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9855B1 - 카드 유닛, 기기 유닛, 카드 착탈 방법 및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카드 유닛, 기기 유닛, 카드 착탈 방법 및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9855B1
KR100789855B1 KR1020060028341A KR20060028341A KR100789855B1 KR 100789855 B1 KR100789855 B1 KR 100789855B1 KR 1020060028341 A KR1020060028341 A KR 1020060028341A KR 20060028341 A KR20060028341 A KR 20060028341A KR 100789855 B1 KR100789855 B1 KR 1007898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connector
unit
movable fram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8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1294A (ko
Inventor
나오후미 고스기
고이치 나미마츠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41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12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9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98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61Slidable card holders; Card stiffeners; Control or display mean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8Packaging or power distribution
    • G06F1/183Internal mounting support structures, e.g. for printed circuit boards, internal connecting means
    • G06F1/186Securing of expansion boards in correspondence to slots provided at the computer enclosur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01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 H05K7/1402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for securing or extracting printed circuit boards
    • H05K7/1409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for securing or extracting printed circuit boards by lever-type mechanism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17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having securing means for mounting boards, plates or wiring boards
    • H05K7/1418Card guides, e.g. groo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Mounting Of Printed Circuit Boards And The Like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린트 기판 등의 각종 카드의 착탈 조작을 용이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커넥터(412)에 착탈되는 카드(8)가 탑재되는 카드 유닛(6)으로서, 상기 카드가 탑재되어 신축하는 프레임(604)과, 상기 프레임을 신축시켜 상기 카드를 상기 커넥터에 착탈시키는 착탈 기구(606)를 구비하는 구성이다. 상기 착탈 기구는 회전 조작에 의해서 상기 프레임을 신축시키는 회동 가능한 착탈 레버(640, 724)를 구비한다. 상기 커넥터로부터 상기 카드를 이탈시킨 위치에서 상기 프레임을 유지하는 유지부(유지면부(628, 630))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카드 유닛, 기기 유닛, 카드 착탈 방법 및 전자 기기{CARD UNIT, DEVICE UNIT, CARD ATTACHING/DETACHING 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서버 장치를 전면측에서 보고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배면측에서 본 서버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서버 장치 및 장착 전의 기기 유닛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전면측에서 본 선반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배면측에서 본 선반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선반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7은 선반을 도시하는 배면도.
도 8은 선반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9는 선반을 도시하는 우측면도.
도 1O은 선반을 도시하는 좌측면도.
도 11은 전면측에서 본 카드 유닛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2는 카드 유닛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13은 카드 유닛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14는 카드 유닛을 도시하는 저면도.
도 15는 카드 유닛을 도시하는 우측면도.
도 16은 카드 유닛을 도시하는 좌측면도.
도 17은 전면측에서 본 착탈 레버를 도시하는 도면.
도 18은 배면측에서 본 착탈 레버를 도시하는 도면.
도 19는 일부를 절결하여 도시한 착탈 레버 및 슬라이드 플레이트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20의 (A)는 착탈 레버의 회동 조작을 도시하는 도면, (B)는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인출 조작을 도시하는 도면.
도 21의 (A)는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삽입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B)는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인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22는 카드와 커넥터의 비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23은 카드와 커넥터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24는 서버 장치에 탑재된 기기 유닛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드 유닛의 착탈 레버를 폐쇄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26은 착탈 레버를 개방하여 나타낸 카드 유닛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7은 배면측에서 본 카드 유닛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8은 카드 유닛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29는 카드 유닛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30은 카드 유닛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31은 카드 유닛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32는 카드 유닛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33은 가동 프레임부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34는 착탈 레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5는 착탈 레버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36은 카드의 장착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37은 카드의 장착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38의 (A)는 착탈 레버의 로크 상태를 도시한 도면, (B)는 착탈 레버의 회동 정도를 도시한 도면.
도 39의 (A)는 착탈 레버의 회동 정도를 도시한 도면, (B)는 착탈 레버의 회동 종료를 도시한 도면, (C)는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인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0은 카드와 커넥터의 비결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1은 카드와 커넥터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2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카드 유닛의 착탈 레버를 폐쇄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3은 착탈 레버를 개방한 카드 유닛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44는 스프링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45는 제4 실시예에 따른 카드 유닛의 가동 프레임부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
도 46은 도 45의 XLVI-XLVI 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서버 장치
4 : 기기 유닛
6, 6A, 6B : 카드 유닛
8 : 카드
412 : 커넥터
604 : 프레임
606 : 착탈 기구
610 : 지지 프레임부
612 : 가동 프레임부
616 : 슬라이드 플레이트
628, 630 : 유지면부
640, 724 : 착탈 레버
본 발명은 서버 장치 등의 전자 기기에 탑재되는 프린트 기판 등의 카드의 착탈 구조에 관한 것으로, 서버 장치에 탑재되는 예컨대, PCI(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카드 등의 각종 카드의 착탈에 적합한 카드 유닛, 기기 유닛, 카드 착탈 방법 및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다수의 프린트 기판을 탑재하는 전자 기기로서 예컨대, 서버 장치에서는 시 스템의 규모에 따라 PCI 카드 등의 기능을 확장하기 위한 다수의 카드가 탑재되고, 각 카드는 기능 확장이나 보수 등, 필요에 따라 교환 등을 위해 착탈된다. 이러한 카드 교환을 위해 전원을 차단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과대한 부담을 강요하고, 장해를 유발시킬 위험도 있다. 서버 장치에 있어서의 PCI 카드 등의 보수는 통상, 전원을 차단한 후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대상 카드에 액세스하여 교환 작업을 하거나 또는 전원을 유지한 상태에서라도 교환 카드에 액세스하기 위해서는 드라이버 등의 공구가 필요했다. 또한, 정전 파괴 대책 등의 처리도 필요하다.
이러한 전자 기기에 있어서의 카드 교환 기술 등에 관하여 프린트 기판 등의 카드를 탑재하는 구조로서 카드 커넥터에 유닛화된 카드를 착탈시키는 구성(특허문헌 1) 이나, 인클로저에 기기 유닛을 착탈시킬 때에 유닛에 부착된 레버에 의해서 조작하는 구성(특허문헌 2) 등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일본특허공개2002-353663호 공보(단락번호 0014, 도 1 등)
[특허문헌 2]일본특허공개2004-54967호 공보(단락번호 0037, 도 4 등)
그런데, 서버 장치 등의 전자 기기에 탑재된 교환 가능한 카드에서는 카드와 보드측에 설치된 커넥터와의 착탈에 의해서 접속 정밀도를 저하시키거나, 접점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고, 그 착탈에는 세심한 주의를 할 필요가 있다. 카드 교환에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이용할 경우, 그 공구가 불필요하게 다른 기판 등의 부품에 접촉할 우려가 있다. 또한, 기기의 케이스를 개폐하는 작업을 수반하는 등, 공정수가 많은 경우에는, 교환 등의 보수 효율을 저하시킨다.
이러한 과제에 관해서, 특허문헌 1, 2 에는 그 과제를 개시 또는 시사하고 있지 않고, 또한, 그것을 해결하기 위한 구성 또한 개시도 시사도 하고 있지 않다.
그래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프린트 기판 등의 각종 카드의 착탈 조작을 용이화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카드 교환 등에 따른 커넥터와 카드와의 착탈 조작에 있어서의 착탈 정밀도의 향상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커넥터에 착탈되는 카드가 탑재되는 카드 유닛으로서, 상기 카드가 탑재되어 신축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을 신축시켜 상기 카드를 상기 커넥터에 착탈시키는 착탈 기구를 구비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카드 유닛의 프레임에 탑재된 카드를 착탈 기구에 따라서 프레임을 신축시킴으로써 커넥터에 착탈시킬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카드 유닛에 있어서, 상기 착탈 기구는 회전 조작에 의해서 상기 프레임을 신축시키는 회동 가능한 착탈 레버를 갖추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착탈 레버의 회동에 의해서 착탈 기구를 조작하여 프레임을 신축시킬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카드 유닛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로부터 상기 카드를 이탈시킨 위치에서 상기 프레임을 유지하는 유지부를 갖추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커넥터로부터 카드를 이탈시킨 위치에서 프레임을 유지부에 의해서 유지하면 프레임상에서 카드를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 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카드 유닛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에 상기 카드가 장착된 위치에서 상기 프레임의 이동을 로크하는 로크 기구를 갖추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로크 기구에 의해서 프레임의 이동이 로크되어 커넥터와 카드의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카드 유닛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탑재된 상기 카드를 방호하는 방호 카드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프레임상의 카드가 방호 커버에 의해서 방호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카드 유닛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지지 프레임부와 상기 카드가 탑재되어 이동 가능한 가동 프레임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 프레임부의 이동에 따라서 신축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지지 프레임부에 대하여 이동하는 가동 프레임부의 위치에 의해 프레임이 신장 상태 또는 축소 상태가 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카드 유닛에 있어서, 상기 가동 프레임부에 설치된 베이스부와, 상기 카드에 따라서 고정 위치가 조정되고 상기 베이스부상에 상기 카드를 고정하는 카드 고정 기구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카드의 사이즈나 형상에 관계없이 카드를 베이스부를 통해 가동 프레임부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카드 유닛에 있어서, 상기 착탈 기구는 상기 카드가 탑재되어 이동 가능한 가동 프레임부와, 이 가동 프레임부와 별개 로 설치된 지지 프레임부와, 이 지지 프레임부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슬라이드부와, 이 슬라이드부와 상기 가동 프레임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드부의 이동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가동 프레임부를 이동시키는 이동 방향 변환 기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드부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이동 방향 변환 기구부를 통해 상기 가동 프레임부를 이동시켜, 상기 커넥터에 대하여 상기 카드를 착탈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카드 유닛에 있어서, 상기 로크 기구는 회전 조작에 의해서 상기 프레임을 신축시키는 회동 가능한 착탈 레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그립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그립의 회동에 의해서 해제 가능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프레임의 신축이 로크되어 커넥터에 대한 카드의 장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카드 유닛에 있어서, 상기 착탈 기구에 상기 지지 프레임부에 대하여 이동을 개시하는 이동 개시점, 이동을 종료시키는 이동 종료점을 설정하는 동시에 상기 이동 개시점 또는 상기 이동 종료점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상기 가동 프레임부를 그 위치에서 유지하는 유지부를 갖추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카드의 교환 위치, 커넥터 및 카드의 장착 위치 각각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카드 유닛에 있어서, 상기 가동 프레임부에 탑재된 상기 카드의 상기 커넥터와의 착탈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카드 유닛에 있어서, 상기 이동 방향 변환 기구부는 상기 슬라이드부에 부착된 슬라이드 샤프트와, 상기 가동 프레임부에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 샤프트의 이동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각도를 갖게 한 장공(長孔)을 구비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카드 유닛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부에 설치되어 상기 카드 유닛의 전면측에 빛을 유도하는 도광부를 갖춘 구성으로 해도 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카드 유닛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부에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 샤프트의 이동을 안내하는 동시에, 이동 범위를 규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2 측면은 카드가 탑재된 카드 유닛을 착탈 가능하게 포함하는 기기 유닛으로서, 상기 카드를 착탈시키는 커넥터가 탑재된 기판부와, 이 기판부를 덮고 상기 카드 유닛을 수용하는 하우징부를 구비하는 구성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기기 유닛에 있어서, 상기 카드 유닛은 상기 카드가 탑재되어 이동하는 가동 프레임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 프레임의 이동에 의해, 상기 커넥터에 대해 상기 카드를 착탈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3 측면은 카드 유닛에 탑재된 카드의 커넥터에 대한 카드 착탈 방법으로서, 상기 카드를 탑재한 프레임과 교차 방향으로 슬라이드부를 이동시키고, 상기 슬라이드부의 이동 방향을 변환하는 공정 과, 상기 슬라이드부에 의해 조작된 상기 프레임의 이동에 의해 상기 카드를 상기 커넥터에 대하여 착탈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슬라이드부를 따라서 프레임을 이동시키고, 이 프레임의 이동에 따라 카드를 커넥터에 착탈시킬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4 측면은 카드가 탑재된 카드 유닛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로서, 카드가 탑재된 카드 유닛을 착탈 가능하게 포함하는 기기 유닛을 착탈 가능하게 구비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원하는 카드를 탑재한 카드 유닛을 갖춘 기기 유닛을 이용하여 각종 전자 기기에 탑재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5 측면은 카드가 탑재된 카드 유닛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로서, 상기 카드를 착탈시키는 커넥터가 탑재된 기판부와, 이 기판부를 덮고, 상기 카드 유닛을 수용하는 하우징부를 구비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복수의 카드를 탑재하고 그 교환을 필요로 하는 서버 장치 등의 전자 기기에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카드 유닛의 착탈에 따라서 전환되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의 전환에 의하여 교환 대상인 상기 카드가 착탈되는 상기 커넥터를 버스로부터 분리하는 전환부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버스를 분리한 커넥터에 카드를 장착하고, 카드를 장착한 커넥터에 버스를 접속할 수 있어, 카드의 손상이나 카드의 탑재 기기측의 카드 착탈에 따른 영향을 회피할 수 있다.
〔제1 실시예〕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 및 기기 유닛에 관해서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전면측에서 본 서버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배면측에서 본 서버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서버 장치 및 장착전의 기기 유닛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있어서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전자 기기의 일예로서 서버 장치(2)가 도시되어 있다. 서버 장치(2)에는 1 또는 복수의 기기 유닛(4)이 착탈 가능하게 탑재되고, 기기 유닛(4)은 서버 장치(2)의 부분을 구성한다. 기기 유닛(4)에는 1 또는 복수의 카드 유닛(6)이 착탈 가능하게 탑재된다.
서버 장치(2)에는 본체 케이스(202)의 전면측에 전면 패널부(204), 그 배면측에 전술한 기기 유닛(4)이 착탈 가능하게 탑재되어 있다. 본체 케이스(202)에는 구획 벽(206)에 의해 구획된 복수의 기기 유닛 착탈부(208)가 설정되고, 이 실시예에서는 4조의 기기 유닛(4)이 탑재되어 있다. 각 기기 유닛(4)은 본체 케이스(202)에 착탈되는 선반(402)을 구비하고 있고, 이 선반(402)에 복수의 카드 유닛(6)이 탑재되며, 이 실시예에서는 최대 3조의 카드 유닛(6)이 탑재된다. 카드 유닛(6)에는 프린트 기판 등의 카드(8)(도 14)가 착탈 가능하게 탑재된다.
각 기기 유닛(4)의 선반(402)에는 카드 유닛(6)을 덮는 각이 진 통형의 하우징부(404)가 구비되고, 서버 장치(2)의 내부 회로와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406)가 탑재되어 있는 동시에, 선반(402)을 조작하기 위한 손잡이부(408)가 형성되어 있 다. 기기 유닛(4)은 그 손잡이부(408)가 서버 장치(2)의 배면부에서 돌출하도록 본체 케이스(202)의 기기 유닛 착탈부(208)에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본체 케이스(202)로부터 기기 유닛(4) 또는 그 선반(402)을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출할 수 있는 동시에, 본체 케이스(202)도 선반(402) 또는 기기 유닛(4)을 수납하면, 커넥터(406)에 서버 장치(2)의 내부 회로를 접속할 수 있다. 그리고, 카드 유닛(6)은 본체 케이스(202)상에서 또는 서버 장치(2)로부터 이탈시킨 기기 유닛(4)상의 어디에서도 착탈시킬 수 있다.
다음에, 기기 유닛(4)의 선반(402)에 대해서 도 4, 도 5, 도 6, 도 7, 도 8, 도 9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전면측에서 본 선반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배면측에서 본 선반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선반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7은 선반을 도시하는 배면도, 도 8은 선반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9는 선반을 도시하는 우측면도, 도 10은 선반을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10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3과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한다.
선반(402)의 상면부에는 기판(410)과 함께 카드 유닛(6)에 대응하는 복수의 커넥터(412)가 탑재되어 이들 커넥터(412)를 덮는 예컨대, 금속판으로 형성된 전술한 하우징부(404)와 함께 제어부(414) 등이 탑재되어 있다. 하우징부(404)의 천장부에는 각 커넥터(412)와 대향하여 복수의 레일부로서 선반 레일(416)이 설치되어 있다. 각 선반 레일(416)에는 카드 유닛(6)측의 레일(602)(도 11)을 결합시켜, 카드 유닛(6)이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수직 하방 상태로 지지된다.
또한, 선반(402) 하우징부(404)의 천장부에는 복수의 통기공(417)이 형성되 고, 또한, 하우징부(404)의 측부에는 서버 장치(2)의 본체 케이스(202)의 구획 벽(206)에 밀착시키기 위한 스프링(418)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하우징부(404)의 선반 레일(416)에 카드 유닛(6)의 레일(602)을 삽입하고, 수직 하방 상태로 미끄럼 이동시킴으로써, 카드 유닛(6)을 커넥터(412)의 대응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서버 장치(2)의 구획 벽(206)에 스프링(418)으로 하우징부(404)를 밀착시킬 수 있어, 전자파의 누설 방지 등 실드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다음에, 카드 유닛에 대해서 도 11, 도 12, 도 13, 도 14,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전면측에서 본 카드 유닛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2는 카드 유닛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13은 카드 유닛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14는 카드 유닛을 도시하는 저면도, 도 15는 카드 유닛을 도시하는 우측면도, 도 16은 카드 유닛을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6에서, 도 3, 도 6 및 도 7과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한다.
카드 유닛(6)에는 프린트 기판 등의 카드(8)가 탑재되고 신축 가능한 프레임(604)과, 이 프레임(604)의 신축에 의해서 카드(8)를 커넥터(412)에 착탈시키는 착탈 기구(606)가 설치된다. 프레임(604)에는 지지 프레임부(610) 및 가동 프레임부(612)가 구비되고, 지지 프레임부(610)에 대하여 가동 프레임부(612)를 이동시켜서 프레임(604)을 신축시키는 구성이다. 즉, 프레임(604)은 지지 프레임부(610)에 가동 프레임부(12)를 슬라이드 플레이트(616) 및 복수의 슬라이드 샤프트(614)를 개재하여 연결하고, 슬라이드 플레이트(616)의 이동에 의해서 가동 프레임부(612)를 이동시키는 구성이며, 가동 프레임부(612)에는 카드(8)가 탑재되고, 이 카드(8)가 가동 프레임부(612)의 이동에 따라서 기기 유닛(4)의 커넥터(412)에 착탈된다.
지지 프레임부(610) 및 슬라이드 플레이트(616)는 가동 프레임부(612)의 상부 가장자리부측에서 가동 프레임부(612)를 사이에 끼워서 설치된다. 또한, 지지 프레임부(610)에는 전술한 선반 레일(416)에 끼워 맞추는 레일(602)이 부착되고, 이 레일(602)에는 슬라이드 플레이트(616)를 덮는 가이드부(618)가 구비되어 있고, 이 가이드부(618)는 지지 프레임부(610)와의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시키는 동시에, 복수의 나사(620)에 의해서 지지 프레임부(610)에 고정되어 있다. 즉, 슬라이드 플레이트(616)는 지지 프레임부(610)와 가이드부(618) 사이에서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다.
슬라이드 플레이트(616)에는 그 미끄럼 이동 방향과의 직교 방향으로 복수의 슬라이드 샤프트(614)가 고정되어 있고, 가동 프레임부(612)에는 슬라이드 샤프트(614)의 이동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경사시킨 복수의 경사 구멍(622)이 형성되고, 각 경사 구멍(622)에는 슬라이드 샤프트(614)가 관통하고 있다. 또한, 지지 프레임부(610)에는 슬라이드 샤프트(614)와의 이동 방향에 대응하여 가이드 구멍(624)이 형성되어 있다. 즉, 슬라이드 플레이트(616)와 함께 이동하는 슬라이드 샤프트(614)를 가동 프레임부(612)의 경사 구멍(622)에 끼워 맞춤으로써 슬라이드 샤프트(614)의 이동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가동 프레임부(612)를 이동시킬 수 있어, 이동 방향 변환부(626)가 구성되어 있다. 이 이동 방향 변환부(626)는 슬라이드 플레이트(616)의 이동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가동 프레임부(612)의 이동 방 향을 변환하는 이동 방향 변환 기구를 구성한다.
경사 구멍(622)의 각 종단부에는 슬라이드 샤프트(614)를 유지하는 유지부로서 유지면부(628, 630)가 형성되어 있다. 이 유지면부(628) 또는 유지면부(630)에 슬라이드 샤프트(614)가 도달하면, 가동 프레임부(612)가 정지 상태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카드 유닛(6)은 레일(602)에 의해서 기기 유닛(4)의 하우징부(404)에 유지된 상태로, 이동 방향 변환부(626)의 슬라이드 플레이트(616)의 이동에 따라 가동 프레임부(612)가 이동함으로써, 가동 프레임부(612)에 부착되어 있는 카드(8)를 전술한 커넥터(412)에 착탈시킬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플레이트(616)의 선단부에는 스위치 조작에 이용하는 조작부(627)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 프레임부(610)의 전단부에는 전면 패널부(632)가 부착되고, 지지 프레임부(610)에 부착된 도광부로서 복수의 라이트 파이프(634, 636)의 선단부가 전면 패널부(632)에 노출되어 인디케이터부(638)를 구성하고 있다. 이들 라이트 파이프(634, 636)를 통해서 빛이 카드 유닛(6)의 후방부로부터 전면 패널부(632)측으로 유도된다.
슬라이드 플레이트(616)의 전단측에는 카드(8)의 착탈 조작에 이용되는 착탈 레버(640)와 함께, 슬라이드 플레이트(616) 및 가동 프레임부(612)의 이동 개시점을 결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바(642)가 지지축(643)에 의해서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착탈 레버(640)와 가동 프레임부(612) 사이에는 양자의 이동을 로크하는 로크 기구(644)가 설치되어 있다. 착탈 레버(640)에는 로크 아암(646)이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고, 이 로크 아암(646)의 선단부가 가동 프레임부(612)에 부착된 보강 프레임부(648)의 로크 구멍(650)에 삽입되어 끼워 맞춰져서, 가동 프레임부(612)의 이동을 저지하는 로크 상태가 유지된다.
전면 패널부(632)에는 그 상부에 하우징부(404)와의 사이의 간극을 보완하기 위해서 예컨대, 스프링판으로 구성되는 실드 스프링(652)이 부착되어 있는 동시에, 그 측면부에도 인접하는 다른 카드 유닛(6)과의 간극을 보완하기 위한 실드 스프링(654)이 부착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보강 프레임부(648)의 측면부 및 저면부에도 인접하는 다른 카드 유닛(6)과의 간극을 보완하기 위한 실드 스프링(656, 657)이 부착되어 있다.
가동 프레임부(612)에는 카드(8)를 방호하기 위한 방호 커버(658)가 부착되고, 이 방호 커버(658)에는 가동 프레임부(612)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복수의 장착 아암부(660)가 구비되어 있다. 방호 커버(658)는 예컨대, 합성 수지로 일체 성형되어 있고, 소재가 갖는 유연성으로 카드(8)에 대한 외력을 완충하는 동시에, 복수의 통풍 구멍(662)이 구비되어 카드(8)의 과열을 방지하고 있다.
다음에, 착탈 레버(640)에 대해서, 도 17,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7은 전면측에서 본 착탈 레버를 도시한 도면, 도 18은 배면측에서 본 착탈 레버를 도시한 도면, 도 19는 일부를 절결하여 도시한 착탈 레버 및 슬라이드 플레이트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7 내지 도 19에서 도 11 내지 도 16과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한다.
착탈 레버(640)에는 슬릿(664)을 설치하고 한 쌍의 레버 부재(666, 668)이 구비되어 있는 동시에, 그립부(670)가 형성되어 있다. 각 레버 부재(666, 668)에는 슬라이드플레이트(616)(도 15)와 함께 위치 결정바(642)가 끼워지는 동시에, 이들은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지지축(643)을 관통시키는 지지 구멍(672)이 형성되어 있다. 착탈 레버(640)의 본체부(674)에는 로크 아암(646)의 슬라이드부(678)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슬라이드부(678)에 고정 나사(680)에 의해서 슬라이더(682)가 고정되어, 이 슬라이더(682)가 본체부(674)의 공간부(684)에 압축 상태의 스프링(686)과 함께 수납되어 있다. 이 스프링(686)의 복원력이 로크 아암(646)과 본체부(674) 사이에 작용하여 로크 아암(646)이 로크 위치에 유지된다. 로크 아암(646)의 후크부(690)는 가동 프레임부(612)의 보강 프레임부(648)의 로크 구멍(650)에 삽입되어, 가동 프레임부(612)가 로크 아암(646)을 통해 슬라이드 플레이트(616)와 로크된다. 작업자가 슬라이드부(678)를 스프링(686)의 복원력에 대항하여 하방으로 누름으로써, 로크 아암(646)을 그립(670)측의 로크 해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레버 부재(666, 668)에는 전면 패널부(632)의 전면부에 접촉시켜 이동시키기 위한 캠면(694)이 형성되어 있다. 캠면(694)은 회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만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플레이트(616)가 전면 패널부(632)로부터 인출된 상태로, 위치 결정바(642)의 선단부를 전면 패널부(632)에 밀착시킨 위치가 슬라이드 플레이드(616) 및 가동 프레임부(612)의 이동 개시점이며, 이 위치에서 전면 패널부(632)로부터 위치 결정바(642)와의 접촉을 해제하여 슬라 이드 플레이트(616)를 전진시키고, 가동 프레임부(612)를 하강시키면 카드(8)가 소정의 커넥터(412)에 적정하게 삽입된다.
다음에, 착탈 레버(640) 및 슬라이드 플레이트(616)의 조작에 대해서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0의 (A)는 착탈 레버의 회동 조작을 도시한 도면, 도 20의 (B)는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인출 조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0에 있어서 도 11 내지 도 19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한다.
도 20의 (A)에 있어서, 착탈 레버(640)의 슬라이드부(678)를 화살표 a로 도시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로크 아암(646)의 로크 상태를 해제하고, 그립(670)을 화살표 b로 도시하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캠면(694)이 전면 패널부(632)의 전면을 굴러 가고, 지지축(643)이 전면 패널부(632)로부터 떨어진다. 그 결과, 슬라이드 플레이트(616)는 화살표 c로 도시하는 방향으로 인출된다.
도 2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착탈 레버(640)를 슬라이드 플레이트(616)의 연장선상(수평)에 유지한 상태로 슬라이드 플레이트(616)를 화살표 d로 도시하는 방향으로 인출하면 슬라이드 플레이트(616)의 이동에 의해 가동 프레임부(612)가 최상부로 이동한다.
또한, 가동 프레임부(612)를 하강시키기 위해서는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 결정바(642)가 전면 패널부(632)에 접하는 위치에 슬라이드 플레이트(616)를 유지하고, 이 위치로부터 도 20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살표 b와 반대 방향으로 착탈 레버(640)를 회동시킴으로써, 가동 프레임부(612)를 소정 위치로 하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카드(8)를 커넥터(412)에 적당하게 삽입할 수 있다.
다음에, 이동 방향 변환부(626)의 동작에 대해서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1의 (A)는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삽입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21의 (B)는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인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1에서 도 1 내지 도 20과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한다.
도 21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 플레이트(616)를 화살표 e로 도시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슬라이드 샤프트(614)가 가동 프레임부(612)의 경사 구멍(622)을 상사점(上死點)측으로 이동하고, 가동 프레임부(612)는 화살표 f로 도시하는 방향으로 하강한다. 이동 방향 변환부(626)에 의한 이동 방향의 변환이 실행된다. 슬라이드 샤프트(614)는 경사 구멍(622)의 종단부에 있는 유지면부(628)에서 유지되고, 가동 프레임부(612)가 정지 상태로 유지된다. 이 경우, 슬라이드 샤프트(614)의 이동 범위가 가동 프레임부(612)의 이동 거리 Δm1이다.
또한, 도 21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 플레이트(616)를 화살표 g로 도시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슬라이드 샤프트(614)가 가동 프레임부(612)의 경사 구멍(622)을 하사점(下死點)측으로 이동하고, 가동 프레임부(612)는 화살표 h로 도시하는 방향으로 상승한다. 슬라이드 샤프트(614)는 경사 구멍(622)의 종단부에 있는 유지면부(630)에서 유지되고, 가동 프레임부(612)가 정지 상태로 유지된다. 즉, 슬라이드 샤프트(614)의 이동 범위를 따라서 가동 프레임부(612)는 이동 거리 Δm1 만큼 상승하게 된다.
다음에, 기기 유닛(4) 내에서의 카드(8)와 커넥터(412)의 착탈에 대해서,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2는 카드와 커넥터의 비결합 상태를 도시하 는 도면, 도 23은 커넥터와 카드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 및 도 23에 있어서 도 11 내지 도 21과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한다.
도 22에 도시한 것처럼, 전술한 바와 같이 로크 아암(646)을 가동 프레임부(612)의 보강 프레임부(648)의 로크 구멍(650)에서 벗어나 슬라이드 플레이트(616)를 지지 프레임부(610)의 전면 패널부(632)로부터 인출하면, 가동 프레임부(612)가 슬라이드 플레이트(616)의 이동에 따라서 상승하고, 가동 프레임부(612)에 탑재된 카드(8)는 기기 유닛(4)의 커넥터(412)로부터 벗어나 비결합 상태가 된다. 이 상태로 카드(8)의 교환이 가능하다.
그리고,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 결정바(642)를 전면 패널부(632)에 맞춘 상태로 슬라이드 플레이트(616)를 유지하고, 위치 결정바(642)의 전면 패널부(632)와의 접촉을 해제하여, 착탈 레버(640)를 도 20의 화살표 b와 반대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도 2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 프레임부(612)가 하강한다. 즉, 슬라이드 플레이트(616)가 지지 프레임부(610)의 전면 패널부(632)내로 밀어 넣어지면 가동 프레임부(612)가 하강하고, 가동 프레임부(612)에 탑재된 카드(8)는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넥터(412)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그리고, 로크 아암(646)을 보강 프레임부(648)에 끼워 맞추면 착탈 레버(640)와 지지 프레임부(610)가 로크 상태가 되고, 슬라이드 플레이트(616)의 이동이 저지되기 때문에, 가동 프레임부(612)의 이동이 저지된다. 그 결과, 카드(8)는 커넥터(412)와의 결합 상태가 유지되어 안정된 접속 상태가 유지된다.
다음에, 기기 유닛을 이용한 서버 장치에 관해서 도 24를 참조하여 설명한 다. 도 24는 서버 장치에 탑재된 기기 유닛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4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23과 동일 부분에는 공통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의 편의상, 부기 A, B에 의해서 구별하고 있다.
기기 유닛(4)에는 카드 유닛(6A, 6B)에 대응하여 커넥터(412A, 412B)가 설치된다. 이 경우, 커넥터(412A)에는 버스(420A)가 접속되고, 커넥터(412B)에는 버스(420B)가 접속되는 동시에, 버스(420A, 420B)로부터 커넥터(412A, 412B)를 분리하는 접속 전환부(422A, 422B)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접속 전환부(422A, 422B)를 제어하기 위해서, 서버 장치(2)에는 커넥터 착탈 제어부(424)가 설치되고, 이 커넥터 착탈 제어부(424)는 서버 장치(2)측의 호스트 컴퓨터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커넥터 착탈 제어부(424)에는 카드(8A, 8B)의 이상 등을 표시하는 인디케이터로서 예컨대, LCD(Liquid Crystal Display)(426)가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카드(8A, 8B)의 착탈을 표시하는 LCD(42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커넥터 착탈 제어부(424)에는 슬라이드 플레이트(616)의 조작부(627)에 의해서 조작되는 스위치(430A, 430B)가 접속되어 그 조작에 의해 개폐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카드 유닛(6A)측의 슬라이드 플레이트(616)의 인출이 시작되어, 스위치(430A)가 예컨대, ON에서 OFF로 전환되면, 커넥터 착탈 제어부(424)로부터 접속 전환부(422A)로 전환 제어 신호가 발생하고, 이 접속 전환부(422A)에 의해서 커넥터(412A)는 버스(420A)로부터 분리된다. 이 상태로 카드(8A)의 이탈이 가능해지고, 슬라이드 플레이트(616)를 인출함으로써, 카드(8A)는 커넥터(412A)에 대하여 결합 상태에서 비결합 상태로 안전하게 이행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플레이트(616)의 일련의 인출 조작으로 카드(8A)를 활전(活電) 상태에서 비활전 상태로 이행시키는 동시에, 커넥터(412A)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어 다른 카드(8A)로 교환할 수 있다.
그리고, 교환된 카드(8A)를 카드 유닛(6A)과 함께 기기 유닛(4)에 장착하여 슬라이드 플레이트(616)를 이동시키면, 소정 위치에서 카드(8A)가 커넥터(412A)에 결합된 후, 슬라이드 플레이트(616)의 이동에 의해 스위치(430A)가 OFF 에서 ON 상태로 전환되어 접속 전환부(422A)를 접속 상태로 이행시킬 수 있기 때문에, 카드(8A)는 커넥터(412A)를 통해 버스(420A)에 접속된다.
이 카드(8A)의 교환 처리는 다른 카드(8B)의 활전 상태에 아무런 영향을 주는 일없이 독자적으로 행할 수 있다. 게다가, 카드(8A)에 관해서 카드(8A)의 커넥터(412A)를 이탈 전에 버스(420A)와의 절단을 행할 수 있고, 카드(8A)의 커넥터(412A)와의 결합후에 버스(420A)와의 접속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카드(8A)의 착탈이 버스(420A)측으로의 처리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신뢰성 있는 카드 교환을 실현하고 있다.
〔제2 실시예〕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드 유닛 및 착탈 레버에 대해서, 도 25, 도 26, 도27, 도 28, 도 29, 도 30, 도 31, 도 32, 도 33, 도 34, 도 35, 도 36 및 도 3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5는 착탈 레버를 폐쇄 상태로 한 카드 유닛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6은 착탈 레버를 개방 상태로 한 카드 유닛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7은배면측에서 본 카드 유닛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8은 카드 유닛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29는 카드 유닛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30은 카드 유닛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31 및 도 32는 카드 유닛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33은 가동 프레임부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34는 착탈 레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5는 착탈 레버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36 및 도 37은 카드의 장착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5 내지 도 37에서 도 1 내지 도 24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한다.
이 카드 유닛(6)은 전술한 카드 유닛(6, 6A, 6B)(도 1 내지 도 24) 대신에, 도 1 내지 도 3 및 도 24에 도시하는 서버 장치(2), 도 4 내지 도 7에 도시하는 기기 유닛(4)에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카드 유닛(6)과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25 내지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카드 유닛(6)에서는 지지 프레임부(610)의 상면에 장척형(長尺形)의 레일(602)이 복수의 고정 나사(700)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이 레일(602)의 하면측에는 지지벽(702)과 함께 슬라이드 샤프트(614)의 이동을 안내하는 장공(704)을 구비한 가이드부(706)가 형성되어 있다. 이 레일(602)과 프레임(604)의 지지 프레임부(610) 사이에는 라이트 파이프(634, 636)를 지지하는 라이트 파이프 브래킷(708)이 장착되고, 이 라이트 파이프 브래킷(708)에는 레일(602)을 고정하는 고정 나사(700)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부(710)와 함께, 라이트 파이프(634, 636)와 맞물리는 걸림부(712)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부(610)에 형성된 복수의 가는 장공(714)을 관통시킨 각 걸림부(712)에 각 라이트 파이프(634, 636)의 브리지부(716)를 걸어 고정시킴으로써, 각 라이트 파이프 (634, 636)가 지지 프레임부(610)의 하면측에 설치된다. 또한, 라이트 파이프 브래킷(708)의 후단부에는 라이트 파이프(634, 636)를 관통시켜 지지하는 지지부(717)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부(610)의 전방부에는 전면 패널부(632)가 부착되고, 이 전면 패널부(632)에 형성된 장공(635)으로부터 슬라이드 플레이트(616)가 삽입되고, 이 슬라이드 플레이트(616)는 지지 프레임부(610)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평행하게 유지된다. 슬라이드 플레이트(616)의 중도부에는 복수의 슬라이드 샤프트(614)가 고정 나사(718)에 의해서 고정되어, 각 슬라이드 샤프트(614)는 가동 프레임부(612)의 경사 구멍(622)에 삽입된다. 슬라이드 플레이트(616), 슬라이드 샤프트(614) 및 가동 프레임부(612)의 경사 구멍(622)에 의해 슬라이드 플레이트(616)의 수평 방향의 이동을 가동 프레임부(612)의 상하 방향의 이동으로 변환하는 이동 방향 변환부(626)가 구성되어 있다.
슬라이드 플레이트(616)의 후단부에는 L 자형의 스토퍼부(720)가 형성되고, 이 스토퍼부(720)에 형성된 지지 구멍(722)에는 착탈 레버(724)측의 지지축(726)이 회동 가능하게 e 링(728)에 의해 고정된다.
가동 프레임부(612)에는 카드(8)를 탑재하는 판형의 베이스부(730)가 설치되고, 이 베이스부(730)에 카드(8)가 설치된다. 베이스부(730)에는 카드(8)의 사이즈 또는 크기에 대응하는 조정 고정 기구(732)가 설치되어 있다. 가동 프레임부(612) 및 베이스부(730)의 양쪽에는 카드(8)의 높이 방향 가장자리부에 대응하는 복수의 슬라이드 구멍(734), 카드(8)의 폭 방향 가장자리부에 대응하는 복수의 슬라이드 구멍(736)이 형성되어 있고, 가동 프레임부(612)측의 슬라이드 구멍(734, 736)에는 슬라이드부(738)를 미끄럼 이동시키는 레일부(740)가 장착된다. 슬라이드부(738)에는 카드(8)의 가장자리부에 접촉되어 카드(8)를 고정하는 브래킷(742)이 고정 나사(744)에 의해서 부착되고, 각 브래킷(742)은 각 슬라이드부(738)에 고정 나사(744)를 느슨하게 함으로써 미끄럼 이동 가능하고, 카드(8)의 크기나 형상에 대응한 위치에 브래킷(742)을 위치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베이스부(730)에는 카드(8)의 커넥터부(802)를 포위하는 커버부(746)가 형성되고, 이 커버부(746)는 가동 프레임부(612)의 지지부(748)에 형성된 관통 구멍부(750)에 삽입된다. 카드(8)의 전방 가장자리부에는 고정 핀(804)이 부착되어 있고, 이 고정 핀(804)은 가동 프레임부(612)의 보강 프레임부(648)에 고정된다.
또한, 가동 프레임부(612)에는 베이스부(730) 및 카드(8)를 덮는 예컨대, 합성 수지로 형성된 방호 커버(658)가 설치되고, 이 방호 커버(658)에 의해서 카드(8)가 방호된다. 방호 커버(658)에는 가동 프레임부(612)에 착탈시키는 착탈 다리부(752)가 형성되어 있다.
가동 프레임부(612)의 전면 패널부(632)의 상면 및 측면에는 각각 실드 스프링(652, 654)이 부착되는 동시에, 가동 프레임부(612)의 전방 가장자리부측에 고정된 보강 프레임부(648)의 측면부 및 하면부에도 스프링판으로 이루어지는 실드 스프링(753, 754, 755, 756)이 부착되고, 인접 부재와의 간극이 이들 실드 스프링(652, 654, 753, 754, 755, 756)에 의해서 보완되어 기기 유닛(4)의 전면측으로부터의 전자파의 누설이 방지된다.
또한,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 프레임부(612)의 전방 가장자리부에는 보강 프레임부(648)를 부착시키는 보강 프레임 부착부(758)가 형성되어 있고, 이 보강 프레임 부착부(758)와 보강 프레임부(648) 사이에는 보강 프레임부(648)의 배면측 형상에 대응하는 예컨대, 스프링판으로 이루어지는 실드 플레이트(76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보강 프레임부(648)의 상부에는 지지 프레임부(610)에 부착되는 전면 패널부(632)에 삽입되는 삽입 프레임부(762)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보강 프레임부(758)와 지지부(748) 사이에는 브리지 지지편(764)이 부착되어 양자의 기계적 강도가 높아진다.
보강 프레임부(648)의 프레임 본체부(765)의 측부에는 창부(766)가 형성되고, 또한, 보강 프레임부(648)에는 착탈 레버(724)의 가이드부(790)(도 34)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부(770)가 형성된다.
그리고, 착탈 레버(724)가 지지축(726)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부착된 슬라이드 플레이트(616)의 스토퍼부(720)에는,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착탈 레버(724)의 회동을 정지시키는 스토퍼(772)가 형성되고, 이 스토퍼 부재(772)가 착탈 레버(724)의 회동시점 P1을 구성한다. 착탈 레버(724)는 지지축(726)을 중심으로 하여 90도 이상의 회동이 가능하지만, 착탈 레버(724)를 슬라이드 플레이트(616)와 직교 상태가 되는 회동 시점 P1에서 슬라이드 플레이트(616)와 일치하는 예컨대, 수평 상태가 되는 90도 각도의 위치에 회동 정지점 P2가 설정되고, 이 회동 정지점 P2를 작업자에게 시사하기 때문에, 착탈 레버(724)와 슬라이드 플레이트(616)의 스토퍼부(720) 사이에 클릭 기구(774)가 형성된다. 이 클릭 기구(774)는 이 실시예의 경 우, 착탈 레버(724)와 접촉하는 돌기부(776)가 슬라이드 플레이트(616)측에 형성되고, 이 돌기부(776)에 대응하는 오목부(778)가 착탈 레버(724)측에 형성되어 있다. 즉, 지지축(726)을 중심으로 하여 스토퍼 부재(772)와 돌기부(776)가 이루는 각도가 소정 각도로서 예컨대, 90도이며 오목부(778) 및 돌기부(776)의 위치 관계는 양자의 궤적 상에 있다. 슬라이드 플레이트(616)의 돌기부(776)와 착탈 레버(724) 사이에는 양자의 마찰에 의해서 부하가 인가되고 있는 데 대하여, 돌기부(776)가 오목부(778)에 끼워 넣어지면 회동 부하가 부분적으로 해제되므로, 작업자에게는 클릭감이 부여되어 회동 정지점 P2를 감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 시점에서 회동을 정지시키면 착탈 레버(724)는 슬라이드 플레이트(616)와 수평 상태(직선형)로 유지된다.
그리고, 착탈 레버(724)의 종단부에는 그립(768)이 지지축(769)에 의해서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고, 이 그립(768)은 예컨대, 합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그립(768)과 착탈 레버(724) 사이에는 그립(768)의 회동을 규제하는 회동 규제부(780)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보강 프레임부(648) 사이에는 착탈 레버(724)의 회동을 저지하는 스토퍼 기구(782)가 형성되어 있다. 회동 규제부(780)는 그립(768)측에 형성된 돌기부(784)와, 착탈 레버(724)측에 형성된 회동 규제창(786)으로 구성되어 돌기부(784)가 회동 규제창(786)에 삽입되고, 회동 규제창(786)의 개구 범위로 돌기부(784)의 이동이 제한된다.
스토퍼 기구(782)는 그립(768)의 후방부에 형성된 정지 멈춤쇠부(788)와 보강 프레임부(648)측의 스토퍼 부재(792)로 구성되어 있다. 보강 프레임부(648)에는 착탈 레버(724)에 형성된 가이드부(790)가 삽입되는 삽입부(770)가 형성되고, 이 삽입부(770) 내에는 전술한 스토퍼 부재(792)가 형성되어 있다. 착탈 레버(724)가 슬라이드 플레이트(616)의 스토퍼 부재(772)에 접촉하는 동시에 보강 프레임부(648)에 밀착된 상태로, 가이드부(790)와 함께 그립(768)이 보강 프레임부(648)측의 삽입부(770)에 삽입되면 그립(768)의 정지 멈춤쇠부(788)가 스토퍼 부재(792)에 걸어 맞추어져 착탈 레버(724)의 회동이 저지된다. 이 상태에서 가동 프레임부(612)의 이동이 저지된다. 착탈 레버(724)를 회동하기 위해서는, 그립(768)을 조작하여 정지 멈춤쇠부(788)와 스토퍼 부재(792)의 결합을 해제해야 한다.
착탈 레버(724)에는 회동 중심인 지지축(726)을 중심으로 슬라이드 플레이트(616)의 인출 길이(위치)를 규제하는 길이 L 로 설정된 위치 결정부(793)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이 위치 결정부(793)에는 캠면(795)이 형성되고, 이 캠면(795)은 전면 패널부(632)에 접촉하여 회동하는 만곡면이다. 이 캠면(795)은 제1 실시예의 캠면(694)에 대응한다. 그리고, 착탈 레버(724)는 도 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테인레스판의 스탬핑 가공에 의해서 형성된 복수의 착탈 레버 부재(724A, 724B, 724C, 724D, 724E)를 적층하고, 리벳(794)에 의해서 일체화되어 있다. 각 착탈 레버 부재(724A, 724B, 724C, 724D, 724E)에는 지지축(726)을 지지하는 지지 구멍(796)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리벳 구멍(798)이 형성되어 있다. 착탈 레버(724)는 금속 부재의 적층체가 아니라 단량체의 금속체에 의해 구성해도 된다.
그리고, 이러한 구성의 카드 유닛(6)의 가동 프레임부(612)에 부착된 베이스부(730)에는 조정 고정 기구(732)의 위치 조정에 의해, 도 3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은 사이즈의 카드(8) 또는 도 3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큰 사이즈의 카드(8)를 부착할 수 있어 사이즈에 관계없이 가동 프레임부(612)에 카드(8)가 탑재된다.
다음에, 착탈 레버(724) 및 슬라이드 플레이트(616)의 조작에 대해서 도 38 및 도 3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8의 (A)는 착탈 레버(724)의 로크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8의 (B)는 착탈 레버(724)의 회동 도중을 도시한 도면, 도 39의 (A)는 착탈 레버(724)의 회동 도중을 도시한 도면, 도 39의 (B)는 착탈 레버(724)의 회동 종료를 도시한 도면, 도 39의 (C)는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인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8 및 도 39에 있어서 도 25 내지 도 37과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한다.
도 3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착탈 레버(724)의 로크 상태에서, 그립(768)을 화살표 i로 도시하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착탈 레버(724)의 로크 상태가 해제되고, 회동 가능 상태가 된다. 이 경우, 슬라이드 플레이트(616)의 스토퍼부(720)는 전면 패널부(632)에 접촉하고, 또한, 착탈 레버(724)는 슬라이드 플레이트(616)의 스토퍼부(720)의 스토퍼 부재(772)에 접촉해 있다.
도 3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립(768)을 화살표 j로 도시하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캠면(795)이 전면 패널부(632)의 전면상에 접촉하여 회동하고, 그 회동에 따라서 슬라이드 플레이트(616)가 전면 패널부(632)의 전방으로 인출된다. 도 3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착탈 레버(724)의 회동을 화살표 k로 도시하는 방향으로 회동시키고, 도 39의 (B) 위치에 착탈 레버(724)가 도달하면, 착탈 레버(724)측의 오목부(778)에 슬라이드 플레이트(616)측의 돌기부(776)가 결합되어(도 34) 클릭감이 생긴다. 이 위치에서 착탈 레버(724)의 회동을 정지하면, 슬라이드 플레이트(616)와 착탈 레버(724)는 수평으로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도 39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살표 o로 도시한 방향으로 착탈 레버(724)와 함께 슬라이드 플레이트(616)를 인출하면, 돌출 폭 ΔM 이 생긴다. 즉, 이 돌출 폭 ΔM 은 위치 결정부(793)의 선단부를 전면 패널부(632)에 접촉한 경우의 돌출 폭 Δm2 보다 크고 (ΔM > Δm2), 이들 돌출 폭 ΔM, Δm2 의 차 ΔMm(= ΔM - Δm2)는 경사 구멍(622)의 종단부에 있는 유지면부(630)(도 33)에 슬라이드 샤프트(614)를 도달시켜서 유지시키는 부분이며, 이로 인해 가동 프레임부(612)가 유지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도 3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착탈 레버(724)의 선단부를 전면 패널부(632)의 전면에 접촉시키면, 위치 결정부(793)로 설정된 인출 길이 L(도 34)에 의해 슬라이드 플레이트(616)의 돌출 폭 Δm2 가 설정된다. 이 위치가 가동 프레임부(612)에 탑재된 카드(8)의 커넥터(412)로의 착탈 위치이다. 이 위치에서 착탈 레버(724)의 캠면(795)을 전면 패널부(632)에 접촉시키면서 화살표 n으로 도시하는 방향으로 착탈 레버(724)를 회동시키고, 도 39의 (A)의 화살표 p, 도 38의 (B)의 화살표 q로 도시한 바와 같이 연속된 회동을 거쳐서 도 38의 (A)에 도시한 위치에 도달시키면, 카드(8)는 커넥터(412)에 장착된다. 그리고, 그립(768)을 도 38의 (A)의 화살표 r로 도시하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그립(768)이 로크되어 착탈 레버(724)의 회동이 저지되고, 카드(8)와 커넥터(412)와의 결합 상태가 유지된다. 캠면(795)을 전면 패널부(632)에 접촉시키면서, 착탈 레버(724)를 회동시키는 것은 그 회동에 따라 슬라이드 플레이트(616)가 지지 프레임부(610)를 따라서 전면 패널 부(632) 내로 이동하는 동시에, 카드(8)가 커넥터(412)의 최적 위치로 하강하게 된다.
다음에, 기기 유닛 내의 카드 유닛과 커넥터와의 착탈에 대해서, 도 40 및 도 4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0은 카드와 커넥터의 비결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1은 커넥터와 카드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0 및 도 41에 있어서 도 25 내지 도 37과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한다.
슬라이드 플레이트(616)는 도 38 및 도 3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착탈 레버(724) 등의 조작에 의해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래서, 도 40(도 3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착탈 레버(724)를 수평으로 유지한 상태에서는 가동 프레임부(612)에 탑재된 카드(8)는 커넥터(412)로부터 이탈한 상태(비결합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위치 결정부(793)에 의해서 슬라이드 플레이트(616)의 돌출 폭 Δm2 를 유지하고, 착탈 레버(724)를 화살표 s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동시키고, 전면 패널부(632)에 접촉시키면, 도 4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 프레임부(612)에 탑재된 카드(8)를 커넥터(412)에 장착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카드 유닛에 대해서 도 42, 도 43 및 도 4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2는 착탈 레버를 폐쇄한 카드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도 43은착탈 레버를 개폐한 카드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도 44는 스프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2 내지 도 44에 있어서, 도 25 내지 도 37과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보강 프레임부(648)의 측면부에 복수의 창부(900)가 형성되고, 이 창부(900)에 대응하는 돌출부(902)를 갖춘 단면 C 자형의 실드 스프링(904)을 설치하고, 돌출부(902)를 창부(900)로부터 돌출시킨다. 복수의 돌출부(902)는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관통 구멍(906)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이 실드 스프링(904)의 돌출 상태는 착탈 레버(724)에 형성된 스프링 조작부(908)가 실드 스프링(904)에 접촉함으로써 유지된다. 즉, 스프링 조작부(908)가 보강 프레임부(648) 내에 있을 때, 그 측면으로부터 실드 스프링(904)이 압출된다. 이 상태에서 인접하는 카드 유닛(6)이 밀착 상태가 되어, 전자파의 누설이 방지된다.
그리고, 카드 유닛(6)에 대하여 카드(8)를 착탈시킬 때에는, 도 4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착탈 레버(724)가 보강 프레임부(648)로부터 이탈하고, 실드 스프링(904)과의 접촉이 해제되므로, 실드 스프링(904)은 보강 프레임부(648)의 내측으로 후퇴한다. 이러한 후퇴 상태가 됨으로써, 실드 스프링(904)의 다른 부재와의 접촉이 회피되어, 불필요한 응력으로부터 실드 스프링(9O4)을 방호할 수 있고, 변형 등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제4 실시예〕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카드 유닛에 대해서 도 45 및 도 4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5는 다른 조정 고정 기구를 구비하는 가동 프레임부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 도 46은 도 45의 XLVl--XLVI 선 단면도이다. 도 45 및 도 46에 있어서, 도 25 내지 도 37과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한다.
카드(8)를 탑재하는 가동 프레임부(612)의 전면부에는 카드(8)의 고정 위치 가 조정되는 조정 고정 기구(910)가 설치되고, 이 조정 고정 기구(910)에서는 가동 프레임부(612)의 전면에 레일부(912)가 설치되고, 이 레일부(912)는 합성 수지 등에 의해서 형성되고, 톱니 모양 요철부(914)가 형성되어 있다. 레일부(912)에는 카드(8)의 고정 위치에 대응하는 고정 슬라이더(916)가 설치되고, 이 고정 슬라이더(916)에는 요철부(914)에 대응하는 요철부(918)가 형성되어, 이들 요철부(914, 918)는 맞물리는 구성이다. 그리고, 고정 슬라이더(916)를 가동 프레임부(612)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레일부(912)에 평행하게 유지 돌기부(920, 922)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유지 돌기부(920, 922)에 대응하는 단차부(924, 926)가 고정 슬라이더(916)에 형성되고, 유지 돌기부(920, 922)와 단차부(924, 926)에 의해 고정 슬라이더(916)의 슬라이드 위치가 설정되어 있다. 또한, 고정 슬라이더(916)에는 카드(8)에 결합시키는 결합 돌기부(928)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가동 프레임부(612)에 탑재되는 카드(8)의 크기에 따라 서 고정 슬라이더(916)를 이동시키고, 그 결합 돌기부(928)를 카드(8)의 가장자리부에 결합시켜 유지 부재(930)를 가동 프레임부(612)에 고정하면, 크기에 무관하게 카드(8)를 가동 프레임부(612)에 고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카드 유닛(6)에 카드(8)를 탑재하고 기기 유닛(4)에 카드 유닛(6)을 탑재하는 구성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기기 유닛(4)은 카드 유닛 이외의 부품이나 장치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다음에, 전술한 본 발명의 카드 유닛, 기기 유닛, 카드 착탈 방법 및 전자 기기의 각 실시예로부터 추출되는 기술적 사상을 청구항의 기재 형식에 준하여 부기로서 열거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은 상위 개념에서 하위 개념까지 여러 가지 레벨이나 변경에 의해 파악할 수 있고, 이하의 부기로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부기 1)
커넥터에 착탈되는 카드가 탑재되는 카드 유닛으로서,
상기 카드가 탑재되어 신축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을 신축시켜서 상기 카드를 상기 커넥터에 착탈시키는 착탈 기구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유닛.
(부기 2)
부기 1의 기재에 있어서,
상기 착탈 기구는 회전 조작에 따라서 상기 프레임을 신축시키는 회동 가능한 착탈 레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유닛.
(부기 3)
부기 1의 기재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로부터 상기 카드를 이탈시킨 위치에서 상기 프레임을 유지하는 유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유닛.
(부기 4)
부기 1의 기재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에 상기 카드가 장착된 위치에서 상기 프레임의 이동을 로크하는 로크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유닛.
(부기 5)
부기 1의 기재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탑재된 상기 카드를 방호하는 방호 커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유닛.
(부기 6)
부기 1의 기재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지지 프레임부와, 상기 카드가 탑재되어 이동 가능한 가동 프레임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 프레임부의 이동에 의해서 신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유닛.
(부기 7)
부기 1의 기재에 있어서,
상기 가동 프레임부에 설치된 베이스부와,
상기 카드에 따라서 고정 위치가 조정되고, 상기 베이스부 상에 상기 카드를 고정하는 카드 고정 기구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유닛.
(부기 8)
부기 1의 기재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레일을 구비하고, 이 레일을 이용하여 외부 기기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유닛.
(부기 9)
부기 1의 기재에 있어서,
상기 착탈 기구는,
상기 카드가 탑재되어 이동 가능한 가동 프레임부와,
이 가동 프레임부와 별개로 설치된 지지 프레임부와,
이 지지 프레임부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슬라이드부와,
이 슬라이드부와 상기 가동 프레임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드부의 이동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가동 프레임부를 이동시키는 이동 방향 변환 기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드부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이동 방향 변환 기구부를 통하여 상기 가동 프레임부를 이동시켜 상기 커넥터에 대하여 상기 카드를 착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유닛.
(부기 10)
부기 4의 기재에 있어서,
상기 로크 기구는,
회전 조작에 따라서 상기 프레임을 신축시키는 회동 가능한 착탈 레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그립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그립의 회동에 의해서 해제 가능한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유닛.
(부기 11)
부기 7의 기재에 있어서,
상기 카드 고정 기구는 상기 카드에 대응하여 고정 위치를 조정하는 고정 위 치 조정 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유닛.
(부기 12)
부기 9의 기재에 있어서,
상기 착탈 기구에 상기 지지 프레임부에 대하여 이동을 시작하는 이동 개시점, 이동을 종료시키는 이동 종료점을 설정하는 동시에, 상기 이동 개시점 또는 상기 이동 종료점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상기 가동 프레임부를 그 위치에서 유지하는 유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유닛.
(부기 13)
부기 9의 기재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에 상기 카드가 장착된 위치에서 상기 가동 프레임부의 이동을 로크하는 로크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유닛.
(부기 14)
부기 9의 기재에 있어서,
상기 가동 프레임부에 탑재된 상기 카드의 상기 커넥터와의 착탈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유닛.
(부기 15)
부기 9의 기재에 있어서,
상기 이동 방향 변환 기구부는
상기 슬라이드부에 부착된 슬라이드 샤프트와,
상기 가동 프레임부에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 샤프트의 이동 방향과 교차 하는 방향의 각도를 갖도록 한 장공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유닛.
(부기16)
부기 9의 기재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부에 설치되어, 상기 카드 유닛의 전면측에 빛을 유도하는 도광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유닛.
(부기 17)
부기 9의 기재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에 외부 스위치를 조작하는 조작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유닛.
(부기 18)
부기 14의 기재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부는, 회동에 의해 상기 가동 프레임부를 이동시키는 착탈 레버에 일체적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유닛.
(부기 19)
부기 14의 기재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슬라이드부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된 위치 결정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유닛.
(부기 20)
부기 15의 기재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부에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 샤프트의 이동을 안내하는 동시에, 이동 범위를 규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유닛.
(부기 21)
카드가 탑재된 카드 유닛을 착탈 가능하게 포함하는 기기 유닛으로서,
상기 카드를 착탈시키는 커넥터가 탑재된 기판부와,
이 기판부를 덮고, 상기 카드 유닛을 수용하는 하우징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유닛.
(부기 22)
부기 21의 기재에 있어서,
상기 카드 유닛은 상기 카드가 탑재되어 이동하는 가동 프레임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 프레임의 이동에 의해 상기 커넥터에 대하여 상기 카드를 착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유닛.
(부기 23)
부기 21의 기재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카드 유닛을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레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유닛.
(부기 24)
부기 21의 기재에 있어서,
상기 카드 유닛은,
상기 카드가 탑재되어 신축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을 신축시켜서 상기 카드를 상기 커넥터에 착탈시키는 착탈 기구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유닛.
(부기 25)
부기 24의 기재에 있어서,
상기 착탈 기구는,
상기 카드가 탑재되어 이동 가능한 가동 프레임부와,
이 가동 프레임부와 별개로 설치된 지지 프레임부와,
이 지지 프레임부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슬라이드부와,
이 슬라이드부와 상기 가동 프레임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드부의 이동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가동 프레임부를 이동시키는 이동 방향 변환 기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드부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이동 방향 변환 기구부를 통하여 상기 가동 프레임부를 이동시켜 상기 커넥터에 대하여 상기 카드를 착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유닛.
(부기 26)
카드 유닛에 탑재된 카드의 커넥터에 대한 카드 착탈 방법으로서,
상기 카드를 탑재한 프레임과 교차 방향으로 슬라이드부를 이동시키고, 상기 슬라이드부의 이동 방향을 변환하는 공정과,
상기 슬라이드부에 의해서 조작된 상기 프레임의 이동에 의해 상기 카드를 상기 커넥터에 대하여 착탈시키는 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착탈 방법.
(부기 27)
카드가 탑재된 카드 유닛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로서,
카드가 탑재된 카드 유닛을 착탈 가능하게 포함하는 기기 유닛을 착탈 가능하게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부기 28)
카드가 탑재된 카드 유닛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로서,
상기 카드를 착탈시키는 커넥터가 탑재된 기판부와,
이 기판부를 덮고, 상기 카드 유닛을 수용하는 하우징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부기 29)
부기 27의 기재에 있어서,
상기 카드 유닛은 상기 카드가 탑재되어 이동하는 가동 프레임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 프레임의 이동에 의해 상기 커넥터에 대하여 상기 카드를 착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부기 30)
부기 28의 기재에 있어서,
상기 카드 유닛은
상기 카드가 탑재되어 신축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을 신축시켜서 상기 카드를 상기 커넥터에 착탈시키는 착탈 기구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부기 31)
부기 30의 기재에 있어서,
상기 착탈 기구는,
상기 카드가 탑재되어 이동 가능한 가동 프레임부와,
이 가동 프레임부와 별개로 설치된 지지 프레임부와,
이 지지 프레임부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슬라이드부와,
이 슬라이드부와 상기 가동 프레임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드부의 이동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가동 프레임부를 이동시키는 이동 방향 변환 기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드부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이동 방향 변환 기구부를 통해서 상기 가동 프레임부를 이동시켜 상기 커넥터에 대하여 상기 카드를 착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부기 32)
부기 27의 기재에 있어서,
상기 카드 유닛의 착탈에 따라 전환되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의 전환에 따라 교환 대상인 상기 카드가 착탈되는 상기 커넥터를 버스로부터 분리하는 전환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 등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기재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되거나 또는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요지에 기초하여 당업자에게 여러 가지 변형이 나 변경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이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말할 나위없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프린트 기판의 각종 카드의 교환 등에 있어서 드라이버 등의 공구가 불필요하거나 또는 그 사용이 줄어들기 때문에 카드의 착탈이 용이해진다.
(2)카드 교환에 따른 카드의 착탈 위치가 규제되기 때문에, 착탈 대상인 카드와 커넥터와의 위치 관계가 어긋나는 일이 없고, 커넥터에 대한 카드와의 착탈 정밀도의 향상된다.

Claims (20)

  1. 커넥터에 착탈되는 카드가 탑재되는 카드 유닛으로서,
    상기 카드를 탑재하는 가동 프레임부를 지지 프레임부에 대하여 상기 카드의 착탈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가동 프레임부를 이동시켜 신축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을 신축시켜서 상기 카드를 상기 커넥터에 착탈시키는 착탈 기구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 기구는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프레임을 신축시키는 회동 가능한 착탈 레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로부터 상기 카드를 이탈시킨 위치에서 상기 프레임을 유지하는 유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에 상기 카드가 장착된 위치에서 상기 프레임의 이동을 로크하는 로크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유닛.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탑재된 상기 카드를 방호하는 방호 커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유닛.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지지 프레임부와, 상기 카드가 탑재되어 이 동 가능한 가동 프레임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 프레임부의 이동에 의해서 신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유닛.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프레임부에 설치된 베이스부와,
    상기 카드에 따라서 고정 위치가 조정되고 상기 베이스부 상에 상기 카드를 고정하는 카드 고정 기구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유닛.
  8. 커넥터에 착탈되는 카드가 탑재되는 카드 유닛으로서,
    상기 카드가 탑재되어 신축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을 신축시켜서 상기 카드를 상기 커넥터에 착탈시키는 착탈 기구
    를 구비하고,
    상기 착탈 기구는,
    상기 카드가 탑재되어 이동 가능한 가동 프레임부와,
    이 가동 프레임부와 별개로 설치된 지지 프레임부와,
    이 지지 프레임부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슬라이드부와,
    이 슬라이드부와 상기 가동 프레임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드부의 이동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가동 프레임부를 이동시키는 이동 방향 변환 기구부
    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드부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이동 방향 변환 기구부를 통하여 상기 가동 프레임부를 이동시켜 상기 커넥터에 대하여 상기 카드를 착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유닛.
  9. 커넥터에 착탈되는 카드가 탑재되는 카드 유닛으로서,
    상기 카드가 탑재되어 신축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을 신축시켜서 상기 카드를 상기 커넥터에 착탈시키는 착탈 기구와,
    상기 커넥터에 상기 카드가 장착된 위치에서 상기 프레임의 이동을 로크하는 로크 기구
    를 구비하고,
    상기 로크 기구는,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프레임을 신축시키는 회동 가능한 착탈 레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그립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그립의 회동에 의해서 해제 가능한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유닛.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 기구에 상기 지지 프레임부에 대하여 이동을 시작하는 이동 개시점, 이동을 종료시키는 이동 종료점을 설정하는 동시에, 상기 이동 개시점 또는 상기 이동 종료점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상기 가동 프레임부를 그 위치에서 유지하는 유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유닛.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프레임에 탑재된 상기 카드의 상기 커넥터와의 착탈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유닛.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방향 변환 기구부는,
    상기 슬라이드부에 부착된 슬라이드 샤프트와,
    상기 가동 프레임부에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 샤프트의 이동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각도를 갖도록 한 장공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유닛.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부에 설치되어 상기 카드 유닛의 전면측에 빛을 유도하는 도광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유닛.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부에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 샤프트의 이동을 안내하는 동시에, 이동 범위를 규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유닛.
  15. 카드가 탑재된 카드 유닛을 착탈 가능하게 포함하는 기기 유닛으로서,
    상기 카드를 착탈시키는 커넥터가 탑재된 기판부와,
    이 기판부를 덮고, 상기 카드 유닛을 수용하는 하우징부
    를 구비하며,
    상기 카드 유닛이,
    상기 카드를 탑재하는 가동 프레임부를 지지 프레임부에 대하여 상기 카드의 착탈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가동 프레임부를 이동시켜 신축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을 신축시켜서 상기 카드를 상기 커넥터에 착탈시키는 착탈 기구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유닛.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유닛은 상기 카드가 탑재되어 이동하는 가동 프레임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 프레임의 이동에 의해 상기 커넥터에 대하여 상기 카드를 착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유닛.
  17. 카드 유닛에 탑재된 카드의 커넥터에 대한 카드 착탈 방법으로서,
    상기 카드를 탑재한 프레임과 교차 방향으로 슬라이드부를 이동시키고, 상기 슬라이드부의 이동 방향을 변환하는 공정과,
    상기 슬라이드부에 의해서 조작된 상기 프레임의 이동에 의해 상기 카드를 상기 커넥터에 대하여 착탈시키는 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착탈 방법.
  18. 카드가 탑재된 카드 유닛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로서,
    카드가 탑재된 카드 유닛을 착탈 가능하게 포함하는 기기 유닛을 착탈 가능하게 구비하고,
    상기 기기 유닛이,
    상기 카드를 착탈시키는 커넥터가 탑재된 기판부와,
    이 기판부를 덮고 상기 카드 유닛을 수용하는 하우징부
    를 구비하며,
    상기 카드 유닛이,
    상기 카드를 탑재하는 가동 프레임부를 지지 프레임부에 대하여 상기 카드의 착탈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가동 프레임부를 이동시켜 신축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을 신축시켜서 상기 카드를 상기 커넥터에 착탈시키는 착탈 기구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9. 카드가 탑재된 카드 유닛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로서,
    상기 카드를 착탈시키는 커넥터가 탑재된 기판부와,
    이 기판부를 덮고 상기 카드 유닛을 수용하는 하우징부
    를 구비하며,
    상기 카드 유닛이,
    상기 카드를 탑재하는 가동 프레임부를 지지 프레임부에 대하여 상기 카드의 착탈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가동 프레임부를 이동시켜 신축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을 신축시켜서 상기 카드를 상기 커넥터에 착탈시키는 착탈 기구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유닛의 착탈에 따라 전환되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의 전환에 따라 교환 대상인 상기 카드가 착탈되는 상기 커넥터를 버스로부터 분리하는 전환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KR1020060028341A 2005-10-14 2006-03-29 카드 유닛, 기기 유닛, 카드 착탈 방법 및 전자 기기 KR1007898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301030A JP4603459B2 (ja) 2005-10-14 2005-10-14 カードユニット
JPJP-P-2005-00301030 2005-10-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1294A KR20070041294A (ko) 2007-04-18
KR100789855B1 true KR100789855B1 (ko) 2008-01-02

Family

ID=37684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8341A KR100789855B1 (ko) 2005-10-14 2006-03-29 카드 유닛, 기기 유닛, 카드 착탈 방법 및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7684210B2 (ko)
EP (1) EP1776005B1 (ko)
JP (1) JP4603459B2 (ko)
KR (1) KR100789855B1 (ko)
CN (1) CN100551217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51075A2 (en) * 2007-05-31 2008-12-11 Extrusion Technology, Inc. Amc carrier faceplates
JP4458120B2 (ja) 2007-06-15 2010-04-2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子装置筐体及びキャニスタ
JP5245923B2 (ja) * 2009-03-05 2013-07-24 富士通株式会社 電子機器システム及び基板の挿抜治具
US8199511B2 (en) * 2009-04-01 2012-06-12 Fusion-Io, Inc. Hot swappable computer card carrier
JP5368580B2 (ja) * 2009-11-25 2013-12-18 株式会社アドバンテスト 基板装着装置、テストヘッド、及び電子部品試験装置
KR101036212B1 (ko) * 2009-12-11 2011-05-20 인텔릭스(주) 밀폐형 방열 케이스가 구비된 전자 장치
JP5352532B2 (ja) * 2010-05-26 2013-11-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回路基板実装構造
US9055688B2 (en) 2010-08-20 2015-06-09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Input/output circuits having status indicators aligned with respective terminals
CN102841650A (zh) * 2011-06-23 2012-12-26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扩充卡固定装置
JP5742511B2 (ja) * 2011-06-28 2015-07-01 富士通株式会社 プラグインユニット
CN102890790B (zh) * 2011-07-22 2014-04-3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扩展卡
CN102929356B (zh) * 2011-08-09 2015-03-25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主板滑出机构
US8964385B2 (en) * 2012-10-05 2015-02-24 Cisco Technology, Inc. Air flow system
JP6136198B2 (ja) * 2012-11-01 2017-05-31 富士通株式会社 推定プログラム、推定装置、推定方法、および製造方法
TW201442598A (zh) * 2013-04-22 2014-11-01 Hon Hai Prec Ind Co Ltd 擴展卡組合
WO2015087866A1 (ja) * 2013-12-10 2015-06-18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カードリーダ
CN104714610B (zh) * 2013-12-16 2018-08-31 纬创资通股份有限公司 锁扣机构
FR3015856B1 (fr) * 2013-12-23 2017-04-28 Bull Procede d'enfichage d'une carte electronique de module electronique dans un connecteur de chassis, systeme et module associes
FR3024634B1 (fr) * 2014-07-31 2016-08-12 Connecteurs Electriques Deutsch Dispositif de verrouillage pour equipement electronique rackable
JP6434471B2 (ja) * 2016-10-17 2018-12-05 矢崎総業株式会社 電子部品ユニット、電気接続箱、及び、ワイヤハーネス
CN108958387B (zh) * 2017-05-26 2021-07-02 技嘉科技股份有限公司 抽取式储存装置框架总成
US10973157B2 (en) * 2018-10-29 2021-04-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inted circuit card assembly connectable to a server chassis
US10973139B1 (en) * 2020-05-26 2021-04-06 Quanta Computer Inc. Flexible modularized support device
US11441329B2 (en) * 2020-06-25 2022-09-13 Hanwit Precision Industries Ltd. Handle locking structure
CN114326953B (zh) * 2020-09-29 2023-11-24 纬联电子科技(中山)有限公司 扩充机构
US11490536B1 (en) * 2020-11-16 2022-11-01 ZT Group Int'l, Inc. Elevator mechanism enabling front service of electronic chassis components
CN216412150U (zh) * 2021-08-11 2022-04-29 富联精密电子(天津)有限公司 OCP转接装置、OCP板卡和PCIe板卡兼容托架组件及服务器
KR200497733Y1 (ko) * 2023-11-15 2024-02-14 주식회사 리얼게인 발전소 제어계통(pcs) 전자카드 탈거기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8183A (ja) * 1995-07-03 1997-01-17 Fujitsu Ltd Emi対策パッケージ装置
JPH0974293A (ja) * 1995-09-07 1997-03-18 Fujitsu Ltd プリント配線板実装装置
JPH11265763A (ja) 1998-03-16 1999-09-28 Mitsubishi Electric Corp ユニット式電子装置
KR100262429B1 (ko) 1995-07-19 2000-08-01 포만 제프리 엘 전기적 및/또는 광학적 접속장치
US6317334B1 (en) 1999-05-25 2001-11-13 Hewlett-Packard Company Configuration connector for modular data storage system
KR20020060575A (ko) * 2000-09-08 2002-07-18 다킨 로이드 이 캐리어와, 접속 시스템 및 접속 방법과, 컴퓨터 시스템
US6625039B2 (en) 2001-08-29 2003-09-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MI spring configuration
US20040008501A1 (en) 2002-07-12 2004-01-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Latching and locking handles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117961T2 (de) 1991-12-16 1996-07-25 Molex Inc Auswurfsvorrichtung in einer Verbindervorrichtung für IC-Karten
JPH05304376A (ja) 1992-04-07 1993-11-16 Nec Corp 論理パッケージ収容ユニットの実装構造
JPH0686278U (ja) 1993-05-27 1994-12-1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
US5657204A (en) * 1996-09-10 1997-08-12 Paradyne Corporation PC add-on board installation apparatus for industrial applications
US5868585A (en) 1996-12-13 1999-02-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inserting circuit boards in tight spaces
US6071143A (en) * 1996-12-13 2000-06-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abinet for insertion of circuit boards in tight spaces
US6171120B1 (en) * 1998-01-09 2001-01-09 Silicon Graphics, Inc. Modular card cage with connection mechanism
US5967824A (en) * 1998-02-11 1999-10-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chanism for inserting or removing I/O cards with internal connectors
GB9807989D0 (en) * 1998-04-16 1998-06-17 Babin Andre Extension card insertion and removal system
US6128196A (en) * 1998-04-27 2000-10-03 Stratus Computer, Inc. Circuit board chassis
US6115258A (en) * 1998-04-27 2000-09-05 Lucent Technologies, Inc. Circuit board chassis
US6373712B1 (en) * 1998-06-05 2002-04-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evice for inserting circuit cards into electrical machines
US6053760A (en) * 1998-06-05 2000-04-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Universal device for mounting circuit cards in a computer or like electrical machine
US6545877B1 (en) 1998-10-27 2003-04-08 Dell U.S.A., L.P. Card retaining module for expansion slots
US6288911B1 (en) * 1999-02-18 2001-09-11 Intel Corporation Hot plug solution and adjustable retention bracket
GB2370920B (en) 2001-01-09 2003-01-15 Sun Microsystems Inc Ejector mechanism
JP4076325B2 (ja) 2001-05-22 2008-04-16 富士通株式会社 通信装置
GB2381953B (en) * 2001-11-08 2004-04-28 Sun Microsystems Inc Rack-mountable systems
JP2003324292A (ja) * 2002-04-26 2003-11-14 Fujitsu Ltd 情報処理装置
JP3670630B2 (ja) 2002-07-16 2005-07-13 富士通株式会社 電子機器ユニット着脱機構及びディスクアレイ装置
US6924988B2 (en) * 2003-07-07 2005-08-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ynamic zero clearance exhausting EMC sealing system
US7145780B2 (en) * 2004-04-29 2006-12-0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ed circuit board engagement apparatus using four-bar linkage
CA2468551A1 (en) * 2004-05-27 2005-11-27 Alcatel Multipart electronic circuit assembly with detachably interconnecting and locking component circuit substrates
US7420816B2 (en) * 2006-09-15 2008-09-0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pparatus and method for installing an electrical support structure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8183A (ja) * 1995-07-03 1997-01-17 Fujitsu Ltd Emi対策パッケージ装置
KR100262429B1 (ko) 1995-07-19 2000-08-01 포만 제프리 엘 전기적 및/또는 광학적 접속장치
JPH0974293A (ja) * 1995-09-07 1997-03-18 Fujitsu Ltd プリント配線板実装装置
JPH11265763A (ja) 1998-03-16 1999-09-28 Mitsubishi Electric Corp ユニット式電子装置
US6317334B1 (en) 1999-05-25 2001-11-13 Hewlett-Packard Company Configuration connector for modular data storage system
KR20020060575A (ko) * 2000-09-08 2002-07-18 다킨 로이드 이 캐리어와, 접속 시스템 및 접속 방법과, 컴퓨터 시스템
US6625039B2 (en) 2001-08-29 2003-09-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MI spring configuration
US20040008501A1 (en) 2002-07-12 2004-01-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Latching and locking hand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952887B2 (en) 2011-05-31
EP1776005A3 (en) 2009-09-30
EP1776005B1 (en) 2012-12-05
CN101043802A (zh) 2007-09-26
JP4603459B2 (ja) 2010-12-22
KR20070041294A (ko) 2007-04-18
US20100053914A1 (en) 2010-03-04
US7684210B2 (en) 2010-03-23
CN100551217C (zh) 2009-10-14
US20070087594A1 (en) 2007-04-19
EP1776005A2 (en) 2007-04-18
JP2007109985A (ja) 2007-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9855B1 (ko) 카드 유닛, 기기 유닛, 카드 착탈 방법 및 전자 기기
KR100572079B1 (ko) 회로 카드 삽입 및 제거 시스템
US7435114B2 (en) Method for docking a printed circuit board
US5967824A (en) Mechanism for inserting or removing I/O cards with internal connectors
US7254041B2 (en) Expansion card mounting apparatus
US20080146062A1 (en) Locking and activation mechanism for a hot swappable daughter card
US7746664B2 (en) Mounting apparatus for expansion card
US20030103325A1 (en) Structure for mounting computer devices, pivotable between operating and service positions, including a pivoting support member
US6805505B2 (en) Keyboard and computer system allowing for simple keyboard removal
US6457788B1 (en) Computer hood latching system
EP2996212B1 (en) Rail mounted fixation bracket
US10178783B2 (en) Display device
US20080304903A1 (en) Latch installable to various positioning holes of different specifications of computer rack without using tool
JP2016071832A (ja) サーバユニット及びそのインターフェースカード固定装置
JP5104927B2 (ja) カードユニット、機器ユニット、カード着脱方法及び電子機器
EP2735218B1 (en) Design for retention base to fixture on cover removal fixture
US5852739A (en) Low profile plate interlock mechanism for a computer chassis
JP4828627B2 (ja) 係止対象物固定装置
EP4142268B1 (en) Electronic device
JP4460310B2 (ja) ラックマウント型電子機器装置
CN221039897U (zh) 一种锁紧结构及电子设备
JP5146355B2 (ja) フロントパネル脱落防止機構及びフロントパネルを備える電子機器
CN103853236A (zh) 按键板固定装置
JP2014026442A (ja) 電子機器
KR20050064239A (ko) 개폐장치가 개선된 화상형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