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5605B1 -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5605B1
KR100785605B1 KR1020060122098A KR20060122098A KR100785605B1 KR 100785605 B1 KR100785605 B1 KR 100785605B1 KR 1020060122098 A KR1020060122098 A KR 1020060122098A KR 20060122098 A KR20060122098 A KR 20060122098A KR 100785605 B1 KR100785605 B1 KR 1007856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metal film
hole
semiconductor substrat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2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9989A (ko
Inventor
다까히로 오이까와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산요 세미컨덕터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산요 세미컨덕터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59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99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5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5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01DMOS transistors, i.e. MISFETs with a channel accommodating body or base region adjoining a drain drift region
    • H01L29/7802Vertical DMOS transistors, i.e. VDMOS transistors
    • H01L29/7809Vertical DMOS transistors, i.e. VDMOS transistors having both source and drain contacts on the same surface, i.e. Up-Drain VDMOS transis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3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conductors
    • H01L21/76841Barrier, adhesion or liner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3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conductors
    • H01L21/76841Barrier, adhesion or liner layers
    • H01L21/76871Layers specifically deposited to enhance or enable the nucleation of further layers, i.e. seed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9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formed through a semiconductor substr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 H01L29/0603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constructional design considerations, e.g. for preventing surface leakage, for controlling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or for internal isolations regions
    • H01L29/0642Isolation within the component, i.e. internal isolation
    • H01L29/0649Dielectric regions, e.g. SiO2 regions, air gaps
    • H01L29/0653Dielectric regions, e.g. SiO2 regions, air gaps adjoining the input or output region of a field-effect device, e.g. the source or drain reg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1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 H01L29/417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41725Source or drain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 H01L29/41741Source or drain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vertical or pseudo-vertical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1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 H01L29/417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41725Source or drain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 H01L29/41766Source or drain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with at least part of the source or drain electrode having contact below the semiconductor surface, e.g. the source or drain electrode formed at least partially in a groove or with inclusions of conductor inside the semicondu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3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 H01L29/45Ohmic electrodes
    • H01L29/456Ohmic electrodes on silic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77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 H01L29/66674DMOS transistors, i.e. MISFETs with a channel accommodating body or base region adjoining a drain drift region
    • H01L29/66712Vertical DMOS transistors, i.e. VDMOS transistors
    • H01L29/66734Vertical DMOS transistors, i.e. VDMOS transistors with a step of recessing the gate electrode, e.g. to form a trench gate electro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01DMOS transistors, i.e. MISFETs with a channel accommodating body or base region adjoining a drain drift region
    • H01L29/7802Vertical DMOS transistors, i.e. VDMOS transistors
    • H01L29/7813Vertical DMOS transistors, i.e. VDMOS transistors with trench gate electrode, e.g. UMOS transis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2Bonding area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0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onding are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 Electrodes Of Semiconductors (AREA)
  • Insulated Gate Type Field-Effect Transis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반도체 장치는, 제1 금속막(18)에 당접하도록 반도체층에 형성된 관통 구멍(10)과, 상기 관통 구멍(10)의 측벽부에 형성된 절연막(12)과, 상기 절연막(12)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상기 관통 구멍(10)의 저부의 제1 금속막(18) 상과 상기 반도체층 상에 형성된 제2 금속막(13)과, 상기 관통 구멍(10) 내의 상기 절연막(12) 및 제1 금속막(18) 상에 형성된 배리어 메탈막(14)과, 상기 배리어 메탈막(14)을 개재해서 상기 관통 구멍 내에 형성된 배선층(1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에피택셜층, P형 확산층, 트렌치 홈, 배리어 메탈막

Description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4는 종래의 반도체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51 : 반도체 기판
2, 52 : 에피택셜층
3: P형 확산층(채널 영역)
4: 트렌치 홈
5, 12, 22, 55 : 절연막
6, 56 : 게이트 전극(G)
7, 57 : 소스층
7A, 60 : 소스 전극(S)
8, 58 : P형 보디층
10, 21 : 관통 구멍
11: 드레인층(드레인 전극(D))
13: 제2 금속막
14: 배리어 메탈막(제3 금속막)
15: 배선층(제4 금속막)
18: 제1 금속막
19, 30 : 반도체 장치
20: 드레인 전극
23, 62 : 금속막
24: 배리어 메탈막
25: 배선층
26: 드레인층
53: P형 확산층
54: 트렌치 홈
59 : 드레인층
61 : 드레인 전극(D)
[특허문헌 1] 일본 특개2004-363302호 공보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관통 전극을 가지는 반도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반도체 장치에 대해서, 트렌치 구조의 업 드레인형 M0S 트랜지스터를 일례로서 설명한다.
즉,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N형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반도체 기판(51) 상에 에피택셜층(52)이 형성되고, 이 에피택셜층(52)의 표층에 P형 확산층(53)(채널 영역 CH)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P형 확산층(53)의 표층부터 에피택셜층(52)의 소정 깊이 위치에까지 도달하는 트렌치 홈(54)이 형성되어 있다. 이 트렌치 홈(54) 내에 절연막(55)으로 둘러싸인 폴리실리콘 막으로 이루어지는 도전층이 매설되고, 게이트 전극(G)(56)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에피택셜층(52)의 표층에서, 또한 트렌치 홈(54)의 양 측벽부에 절연막(55)에 인접한 N형의 소스층(57)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인접하는 소스층(57) 사이에 걸치도록 P형 보디층(58)(BD)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에피택셜층(52)의 표층부터 반도체 기판(51)의 소정 깊이 위치에까지 도달하도록, N형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드레인층(59)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에피택셜층(52) 상에, 소스층(57)을 피복하도록 예를 들면 알루미늄(Al) 합금 등으로 이루어지는 소스 전극(S)(60)이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드레인층(59)을 피복하도록 예를 들면 알루미늄(Al) 합금 등으로 이루어지는 드레인 전극(D)(6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반도체 기판(51)의 이면에 금속막(62)이 형성되어서 이루어지는 반 도체 장치(63)이다.
상기 트렌치 구조의 업 드레인형 MOS 트랜지스터는, 도 14에 나타낸 화살표 방향을 따라, 상기 소스 전극(60), 에피택셜층(52), 반도체 기판(51) 내를 지나 상기 금속막(62)을 개재해서, 재차 반도체 기판(51), 에피택셜층(52), 그리고 드레인 전극(61)에 전류 I2가 흐른다.
이때, 에피택셜층(52)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고저항의 반도체 기판(51) 부분을 2번 통과하기 때문에, 반도체 장치의 저항값을 내릴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주된 특징은 이하와 같다. 즉, 본 발명의 반도체 장치는, 그 표면으로부터 이면에 걸쳐서 관통하는 관통 구멍과, 상기 표면에 소스층이 형성된 제1 도전형의 반도체 기판과, 상기 관통 구멍을 피복하고, 상기 반도체 기판의 이면 상에 형성된 제1 금속막과, 상기 관통 구멍 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금속막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드레인층을 구비하고, 상기 드레인층은, 상기 반도체 기판의 표면 상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반도체 기판의 표면과 접하는 제2 금속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반도체 장치는, 그 표면으로부터 이면에 걸쳐서 관통하는 관통 구멍과, 상기 표면에 소스층이 형성된 제1 도전형의 반도체 기판과, 상기 관통 구멍을 피복하고, 상기 반도체 기판의 표면 상에 형성된 드레인 전극과, 상기 관통 구멍 내에 형성되고, 상기 드레인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드레인층을 구비 하고, 상기 드레인층은, 상기 반도체 기판의 이면 상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반도체 기판의 이면과 접하는 제2 금속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은, 그 표면에 소스층 및 드레인 전극이 형성된 제1 도전형의 반도체 기판을 준비하고, 상기 반도체 기판의 이면으로부터 상기 드레인 전극에 도달하는 관통 구멍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관통 구멍 내에 상기 드레인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드레인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드레인층을 형성하는 공정은, 상기 반도체 기판의 이면과 접하는 제2 금속막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따른 제1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반도체 장치에 대해서, 트렌치 구조의 업 드레인형 M0S 트랜지스터를 일례로서 설명한다.
우선,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도전형, 예를 들면 N형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반도체 기판(1) 상에 N형 에피택셜층(2)이 형성되고, 이 에피택셜층(2)의 표층에 P형 확산층(3)(채널 영역 CH)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상기 에피택셜층(2)의 두께는 10㎛이고, 반도체 기판(1)의 두께는 에피택셜층(2)의 두께를 포함해서 200㎛이며, P형 확산층(3)의 두께는 1∼1.5㎛이다.
또한, P형 확산층(3)의 표층부터 상기 에피택셜층(2)의 소정 깊이 위치에까지 도달하는 트렌치 홈(4)이 형성되어 있다. 이 트렌치 홈(4) 내에는, 절연막(5) 으로 둘러싸인 폴리실리콘 막으로 이루어지는 도전층이 매설되고, 게이트 전극(G)(6)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트렌치 홈(4)의 깊이는 2㎛이고, 트렌치 홈(4)의 중앙부의 개구경은 0.4㎛이다.
에피택셜층(2)의 표층에는, 트렌치 홈(4)의 양 측벽부에 상기 절연막(5)에 인접한 N형의 소스층(7)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인접하는 소스층(7)의 사이에 걸치도록 P형 보디층(BD)(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소스층(7) 상에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Al) 합금막으로 이루어지는 소스 전극(7A)(S)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에피택셜층(2)의 표층부터 반도체 기판(1)의 이면까지 관통하도록, 예를 들면 60㎛∼70㎛의 개구경을 가지는 관통 구멍(10)이 뚫려 있다. 이 관통 구멍(10) 내에는, 관통 전극 구조를 이루는 드레인층(11)이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통상의 관통 전극의 제조 방법에서는, 관통 구멍 내를 포함하는 반도체 기판 상에 절연막을 형성하고, 관통 구멍의 저부의 절연막 만을 제거해서 관통 구멍 저부의 금속막을 노출시키고, 이 금속막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관통 전극을 형성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 업 드레인 구조의 M0S 트랜지스터에서는, 반도체 기판의 표면에 형성된 소스 전극으로부터 반도체 기판 내부를 지나 재차 반도체 기판의 표면에 형성된 드레인 전극에 전류가 흐른다. 따라서, 종래와 같은 관통 구멍 내 및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되는 절연막의 존재에 의해, 이 영역에 용량이 형성되기 때문에, 디바이스 특성이 뒤떨어지게 된다.
그 때문에, 본 발명자는 상기 절연막을 갖지 않는 관통 전극 프로세스를 개 발하기로 하였다. 그러나, 반도체 기판 상에 절연막을 형성하고, 그 절연막 상에 형성한 배리어 메탈막과, 반도체 기판 상에 절연막을 갖지 않는 상태에서 직접 형성한 배리어 메탈막이 서로 다른 것을 알았다. 즉, CVD(Chemical Vapor Deposition)법에 의해, 예를 들면 TiN막으로 이루어지는 배리어 메탈막을 반도체 기판 상에 직접 성막한 경우, 반도체 기판 상에 실리콘 산화막 등의 절연막을 개재하여 TiN막을 성막한 경우보다도 성막량이 반 이하인 것을 알았다.
발명자의 검증에서는, 반도체 기판 상에 직접 TiN막을 CVD법으로 성막한 경우에서는, 반도체 기판과 TiN막 사이에 CVD 처리시의 화학 반응에 의한 변질막이 형성되어 있었다. 이 변질막의 재질은 미확인이다. 이 변질막이 존재함으로써, 원하는 막 두께, 막질의 TiN막을 성막할 수 없어, 기대하는 설계값 대로의 반도체 장치를 형성할 수 없다. 따라서, 기대하는 특성의 반도체 장치가 얻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이하에 설명하는 발명을 개발하였다. 즉,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 구멍(10) 내에 실리콘 산화막 또는 실리콘 질화막 등으로 이루어지는 절연막(12)을 형성하고, 절연막(12)을 이방성 에칭함으로써 관통 구멍(10)의 저부의 절연막(12)과 반도체 기판(1)의 표면 상의 절연막(12)을 제거한다. 그렇게 하면, 관통 구멍(10)의 측벽부에만 절연막(12)이 잔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관통 구멍(10)의 저부의 절연막(12)을 에칭할 때에, 오버 에칭함으로써 관통 구멍(10)의 저부의 절연막(12)과 함께, 에피택셜층(2) 상의 절연막(12)도 제거한다.
다음으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 구멍(10)의 저부의 제1 금속 막(18) 상과 반도체 기판(1)의 표면 상에 스퍼터법을 이용하여, 예를 들면 Ti막 등으로 이루어지는 제2 금속막(13)을 형성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대략 100Å 정도의 얇은 Ti막을 제2 금속막(13)으로서 성막하고 있다. 이것은, 제2 금속막(13)이 관통 구멍(10)의 측벽부에 형성된 절연막(12) 상에 형성되지 않고, 관통 구멍(10)의 저부에 있는 제1 금속막(18) 상 및 에피택셜층(2) 상에만 성막시키기 위해서이다. 더 말하자면, 제2 금속막(13)은 에피택셜층(2) 상에만 성막시키면 된다.
또한, 예를 들면 100∼500Å 정도의 Ti막을 제2 금속막(13)으로서 성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Ti막이 절연막(12) 또는 에피택셜층(2) 상에도 성막되는 것도 있기 때문에, 레지스트 막을 이용해서 불필요 개소의 Ti막을 제거해도 된다.
여기에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2 금속막(13)으로서 Ti막을 이용하고 있지만, 크롬(Cr), 바나듐(V) 등의 고융점 금속막이어도 된다. 또한, 배리어 메탈막으로서 통상 이용되는 재료(예를 들면, 탄탈(Ta)이나 텅스텐(W), 지르코늄(Zr) 등)을 이용해도 된다. 또한, 제2 금속막(13)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CVD법 이외이면, 상기 스퍼터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각종 박막 형성법(예를 들면 증착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CVD법을 이용해서 관통 구멍(10) 내를 포함하는 전면에, 예를 들면 TiN막 또는 WN막 또는 TaN 등으로 이루어지는 배리어 메탈막(14)(제3 금속막)을 형성한다. 배리어 메탈막(14)은, 후에 관통 구멍(10) 내에 형성되는 배선층(15)의 금속 재료의 확산 방지나, 해당 금속 재료와 도전체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금속막(18))와의 상호 반응 방지의 역할을 가진다.
그리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리어 메탈막(14) 상에 CVD법이나 스퍼터법 등의 박막 형성법을 이용해서 Cu층으로 이루어지는 시드층(도시되지 않음)을 형성한다. 시드층은, 배선층(15)을 도금 형성하기 위한 기초 전극으로 되는 도전층이다. 다음으로, 시드층 상에 전해 도금법을 이용해서 Cu층으로 이루어지는 배선층(15)(제4 금속막)을 형성한다.
그리고, 반도체 기판(1)의 이면에 제1 금속막(18)이 형성되어서 이루어지는 반도체 장치(19)가 완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금속막(18)으로서, 예를 들면 Ti-Ni-Au 합금층을 이용하고 있지만, 저저항의 도전 재료이면 다른 재료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관통 전극 기술을 적용한 업 드레인형 M0S 트랜지스터(반도체 장치(19))는, 도 1에 나타낸 화살표 방향을 따라, 소스층(7)(소스 전극 S), 에피택셜층(2), 반도체 기판(1) 내를 지나 제1 금속막(18)을 개재하여, 관통 전극 구조를 이루는 드레인층(11)(드레인 전극 D)에 전류 I1이 흐른다.
따라서, 종래의 반도체 장치(63)(도 14참조)에 비해, 전류가 흐르는 고저항의 반도체 기판의 영역을 반감시킬 수 있었으므로, 반도체 장치의 저항값을 저감시킬 수 있다. 특히, 200㎛의 두께를 가지는 에피택셜층(52) 및 반도체 기판(51)의 사이를 통과하는 것이기 때문에, 전류 경로의 한 쪽을 관통 전극으로 이루어지는 금속막으로 함으로써, 전류 전파의 고속화가 도모된다(종래의 반도체 장치(63)의 저항값 R2 > 본 발명의 반도체 장치(19)의 저항값 R1).
또한, 본 발명에서는, 불순물층으로 이루어지는 드레인층(59)이 아니라, 관통 전극 구조로 이루어지는 드레인층(11)이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종래의 반도체 장치에 비교해서 저저항화가 도모된다. 여기에서, 관통 전극의 체적을 넓힘으로써 보다 저저항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관통 전극을 형성하는 것이어도 된다.
그리고, 관통 구멍(10) 내의 측벽부에 절연막(12)을 형성하고, 에피택셜층(2) 상(도 1의 영역 X)에는 절연막(12)을 형성하지 않음으로써, 세로 방향(반도체 기판(1)의 막 두께 방향)으로 전류를 흘리는 구조의 반도체 장치(19)에서, 용량이 형성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에피택셜층(2) 상에 절연막(12)을 형성한 구성에 비교해서 반도체 장치의 디바이스 특성이 향상한다.
또한, 반도체 장치(19)에서는, 관통 구멍(10)의 근방의 반도체층(에피택셜층(2)) 상에 CVD법 이외의 제법(본 실시예에서는, 스퍼터법 또는 증착법)에 의해 제2 금속막(13)을 형성하고, 그 후 제2 금속막(13)을 개재해서 배리어 메탈막(14)을 형성하고 있다. 그 때문에, CVD법을 이용해서 배리어 메탈막을 반도체 기판 상에 직접 형성하는 프로세스와 같은 반도체 기판과 배리어 메탈막 사이에서의 화학 반응은 일어나지 않아, 원하는 막질, 막 두께의 배리어 메탈막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을 적용함으로써, 저저항의 플립 칩을 실현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을 채용한 플립 칩의 평면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2의 참조 부호 40이 게이트 전극(6)용의 범프 전극(G)이고, 참조 부호 41이 소스 전극(7A)용의 범프 전극(S)이고, 참조 부호 42가 드레인 전극용의 범프 전극(D)이다. 또한, 플립 칩의 평탄성을 방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복수의 범프 전극을 더 구성하는 것이어도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는, 반도체 기판의 표면측(디바이스 소자형 성면측)으로부터 관통 구멍(10)을 형성하고 있었다. 이에 대해서 제2 실시예에서는, 반도체 기판의 이면측으로부터 관통 구멍을 형성하는 프로세스를 채용하고 있다. 이하,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이용하고 있고, 그 설명을 간략하거나 생략한다.
우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N형의 반도체 기판(1)의 표면에 에피택셜층(2)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에피택셜층(2)의 표면에 P형 확산층(3), 트렌치 홈(4), 절연막(5), 게이트 전극(6), 소스층(7), P형 보디층(8)을 각각 공지의 반도체 제조 프로세스를 이용해서 형성한다. 다음으로, 소스층(7) 상에 소스 전극(7A)을 형성하고, P형 확산층(3)과는 이격한 에피택셜층(2)의 표면 상에 드레인 전극(20)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반도체 기판(1)의 이면 상에 레지스트층(도시되지 않음)을 형성하고, 해당 레지스트층을 마스크로 하여 반도체 기판(1)을 에칭한다. 이 에칭에 의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레인 전극(20)에 대응하는 위치의 반도체 기판(1)을 해당 이면으로부터 표면에 이르러 관통하는 관통 구멍(21)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 구멍(21) 내 및 반도체 기판(1)의 이면 상에 절연막(22)을 형성한다. 절연막(22)은, 예를 들면 CVD법에 의해 형성된 실리콘 산화막이나 실리콘 질화막이다.
다음으로, 관통 구멍(21)의 저부와 반도체 기판(1)의 이면 상의 절연막(22)을 선택적으로 에칭하고,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 구멍(21)의 측벽부에만 절연막(22)을 잔막시킨다. 이 에칭에 의해, 관통 구멍(21)의 저부에서 드레인 전극(20)은 노출되고, 반도체 기판(1)의 이면은 노출된다.
다음으로, CVD법 이외의 박막 형성법(예를 들면 스퍼터법이나 증착법)을 이용하여,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통 구멍(21)의 저부의 드레인 전극(20) 상과, 반도체 기판(1)의 이면 상에 금속막(23)(예를 들면, 티탄(Ti)막)을 형성한다. 이 금속막(23)이,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제2 금속막에 상당하는 막이다. 또한, 스퍼터법으로 금속막(23)을 형성한 경우, 관통 구멍(21)의 측벽부에 대한 금속막(23)의 부착량은 적다. 그 때문에, 도 10에서는 관통 구멍(21)의 측벽부에 금속막(23)이 형성되지 않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금속막(23)의 형성 시에 CVD법을 채용하지 않는 것은, 제1 실시예의 설명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CVD법에 의해 반도체 기판에 직접 금속막을 형성하려고 하면, 원하는 막 두께, 막질의 금속막을 양호한 정밀도로 형성하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 구멍(21) 내 및 반도체 기판(1)의 이면 상에 배리어 메탈막(24)(예를 들면, TiN막이나 WN막)을 CVD법으로 형성한다. 배리어 메탈막(24)은,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제3 금속막에 상당하는 막이다. 배리어 메탈막(24)은, 반도체 기판(1)의 이면에 직접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금속막(23)을 개재해서 형성되어 있다. 즉, 반도체 기판(1)의 이면에 배리어 메탈 막(24)을 형성할 때에, 금속막(23) 또는 절연막(22)이 장벽으로 되어서 반도체 기판(1)의 이면과 CVD 가스 등과의 화학 반응은 일어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원하는 막 두께, 막질의 배리어 메탈막(24)을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예를 들면 구리로 이루어지는 시드층(도시되지 않음)을 배리어 메탈막(24)의 전체를 피복하도록 형성한다.
다음으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 구멍(21) 내 및 반도체 기판(1)의 이면 상에, 시드층을 도금 전극으로 한 전해 도금법으로, 예를 들면 구리로 이루어지는 배선층(25)을 형성한다. 배선층(25)은, 시드층이나 배리어 메탈막(24)이나 금속막(23)을 개재해서 반도체 기판(1)의 이면 및 드레인 전극(20)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관통 구멍(21) 내에 형성된 도전 재료 전체(금속막(23), 배리어 메탈막(24), 배선층(25))가 드레인층(26)을 구성한다. 그 후, 필요에 따라, 소스 전극(7A) 및 드레인 전극(20) 상에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범프 전극의 형성이나, 레지스트 재료로 이루어지는 보호막의 형성 등을 행한다.
다음으로, 소정의 다이싱 라인을 따라 절단하고, 개개의 반도체 장치(30)로 분할한다. 또한, 개개의 반도체 장치(30)로 분할하는 방법으로서는, 다이싱법, 에칭법, 레이저 컷트법 등이 있다. 반도체 장치(30)는, 도 12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소스층(7)으로부터 관통 전극 구조의 드레인층(26)에 전류 I3이 흐른다.
제2 실시예에서도, 관통 구멍(21) 내에 형성된 드레인층(26)을 구비하기 때문에, 종래 구조(도 14참조)에 비해서, 전류 경로의 저저항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및 제2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그 요지를 일탈 하지 않는 범위에서 변경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배선층(15, 25)은 관통 구멍(10, 21) 내에 완전하게 충전되어 있지 않아도 되고,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불완전하게 충전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제2 실시예에서, 관통 구멍(21)을 형성하기 전에 반도체 기판(1)의 표면 상에 글래스 기판 등의 지지체를 접착하고, 그 후 관통 구멍(21)이나 금속막(23), 배리어 메탈막(24), 배선층(25)의 형성을 행해도 된다. 반도체 기판(1)의 표면측(디바이스 소자면측)을 보호함과 함께, 반도체 기판(1)을 견고히 지지하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드레인층(26)의 형성 후에 필요에 따라서 지지체를 제거해도 된다.
또한, 볼 형상의 단자가 형성되는 BGA(Ball Grid Array)형의 반도체 장치나, LGA(Land Grid Array)형의 반도체 장치나 그 밖의 CSP(Chip Size Package)형의 반도체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반도체 장치에 따르면, 드레인층을 불순물층이 아니라 관통 전극구조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반도체 장치의 저저항화가 도모된다. 그리고, 관통 구멍 내의 측벽부에는 절연막을 형성하고, 반도체층 상에는 상기 절연막을 형성하지 않음으로써, 세로 방향(반도체층의 막 두께 방향)으로 전류를 흘리는 구조의 반도체 장치에서, 전류 경로 상에 용량이 형성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반도체 장치의 디바이스 특성이 향상한다. 또한, 배리어 메탈막을 반도체 기판 상에 직접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스퍼터법이나 증착법에 의해 형성한 금속막을 개재하여 배리어 메탈막을 형성한 경우에는, 원하는 막 두께, 막질을 가지는 배리어 메탈막을 형 성할 수 있다.

Claims (22)

  1. 그 표면으로부터 이면에 걸쳐서 관통하는 관통 구멍과, 상기 표면에 소스층이 형성된 제1 도전형의 반도체 기판과,
    상기 관통 구멍을 피복하고, 상기 반도체 기판의 이면 상에 형성된 제1 금속막과,
    상기 관통 구멍 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금속막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드레인층을 구비하고,
    상기 드레인층은,
    상기 반도체 기판의 표면 상에 형성되고, 상기 반도체 기판의 표면과 접하는 제2 금속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반도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구멍의 측벽부에 제1 절연막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기판의 표면에 형성된 에피택셜층과,
    상기 에피택셜층에 형성된 제2 도전형의 불순물 확산층과,
    상기 불순물 확산층의 표층부터 상기 에피택셜층의 소정 깊이 위치까지 형성 된 트렌치 홈과,
    상기 트렌치 홈 내에 제2 절연막을 개재하여 도전층이 매설되어서 이루어지는 게이트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소스층은, 상기 불순물 확산층의 표층에, 상기 트렌치 홈에 인접해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층은, 상기 제1 절연막 및 상기 제2 금속막을 피복하는 제3 금속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층은, 상기 제3 금속막을 피복하고, 상기 관통 구멍 내에 완전하게 혹은 불완전하게 충전된 배선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금속막은 스퍼터법 또는 증착법에 의해 형성되는 금속막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금속막은 배리어 메탈막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 체 장치.
  8. 그 표면으로부터 이면에 걸쳐서 관통하는 관통 구멍과, 상기 표면에 소스층이 형성된 제1 도전형의 반도체 기판과,
    상기 관통 구멍을 피복하고, 상기 반도체 기판의 표면 상에 형성된 드레인 전극과,
    상기 관통 구멍 내에 형성되고, 상기 드레인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드레인층을 구비하고,
    상기 드레인층은,
    상기 반도체 기판의 이면 상에 형성되고, 상기 반도체 기판의 이면과 접하는 제2 금속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구멍의 측벽부에 제1 절연막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기판의 표면에 형성된 에피택셜층과,
    상기 에피택셜층에 형성된 제2 도전형의 불순물 확산층과,
    상기 불순물 확산층의 표층부터 상기 에피택셜층의 소정 깊이 위치까지 형성 된 트렌치 홈과,
    상기 트렌치 홈 내에 제2 절연막을 개재하여 도전층이 매설되어 이루어지는 게이트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소스층은, 상기 불순물 확산층의 표층에, 상기 트렌치 홈에 인접해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층은, 상기 제1 절연막 및 상기 제2 금속막을 피복하는 제3 금속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층은, 상기 제3 금속막을 피복하고, 상기 관통 구멍 내에 완전하게 혹은 불완전하게 충전된 배선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금속막은 스퍼터법 또는 증착법에 의해 형성되는 금속막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금속막은 배리어 메탈막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 체 장치.
  15. 그 표면에 소스층 및 드레인 전극이 형성된 제1 도전형의 반도체 기판을 준비하고,
    상기 반도체 기판의 이면으로부터 상기 드레인 전극에 도달하는 관통 구멍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관통 구멍 내에 상기 드레인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드레인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드레인층을 형성하는 공정은, 상기 반도체 기판의 이면과 접하는 제2 금속막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구멍의 측벽부를 피복하는 제1 절연막을 형성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막을 형성하는 공정은, 상기 관통 구멍 내 및 상기 반도체 기판의 이면 상에 절연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관통 구멍의 저부와 상기 반도체 기판의 이면 상의 상기 절연막을 제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18.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기판의 표면에 제1 도전형의 에피택셜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에피택셜층의 표면에 제2 도전형의 불순물 확산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불순물 확산층의 표층부터 상기 에피택셜층의 소정 깊이 위치까지 트렌치 홈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트렌치 홈 내에 제2 절연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2 절연막 상에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소스층은, 상기 불순물 확산층의 표층으로서 상기 트렌치 홈에 인접해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금속막과 상기 관통 구멍의 측벽부의 제1 절연막 상에 제3 금속막을 형성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금속막을 개재하여 상기 관통 구멍 내에 배선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금속막을 형성하는 공정은, 제2 금속막을 스퍼터법 또는 증착법에 의해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금속막을 형성하는 공정은, 제3 금속막을 배리어 메탈막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060122098A 2005-12-06 2006-12-05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7856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352424 2005-12-06
JPJP-P-2005-00352424 2005-12-06
JP2006310622A JP2007184553A (ja) 2005-12-06 2006-11-16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JP-P-2006-00310622 2006-11-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9989A KR20070059989A (ko) 2007-06-12
KR100785605B1 true KR100785605B1 (ko) 2007-12-14

Family

ID=37831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2098A KR100785605B1 (ko) 2005-12-06 2006-12-05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781894B2 (ko)
EP (1) EP1796176A3 (ko)
JP (1) JP2007184553A (ko)
KR (1) KR100785605B1 (ko)
TW (1) TWI32097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31667B2 (ja) * 2007-10-01 2014-03-05 富士電機株式会社 窒化ガリウム半導体装置
US8097921B2 (en) * 2007-11-09 2012-01-17 Denso Corporation Semiconductor device with high-breakdown-voltage transistor
JP4788749B2 (ja) * 2007-11-09 2011-10-05 株式会社デンソー 半導体装置
JP2009164288A (ja) * 2007-12-28 2009-07-23 Sanken Electric Co Ltd 半導体素子及び半導体装置
US8563360B2 (en) * 2009-06-08 2013-10-22 Alpha And Omega Semiconductor, Inc. Power semiconductor device package and fabrication method
US9306056B2 (en) 2009-10-30 2016-04-05 Vishay-Siliconix Semiconductor device with trench-like feed-throughs
DE102010039330B4 (de) * 2010-08-13 2018-04-12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elektrischen Durchkontaktierung in einem Substrat
US8487371B2 (en) * 2011-03-29 2013-07-16 Fairchild Semiconductor Corporation Vertical MOSFET transistor having source/drain contacts disposed on the same sid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16171231A (ja) * 2015-03-13 2016-09-23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および半導体パッケージ
US10381473B2 (en) 2016-12-02 2019-08-13 Vishay-Siliconix High-electron-mobility transistor with buried interconnect
US10224426B2 (en) 2016-12-02 2019-03-05 Vishay-Siliconix High-electron-mobility transistor devices
CN107980171B (zh) * 2016-12-23 2022-06-24 苏州能讯高能半导体有限公司 半导体芯片、半导体晶圆及半导体晶圆的制造方法
JP7009111B2 (ja) 2017-08-17 2022-01-25 キヤノン株式会社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10693288B2 (en) 2018-06-26 2020-06-23 Vishay SIliconix, LLC Protection circuits with negative gate swing capability
US10833063B2 (en) 2018-07-25 2020-11-10 Vishay SIliconix, LLC High electron mobility transistor ESD protection structures
US11411099B2 (en) * 2019-05-28 2022-08-09 Glc Semiconductor Group (Cq) Co., Ltd. Semiconductor device
JP2022089516A (ja) * 2020-12-04 2022-06-16 富士通株式会社 半導体装置、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及び電子装置
JP2022154154A (ja) 2021-03-30 2022-10-13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
CN116978954A (zh) * 2023-09-25 2023-10-31 深圳天狼芯半导体有限公司 一种沟槽型mosfet器件及制作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7285A (ja) 1996-09-19 1998-04-24 Siemens Ag 電界効果によって制御可能な縦形半導体デバイス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40065560A (ko) * 2001-11-16 2004-07-22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디바이스
KR20050042022A (ko) * 2001-10-30 2005-05-04 제네럴 세미컨덕터, 인코포레이티드 개선된 드레인 접점을 가진 트렌치 dmos 디바이스
JP2005260100A (ja) 2004-03-12 2005-09-22 Fuji Electric Holdings Co Ltd トレンチ横型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03427A (en) * 1973-12-28 1975-09-02 Hughes Aircraft Co Solar cell connections
JPS63194367A (ja) 1987-02-06 1988-08-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半導体装置
JP2551203B2 (ja) * 1990-06-05 1996-11-06 三菱電機株式会社 半導体装置
JPH0897375A (ja) * 1994-07-26 1996-04-12 Toshiba Corp マイクロ波集積回路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111056A (ja) * 1999-10-06 2001-04-20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392290B1 (en) 2000-04-07 2002-05-21 Siliconix Incorporated Vertical structure for semiconductor wafer-level chip scale packages
JP2002353452A (ja) * 2001-05-25 2002-12-06 Toshiba Corp 電力用半導体素子
JP4608133B2 (ja) * 2001-06-08 2011-01-05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縦型mosfetを備えた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4363302A (ja) 2003-06-04 2004-12-24 Toshiba Corp Mosfet
US7477943B2 (en) 2003-11-26 2009-01-13 Medtronic, Inc. Medical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JP2005235860A (ja) 2004-02-17 2005-09-02 Sanyo Electric Co Ltd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7429529B2 (en) * 2005-08-05 2008-09-30 Farnworth Warren M Methods of forming through-wafer interconnects and structures resulting therefro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7285A (ja) 1996-09-19 1998-04-24 Siemens Ag 電界効果によって制御可能な縦形半導体デバイス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50042022A (ko) * 2001-10-30 2005-05-04 제네럴 세미컨덕터, 인코포레이티드 개선된 드레인 접점을 가진 트렌치 dmos 디바이스
KR20040065560A (ko) * 2001-11-16 2004-07-22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디바이스
JP2005260100A (ja) 2004-03-12 2005-09-22 Fuji Electric Holdings Co Ltd トレンチ横型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96176A3 (en) 2008-12-10
KR20070059989A (ko) 2007-06-12
TWI320972B (en) 2010-02-21
US20070132017A1 (en) 2007-06-14
TW200731537A (en) 2007-08-16
EP1796176A2 (en) 2007-06-13
US7781894B2 (en) 2010-08-24
JP2007184553A (ja) 2007-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5605B1 (ko)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7932602B2 (en) Metal sealed wafer level CSP
US7271068B2 (en) Method of manufacture of semiconductor device
CN100573909C (zh) 半导体装置及其制造方法
CN109560038A (zh) 互连结构及方法
US9991350B2 (en) Low resistance sinker contact
US8836126B2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insulating layers containing oxygen and a barrier layer containing manganese
KR20170038645A (ko) 반도체 장치 및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JP2008306196A (ja) 融合金属層を使用しているオン抵抗の低い電力用fet
US6346475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JP2890380B2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2466946A (zh) 半导体装置及其制造方法
JP2007317839A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069059B2 (ja) 炭化珪素半導体装置
US8049263B2 (en)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metal-insulator-metal capaci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CN110648976B (zh) 半导体器件和制造其的方法
US10535576B2 (en) Semiconductor devices and methods of formation thereof
US20220223498A1 (en) Backside or frontside through substrate via (tsv) landing on metal
CN105322027B (zh) 肖特基二极管及其制造方法
US10903345B2 (en) Power MOSFET with metal filled deep sinker contact for CSP
EP3582256B1 (en) Cmos based devices for harsh media
US6573179B1 (en) Forming a strong interface between interconnect and encapsulation to minimize electromigration
US20190157300A1 (en) 3d circuit transistors with flipped gate
JP7439825B2 (ja) 半導体装置
JP2012039019A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