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8011B1 - 광 커넥터 - Google Patents

광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8011B1
KR100798011B1 KR1020060098346A KR20060098346A KR100798011B1 KR 100798011 B1 KR100798011 B1 KR 100798011B1 KR 1020060098346 A KR1020060098346 A KR 1020060098346A KR 20060098346 A KR20060098346 A KR 20060098346A KR 100798011 B1 KR100798011 B1 KR 1007980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rule
optical cable
optical
connecto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8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0810A (ko
Inventor
요시히사 우에다
도시미치 이와모리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80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08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8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80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9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the light guide being disconnectable from the opto-electronic element, e.g. mutually self align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87Anchoring optical cables to connector housings, e.g. strain relief features
    • G02B6/3888Protection from over-extension or over-compress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9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astening connecting plugs and sockets, e.g. screw- or nut-lock, snap-in, bayonet type
    • G02B6/3894Screw-lock type

Abstract

본 발명은 접속의 신뢰성을 높인 광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대측 커넥터(51)에 끼워 맞춤으로써 광접속을 실시하는 광 커넥터(1)에 있어서, 광케이블(10)과, 광케이블(10)의 일단에 부착되며, 상대측 커넥터(51)와 끼워 맞춤으로써 광케이블(10)을 상대측 커넥터(51)와 광학적으로 접속시키는 페룰(ferrule)(20)과, 광케이블(10)을 관통시킨 관통 구멍(313)이 형성되며, 상대측 커넥터(51)와 끼워 맞춰진 상태의 페룰(20)을 이 페룰로부터 이격되게 덮는 커버(30)와, 커버(30)의 관통 구멍(313)이 형성된 저부(314)의 내측에 위치하여, 광케이블(10)에 가해진 인장력(F)의 페룰로의 전달을 저지하는 스토퍼(4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광케이블, 페룰, 커버, 제거 방지부, 관통 구멍

Description

광 커넥터{OPTICAL CONNECTOR}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광 커넥터의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광 커넥터로부터 광케이블을 인출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커넥터가 전자 기기에 부착된 상대측 커넥터에 접속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광 커넥터의 단면도.
도 5는 도 4에 나타낸 커넥터가 전자 기기에 부착된 상대측 커넥터에 접속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광 커넥터 10···광케이블
11···광케이블의 일단 20···페룰
30···커버 31···커버 벽(벽)
313···관통 구멍 314···저부
40···스토퍼(저지부) 51···상대측 커넥터
60···스토퍼(저지부) 61···스토퍼 본체(가압 부재)
62···탄성 부재 L···케이블 길이
d···직선거리 F1, F2···인장력
본 발명은 상대측 커넥터에 끼워 맞춤으로써 광접속을 실시하는 광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복수의 전자 기기끼리를 광케이블로 접속하고, 이들 전자 기기 사이에서 광신호에 의해 통신을 행하는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광케이블과 전자 기기의 접속은, 통상, 전자 기기 및 광케이블의 각각에 설치된 광 커넥터끼리를 끼워 맞춤으로써 행해진다. 광신호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서, 광 커넥터끼리의 끼워 맞춤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하는 것은 중요하다.
여기에서, 전자 기기의 전원 케이블에 있어서는, 전원 케이블에 외력이 가해진 때에, 전원 케이블 측의 커넥터인 플러그가 전자 기기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전자 기기에 접속된 플러그를, 클램프나 나사 등으로 고정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그러나, 광신호를 전송하는 광 커넥터 및 광케이블은 유리나 수지 등의 재료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나사나 클램프 와이어 등으로 직접 체결하면 파손되기 쉽다. 또한 나사나 클램프 와이어 등의 체결이나 풀기 작업 중에, 광신호가 전송되는 전송면이 손상될 우려도 있다.
그래서, 광케이블의 접속에 있어서는, 전자 기기에 금속봉이나 판으로 이루어진 가동부를 설치하고, 광케이블이 접속된 후, 가동부를 커넥터 부근으로 이동하여 커넥터를 낙하물 등의 장해물로부터 보호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2에는, 전자 기기 본체와 광케이블을 접속하는 커넥터의 상방에, 전자 기기 본체에 부착된 금속봉으로 이루어진 보호 수단이 제시되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에는, 전자 기기에 피봇(pivot) 장착되어, 회전해서 커넥터의 일부를 숨기는 가동보호판이 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4 및 특허문헌 5에는, 전자 기기나 접속 상자에 설치되어, 케이블을 고정함으로써 케이블에 걸리는 외력에 의한 커넥터의 빠짐을 방지하는 클램프가 제시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 2005-38785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공개특허 2000-349459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 공개특허 2001-297807호 공보
[특허문헌 4] 일본 공개특허 2000-56162호 공보
[특허문헌 5] 일본 공개특허 평9-55592호 공보
그러나, 상기의 특허문헌에 제시된 기술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기기에 접속된 커넥터는 외부에 노출된 상태가 되어 있다. 광신호를 전송하는 광 커넥터에서는, 위로부터의 낙하물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이 노출 부분에 다른 커넥터나 공구 등의 장해물이 부딪힐 정도의 충격에 의해도, 광신호의 전송 효율이 열화( 劣化)되어 접속 신뢰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접속 신뢰성을 높인 광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광 커넥터는, 상대측 커넥터에 끼워 맞춤으로써 광접속을 행하는 광 커넥터로서,
광케이블과,
상기 광케이블의 일단에 부착되며, 상기 상대측 커넥터와 끼워 맞춤으로써 이 광케이블을 이 상대측 커넥터와 광학적으로 접속시키는 페룰(ferrule)과,
상기 광케이블을 관통시킨 관통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상대측 커넥터와 끼워 맞춰진 상태의 상기 페룰을 이 페룰로부터 이격되게 덮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상기 관통 구멍이 형성된 벽의 내측에 위치해서, 상기 광케이블에 가해진 인장력의 상기 페룰로의 전달을 저지하는 제거 방지부(removal-preventing section)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광 커넥터에는 커버가 구비되어 있고, 커버는 광케이블을 관통시키고, 이 광케이블을 상대측 커넥터에 접속시킨 페룰을 이 페룰로부터 이격되게 덮고 있다. 이 때문에, 외부의 장해물이 페룰에 접촉하는 것이 방지되고, 또한 장해물이 커버에 충돌했을 때의 충격이 페룰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페룰의 끼워 맞춤 상태가 양호하게 유지되어, 접속 상태의 열화가 억제된다. 또 한, 광케이블로의 인장력이 페룰에 전달되는 것을 커버의 벽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거 방지부가 저지하기 때문에, 광케이블이 외부 기기 등에 걸리는 등의 경우, 페룰의 빠짐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상대측 커넥터와의 끼워 맞춤이 느슨해져서 전송 효율이 열화되는 것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광 커넥터의 접속 신뢰성이 높아진다.
여기서, 상기 본 발명의 광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거 방지부가 상기 광케이블에 고정되어 상기 벽에 맞닿음으로써, 상기 인장력의 상기 페룰로의 전달을 저지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거 방지부가 인장력의 전달 저지를 이 벽으로의 맞닿음에 의해 행하기 때문에, 광케이블이 관통 구멍의 위치에서의 경사나 비틀림, 또는 인장력이 걸리지 않은 상태에서의 움직임에 대하여 어느 정도의 범위에서 자유도를 갖는다. 따라서, 제거 방지부에서의 광케이블에 걸리는 기계적 스트레스가 저감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광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거 방지부가,
상기 커버의 내벽에 대해 가압되는 탄성 부재와,
상기 광케이블에 고정되어, 상기 탄성 부재로부터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페룰을 상기 상대측 커넥터에 대해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구비한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거 방지부가 구비하는 탄성 부재가 커버의 내벽에 대해 가압됨으로써, 광케이블에 가해진 인장력의 전달이 제거 방지부에서 저지될 때의 광케이블에 걸리는 기계적 스트레스가 저감된다. 또한 탄성 부재로부터의 가압력에 의해 페룰이 상대 측 커넥터에 대해 가압되기 때문에, 페룰과 상대측 커넥터의 끼워 맞춤이 보다 확실해져, 접속 신뢰성이 높아진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광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거 방지부는 상기 광케이블 중의 상기 페룰로부터의 케이블 길이가 상대측 커넥터와 끼워 맞춰진 상태의 상기 페룰로부터 이 제거 방지부까지의 직선거리보다 긴 위치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거 방지부가 설치된 위치와 페룰 사이의 케이블 길이가 직선거리보다 길기 때문에, 페룰이 상대측 커넥터와 끼워 맞춰진 상태에서는, 커버 중의, 제거 방지부가 설치된 위치와 페룰 사이에서 케이블 길이에 여유가 생겨, 광케이블이 만곡된다. 케이블 길이에 여유가 생김으로써, 페룰의 인장력 전달이 확실하게 저지된다. 또한, 탄성을 갖는 케이블에 만곡이 생기면, 광케이블의 복원력에 의해 페룰이 상대측 커넥터에 가압되므로 페룰에 의한 접속이 보다 확실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접속 신뢰성이 높아진 광 커넥터가 실현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광 커넥터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광 커넥터의 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에 나타낸 광 커넥터로부터 광케이블을 인출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광 커넥터(1)는 전자 기기 등에 부착된 상대측 커넥터에 끼워 맞춤으로써 광접속을 행하는 광 커넥터이며, 광신호를 전송하는 광케이블(10)과, 상대측 커넥터와 끼워 맞춰지는 페룰(20)과, 커버(30)와, 스토퍼(40)를 구비하고 있다.
광케이블(10)은 유리 세선(細線) 또는 플라스틱 세선을 갖는 광파이버 케이블이다. 광케이블(10)은 만곡에 대하여 어느 정도의 탄성을 갖고 있다.
페룰(20)은 수지를 사출성형함으로써 성형된 부재이다. 광케이블(10)의 일단(11)은 페룰(20)에 형성된 구멍(21)에 삽입 통과되고 있고, 광케이블(10)의 단부면(111)이 구멍(21)의 삽입 통과된 측과는 반대측의 개구에 도달하고 있다. 이렇게, 페룰(20)은 광케이블(10)의 일단(11)에 부착되어 있고, 페룰(20)이 상대측 커넥터와 끼워 맞춰짐으로써, 단부면(111)이 상대측 커넥터의 광로에 접촉하여, 광케이블(10)이 상대측 커넥터와 광학적으로 접속된다.
커버(30)는 상대측 커넥터와 끼워 맞춰진 상태의 페룰(20)을 덮는 부재이며, 커버 벽(31), 및 커버 벽(31)을 상대측 커넥터가 부착된 전자 기기에 고정하는 고정부로서의 2개의 나사(32)를 구비하고 있다. 커버 벽(31)은 수지를 사출성형함으로써 성형된 부재이며, 페룰(20)이 상대측 커넥터와 끼워 맞춰지는 방향에 개구부(311)를 갖고, 개구부(311)와는 반대측에 저부(314)를 갖는 상자 형상이다. 개구부(311)의 주위에는 가장자리부(312)가 설치되어 있고, 가장자리부(312)에는 나사(32)가 부착되어 있는다. 커버 벽(31)의 저부(314)에는, 광케이블(10)을 관통시키는 관통 구멍(313)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313)의 지름은 광케이블(10)의 외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40)는 광케이블(10)의 일부에 고정된 대략 원추 형상의 탄성 부재이다. 스토퍼(40)의 중앙에는 광케이블(10)이 관통해서 고정되어 있다. 도 2에서 는, 설명의 편의상, 광케이블(10) 중의 스토퍼(40)가 고정된 부분이 관통 구멍(313)으로부터 인출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지만, 광 커넥터(1)가 사용되는 상황에 있어서, 스토퍼(40)는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커버 벽(31)의 내측에 위치해 있다. 스토퍼(40)는 관통 구멍(313)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스토퍼(40)는 광케이블(10)에 일단(11)을 향하는 방향과는 반대 방향의 인장력(F)이 가해져도, 커버 벽(31)의 저부(314)에 맞닿아 이 인장력(F)의 페룰(20)로의 전달을 저지한다. 스토퍼(40)는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제거 방지부의 일례에 상당한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커넥터가 전자 기기에 부착된 상대측 커넥터에 접속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전자 기기(50)에는 상대측 커넥터(51)를 부착할 수 있어서, 상대측 커넥터(51)는 이 전자 기기(50) 내부에 설치된 각종 장치와 광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대측 커넥터(51)는 암형(雌型) 커넥터이며, 광 커넥터(1)는 수형(雄型) 커넥터이다. 광 커넥터(1)의 페룰(20)은 상대측 커넥터(51)에 삽입되어, 상대측 커넥터(51)와 끼워 맞춰져 있다. 이에 따라 광케이블(10)의 단부면(111)이 상대측 커넥터(51)의 광로와 접촉하고, 광케이블(10)은 상대측 커넥터(51)와 광학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광 커넥터(1)의 커버(30)는 상대측 커넥터(51)와 끼워 맞춰진 상태의 페룰(20)을 덮고, 전자 기기(50)에 나사(32)로 고정되어 있다. 커버(30)는 페룰(20)에 접촉하지 않고, 떨어진 상태에서 페룰(20)을 전면적으로 덮고 있다.
커버(30)가 페룰(20)로부터 떨어져 있음으로써, 예를 들면 광 커넥터(1) 위로 낙하하는 낙하물, 광 커넥터(1)에 인접해서 전자 기기(50)에 부착되는 다른 커넥터, 작업자의 신체, 또는 공구 등의 장해물이 커버(30)에 부딪쳐도, 페룰에 전달되는 충격이 억제된다. 또한, 커버(30)가 전자 기기(50)에 나사(32)로 고정됨으로써, 장해물이 커버(30)에 부딪쳐도, 커버(30)가 페룰(20)에 접촉하지 않는다.
스토퍼(40)는 광케이블(10) 중의 페룰(20)로부터의 케이블 길이(L)가, 상대측 커넥터(51)와 끼워 맞춰진 상태의 페룰(20)로부터 스토퍼까지의 직선거리(d)보다 긴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페룰(20)이 상대측 커넥터(51)와 끼워 맞춰진 상태에서는, 커버(30) 중에서, 스토퍼(40)가 설치된 위치(10a)와 페룰(20) 사이에서 광케이블(10)에는 여유가 생기고, 광케이블(10)이 만곡해 있다. 광케이블(10)은 만곡에 대한 탄성, 즉 복원력을 갖고 있고, 이 복원력에 의해, 광 커넥터(1)의 페룰(20)이 상대측 커넥터(51)에 대해 가압되어, 스토퍼(40)가 커버 벽(31)의 저부(314)에 맞닿는다. 이 때문에, 광케이블(10)에, 일단(11)을 향하는 방향과는 반대 방향의 인장력(F)(도 1)이 가해져도, 스토퍼(40)가 인장력(F)의 페룰(20)로의 전달을 저지한다.
본 실시예의 광 커넥터(1)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광케이블(10)을 관통시킨 커버(30)가 광케이블(10)을 상대측 커넥터(51)에 접속시킨 페룰(20)을, 페룰(20)로부터 이격되게 덮고 있다. 이 때문에, 외부의 장해물이 페룰(20)에 접촉하는 것이 방지되고, 또한, 장해물이 커버(30)에 충돌했을 때의 충격이 페룰(20)에 직접적으로 전해지지 않는다. 따라서, 페룰(20)과 상대측 커넥터(51)와의 끼워 맞 춤 상태가 양호하게 유지된다. 또한, 광케이블(10)에의 인장력(F)이 페룰(20)로 전달되는 것을 스토퍼(40)가 저지하기 때문에, 광케이블(10)이 외부 기기나 작업자 등의 신체에 걸리는 등의 경우에 있어서도, 끼워 맞춤이 느슨해져서 접속 상태가 열화하는 사태도 억제된다. 따라서 광 커넥터(1)의 상대측 커넥터와의 접속 신뢰성이 높아진다.
또한, 커버 벽(31)의 내측에 위치하는 스토퍼(40)는 인장력(F)의 전달 저지를 커버 벽(31)에의 맞닿음에 의해 행한다. 이에 따라 광케이블(10)은 관통 구멍(313)에 접착 등에 의해 고정되는 경우에 비해, 관통 구멍(313)의 위치에서의 경사, 비틀림, 및 인장력이 걸리지 않은 상태에서의 이동에 대해서 어느 정도 범위에서의 자유도를 갖는다. 따라서, 제거 방지부에서의 광케이블에 걸리는 기계적 스트레스가 저감되어, 광케이블의 파손이 억제된다. 또한, 광 커넥터(1)가 상대측 커넥터에 접속되는 때에는, 우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케이블(10) 중의 스토퍼(40)를 고정한 부분이 커버(30)로부터 페룰(20)의 방향으로 인출된 상태에서, 페룰(20)이 상대측 커넥터(51)에 끼워 맞춰지고, 그 후, 광케이블(10)이 커버(30)로부터 페룰(20)과는 반대 방향으로 인출되어, 스토퍼(40) 및 페룰(20)이 커버(30) 안에 수용되고, 커버(30)가 나사(32)로 전자 기기에 고정된다. 이렇게, 광케이블(10)이 커버(30)로부터 페룰(20)의 방향으로 인출됨으로써, 페룰(20)의 상대측 커넥터(51)에의 끼워 맞춤과, 커버(30)의 고정 공정을 독립하여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제 2 실시예 의 설명에 있어서는, 지금까지 설명한 실시예에서의 각 요소와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나타내고, 전술의 실시예와의 차이점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광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이 도면은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도 1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낸 광 커넥터(2)는 제 1 실시예의 광 커넥터(1)에의 스토퍼(40) 대신에, 스토퍼(60)를 구비하고 있다. 스토퍼(60)는 스토퍼 본체(61) 및 탄성 부재(62, 63)를 구비하고 있다. 스토퍼 본체(61)는 대략 상자형의 부재이며, 중앙에서 광케이블(10)을 고정하는 저면부(61a)와, 광케이블(10)과 평행하게 배치된 측면부(61b), 및 저면부(61a)에 대향해서 배치된 상면부(61c)를 구비하고 있다. 스토퍼 본체(61)는 저면부(61a)로부터 상면부(61c)로 광케이블(10)을 관통시키고 있다. 탄성 부재(62)는 저면부(61a)에 고정되어 있고, 탄성 부재(63)는 측면부(61b)에 고정되어, 커버(30)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스토퍼 본체(61)의 상면부(61c)는 페룰(20)의 일부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크기의 개구를 갖고 있지만, 개구는 페룰(20)의 일부가 빠져나갈 수 없는 크기이다. 이 때문에, 페룰(20)이 상대측 커넥터(51)에 끼워 맞춰져, 커버(30)가 전자 기기에 고정된 상태에서는, 페룰(20)이 스토퍼(60)의 상면부(61c)로부터 스토퍼 본체(61)를 커버(30)에 가압하여, 탄성 부재(62)를 탄성 변형시킨다. 그 결과, 반대로, 탄성 부재(62)에는, 스토퍼 본체(61)를 페룰(20)이 배치된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력이 발생하고, 이 가압력에 의해, 스토퍼 본체(61)는 페룰(20)을 상대측 커넥터에 대해 가압한다. 스토퍼 본체(61)는 본 발명에서 말하는 가압 부재의 일례에 상당한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낸 커넥터가 전자 기기에 부착된 상대측 커넥터에 접속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광 커넥터(2)의 페룰(20)은 전자 기기(50)에 부착된 상대측 커넥터(51)에 삽입되어, 상대측 커넥터(51)와 끼워 맞춰져 있다. 이에 따라 광케이블(10)은 상대측 커넥터(51)와 광학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광 커넥터(1)의 커버(30)는 상대측 커넥터(51)와 끼워 맞춰진 상태의 페룰(20)을 페룰(20)로부터 떨어진 상태에서 덮고, 전자 기기(50)에 나사(32)로 고정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페룰(20)이 스토퍼 본체(61)를 커버(30)의 저부(314)에 대해 가압하여, 탄성 부재(62)를 탄성 변형시킨다. 그 결과, 반대로, 탄성 부재(62)로부터는 스토퍼 본체(61)를 페룰(20)이 배치된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력이 생기고, 이 가압력에 의해, 상면부(61c)가 페룰(20)을 상대측 커넥터에 대해 가압한다. 이에 따라 페룰에 의한 끼워 맞춤이 보다 확실해지고, 광 커넥터(2)와 상대측 커넥터(51)의 접속 신뢰성이 높아진다. 특히, 광케이블(10)의 만곡에 대한 탄성이 페룰(20)을 상대측 커넥터(51)에 대해 가압할 만큼 충분히 크지 않은 경우에도, 탄성 부재(62)로부터의 가압력에 의해 광 커넥터(1)의 페룰(20)이 상대측 커넥터(51)에 대해 가압된다.
또한, 탄성 부재(62)가 커버(30)의 내벽에 대해 가압됨으로써, 광케이블에 인장력(F2)이 가해진 때에도 광케이블(10)에 걸리는 기계적 스트레스가 저감되어, 광케이블의 손상이 억제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커버(30)의 커버 벽(31)을 수지성형품으로 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이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커버를 구성하는 재료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이어도 되고, 커버는 금속 재료에 의한 성형품이나 딥 커팅(deep cutting)품, 트리밍(trimming)품이어도 된다. 커버의 재료를 알루미늄 등의 도전성 금속으로 함으로써, 전자(電磁) 노이즈에의 대책을 강구할 수 있다. 또한, 커버의 재료를 수지로 한 경우에, 이 수지에 도전성 재료를 함유시킴으로써도 동일한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접속 신뢰성을 높인 광 커넥터가 실현된다.

Claims (4)

  1. 상대측 커넥터에 끼워 맞춤으로써 광접속을 행하는 광 커넥터로서,
    광케이블과,
    상기 광케이블의 일단에 부착되며, 상기 상대측 커넥터와 끼워 맞춤으로써 상기 광케이블을 상기 상대측 커넥터와 광학적으로 접속시키는 페룰(ferrule)과,
    상기 광케이블을 관통시킨 관통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상대측 커넥터와 끼워 맞춰진 상태의 상기 페룰을 상기 페룰로부터 이격되게 덮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상기 관통 구멍이 형성된 벽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광케이블에 가해진 인장력의 상기 페룰로의 전달을 저지하는 제거 방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 방지부가 상기 광케이블에 고정되어 상기 벽에 맞닿음으로써 상기 인장력의 상기 페룰로의 전달을 저지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커넥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 방지부가,
    상기 커버의 내벽에 대해 가압되는 탄성 부재와,
    상기 광케이블에 고정되어, 상기 탄성 부재로부터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페 룰을 상기 상대측 커넥터에 대해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구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커넥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 방지부는 상기 광케이블 중의 상기 페룰로부터의 케이블 길이가 상대측 커넥터와 끼워 맞춰진 상태의 상기 페룰로부터 상기 제거 방지부까지의 직선거리보다 긴 위치에 고정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커넥터.
KR1020060098346A 2006-02-08 2006-10-10 광 커넥터 KR1007980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31191A JP2007212662A (ja) 2006-02-08 2006-02-08 光コネクタ
JPJP-P-2006-00031191 2006-02-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0810A KR20070080810A (ko) 2007-08-13
KR100798011B1 true KR100798011B1 (ko) 2008-01-24

Family

ID=38334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8346A KR100798011B1 (ko) 2006-02-08 2006-10-10 광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416350B2 (ko)
JP (1) JP2007212662A (ko)
KR (1) KR100798011B1 (ko)
CN (1) CN100504472C (ko)
TW (1) TWI30543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3507B1 (ko) 2009-09-29 2009-12-31 이호기술단(주) 통신용 매설 광케이블의 배선위치 가이드 패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67848B (zh) * 2018-10-16 2019-08-01 建國科技大學 Plug structure for preventing disconnection
CN110289512B (zh) * 2019-07-08 2020-09-29 聂会 一种便于小儿外科护理的监护装置
CN113075763B (zh) * 2021-03-11 2022-07-15 武汉长盈通光电技术股份有限公司 多芯熊猫结构保偏光纤及其耦合连接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92011A (ja) * 1982-05-06 1983-11-09 Sumitomo Electric Ind Ltd スナツプイン型コネクタ
US5313540A (en) * 1992-01-10 1994-05-17 Nec Corporation Optical fiber terminal suitable for automatic assembly
JPH0815555A (ja) * 1994-07-04 1996-01-19 Oki Electric Ind Co Ltd 光コネクタ
KR970022383A (ko) * 1995-10-26 1997-05-28 루이스 에이. 헥트 광섬유 케이블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22138B2 (ja) 1995-08-10 1999-07-19 株式会社ピーエフユー ケーブルクランプ構造
US6076976A (en) * 1998-03-27 2000-06-20 General Motors Corporation Fiber optic cable connector
JP2000056162A (ja) 1998-08-13 2000-02-25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光ケーブル接続箱内クランプ
JP2000349459A (ja) 1999-06-01 2000-12-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ファイバーコードの保護装置
JP2001297807A (ja) 2000-04-17 2001-10-26 Nec Eng Ltd 電気装置の安全インターロック構造
JP4128824B2 (ja) * 2001-11-15 2008-07-30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光コネクタ
JP4064784B2 (ja) * 2002-10-16 2008-03-19 矢崎総業株式会社 光コネクタ
JP2005038785A (ja) 2003-07-18 2005-02-10 Nec Engineering Ltd ケーブル抜け止め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92011A (ja) * 1982-05-06 1983-11-09 Sumitomo Electric Ind Ltd スナツプイン型コネクタ
US5313540A (en) * 1992-01-10 1994-05-17 Nec Corporation Optical fiber terminal suitable for automatic assembly
JPH0815555A (ja) * 1994-07-04 1996-01-19 Oki Electric Ind Co Ltd 光コネクタ
KR970022383A (ko) * 1995-10-26 1997-05-28 루이스 에이. 헥트 광섬유 케이블 커넥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3507B1 (ko) 2009-09-29 2009-12-31 이호기술단(주) 통신용 매설 광케이블의 배선위치 가이드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504472C (zh) 2009-06-24
US20070183722A1 (en) 2007-08-09
JP2007212662A (ja) 2007-08-23
TW200733495A (en) 2007-09-01
TWI305437B (en) 2009-01-11
KR20070080810A (ko) 2007-08-13
CN101017223A (zh) 2007-08-15
US7416350B2 (en) 2008-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9942E1 (en) Latching connector with remote release
KR100798011B1 (ko) 광 커넥터
EP1172672B1 (en) Dual-function dust cover for fiber optic connector
US7198507B2 (en) Handgrip device for coaxial cable and coaxial cable assembly including handgrip device
EP3457501B1 (en) A connector housing comprising a cover
KR101931901B1 (ko) 긴 물체의 안내 장치
KR102226417B1 (ko) 다극구조의 전기 플러그 인 커넥터 부분
US6479754B1 (en) Strain relief system for electrical cable
KR20040031594A (ko) 광 커넥터
EP3376606B1 (en) Cable harness plug
US20190212503A1 (en) Connector and method for locking and/or unlocking a connector
US20100291782A1 (en) Grommet for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4170308B2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固定具
US11598923B2 (en) Fiber optical connector
US11086090B2 (en) Cable fixing apparatus, cable connector and electrical device
KR20180113313A (ko) 광 케이블 커넥터
JP2005084066A (ja) 光通信ケーブルのコード化部材および光通信ケーブルの接続方法並びにその接続構造
KR102084016B1 (ko) 동축 케이블용 컨넥터
CN113348601B (zh) 接联系统
KR102516239B1 (ko) 5g기반 인터페이스에 활용되는 ptlc 광커넥터
KR20150001393U (ko) 광케이블 커넥터 홀더
CN101083370B (zh) 连接器
KR101792705B1 (ko) 케이블 그랜드 어댑터 및 그를 도입한 전기 장비
JP2021015920A (ja) 電気配線の引き出し構造、電子装置
KR20240052358A (ko) 커넥터 연결용 프로텍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