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4579B1 - 개공 필름을 갖는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개공 필름을 갖는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4579B1
KR100764579B1 KR1020010059895A KR20010059895A KR100764579B1 KR 100764579 B1 KR100764579 B1 KR 100764579B1 KR 1020010059895 A KR1020010059895 A KR 1020010059895A KR 20010059895 A KR20010059895 A KR 20010059895A KR 100764579 B1 KR100764579 B1 KR 1007645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film
stretched
unstretched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9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5044A (ko
Inventor
미즈타니사토시
오타아키코
노다유키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25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50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4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45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2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apertures, e.g. perfo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20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3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수지에 충전재를 혼합한 필름을 연신하여 필름 내부에 증기를 투과시키는 셀을 형성하고, 추가로 개공을 형성한 개공 필름은 상기 셀에 의해 필름 강도가 저하되고 있기 때문에, 개공이 찌부러지거나, 개공과 개공 사이의 리브부가 분단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내부에 충전재(13)를 혼합한 수지로 필름을 형성한다. 필름에는 연신 영역(14)과, 저연신 또는 미연신 영역(15)을 형성한다. 연신 영역(14)에서는 필름내에 다수의 셀(16)이 형성되어 증기 투과도가 높아진다. 또한, 저연신 또는 미연신 영역(15)은 강도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개공을 형성했을 때에, 개공이 쉽게 찌부러지지 않게 된다.

Description

개공 필름을 갖는 흡수성 물품{ABSORBENT ARTICLES CONTAINING OPENING FILM}
도 1은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단면도.
도 2는 제1 실시 형태의 개공 필름 제조 공정의 설명도.
도 3은 닙 롤의 확대도.
도 4는 스크린 드럼의 확대도.
도 5는 부분 연신 필름의 확대 평면도.
도 6은 제1 실시 형태의 개공 필름의 확대 평면도.
도 7은 도 5의 VII-VII선의 확대 단면도.
도 8은 제2 실시 형태의 개공 필름의 확대 평면도.
도 9는 제3 실시 형태의 개공 필름의 제조 공정의 설명도.
도 10은 니들링 롤의 확대도.
도 11의 (A), (B)는 제3 실시 형태의 개공 필름의 부분 확대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생리대
2 : 이면 시트
3 : 흡수성 코어
4 : 표면 시트
5 : 사이드 시트
6 : 샘 방지벽
7 : 탄성부재
10, 10A, 10B, 10C : 개공 필름
11 : 개공
12 : 도액관
13 : 충전재
14, 14a, 14b : 연신 영역
15 : 저연신 또는 미연신 영역
16 : 셀
18 : 리브부
19a, 19b : 융기부
본 발명은 생리대나 일회용 기저귀, 소변 수거 패드, 팬티라이너 등의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액 수용측에 개공 필름이 설치된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생리대나 일회용 기저귀의 액 수용측 표면재로서 개공 필름이 이용되고 있는 것이 있다.
이러한 종류의 개공 필름의 제조 공정은 표면에 다수의 구멍을 갖는 스크린 드럼에 올레핀계 등의 수지 필름을 공급하여 열풍에 의해 수지를 연화시키는 동시에 스크린 드럼 내부의 흡인압에 의해 상기 수지 필름에 상기 드럼 구멍에 대응한 구멍을 형성하고, 동시에 개공 주위를 필름의 한쪽 측으로 돌출시켜 도액관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개공 필름의 표면에 증기가 쉽게 체류하지 못하도록, 미리 수지 필름내의 무기 미립자 등의 충전재를 혼합해 두고, 이 수지 필름을 1축 연신하거나 또는 2축 연신하고 있다. 이 연신 공정에 의해 필름내에서 수지와 상기 충전재와의 경계부를 분리하면서 필름내에 크랙이 생기게 하고, 필름에 다수의 셀(미소 공극)을 발생시키고 있다. 상기 셀을 설치함으로써, 필름의 증기 통과성이 양호해지고, 흡수성 물품의 표면에서의 증기 체류를 저감시켜 장착자의 짓무름감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개공 필름은 개공의 주위 부분인 상기 도액관이나, 개공과 개공의 중간에 위치하는 리브부에 상기 셀이 되는 공극이나 크랙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도액관이나 상기 리브부의 강도가 저하되고 있다. 그 때문에, 장착자의 피부와의 접촉 압력이나 피부와의 마찰력에 의해 상기 도액관이 눌려 찌부러져 개공이 수지로 막혀 개공 필름의 액 투과성이 저하된다. 혹은 상기 리브부가 분단되어 개공끼리 필름의 파단부에 의해 연결되면, 흡수성 코어에 흡수된 액이 개구 필 름의 표면으로 되돌아가기 쉬워진다.
또한, 이전의 공정으로 충전재가 혼합된 수지 필름을 연신하여 상기 셀을 형성하고, 그 후의 공정으로 상기 스크린 드럼에 의해 수지 필름에 개공을 형성하는 경우에, 스크린 드럼에 공급되는 수지 필름의 강도가 저하되고 있기 때문에, 안정된 형상의 개공을 형성하기가 어렵게 된다. 그 때문에, 각각의 개공 면적이 다르거나, 개공과 개공 사이의 리브부가 스크린 드럼에서의 흡인 압력에 의해 분단될 우려도 있다.
또한, 상기 셀이 형성된 필름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서 필름의 평량(坪量)을 증가시키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필름의 평량을 증가시키면, 상기 스크린 드럼의 흡인압으로 개공을 형성하기가 어려워져서 이것에 의해서도 개공의 안정된 성형이 곤란해지기 쉽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서, 내구성이 우수하고, 또한 성형성이 우수하면서 증기의 체류를 저감할 수 있는 개공 필름을 이용한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액 흡수층을 덮는 영역의 표면에, 합성수지 필름에 다수의 개공이 형성된 개공 필름이 설치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개공 필름에는 입자 상태의 충전재가 포함되고, 상기 개공 필름에는 부분적으로 연신된 연신 영역과, 상기 연신 영역보다도 연신량이 적은 저연신 영역 또는 연신되어 있지 않은 미연신 영역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다.
또는, 본 발명은 액 흡수층을 덮는 영역의 양측부에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표면측으로 기립 가능한 벽부가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벽부의 적어도 표면은 합성수지 필름에 다수의 개공이 형성된 개공 필름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공 필름에는 입자 상태의 충전재가 포함되며, 상기 개공 필름에는 부분적으로 연신된 연신 영역과, 상기 연신 영역보다도 연신량이 적은 저연신 영역 또는 연신되어 있지 않은 미연신 영역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개공 필름의 개공 주연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저연신 영역 또는 미연신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연신 영역은 띠 형상으로서, 상기 연신 영역과, 상기 저연신 영역 또는 상기 미연신 영역이 번갈아 위치하도록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는, 상기 연신 영역은 띠 형상으로서,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교차하는 상기 연신 영역에 둘러싸인 부분이 상기 저연신 영역 또는 상기 미연신 영역으로 되어 있다.
혹은, 상기 필름의 한쪽 면에서 융기하는 융기부가 규칙적으로 또는 불규칙하게 배치되어 있고, 이 융기부가 상기 연신 영역으로 되어 있는 것이어도 좋다. 이 경우, 상기 융기부는 상기 개공 필름의 표면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상기 개공 필름의 개공 주위에는 상기 액 흡수층측으로 돌출되는 도액 관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도액관의 일부가 상기 표면측으로 돌출되는 융기부로 되어 있는 것이어도 좋다.
혹은, 상기 액 흡수층을 덮는 영역 또는 액 흡수층의 중앙부를 덮는 영역에 상기 연신 영역이 배치되어 있지 않고, 상기 액 흡수층의 상기 중앙부로부터 외측을 덮는 영역 또는 액 흡수층에서 떨어진 비흡수 영역에 상기 연신 영역이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연신 영역에서는, 필름내에 필름을 형성하는 수지와 상기 충전재 사이가 분리된 셀이 형성되어 상기 저연신 영역 또는 상기 미연신 영역보다도 증기 통과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예컨대, 상기 충전재의 평균 입자 지름이 0.5∼30 μm이고, 상기 충전재가 필름에 대하여 20∼70 질량%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개공 필름에 연신 영역과, 저연신 영역 또는 미연신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신 영역에는 다수의 셀이 형성되기 때문에, 이 영역에서 증기 투과도가 높아져서 필름 표면에서의 증기 체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저연신 영역 또는 미연신 영역에서는, 필름의 내구성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에, 개공의 보형성이 우수하고, 또한 개공의 성형성도 안정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일례로서 생리대를 세로 방향으로 이분하는 중앙의 절단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생리대(1)는 액 불투과성 이면 시트(2)의 상면 중앙 영역에 흡수성 코어(3)가 설치되어 있고, 이 흡수성 코어(3)의 표면이 표면 시트(4)에 의 해 덮여 있다. 생리대(1)의 액 수용측 표면의 좌우 양측부에는 사이드 시트(5, 5)가 설치되어 있다. 이 사이드 시트(5, 5)는 좌우 양측부에 있어서 상기 이면 시트(2)와 접합되어 있고, 추가로 흡수성 코어(3)의 좌우 외측에서 절곡되어 샘 방지벽(6, 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샘 방지벽(6, 6)을 구성하기 위해 2번 접힌 상기 사이드 시트(5, 5)는 상기 표면 시트(4)의 좌우 양측부의 상면에 접합되어 있다.
상기 샘 방지벽(6, 6)에는 각각 세로 방향(Y 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부재(7)가 접합되어 있다. 이 탄성부재(7)의 수축력에 의해 생리대(1)는 세로 방향으로 향하여 만곡 형상을 이루고, 그 결과, 샘 방지벽(6)은 생리대(1)의 액 수용측 표면으로부터 기립할 수 있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생리대(1)는 상기 흡수성 코어(3)가 설치되어 있는 폭 W1의 영역이 흡수 영역, 상기 흡수성 코어(3)의 좌우 양측부보다도 소정 치수 내측에 위치하고 있는 폭 W2의 영역이 중앙 영역, 상기 흡수성 코어(3)의 좌우 양측부보다도 외측으로서, 표면 시트(4)의 좌우 양측부까지의 폭 W3의 영역이 비흡수 영역이다.
그리고, 상기 생리대(1)의 상기 표면 시트(4) 또는 상기 사이드 시트(5)의 적어도 샘 방지벽(6)을 형성하고 있는 부분이 이하에 설명하는 개공 필름(10)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혹은 표면 시트(4)와 상기 샘 방지벽(6)을 형성하고 있는 부분의 쌍방이 개공 필름(10)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이면 시트(2)는 통기성 수지 필름이나, 소수성 부직포, 바람직하게는 발수 처리된 스펀 본드, 포인트 본드, 멜트 블로, 서멀 본드 등의 부직포로 형 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흡수성 코어(3)는 펄프 등의 흡수성 소재와 고흡수성 수지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사이드 시트(5)는 상기 개공 필름(10)으로 형성되지 않는 경우에는 소수성 부직포, 바람직하게는 발수 처리된 부직포로 형성된다.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개공 필름(10)의 제조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연신 영역과, 저연신 영역 또는 미연신 영역이 형성된 부분 연신 필름의 일부를 평면도로 나타내며, 도 6은 개공 필름의 일부를 평면도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7은 도 5의 VII-VII선의 단면 확대도이다.
도 6에 도시된 개공 필름(10)은 그 X 방향이 부분 연신 처리나 개공 처리를 행할 때의 유동 방향(MD)이어도 좋고, 상기 X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 상기 유동 방향(MD)이어도 좋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생리대(1)에 사용된 경우에, 상기 X 방향이 생리대(1)의 세로 방향(Y 방향)과 일치하고 있어도 좋고, 상기 X 방향이 상기 세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설치되어도 좋다.
상기 개공 필름(10)에는 다수의 개공(11)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개공(11)은 규칙적 또는 불규칙하게 배열하여 형성된 것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공(11) 주위에는 필름의 하면 방향으로 돌출되는 도액관(1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도액관(12)의 개구단(12a)은 흡수성 코어(3)측으로 향해져 있다.
상기 도액관(12)의 필름 표리 방향의 높이는 0.3∼1.0 mm이며, 이 범위라면, 흡수성 코어(3)에 흡수된 액체가 필름 표면으로 되돌아가는 것을 방지하기 쉽다. 또한, 개개의 개공(11)의 면적은 0.125∼1.766 mm2 범위이고, 개공 필름(10)의 개공(11) 점유 면적율은 25∼70%가 바람직하며, 40∼65%가 더 바람직하다. 개개의 개공(11) 면적이 상기 범위이면서 점유 면적율이 상기 범위라면, 필름 표면에 부여된 액체를 흡수성 코어(3)에 투과시키기 쉬워지고, 또한 흡수성 코어(3)에 흡수된 액체가 필름 표면으로 되돌아가는 것을 방지하기 쉽다.
상기 개공 필름(10)은 올레핀계 수지로 형성되어 있고, 에틸렌, 프로필렌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중에서 선택된 것 혹은 그 혼합물이다. 예컨대 상기 올레핀계 수지는 LDPE(저밀도 폴리에틸렌), LLDPE(초저밀도 폴리에틸렌), HDPE(고밀도 폴리에틸렌) 혹은 이들의 혼합물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올레핀계 수지의 밀도는 0.88∼0.930 g/cm3이다. 또한, 스크린 드럼으로 개공(11)을 안정되게 성형할 수 있기 위한 최적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는 4∼20 g/10분이 바람직하다.
도 7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공 필름(10)에는 다수의 충전재(13)가 혼합되어 있다. 이 충전재(13)는 탄산칼슘, 황산바륨, 인산칼슘, 탈크, 실리카, 혹은 활성탄 등의 광물 또는 합성 광물 중에서 선택된 무기 충전재, 또는 천연 셀룰로오스나 재생 셀룰로오스 등의 미분말이다. 이 충전재(13)는 불용성이며, 수지를 용융 압출하여 필름을 성형할 때의 용융 온도에 의해 수지내에서 용융 또는 연화하지 않는 것이 사용된다.
이 개공 필름(10)에는 연신 영역(14)과, 저연신 또는 미연신 영역(15)이 설치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연신 영역(14)과, 저연신 또는 미연신 영역(15)이 모두 띠 형상으로, 또한 모두 평행하게 번갈아 위치하고 있다.
도 6에 도시된 것에서는, 상기 연신 영역(14)에 있어서, 필름이 X 방향으로 1.2∼4배로 연신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저연신 또는 미연신 영역(15)은 미연신, 또는 연신 배율이 상기 연신 영역(14)보다도 낮게, 예컨대 연신 배율이 1.1 이하로 되어 있다.
상기 연신 영역(14)에서는, 필름이 연신되어 있기 때문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지와 충전재(13)와의 경계부가 박리되고, 또한 이것에 기인하여 크랙이 형성되며, 필름내에 다수의 셀(미소 공극: 1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저연신 또는 미연신 영역(15)에는 상기 셀(16)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또는 상기 셀(16)이 형성되어 있었다고 해도 그 필름내에서의 셀(16)의 점유율이 상기 연신 영역(14)보다도 충분히 작게 되어 있다.
연신 영역(14)에 다수의 셀(16)이 형성되어 있는 결과, 상기 연신 영역(14)의 증기 투과도가 저연신 또는 미연신 영역(15)보다도 높아지고 있다. 연신 영역(14)에 있어서 증기 투과도가 높아지고 있지만, 한편에 있어서, 저연신 또는 미연신 영역(15)에서는 상기 셀(16)이 많이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그 영역의 필름 강도가 높고, 따라서 개공 필름(10) 전체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공(11)의 주위 부분, 즉, 상기 도액관(12)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저연신 또는 미연신 영역(15)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개공(11) 및 도액관(12)의 보형성이 우수하여 장착자에게 장착했을 때의 피부의 압력으로 도액관(12)이 쉽게 찌부러지지 않게 된다. 또한, 피부와의 마찰에 의해 개공(11)과 개공(11)과의 중간 리브부(18)에 파단 이 쉽게 생기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신 영역(14)에서 증기 투과도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에, 개공 시트(10) 전체에서의 증기 투과도가 높아진다. 개공 시트(10)의 표면에서의 증기의 체류를 방지하고, 장착자의 짓무름감을 저감하기 위해 개공 시트(10)의 개공(11)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비개공 영역에서의 증기 투과도는 40℃, 상대 습도 60%일 때에, 1000∼4000 g/m2/24 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증기 투과도를 얻을 수 있고, 추가로 개공(11)을 형성할 때의 필름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개개의 연신 영역(14)의 폭 치수가 0.05∼2 mm인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미연신 영역(15)의 폭 치수는 3∼20 mm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연신 영역(14)의 면적율은 5∼3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신 영역(14)에 셀(16)을 형성하여 증기 투과도를 높이기 위해 상기 충전재(13)의 평균 입자 지름이 0.5∼30 μm인 것이 바람직하고, 0.5∼15 μm가 더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5∼10 μm이다. 또한, 개공 필름(10)에 상기 충전재가 20∼70 질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0∼60 질량%이다.
또한, 개공 필름(10)을 백색화하여 흡수성 코어(3)에 흡수된 월경혈 등의 색을 은폐하기 위해 염료 물질을 포함시킬 수 있다. 이 염료 물질의 평균 입자 지름은 0.1∼0.5 μm이며, 그 함유량은 2∼7 질량%이다. 또한, 개공 필름(10)의 전체 평량은 개공(11)의 성형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 20∼60 g/m2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5∼40 g/m2이다.
도 6에 도시된 개공 필름(10)으로서, 도 1에 도시된 생리대(1)의 표면 시트(4) 및/또는 샘 방지벽(6)을 형성하면, 연신 영역(14)을 구비함으로써 그 표면의 증기의 체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저연신 또는 미연신 영역(15)에서는, 필름의 내구성과 강도가 높기 때문에, 이 저연신 또는 미연신 영역(15)에 의해 그 일부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도액관(12)이 찌부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리브부(18)의 파단도 쉽게 생기지 않게 된다.
도 2는 상기 개공 필름(10)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공정에서는, 수지 재료의 용융 압출기 및 성형 다이를 갖는 필름 성형부(21)에 의해 올레핀계 수지 등에 의한 필름(10a)이 형성된다.
상기 필름(10a)은 닙 롤(22)과 닙 롤(23) 사이에서 끼워져 가압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쪽 닙 롤(22)에는 도 5와 도 6의 연신 영역(14)의 패턴에 대응하는 볼록부(22a)가 형성되고, 다른 쪽 닙 롤(23)에는 상기 볼록부(22a)에 대응하는 오목부(23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필름(10a)이 상기 닙 롤(22)과 닙 롤(23)로 끼워져 가압될 때에, 닙 롤(22)과 닙 롤(23)에는 필름(10a)을 연화시키기 위한 60∼120℃의 예열이 가해지고 있다. 상기 협압(挾壓)의 결과, 상기 볼록부(22a)와 오목부(23a)로 끼워진 부분에서 필름(10a)이 부분적으로 연신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신 영역(14)과 저연신 또는 미연신 영역(15)이 교대로 형성된 부분 연신 필름(10b)이 형성된다.
다음에, 상기 부분 연신 필름(10b)이 스크린 드럼(24)에 공급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린 드럼(24)에는 개공(11)의 배치 패턴에 대응하는 성형 구멍(24a)이 형성되어 있다. 스크린 드럼(24) 주위에 공급된 부분 연신 필름(10b)은 열풍에 의해 가열되고, 또한 스크린 드럼(24) 내부로부터의 흡인압에 의해 부분 연신 필름(10b)이 성형 구멍(24a)내로 흡인되어 개공(11) 및 도액관(12)이 형성되며, 도 6에 도시된 개공 필름(10)이 형성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개공 필름(10A)을 나타내고 있다. 이 개공 필름(10A)에서는, 띠 형상의 연신 영역(14a, 14b)이 크로스형으로 교차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신 영역(14a, 14b)으로 둘러싸인 부분이 저연신 또는 미연신 영역(15)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개공(11) 주위 부분 즉, 도액관(12)의 적어도 일부가 저연신 또는 미연신 영역(15)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개공(11)의 형상은 안정되고, 장착자의 피부의 압력으로 도액관(12)이 찌부러지거나, 개공(11)이 찌부러지는 일이 쉽게 일어나지 않는다.
도 8에 도시된 실시 형태의 개공 필름(10A)은 상기 닙 롤(22)의 볼록부(22a)와, 닙 롤(23)의 오목부(23a)를 롤의 축 방향과 원주 방향으로 소정폭에 의해 크로스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도 11의 (A), (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개공 시트(10B, 10C)를 나타내고 있다.
도 11의 (A)에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는, 개공 필름(10B)의 개공(11) 이외의 리브부(18)에 도액관(12)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융기부(19a)가 형성되어 있고, 이 융기부(19a)가 필름의 연신 영역이 되며, 상기 융기부(19a)가 형성되어 있 지 않은 도액관(12) 및 리브부(18)가 저연신 또는 미연신 영역으로 되어 있다. 도 11의 (A)에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융기부(19a)에 있어서 필름이 연신되어 있기 때문에, 융기부(19a)의 필름내에서 충전재(13)와 수지가 분리되고, 또한 이것을 계기로서 크랙이 발생하여 다수의 셀(16)이 형성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융기부(19a)에 있어서 증기 투과도가 높아진다.
도 11의 (B)에 도시된 개공 필름(10C)에서는, 융기부(19b)가 표면 방향, 즉, 도액관(12)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이 융기부(19b)는 개공(11)과 개공(11) 사이의 리브부(18)뿐만 아니라, 도액관(12)의 일부로부터도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이 융기부(19b)가 연신 영역이 되어 다수의 셀(16)이 형성되고, 융기부(19b) 부분에서 증기 투과도가 높아지고 있다.
도 11의 (B)에 도시된 것에서는, 융기부(19b)가 장착자의 피부측으로 돌출되지만, 이 융기부(19b)는 셀(16)을 갖는 연질의 것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피부에 부드러운 융기부(19b)가 작은 면적으로 맞닿게 되어 피부에의 접촉을 부드럽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11의 (A), (B)에 도시된 융기부(19a, 19b)의 선단부를 개구시켜 이들 융기부(19a, 19b)를 도액관으로서 기능시켜도 좋다.
도 9와 도 10은 도 11의 (A)에 도시된 개공 필름(10B)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 성형부(21)에 의해 성형된 필름(10a)이 먼저 스크린 드럼(24)으로 이송되어 다수의 개공(11) 및 도액관(12)이 형성된 개공 필름(10d)이 얻어진다. 그 후에, 니들링 롤(25)로 이송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니들링 롤(25)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돌기(25a)가 형성되고, 이 돌기(25a)는 선단으로 향함에 따라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니들링 롤(25)에는 60∼120℃의 예열이 가해지고 있다.
개공(11)이 형성된 개공 필름(10d)은 니들링 롤(25)의 돌기(25a)에 의해 가압되어 필름에 내부 왜곡과 내부 응력이 발생하며, 연신되어 융기부(19a)가 형성된다. 이 때, 충전재(13)와 수지의 계면이 분리되고, 이것을 계기로서 크랙이 가해져 융기부(19a: 19b도 마찬가지임)에 셀(16)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연신 영역을 각종 형상 및 영역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생리대(1)의 표면 시트(4)에 있어서, 폭 W2의 중앙 영역 또는 폭치수 W1의 흡수 영역에 연신 영역을 설치하지 않고, 이 부분의 필름을 저연신 또는 미연신 영역(15)으로 하고, 개공(11)의 보형성을 유지하며, 상기 중앙 영역보다도 외주 부분, 또는 상기 흡수 영역보다도 외주 부분의 폭치수 W3의 비흡수 영역의 전면 또는 일부를 연신 영역으로 하여, 이 부분에서 증기의 체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개공(11)의 도액관(12)의 외주 부분에 링형의 연신 영역을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개공 필름은 생리대뿐만 아니라, 일회용 기저귀 또는 소변 수거 패드, 나아가서는 팬티라이너의 표면재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밀도 0.915 g/cm3의 LLDPE를 40 질량%, 충전재로서 평균 입자 지름 3 μm의 탄산칼슘을 60 질량% 혼합한 재료를 이용하고, 용융 압출기 및 다이를 이용하여 평 량 35 g/m2의 필름을 얻었다.
그 후에, 롤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폭 0.1 mm의 볼록부와 오목부 및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폭 0.25 mm의 볼록부와 오목부를 구비하고, 볼록부의 점유 면적이 14%의 닙 롤에 80℃의 예열을 가하여 롤 압 49 N으로 상기 필름을 부분적으로 연신하였다.
이 부분 연신 필름 전체의 증기 투과도는 2573 g/m2/24 시간이었다. 또한, 폭 1인치당 필름을 속도 100 mm/분으로 인장했을 때의 세로 방향(MD)의 파단 강도는 10.9 N, 가로 방향(MD)의 파단 강도는 6.3 N이었다.
상기 부분 연신 필름을 스크린 드럼으로 이송하고, 열풍 200℃로 예열한 후에 흡인압에 의해 흡인하여 개공의 면적율이 61%, 도액관의 높이 치수가 0.42 mm인 도 8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형상의 개공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개공 필름을 1인치 폭으로 속도 100 mm/분으로 인장했을 때의 세로 방향(MD)의 파단 강도는 7.4 N, 가로 방향(MD)의 파단 강도는 2.0 N이었다. 또한, KES 감촉 시험기로 4900 Pa의 압력을 가했을 때의 압축율은 33%이며, 피부와의 접촉압에 대한 내구성을 갖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에 이용되는 개공 필름은 증기 투과도가 높고, 또한 필름 전체의 강도와 내구성이 높다. 또한, 개공 주위의 적어도 일부를 저연신 또는 미연신 영역에 위치시키면, 도액관의 형상을 유지하기 쉬 워지고, 개공이 찌부러지거나, 또는 리브부가 분단되는 일이 없게 된다.

Claims (11)

  1. 액 흡수층을 덮는 영역의 표면에, 합성수지 필름에 다수의 개공이 형성된 개공 필름이 설치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개공 필름에는 입자 상태의 충전재가 포함되고, 상기 개공 필름에는 부분적으로 연신된 연신 영역과, 상기 연신 영역보다도 연신량이 적은 저연신 영역 또는 연신되어 있지 않은 미연신 영역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2. 액 흡수층을 덮는 영역의 양측부에,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표면측으로 기립 가능한 벽부가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벽부의 적어도 표면은 합성수지 필름에 다수의 개공이 형성된 개공 필름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공 필름에는 입자 상태의 충전재가 포함되며, 상기 개공 필름에는 부분적으로 연신된 연신 영역과, 상기 연신 영역보다도 연신량이 적은 저연신 영역 또는 연신되어 있지 않은 미연신 영역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공 필름의 개공 주연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저연신 영역 또는 미연신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신 영역은 띠 형상으로서, 상기 연신 영역과, 상기 저연신 영역 또는 상기 미연신 영역이 번갈아 위치하도록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신 영역은 띠 형상으로서,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교차하는 상기 연신 영역에 둘러싸인 부분이 상기 저연신 영역 또는 상기 미연신 영역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의 한쪽 면에서 융기하는 융기부가 규칙적으로 또는 불규칙하게 배치되어 있고, 이 융기부가 상기 연신 영역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융기부는 상기 개공 필름의 표면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개공 필름의 개공 주위에는 상기 액 흡수층측으로 돌출되는 도액관이 형성되어 있고, 이 도액관의 일부가 상기 표면측으로 돌출되는 융 기부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 흡수층을 덮는 영역 또는 액 흡수층의 중앙부를 덮는 영역에 상기 연신 영역이 배치되어 있지 않고, 상기 액 흡수층의 상기 중앙부로부터 외측을 덮는 영역 또는 액 흡수층에서 떨어진 비흡수 영역에 상기 연신 영역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신 영역에서는, 필름내에 필름을 형성하는 수지와 상기 충전재 사이가 분리된 셀이 형성되어 상기 저연신 영역 또는 상기 미연신 영역보다도 증기 통과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의 평균 입자 지름이 0.5∼30 μm이고, 상기 충전재가 필름에 대하여 20∼70 질량%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KR1020010059895A 2000-09-27 2001-09-27 개공 필름을 갖는 흡수성 물품 KR1007645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294024 2000-09-27
JP2000294024A JP3922872B2 (ja) 2000-09-27 2000-09-27 開孔フィルムを有する吸収性物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5044A KR20020025044A (ko) 2002-04-03
KR100764579B1 true KR100764579B1 (ko) 2007-10-09

Family

ID=18776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9895A KR100764579B1 (ko) 2000-09-27 2001-09-27 개공 필름을 갖는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922872B2 (ko)
KR (1) KR100764579B1 (ko)
CN (1) CN1198554C (ko)
TW (1) TW515281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4304179B2 (en) * 2013-08-09 2017-08-1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nisotropic polymeric material
JP5863890B2 (ja) * 2014-06-30 2016-02-1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2020049084A (ja) * 2018-09-28 2020-04-02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9053A (ja) * 1991-09-30 1993-04-09 Sharp Corp 携帯型情報処理装置
JPH08117271A (ja) * 1994-09-02 1996-05-14 Kao Corp 生理用ナプキン
WO2000009325A1 (en) * 1998-08-12 2000-02-2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Improved mechanically strainable composite laminated structur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9053A (ja) * 1991-09-30 1993-04-09 Sharp Corp 携帯型情報処理装置
JPH08117271A (ja) * 1994-09-02 1996-05-14 Kao Corp 生理用ナプキン
WO2000009325A1 (en) * 1998-08-12 2000-02-2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Improved mechanically strainable composite laminated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5044A (ko) 2002-04-03
CN1349790A (zh) 2002-05-22
CN1198554C (zh) 2005-04-27
JP3922872B2 (ja) 2007-05-30
JP2002102284A (ja) 2002-04-09
TW515281U (en) 2002-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5398B1 (ko)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와 그 제조 방법
KR100816241B1 (ko) 개공 시이트, 이 개공 시이트를 사용한 흡수성 물품 및상기 개공 시이트의 제조 방법
JP3061507B2 (ja) 体液吸収性物品の表面シート、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装置
KR100789789B1 (ko) 흡수성 물품
JP2514294B2 (ja) 吸収性物品用身体側カバ―
AU706472B2 (en) Absorbent products
CN100408008C (zh) 多区域多孔幅材
US7307197B2 (en) Interlabial pad having a labial-following layer
US20070073253A1 (en) Absorbent article
RU2637404C2 (ru) Нетканое полотно
KR20020034933A (ko) 일회용 착용 물품의 부직포제 표면 시트
JPH06304203A (ja) 体液吸収性物品の表面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10512493A (ja) 高吸引及び高容量を示す吸収性製品用液体分配部材
JPH04187146A (ja) 吸収性物品の表面シート
SK160698A3 (en) Absorbent structure, and production of absorbent structure by mat formation on high-loft material
JP3875595B2 (ja) 吸水性構造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024833B2 (ja) 立体模様を有する不織布シート
KR100764579B1 (ko) 개공 필름을 갖는 흡수성 물품
JP4167389B2 (ja) 吸収性物品およびその製造装置
CN113545917B (zh) 一种抑菌快吸吸收用品及其制造方法
JP2809480B2 (ja) 吸収性物品の表面シート
KR100798709B1 (ko) 흡수성 물품용의 투액성 필름, 상기 투액성 필름을 이용한흡수성 물품, 및 상기 투액성 필름의 제조 방법
KR20020025821A (ko) 개공 필름을 갖는 흡수성 물품
JP2004538021A (ja) 開放毛管及び閉鎖毛管を持つ立体的弾性ポリマーフィルム並びにこのフィルムを含む改良バックシートを持つ吸収物品
JP2005296673A (ja) 吸収性物品用の透液性フィルム、前記透液性フィルムを用いた吸収性物品、および前記透液性フィルム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