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7479B1 - 완충포장용 에어셀 쿠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완충포장용 에어셀 쿠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7479B1
KR100787479B1 KR1020070092989A KR20070092989A KR100787479B1 KR 100787479 B1 KR100787479 B1 KR 100787479B1 KR 1020070092989 A KR1020070092989 A KR 1020070092989A KR 20070092989 A KR20070092989 A KR 20070092989A KR 100787479 B1 KR100787479 B1 KR 1007874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ody
fusion
bent
air
sh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2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수
Original Assignee
김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수 filed Critical 김영수
Priority to KR1020070092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74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7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7479B1/ko
Priority to PCT/KR2008/005379 priority patent/WO2009035277A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3Wrappers or envelopes with shock-absorbing properties, e.g. bubble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051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pillow-like elements filled with cushioning material, e.g. elastic foam, fabric
    • B65D81/05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pillow-like elements filled with cushioning material, e.g. elastic foam, fabric filled with fluid, e.g. inflatabl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1/00Bags or like containers made of paper and having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 B65D31/14Valve bags, i.e. with valves for f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1/00Bags or like containers made of paper and having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 B65D31/16Bags or like containers made of paper and having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of special 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ffer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셀 쿠션을 이루는 내피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제작이 가능하며, 주입되는 공기가 공기주입구 측까지 충전되어 제품의 손실을 줄이고, 제품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완충포장용 에어셀 쿠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발명으로서, 사방의 융착부와 일측에서 관통 형성되는 공기주입로 및 공기유도로가 형성되고, 공기주머니에 공기가 충전되어 팽창 후 공기유도로가 차단되는 공지의 완충 포장용 에어셀 쿠션에 있어서, 상기 에어셀 쿠션은 하나의 제 1외피와 하나의 제 2외피 만으로 이루어져 구현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별도의 내피를 구비하지 않고 외피의 일부분이 내피의 역할을 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성이 향상되고, 공기주입로의 하부에도 공기가 충전됨으로써 제품의 효율성이 향상되고, 따라서 자원의 낭비를 줄이는 것은 물론 제품의 단가를 낮추어 경쟁성이 향상되는 매우 유용한 장점이 있다.
완충, 포장, 에어셀 쿠션, 외피, 내피

Description

완충포장용 에어셀 쿠션 및 그 제조방법{AIR CELLS CUSHION FOR PACKING AND BUFF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OF}
본 발명은 완충포장용 에어셀 쿠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셀 쿠션을 이루는 내피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제작이 가능하며, 주입되는 공기가 공기주입구 측까지 충전되어 제품의 손실을 줄이고, 제품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완충포장용 에어셀 쿠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완성된 제품이 충격 등으로 인해 파손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티로폼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최근에는 환경오염의 주요 원인으로 인식되어 선진국 등에서는 사용이 금지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플라스틱 필름이나 시트를 다수의 층으로 합지하여 가압열이나 고주파 등으로 융착함으로써 내부에 공기 주머니가 형성되고, 이 공기 주머니에 공기를 충전하여 팽창된 에어셀 쿠션이 포장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에어셀 쿠션은 두 장의 외피와 한 장 이상의 내피를 필요하게 되며, 두 장의 외피 속에 내피를 정확한 위치에 삽입하여 융착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용이하지 못하고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공기 주머니로 공기를 충전하기 위한 공기주입구측 부분은 공기가 충전되지 않기 때문에 넓은 폭의 공간이 쓸모없게 되어 자원의 낭비를 가져오게 되고, 제품 단가의 상승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발명으로서, 별도의 내피가 필요치 않는 에어셀 쿠션을 제공함으로써 작업성을 향상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그러면서도 본 발명은 주입되는 공기에 의해 공기 유도로가 차단되어 견고한 에어셀 쿠션이 제공되도록 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주머니로 공기가 주입되는 공기주입로 측 하부에도 일체로 공기가 주입되도록 함으로써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자원의 낭비 및 제품의 단가를 줄이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사방의 융착부와 일측에서 관통 형성되는 공기주입로 및 공기유도로가 형성되고, 공기주머니에 공기가 충전되어 팽창 후 공기유도로가 차단되는 공지의 완충 포장용 에어셀 쿠션에 있어서, 상기 에어셀 쿠션은 하나의 제 1외피와 하나의 제 2외피 만으로 이루어져 구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 1외피와 제 2외피 중 어느 하나의 외피에는 절곡선 이 횡으로 형성되어, 상기 절곡선을 기준으로 주판체와 절곡판체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1외피 또는 제 2외피 중 어느 하나의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1외피와 제 2외피 중 어느 하나의 외피(A)에는 절곡선이 횡으로 형성되어 상기 절곡선을 기준으로 주판체와 절곡판체로 구획되고;
상기 어느 하나의 외피(A) 일측면 외곽에는 절곡판체 측의 끝단이 개방된 상태의 제 1외곽 융착부가 형성되고, 타측면의 절곡판체 측에는 끝단이 개방된 상태로 절곡선 측과 이와 접하는 외곽에만 절곡판 외곽 융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횡방향의 절곡판 외곽 융착부와 공기주입로 융착부 사이에는 횡방향으로 제 1인쇄 또는 이형부가 형성되며 상기 절곡판 외곽 융착부 사이 사이에는 제 1유도로 융착부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외피(B) 일측면 외곽에는 상기 외피(A)의 제 1외곽 융착부 및 절곡판 외곽 융착부와 일치하도록 제 2외곽 융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횡방향의 제 2외곽 융착부와 공기주입로 융착부 사이에는 횡방향으로 제 2인쇄 또는 이형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2외곽 융착부의 사이에는 상기 외피(A)의 제 1유도로 융착부와 일치하는 위치에 제 2유도로 융착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제 1외피와 제 2외피 중 어느 하나의 외피(A)에 형성된 절곡선을 기준으로 하여 주판체와 절곡판체가 절첩되어 접하는 면의 절곡판체에는 이형재가 더 부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제 1외피와 제 2외피를 서로 접하도록 위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 1외피와 제 2외피 중 어느 하나의 외피(A)에 형성된 절곡선을 기준으로 절곡판체를 주판체 측으로 절곡하여 제 1외피와 제 2외피 사이로 위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 1외피와 제 2외피 전체를 외곽 융착부에 의해 융착되도록 열융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주판체 측으로 절곡되는 절곡판체의 하면에는 이형재가 부착되어 절곡판체와 주판체는 서로 융착이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절곡판체를 주판체 측으로 절곡하여 제 1외피와 제 2외피 사이로 위치시킨 후, 상기 외피(A)의 주판체와 절곡판체의 사이에 이형재를 삽입하여 주판체와 절곡판체가 서로 융착되지 않도록 하고, 다시 이형재를 제거하고 제 1외피와 제 2외피 전체를 외곽 융착부에 의해 융착되도록 열융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별도의 내피를 구비하지 않고 외피의 일부분이 내피의 역할을 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성이 향상되고, 공기주입로의 하부에도 공기가 충전됨으로써 제품의 효율성이 향상되고, 따라서 자원의 낭비를 줄이는 것은 물론 제품의 단가를 낮추어 경쟁성이 향상되는 매우 유용한 장점이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하나의 제 1외피(100)와 제 2외피(200) 만으로 이루어져 에어셀 쿠션을 형성하는 것이 특징이며,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외피(100)와 제 2외피(200) 중 어느 하나의 외피(A:도면에서는 제 1외피(100))를 길이방향으로 더 길게 형성하고, 더 길게 형성된 외피에는 나머지 외피(B:도면에서는 제 2외피(200))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에 절곡선(110)을 횡으로 형성하며, 상기 절곡선(110)에 의해 넙은 폭 측이 주판체(120), 좁은 폭 측이 절곡판체(130)로 되어 구획된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 1외피(100)와 제 2외피(200) 중 어느 하나의 외피(A)는 하측에 위치하여 접합되는 외피인 제 1외피(100)로 하고, 다른 하나의 외피(B)는 상면에서 접합되는 외피인 제 2외피(200)로 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 1외피(100)의 일측면 외곽에는 절곡판체(130) 측의 끝단 외곽을 제외하여 개방된 상태로 제 1외각 융착부(121)가 형성되고, 제 1외피(100)의 타측면 중 절곡판체(130) 측 외곽에는 절곡선(110)과 나란한 외곽 및 이와 접하는 양측 외곽에 절곡판체 외곽 융착부(131)가 형성되고, 절곡판체(130)의 끝단 외곽은 개방된 상태로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외피(100)의 타측면에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절곡판 외곽 융착부(131)에서 내측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는 제 1공기주입로 융착부(133)가 형성되며, 상기 절곡판 외곽 융착부(131)와 제 1공기주입로 융착부(133)의 사이에는 서로 융착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인쇄를 하거나 별도의 이형재를 부착하는 제 1인쇄 또는 이형부(134)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공기주입로 융착부(133)에서 길이방향의 절곡판 외곽 융착부(131)의 사이에는 주입되는 공기가 공기 주머니(140)로 유도되도록 하기 위한 제 1유도로 융착부(132)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물론, 상기 제 1외피(100)의 절곡판 외곽 융착부(131) 내측과 제 2외피(200)의 제 2외곽 융착부(201)의 내측에는 공기주입로(150)가 형성되도록 하기 위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는 위치에 별도의 공기주입로 융착부(133)(203)를 더 형성하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그리고, 제 2외피(200)의 일측면 사방 외곽에는 상기 제 1외피(100)의 제 1외곽 융착부(121) 및 절곡판 외곽 융착부(131)와 일치하는 위치에 제 2외곽 융착부(201)가 형성되며, 상기 제 2외곽 융착부(201)에서 내측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는 상기 제 1외피(100)의 제 1공기주입로 융착부(133)와 일치하는 제 2공기주입로 융착부(203)가 형성되며, 상기 제 2외곽 융착부(201)와 제 2공기주입로 융착부(203)의 사이에는 제 1인쇄 또는 이형부(134)와 마찬가지의 제 2인쇄 또는 이형부(20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외피(100)의 제 1유도로 융착부(132)와 일치하는 위치와 일치하는 형태로 제 2유도로 융착부(202)가 제 2외곽 융착부(201)의 사이에 이격되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 1외피(100)의 일측면 절곡판(130)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형재(300)를 부착함으로써, 열융착 접합 시 제 1외피(100)의 주판체(120)와 절곡판체(130) 면이 서로 융착되지 않도록 하고, 열융착 시 별도의 이형재를 사용할 필요가 없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제 1외피(100)와 제 2외피(200)를 이용하여 에어셀 쿠션을 제작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도 7과 같이 본 발명의 제 1외피(100)에서 절곡선(110)을 기준으로 하여 절곡판체(130)를 주판체(120) 측으로 절곡하고 1차적으로 부분 열융착을 진행하 는 바, 이때, 상기 절곡판체(130)에 이형재(300)가 부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대로 열융착 작업을 진행하되, 이형재(300)가 부착되지 않은 경우에는 별도의 이형재(300)를 마련하여 주판체(120)와 절곡판체(130) 사이에 삽입 후 열융착 작업을 수행한다.
따라서, 제 1외피(100)의 제 1외곽 융착부(121)가 절곡선(110)을 기준으로 하여 절첩되면서 서로 접촉되는 부분이 융착되어 접착되되, 절곡판체(130)의 끝단에는 제 1외곽 융착부(121)가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주판체(120)와 융착되지 않고 개방된 상태로 구비된다.
그리고, 다시 상기와 같이 절곡판체(130)가 절첩되어 주판체(120)에 융착된 상태에서 도 8과 같이 제 2외피(200)를 덮고 전체면에 걸쳐서 열융착을 하게 되며, 절곡판체(130)와 중첩되지 않는 부분의 제 1외피(100)의 주판체(120)에 형성된 제 1외곽 융착부(121)와 제 2외피(200)의 제 2외곽 융착부(201)가 서로 견고히 융착되고, 마찬가지로 제 1외피(100)의 절곡판체(130)에 형성된 절곡판체 외곽 융착부(131)도 제 2외피(200)의 제 1외곽 융착부(121)에 융착된다.
이때, 제 1외피(100) 및 제 2외피(200)에 형성된 인쇄 또는 이형부(134)(204)에 의해 제 1외피(100)의 절곡판체(130)와 제 2외피(200)의 일부분이 서로 융착이 되지 않게 되고, 융착되지 않은 상기 인쇄 또는 이형부(134)(204)의 사이가 차후 공기주입로(150)가 된다.
또한, 제 1외피(100) 절곡판체(130)의 상면에 형성된 제 1유도로 융착부(133)는 제 2외피(200)의 하면에 형성된 제 2유도로 융착부(202)와 서로 융착되어 공기 유도로(160)를 형성한다.
따라서, 제 1외피(100)의 주판체(120) 측 끝단은 제 2외피(200)의 일측 끝단과 융착되어 밀폐되고, 제 2외피(200)의 타측 끝단은 제 1외피(100)의 절곡판체(130) 일측 끝단과 융착되어 밀폐된다.
아울러, 제 1외피(100)의 주판체(120)의 일측 끝단은 절곡판체(130)와 절첩된 상태이므로 밀폐되는 상태이며, 절곡판체(130)의 타측 끝단과 제 2외피(200)의 타측 끝단도 외곽 융착부가 형성되지 않아 개방된 상태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에어셀 쿠션에 공기를 주입하게 되면, 공기 주입로(150)를 따라 주입된 공기가 절곡판체(130)와 제 2외피(200) 사이에 형성된 작은 폭의 공기 유도로(160)를 통해 공기주머니(140) 속으로 충전된다.
따라서, 제 1외피(100)와 제 2외피(200) 사이에 공기가 충전되게 되는 바, 제 1외피(100)의 절곡판체(130)는 제 2외피(200)에 접착된 상태가 되어 주판 체(120)와 이격된 공간에 공기가 충전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충전되는 공기는 절곡판체(130)의 하부에서 제 2외피(200) 측으로 강한 압력으로 밀게 되므로, 공기 유도로(160)가 차단되면서 공기 주머니(140) 내에 충전된 공기의 인출이 차단되게 된다.
이때, 공기주머니(140)에 주입된 공기는 공기 주입로(150)의 하부인 제 1외피(100)의 주판체(120) 끝단과 절곡판체(130)의 끝단 사이까지 채워지게 되므로, 종래와 같이 쓸모없이 버려지는 부분이 없게 되고 원자재의 활용성을 향상시켜 동일한 조건하에서 공기주머니(140)의 크기를 더 크게 제작할 수 있으므로 매우 경제적이고, 미관상 깔끔한 이미지를 주어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셀 쿠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셀 쿠션의 절곡판체를 절곡한 상태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셀 쿠션의 일부를 확대하여 절단한 상태의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셀 쿠션의 제 1외피의 평면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셀 쿠션의 제 1외피의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셀 쿠션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셀 쿠션의 제 1외피와 제 2외피를 융착하기 전 상태의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셀 쿠션의 제 1외피와 제 2외피의 일측을 1차 융착하는 상태를 도시한 일부 절결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셀 쿠션의 제 1외피와 제 2외피 전체를 2차 융착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셀 쿠션에 공기를 충전한 상태의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제 1외피 110 : 절곡선
120 : 주판체 121 : 제 1외곽 융착부
130 : 절곡판체 131 : 절곡판체 외곽 융착부
132 : 제 1유도로 융착부 133 : 제 1공기주입로 융착부
134 : 제 1인쇄 또는 이형부 140 : 공기주머니
150 : 공기 주입로 160 : 공기 유도로
200 : 제 2외피 201 : 제 2외곽 융착부
202 : 제 2유도로 융착부 203 : 제 2공기주입로 융착부
204 : 제 2인쇄 또는 이형부 300 : 이형재

Claims (8)

  1. 사방의 융착부와 일측에서 관통 형성되는 공기주입로(150) 및 공기유도로(160)가 형성되고, 공기주머니(140)에 공기가 충전되어 팽창 후 상기 공기유도로(160)가 차단되는 완충 포장용 에어셀 쿠션에 있어서,
    상기 에어셀 쿠션은 하나의 제 1외피(100)와 하나의 제 2외피(200) 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포장용 에어셀 쿠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외피(100)와 제 2외피(200) 중 어느 하나의 외피(A)에는 절곡선(110)이 횡으로 형성되어, 상기 절곡선(110)을 기준으로 주판체(120)와 절곡판체(130)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포장용 에어셀 쿠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외피(100) 또는 제 2외피(200) 중 어느 하나의 외피(A)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포장용 에어셀 쿠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외피(100)와 제 2외피(200) 중 어느 하나의 외피(A)에는 절곡선(110)이 횡으로 형성되어 상기 절곡선(110)을 기준으로 주판체(120)와 절곡판체(130)로 구획되고;
    상기 어느 하나의 외피(A) 일측면 외곽에는 절곡판체(130) 측의 끝단이 개방된 상태의 제 1외곽 융착부(121)가 형성되고, 타측면의 절곡판체(130) 측에는 끝단이 개방된 상태로 절곡선(110) 측과 이와 접하는 외곽에만 절곡판 외곽 융착부(131)가 형성되며 상기 횡방향의 절곡판 외곽 융착부(131)와 공기주입로 융착부(133) 사이에는 횡방향으로 제 1인쇄 또는 이형부(134)가 형성되며 상기 절곡판 외곽 융착부(131) 사이 사이에는 제 1유도로 융착부(132)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외피(B) 일측면 외곽에는 상기 외피(A)의 제 1외곽 융착부(121) 및 절곡판 외곽 융착부(131)와 일치하도록 제 2외곽 융착부(201)가 형성되고, 상기 횡방향의 제 2외곽 융착부(201)와 공기주입로 융착부(203) 사이에는 횡방향으로 제 2인쇄 또는 이형부(204)가 형성되며 상기 제 2외곽 융착부(201)의 사이에는 상기 외피(A)의 제 1유도로 융착부(132)와 일치하는 위치에 제 2유도로 융착부(202)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포장용 에어셀 쿠션.
  5. 제 2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외피(100)와 제 2외피(200) 중 어느 하나의 외피(A)에 형성된 절곡 선(110)을 기준으로 하여 주판체(120)와 절곡판체(130)가 절첩되어 접하는 면의 절곡판체(130)에는 이형재(300)가 더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포장용 에어셀 쿠션.
  6. 제 1외피(100)와 제 2외피(200)를 서로 접하도록 위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 1외피(100)와 제 2외피(200) 중 어느 하나의 외피(A)에 형성된 절곡선(110)을 기준으로 절곡판체(130)를 주판체(120) 측으로 절곡하여 제 1외피(100)와 제 2외피(200) 사이로 위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 1외피(100)와 제 2외피(200) 전체를 외곽 융착부(121)(131)(201)에 의해 융착되도록 열융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포장용 에어셀 쿠션 제조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주판체(120) 측으로 절곡되는 절곡판체(130)의 하면에는 이형재(300)가 부착되어 절곡판체(130)와 주판체(120)는 서로 융착이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포장용 에어셀 쿠션 제조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판체(130)를 주판체(120) 측으로 절곡하여 제 1외피(100)와 제 2외피(200) 사이로 위치시킨 후, 상기 외피(A)의 주판체(120)와 절곡판체(130)의 사이에 이형재(300)를 삽입하여 주판체(120)와 절곡판체(130)가 서로 융착되지 않도록 하고, 다시 이형재(300)를 제거하고 제 1외피(100)와 제 2외피(200) 전체를 외곽 융착부(121)(131)(201)에 의해 융착되도록 열융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포장용 에어셀 쿠션 제조방법.
KR1020070092989A 2007-09-13 2007-09-13 완충포장용 에어셀 쿠션 및 그 제조방법 KR100787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2989A KR100787479B1 (ko) 2007-09-13 2007-09-13 완충포장용 에어셀 쿠션 및 그 제조방법
PCT/KR2008/005379 WO2009035277A2 (en) 2007-09-13 2008-09-11 Air cell cushion for shock-absorbing package and manufacut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2989A KR100787479B1 (ko) 2007-09-13 2007-09-13 완충포장용 에어셀 쿠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7479B1 true KR100787479B1 (ko) 2007-12-21

Family

ID=39147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2989A KR100787479B1 (ko) 2007-09-13 2007-09-13 완충포장용 에어셀 쿠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87479B1 (ko)
WO (1) WO2009035277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59950A (zh) * 2015-04-30 2015-08-26 李健 一种充气包装体及其制造方法
KR102603314B1 (ko) 2022-09-01 2023-11-15 권영직 포장용 종이완충재 제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17973B (zh) * 2012-06-20 2014-04-02 苏州亚比斯复合材料有限公司 具有缓冲功能的包装袋
CN110844327B (zh) * 2019-11-04 2021-09-21 昆山亚比斯环保包装材料有限公司 一种密封结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5265A (ja) * 1993-10-28 1995-06-27 K Jasai Z 緩衝保護装置
JPH07285581A (ja) * 1994-04-08 1995-10-31 Kashiwabara Seitai:Kk 緩衝用包装袋
JPH0834478A (ja) * 1994-05-18 1996-02-06 Idemitsu Petrochem Co Ltd エアバブル袋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001766A (ja) * 2003-06-10 2005-01-06 Yasuzumi Tanaka 流体容器の密閉方法および装置
JP2006117311A (ja) * 2004-10-25 2006-05-11 Tomematsu Abe 空気緩衝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5265A (ja) * 1993-10-28 1995-06-27 K Jasai Z 緩衝保護装置
JPH07285581A (ja) * 1994-04-08 1995-10-31 Kashiwabara Seitai:Kk 緩衝用包装袋
JPH0834478A (ja) * 1994-05-18 1996-02-06 Idemitsu Petrochem Co Ltd エアバブル袋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001766A (ja) * 2003-06-10 2005-01-06 Yasuzumi Tanaka 流体容器の密閉方法および装置
JP2006117311A (ja) * 2004-10-25 2006-05-11 Tomematsu Abe 空気緩衝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59950A (zh) * 2015-04-30 2015-08-26 李健 一种充气包装体及其制造方法
CN104859950B (zh) * 2015-04-30 2017-11-17 李健 一种充气包装体及其制造方法
KR102603314B1 (ko) 2022-09-01 2023-11-15 권영직 포장용 종이완충재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35277A2 (en) 2009-03-19
WO2009035277A3 (en) 2010-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7479B1 (ko) 완충포장용 에어셀 쿠션 및 그 제조방법
JP2005035556A (ja) 空気封入緩衝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7138091B2 (ja) 軟包材容器用中間材の製造方法、軟包材容器の製造方法及び軟包材容器包装体の製造方法
JP2017508674A (ja) 醸造製品を作成するためのポーションカプセルおよびそのポーションカプセル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JP2017508674A5 (ko)
WO2014054760A1 (ja) パウチ容器
KR100969617B1 (ko) 측면 공기유도로를 구비하는 완충용 포장재 및 그 제조방법
JP2005343554A (ja) ケースブランク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ケースブランクを用いた折畳式プラスチック製段ボール通函及びその製造方法
JP5488756B1 (ja) パウチ容器
JP6872097B2 (ja) 断熱性および保管性が向上した包装シートの製造方法
KR100861392B1 (ko) 플라스틱골판지의 가장자리 봉합방법
KR20040029801A (ko) 공기포장팩 및 그 제조방법
KR20060111436A (ko) 주입구가 구비된 포장백의 제조방법
KR100428982B1 (ko) 멀티 셀 튜브를 이용한 완충 포장상자
JP2015196513A (ja) パウチ容器、及びパウチ容器の製造方法
JP6670210B2 (ja) 包装用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3995192B2 (ja) 発泡成形方法
KR200305192Y1 (ko) 부직포 가방
KR200489549Y1 (ko) 포장팩
KR200465741Y1 (ko) 일회용 종이컵
CN216735209U (zh) 一种由卡合结构形成的减震箱体
JPH10270060A (ja) 電池の製造方法
JP5542979B1 (ja) 気室の曲がりゾーンに開口を予め設けた緩衝空気袋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029520A (ja) 立体形状記憶パウチの製造方法
CN116118238A (zh) 无边气囊的制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