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5646B1 - 공통 기준 발진기를 이용하는 다중-모드 무선 통신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공통 기준 발진기를 이용하는 다중-모드 무선 통신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5646B1
KR100785646B1 KR1020037007581A KR20037007581A KR100785646B1 KR 100785646 B1 KR100785646 B1 KR 100785646B1 KR 1020037007581 A KR1020037007581 A KR 1020037007581A KR 20037007581 A KR20037007581 A KR 20037007581A KR 100785646 B1 KR100785646 B1 KR 1007856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rs
clock
signal
clock source
accumu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7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57577A (ko
Inventor
클라트나딤
Original Assignee
프리스케일 세미컨덕터,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리스케일 세미컨덕터, 인크. filed Critical 프리스케일 세미컨덕터, 인크.
Publication of KR20030057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75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5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56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3Circuits using the same oscillator for generating both the transmitter frequency and the receiver local oscillator frequency
    • H04B1/406Circuits using the same oscillator for generating both the transmitter frequency and the receiver local oscillator frequency with more than one transmission mode, e.g. analog and digital mod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DDEMODULATION OR TRANSFERENCE OF MODULATION FROM ONE CARRIER TO ANOTHER
    • H03D7/00Transference of modulation from one carrier to another, e.g. frequency-changing
    • H03D7/16Multiple-frequency-changing
    • H03D7/161Multiple-frequency-changing all the frequency changers being connected in cascade
    • H03D7/163Multiple-frequency-changing all the frequency changers being connected in cascade the local oscillations of at least two of the frequency changers being derived from a single oscillato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DDEMODULATION OR TRANSFERENCE OF MODULATION FROM ONE CARRIER TO ANOTHER
    • H03D7/00Transference of modulation from one carrier to another, e.g. frequency-changing
    • H03D7/16Multiple-frequency-changing
    • H03D7/165Multiple-frequency-changing at least two frequency changers being located in different paths, e.g. in two paths with carriers in quadrature
    • H03D7/166Multiple-frequency-changing at least two frequency changers being located in different paths, e.g. in two paths with carriers in quadrature using two or more quadrature frequency translation st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ransceivers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다중-모드 통신 디바이스(100)는 하나 이상의 2차 기준 위상 동기 루프 (phase lock loops)(PLLs)에 대한 필요성을 피하기 위해 누산기형 '층 1' 타이머들 (150)을 이용하여 GSM/TDMA/EDGE에 대한 동시 시간베이스 모니터링을 제공한다. 그와같은 타이머들의 이용은 다중 집적 회로(IC) 핀들과 몇몇 외부 구성요소들의 절약뿐만 아니라, 부가적인 전용 기준 PLL들을 이용하지 않고 GSM 및 TDMA 동기화 요구조건들의 디지털 수단만에 의한 달성을 허용한다. 또한, 그와 같은 타이머들의 이용을 통해, 어떤 실시간 소프트웨어 조정도 요구되지 않는다. 이것은 다음과 같은 다른 장점들을 제공하는데, 즉, 동시 다중-모드의 지원, 부품 개수 감소 및 비용 절약들; 수정체만의 안정화 시간(settling time)으로 인한 디프 슬립 모드(DEEP SLEEP MODE)로부터의 빠른 회복; 다양한 클럭 주파수들 보다는 오직 하나의 단일 수정체 클럭 주파수 관계가 추적될 필요가 있으므로 다중-모드 디프 슬립 모드의 간략화; 및 동기화가 유지되는 하나의 기준 클럭으로부터 유도된 하나의 클럭 공급원으로 하드웨어 자원들이 클록킹되므로 모든 모드들에 대한 동일한 하드웨어 자원들의 공유를 허용하는 것에 의한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의 간략화를 제공한다.
다중-모드 통신 디바이스, PLL, 디프 슬립 모드,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클럭 공급원

Description

공통 기준 발진기를 이용하는 다중-모드 무선 통신 디바이스{Multi-mode radio communications device using a common reference oscillator}
본 발명은 범용 모바일 원격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 tions System)(UMTS) 및 모바일 통신을 위한 일반 시스템(Gener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GSM) 모드들, 또는 GSM 및 강화된 디지털 GSM 장비 (Enhanced Digital GSM Equipment)(EDGE) 및 시분할 다중 액세스(Time Division Multiple Access)(TDMA) 모드들에서 동작할 수 있는 소위 제 3 세대(3G) 무선 장치들과 같은, 다수의 상이한 모드들 중 한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는 다중-모드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분야에서, 상이한 모드의 동작 주파수를 반영하도록 각각 선택되며 한 동작 모드(MA)에서 다른 모드로 변할 때 스위칭되는 두개 또는 세개의 상이한 수정체들을 다중-모드 무선 장치가 이용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그와 같은 접근법은 동시 다중-모드 동작(simultaneous multi-mode operation)을 허용하는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이러한 접근법은 비용 효과적이지 않다는 단점을 가지는데, (통상적으로 동작 주파수의 요구되는 정확도에 의존하여 매우 값비싼) 다수의 상이한 수정 체들을 요구하며, 그 각각은 자동 주파수 제어(AFC)를 필요로 하고, 또한 비용 및 회로 크기를 증가시키기 때문이다.
또한, MA들사이의 빠른 핸드오버(예를 들어, GSM에서 WBCDMA로, 또는 WBCDMA에서 GSM으로, 또는 GSM에서 EDGE로, 또는 EDGE에서 WBCDMA로)은 '디프 슬립(deep sleep)' 모드(전력 온 및 오프) 능력들을 가진 상이한 MA들을 이용하는 상이한 기지국들 사이에서 시간베이스(timebase) 동기화가 유지되는 것을 요구한다.
WO-A-98/21819 호는 무선 시스템의 다중모드 디바이스를 위한 주파수들의 발생을 서술하고, 모든 요구된 일정 주파수 신호들은 공통 기준 주파수 발진기에 의해 발생된 주파수로부터 발생된다. 상기 주파수들은 정수 분할에 의해 발생되고 몇몇 부가적인 요구된 주파수 승산기들에 의해 발생된다.
삭제
그러므로, 공유 클럭 공급원을 이용하는 다중-모드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으며, 상기에 언급된 단점(들)이 완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특징에 따라, 청구항 1에 청구된 공유 클럭 공급원을 이용하는 다중-모드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2 특징에 따라, 청구항 7에 청구된 공유 클럭 공급원을 이용하는 다중-모드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서 이용하기 위한 집적 회로가 제공된다.
간략히 언급하면, 바람직한 수행에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2차 기준 위상 동기 루프들(PLLs)에 대한 필요성을 회피하도록 누산기형 '층 1(Layer 1)' 타이머들을 이용하여 GSM/TDMA/EDGE에 대한 동시 시간베이스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누산기 층 1 타이머들의 이용은 다중 집적 회로(IC) 핀들과 몇몇 외부 구성요소들의 절약뿐만 아니라, 부가적인 전용 기준 PLL들을 이용하지 않고 TDMA 동기화 요구조건들 및 GSM 동기화 명세들(GSM 5.10)에서 특정된 동일한 요구조건들의 디지털 수단만에 의한 달성을 허용한다. 또한, 누산기 층 1 타이머들의 이용을 통해, 어떤 실시간 소프트웨어 조정도 요구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구체화하는 공유 클럭 공급원을 이용하는 하나의 다중-모드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단지 예에 의해 이제 서술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통합하는 다중-모드 셀룰러 무선전화의 블록도.
도 2는 도 1의 다중-모드 무선 디바이스의 하나의 무선 프로토콜 타이머 유닛의 개략도.
도 3은 GSM/TDMA/EDGE 모드들에서 동작하는 도 1의 다중-모드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동시 모니터링을 위한 클럭 분포 '트리(tree)' 및 디지털 AFC 조정을 예시하는 블록 개략도.
도 4는 GSM/WBCDMA 모드들에서 동작하는 도 1의 다중 모드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동시 모니터링을 위한 클럭 분포 '트리' 및 디지털 AFC 조정을 예시하는 블록 개략도.
간략히 언급하면, 바람직한 수행에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2차 기준 위상 동기 루프들(PLLs)에 대한 필요성을 회피하도록 누산기형 '층 1(Layer 1)' 타이머들을 이용하여 GSM/TDMA/EDGE에 대한 동시 시간베이스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누산기 층 1 타이머들의 이용은 다중 집적 회로(IC) 핀들과 몇몇 외부 구성요소들의 절약뿐만 아니라, 부가적인 전용 기준 PLL들을 이용하지 않고 TDMA 동기화 요구조건들 및 GSM 동기화 명세들(GSM 5.10)에서 특정된 동일한 요구조건들의 디지털 수단만에 의한 달성을 허용한다. 또한, 누산기 층 1 타이머들의 이용을 통해, 어떤 실시간 소프트웨어 조정도 요구되지 않는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중-모드 셀룰러 무선전화 트랜시버(100)는 단일 주파수 수정체(single frequency crystal)(110)에 기초한 공유 클럭 공급원을 이용하며, 단일 주파수 수정체는 기준 PLL부(120), 분율적 N PLL부(fractional N PLL section)(130), 아날로그/디지털 제어부(140)(자동 주파수 제어 - afc - 검출 및 측정을 포함), 및 디바이스의 각각의 동작 모드들에서 이용하기 위한 각각의 누산기형 '층 1' 타이머들을 제공하는 (하기에 더 상세히 서술되는 바와같은) 무선 인터페이스 타이머부(150)를 구동하도록 연결된다. 다중-모드 무선 통신 디바이스 (100)는 또한 RX/TX부(160)를 가지며, 이것은 기준 PLL부(120)로부터 수신/전송 주파수 신호들(fovs_RX/fovs_TX)를 수신하고 또한 분율적 N PLL부(13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수신한다. RX/TX부(160)는 또한 수신/전송 데이터 신호들(RXDataSSI/ TXDataSSI)을 제어부(140)와 교환하며, 제어부는 주파수 조정 신호(afc)를 분율적 N PLL부(130)에 제공하고 또한 (하기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같이) 무선 인터페이스 타이머부(150)내의 무선 인터페이스 타이머들에게 각각의 주파수 조정 신호들((1+afc)*Den/Num)을 제공한다.
무선 프로토콜 타이머 유닛
이제 도 2를 또한 참조하며, 무선 인터페이스 타이머부(150)에서, 각각의 누산기형 '층 1' 타이머(200)는 합산 요소(210)와 레지스터(220)를 포함한다. 레지스터(220)는 수정체 주파수(crystal frequency)(fxtal/2)에서 구동되고, 합산 요소(210)는 도 1의 제어부(140)로부터의 조정값((1+afc)Den/Num)과 레지스터(220)의 출력을 합산한다. 따라서, 레지스터(220)의 출력은 L-비트 값을 포함하며, 그 중에서 K 비트는 정수값을 나타내고, L-K 비트는 분율값을 나타낸다.
따라서, 각각의 타이머(200)가 다음의 함수를 수행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TimerValue(n) = TimerValue(n-1) + (1+afc)Den/Num
여기서, afc는 포지티브 또는 네거티브일 수 있는 주파수 조정값이고, n은 수정체 주파수 fxtal/2의 각각의 클럭 주기에 대한 인덱스 시간이고, Den/Num은 수정체에 의해 제공된 클럭 주파수와 타이머의 동작 모드에 대해 요구되는 클럭 주파수사이의 비율이다(예를 들어, TDMA 주파수와 GSM 주파수, 즉, Den/Num = 19.44 Mhz/13 Mhz = 486/325).
층 1 타이머가 GSM 시간베이스를 위해 이용되는 경우 1을 고려하면, Num=Den=1이다.
afc=0, 즉 수정체 주파수 에러가 없음을 가정하면, 타이머 값은 0,1,2,3,4,...에서 시작할 것이어서, 그 값은 fxtal/2의 클럭 주기들의 수에 대응 한다.
(예를 들어) -20%의 수정체 주파수 에러를 가진, afc=+1/5인, afc > 0을 가정하면, 타이머 값은 0, 1.2, 2.4, 3.6, 4.8, 6, 7.2,...에서 시작할 것이어서, 타이머는 이미 값 afc에 의해 조정되었다. 타이머 레지스터 값은 따라서 무선 트로토콜 타이밍 값에 대응한다. 이러한 레지스터 값은 K 비트들에 대한 비-분율 수와 L-K 비트들에 대한 분율 수를 포함할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따라서 타이머 감도한계 (resolution)는 afc/fxtal/2이고, 타이머 정확도는 2/fxtal이다.
층 1 타이머가 TDMA 시간베이스를 위해 이용되는 경우 2를 고려하면, 또한 13 Mhz 클럭을 이용하여 19.44 MHz에서 얼마나 많은 클럭 주기들 및 그 분율이 경과했는지를 카운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조정값을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Den/Num(1+afc) = 19.44 Mhz/13 Mhz = 486/325*(1+afc)
도 3에서 다중-모드 GSM/TDMA/EDGE 모드들을 위한 무선 '클럭 트리'(300)가 도시된다.
도 2에 도시된 누산기형 '층 1' 타이머 2개가 상이한 각각의 모드들에 관련된 시간베이스를 카운트하는데 이용된다. 각각의 층 1 타이머 누산기는 26 Mhz 수정체 클럭(예로서)에 의해 클록킹되고 상기에 서술된 바와같이 동작한다.
이러한 방식에서, 시간베이스(Tb)가 0.2 ppm의 정확도로 계산되더라도, 층 1 타이머들은 2*Txtal의 상승 또는 하강 에지에서만 트리거링되어(Txtal은 수정체 주파수(fxtal)로부터 유도된 전송 주파수임), 타이밍 신호들은 GSM에 대해 특정된 Tb/4의 요구되는 정확도보다 훨씬 작은 2*Txtal(= Tb/24, Txtal=1/13 MHz인 경우) 의 정확도내에서 상승 또는 하강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각각 GSM 및 TDMA 모드들에 대해 이용된 두개의 누산기형 '층 1' 타이머들을 가진 상기 실시예에서, 두개의 타이머들은 제 2 기준 PLL의 안정화 시간을 가질 필요없이 직접 수정체 클럭을 이용한다('디프 슬립' 모드동안 턴온 또는 턴오프되는 경우). 그러나, TDMA 버스트를 수신 또는 전송하기 위해서, 26 Mhz 수정체로부터 19.44 Mhz를 유도하는데 이용되는 제 1 기준 PLL은 그것이 트랜시버의 RX 및 TX부들에서 요구되는 오버샘플링 클럭을 유도하는데 이용되므로 안정화될 필요가 있다는 것이 더 이해될 것이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같이, 다중-모드 셀룰러 무선전화 트랜시버(100)는 RX 및 TX VCO들에 대한 디지털 미세 튜닝 AFC 조정(digital fine tuning AFC correction) (예를 들어, DCS-데이터 코딩 방식-대역에서 3Hz)을 달성하기 위해 예를 들어 24 비트 다중누산기(multiaccumulator)를 이용함으로써 분율화의 높은 값을 가지는 직접적인 분율적 N 합성기(direct fractional N synthesizer)(130)를 이용한다.
MS(이동국, 즉, 다중-모드 셀룰러 무선전화 트랜시버(100)) 캐리어 주파수는 상기에 서술된 분율적 N(GSM 5.10에서 섹션 6.1) PLL부(130)에 디지털 AFC를 적용함으로써 0.1 ppm내에서 정확하지만, GSM(및 EDGE) 명세(specs)는 또한 MS가 그 내부 시간베이스를 Tb/4(여기서, Tb는 심볼 비트 주기)의 정확도로 BTS(base tran sceiver station: 트랜시버 기지국)로부터 수신된 신호들과 정렬되게 하는 것을 요구한다. 또한, 64 SACCH(Slow Associated Control Channel: 저속의 연관된 제어 채널) 블록 주기들 이상인, 신호의 일시적인 총 손실동안 MS는 0.2 ppm내에서 정확한 클럭으로 시간베이스를 갱신해야 한다.
이것은 베이스밴드 IC가 그 내부 시간베이스(층 1 타이머들)를 Tb/4의 정확도로 BTS로부터 수신된 신호들과 정렬되게 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타이밍 유사 RX 또는 TX 버스트 윈도우들을 발생시키는 층 1 타이머들는 별도로 하고, 그밖에 어떤 것도 AFC 조정을 요구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에서, 베이스밴드 PLL로부터 발생된 DSP 클럭은 AFC에 관련된 정확도를 요구하지 않는데, 그것이 계산 속도를 위해 이용되기 때문이다. RX 및 TX SSI 인터페이스는 트랜시버 IC로부터 베이스밴드 IC로의 데이터 전달을 동기화하기 위해 클럭을 이용하지만, 이러한 클럭은 fovs_RX 및 fovs_TX 클럭으로부터 유도된다. 그러나, 전달된 데이터는 RX_ACQ 및 DMCS를 통해 층 1 타이머들 시스템에 의해 트리거링된다. 그다음에, 이들 신호들은 클럭 전송을 가능케 할 것이다.
RX 측에서, DSP는 GSM을 위한 주파수 조정 버스트 방법 또는 TDMA를 위한 다른 방법들을 이용하여 수신기의 주파수 에러를 측정할 것이고, 그 다음에 주파수 이동을 보상하기 위해 RX 주 합성기에 AFC 값을 제공할 것이다.
높은 IF 값(예를 들어, 400 MHz)을 이용한 이전 세대 수신기들(예를 들어, 수퍼헤테로다인 수신기들)에서, 주 LO는 단지 AFC 조정되므로, IF는 제 2 LO가 AFC 조정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보상하기 위해 주파수 에러만큼 이동된다. 이러한 IF 이동값은 높은 IF 값들에 대해 SAW 필터의 에지에 바람직하지 않게 가까운 스펙트럼을 이동시킬 수 있는 IF*Dppm(예를 들어, 400Mhz*20ppm = 8Khz)와 동일하다. 이러한 고려는 DAC를 통해 직접 조정되고 튜닝되는 수정체를 갖는 것으로 이끄는 듀얼 업-변환(dual up-conversion)(예를 들어, TX IF = 88Mhz)을 가진 전송기에 또한 적용되어, 모든 LO들(RX 또는 TX)은 이미 AFC 조정되는데, 기준이 조정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직접적이고 매우 낮은 IF 변환 수신기들/전송기들에서, 상황은 매우 상이하다. 수신기에서, IF는 매우 작거나 0과 동일하여, AFC 조정이후의 결과적인 주파수 조정은 무시할만하다(예를 들어, 115KHz*20ppm = 2.3Hz). 이것이 상기 실시예에서, fovs_RX가 fxtal/2 = 13Mhz와 동일하도록 선택되는 이유이다.
TDMA 모드에서, 수신기 A/D 및 필터링은 fovs_RX = 3.888MHz = 19.44MHz/5의 클럭을 요구한다. 이러한 클럭은 기준 PLL로부터 유도된다.
전송기 측에서, GSM 모드에서, AFC 조정은 GMSK 주파수 변조에 부가되고, 수정체 에러를 보상하고 0.1 ppm RF 출력 정확도 요구조건을 맞추기 위해 다중-누산기 FRACN 합성기에 적용된다. GSM 펄스 정형(GSM pulse shaping)은 fovs_TX = fxtal/6 = 4.333 Mhz인 주파수에서 동작한다.
전송기 측에서, EDGE 모드에서, AFC 조정은 0.04 ppm내에서 정확한 출력 RF 주파수를 유지하도록 주 LO TX에 적용된다. 또한, I/Q 변조기들은 유사한 fovs_TX 클럭 = fxtal/6 = 4.333 Mhz로 동작한다. 그러나, IQ 발생된 신호들은 비-조정된 수정체 클럭을 이용하는 것이므로, 위상 에러는 IQ 변조기들에 의해 발생된다. 그러나, 이러한 위상 에러는 다음의 분석에서 설명된 바와같이 매우 작다.
예를 들어, 변조기가 변조 주파수 fmodulation = 67.7 KHz = fxtal/384에서 테스트 톤을 발생시켜야 한다고 가정한다. 필요한 펄스 정형을 포함하는 룩 업 ROM 테이블의 내용들은 비-조정된 클럭으로 판독될 것이다. 주파수 에러는 fxtal*Dppm /384와 동일한(예를 들어, 26Mhz*20ppm/384 = 1.35Hz와 동일한) 값으로 나타날 것이다. 처음 생각으로는 주 LO 상의 AFC를 통해 이러한 에러를 보상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지만, 이러한 에러는 일정하지 않으며 변조와 함께 변한다. 주파수 에러는 +/-1.35Hz 까지 올라갈 것이며, 이것은 577㎲의 하나의 시간슬롯 TX에서 +/- 577㎲*1.35Hz*360 = 0.28 도의 피크 위상 에러를 발생시킬 것이다. 두개의 시간 슬롯 TX가 이용된다면, 부가된 피크 위상 에러는 상대적으로 작은 0.56 도가 될 것이다.
EDGE형 변조때문에, 주파수 에러는 일정하지 않을 것이다. 이것은 위상형의 에러를 발생시킬 것이다. 200KHz의 최대 주파수 편차에 대해서, 이것은 하나의 시간슬롯 TX에서 0.84 도의 피크 위상 에러를 발생시킬 것이다.
최종적으로, 누산기형 층 1 타이머들에서의 AFC 조정은 상기에 서술된 바와같은 임의의 제 1 기준 PLL에 대한 필요성을 제거하면서, 상기에 서술된 바와같이 수행된다.
도 4에는 듀얼 모드 GSM 및 WBCDMA 모드들에 대한 무선 '클럭 트리'(400)가 도시된다.
도 2에 두개의 누산기형 '층 1' 타이머들 2개(410 및 420)가 GSM 네트워크 및 UMTS 네트워크에 관련된 시간 베이스를 카운트하는데 이용된다. 각각의 층 1 타이머 누산기는 26Mhz 수정체 클럭에 의해 클록킹된다(이러한 클럭 주파수는 단지 예이며, 이것은 WBCDMA에 대한 부가적인 실시간 프로세싱이 요구된다면 UMTS 클럭에 대해 대안적으로 15.36Mhz일 수 있으며, 여기서 어떤 버퍼링된 메모리도 샘플링된 I 및 Q 데이터 값들을 저장하는데 이용가능하지 않다). GSM에 대한 누산기는 단지 1에다 AFC_GSMbs라 불리는 AFC 에러를 더한 것을 축적하며, 이것은 GSM 기지국 기준 클럭에 대한 수정체 주파수 에러(또는 f_layer1 클럭)이고; UMTS에 대한 누산기는 1에다 AFC_UMTSbs라 불리는 AFC 에러를 더한 것을 축적하며, 이것은 수정체 주파수(또는 f_layer1 클럭)에 의해 분할된 UMTS 기준 클럭 주파수와 동일한 비율에 의해 곱해진 UMTS 기지국 기준 클럭에 대한 수정체 주파수(또는 f_layer1 클럭)이다.
누산기 타이머들은 상이한 기준 주파수 조정들을 가지는 두개 이상의 기지국들사이의 MS의 주파수 에러에 의존하여 상이한 AFC 값들로 증분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UMTS에서, 기지국은 0.05 ppm의 GSM과 UMTS 기지국사이의 주파수 에러를 특정하며, 이것은 모바일 유닛에서 0.1ppm의 에러를 발생시킬 수 있고, 모바일 유닛에는 또한 상이한 수신 RF 주파수들로 인한 GSM과 UMTS 기지국들사이의 도플러 주파수 에러가 부가될 수 있다).
층 1 누산기들에 대한 입력값은 디프 슬립 모드에서 동작할 때와 f_layer1 클럭이 실시간 클럭 공급원(예를 들어, 32.768KHz)와 동일하도록 선택될 때 변화될 수 있다. 입력값들은 디프 슬립 모듈내의 무선 장치에서 대개 측정되는 수정체 클 럭 공급원과 32.768KHz사이의 주파수 관계에 기초하여 변화된다. 따라서, 32.768KHz 신호에 대한 수정체 클럭 주파수만이 시간에 대해 추적되는 것이 요구된다.
물론, 본 발명 및 상기에 서술된 실시예(들)은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들의 장치에서 실시된, 집적 회로 형태에서의 이용에 용이하게 도움이 되며, 본 발명의 많은 장점들은 더 큰 중요성을 취한다.
상기에 서술된 공유 클럭 공급원을 이용하는 다중-모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다음의 장점들을 제공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ㆍ동시 다중-모드 동작의 지원.
ㆍ낮은 부분 카운트 및 비용 절약(예를 들어, 3G UMTS 무선 장치에 대해 $1.5 및, 외부 구성요소 절약).
ㆍ수정체들만의 안정화 시간으로 인한 디프 슬립 모드로부터의 빠른 회복.
ㆍ다양한 클럭 주파수들 보다는 오직 32KHz 대 하나의 단일 수정체 클럭 주파수 관계가 추적되는 것을 요구하면서, 수정체 클럭이 스위칭 오프될 수 있고 RTC 클럭(예를 들어, 32KHz)가 시간베이스로서 이용될 수 있으므로 다중-모드 무선 장치들에서의 디프 슬립 모드의 간략화.
ㆍ동기화가 유지되는 하나의 기준 클럭으로부터 유도된 하나의 클럭 공급원으로 하드웨어 자원들이 클록킹되므로 모든 모드들에 대한 동일한 하드웨어 자원들(DSP, 메모리, 마이크로콘트롤러, 등...)의 공유를 허용하는 것에 의한 디지털의 신호 프로세싱의 간략화.

Claims (8)

  1. 공유 클럭 공급원(110)을 이용하는 다중-모드 무선 통신 디바이스(100)에 있어서,
    수정체(110)로부터 AFC-제어된 클럭 공급원 신호를 유도하기 위해 상기 수정체(110)에 연결하는 수단,
    상기 클럭 공급원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RX부 및/또는 TX부(160)에 전달될 상이한 클럭 신호(fovs_RX, fovs_TX)를 상기 클럭 공급원 신호로부터 유도하기 위한 기준 PLL(120), 및
    상기 다중 모드들 중 각각의 모드에서 시간베이스 동기화를 각각 유지하는 복수의 누산기 타이머들(accumulator timers)(150)로서, 상기 복수의 누산기 타이머들 각각은 AFC 수단(140)으로부터 유도된 신호 및 클럭 공급원 신호 주파수와 상기 다중 모드들 중 각각의 모드의 주파수 사이의 비율을 나타내는 신호((1+afc)*Den/Num)를 증분 신호로서 이용하도록 배열되는, 상기 복수의 누산기 타이머들을 포함하는, 다중-모드 무선 통신 디바이스(10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모드들 중 복수의 상이한 모드들의 A/D 또는 D/A부들(140)은 상기 클럭 공급원 신호 또는 상기 기준 PLL로부터 클럭 신호들을 유도하도록 배열되는, 다중-모드 무선 통신 디바이스.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누산기 타이머들(150)은,
    상기 클럭 공급원; 또는
    상기 기준 PLL 클럭 출력; 또는
    디프 슬립 모드(deep sleep mode)에서 동작할 때의 실시간 클럭 공급원으로부터 선택되는 동일한 클럭 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다중-모드 무선 통신 디바이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누산기 타이머들은 상기 클럭 신호의 선택에 의존하는 상이한 신호들에 의해 증분되도록 배열되는, 다중-모드 무선 통신 디바이스.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누산기 타이머들(150)은 상이한 기준 주파수 조정들을 가지는 두개 이상의 기지국들 사이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주파수 에러에 의존하여 상이한 AFC 값들로 증분되도록 배열되는, 다중-모드 무선 통신 디바이스.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범용 모바일 원격통신 시스템(UMTS);
    모바일 통신을 위한 일반 시스템(GSM);
    강화된 디지털 GSM 장비(EDGE); 및
    시분할 다중 액세스(TDMA)로부터 선택된 복수의 모드들로 동작하도록 배열되는, 다중-모드 무선 통신 디바이스.
  7. 공유 클럭 공급원(110)을 이용하는 다중-모드 무선 통신 디바이스(100)에서 이용하기 위한 집적 회로 장치에 있어서,
    수정체(110)로부터 AFC-제어된 클럭 공급원 신호를 유도하기 위해 상기 수정체(110)에 연결하는 수단,
    상기 클럭 공급원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RX부 및/또는 TX부(160)에 전달될 상이한 클럭 신호(fovs_RX, fovs_TX)를 상기 클럭 공급원 신호로부터 유도하기 위한 기준 PLL(120), 및
    다중 모드들 중 각각의 모드에서 시간베이스 동기화를 각각 유지하는 복수의 누산기 타이머들(150)로서, 상기 복수의 누산기 타이머들 각각은 AFC 수단(140)으로부터 유도된 신호 및 클럭 공급원 신호 주파수와 상기 다중 모드들 중 각각의 모드의 주파수 사이의 비율을 나타내는 신호((1+afc)*Den/Num)를 증분 신호로서 이용하도록 배열되는, 상기 복수의 누산기 타이머들을 포함하는, 집적 회로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단일 클럭 공급원으로부터 유도된 클럭들을 이용하도록 배열된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회로를 더 포함하고, 그에 의해 다중모드 프로세싱은 동일한 프로세싱 블록들을 공유하는, 집적 회로 장치.
KR1020037007581A 2000-12-07 2001-09-18 공통 기준 발진기를 이용하는 다중-모드 무선 통신 디바이스 KR1007856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0403441.9 2000-12-07
EP00403441A EP1213830B1 (en) 2000-12-07 2000-12-07 Multi-mode radio communications device using a common reference oscillator
PCT/EP2001/010896 WO2002047247A1 (en) 2000-12-07 2001-09-18 Multi-mode radio communications device using a common reference oscill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7577A KR20030057577A (ko) 2003-07-04
KR100785646B1 true KR100785646B1 (ko) 2007-12-14

Family

ID=8173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7581A KR100785646B1 (ko) 2000-12-07 2001-09-18 공통 기준 발진기를 이용하는 다중-모드 무선 통신 디바이스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039438B2 (ko)
EP (1) EP1213830B1 (ko)
JP (1) JP5105688B2 (ko)
KR (1) KR100785646B1 (ko)
CN (1) CN1256803C (ko)
AT (1) ATE249108T1 (ko)
AU (1) AU2002223551A1 (ko)
DE (1) DE60005030T2 (ko)
WO (1) WO20020472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74495B1 (en) * 2000-09-13 2009-08-11 Fortinet, Inc.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interworking communications protocols
FI20012473A (fi) * 2001-12-14 2003-06-15 Nokia Corp Menetelmä lähetyksen kontrolloimiseksi radiojärjestelmässä
US7190679B2 (en) * 2002-05-16 2007-03-13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rbitrating transmit events in a multimode communication device
US7376125B1 (en) * 2002-06-04 2008-05-20 Fortinet, Inc. Service processing switch
US7307480B2 (en) 2002-10-31 2007-12-11 Qualcomm Incorporated Low latency frequency switching
US7266120B2 (en) * 2002-11-18 2007-09-04 Fortinet, Inc. System and method for hardware accelerated packet multicast in a virtual routing system
DE10310771A1 (de) * 2003-03-12 2004-09-23 Infineon Technologies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Steuern des Leistungsverbrauchs einer kombinierten UMTS/GSM/EDGE-Funkstation
DE10317598A1 (de) * 2003-04-16 2004-11-25 Infineon Technologies Ag Integrierter Transceiverschaltkreis
GB0404194D0 (en) 2004-02-25 2004-03-31 Ttp Communications Lt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FR2870405B1 (fr) * 2004-05-11 2006-07-28 Sagem Procede de commutation de mode d'un oscillateur et dispositif oscillateur correspondant.
CN101057412B (zh) * 2004-11-12 2010-10-27 联发科技股份有限公司 用于无线收发器系统的定时系统和方法
US7808904B2 (en) * 2004-11-18 2010-10-05 Fortinet,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subscriber profiles
WO2006063619A1 (en) * 2004-12-15 2006-06-22 Freescale Semiconductor, Inc Frequency gener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N100466777C (zh) * 2005-01-14 2009-03-04 英华达(南京)科技有限公司 通讯装置切换通讯模组的方法
US7356350B2 (en) * 2005-03-14 2008-04-08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clocks for a handheld multistandard communication system
CN101167256A (zh) * 2005-04-27 2008-04-23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无线发送装置、极性调制发送装置以及无线通信装置
EP1811650A1 (en) * 2006-01-10 2007-07-25 Alcatel Lucent Method for finely tuning the frequency of a radio signal
EP1979986B1 (en) * 2006-01-24 2011-10-12 Agency for Science, Technology and Research A receiver arrangement and a transmitter arrangement
US7668920B2 (en) * 2006-03-01 2010-02-23 Fortinet, Inc. Electronic message and data tracking system
FI20065454A0 (fi) * 2006-06-29 2006-06-29 Nokia Corp Kontrollimenetelmä, kontrolliväline, kommunikaatioväline, tietokoneohjelma, tietokoneohjelman jakeluväline ja tiedonkäsittelymenetelmä
US7742785B2 (en) * 2006-08-09 2010-06-22 Qualcomm Incorporated Reference signal generation for multiple communication systems
US7773962B2 (en) * 2006-09-13 2010-08-10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ly applying frequency correction
US20080084919A1 (en) * 2006-10-05 2008-04-10 Zerog Wireless, Inc. Multiprotocol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s
US20080084922A1 (en) * 2006-10-05 2008-04-10 Bendik Kleveland Multiprotocol multiplex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s
US7782991B2 (en) * 2007-01-09 2010-08-24 Freescale Semiconductor, Inc. Fractionally related multirate signal processor and method
WO2008139348A1 (en) * 2007-05-09 2008-11-20 Nxp B.V. Method and system for synchronization of at least two terminal communication systems and at least one counterpart communication station within a multi-standar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041310B2 (en) * 2007-10-01 2011-10-1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pparatus and methods for frequency control in a multi-output frequency synthesizer
JP5282495B2 (ja) * 2008-09-05 2013-09-04 富士通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移動無線端末
US20110076945A1 (en) * 2009-09-29 2011-03-31 Mediatek Inc. Methods for Controlling a Main Clock Source Shared Between Different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and Apparatuses Using the Same
CN101840915B (zh) * 2010-05-07 2011-12-21 无锡中星微电子有限公司 一种引脚共享装置及方法
US9014740B2 (en) * 2011-12-12 2015-04-21 Broadcom Corporation Enhanced multiple SIM time tracking
US8923778B2 (en) * 2012-08-20 2014-12-30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 for automatic frequency correction in a multi-carrier communications device
US9060735B2 (en) 2012-12-14 2015-06-23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Classification of segments of acoustic physiological signal captured during sleep using phase-locked loop array
US11490386B2 (en) 2015-10-05 2022-11-01 Sony Semiconductor Solutions Corporatio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apparatus
US9749962B1 (en) 2016-06-23 2017-08-29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closed loop multimode radio system sleep clock frequency compensa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29238A2 (en) * 1995-02-08 1996-08-28 Sony Corporation Transmitter and transceiver
WO1998021919A1 (de) * 1996-11-11 1998-05-22 HEINRICH-HERTZ-INSTITUT FüR NACHRICHTENTECHNIK BERLIN GMBH Phosphor für displays und dünnschicht-elektrolumineszenz-display mit einem solchen phosphor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36937A (en) * 1993-02-01 1995-07-25 Motorola, Inc. Multi-mode digital phase lock loop
JPH09130291A (ja) * 1995-10-31 1997-05-16 Hitachi Ltd デュアルモード携帯電話端末のクロック分配方式
US5943613A (en) * 1996-11-07 1999-08-2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standby current in communications equipment
FI102122B (fi) * 1996-11-14 1998-10-15 Nokia Mobile Phones Ltd Radiojärjestelmän monimoodilaitteen taajuuksien generointi
US6064325A (en) * 1998-08-11 2000-05-16 Trw Inc. Frequency modulation-based folding optical analog-to-digital converter
FI106761B (fi) * 1999-02-19 2001-03-30 Nokia Mobile Phones Ltd Menetelmä ja piirijärjestely järjestelmien keskinäisen tahdistuksen toteuttamiseksi monimoodilaitteessa
JP2000244351A (ja) * 1999-02-19 2000-09-08 Fujitsu Ltd 受信制御装置及びその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29238A2 (en) * 1995-02-08 1996-08-28 Sony Corporation Transmitter and transceiver
WO1998021919A1 (de) * 1996-11-11 1998-05-22 HEINRICH-HERTZ-INSTITUT FüR NACHRICHTENTECHNIK BERLIN GMBH Phosphor für displays und dünnschicht-elektrolumineszenz-display mit einem solchen phosph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13830B1 (en) 2003-09-03
DE60005030T2 (de) 2004-04-01
KR20030057577A (ko) 2003-07-04
US7039438B2 (en) 2006-05-02
DE60005030D1 (de) 2003-10-09
EP1213830A1 (en) 2002-06-12
WO2002047247A1 (en) 2002-06-13
JP5105688B2 (ja) 2012-12-26
AU2002223551A1 (en) 2002-06-18
CN1479967A (zh) 2004-03-03
US20040037379A1 (en) 2004-02-26
ATE249108T1 (de) 2003-09-15
JP2004526343A (ja) 2004-08-26
CN1256803C (zh) 2006-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5646B1 (ko) 공통 기준 발진기를 이용하는 다중-모드 무선 통신 디바이스
US5301367A (en) Direct digital synthesizer for producing a modulated intermediate frequency in a radio apparatus
JP3958371B2 (ja) 通信機器の待機電流を削減する方法と装置
KR100397716B1 (ko) 송신기및송수신기
JP2526847B2 (ja) ディジタル方式無線電話機
CN101213783B (zh) 采用自适应参考频率校正的同步方案
JPS63290414A (ja) 自動車電話装置
US6876874B2 (en) Process for reducing the electrical consumption of a transmitter/receiver of digital information, in particular a cellular mobile telephone, and corresponding transmitter/receiver
US4317221A (en) Mobile data receiving system
CN1965491B (zh) 用于将便携式收发机与网络同步的系统和方法
KR20090083899A (ko) 다중 모드 디바이스의 자동 주파수 보정 방법 및 장치
EP1206039A2 (en) A synthesizer arrangement and a method for generating signals, particularly for a multimode radio telephone device
EP0398688B1 (en) Procedure for forming frequencies of a digital radio telephone
JP3788305B2 (ja) 第1クロック信号から第2クロック信号を導出する回路および方法
JP2929965B2 (ja) 無線通信端局
EP1248378B1 (en) Transmitter and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CN1241325A (zh) 多信道无线装置、无线通信系统和分数分频综合器
JP3282682B2 (ja) 移動電話機
KR20020000895A (ko) 통신 시스템
JPH05206917A (ja) 時分割二重方式又は時分割多元接続/時分割二重方式の送受信装置
JP2796969B2 (ja) 移動無線装置
JPH05315992A (ja) 受信回路
JPH05206890A (ja) 双方向無線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