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0200B1 - 의료용 가이드 와이어 - Google Patents
의료용 가이드 와이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90200B1 KR100790200B1 KR1020050111782A KR20050111782A KR100790200B1 KR 100790200 B1 KR100790200 B1 KR 100790200B1 KR 1020050111782 A KR1020050111782 A KR 1020050111782A KR 20050111782 A KR20050111782 A KR 20050111782A KR 100790200 B1 KR100790200 B1 KR 10079020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xing
- diameter
- guide wire
- tip
- oppos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61M2025/09058—Basic structures of guide wires
- A61M2025/09083—Basic structures of guide wires having a coil around a cor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61M2025/09133—Guide wires having specific material compositions or coatings; Materials with specific mechanical behaviours, e.g. stiffness, strength to transmit torqu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61M2025/0915—Guide wires having features for changing the stiffnes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61M2025/09175—Guide wires having specific characteristics at the distal tip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체강 내로의 원활한 삽입성을 확보하여 치료성의 향상을 꾀하기 위한 의료용 가이드 와이어(1)에 있어서, 심재(2)의 전단부(2A)가 선단방향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단계적으로 또는 서서히 가늘어지게 되는 테이퍼형상으로 형성되고, 최소값이 선단(T)에서부터 20㎜이고 최대값이 선단(T)에서부터 50㎜ 이내의 길이는 코일 스프링체(3)와 심재(2)의 비일체화 존(LA)으로 형성되고, 또한 선단(T)에서부터 50㎜∼125㎜의 중간 존(L2)에 2∼8개의 고착포인트(P)를, 선단(T)에서부터 125㎜∼300㎜의 기단측 존(L3)에 1∼3개의 고착 포인트(P)를 각각 형성함과 아울러, 굽힘특성을 길이방향으로 변화시키기 위해서 기단측 존(L3)에 있어서의 고착 포인트(P)의 고착스팬(S)이 중간 존(L2)에 있어서의 고착 포인트(P)의 고착스팬(S)보다도 크게 설정되고, 고착 포인트(P)는 코일 스프링체(3)의 내주와 심재(2)의 외주를 고착하여 일체화한 0.3㎜∼1.5㎜폭의 도넛형상으로 구성하고 있다.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기본형태를 나타내는 가이드 와이어의 종단면도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르는 가이드 와이어의 횡단면도
도 3은 코일 스프링체의 작용 설명도
도 4는 종래에 관한 코일 스프링체의 작용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한 가이드 와이어의 요부 종단면도
도 6은 가이드 와이어의 요부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관한 가이드 와이어의 요부 종단면도
도 8은 가이드 와이어의 사용 설명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관한 가이드 와이어의 요부 종단면도
도 10은 가이드 와이어의 사용 설명도
도 11은 가이드 와이어의 사용 설명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관한 가이드 와이어의 요부 종단면도
도 13은 가이드 와이어의 사용 설명도
도 14는 기단측 회전각도와 선단측 회전각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회전토크 특 성도
도 15는 가이드 와이어의 사용 설명도
도 16∼도 19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관한 고착 포인트에 있어서의 대향 간격의 설정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 종단면도
도 20 및 도 21은 종래기술에 관한 가이드 와이어의 요부 종단면도
본 발명은 혈관 협착부 등의 체강 병변부의 검사ㆍ치료에 있어서 카테터를 체강 내에 삽입하는 것을 지원하거나 그 병변부의 사이즈 계측에 사용하는 의료용 가이드 와이어에 관한 것이다.
의료용 가이드 와이어(이하, 단지 '가이드 와이어'라고도 한다)는 꼬불꼬불하게 구부러진 가는 혈관 내로 삽입하고서 체외에 위치하는 기단부를 압입ㆍ인출ㆍ회전에 의한 수동조작을 하여 선단부를 병변부로 안내하는 조작과정을 겪게 된다. 선단부의 삽입조작을 원활하기 하기 위해서는, 자유상태에서는 곧게 펴지는 성질을 가지되 전체가 유연한 가요성을 가지도록 하여 굽힘변형에서의 양호한 복원성을 가짐과 아울러, 선단부가 높은 유연성을 가지고 기단부가 응분의 강성을 가지는 경사 특성을 가지도록 하여 상기한 수동조작에 따라서 선단부가 정확하게 순응하는 스티어링특성을 구비한 고도의 기계적 성질이 필요하게 된다.
그래서,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늘고 긴 가요성의 장척체로 하되, 직경이 큰 기단부(32B)와 이 기단부(32B)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하되 선단방향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단계적으로 축소되는 테이퍼형상으로 형성된 전단부(32A)로 이루어지는 심재(32)에 있어서의 상기 전단부(32A)에, 양단을 상기 심재(32)의 전단부(32A)에 고착시키는 형태로 가요성의 코일 스프링체(33)를 끼워 붙인 선단부(31A)를 가지는 것을 기본구조로 한 가이드 와이어(31)가 널리 보급되어 있다.
이 기본구조에 있어서, 미국특허 제5,497,783호 공보에는 코일 스프링체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심재와 코일 스프링체를 납땜에 의해서 동일한 간격으로 고착하여 일체화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 일본국 특개평 8-173547호 공보에는 심재의 전단부의 응력집중에 의한 절손(折損)을 방지하기 위해서, 코일 스프링체의 중간의 내주와 심재의 전단부의 외주를 연결하는 폭이 좁은 고착부로서, 원포인트 연결의 연결 고착부(도시생략)를 형성한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또, 일본국 특표평 7-500749호 공보에는,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사선 불투과재로 이루어지며, 코일 스프링체(33)의 내주에 고착하되 심재(32)의 전단부(32A)의 외주와의 사이에 유극을 형성하거나, 도시한 바와 같이 심재(32)의 전단부(32A)의 외주에 고착하되 코일 스프링체(33)의 내주와의 사이에 유극을 형성한" 마커(M)를 스팬(span) 배치한 구조가 개시되어 있으며, 체강 내에 삽입한 상태에서 방사선을 투영함으로써 마커(M)에 의해서 병변부의 사이즈 계측을 가능하게 한 계측기능을 구비하도록 하고 있다.
또, 일본국 특표 2004-516049호 공보에는 심재의 전단부(도시생략)에 X선 불투과성의 마커(M)를 스팬 배치한 구조가 개시되어 있고, 미국특허 제5,797,856호 공보에는 심재의 전단부와 코일 스프링체와 관상(管狀)부재를 3개소에서 납땜에 의해서 고정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이상의 배경기술에 있어서의 연결 고착부ㆍ마커(M)ㆍ심재와 코일 스프링체의 고착구조는 각각의 기술목적에 의거하는 단순한 "코일 스프링체 내의 공간에 있어서의 마커의 설정 및 고정, 심재와 코일 스프링체의 단순한 고정형태"라는 점에서, 가이드 와이어의 선단부(31A)가 체강 내에서 복잡하게 굽힘변형하여 삽입 전진하거나 혈관의 분기부분에서 굽힘변형하여 혈관로를 선택할 때의 굽힘특성과, 체외에 위치하는 기단부를 압입ㆍ인출ㆍ회전조작하는 수동조작에 따라서 선단부(31A)가 정확하게 순응하는 스티어링특성 및 마커(M)에 의한 병변부의 사이즈 계측기능이 양호하다고는 말하기 어렵고, 예를 들면, 좌관상동맥 주간부(LMT)에서 좌전하행분지(LAD)로 선단부(31A)를 대략 직각으로 굽힘변형하여 삽입 진행시키는 조작성ㆍ심부(深部) 삽입성 및 좌전하행분지(LAD)에 존재하는 병변부의 사이즈 계측성능에 있어서 개량해야 할 난점이 있다(도 15 참조). 또한, 상기 굽힘특성 및 스티어링특성의 난점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세하게 해석하여 보충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배경기술에서의 난점을 해소하여 당해 치료성의 특단의 향상을 꾀하는 고품질 및 고성능의 의료용 가이드 와이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의료용 가이드 와이어는, 세경(細徑)형상의 전단부와 이 전단부보다 직경이 큰 기단부로 이루어지는 장척상의 가요성 심재에 있어서의 상기 전단부에, 양단을 상기 심재에 고착시키는 형태로 코일 스프링체를 끼워 붙인 선단부를 가지는 의료용 가이드 와이어에 있어서, 심재의 전단부가 선단방향으로 갈수록 단계적으로 또는 서서히 가늘어지게 되는 테이퍼형상으로 형성되고, 최소값이 선단에서부터 20㎜이고 최대값이 선단에서부터 50㎜ 이내의 길이는 코일 스프링체와 심재의 비일체화 존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선단에서부터 50㎜∼125㎜의 중간 존에 2∼8개의 고착 포인트를, 상기 선단에서부터 125㎜∼300㎜의 기단측 존에 1∼3개의 고착 포인트를 각각 형성함과 아울러, 굽힘특성을 길이방향으로 변화시키기 위해서 상기 기단측 존에 있어서의 고착 포인트의 고착스팬이 중간 존에 있어서의 고착 포인트의 고착스팬보다도 크게 설정되고, 고착 포인트는 코일 스프링체의 내주와 심재의 외주를 고착하여 일체화한 0.3㎜∼1.5㎜폭의 도넛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한 기본형태를 가지는 본 발명의 의료용 가이드 와이어는 심재와 코일 스프링체를 고착스팬 및 배치형태를 다양하게 특정하고 한정한 복수의 고착 포인트에 의해서 동일 축선상에 일체로 고정함으로써, 코일 스프링체와 이 코일 스프링체의 코일중심에 위치하는 심재를 외력(굽힘ㆍ회전)에 대해서 역학적으로 안정한 장척상의 가요성 일체물로 구성하고, 이것에 의해서 혈관 내로의 삽입시에 선단부의 굽힘특성과 스티어링특성의 특단의 향상을 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본형태에 의거하는 특유한 사상에 의한 특단의 작용효과의 향상을 꾀하는 기술적 의도에서, (1) 고착 포인트의 고착스팬이 심재의 전단부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점차 증가하는 점증형태(漸增形態) 또는 점차 감소하는 점감형태(漸減形態), (2) 코일 스프링체의 코일부분(전단부분)과 고착 포인트를 방사선 불투과재에 의해서 형성하여 병변부의 사이즈 계측의 메저(measure)부로서 기능시키는 형태, (3) 상기 코일 스프링체에 있어서의 방사선 불투과재에 의해서 형성되는 코일부분(전단부분)의 길이와 방사선 불투과재에 의해서 형성된 고착 포인트의 고착스팬을 정수배(整數倍)의 길이관계로 설정하여 상기 메저부의 큰 눈금ㆍ작은 눈금으로서 기능시키는 형태, (4) 심재의 길이방향으로 병설한 복수의 고착 포인트에 있어서의 대향하는 1쌍의 고착 포인트의 대향 간격을 그 대향 부위의 심재의 직경치수를 기준으로 하여 규제 설정하되, 기단측에서 선단방향으로 토크력ㆍ회전 추종성이 동일한 동일형태 또는 점차 감소하는 점감형태가 되도록 구성하는 형태를 채택하고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설명한다.
의료용 가이드 와이어(1)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경형상의 전단부(2A)와 이 전단부(2A)보다 직경이 큰 기단부(2B)로 이루어지는 장척상의 가요성 심재(2)에 있어서의 상기 전단부(2A)에, 양단을 심재(2)에 고착시키는 형태로 코일 스프링체(3)를 끼워 붙인 선단부(1A)를 가지는 것에 있어서, 심재(2)의 전단부(2A)가 선단방향으로 갈수록 단계적으로 또는 서서히 가늘어지게 되는 테이퍼형상으로 형성되고, 최소값이 선단(T)에서부터 20㎜이고 최대값이 선단(T)에서부터 50㎜ 이내의 길이는 코일 스프링체(3)와 심재(2)의 비일체화 존(LA)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선단(T)에서부터 50㎜∼125㎜의 중간 존(L2)에 복수(예를 들면, 2∼8개)의 고착 포인트(P)를, 상기 선단(T)에서부터 125㎜∼300㎜의 기단측 존(L3)에 복수(예를 들면, 1∼3개)의 고착 포인트(P)를 각각 형성함과 아울러, 굽힘특성을 길이방향으로 변화시키기 위해서 상기 기단측 존(L3)에 있어서의 고착 포인트(P)의 고착스팬(S)이 중간 존(L2)에 있어서의 고착 포인트(P)의 고착스팬(S)보다도 크게 설정되고, 고착 포인트(P)는 코일 스프링체(3)의 내주와 심재(2)의 외주를 고착하여 일체화한 0.3㎜∼1.5㎜폭의 도넛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한 기본형태를 가지는 본 발명의 의료용 가이드 와이어(1)는 심재(2)와 코일 스프링체(3)를 고착스팬ㆍ배치형태를 다양하게 특정하고 한정한 복수(예를 들면, 2∼11개)의 고착 포인트(P)에 의해서 동일 축선상에 일체로 고정함으로써, 코일 스프링체(3)와 이 코일 스프링체(3)의 코일중심에 위치하는 심재(2)를 외력(굽힘ㆍ회전)에 대해서 역학적으로 안정한 장척상의 가요성 일체물로서 구성하고, 이것에 의해서 혈관 내로의 삽입시에 선단부(1A)의 굽힘특성과 스티어링특성의 특단의 향상을 꾀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기본구성에 있어서, 최소값이 선단(T)에서부터 20㎜이고 최대값이 선단(T)에서부터 50㎜ 이내의 길이를 고착 포인트(P)가 존재하지 않는 비일체화 존(LA)으로 한 것은, 의료용 가이드 와이어(1)를 체강 내로 용이하게 삽입하기 위해서, 선단부위를 손가락 등으로 '<'형상 등으로 소성변형시키는 프리셰이프(pre-shape)가공의 가공성을 확보함과 아울러, 체강 내로의 원활한 선도삽입(先導揷入)을 가능하게 하는 큰 유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이다. 여기서, '비일체화 존(LA)'이란 고착 포인트(P)가 존재하지 않는 부존재 존을 나타낸다.
고착 포인트(P)에 의한 심재(2)의 전단부(2A)와 코일 스프링체(3)의 고착형상은 양자를 동일 축선상에 고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미세한 형상의 코일 스프링체(3) 내에서의 양산고착공법(量産固着工法)인 점에서 양자가 미량으로 편심된 고착형상으로 되는 일이 있으므로, 이러한 두가지 형태의 고착형상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상기한 기본형태의 본 발명의 의료용 가이드 와이어(1)는 다음과 같은 특단의 굽힘특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심재(2)와 코일 스프링체(3)의 제원을 동일하게 한 본 발명의 가이드 와이어(1){즉, 고착 포인트(P)가 형성된 가이드 와이어}와 종래기술의 가이드 와이어(31){즉, 고착 포인트(P)가 형성되지 않은 가이드 와이어}를 동일한 굽힘 반경으로 U자 형상으로 변형시켜서 대비하면, 종래기술의 가이드 와이어(31)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심재(32)의 전단부(32A)의 테이퍼형상에 의거하는 길이방향의 굽힘강성의 변화에 의해서 기단측에서 선단방향으로 곡률반경(R3,R4)을 순차적으로 작게 하면서 굽힘변형됨과 아울러, 그 곡률반경(R3,R4)의 원호 변환점이 변곡점(X1)으로 되어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나타내는 "연속하는 이형(異形) U자 형태"가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가이드 와이어(1)는, 상기한 종래기술의 가이드 와이어(31)와 마찬가지로 심재(2)의 테이퍼형상에 의거하는 길이방향의 굽힘강성의 변화에 의해서 기단측에서 선단방향으로 곡률반경(Rl,R2)을 순차적으로 작게 하면서 굽힘변형되지만,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곡률반경(Rl,R2)의 천이(遷移)가 극히 원활하게 되어 상기한 변곡점(X1)이 존재하지 않는 "서로 다른 곡률반경의 원호가 원활한 천이형태"가 된다.
이 점을 보충하면, 본 발명의 가이드 와이어(1)가 상기한 바와 같이 원활한 천이형태를 보이는 것은, 고착 포인트(P)의 존재에 의해서 심재(2)와 코일 스프링체(3)의 상대위치가 굽힘 중립면{심재(2)의 중심선}에 대해서 안정하므로, 굽힘특성의 요인인 단면 이차 모멘트가 선단부(1A)의 길이방향에서 안정하다. 이것에 대해서, 종래기술의 가이드 와이어(31)는 굽힘저항에 의해서 심재(32)의 중심선이 굽힘 중심선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하므로{심재(32)와 코일 스프링체(33)의 사이의 유극 내에서의 이동}, 해당 부위의 단면 이차 모멘트가 작아지게 되어 상기한 변곡점(X1)을 발생시키는 굽힘 메커니즘에 의거한다고 추고할 수 있다.
상기한 굽힘특성을 가지는 종래기술의 가이드 와이어(31)는 변곡점(X1)의 부위가 크게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태가 되기 때문에, 그 돌출부위가 체강 내의 혈관벽을 무리하게 눌러서 넓히도록 작용함으로써 삽입저항의 증대를 가져오고, 이것에 의한 혈관벽 손상이나 환자의 고통 증대를 초래하는 치료상의 난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굽힘특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가이드 와이어(1)는 굽힘이 원활한 천이형태가 되기 때문에 굽힘상태에서의 유해한 변곡점(X1)의 발생이 없으며, 따라서 종래기술에 있어서의 난점을 해소하여 치료성을 특단으로 향상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가이드 와이어(1)는 체강 내로의 삽입시의 스티어링특성을 특단으로 향상시키는 다음과 같은 특유한 작용이 있다.
즉, 일반론으로서는, 코일 스프링체의 양단에 비틀림 외력을 가하면, 비틀림 변위각은 코일 권수에 비례하고 회전 토크는 코일 권수의 역수에 비례하는 특성이 얻어진다. 따라서, 가이드 와이어(1)는 고착 포인트(P)가 복수개 존재하고, 이 고착 포인트(P)에 의해서 구획되어 연속하는 코일 스프링체(3)의 구획부분이 일정한 회전 토크를 받게 되고, 그 구획부분의 각각이 상기한 일반개념의 특성을 향수하기 때문에, 상기한 높은 회전 추종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회전 토크 특성에 대해서도 고착 포인트(P)의 존재에 의해서 상기한 비틀림 외력 특성과 같은 이점의 작용이 존재하므로, 기단측의 회전조작에 대한 선단측의 회전 토크는 본 발명의 가이드 와이어(1)가 고착 포인트(P)가 존재하지 않는 종래의 가이드 와이어(31)에 비해서 3∼5배의 증대 작용이 있다.
즉, 고착 포인트(P)의 존재 구성에 의해서 기단측의 회전조작에 의거하는 선단부의 회전 추종성ㆍ회전 토크가 종래기술의 것보다 특단으로 향상됨으로써 해당 치료성의 특단의 안정향상이 도모된다. 그리고, 이러한 회전 추종성 및 회전 토크를 향상시키기 위한 본 발명의 고착 포인트(P)의 고착스팬ㆍ배치형태의 구성은, 심재(2) 및 코일 스프링체(3)의 선경(線徑)을 단지 굵게 하여 강성을 높인다고 하는 종래의 기술사상과는 완전히 다르다는 것이 명백하다.
또한, 상기한 기본구성의 고착 포인트(P)는, 이 고착 포인트(P)의 고착스팬의 대소(大小)를 자유롭게 세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즉 고착스팬을 작게 함으로써 선단부(1A)의 굽힘강성을 크게 하거나, 고착스팬을 크게 함으로써 선단부(1A)의 굽힘강성을 작게 하는 조정세트가 자유롭게 된다. 따라서, 기단부의 통상의 압입조작 에 의해서 굽힘변형 가능한 한도(限度)굽힘곡률을 예측한 굽힘강성을 정량적으로 부여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한도굽힘특성이 부여 설정된 가이드 와이어(1)는, 이상(異常)굽힘변형이 발생하기 쉬운 혈관의 분기부위나 급격한 만곡부위에 있어서, 이상 저항을 기단측에서 감지 가능하게 하는 특성정량설정(特性定量設定)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상굽힘변형을 발생시키는 이상 압입 및 이상 회전력을 감지하여 허용범위 내의 압입 및 회전력으로 억제함으로써, 이상 조작력에 의한 혈관벽 손상 및 혈관벽 해리 및 가이드 와이어 손상 등을 미연에 방지하고, 통상의 조작력에 의한 원활한 혈관 내로의 진행을 꾀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제 2 실시예에서는 중간 존(L2)에 복수의 고착 포인트(P)를 가지는 구조로서, 도 5의 것은 고착스팬(S)이 전단부(2A)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Sl, S2, S3, …, SN"과 같이 점차 감소하는 점감(漸減)형태로 규제 배치되어 있고, 도 6의 것은 "SN, …, S3, S2, S1"과 같이 점차 증가하는 점증(漸增)형태로 규제 배치되어 있다. 이 점감ㆍ점증형태는 "S1=25㎜, S2=20㎜, S3=15㎜, …, SN=25-5(N-1)"로 나타내는 등차 급수적 형태, 또는 "S1=40㎜, S2=20㎜, S3=10㎜, …, SN=40(1/2)N-1"로 나타내는 등비 급수적 형태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이 제 2 실시예에서는 가이드 와이어(1)의 전체 길이가 1500㎜이고, 선단부(1A)의 길이가 300㎜이고, 심재(2)의 전단부(2A)는 기단측(직경 0.193㎜)에서 선단측(직경 약 0.03㎜)으로 갈수록 서서히 가늘어지게 되는 테이퍼형상이고, 코일 스프링체(3)는 그 소선(素線)의 직경이 0.072㎜이고, 코일의 외경이 0.355㎜이고, 심재(2) 및 코일 스프링체(3)는 스테인리스강 선재의 통상의 제원으로 하고, 선단(T)에서부터 20㎜길이까지의 고착 포인트(P)가 존재하지 않는 비일체화 존(LA)에 연속하는 중간 존(L2)에 있어서, 코일 스프링체(3)의 내주와 심재(2)의 전단부(2A)의 외주에 고정한 0.3㎜∼1.5㎜폭의 도넛형상의 고착 포인트(P)가 납땜재(예를 들면, 금합금)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제 2 실시예의 것은 고착스팬(Sl, S2, …)의 급수적 점증ㆍ점감변화를 정량적으로 선택함에 의해서 상기한 기본형태의 것이 나타내는 선단부(1A)의 굽힘특성을 길이방향으로 미묘하게 변화시킨 고유한 특성을 설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병변 치료부의 고유한 사정이나 수술자의 개성(조작기술)에 매칭되게 한 다종다양한 가이드 와이어를 제작함으로써 당해 치료성의 일단의 향상이 도모된다.
계속해서,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제 3 실시예에서는 병변부의 사이즈 계측의 메저(measure)기능이 부가된 가이드 와이어(1)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고착 포인트(P)를 중간 존(L2)에 배치한 것에 있어서, 코일 스프링체(3)의 코일부분(3A){예를 들면, 코일 스프링체(3)의 전단에서부터의 코일 길이(L1)가 약 30㎜가 되는 전단부분}이 방사선 불투과재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방사선 불투과재에 의해서 형성된 고착 포인트(P)가 동일 간격의 고착스팬(S)으로 병설되어 있고, 또한 코일 스프링체(3)에 있어서의 방사선 불투과재에 의해서 형성되는 코일부분(3A)의 길이가 고착스팬(S)의 정수배(예를 들면, 1∼3배의 정수배)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것들이 병변부의 사이즈를 계측하는 메저부의 큰 눈금ㆍ작은 눈금으로서 기능함과 아울러, 중간 존(L2)의 고착 포인트(P)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회전 추종성을 특단으로 향상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코일 스프링체(3)는 백금 선재와 스테인리스강 선재를 직렬형상으로 용착 접합한 후 소정의 선경(예를 들면, 0.072㎜)이 될 때까지 신선가공(伸線加工)을 하고, 그 후 코일가공을 하여 전단측의 방사선 불투과성 코일부분(3A)과 후단측의 방사선 투과성 코일부분(3B)으로 이루어지는 이종(異種)금속합금의 단일 코일형태로 형성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가이드 와이어(1)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특유한 작용이 있다. 즉, 체강 내에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조영제가 투입된 혈관의 직경과, 상기 방사선 불투과성 코일부분(3A)의 코일 길이(L1) 및 코일 직경 또는 방사선 불투과성 고착 포인트(P)의 고착스팬(S)에 대한 방사선 투영화면상의 시인 캐치에 의해서 병변부 및 그 인접부위의 혈관상태의 사이즈 계측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방사선 불투과성 코일부분(3A)의 코일 길이(L1)가 고착스팬(S)의 정수배로 구성된 점에서, 방사선 불투과성 코일부분(3A)의 전체 길이와 이 코일부분(3A)에 연속해서 존재하는 고착 포인트(P)의 고착스팬(S)의 방사선 투영화면상의 대비 고찰 또는 이것들의 어느 하나에 의해서 복잡하고 입체적으로 만곡ㆍ굴곡되게 평면적 투영화면에 나타나는 혈관의 사이즈 계측의 정밀도가 일층 향상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고착 포인트(P)는 금납, 은납, 텅스텐납 등의 방사선 불투과재의 금속 볼을 가온 용융한 후, 심재(2)와 코일 스프링체(3)가 동일 축선상에서 일체화되도록 대략 0.3∼1.5㎜폭의 도넛형상으로 고착함으로써 형성된다.
그리고,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제 3 실시예의 가이드 와이어(1)는, 방사선 투과성 코일부분(3B)이 스테인리스강 선재에 의해서 형성된 점에서 다음과 같은 메리트가 있다. 즉, 코일 스프링체(3)는 이종금속이 용접된 선재를 신선가공하고서 코일성형하기 때문에, 양자의 재질의 상이에 의한 스프링 백량의 차이에 의해서 코일부분(3A)의 외경이 작아지게 되며, 전체로서 코일의 직경이 선단방향으로 갈수록 서서히 축소(이하, 단지 '서변축경(徐變縮徑)'이라고도 한다)되는 보다 고도한 테이퍼형상이 된다. 따라서, 코일 스프링체(3)의 서변축경에 의해서 혈관폐쇄부ㆍ혈관의 내막ㆍ중막 등으로의 침입성을 보다 더 향상시킬 수 있어 당해 치료성이 향상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실시예의 가이드 와이어(1)는 상기한 바와 같이 코일의 직경이 서서히 축소되는 서변축경형태로 되고 또한 사이즈 계측기능이 부가된 구성인 점에서, 관상동맥치료 등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특유한 효과가 있다. 즉, 관상동맥 내에서는 가이드 와이어(1)가 선단(T)에서부터 100∼125㎜가 삽입되며, 병변부가 가장 많은 곳인 혈관 분기부{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관상동맥 주간부(LMT)(15)에서는 입구에서부터 30∼60㎜의 부호 16으로 나타내는 지점}에 혈관 협착부(11)로서 병변부가 발생하기 쉽다. 이 병변부를 계측할 때, 일본국 특표평 7-500749호 공보에 개시된 가이드 와이어와 같이 선단에서부터 약 50㎜의 범위 내에서 계측하려고 하면, 좌관상동맥 주간부(LMT)(15)의 입구에서부터 30∼60㎜밖 에 삽입할 수 없고, 유연성이 풍부한 가이드 와이어의 선단부는 혈류에 의해서 크게 흔들려 불안정한 자세를 취하게 됨으로써 정확한 계측이 곤란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난점에 대해서 본 실시예의 것은, 상기한 바와 같이 코일의 직경이 서변축경형태인 점에서 혈관 협착부(11)를 지나서 혈관의 심부까지 삽입 가능하기 때문에, 선단부의 심부까지의 삽입에 의해서 혈류에 의한 흔들림이 방지되어 안정한 자세가 유지되고, 또한 선단(T)에서부터 300㎜위치까지 고착 포인트(P)가 존재하기 때문에, 특히 중간 존(L2)의 고착 포인트(P)(부호 17)를 혈관 협착부(11)의 단부(11A)에 합치시킴으로써 병변부에 대한 높은 정밀도의 사이즈 계측이 극히 용이하게 된다. 또한, 부호 18은 가이드 와이어(1)와 함께 사용하는 카테터이다.
계속해서, 도 9∼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설명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은 코일 길이(L1)를 가지는 방사선 불투과성 코일부분(3A)과 중간 존(L2)에 방사선 불투과성 고착 포인트(P)를 형성한 것에 있어서, 중간 존(L2)에 기단측의 큰 고착스팬(SA)과 선단측의 작은 고착스팬(SB)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유닛부(U)가 복수개(예를 들면, 1∼2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코일 길이(L1)와 상기 작은 고착스팬(SB)의 길이관계가 도 7 및 도 8의 제 3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대적으로 정수배(예를 들면, 1∼3배의 정수배)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유닛부(U)를 구성하는 큰 고착스팬(SA)과 작은 고착스팬(SB)의 조합배열은 굽힘강성이 큰 기단측에 큰 고착스팬(S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선단측에 형성하여도 된다.
이 제 4 실시예의 것은 유닛부(U)의 존재에 의거하는 다음과 같은 특유한 효과가 있다. 즉,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가이드 와이어(1)의 선단부(1A)를 좌관상동맥 주간부(LMT)(15)에서 좌전하행분지(LAD)(19)로 진행시킬 경우, 선단부(1A)는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급변하게 된다. 여기서, 고착 포인트(P)의 고착스팬(S)이 예를 들어 10㎜를 하회하는 경우에는 도 11에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일정한 곡률반경을 유지하려고 함으로써 쉽게 구부러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태로 무리하게 삽입하려고 하면, 그 무리한 굽힘에 의거하는 반력이 혈관벽부 등에 가해져서 삽입 곤란과 혈관벽 손상을 가져오는 트러블이 있다.
이 제 4 실시예의 것은 유닛부(U)의 존재에 의거하는 다음과 같은 특유한 효과가 있다. 즉,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가이드 와이어(1)의 선단부(1A)를 좌관상동맥 주간부(LMT)(15)에서 좌전하행분지(LAD)(19)로 진행시킬 경우, 선단부(1A)는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급변하게 된다. 여기서, 고착 포인트(P)의 고착스팬(S)이 예를 들어 10㎜를 하회하는 경우에는 도 11에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일정한 곡률반경을 유지하려고 함으로써 쉽게 구부러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태로 무리하게 삽입하려고 하면, 그 무리한 굽힘에 의거하는 반력이 혈관벽부 등에 가해져서 삽입 곤란과 혈관벽 손상을 가져오는 트러블이 있다.
삭제
상기한 바와 같은 삽입 사정하에 있어서, 도 9∼도 11에 나타내는 가이드 와이어(1)는, 예를 들면 10㎜의 작은 고착스팬(SB)과 20㎜의 큰 고착스팬(SA)으로 이루어지는 유닛부(U)가 복수개 존재하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급변하는 굽힘변형에 순응함으로써 원활한 삽입이 가능하게 됨과 아울러, 해당 부위에서의 원활한 회전 및 압입조작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직각으로 구부러진 혈관으로의 삽입성이 특단으로 향상된다.
이상의 특유한 메커니즘은, 도 11에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고착 포인트(P)가 동일 간격의 고착스팬(S)으로 형성된 것은 일정한 곡률반경을 유지하는 정성(定性)이 있는 것에 대해서, 유닛부(U)를 가지는 본 실시예의 것은 도 11에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작은 고착스팬(SB)의 곡률반경(R5)과 큰 고착스팬(SA)의 곡률반경(R6)의 연속곡성이 유닛부(U)마다 발생하기 때문에, 선단부(1A)가 극도로 굴곡된 혈관에 순순히 순응함으로써 원활한 삽입이 가능하게 됨과 아울러, 급격한 굽힘 변형을 방지하는 특유한 작용에 의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것은 삽입저항이 통상과는 다르고 병변부가 20㎜ 이상으로 긴 비만성 병변부가 존재하는 상기 좌전하행분지(LAD)(19)의 치료에 적합하고, 병변부로의 삽입성을 특단으로 향상시켜서 해당 치료성의 향상을 꾀함과 아울러, 유닛부(U)의 고착 포인트(P)가 상기한 요건의 고착스팬과 방사선 불투과재로 된 점에서, 긴 병변부의 사이즈 계측을 간편하고 정확하게 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2∼도 15를 참조하여 제 5 실시예를 설명한다.
즉, 고착 포인트(P)를 스팬 배치한 것에 있어서, 도 12에 나타낸 것은 선단(T)에서부터 125㎜∼300㎜의 기단측 존(L3)에 1개∼3개의 고착 포인트(P)가 형성되어 있다. 이 형태의 것은 관상동맥 내로 삽입할 때의 회전 추종성을 특단으로 향상시키는 다음과 같은 작용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테터(18)와 함께 좌관상동맥 주간부(LMT)(15)의 대동맥궁(21)으로 삽입하여 좌관상동맥 주간부(LMT)(15)의 입구에 카테터(18)의 선단을 세트하고, 이 카테터(18)에 의해서 가이드 와이어(1)의 반력을 담지(擔持)시켜서 가이드 와이어(1)를 좌관상동맥 주간부(LMT)(15)에 회전시키면서 삽입 진행시킨다. 이 때, 절곡형태를 띄는 혈관벽과 압접하는 XㆍY점에서 가이드 와이어(1)의 회전저항이 증대하므로, XㆍY점의 양측에 서로 다른 비틀림 축적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되면, 코일 스프링체(3)와 심재(2)가 자유상태인 종래의 가이드 와이어에서는 선단부의 회전 추종성이 특단으로 저하되어 조작성이 극히 악화되며, 따라서 해당 치료성이 저하된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가이드 와이어(1)는 그 기단측 존(L3)이 X점 후방의 약간과 Y점 전방의 약간을 포함하는 존에 상당하고, X점의 기단측 포인트와 X점ㆍY점의 중간 포인트 및 Y점의 전방측 포인트에 고착 포인트(P)가 존재하기 때문에, 코일 스프링체(3)와 심재(2)가 동일 축선상에서 일체화된 형상의 회전 전달체로서 작용함으로써, XㆍY점의 양측에 발생하는 비틀림 축적을 해소하여 가이드 와이어(1)의 회전 토크 전달성이 향상되며, 따라서 상기 트러블의 발생이 없어 해당 치료성이 특단으로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가이드 와이어(1)는, 체강 내로의 삽입시의 스티어링특성을 다음과 같은 작용에 의해서 특단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상세하게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단측 존(L3)에 2개의 고착 포인트(P)를 동일 간격의 고착스팬으로 배치한 가이드 와이어(1)와 기단측 존(L3)에 고착 포인트(P)가 존재하지 않는 동일 사이즈 사양의 종래의 가이드 와이어를, 그 기단부의 후단을 360도 회전시켰을 때의 선단부(1A)의 전단 회전량은, 양자의 대비 실험에서 종래의 가이드 와이어가 53°인 것에 대해서 가이드 와이어(1)는 257°이었다. 이것에 의해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가이드 와이어(1)는 종래의 가이드 와이어에 비해서 적어도 약 5배의 높은 회전 추종성이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의 특유한 작용은, 다음과 같은 회전 토크 전달 메커니즘에 의한다. 즉, 코일 스프링체(3)가 회전 토크를 받으면, 이 코일 스프링체(3)가 비틀림 스프링으로서 기능함으로써 그 토크력은 코일 권수의 역수에 비례하는 형태가 된다. 이 형 태에 있어서, 고착 포인트(P)가 1개 존재하면 코일 스프링체(3)의 권수가 1/2이 되어 그 토크력은 2배가 되고, 3개 존재하면 코일 스프링체(3)의 권수가 1/4이 되어 그 토크력은 4배가 되고, 이와 같이 높은 토크 회전력이 실현된다. 또한, 고착 포인트(P)는 기단측 존(L3)에 적어도 1개 존재하기만 하면 상기한 특유의 작용을 향수할 수 있지만, X점 후방, X점과 Y점의 사이 및 Y점 전방에 3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4개 이상이 되면 기단측 존(L3)의 굽힘강성이 커지기 때문에, 고착 포인트(P)를 기단측 존(L3)에 4개 이상 형성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관상동맥(RCA)(15a)인 경우는, 가이드 와이어(1)의 기단측 존(L3)이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대동맥궁(21)의 X2점과 Y2점에서 접합점이 발생하면, 종래의 가이드 와이어는 상기한 바와 같은 트러블을 일으키지만, 본 발명의 가이드 와이어(1)는 상기한 특유의 작용에 의해서 그 트러블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카테터(18)의 대동맥궁(21)으로의 삽입은, 도 13에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완두동맥(22)에서 삽입하기도 하지만, 이 삽입형태의 것도 Y2점에서 굴곡점이 발생하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은 작용 효과를 향수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6∼도 19를 참조하여 제 6 실시예를 설명한다.
즉, 제 6 실시예에서는, 심재(2)에 있어서의 직경이 큰 대경부(大徑部)와 직경이 작은 소경부(小經部)에 코일 스프링체(3)를 끼워 붙이고서 고착 포인트(P)를 형성한 선단부(1A)의 회전 추종성을 길이방향으로 동일한 동일형태 또는 점차 감소하는 점감형태로 하여, 선단부(1A)의 회전 조작성의 안정향상을 꾀하는 실시예로서, 대향하는 1쌍의 고착 포인트(P)의 대향 간격(L,ℓ)이 심재(2)의 직경치수에 대응하여 다음과 같이 규제되어 있다.
즉, 대향하는 1쌍의 고착 포인트(P) 사이의 비틀림 강성은 고착 포인트(P)의 대향 간격(L,ℓ) 사이의 코일 스프링체(3)의 코일 권수에 반비례하고 또한 대향 간격(L,ℓ) 사이의 심재(2)의 직경에 관한 역학적 메커니즘이 된다. 따라서, 선단부(1A)에 있어서의 고착 포인트(P)의 대향 간격(L,ℓ) 사이에 있어서의 길이방향의 심재(2)가 직경(D,d)을 달리하는 원기둥의 스트레이트 형상일 때는,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면 이차 모멘트에 의거하여 재료 역학적으로 산정할 수 있는 심재(2)의 직경비의 4승과 동일하거나 이하의 대향 간격(L,ℓ)의 관계로 설정한다. 그리고, 대향하는 1쌍의 고착 포인트(P)의 대향 간격(L,ℓ) 사이에 있어서의 길이방향의 심재(2)가 모두 원추대의 테이퍼형상일 때는,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향 간격(L,ℓ)에서 역학적으로 구해지는 도시한 Lㆍℓ비로 설정한다. 그리고, 대향하는 1쌍의 고착 포인트(P)의 대향 간격(L,ℓ) 사이에 있어서의 길이방향의 심재(2)가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큰 직경의 원추대의 테이퍼형상과 작은 직경의 원기둥의 스트레이트 형상일 때는,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역학적으로 구해지는 Lㆍℓ비로 설정한다. 그리고,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향하는 1쌍의 고착 포인트(P)의 대향 간격(L,ℓ) 사이에 있어서의 길이방향의 심재(2)가 순차 큰 직경의 원기둥의 스트레이트 형상과 작은 직경의 원추대의 테이퍼형상일 때는,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역학적으로 구해지는 Lㆍℓ비로 설정한다.
이상의 Lㆍℓ비 설정수단에 의해서 선단부(1A)의 회전 추종성 및 토크 전달력을 길이방향으로 동일한 동일형태 또는 점차 감소하는 점감형태로 함으로써 선단부(1A)의 양호한 회전 조작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보충하면, 상기한 Lㆍℓ비의 설정구성에 있어서, 심재(2)의 직경의 변경포인트가 고착스팬 사이에 있을 때는, 변경포인트 전후의 평균 직경에 대응한다{ 심재(2)는 미소한 직경이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영향이 없다}. 이 Lㆍℓ비의 설정구성은 선단부(1A)의 길이방향의 고착스팬 전체에 적용할 필요는 없고, 본 발명의 기술의도에 따르는 한 일부 적용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더 보충하면, 본 제 6 실시예에 관한 가이드 와이어(1)는, 각 실시예마다의 특유한 작용 이외에 다음과 같이 공통된 특유한 작용이 있다. 즉, 가이드 와이어(1)는 복수의 고착 포인트(P)를 병설하여 이루어진 것이기 때문에, 혈관이 굴곡 혹은 사행된 부위에서 가이드 와이어(1)의 선단부(1A)가 굴곡된 자세를 취하게 되면, 굴곡된 코일 스프링체(3)는 그 외측의 코일선 사이가 벌어지게 되고, 선단부(1A)의 존재와 굽은 혈관로에 의해서 유속이 증가된 선단부(1A)의 외측의 혈액이 코일선 사이의 간격을 통해서 유입되어 고착 포인트(P)에 완접(緩接)작용함으로써 전방으로의 추력(推力)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복수개 병설된 고착 포인트(P)에 의해서 그 추력이 증폭되기 때문에, 굴곡의 정도가 큰 혈관 내의 심부까지 선단부(1A)의 삽입진행이 극히 용이하게 된다. 또한, 심재(2)의 전단부(2A)가 테이퍼형상으로 되어 있는 점에서, 전단 근방이 될수록 상기한 추력을 받는 압압면이 증대하기 때문에, 도입저항이 큰 전단부위의 혈관 내로의 진행을 효과적으로 지원한다. 그리고, 특히 코일 스프링체(3)의 코일부분(전단부분)(3A)이 방사선 불투과재에 의해서 형성된 경우는, 이 방사선 불투과재와 방사선 투과재의 비중차(예를 들면, 백금 선재에서는 21.4이고 스테인리스강 선재에서는 7.9이다)에 의해서 선단부가 하측으로 처지기 쉬우나, 선단(T)으로부터 20㎜ 내에는 고착 포인트(P)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이 처짐을 방지함으로써 부유(浮遊)상태를 효과적으로 지원한다.
그리고, 고착 포인트(P)가 존재하지 않는 종래의 가이드 와이어에서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은 혈관 협착부(11)에 선단부(1A)를 삽입하여 이 혈관 협착부(11)에서 로크된 상태일 때, 이 상태에서 회전시키면, 로크된 포인트를 기점으로 한 전후부분의 코일 스프링체(3)가 크게 비틀림 변형되고, 또한 큰 회전 조작력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이 조작을 계속하면, 극세선(직경 0.072㎜)의 코일 스프링체(3)와 전단부의 직경 0.031∼0.049㎜의 극세선으로 이루어지는 심재(2)와의 비틀림 변형이나 선재 손상을 초래하는 좋지않은 상태를 발생시키는 일이 있다.
종래의 가이드 와이어에 대해서 본 발명의 가이드 와이어(1)는 고착 포인트(P)가 존재하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로크된 상태에서 회전 토크를 전달하기 위해서는 고착 포인트(P)의 1스팬의 권수에 상응하는 작은 회전 토크로 회전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혈관 협착부(11)에 있어서의 가이드 와이어(1)의 회전조작이 극히 용이하게 됨과 아울러, 선단부(1A)의 상기한 바와 같은 손상을 방지하는 고실용성의 특유한 작용 효과가 있어, 가이드 와이어(1)를 사용하는 체강내 치료의 치료성을 특단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가이드 와이어(1)는, 상기한 각 실시예의 형태를 개별로 실시하는 것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배경기술에서의 난점을 해소하여 당해 치료성의 특단의 향상을 꾀하는 고품질 및 고성능의 의료용 가이드 와이어를 제 공할 수 있다.
Claims (8)
- 세경(細徑)형상의 전단부(2A)와 이 전단부(2A)보다 직경이 큰 기단부(2B)로 이루어지는 장척상의 가요성 심재(2)에 있어서의 상기 전단부(2A)에, 양단을 상기 심재(2)에 고착시키는 형태로 코일 스프링체(3)를 끼워 붙인 선단부(1A)를 가지는 의료용 가이드 와이어(1)에 있어서,상기 심재(2)의 전단부(2A)가 선단방향으로 갈수록 단계적으로 또는 서서히 가늘어지게 되는 테이퍼형상으로 형성되고,최소값이 선단(T)에서부터 20㎜이고 최대값이 선단(T)에서부터 50㎜ 이내의 길이는 상기 코일 스프링체(3)와 상기 심재(2)의 비일체화 존(LA)으로 형성되고,또한 상기 선단(T)에서부터 50㎜∼125㎜의 중간 존(L2)에 2∼8개의 고착 포인트(P)를, 상기 선단(T)에서부터 125㎜∼300㎜의 기단측 존(L3)에 1∼3개의 고착 포인트(P)를 각각 형성함과 아울러, 굽힘특성을 길이방향으로 변화시키기 위해서 상기 기단측 존(L3)에 있어서의 고착 포인트(P)의 고착스팬(S)이 상기 중간 존(L2)에 있어서의 고착 포인트(P)의 고착스팬(S)보다도 크게 설정되고,상기 고착 포인트(P)는 상기 코일 스프링체(3)의 내주와 상기 심재(2)의 외주를 고착하여 일체화한 0.3㎜∼1.5㎜폭의 도넛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가이드 와이어.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중간 존(L2)에 있어서의 상기 고착 포인트(P)의 고착스팬(S)이 상기 심재(2)의 전단부(2A)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점차 증가하는 점증형태 또는 점차 감소하는 점감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가이드 와이어.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중간 존(L2)의 상기 고착 포인트(P)가 방사선 불투과재에 의해서 동일 간격의 고착스팬(S)으로 형성되고,상기 코일 스프링체(3)가 방사선 불투과재와 방사선 투과재의 이종(異種)금속이 결합된 단일 코일체에 의해서 형성되고, 또한 그 전단측의 상기 방사선 불투과재에 의해서 형성되는 코일부분(3A)의 길이가 상기 중간 존(L2)의 고착스팬(S)의 1∼3배의 정수배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가이드 와이어.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중간 존(L2)의 상기 고착 포인트(P)를 방사선 불투과재에 의해서 형성하되, 작은 고착스팬(SB)과 큰 고착스팬(SA)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고착 포인트(P)의 유닛부(U)가 1∼2개 배치되도록 이루어지고,상기 코일 스프링체(3)가 방사선 불투과재와 방사선 투과재의 이종금속이 결합된 단일 코일체에 의해서 형성되고, 또한 그 전단측의 상기 방사선 불투과재에 의해서 형성되는 코일부분(3A)의 길이가 상기 중간 존(L2)의 작은 고착스팬(SB)의 1∼3배의 정수배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가이드 와이어.
- 청구항 4에 있어서,상기 중간 존(L2)에 있어서의 상기 고착 포인트(P)의 고착스팬(S)이, 기단측의 큰 고착스팬(SA)과 선단측의 작은 고착스팬(SB)을 조합한 유닛부(U)를 1∼2개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가이드 와이어.
- 삭제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심재(2)의 길이방향으로 병설한 2∼11개의 고착 포인트(P)에 있어서의 대향하는 1쌍의 고착 포인트(P)의 대향 간격(L,ℓ)을 그 대향 부위의 심재(2)의 직경치수를 기준으로 하여 규제 설정하되, 상기 기단측에서 선단방향으로 토크력ㆍ회전 추종성이 동일한 동일형태 또는 점차 감소하는 점감형태가 되도록 하기의 치수관계 (ⅰ)∼(ⅳ)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조합으로부터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가이드 와이어.(ⅰ) 선단부(1A)에 있어서의 고착 포인트(P)의 대향 간격(L,ℓ) 사이에 있어서의 길이방향의 심재(2)가 직경(D,d)을 달리하는 원기둥의 스트레이트 형상일 때,ℓ/L ≤ (d/D)4여기서, D는 대향 간격(L) 사이의 직경, d는 대향 간격(ℓ) 사이의 직경이다.(ⅱ) 대향하는 1쌍의 고착 포인트(P)의 대향 간격(L,ℓ) 사이에 있어서의 길이방향의 심재(2)가 모두 원추대의 테이퍼형상일 때,ℓ/L ≤ {D12+D1ㆍD2+D22)/(D1ㆍD2)3}ㆍ{(d1ㆍd2)3/d12+d1ㆍd2+d22)}여기서, D1은 대향 간격(L) 사이의 큰 직경, d1은 대향 간격(ℓ) 사이의 큰 직경, D2는 대향 간격(L) 사이의 작은 직경, d2은 대향 간격(ℓ) 사이의 작은 직경이다.(ⅲ) 대향하는 1쌍의 고착 포인트(P)의 대향 간격(L,ℓ) 사이에 있어서의 길이방향의 심재(2)가 순차 큰 직경의 원추대의 테이퍼형상과 작은 직경의 원기둥의 스트레이트 형상으로 되어 있을 때,ℓ/L ≤ (1/3)ㆍ{(D12+D1ㆍD2+D22)/(D1ㆍD2)3}ㆍd4여기서, D1은 대향 간격(L) 사이의 큰 직졍, D2는 대향 간격(L) 사이의 작은 직경, d는 대향 간격(ℓ) 사이의 직경이다.(ⅳ) 대향하는 1쌍의 고착 포인트(P)의 대향 간격(L,ℓ) 사이에 있어서의 길이방향의 심재(2)가 순차 큰 직경의 원기둥의 스트레이트 형상과 작은 직경의 원추대의 테이퍼형상으로 되어 있을 때,ℓ/L ≤ {3(D1ㆍD2)3/(d12+d1ㆍd2+d22)}ㆍ(1/D4)여기서, d1은 대향 간격(ℓ) 사이의 큰 직경, d2는 대향 간격(ℓ) 사이의 작은 직경, D는 대향 간격(L) 사이의 직경이다.단, 선단부(1A)에 있어서의 고착 포인트(P)의 대향 간격(L,ℓ) 이내에 상기 심재(2)의 직경에 변경포인트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이들 변경포인트의 평균 직경을 적용한다.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5017573A JP3694312B1 (ja) | 2005-01-26 | 2005-01-26 | 医療用ガイドワイヤ |
JPJP-P-2005-00017573 | 2005-01-26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86820A KR20060086820A (ko) | 2006-08-01 |
KR100790200B1 true KR100790200B1 (ko) | 2008-01-02 |
Family
ID=35033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111782A KR100790200B1 (ko) | 2005-01-26 | 2005-11-22 | 의료용 가이드 와이어 |
Country Status (11)
Country | Link |
---|---|
US (1) | US20060167384A1 (ko) |
EP (1) | EP1685869B1 (ko) |
JP (1) | JP3694312B1 (ko) |
KR (1) | KR100790200B1 (ko) |
CN (1) | CN1810314A (ko) |
AT (1) | ATE387234T1 (ko) |
DE (1) | DE602006000568T2 (ko) |
ES (1) | ES2299156T3 (ko) |
HK (1) | HK1088569A1 (ko) |
PL (1) | PL1685869T3 (ko) |
TW (1) | TWI283591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829684B2 (ja) * | 2006-06-02 | 2011-12-07 | 株式会社エフエムディ | 医療用ガイドワイヤ |
US8439937B2 (en) * | 2007-06-25 | 2013-05-14 | Cardiovascular Systems, Inc. |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opening an occluded lesion |
US8105246B2 (en) | 2007-08-03 | 2012-01-31 |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 Elongate medical device having enhanced torque and methods thereof |
JP2010035819A (ja) * | 2008-08-05 | 2010-02-18 | Fujifilm Corp | 連発式クリップ処置具 |
EP2409724B1 (en) * | 2009-03-19 | 2015-07-08 | Japan Lifeline Co., Ltd. | Medical guide wire |
WO2010134364A1 (ja) * | 2009-05-20 | 2010-11-25 | 日本ライフライン株式会社 | 医療用ガイドワイヤ |
JP5013547B2 (ja) * | 2009-06-16 | 2012-08-29 |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 医療用ガイドワイヤ |
JP4913180B2 (ja) | 2009-07-02 | 2012-04-11 | 株式会社パテントストラ | 医療用ガイドワイヤ、その製造方法、及び医療用ガイドワイヤとバルーンカテーテルとガイディングカテーテルとの組立体 |
JP4913198B2 (ja) * | 2009-10-27 | 2012-04-11 | 株式会社パテントストラ | 医療用ガイドワイヤ、医療用ガイドワイヤの製造方法、医療用ガイドワイヤとマイクロカテーテルとガイディングカテーテルとの組立体、および医療用ガイドワイヤとバルーンカテーテルとガイディングカテーテルとの組立体 |
TW201221166A (en) * | 2010-11-26 | 2012-06-01 | Metal Ind Res & Dev Ct | Structure of medical leading wire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
WO2013114985A1 (ja) * | 2012-02-01 | 2013-08-08 |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メディカルデバイス | ガイドワイヤ |
US8574170B2 (en) * | 2012-04-06 | 2013-11-05 | Covidien Lp | Guidewire |
CN103637835A (zh) * | 2013-11-20 | 2014-03-19 | 周建明 | 脊柱硬膜外微创导管 |
WO2015080948A1 (en) * | 2013-11-26 | 2015-06-04 |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 Medical devices for accessing body lumens |
JPWO2015141290A1 (ja) | 2014-03-19 | 2017-04-06 | テルモ株式会社 | ガイドワイヤ |
WO2016028486A1 (en) * | 2014-08-21 | 2016-02-25 |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 Medical device with support member |
CA2976386A1 (en) * | 2015-02-18 | 2016-08-25 | Retrovascular, Inc. | Radiofrequency guidewire with controlled plasma generation and methods of use thereof |
WO2018051440A1 (ja) * | 2016-09-14 | 2018-03-22 |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 接続構造及びその接続構造を備えたガイドワイヤ |
JP2018201765A (ja) * | 2017-06-01 | 2018-12-27 | オリンパス株式会社 | 医療機器用チューブ |
CN110141294A (zh) * | 2019-06-28 | 2019-08-20 | 微创神通医疗科技(上海)有限公司 | 医用弹簧圈 |
CN114668440A (zh) * | 2020-12-24 | 2022-06-28 | 上海加奇生物科技苏州有限公司 | 栓塞弹簧圈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0803266A2 (en) * | 1996-04-26 | 1997-10-29 | Medtronic, Inc. | Guide wire |
US20040087876A1 (en) * | 2002-11-05 | 2004-05-06 | Scimed Life Systems, Inc. | Medical device having flexible distal tip |
EP1576980A1 (en) * | 2004-03-15 | 2005-09-21 | Asahi Intecc Co., Ltd. | A medical guide wire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721117A (en) * | 1986-04-25 | 1988-01-26 | Advanced Cardiovascular Systems, Inc. | Torsionally stabilized guide wire with outer jacket |
US5253653A (en) * | 1991-10-31 | 1993-10-19 | Boston Scientific Corp. | Fluoroscopically viewable guidewire for catheters |
US5520194A (en) * | 1993-12-07 | 1996-05-28 | Asahi Intecc Co., Ltd. | Guide wire for medical purpose and manufacturing process of coil thereof |
US5479938A (en) * | 1994-02-07 | 1996-01-02 | Cordis Corporation | Lumen diameter reference guidewire |
US5606981A (en) * | 1994-03-11 | 1997-03-04 | C. R. Bard, Inc. | Catheter guidewire with radiopaque markers |
US5497783A (en) * | 1994-05-18 | 1996-03-12 | Scimed Life Systems, Inc. | Guidewire having radioscopic tip |
JPH08173547A (ja) | 1994-12-22 | 1996-07-09 | Piolax Inc | 医療用ガイドワイヤ |
US5797856A (en) * | 1995-01-05 | 1998-08-25 | Cardiometrics, Inc. | Intravascular guide wire and method |
US6139511A (en) * | 1998-06-29 | 2000-10-31 | Advanced Cardiovascular Systems, Inc. | Guidewire with variable coil configuration |
US6620114B2 (en) | 2000-10-05 | 2003-09-16 | Scimed Life Systems, Inc. | Guidewire having a marker segment for length assessment |
-
2005
- 2005-01-26 JP JP2005017573A patent/JP3694312B1/ja active Active
- 2005-10-31 US US11/261,760 patent/US20060167384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5-11-09 TW TW094139214A patent/TWI283591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5-11-10 CN CNA2005101250081A patent/CN1810314A/zh active Pending
- 2005-11-22 KR KR1020050111782A patent/KR10079020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6
- 2006-01-20 ES ES06250319T patent/ES2299156T3/es active Active
- 2006-01-20 DE DE602006000568T patent/DE602006000568T2/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6-01-20 PL PL06250319T patent/PL1685869T3/pl unknown
- 2006-01-20 EP EP06250319A patent/EP1685869B1/en active Active
- 2006-01-20 AT AT06250319T patent/ATE387234T1/de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6-09-27 HK HK06110755A patent/HK1088569A1/xx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0803266A2 (en) * | 1996-04-26 | 1997-10-29 | Medtronic, Inc. | Guide wire |
US20040087876A1 (en) * | 2002-11-05 | 2004-05-06 | Scimed Life Systems, Inc. | Medical device having flexible distal tip |
EP1576980A1 (en) * | 2004-03-15 | 2005-09-21 | Asahi Intecc Co., Ltd. | A medical guide wir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ATE387234T1 (de) | 2008-03-15 |
ES2299156T3 (es) | 2008-05-16 |
DE602006000568T2 (de) | 2009-03-19 |
EP1685869A1 (en) | 2006-08-02 |
DE602006000568D1 (de) | 2008-04-10 |
TW200626192A (en) | 2006-08-01 |
KR20060086820A (ko) | 2006-08-01 |
US20060167384A1 (en) | 2006-07-27 |
CN1810314A (zh) | 2006-08-02 |
PL1685869T3 (pl) | 2008-06-30 |
EP1685869B1 (en) | 2008-02-27 |
HK1088569A1 (en) | 2006-11-10 |
JP2006204386A (ja) | 2006-08-10 |
TWI283591B (en) | 2007-07-11 |
JP3694312B1 (ja) | 2005-09-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90200B1 (ko) | 의료용 가이드 와이어 | |
US7278974B2 (en) | Medical guide wire | |
EP2417999B1 (en) | Guidewire with bent portion fixed with a fixing member | |
EP2361652B1 (en) | Guidewire | |
US6805676B2 (en) | Manoeuverable guide wire and method of using same | |
EP2689795B1 (en) | Guidewire | |
EP2586483A1 (en) | Guidewire | |
JP6061341B2 (ja) | ガイドワイヤ | |
JPS60145155A (ja) | 不透明な先端をもつフロツピなガイドワイヤ | |
EP1088568A1 (en) | Guiding aid for a medical instrument | |
JP4008729B2 (ja) | 圧力センサ付ガイドワイヤ | |
JP4308782B2 (ja) | 医療用ガイドワイヤ及びその製造方法。 | |
JP2002191571A (ja) | 電極カテーテル | |
JP5896480B2 (ja) | ガイドワイヤ | |
JP7509922B2 (ja) | ガイドワイヤ | |
JP7261879B2 (ja) | ガイドワイヤ | |
EP3815733A1 (en) | Guide wire | |
EP3815732B1 (en) | Guide wire | |
EP3815731B1 (en) | Guide wire | |
EP3815734B1 (en) | Guide wire | |
JP2023002154A (ja) | ガイドワイヤ | |
WO2019073569A1 (ja) | ガイドワイヤ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