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회로의 구동 타이밍인 클록 신호로서 상기 전자파를 이용하고,
    상기 구동 회로는, 상기 클록 신호의 하이 기간 또는 로 기간의 길이에 의거하여 상기 액정에 인가하는 전압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회로는, 소정의 화소를 제외하고, 상기 화소의 기록 타이밍인 스타트 펄스 신호를 상기 화소 사이에 설치된 배선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신호는, 복수의 신호를 중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8.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회로는, 상기 액정에 인가하는 전압의 극성을 소정의 주기로 반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9.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액정표시장치를 복수 타일링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액정표시장치.
KR1020060029449A 2005-04-01 2006-03-31 액정표시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대형 액정표시장치 KR1008011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05694 2005-04-01
JP2005105694A JP4744914B2 (ja) 2005-04-01 2005-04-01 液晶表示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大型液晶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5641A KR20060105641A (ko) 2006-10-11
KR100801173B1 true KR100801173B1 (ko) 2008-02-11

Family

ID=37069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9449A KR100801173B1 (ko) 2005-04-01 2006-03-31 액정표시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대형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60221039A1 (ko)
JP (1) JP4744914B2 (ko)
KR (1) KR100801173B1 (ko)
CN (1) CN1854828B (ko)
TW (1) TW20063633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20253A (ja) * 2006-07-11 2008-01-31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A2713094A1 (en) * 2008-01-21 2009-07-30 Seereal Technologies S.A. Device for controlling pixels and electronic display device
CN101983401A (zh) * 2008-03-31 2011-03-02 日本先锋公司 显示装置
JP5161832B2 (ja) * 2009-04-17 2013-03-13 シチズン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液晶光変調素子の駆動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光可変減衰器
JP2012163581A (ja) * 2009-06-19 2012-08-30 Sharp Corp 表示装置
US8629472B2 (en) * 2010-12-02 2014-01-14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emitting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lighting device
CN104566170B (zh) * 2015-02-03 2017-05-3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背光模组和显示装置
KR20200077842A (ko) * 2018-12-21 2020-07-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상 이미지를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7467144B2 (ja) 2020-02-04 2024-04-15 株式会社日本レカム 端末表示充電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6758A (ko) * 2000-12-15 2002-06-21 구본준, 론 위라하디락사 솔라 셀 내장 액정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66560A5 (de) * 1983-03-01 1988-07-29 Tadeusz Bobak Anzeigevorrichtung.
JP2738613B2 (ja) * 1991-10-31 1998-04-08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演算素子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処理システム
JP2837578B2 (ja) * 1992-05-20 1998-12-16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入出力装置および方法
GB2269296A (en) * 1992-08-01 1994-02-02 Northern Telecom Ltd Telecommunications switch architecture
JPH06160889A (ja) * 1992-11-20 1994-06-07 Fujitsu Ltd 液晶表示装置
JP2643100B2 (ja) * 1994-12-26 1997-08-20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イション 液晶表示装置の駆動方法及び装置
JP3308127B2 (ja) * 1995-02-17 2002-07-29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用輝度調整装置
JP4520545B2 (ja) * 1998-04-17 2010-08-04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反射型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148038A (ja) * 1998-04-22 2000-05-26 Denso Corp マトリクス型表示装置
JP2000019983A (ja) * 1998-07-07 2000-01-21 Sharp Corp 画像表示装置
JP4519251B2 (ja) * 1999-10-13 2010-08-04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6452088B1 (en) * 2001-04-16 2002-09-17 Airify Communications, Inc. Power generating display
US7334918B2 (en) * 2003-05-07 2008-02-26 Bayco Products, Ltd. LED lighting array for a portable task light
JP4153360B2 (ja) * 2003-05-15 2008-09-24 ナノックス株式会社 反射型液晶表示装置
US7052152B2 (en) * 2003-10-03 2006-05-30 Philips Lumileds Lighting Company, Llc LCD backlight using two-dimensional array LEDs
KR101029432B1 (ko) * 2003-12-29 2011-04-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및 구동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6758A (ko) * 2000-12-15 2002-06-21 구본준, 론 위라하디락사 솔라 셀 내장 액정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744914B2 (ja) 2011-08-10
TW200636335A (en) 2006-10-16
CN1854828B (zh) 2010-10-06
US20060221039A1 (en) 2006-10-05
JP2006284977A (ja) 2006-10-19
KR20060105641A (ko) 2006-10-11
CN1854828A (zh) 2006-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1173B1 (ko) 액정표시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대형 액정표시장치
US7932880B2 (en) EL display panel driving method
KR100997977B1 (ko) 광센서 및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
US11335249B1 (en) Light-emitting panel and brightness adjustment method, and display device
CN107735832A (zh) 显示面板的发光控制装置和方法
CN109727587B (zh) 改善背光频率变化引起亮暗带的液晶显示器
JP2007235050A (ja) 面状光源装置の駆動方法、カラー液晶表示装置組立体の駆動方法、発光ダイオードの駆動方法、及び、パルス幅変調方法
KR20110048685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11263947B2 (en) Display panel and driving method thereof, driving device and driving system
KR20190031400A (ko) 표시 장치
CN101872594A (zh) 液晶显示设备和驱动液晶显示设备的方法
KR20170047787A (ko) 백라이트 유닛 및 그것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12967665B (zh) 发光元件控制电路、显示面板和显示装置
US20130229398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20130016897A (ko) 백라이트 드라이버용 구동집적회로 및 그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US10854142B2 (en)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8179407B2 (en) Method of driving a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and timing controller for performing the method
KR20070068800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TW202219934A (zh) 畫素電路及驅動方法、顯示面板、顯示裝置
KR101820839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667048B1 (ko) 액정표시장치
KR20080050877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1687804B1 (ko) 액정 표시장치 및 구동방법
JP2002287112A (ja) 液晶ディスプレイ及びその駆動方法
KR20120020454A (ko) 액정 표시장치 및 구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