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4591B1 - 일체형 부단수 활정자관 - Google Patents

일체형 부단수 활정자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4591B1
KR100784591B1 KR1020060035543A KR20060035543A KR100784591B1 KR 100784591 B1 KR100784591 B1 KR 100784591B1 KR 1020060035543 A KR1020060035543 A KR 1020060035543A KR 20060035543 A KR20060035543 A KR 20060035543A KR 100784591 B1 KR100784591 B1 KR 1007845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sub
closing member
typ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5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7930A (ko
Inventor
김제현
Original Assignee
김제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제현 filed Critical 김제현
Priority to KR1020060035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4591B1/ko
Publication of KR20060067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79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4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45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4Tapping pipe walls, i.e. making connections through the walls of pipes while they are carrying fluids; Fittings therefor
    • F16L41/06Tapping pipe walls, i.e. making connections through the walls of pipes while they are carrying fluids; Fittings therefor making use of attaching means embracing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 F16L41/16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the branch pipe comprising fluid cut-off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 F16L41/086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fixed with scre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부단수 활정자관은 관로본관의 일측을 에워싸고 분기부가 형성된 부단수 활정자관과; 상기 관로본관에 형성되는 천공과 분기부 중 적어도 하나를 슬라이드 개폐토록 상기 관로본관의 외주면과 상기 부단수 활정자관의 내주면 사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된 개폐부재와; 상기 개폐부재를 슬라이드시키도록 상기 부단수 활정자관에 설치된 축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부단수 활정자관의 상측에 별도의 게이트 밸브를 장착할 필요가 없으므로, 구조가 간단함과 아울러 비용이 저렴하고, 컴팩트화되어 설치 공간이 좁은 경우에도 그 설치가 가능하며, 시공을 위한 주변 작업 공간이 협소한 경우에도 시공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관로본관, 부단수 활정자관, 천공, 분기부, 개폐부재, 축

Description

일체형 부단수 활정자관{Knife Stopping Water Pip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부단수 활정자관을 이용하여 관로본체에 분기관을 연결하는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부단수 활정자관 제 1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부단수 활정자관 제 1 실시예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부단수 활정자관 제 1 실시예의 횡단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관로본관에 부단수 활정자관을 설치하였을 때의 종단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부단수 활정자관에 천공장치를 장착하였을 때의 종단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천공장치로 관로본체에 천공을 형성하였을 때의 종단면도,
도 8은 도 3에 도시된 개폐부재로 분기부를 밀폐하였을 때의 종단면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분기부에 분기관을 장착하였을 때의 종단면도,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개폐부재로 분기부를 개방하였을 때의 종단면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축의 삽입을 위해 축을 180°회전시켰을 때의 종단면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축을 일체형 부단수 활정자관 내부로 삽입시켰을 때의 종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부단수 활정자관 제 1 실시예에 밸브를 연결하였을 때의 종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부단수 활정자관 제 2 실시예의 횡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부단수 활정자관 제 2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부단수 활정자관 제 3 실시예의 횡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부단수 활정자관 제 3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0: 관로본관 52: 천공
56: 분기부 57: 개구부
60: 부단수 활정자관 62: 하부 관
64: 상부 관 70: 분기관
80: 개폐부재 81: 패킹
81a: 리브 82: 걸이홀
84: 안내구 85: 축 관통홀
90: 축 92: 걸이구
94: 결합홀 100: 천공장치
101: 볼트 102: 너트
104: 커터 110: 밸브
120: 랙 122: 피니언
본 발명은 일체형 부단수 활정자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관로본관이나 부단수 활정자관의 사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 개폐부재가 관로본관에 형성되는 천공이나 부단수 활정자관에 형성된 분기부 중 적어도 하나를 개폐하는 일체형 부단수 활정자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단수 활정자관은, 상하수도관, 냉수관,온수관, 오일관, 공장설비라인등의 관로본관을 단수시키지 않는 상태에서 분기관 등을 연결하는 관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부단수 활정자관에 분기관을 연결할 때의 공정도이다.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로본관(2)의 둘레에 부단수 활정자관(10)을 설치한다.
이후, 부단수 활정자관(10)의 분기부(12)에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 밸브(20)를 볼트(21) 및 너트로 장착한다.
상기 게이트 밸브(20)는, 상기 분기부(22)와 상하 연통되는 개구부(22)가 형 성된 밸브 바디(23)와, 상기 밸브 바디(23)의 개구부(22)를 개폐하도록 밸브 바디(23)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밸브체(24)와, 상기 밸브 바디(23)를 덮는 밸브 캡(25)과, 상기 밸브체(24)를 밸브 동작시키는 조작부(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게이트 밸브(20)가 장착된 상태에서, 도 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공장치(30)를 게이트 밸브(20)에 장착한다.
그런 다음, 도 1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공장치(30)의 커터(32)를 하강시켜 관로본관(2)에 천공(4)을 형성한다.
이후, 도 1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공장치(30)의 커터(32)를 상승시킨 다음, 상기 게이트 밸브(20)의 조작부(26)를 밀폐 조작하여 상기 밸브체(24)로 게이트 밸브(20)의 개구부(22) 밀폐한다.
그리고, 상기 천공장치(30)를 상기 게이트 밸브(20)에서 분리하고, 도 1의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기관(40)을 게이트 밸브(20)에 볼트 및 너트로 장착한다.
최종적으로, 상기 게이트 밸브(20)를 개방 조작하면, 상기 밸브체(24)는 상기 게이트 밸브(20)의 개구부(22)를 개방하고, 상기 관로본관(2)의 유체는 천공(4)과 분기부(22)의 내부와, 게이트 밸브(20)의 개구부(22)를 차례로 통과하여 분기관(40)의 내부로 유출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부단수 활정자관은 부단수 활정자관(10)의 분기부(12) 상측에 게이트 밸브(20)가 설치되어, 구조가 복잡함과 아울러 비용이 증대되고, 셋트 전체의 크기가 크므로, 설치 공간이나 작업 공간이 협소할 경우 부단수 활정자관을 설치하기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부단수 활정자관에 개폐부재가 일체로 구비되어 구조가 간단함과 아울러 비용이 저렴하고 설치 공간이나 작업 공간이 협소할 경우에도 부단수 활정자관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일체형 부단수 활정자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부단수 활정자관은 관로본관의 일측을 에워싸고 분기부가 형성된 부단수 활정자관과; 상기 관로본관에 형성되는 천공과 분기부 중 적어도 하나를 슬라이드 개폐토록 상기 관로본관의 외주면과 상기 부단수 활정자관의 내주면 사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된 개폐부재와; 상기 개폐부재를 슬라이드시키도록 상기 부단수 활정자관에 설치된 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부단수 활정자관은 상기 관로본관의 일측 하부를 에워싸는 하부 관과, 상기 하부 관과 결합되고 상기 관로본관의 일측 상부를 에워쌈과 아울러 상기 분기부가 돌출 형성된 상부 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부 관과 상부 관은 그 각각의 대향면과 내주면에 패킹이 구비된다.
상기 부단수 활정자관의 분기부에는 상기 관로본관과 직교하는 연결관이 연 결된다.
상기 부단수 활정자관의 분기부에는 상기 관로본관을 개폐하는 밸브가 설치된다.
상기 부단수 활정자관의 내주면에는 상기 개폐부재가 수용됨과 아울러 상기 개폐부재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슬라이딩 안내홈부가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딩 안내홈부는 곡면지게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재는 곡면 형상이다.
상기 슬라이딩 안내홈부는 평평하게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재는 판체 형상이다.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부단수 활정자관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슬라이딩 안내홈부는 상기 부단수 활정자관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개폐부재는 일측에 상기 축이 삽입되어 걸리는 걸이홀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축이 안내되는 안내구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축은 상기 안내구를 회전 가능하게 관통되고, 선단에 상기 축의 회전시 상기 걸이홀에 삽입되어 걸리는 걸이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걸이구는 상기 축이 결합되는 결합홀이 형성되고 반원 형상이다.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부단수 활정자관의 원주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슬라이딩 안내홈부는 상기 부단수 활정자관의 원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재는 곡면지게 형성된다.
상기 축에는 피니언이 결합되고, 상기 개폐부재의 일면에는 상기 피니언이 치합되는 랙이 형성된다.
상기 개폐부재는 상면에 패킹이 구비된다.
상기 패킹은 상기 부단수 활정자관과 밀착되는 리브가 돌출된다.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분기부의 개구부와 동일 형상이고 크기가 더 크게 형성된다.
상기 부단수 활정자관에는 상기 축을 안내하는 하우징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는 상기 하우징부와 축을 실링하는 실링부재가 설치된다.
상기 부단수 활정자관에는 상기 개폐부재가 부단수 활정자관에서 임의 탈거되는 것을 막는 홀더가 구비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부단수 활정자관 제 1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부단수 활정자관 제 1 실시예의 종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부단수 활정자관 제 1 실시예의 횡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부단수 활정자관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로본관(50)의 일측을 에워싸고 분기부(56)가 형성된 부단수 활정자관(60)과; 상기 관로본관(60)에 형성되는 천공(52)과 분기부(56) 중 적어도 하나를 슬라 이드 개폐토록 상기 관로본관(60)의 외주면과 상기 부단수 활정자관(50)의 내주면 사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된 개폐부재(80)와; 상기 개폐부재(80)를 슬라이드시키도록 상기 부단수 활정자관(60)에 설치된 축(9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관로본관(50)은 후술하는 천공장치(100)에 의해 상기 천공(52)이 형성된다.
상기 부단수 활정자관(60)은 상기 관로본관(50)의 일측 하부를 에워싸는 하부 관(62)과, 상기 하부 관(62)과 결합되고 상기 관로본관(50)의 일측 상부를 에워싸는 상부 관(6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부단수 활정자관(60)은 상기 하부 관(62)이 상기 관로본관(50)의 일측 전방부와 후방부 중 일측을 에워싸고, 상기 상부 관(66)이 상기 관로본관(50)의 일측 전방부와 후방부 중 타측을 에워싸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부단수 활정자관(60)은 상기 분기부(56)가 하부 관(62)과 상부 관(66) 중 적어도 하나에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바, 이하 상부 관(66)에 돌출되게 형성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분기부(56)는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개구된 개구부(57)가 형성된다.
상기 분기부(56)는 상단에 후술하는 분기관(70)과 천공장치(100)와 밸브(110) 중 하나가 볼트 및 너트로 장착되는 플랜지(58)가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58)에는 볼트가 관통되는 관통홀(59)이 원주 방향으로 따라 복수개 이격 형성된다.
상기 하부 관(62)과 상부 관(66)은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 (63a) 및 너트(63b)로 체결되도록 체결공(64a)(67a)을 갖는 체결부(64)(67)가 하부 관(62)과 상부 관(66)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하부 관(62)과 상부 관(66)은 그 각각의 체결부(64)(67)의 대향면과 내주면을 따라 패킹홈(65a)(68a)이 형성되고, 상기 패킹홈(65a)(68a)에 패킹(65)(68)이 삽입되어 장착된다.
상기 패킹(65)(68)은 체결부(64)(67)의 대향면에 장착되는 부분 일면이 평평하게 형성되고, 하부 관(62)과 상부 관(66)의 내주면에 장착되는 부분 일면이 곡면지게
형성된다.
상기 부단수 활정자관(60)의 내주면에는 상기 개폐부재(80)가 수용됨과 아울러 상기 개폐부재(80)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슬라이딩 안내홈부(74)가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딩 안내홈부(74)는 상기 분기부(56)가 형성된 상부 관(66)의 내주면에 움푹 패이게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딩 안내홈부(74)는 상기 부단수 활정자관(6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부단수 활정자관(60)의 내주면에는 상기 개폐부재(80)가 부단수 활정자관(60)에서 임의 탈거되지 않게 막는 홀더(76)(77)가 형성된다.
상기 홀더(76)(77)는 상기 슬라이딩 안내홈부(74)의 양 옆에 돌출되게 구비된다.
상기 홀더(76)(77)는 상기 슬라이딩 안내홈부(74)의 길이 방향 즉, 즉, 부단 수 활정자관(6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구비되는 바, 상기 부단수 활정자관(60)의 내주면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별도로 제작된 후 본딩이나 끼워맞춤 등으로 장착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개폐부재(80)는 상기 부단수 활정자관(60)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개폐부재(80)는 상기 분기부(56)의 개구부(57)와 전체적으로 동일 형상이고 크기가 더 크게 형성된다.
상기 개폐부재(60)는 상면에 패킹(81)이 구비된다.
상기 패킹(81)은 상기 부단수 활정자관(60) 특히 상부 관(66)과 밀착되는 리브(81a)가 돌출된다.
상기 개폐부재(80)는 일측에 상기 축(90)이 삽입되어 걸리는 걸이홀(82)이 형성된다.
상기 개폐부재(80)는 상기 축(90)이 안내되는 안내구(84)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안내구(84)에는 상기 축(90)이 직선 이동 가능하게 관통되는 축 관통홀(85)이 형성된다.
상기 축(90)은 상기 안내구(84)를 회전 가능하게 관통되고, 선단에 상기 축(90)의 회전시 상기 걸이홀(82)에 삽입되어 걸리는 걸이구(9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걸이구(92)는 상기 축(90)이 결합되는 결합홀(94)이 형성되고 반원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부단수 활정자관(60)에는 상기 축(90)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는 하우징부(68)가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부(68)에는 상기 축(90)이 상기 하우징부(68) 외부로 돌출되도록 축 관통홀(68a)이 옆으로 개구되게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부(68)의 내부에는 상기 하우징부(68)와 축(90)을 실링하는 실링부재(69a)(69b)가 설치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부단수 활정자관을 이용한 분기관의 연결 공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관로본관에 부단수 활정자관을 설치하였을 때의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싣된 부단수 활정자관에 천공장치를 장착하였을 때의 종단면도이며,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천공장치로 관로본체에 천공을 형성하였을 때의 종단면도이고, 도 8은 도 3에 도시된 개폐부재로 분기부를 밀폐하였을 때의 종단면도이며,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분기부에 분기관을 장착하였을 때의 종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개폐부재로 분기부를 개방하였을 때의 종단면도이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로본관(50)의 일측 둘레를 부단수 활정자관(60)이 에워싸도록 하부 관(62)과 상부 관(66)을 결합한다.
이때, 상기 축(90)은 개폐부재(80)가 분기부(56)를 밀폐하지 않는 위치 즉, 도 4에 도시된 슬라이딩 수용홈부(74)의 우측에 위치되도록 도 5의 우측으로 돌출된 상태이고, 걸이구(92)가 개폐부재(80)이 걸이홀(82)이 걸림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기부(56)의 상부에 천공장치(100)를 올려 놓고, 볼트(101)와 너트(102)로 천공장치(100)를 분기부(56)에 장착한다.
그런 다음, 상기 천공장치(100)를 조작하여 관로본관(50)에 천공(52)을 형성한다.
즉, 상기 천공장치(100)는 커터(104)가 회전되면서 하강되어 상기 분기부(56)의 개구부(57)를 관통한 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로본관(50)의 일측에 천공(52)을 반경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한다.
이때, 상기 관로본관(50) 내의 유체는 상기 관로본관(50)의 천공(52)을 통해 유출되고, 유출된 유체 중 일부는 상기 하우징부(68)로 유입되나 상기 실링부재(69a)(69b)에 막힘되어 상기 하우징부(68)의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유출된 유체 중 나머지는 천공장치(100)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후, 상기 천공장치(100)는 상기 커터(104)가 역회전되면서 상승되어 상기 분기부(56)의 개구부(57)를 관통하여 상기 천공장치(100)의 내부로 삽입된다.
이후, 작업자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90)을 도 8의 좌측 방향으로 밀어 넣으면, 상기 개폐부재(80)는 상기 축(90)에 의해 도 8의 좌측으로 밀리고, 상기 슬라이딩 안내홈부(74)의 안내를 받으면서 상기 관로본관(50)과 부단수 활정자관(60) 사이를 슬라이딩 이동된다.
상기 축(90)을 깊숙이 밀어 넣으면, 개폐부재(80)는 상기 슬라이딩 안내홈부(74)의 단부 즉, 도 8의 슬라이딩 홈부(74)의 좌측단에 걸림되고, 상기 개폐부재(80)는 상기 분기부(56)의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분기부(56)의 개구부(57) 하단을 막는다.
이때, 상기 개폐부재(80)는 상기 패킹(81) 특히, 리브(81a)가 상기 분기부(56)의 주변에 밀착되고, 상기 관로본관(50) 내의 유체는 상기 천공(52)과 분기부(56)의 개구부(57)로 유출되지 않게 된다.
이후, 상기 천공장치(100)를 상기 분기부(56)에서 분리하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기관(70)을 볼트(101)와 너트(102)로 분기부(56)에 장착하면, 상기 분기관(70)은 상기 관로본관(50)에 대해 직교하게 배치된다.
그런 다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축(90)을 도 10의 우측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개폐부재(80)는 상기 축(90)에 의해 도 10의 우측으로 밀리고, 상기 슬라이딩 안내홈부(74)의 안내를 받으면서 상기 관로본관(50)과 부단수 활정자관(60) 사이를 슬라이딩 이동된다.
상기 축(90)을 관로본관 외부로 최대한 잡아당기면, 상기 개폐부재(80)는 상기 슬라이딩 안내홈부(74)의 단부 즉, 도 9의 슬라이딩 홈부(74)의 우측단에 걸림되고, 상기 개폐부재(80)는 상기 분기부(56)의 하측 위치를 벗어나서 상기 분기부(56)의 개구부(57) 하단을 개방한다.
상기 관로본관(50) 내의 유체는 상기 관로본관(50)의 천공(52)과 분기부(56)의 개구부(57)을 차례로 통과하여 상기 분기관(70)의 내부로 유출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부단수 활정자관은, 상기와 같이 축(90)이 부단수 활정자관(60)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분기관(70)의 연결 공정을 완료하는 것도 가능하고, 축(90)만을 부단수 활정자관(90) 내부로 완전 삽입하거나 일부 삽입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하, 축(90)을 부단수 활정자관(90)의 내부로 완전 삽입할 경우, 부단수 활정자관(90) 주변으로 축(90)이 돌출되지 않게 되어, 주변에 다른 시공을 하기 용이하게 되고, 축(90)을 부단수 활정자관(90)의 내부로 일부 삽입할 경우, 이후에 축(90)을 이용하여 분기부(56)의 개구부(57)를 다시 개폐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축의 삽입을 위해 축을 180°회전시켰을 때의 종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축을 일체형 부단수 활정자관 내부로 삽입시켰을 때의 종단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축(90)이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축(90)을 180°회전시키면, 상기 걸이구(92)는 상기 걸이홀(82)에서 빠져나와 걸이홀(82)에서 걸림 해제되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축(90)을 좌측으로 다시 밀어 넣으면, 상기 개폐부재(80)는 상기 슬라이딩 안내홈부(74)에 남은 상태에서 상기 축(90)만이 부단수 활정자관 특히, 상기 하우징부(68)의 내부로 삽입되어 하우징부(68)의 내부에 배치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부단수 활정자관 제 1 실시예에 밸브를 연결하였을 때의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부단수 활정자관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단수 활정자관(60)의 분기부(56)에 관로본관(50)의 내부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110)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밸브(110)는 상기 관로본관에 형성되는 천공의 상하로 승강되면서 상기 관로본관의 내부 유로를 개폐한다.
상기 밸브(110)는 상기 분기부(56)에 볼트(100) 및 너트(101)로 장착되는 밸브 바디(112)와, 상기 밸브 바디(112)의 내부에서 상기 분기부(56)의 개구부(57)와 관로본관(50)의 천공(52)을 차례로 통과하여 상기 관로본관(50)의 내부에 유로 흐름 방향과 직교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승강 가능하게 배치된 밸브체(114)와, 상기 밸브체(114)를 승강 조작시키는 밸브 조작부(11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밸브 조작부(116)는 상기 밸브체(114)의 상단에 연결되고 외주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봉(117)과, 상기 나사봉(116)의 승강을 가이드함과 아울러 나사봉(116)이 승강되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가이드(118)와, 상기 나사봉(116)의 상단에 형성된 손잡이(11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부단수 활정자관은 상기 분기관(70) 대신에 밸브(110)가 장착되는 이외의 공정은 분기관(70)이 장착될 때의 공정과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부단수 활정자관 제 2 실시예의 횡단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부단수 활정자관 제 2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부단수 활정자관은,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단수 활정자관(60)에 형성되는 슬라이딩 안내홈부(74′)는 평평하게 형성되고, 개폐부재(80′)는 판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 안내홈부(74′)의 형상과 개폐부재(80′)의 형상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부단수 활정자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6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부단수 활정자관 제 3 실시예의 횡단면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부단수 활정자관 제 3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부단수 활정자관은,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재(80″)가 부단수 활정자관(60)의 원주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어 분기부(56)의 개구부(57)를 개폐한다.
상기 부단수 활정자관(60)에는 슬라이딩 안내홈부(74″)가 상기 부단수 활정자관(60)의 원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부단수 활정자관(60)의 내주면에는 상기 개폐부재(80)가 부단수 활정자관(60)에서 임의 탈거되지 않게 막는 홀더(76)(77)가 형성된다.
상기 홀더(76)(77)는 상기 슬라이딩 안내홈부(74)의 양 옆에 돌출되게 구비된다.
상기 홀더(76)(77)는 상기 슬라이딩 안내홈부(74)의 길이 방향 즉, 부단수 활정자관(60)의 원주 방향으로 길게 구비되는 바, 상기 부단수 활정자관(60)의 내주면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별도로 제작된 후 본딩이나 끼워맞춤 등 에 의해 장착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개폐부재(80″)는 곡면지게 형성된다.
상기 일체형 부단수 활정자관은 축(90)에 피니언(122)이 결합되고, 개폐부재(80″)의 일면에는 상기 피니언()이 치합되는 랙(120)이 형성되어, 축(90)의 회전시 개폐부재(80″)가 슬라이딩 안내홈부(74″)를 따라 이동되면서 관로본관(50) 중앙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상기 부단수 활정자관(60)에는 상기 축(90) 및 피니언(122)이 수용됨과 아울러 상기 부단수 활정자관(60)의 내부와 통하는 하우징부(68″)가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부(68″)는 좌우 중 일측에 축(90)이 관통되어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축 관통홀(68a)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부(68″)의 내부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부단수 활정자관 제 1 실시예와 같이, 상기 하우징부(68″)와 축(90)을 실링하는 실링부재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부단수 활정자관은 도 15에 도시된 축(9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피니언(122)이 축(90)과 함께 회전되고, 랙(120)이 피니언(122)에 따라 이동되고, 개폐부재(80″)가 분기부(56)의 하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분기부(56)의 개구부(57) 하단을 막는다.
상기와 같이 분기부(56)의 개구부(57)가 막힌 상태 상기 축(90)을 반시계방향으로 역회전시키면, 피니언(122)은 축(90)과 함께 역회전되고, 랙(120)이 피니언(122)을 따라 이동되며, 개폐부재(80)가 분기부(57)의 하측에서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분기부(56)의 개구부(57) 하단을 개방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체형 부단수 활정자관은 관로본관의 외주면과 부단수 활정자관의 내주면 사이에 관로본관에 형성되는 천공과 부단수 활정자관의 분기부 중 적어도 하나를 개폐하는 개폐부재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어, 부단수 활정자관의 상측에 별도의 게이트 밸브를 장착할 필요가 없으므로, 구조가 간단함과 아울러 비용이 저렴하고, 컴팩트화되어 설치 공간이 좁은 경우에도 그 설치가 가능하며, 시공을 위한 주변 작업 공간이 협소한 경우에도 시공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체형 부단수 활정자관은 외부에 별도의 게이트 밸브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분기관이나 밸브 등의 설치를 위한 주변의 토공사 및 제반 후속 공사의 물량이 최소화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체형 부단수 활정자관은 부단수 활정자관의 내주면에 개폐부재가 수용됨과 아울러 개폐부재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슬라이딩 안내홈부가 형성되어, 부단수 활정자관의 크기를 확대하지 않고 최대한 컴팩트하게 개폐부재를 부단수 활정자관에 구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체형 부단수 활정자관은 슬라이딩 안내홈부가 평평하게 형성되고, 개폐부재는 판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개폐부재의 제작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체형 부단수 활정자관은 개폐부재와 축이 결합/분리되어, 시공이 완료된 후 축을 부단수 활정자관 내부측으로 삽입하여 매립시킬 수 있으므로, 시공 완료 후 주변 공간을 최대한 여유롭게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체형 부단수 활정자관은 부단수 활정자관에 축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는 하우징부가 형성되고, 하우징부의 내부에 하우징부와 축을 실링하는 실링부재가 설치되어, 유체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체형 부단수 활정자관은 부단수 활정자관에 개폐부재가 부단수 활정자관에서 임의 탈거되는 것을 막는 홀더가 구비되어, 시공 등을 위한 운반이 용이하고, 시공 현장에서 개폐부재와 부단수 활정자관을 조립할 필요가 없어 시공성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

Claims (2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관로본관의 일측을 에워싸고 분기부가 형성된 부단수 활정자관과;
    상기 관로본관에 형성되는 천공과 분기부 중 적어도 하나를 슬라이드 개폐토록 상기 관로본관의 외주면과 상기 부단수 활정자관의 내주면 사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된 개폐부재와;
    상기 개폐부재를 슬라이드시키도록 상기 부단수 활정자관에 설치된 축을 포함하고,
    상기 부단수 활정자관의 내주면에는 상기 개폐부재가 수용됨과 아울러 상기 개폐부재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슬라이딩 안내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 안내홈부는 곡면지게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개폐부재는 곡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부단수 활정자관.
  8. 삭제
  9. 관로본관의 일측을 에워싸고 분기부가 형성된 부단수 활정자관과;
    상기 관로본관에 형성되는 천공과 분기부 중 적어도 하나를 슬라이드 개폐토록 상기 관로본관의 외주면과 상기 부단수 활정자관의 내주면 사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된 개폐부재와;
    상기 개폐부재를 슬라이드시키도록 상기 부단수 활정자관에 설치된 축을 포함하고,
    상기 부단수 활정자관의 내주면에는 상기 개폐부재가 수용됨과 아울러 상기 개폐부재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슬라이딩 안내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부단수 활정자관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부단수 활정자관.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안내홈부는 상기 부단수 활정자관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부단수 활정자관.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관로본관의 일측을 에워싸고 분기부가 형성된 부단수 활정자관과;
    상기 관로본관에 형성되는 천공과 분기부 중 적어도 하나를 슬라이드 개폐토록 상기 관로본관의 외주면과 상기 부단수 활정자관의 내주면 사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된 개폐부재와;
    상기 개폐부재를 슬라이드시키도록 상기 부단수 활정자관에 설치된 축을 포함하고,
    상기 부단수 활정자관의 내주면에는 상기 개폐부재가 수용됨과 아울러 상기 개폐부재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슬라이딩 안내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부단수 활정자관의 원주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부단수 활정자관.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안내홈부는 상기 부단수 활정자관의 원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재는 곡면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부단수 활정자관.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축에는 피니언이 결합되고,
    상기 개폐부재의 일면에는 상기 피니언이 치합되는 랙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부단수 활정자관.
  17. 제 7 항과 제 9 항과 제 10 항과 제 14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상면에 패킹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부단수 활정자관.
  18. 삭제
  19. 삭제
  20. 제 7 항과 제 9 항과 제 10 항과 제 14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단수 활정자관에는 상기 축을 안내하는 하우징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는 상기 하우징부와 축을 실링하는 실링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부단수 활정자관.
  21. 제 7 항과 제 9 항과 제 10 항과 제 14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단수 활정자관에는 상기 개폐부재가 부단수 활정자관에서 임의 탈거되는 것을 막는 홀더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부단수 활정자관.
KR1020060035543A 2006-04-20 2006-04-20 일체형 부단수 활정자관 KR1007845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5543A KR100784591B1 (ko) 2006-04-20 2006-04-20 일체형 부단수 활정자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5543A KR100784591B1 (ko) 2006-04-20 2006-04-20 일체형 부단수 활정자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7930A KR20060067930A (ko) 2006-06-20
KR100784591B1 true KR100784591B1 (ko) 2007-12-11

Family

ID=37162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5543A KR100784591B1 (ko) 2006-04-20 2006-04-20 일체형 부단수 활정자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459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56959B2 (en) 2007-06-21 2012-04-17 Suiken Co., Ltd. Branching unit for boring without stopping passage of fluid
KR101522971B1 (ko) * 2010-02-09 2015-05-26 가부시키가이샤 스이켄 부단류 장치 및 부단류 공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49956B (zh) * 2008-10-27 2013-02-20 株式会社水研 不断流穿孔用的分支装置
KR101157077B1 (ko) * 2012-03-23 2012-06-21 김제현 부단수 밸브 시공 장치
KR101599464B1 (ko) * 2014-03-28 2016-03-03 (주)우신이엔지 개폐장치 일체형 부단수 할정자관
KR102253367B1 (ko) * 2020-11-20 2021-05-18 (주)에이치엔피테크 부단수 이물질 포집 배출기 및 그의 시공방법
KR102646396B1 (ko) * 2022-04-29 2024-03-08 김제현 높이를 낮춘 저상형 부단수 밸브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365U (ja) * 1993-11-08 1995-06-02 前澤給装工業株式会社 分水栓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365U (ja) * 1993-11-08 1995-06-02 前澤給装工業株式会社 分水栓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56959B2 (en) 2007-06-21 2012-04-17 Suiken Co., Ltd. Branching unit for boring without stopping passage of fluid
KR101522971B1 (ko) * 2010-02-09 2015-05-26 가부시키가이샤 스이켄 부단류 장치 및 부단류 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7930A (ko) 2006-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4591B1 (ko) 일체형 부단수 활정자관
US462874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btaining liquid samples
KR102242955B1 (ko) 부단류 공법 및 장치
JP4642511B2 (ja) 既設流体管の不断水仕切弁設置方法及び仕切弁設置装置
JP2006329227A (ja) 枝管更新工法
KR20110082887A (ko) 부단수 할정자관
KR100723936B1 (ko) 밸브 일체형 부단수 활정자관
CA2540944A1 (en) Frost-proof exterior-wall valve
KR20120138130A (ko) 일체형 부단수 활정자관
NO20120310A1 (no) Fremgangsmåte og apparatur for å injisere fluid i et borehull
GB2465310A (en) Valve insertion
JP4642522B2 (ja) 既設流体管の不断水制水体設置装置
JP3218084B2 (ja) 管接続装置
JP3177016B2 (ja) 管接続装置
JP4642521B2 (ja) 既設流体管の不断水制水体設置装置
CN219177039U (zh) 一种多回转电动执行机构
KR20110061233A (ko) 부단수 활정자관
KR200196218Y1 (ko) 부단수 천공용 제수변
CN220910675U (zh) 一种排水管网施工支撑装置
CN221791133U (zh) 一种不停止设备仪表在线安装装置
JP5832929B2 (ja) 流体管分岐装置及び流体分岐方法
KR20170101353A (ko) 부단수 차단 활정자관 어셈블리
KR200204756Y1 (ko) 부단수 천공용 제수변
JP2022022678A (ja) 配管加工装置
JP5674400B2 (ja) 制流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