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8709B1 - 흡수성 물품용의 투액성 필름, 상기 투액성 필름을 이용한흡수성 물품, 및 상기 투액성 필름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용의 투액성 필름, 상기 투액성 필름을 이용한흡수성 물품, 및 상기 투액성 필름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8709B1
KR100798709B1 KR1020010060646A KR20010060646A KR100798709B1 KR 100798709 B1 KR100798709 B1 KR 100798709B1 KR 1020010060646 A KR1020010060646 A KR 1020010060646A KR 20010060646 A KR20010060646 A KR 20010060646A KR 100798709 B1 KR100798709 B1 KR 1007987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liquid
resin
filler
perme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0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5825A (ko
Inventor
미주타니사토시
타무라타츄야
노다유키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25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58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8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87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2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apertures, e.g. perfo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04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the top sheet having a three-dimensional cross-section, e.g. corrugations, embossments, recesses or proj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3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 A61F2013/51338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having improved touch or feeling, e.g. smooth fil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생리용 냅킨 등의 표면 시트로서 이용되는 개공 필름은 표면이 개질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피부에 들러붙는 느낌이 있으며, 또한 증기가 체류하기 쉬워 짓무름감을 감소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에 필러(13)를 혼합한 개공 필름의 표면에 선형의 스크래치(14)를 형성하고, 스크래치(14)의 가장자리부에 얇은 막형, 미세한 돌기형, 미세 섬유형 등의 수지의 융기부(14a)를 형성한다. 이 융기부(14a)를 마련함으로써 필름 표면이 개질되어, 피부에 대한 촉감이 부드럽고, 들러붙는 느낌이나 짓무름감이 잘 발생하지 않게 된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용의 투액성 필름, 상기 투액성 필름을 이용한 흡수성 물품, 및 상기 투액성 필름의 제조 방법{A LIQUID-PERMEABLE FILM FOR AN ABSORBING ARTICLE, AN ABSORBING ARTICLE UTILIZING THE FILM, AND A PROCESS OF PRODUCING THE FILM}
도 1은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단면도.
도 2는 제1 실시 형태의 투액성 필름의 확대 사시도.
도 3은 제2 실시 형태의 투액성 필름의 확대 사시도.
도 4는 필름 표면의 스크래치의 확대 사시도.
도 5는 필름 표면의 함몰부의 확대 사시도.
도 6은 투액성 필름의 제조 단계의 설명도.
도 7(A), (B)는 조면화 롤의 표면의 확대 단면도.
도 8은 스크린 드럼을 이용한 개공 과정의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생리용 냅킨
2 이면 시트
3 흡수성 코어
4 표면 시트
5 사이드 시트
6 샘 방지벽
7 탄성 부재
10A, 10B 투액성 필름
11 개공
12 액 도입관
13 필러
14 스크래치
14a 융기부
15 함몰부
15a 융기부
18 리브부
22, 23 조면화 롤
24 스크린 드럼
본 발명은 생리용 냅킨이나 일회용 기저귀, 소변 흡수 패드, 팬티 라이너 등의 흡수성 물품에 이용되는 투액성 필름, 상기 투액성 필름을 이용한 흡수성 물품, 및 상기 투액성 필름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생리용 냅킨이나 일회용 기저귀 등의 흡수성 물품의 수액측 표면재로서 개공 필름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개공 필름은, 표면에 다수의 구멍을 갖는 스크린 드럼에 올레핀계 등의 수지 필름을 공급하고, 열풍에 의해 수지를 연화시킴과 동시에 스크린 드럼의 내부의 흡인압에 의해 상기 수지 필름에 상기 드럼 구멍에 대응한 구멍을 형성하고, 동시에 개공의 주위를 필름의 한 쪽 방향으로 돌출시켜 액 도입관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개공 필름을 흡수성 물품의 수액측 표면재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필름 표면이 장착자의 피부에 밀착됨으로써 불쾌감을 느끼며, 또한 필름 표면과 피부 사이에 습기가 참으로써 장착자에게 짓무름감을 발생시킬 우려가 있다.
이러한 상태를 개선하기 위해서, 상기 개공 필름의 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형성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이러한 개공 필름은, 표면에 요철을 갖는 성형 롤 등에 용융 또는 반용융 상태의 필름을 가압시켜, 필름 그 자체를 미세한 요철 형상이 되도록 성형하고, 요철을 필름에 기억시키는 단계에 의해 형성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한 미세한 요철을 형성함으로써 개공 필름의 표면과 장착자의 피부와의 접촉 면적을 저감시키고, 이에 의해 피부에 대한 밀착감을 저감시키며, 또한 필름 표면과 피부 사이에서의 증기의 체류를 저감시키고자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필름에 요철 형상을 기억시킨 것에서는, 필름 표 면 그 자체를 개질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피부에 대한 접촉 면적은 저감되어 있지만, 여전히 피부와 밀착하기 쉬워, 불쾌감이나 짓무름감이 완전히 해소되지 않았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서, 필름의 표면을 개질함으로써 피부와의 밀착성을 저감시켜, 장착자에게 부여하는 불쾌감이나 짓무름감을 더욱 저감시킬 수 있는 투액성 필름, 상기 투액성 필름을 이용한 흡수성 물품, 및 상기 투액성 필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액 흡수층을 갖는 흡수성 물품의 수액측에 설치되는 투액성 필름에 있어서,
다수의 액 투과로가 관통하여 형성된 필름의 표면에 상기 표면이 인열됨으로써 형성된 미세한 수지편이 복수 개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다른 본 발명은, 액 흡수층을 갖는 흡수성 물품의 수액측에 설치되는 투액성 필름에 있어서,
다수의 액 투과로가 관통하여 형성된 필름의 표면에 다수의 함몰부가 점재하고 있으며, 상기 함몰부의 가장자리부의 적어도 일부에서 수지가 필름 표면으로부터 융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함몰부의 가장자리부에서는, 상기 함몰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도록 상기 수지가 융기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함몰부를 갖는 투액성 필름의 경우도, 상기 필름의 표면에 상기 표면이 인열되므로써 형성된 미세한 수지편이 복수 개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 발명에 있어서, 상기 표면이 인열되는 방향이 주로 제품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이어도 좋고, 혹은, 상기 표면이 인열되는 방향이 제품의 각 방향으로 랜덤하게 연장되어 있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표면이 인열되므로써, 상기 표면에서는, 수지가 얇은 막형, 미세한 돌기형, 또는 미세 섬유형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돌출되어 있는 것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필름은 수지와 필러와의 혼합체로 형성되고, 상기 필러의 일부가 상기 필름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함몰부를 갖는 투액성 필름은 수지와 필러와의 혼합체로 형성되고, 상기 함몰부에는 상기 필러가 필름 표면으로부터 이탈하여 형성된 것이 포함되어 있는 것이어도 좋다.
그리고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액 흡수층을 갖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액 흡수층을 덮는 영역의 표면에 상기한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투액성 필름이 이용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 및 /또는, 액 흡수층을 갖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액 흡수층을 덮는 영역의 양측부에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표면측으로 기립 가능한 벽부가 마련되고, 상기 벽부의 적어도 표면이 상기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투액성 필름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투액성 필름의 제조 방법은, 수지와 필러와의 혼합체로 필름을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필름의 표면을 인열하여, 상기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얇은 막형, 미세한 돌기형, 또는 미세 섬유형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수지를 돌출시키는 단계와,
상기 표면을 인열하는 단계 전 또는 후에서, 상기 필름에 다수의 액 투과로를 관통시키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다른 본 발명의 투액성 필름의 제조 방법은, 수지와 필러와의 혼합체로 필름을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필름의 표면에 다수의 돌기를 미끄럼 이동시켜, 상기 필름의 표면에 함몰부를 점재시킴과 동시에, 상기 함몰부의 가장자리부에 수지를 융기시키는 단계와,
상기 함몰부를 형성하는 단계 전 또는 후의 단계에서, 상기 필름에 다수의 액 투과로를 관통시키는 단계,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필름의 표면에 돌기를 미끄럼 이동시킬 때에, 필름의 표면으로 돌출하는 상기 필러를 박리해냄으로써 상기 함몰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투액성 필름은, 개공 필름의 표면을 인열하므로써 상기 표면에 스크래치 또는 균열 등을 형성하고, 혹은 상기 표면에 점재하는 함몰부를 형성하며, 상기 스크래치, 균열, 또는 함몰부의 주위에 수지를 융기시킴으로써 필름의 표면 그 자체를 개질하고 있다. 상기 수지의 융기는 얇은 막, 미세한 돌기, 또는 미세한 섬유형이기 때문에, 피부에 대한 밀착감을 매우 저감시킬 수 있어, 장착자의 불쾌감이나 짓무름감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투액성 필름의 표면에 상기 스크래치 또는 균열, 함몰부 모두를 형성함으로써, 피부에 대한 촉감을 더욱 부드럽게 할 수 있으며, 또한 짓무름감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일례로서 생리용 냅킨을 종방향으로 두개로 나누는 중앙의 절단선에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생리용 냅킨(1)은, 액불투과성인 이면 시트(2)의 상면의 중앙 영역에 흡수성 코어(3)가 설치되어 있고, 이 흡수성 코어(3)의 표면이 표면 시트(4)에 의해 덮여져 있다. 생리용 냅킨(1)의 수액측 표면의 좌우 양측부에는 사이드 시트(5, 5)가 마련되어 있다. 이 사이드 시트(5, 5)는 좌우 양측부에서 상기 이면 시트(2)와 접합되어 있고, 또한 흡수성 코어(3)의 좌우 외측에서 절곡되어 샘 방지벽(6, 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샘 방지벽(6, 6)을 구성하기 위해서 2겹으로 된 상기 사이드 시트(5, 5)는, 상기 표면 시트(4)의 좌우 양측부의 상면에 접합되어 있다.
상기 샘 방지벽(6, 6)에는 종방향(Y 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 부재(7)가 접합되어 있다. 이 탄성 부재(7)의 수축력에 의해, 생리용 냅킨(1)은 종방향을 향해서 만곡 형상을 이루며, 그 결과, 샘 방지벽(6)은 생리용 냅킨(1)의 수액측 표면으 로부터 기립할 수 있게 된다.
도 1에 도시하는 생리용 냅킨(1)은, 상기 흡수성 코어(3)가 마련되어 있는 폭(W1)의 영역이 흡수 영역, 상기 흡수성 코어(3)의 좌우 양가장자리부보다도 소정 치수 내측에 위치하고 있는 폭(W2)의 영역이 중앙 영역, 상기 흡수성 코어(3)의 좌우 양가장자리부보다도 외측이고 표면 시트(4)의 좌우 양가장자리부까지의 폭(W3)의 영역이 비흡수 영역이다.
그리고, 상기 생리용 냅킨(1)의 상기 표면 시트(4) 또는, 상기 사이드 시트(5)의 적어도 샘 방지벽(6)을 형성하고 있는 부분이, 이하에 설명하는 투액성 필름(10A 또는 10B)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혹은 표면 시트(4)와 상기 샘 방지벽(6)을 형성하고 있는 부분 모두가 투액성 필름(10A 또는 10B)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이면 시트(2)는 통기성의 수지 필름이나, 소수성의 부직포, 바람직하게는 발수 처리된 스펀본드, 포인트본드, 멜트블로우, 서멀본드 등의 부직포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흡수성 코어(3)는 펄프 등의 흡수성 소재와 고흡수성 수지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사이드 시트(5)는 상기 투액성 필름(10A 또는 10B)으로 형성되지 않는 경우에는, 소수성의 부직포, 바람직하게는 발수 처리된 부직포로 형성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인 투액성 필름(10A, 10B)을 각각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 도 4와 도 5는 상기 투액성 필름의 표면을 더욱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하는 투액성 필름(10A), 및 도 3에 도시하는 투액성 필름(10B)은, 그 X 방향이 필름 성형 단계이나 표면 개질 단계시의 진행 방향(MD)이어도 좋고, 상기 X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 상기 진행 방향(MD)이어도 좋다.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생리용 냅킨(1)에 사용된 경우에, 상기 X 방향이 생리용 냅킨(1)의 종방향(Y 방향)과 일치하고 있어도 좋고, 상기 X 방향이 상기 종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도 좋다.
도 2와 도 3에 도시하는 상기 투액성 필름(10A, 10B)에는, 필름을 관통하는 액 투과로가 되는 다수의 개공(11)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개공(11)은 규칙적 또는 불규칙하게 배열하여 형성된 것이며, 개공(11)의 주위에는 필름의 하면 방향으로 돌출하는 액 도입관(1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액 도입관(12)의 개구 단부(12a)는 흡수성 코어(3)측을 향하여 있고, 또한 흡수성 코어(3)를 향함에 따라서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이다.
상기 액 도입관(12)의 필름 표리 방향의 높이는 0.3∼1.0 mm이며, 이 범위라면, 흡수성 코어(3)에 흡수된 액체의 필름 표면으로 다시 되돌아가는 것을 방지하기 쉽다. 또한, 개개의 개공(11)의 면적은 0.125∼1.766 mm2의 범위이며, 개공(11)의 점유 면적율은 25∼70%가 바람직하고, 40∼65%가 더욱 바람직하다. 개개의 개공(11)의 면적이 상기 범위이고 또한 점유 면적율이 상기 범위이면, 필름 표면에 부여된 액체를 흡수성 코어(3)에 투과시키기 쉽게 되고, 또한 흡수성 코어(3)에 흡수된 액체가 필름 표면으로 다시 되돌아가는 것을 방지하기 쉽다.
상기 투액성 필름(10A, 10B)은 올레핀계 수지로 형성되어 있고, 에틸렌, 프 로필렌의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에서 선택된 것 혹은 그 혼합물이다. 예컨대 상기 올레핀계 수지는 LDPE(저밀도 폴리에틸렌), LLDPE(초저밀도 폴리에틸렌), HDPE(고밀도 폴리에틸렌) 혹은 이들 혼합물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올레핀계의 수지의 밀도는 0.910∼0.925 g/cm3이다. 또한 스크린 드럼으로 개공(11)을 안정적으로 성형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최적의 멜트블로우 속도는 4∼20 g/10분이 바람직하다.
도 4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투액성 필름(10A, 10B)에는 다수의 필러(13)가 혼합되어 있다. 이 필러(13)는 탄산칼슘, 황산바륨, 인산칼슘, 활석, 실리카, 벤토나이트 등에서 선택된 무기 필러가 바람직하고, 불용성이며, 수지를 용융 압출하여 필름을 성형할 때의 용융 온도에 의해 수지 내에서 용융 또는 연화되지 않는 것이 사용된다.
도 2에 도시하는 투액성 필름(10A) 및 도 3에 도시하는 투액성 필름(10B)은 상기 액 도입관(12)이 연장되는 방향과 반대쪽의 표면을 긁어서 인열시키므로써 X 방향으로 선형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스크래치(1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스크래치 (14)는 필름 표면을 긁는 식으로 거칠게 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이며, 그 깊이는 필름 표면으로부터 약간이어도 좋고, 필름 두께의 중간 부분까지 균열형으로 깊게 형성된 것이어도 좋다.
도 4에 확대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래치(14)의 가장자리부의 적어도 일부에는 필름 표면의 수지가 젖혀 들어 올려진 융기부(14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크래치(14)는 필름보다도 경질인 돌기로 필름 표면을 X 방향으로 문지름으 로써 형성되는 것이며, 이 때, 선형의 스크래치(14)가 필름의 표면 내에 파고 들어가도록 하여 형성되고, 이 때 스크래치(14)의 가장자리부의 수지가 표면 방향으로 젖혀진다.
상기 융기부(14a)는 스크래치(14)의 모서리를 따른 얇은 막형, 미세한 돌기형, 혹은 미세 섬유형(피브릴형), 또는 이들이 조합된 상태로 돌출되어 있다. 투액성 필름(10A) 또는 투액성 필름(10B)의 표면에, 상기한 바와 같이 얇은 막형, 미세한 돌기형, 혹은 미세 섬유형(피브릴형)의 융기부(14a)가 형성되어 있으면, 이 융기부(14a)가 연질이기 때문에, 장착자의 피부에 맞닿았을 때의 감촉이 부드러워 천에 닿는 것 같은 감촉을 얻을 수 있으며, 종래의 필름 표면과의 접촉과 비교해서 밀착감이 잘 생기지 않는다. 또한, 필름 표면과 피부 사이에 남는 수분이나 증기는 선형으로 연장되는 스크래치(14) 내를 통과하여 이동함으로써 증발하기 쉽게 된다. 따라서 짓무름감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투액성 필름(10A, 10B)의 표면에는 필러(13)의 일부가 돌출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필러(13)의 일부가 필름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면, 장착자의 피부에 부여하는 필름이 달라붙는 느낌을 더욱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필러(13)로서 흡착성의 다공질 무기 충전제를 사용하면, 필러(13)가 흡습성(吸濕性)을 가지게 되어, 짓무름감을 더욱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필러(13)가 필름의 수지 내에 혼합되어 있으면, 필름의 연신도가 저하된다. 따라서 표면에 스크래치(14)를 주었을 때에, 도 4에 있어서 부호 16으로 도시하는 개소와 같이, 필러(13)와 수지 사이가 분리됨으로써 깊은 스크래치나 균 열이 형성되기 쉽고, 그 결과 스크래치(14)의 주위에 높게 융기되는 융기부(14a)를 형성하기 쉽게 된다.
다음에, 도 3에 도시하는 투액성 필름(10B)에서는, 필름 표면에 상기 스크래치(14)(또는 균열)와 함께, 다수의 함몰부(15)가 점재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함몰부(15)는 필름 표면에 돌기를 세게 누른 압박 흔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함몰부(15)의 평균 최대 직경(개개의 함몰부의 최대 직경의 평균치) 및 평균 깊이는 스크래치(14)의 평균 최대폭 치수(개개의 스크래치의 최대 폭의 평균치) 및 평균 깊이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상기 압박 흔적으로 함몰부(15)가 형성되면, 함몰부(15)의 가장자리부에 적어도 함몰부(15)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융기부(15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융기부(15a)는 함몰부(15)의 가장자리부가 불룩하게 올라와 형성된 것으로서, 산형으로 불룩하게 올라와 있는 부분도 있고, 또는 얇은 막형이나 미세한 돌기형으로 융기되어 있는 부분도 있다.
또한 도 5에 있어서 부호 17로 도시하는 부분에서는, 필름 표면으로 일부가 노출되어 있는 필러(13) 또는 필름의 표면 근처에 매몰되어 있는 필러(13)가 박리되므로써 함몰부(1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필러(13)가 필름 표면으로부터 박리되어질 때에, 필름 표면의 수지가 젖혀 올라가서 함몰부(15)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얇은 막형의 융기부(15a)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필름 표면에 점재하는 함몰부(15)를 마련하고, 함몰부(15)의 주위에서 융기하는 융기부(15a)를 형성하면, 피부에 대한 촉감이 부드럽게 된다. 또, 도 3에 도시하는 투액성 필름(10B)에서는, 상기 스크래치(14)와 상기 함몰부(15) 모두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필름 표면의 개질도가 높아져 피부에 대한 촉감이 매우 부드럽게 된다. 또, 도 2에 도시하는 투액성 필름(10A)과 같이 필름 표면에 스크래치(14)만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또는 필름 표면에 함몰부(15)만을 점재시켜도 좋다.
상기 필러(13)의 평균 입경은 1∼30 ㎛인 것이 바람직하고, 1∼20 ㎛가 더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10 ㎛이다. 필러의 평균 입경이 1 ㎛ 이상이면, 필름 표면에서 필러(13)와 수지 사이가 분리되기 쉽게 되고, 깊은 스크래치(14)(또는 균열)가 형성되기 쉽다. 또한 1 ㎛ 이상이면, 필러(13)가 필름 표면으로부터 박리되어질 때에 함몰부(15)의 주위에 얇은 막형의 융기부(15a)를 형성하기 쉽다. 필러(13)의 평균 입경이 30 ㎛를 넘으면, 필러의 분산 밀도가 저하되고, 스크래치(14)를 필러(13)와 인접하게 형성할 수 있는 확률이 저하되며, 또한 필러(13)를 박리해내어 함몰부(15)를 형성할 수 있을 확률이 저하된다.
또한, 필름에서의 상기 필러의 함유율은 5∼65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15∼65 질량%가 더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0∼60 질량%이다. 이 범위이면, 필름 표면으로 필러(13)가 노출되기 쉽고, 스크래치(14)를 필러(13)와 수지와의 경계부에 형성하기 쉬우며, 또한 필러(13)를 떼어내어 함몰부(15)를 형성할 수 있을 확률이 높아지게 된다. 또한 많은 필러(13)가 필름 표면으로 노출됨으로써 피부와 필름 표면과의 접촉 확률을 저감시킬 수 있어, 달라붙는 느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투액성 필름(10A, 10B)을 백색화하여 흡수성 코어(3)에 흡수된 경혈 등의 색을 은폐하기 위해서, 염료 물질을 함유시킬 수 있다. 이 염료 물질의 평균 입경은 0.1∼0.5 ㎛이며, 그 함유량은 2∼7 질량%이다. 또한, 투액성 필름(10A, 10B)의 전체의 평량은 개공(11)의 성형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서, 20∼60 g/m2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5∼40 g/m2이다.
상기 투액성 필름(10A, 10B)과 같이, 수지 내에 필러(13)를 혼합시킴으로써, 필름 표면에 상기 스크래치(14)나 함몰부(15)를 형성하기 쉽게 되지만, 상기 스크래치(14), 함몰부(15)를 효과적으로 형성하기 위해서는, 필러(13)가 적어도 필름 표면측의 층 내에 위치하고 있으면 좋다.
그 때문에, 예컨대 수지 필름을 다층공압출(多層共壓出) 단계에 의해 형성한 다층 필름으로 하고, 표면에 나타나는 표면층에만 필러(13)를 함유시키거나, 또는 표면층에서의 필러(13)의 함유율을 그 이외의 층에서의 필러의 함유율보다도 많게 하여도 좋다. 수지 필름에 많은 필러를 함유하면, 인장 강도나 연신도가 저하되지만, 다층 필름을 이용하고, 2층인 경우의 이면층이나, 3층에서의 중간층과 이면층에 필러를 함유시키지 않거나, 또는 이면층 등에 소량의 필러 만을 함유시킴으로써 필름 전체의 인장 강도나 연신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장착자의 피부압이 주어졌을 때에, 개공(11) 주위의 액 도입관(12)이 찌부러지는 것을 억제하거나, 또한 개공(11)과 개공(11) 사이의 수지의 리브부(18)의 파단도 방지하기 쉽다. 더욱이 이면층 등이 충분한 연신도를 갖기 때문에, 피부와의 마찰이 주어졌을 때에 투액성 필름이 부드럽게 추종하여, 피부에의 자극을 잘 부여하지 않게 된다.
이 경우, 표면층을 올레핀계 등의 열가소성 수지에 의해 형성하여 필러(13) 를 5∼65 질량% 함유시키고, 이면층이나 중간층을 필러를 함유시키지 않은 올레핀계 등의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할 수 있지만, 투액성 필름 전체를 유연성이나 탄성이 풍부한 것으로 하기 위해서, 상기 이면층 또는 중간층을 SEBS, SIS, 우레탄, SEEPS 등의 합성엘라스토머 수지로 형성하거나, 혹은 저밀도의 올레핀계 수지인 LDPE, LLDPE(밀도 0.88∼0.90 g/cm3)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수지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러(13)를 많이 함유하는 표면층의 두께는, 시트 전체의 1/2∼1/5이 바람직하고, 필름 전체의 막 두께는 20∼40 ㎛가 바람직하다.
또한, 투액성 필름 전체를 형성하는 수지로서, 프탈산, 테레프탈산,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등의 방향족디카르복실산, 또는 호박산, 아디픽산 등의 지방족카르복실산, 혹은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지방족디올 등의 1종 이상의 수지를 하드 성분으로 하고, 폴리에테르, 지방족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아디페이트 등의 1종 이상의 수지를 소프트 성분으로 하며, 상기 하드 성분과 소프트 성분과의 블록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블록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투습성 수지로서 사용할 수 있다.
도 6은 도 3에 도시하는 상기 투액성 필름(10B)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이 단계에서는, 수지 재료의 용융 압출기 및 성형 스탠드를 갖는 필름 성형부(21)에 의해 올레핀계 수지 등에 의한 필름(10a)이 형성된다.
상기 필름(10a)의 표면에 조면화 롤(22, 23)의 둘레면을 미끄럼 이동시킨다. 상기 조면화 롤(22, 23)은, 필름(10a)의 진행 방향(MD)에 대하여 둘레면이 반대 방 향으로 이동하도록 반대 방향으로 100∼1000 rpm의 회전수로 회전시킨다.
제1단의 조면화 롤(22)은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 둘레면에 비교적 미세한 광물 등의 경질 입자(22a)가 접착제 등으로 고정되어, 샌드페이퍼형의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제1단의 조면화 롤(22)의 경질 입자(22a)가 필름(10a)의 표면에서 미끄럼 이동함으로써,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름(10a)의 표면에 스크래치(14)를 형성하며, 스크래치의 가장자리부에 융기부(14a)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스크래치(14)의 가장자리부에 얇은 막형, 미세한 돌기형, 미세 섬유형의 융기부(14a)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경질 입자(22a)의 평균 입경은 10∼100 ㎛이 바람직하고, 형성되는 스크래치(14)의 평균 최대폭은 5∼100 ㎛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제2단의 조면화 롤(23)은,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 둘레면에 상기 경질 입자(22a)보다도 직경이 크고, 또한 밀도가 성기게 배치된 광물 등의 경질 입자(23a)가 접착 등으로 고정되어, 비교적 큰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제2단의 조면화 롤(23)을 필름 표면에 미끄럼 이동시키면, 필름 표면에 도 4에 도시하는 스크래치(14)보다도 더 깊은 스크래치가 형성되거나, 혹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질 입자(23a)가 수지 표면에 파고 들어 함몰부(15)가 형성되고, 동시에 함몰부(15)의 주위에 융기부(15a)가 형성된다. 또한, 필름 표면 또는 표면 근처에 존재하고 있는 필러(13)가 경질 입자(23a)에 의해 박리되어짐에 의해서도 상기 함몰부(15)가 형성된다. 이러한 함몰부(15)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경질 입자(23a)의 평균 입경이 100∼700 ㎛인 것이 바람직하고, 형성되는 융기부(15a)의 평균 최대 직경은 90∼700 ㎛이다.
또한, 상기 스크래치(14)나 함몰부(15)를 확실하게 형성하고, 특히 상기 함몰부(15)를 확실하게 형성하기 위해서는, 조면화 롤(22, 23)을 미끄럼 이동시키는 필름에 80∼130 ℃의 예열을 부여하여 수지를 연화시켜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조면화 롤(22, 23)에 의해 표면이 조면화된 조면화 필름(10b)이 스크린 드럼(24)에 공급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린 드럼(24)에는 개공(11)의 배치 패턴에 대응하는 성형 구멍(24a)이 형성되어 있다. 스크린 드럼(24)의 주위에 공급된 조면화 필름(10b)은 열풍에 의해 가열되고, 또한 스크린 드럼(24)의 내측으로부터의 흡인압에 의해 성형 구멍(24a) 내로 흡인되고, 개공(11) 및 액 도입관(12)이 형성되어, 투액성 필름(10A, 10B)이 얻어진다.
또, 먼저 필름에 개공(11) 및 액 도입관(12)을 형성한 후에, 상기 조면화 롤(22, 23)에 의해 필름 표면을 조면화하여도 좋다.
또한, 도 6에 있어서, 제2단의 조면화 롤(23)을 제거하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래치(14) 만이 형성된 투액성 필름(10A)을 얻을 수 있으며, 도 6에 있어서, 제1단의 조면화 롤(22)을 제거하면, 표면에 함몰부(15) 만을 갖는 투액성 필름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단의 조면화 롤(22)로서 표면이 체크 무늬형으로 거칠게 되어 있는 경질 금속의 롤을 이용하여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투액성 필름은, 상기 스크린 드럼(24)에 의해 테이퍼 형상의 액 도입관(12)을 형성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엠보스 롤을 필름에 세게 누르고, 필름에 엠보스를 가압하여 개공 및 액 도입관을 형성하여도 좋다. 또는 필름에 미세한 슬릿을 형성한 다음에 필름을 횡방향(CD)으로 폭을 넓게 하고, 네트형으로 형성하여 다수의 눈을 개공시켜 액 투과로를 형성하는 것이어도 좋다.
또, 상기 스크래치(14) 및/또는 상기 함몰부(15)는, 도 1에 도시하는 생리용 냅킨(1)의 표면 시트(4)의 중앙 영역{폭(W2)}에만 형성하거나, 또는 액 흡수 영역{폭(W1)}에만 형성하고, 비흡수 영역(W3)에 형성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도 2와 도 4에 도시하는 스크래치(14)는 롤로 형성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표면에 다수의 돌기를 갖는 평면적인 샌드페이퍼 등을 이용하고, 필름 표면을 평면적으로 여러 방향으로 인열시키므로써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스크래치(14)는 임의의 방향을 향해서 형성되거나, 또는 지그재그형이나 곡선형으로 스크래치(14)가 형성되는 것도 있다.
또한 상기 투액성 필름은 생리용 냅킨뿐만 아니라, 일회용 기저귀 또는 소변 흡수 패드, 나아가서는 팬티 라이너의 표면재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에 이용되는 투액성 필름은, 필름 표면을 개질하고 있기 때문에, 피부에 대한 촉감이 부드럽고, 또한 증기의 체류를 억제하여, 피부에 달라붙는 감촉이 적은 것으로 할 수 있다.

Claims (14)

  1. 액 흡수층을 갖는 흡수성 물품의 수액측에 설치되는 투액성 필름에 있어서,
    다수의 액 투과로가 관통하여 형성된 필름의 표면에 상기 표면이 인열되므로써 형성된 미세한 수지편이 복수 개 돌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필름의 표면에 다수의 함몰부가 점재(點在)하고 있으며, 상기 함몰부의 가장자리부의 적어도 일부에서 수지가 필름 표면으로부터 융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액성 필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의 가장자리부에서는, 상기 함몰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도록 상기 수지가 융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액성 필름.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이 인열되는 방향이 주로 제품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액성 필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이 인열되는 방향이 제품의 각 방향으로 랜덤하게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액성 필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이 인열되므로써, 상기 표면에서는, 수지가 얇은 막형, 미세한 돌기형, 또는 미세 섬유형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액성 필름.
  8.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수지와 필러와의 혼합체로 형성되고, 상기 필러의 일부가 상기 필름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액성 필름.
  9.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수지와 필러와의 혼합체로 형성되고, 상기 함몰부에는 상기 필러가 필름 표면으로부터 이탈하여 형성된 것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액성 필름.
  10. 액 흡수층을 갖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액 흡수층을 덮는 영역의 표면에 제1항 또는 제3항에 기재된 투액성 필름이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11. 액 흡수층을 갖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액 흡수층을 덮는 영역의 양측부에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표면측으로 기립 가능한 벽부가 마련되고, 상기 벽부의 적어도 표면이 제1항 또는 제3항에 기재된 투액성 필름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12. 삭제
  13. 수지와 필러와의 혼합체로 필름을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필름의 표면에 다수의 돌기를 미끄럼 이동시켜, 상기 필름의 표면에 함몰부를 점재시킴과 동시에, 상기 함몰부의 가장자리부에 수지를 융기시키는 단계와,
    상기 함몰부를 형성하는 단계 전 또는 후에서, 상기 필름에 다수의 액 투과로를 관통시키는 단계,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액성 필름의 제조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의 표면에 돌기를 미끄럼 이동시킬 때에, 필름의 표면으로 돌출하는 상기 필러를 박리시키므로써 상기 함몰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액성 필름의 제조 방법.
KR1020010060646A 2000-09-29 2001-09-28 흡수성 물품용의 투액성 필름, 상기 투액성 필름을 이용한흡수성 물품, 및 상기 투액성 필름의 제조 방법 KR1007987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299293A JP3710370B2 (ja) 2000-09-29 2000-09-29 吸収性物品用の透液性フィルム、前記透液性フィルムを用いた吸収性物品、および前記透液性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JP-P-2000-00299293 2000-09-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5825A KR20020025825A (ko) 2002-04-04
KR100798709B1 true KR100798709B1 (ko) 2008-01-28

Family

ID=18781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0646A KR100798709B1 (ko) 2000-09-29 2001-09-28 흡수성 물품용의 투액성 필름, 상기 투액성 필름을 이용한흡수성 물품, 및 상기 투액성 필름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710370B2 (ko)
KR (1) KR100798709B1 (ko)
CN (1) CN1184941C (ko)
TW (1) TW521619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11286B (zh) * 2016-05-31 2021-06-25 花王株式会社 吸收性物品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5144A (ja) * 1999-02-05 2000-08-15 Uni Charm Corp 使い捨て着用物品の可撓性シー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5144A (ja) * 1999-02-05 2000-08-15 Uni Charm Corp 使い捨て着用物品の可撓性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521619U (en) 2003-02-21
JP2002103498A (ja) 2002-04-09
JP3710370B2 (ja) 2005-10-26
CN1184941C (zh) 2005-01-19
KR20020025825A (ko) 2002-04-04
CN1358491A (zh) 2002-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61507B2 (ja) 体液吸収性物品の表面シート、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装置
KR100775398B1 (ko)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와 그 제조 방법
KR100791866B1 (ko) 흡수성 물품
KR100789789B1 (ko) 흡수성 물품
US7589249B2 (en) Multiple zone apertured web
CN1768720B (zh) 多区域多孔幅材
EP1401642B1 (en) Laminate made of fibrous layers
KR0124762Y1 (ko) 체액 흡수성 물품용 투액성 복합 부직포
AU2009219579A1 (en) Absorptive article
JP2002153510A (ja) 吸収性物品
WO2005120411A1 (ja) 吸収性物品
TW200418437A (en) Absorptive composite sheet and absorptive article using this sheet
KR20010062580A (ko) 개공 표면 시트를 사용한 흡수성 부품
JP5024833B2 (ja) 立体模様を有する不織布シート
US20010026861A1 (en) Flexible composite sheet
JP6479389B2 (ja) 吸収性物品
KR100798709B1 (ko) 흡수성 물품용의 투액성 필름, 상기 투액성 필름을 이용한흡수성 물품, 및 상기 투액성 필름의 제조 방법
JP2003070841A (ja) 吸収性物品
US7919169B2 (en) Laminate made of fibrous layers for use in absorbent articles
JP4693515B2 (ja) 吸収性物品用の透液性フィルム、前記透液性フィルムを用いた吸収性物品、および前記透液性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100764579B1 (ko) 개공 필름을 갖는 흡수성 물품
JP2002102285A (ja) 開孔フィルムを有する吸収性物品
AU2002306292B2 (en) Laminate made of fibrous layers
JPH03186260A (ja) 吸収性物品
AU2002306292A1 (en) Laminate made of fibrous lay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