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9464B1 - 개폐장치 일체형 부단수 할정자관 - Google Patents

개폐장치 일체형 부단수 할정자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9464B1
KR101599464B1 KR1020140037140A KR20140037140A KR101599464B1 KR 101599464 B1 KR101599464 B1 KR 101599464B1 KR 1020140037140 A KR1020140037140 A KR 1020140037140A KR 20140037140 A KR20140037140 A KR 20140037140A KR 101599464 B1 KR101599464 B1 KR 1015994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opening
closing member
flange
clos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7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2616A (ko
Inventor
박종환
Original Assignee
(주)우신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신이엔지 filed Critical (주)우신이엔지
Priority to KR1020140037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9464B1/ko
Publication of KR20150112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26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9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94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 F16L41/16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the branch pipe comprising fluid cut-off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partly surrounding th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 F16L3/04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partly surrounding th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and pressing it against a wall or other suppo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 개폐장치 일체형 부단수 할정자관은 상수도관 등의 관로본관을 단수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분기관을 연결하는 부단수 할정자관에 있어서, 분기관 또는 차수용 밸브와 결합하는 플랜지 단관과 상기 플랜지 단관에는 수직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는 개폐장치와 상기 개폐장치 안에는 수평이동하고, 일측 하단 끝부분 중앙에서 내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내부에 나사산 형상의 안내구가 부착되어 있는 사각판 형상의 개폐부재와 상기 개폐부재를 수평이동시키고, 상기 개폐부재 하단 중앙에는 상기 안내구와 대응하는 나사산 형상이 있는 축과 관로본관의 외경을 에워싸고 상기 관로본관의 하부를 밀착시켜주는 고정수단과 관로본관의 외경을 에워싸는 하프파이프 형상으로 상기 플랜지 단관이 상부 중앙의 분기부에 결합되고, 길이방향 좌우측 하단부에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고정수단과 결합하기 위한 볼트삽입공이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가 형성된 결합편을 갖는 상부패드 및 상기 개폐장치에는 상기 상부패드의 상단부에 길이방향으로 상기 플랜지 단관과 상기 개폐장치가 연결된 곳의 중앙부 양옆에 있는 나사공을 통해서 상기 개폐부재를 상기 플랜지 단관의 분기부 하단에 밀착시키는 삽입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여 개폐장치가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있어 시공이 편리하고 게이트 밸브 등의 추가설치가 필요없어 비용절감과 시공기일 단축 등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개폐장치 일체형 부단수 할정자관{Open and Close Devise-Integrated Knife Stopping Water Pipe}
본 발명은 상하수도관, 냉수관, 온수관, 오일관, 공장설비라인 등의 관로본관을 단수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분기관 등을 연결하는 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단수 할정자관이 개폐부재를 내재한 개폐장치를 일체형으로 제작한 부단수 할정자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수도관은 대용량의 상수를 장거리 이송시키는 대구경의 주관과, 상기 주관에서 분기되어 가정 및 사무실 등의 건물에 상수를 공급하는 비교적 근거리 이송으로 사용되는 지관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수도 관에는 상수를 단속하거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밸브들이 설치된다.
종래의 새들붙이 밸브는 지면 또는 주관과 수직이 되게 설치되어야 지상에서 핸들을 조작할 수 있고, 이를 위하여는 부단수 천공기나 설치되는 분기관이 지면 또는 주관과 수평상태로 설치되어 왔는데, 이때, 타설비(도시가스관이나 전기배관등)가 매설되어 있는 경우, 타설비의 간섭때문에 부단수 천공기의 작업이 불가능하거나, 분기관을 매설하는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 해결을 위한 부단수 할정자관의 예로 종래기술 출원번호`20-1999-0007045`부단수 분기용 새들붙이 밸브`에서 개시되었다.
이에 종래기술은 예시도면 도1 에 표현된 바와 같이 분기밸브의 동력 전달축을 핸들축과 밸브축으로 분할하고 이 두 축을 유니버셜 커플링으로 결합함으로써, 분기관의 설치위치(설치각도)와 상관 없이 새들붙이 밸브의 핸들 설치위치(설치각도)는 지면 또는 주관과 수직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종래기술은 주관의 수평위치에 매설된 다른 설비에 관계없이 분기작업과 분기관을 매설할 수 있으므로 그 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종래기술에서는 분기밸브의 동력 전달축을 핸들축과 밸브축으로 분할하고, 이 두 축을 유니버셜 커플링으로 결합함으로써, 분기관의 우회와 상관 없이 핸들의 수직위치가 조정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종래기술은 주관의 수평위치에 매설된 다른 설비를 피하여 분기작업과 분기관을 매설할 수 있으므로, 분기밸브의 설치작업이 간편해지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처럼, 종래기술은 상기의 장점이 있는 반면에 개폐부재가 있는 개폐장치를 장착해야 하므로 시공상으로 작업이 복잡하고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된다.
또한, 추가적으로 개폐장치를 설치해야하므로 비용이 많이 들고 시공기일도 연장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부단수 할정자관은 관로본관에 설치시 게이트 밸브 등을 설치하여 유체 등의 흐름을 차단하고 상기 관로본관과 분기관 등을 연결시켜 주는 방식으로 시공을 하는데 이에 따라 시공상의 불편함 뿐만 아니라 비용도 증가하고, 시공기일도 늘어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 개폐장치 일체형 부단수 할정자관은 게이트 밸브의 추가적인 설치 없이 개폐장치가 일체로 결합되어 시공 편의와 비용을 절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쐐기볼트를 이용하여 개폐부재를 분기부에 최대한 밀착시켜주어 유체 등의 유출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상하수도관, 냉수관, 온수관, 오일관, 공장설비라인 등의 관로본관을 단수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분기관을 연결하는 부단수 할정자관에 있어서, 분기관 또는 차수용 밸브와 결합하는 플랜지 단관과 상기 플랜지 단관에는 수직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는 개폐장치와 상기 개폐장치 안에는 수평이동하고, 일측 하단 끝부분 중앙에서 내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내부에 나사산 형상의 안내구가 부착되어 있는 사각판 형상의 개폐부재와 상기 개폐부재를 수평이동시키고, 상기 개폐부재 하단 중앙에는 상기 안내구와 대응하는 나사산 형상이 있는 축과 관로본관의 외경을 에워싸고 상기 관로본관의 하부를 밀착시켜주는 고정수단과 관로본관의 외경을 에워싸는 하프파이프 형상으로 상기 플랜지 단관이 상부 중앙의 분기부에 결합되고, 길이방향 좌우측 하단부에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고정수단과 결합하기 위한 볼트삽입공이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가 형성된 결합편을 갖는 상부패드 및 상기 개폐장치에는 상기 상부패드의 상단부에 길이방향으로 상기 플랜지 단관과 상기 개폐장치가 연결된 곳의 중앙부 양옆에 있는 나사공을 통해서 상기 개폐부재를 상기 플랜지 단관의 분기부 하단에 밀착시키는 삽입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상기 삽입수단은 끝부분이 쐐기모양으로 되어 있고, 상기 나사공에 나사결합 형태로 결합하는 쐐기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안내구가 부착된 상기 개폐부재의 후단부 이외의 나머지 측면들은 상기 상부패드를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가 있고, 상기 프랜지 단관과 연결된 상기 개폐장치의 길이방향으로 짧은 쪽 끝부분에는 경사를 지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로본관의 하부를 밀착시키는 고정수단은 상기 관로본관의 하부 외경을 에워싸며 길이방향으로 좌우측에는 상기 상부패드의 결합편과 대응하는 다수의 볼트삽입공이 있는 결합편이 있어 상기 관로본관을 고정시키는 하프파이프 형상의 하부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로본관의 하부를 밀착시켜주는 고정수단은 상기 상부패드의 결합편에 형성된 볼트삽입공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패드를 상기 관로본관의 하부에 고정시키는 다수의 U볼트 및 상기 U볼트와 결합하여 U볼트를 상기 상부패드에 고정시키는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패드 길이방향 앞뒤 양단 내부에 부착되는 패킹;을 더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U볼트를 감싸주는 고무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특징을 통해 부단수 할정자관이 별도의 게이트 밸브 등의 설치가 필요없어 시공상의 편의를 제공할 뿐만아니라 비용도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개폐부재를 쐐기볼트를 이용해 분기부에 최대로 밀착시킬 수 있어 유체 등의 유출을 방지하는데 효과가 있다.
또한, 하부패드를 U볼트로 교체 가능하게 제작해 다양한 치수의 관로본관에도 볼트와 너트의 조정만으로도 밀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부단수 할정자관의 예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 하프파이프 형상의 하부패드가 있는 개폐장치 일체형 부단수 할정자관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하프파이프 형상의 하부패드가 있는 개폐장치 일체형 부단수 할정자관의 평면도와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 하프파이프 형상의 하부패드가 있는 개폐장치 일체형 부단수 할정자관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 하프파이프 형상의 하부패드가 있는 개폐장치 일체형 부단수 할정자관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하부패드가 u볼트인 개폐장치 일체형 부단수 할정자관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하부패드가 u볼트인 개폐장치 일체형 부단수 할정자관의 평면도와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 하부패드가 u볼트인 개폐장치 일체형 부단수 할정자관의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 하부패드가 u볼트인 개폐장치 일체형 부단수 할정자관의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 개폐장치 일체형 부단수 할정자관의 개폐장치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11은 본 발명 개폐장치 일체형 부단수 할정자관의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본 발명 개폐장치 일체형 부단수 할정자관의 사시도를 보인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수도관, 냉수관, 온수관, 오일관, 공장설비라인 등의 관로본관을 단수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분기관을 연결하는 부단수 할정자관에 있어서, 본 발명 개폐장치 일체형 부단수 할정자관은 분기관 또는 차수용 밸브와 결합하는 금속재질의 플랜지 단관(11)에는 금속재질의 개폐장치(12)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플랜지 단관(11)은 상기 개폐장치(12)의 중앙을 경계하여 한 쪽부분으로 치우쳐서 수직으로 연결된다.
도 10 에 도시된 개폐장치(12)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장치(12) 내부에는 금속재질이고 사각형 형상인 개폐부재(19)가 들어 있는데 상기 개폐부재(19)가 분기부를 막아서 유체 등의 누수를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개패부재(19) 후미 하단부 중앙에는 내외로 돌출되고 내부에 나사형상이 있는 안내구가 있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19)는 상기 안내구가 있는 곳을 제외한 나머지 하단 세면은 상기 상부패드(13) 방향으로 경사지게 기울기를 준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19) 윗면에는 상기 상부패드(13)와 밀착될 수 있게 실리콘재질 등의 패킹을 부착한다.
상기 개폐장치(12) 옆 사면 중 한 쪽 짧은 면에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관통홀을 통해서 상기 안내구에 대응하는 금속재질의 나사형상의 축(15)을 돌려서 상기 개폐부재(19)를 수평 이동시켜 분기부를 차단해 누수 등을 막아 준다.
또한, 도 10 에는 상기 개폐장치(12)에는 상기 상부패드(13)의 상단부에 길이방향으로 상기 플랜지 단관(11)과 상기 개폐장치(12)가 연결된 곳의 중앙부 양옆에 있는 나사공을 두고 상기 나사공을 통해서 상기 개폐부재(19)를 상기 플랜지 단관(11)의 분기부 하단에 밀착시키는 쐐기볼트(18)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쐐기볼트는 금속의 재질이며 끝부분이 쐐기형상으로 경사를 주어서 상기 개폐부재(19)의 상기 안내구를 제외한 나머지 측면들 하단의 경사를 타고 상기 개폐부재(19)를 승강시켜서 상기 플랜지단관(11)의 분기부 하단에 밀착시켜 준다.
또한, 도 10 (a),(b)에 보인 바와 같이, 상기 프랜지 단관(11)과 연결된 상기 개폐장치(12)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관통홀이 있는 면의 반대편 부분에는 경사를 두어서 상기 개폐부재(19)가 상기 쐐기볼트(18)로 승강될 경우에 상기 개폐부재(19)의 상기 안내구가 있는 반대편의 하단부 경사진 부분이 안착되게 해준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작용하여 상기 개폐부재(19)를 상기 플랜지 단관(11)의 분기부 하단에 최대한 밀착시켜주어 유체 등의 유출을 방지하는데 적절하게 대응이 가능하다.
또한, 도 2에는 상기 관로본관을 밀착시켜주는 금속재질의 상부패드(13)가 도시 되어 있다.
상기 상부패드(13)는 관로본관의 외경을 에워싸는 하프파이프 형상으로 상기 플랜지 단관(11)이 상부 중앙의 분기부에 결합되고, 길이방향 좌우측 하단부에 외측으로 돌출되고 볼트삽입공이 형성된 결합편을 갖고 있다.
관로본관의 외경을 에워싸고 상기 관로본관의 하부를 밀착시켜주는 고정수단들 중에 도 2는 하프파이프 형상인 하부패드(14)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하부패드(14)는 금속재질이며 길이방향 좌우측 하단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결합편(17)이 있고 상기 결합편(17)에는 상기 상부패드(13)에 대응하는 다수의 볼트삽입공이 있고, 상기 볼트삽입공을 통해서 상기 상부패드(13)를 볼트(16)와 너트(24)로 결합하여 상기 관로본관에 밀착시켜 준다.
도 6 본 발명 하부패드가 u볼트인 개폐장치 일체형 부단수 할정자관의 사시도를 보인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수도관, 냉수관, 온수관, 오일관, 공장설비라인 등의 관로본관을 단수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분기관 등을 연결하는 부단수 할정자관에 있어서, 상기 U볼트(21)는 땅속에 묻히고, 누수나 토사압력 등을 받으므로 이에 저항이 가능하게 고장력의 금속재료를 사용하여 제작한다.
또한, 관로본관의 치수나 시공 작업환경에 따라 상기 너트(24)로 상기 U볼트(21)를 조이거나 늘려서 정밀한 부착이 가능하다.
또한,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수지를 재료를 사용하는 결합바(22)가 있는데 상기 결합바(22)에는 다수의 관통공이 있어서 상기 관통공을 통해서 상기 U볼트(21)가 상기 상부패드(13)의 상기 볼트삽입공을 관통하여 상기 너트(24)와 결합하여 관로본관을 잡아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결합바(22)는 우레탄과 같은 합성수지를 사용하므로 상기 U볼트 각각 독립되어 있어 발생할 수 있는 관로본관과의 이격을 메워주고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결합바(22)는 교체가 가능하게 제작하여 피로강도 등으로 인해서 발생하는 변형으로 상기의 역할을 이행불가시 수월하게 교체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결합바(22)는 가능한 최선의 재료를 선택하여 제작될 수 있고, 특정한 형태나 구조의 결합바(22)에 국한되지 않는다.
도 9의 본 발명 분해사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U볼트(21)를 고무패드(23)로 감싸주고 있다.
따라서, 상기 너트(24)로 상기 U볼트(21)를 단단히 고정시켜줄 경우에 관로본관에 부착력을 높여 주고 상기 U볼트(21)가 외부환경에 노출되어 발생할 수 있는 부식을 방지하여 본 발명 하부패드가 u볼트인 개폐장치 일체형 부단수 할정자관의 수명을 연장해준다.
또한, 상기 U볼트형 부단수 할정자관은 다소 탄력적인 사용이 가능하므로 현장에서의 시공성이 우수하며 할정자관을 종류별로 구비해야하는 불편을 덜어주어 비용절감면에서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
도 11은 본 발명 개폐장치 일체형 부단수 할정자관의 개략적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이다.
도 11의 (a)는 관로본관이 천공 되기전으로 천공기를 상기 플랜지 단관((11)의 상부에 고정시킨 모습이고, (b)는 상기 천공기로 천공하고, 상기 개폐부재(19)를 상기 축(15)으로 수평이동시켜서 분기부를 막아서 유체 등이 유출되는 것을 막아주는 모습이다.
상기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개폐부재(19)는 상기 안내구가 있는 곳을 제외한 측면들 하단에는 경사를 주어서 상기 쐐기볼트(18)로 밀어 올려서 상기 개폐장치(12)의 관통홀이 있는 반대편의 경사진 부분에 견고하게 안착되게 하여 유체 등의 유출을 막아 줄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1 : 플랜지단관
12 : 개폐장치
13 : 상부패드
14 : 하부패드
15 : 축
16 : 볼트
17 : 결합편
18 : 쐐기볼트
19 : 개폐부재
21 : u볼트
22 : 결합바
23 : 고무패드
24 : 너트

Claims (7)

  1. 상하수도관, 냉수관, 온수관, 오일관, 공장설비라인 등의 관로본관을 단수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분기관에 연결시키는 부단수 할정자관에 있어서,
    상기 분기관 또는 차수용 밸브와 결합하는 플랜지 단관; 상기 플랜지 단관에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는 개폐장치; 상기 개폐장치의 안에 수평이동되고, 일측 하단 끝부분 중앙에서 내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내부에 나사산 형상의 안내구가 부착되는 사각판 형상의 개폐부재; 상기 개폐장치로부터 일단은 노출되고, 타단은 상기 개폐부재의 안내구와 대응하는 나사산 형성되어 회전을 통해 상기 개폐부재를 상기 개폐장치의 안에서 이동시키는 축; 상기 관로본관의 하부 외경을 에워싸는 고정수단; 상기 관로본관의 상부 외경을 에워싸는 하프파이프 형상으로 상기 플랜지 단관이 상부 중앙의 분기부에 결합되고, 길이방향으로 좌우측 하단부에 외측으로 결합편이 돌출되며, 상기 결합편에 상기 고정수단과 결합하기 위한 볼트삽입공이 길이방향으로 다수가 형성되는 상부패드; 상기 개폐장치에 상기 상부패드의 상단부에 길이방향으로 상기 플랜지 단관과 상기 개폐장치가 연결된 곳의 중앙부 양옆에 있는 나사공을 통해서 상기 개폐부재를 상기 플랜지 단관의 분기부 하단에 밀착시키는 삽입수단; 및 상기 상부패드의 길이방향 앞뒤 양단 내부에 형성되는 패킹;을 포함하되,
    상기 관로본관의 하부에 밀착되는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상부패드의 결합편에 형성된 상기 볼트삽입공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패드를 상기 관로본관의 상부에 고정시키는 다수의 U볼트; 상기 U볼트를 감싸주는 고무패드; 상기 상부패드의 결합편에 밀착되고 상기 다수의 U볼트가 관통되는 결합바; 및 상기 U볼트와 회전결합하여 상기 U볼트를 상기 상부패드에 고정시키는 너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안내구가 부착된 상기 개폐부재의 후단부 이외의 나머지 측면들이 상기 상부패드를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가 있으며,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축이 관통되는 일면에 대응되는 타면이 단차되면서 경사지고,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안내구가 형성된 일면에 대응되는 타면이 단차되면서 경사지어 상기 개폐장치의 안에서 끼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삽입수단은 끝부분이 쐐기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개폐장치의 상기 나사공에 나사결합하는 쐐기볼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장치 일체형 부단수 할정자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40037140A 2014-03-28 2014-03-28 개폐장치 일체형 부단수 할정자관 KR1015994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7140A KR101599464B1 (ko) 2014-03-28 2014-03-28 개폐장치 일체형 부단수 할정자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7140A KR101599464B1 (ko) 2014-03-28 2014-03-28 개폐장치 일체형 부단수 할정자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2616A KR20150112616A (ko) 2015-10-07
KR101599464B1 true KR101599464B1 (ko) 2016-03-03

Family

ID=54343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7140A KR101599464B1 (ko) 2014-03-28 2014-03-28 개폐장치 일체형 부단수 할정자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94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06624A (zh) * 2018-04-12 2018-09-07 于浩 一种化工设备用支流管道
JP6875762B1 (ja) * 2020-04-28 2021-05-26 株式会社水道技術開発機構 分岐管形成装置及び分岐管形成方法
KR102553736B1 (ko) * 2021-08-20 2023-07-10 신진정공 주식회사 차단밸브 착탈형 부단수 소프트 실 제수밸브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41627A (ja) * 2007-08-07 2009-02-26 Cosmo Koki Co Ltd 付属部品の脱着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28892B2 (ja) * 1997-01-30 2007-06-13 紀伊生産株式会社 Uボルト
KR20050096443A (ko) * 2004-03-30 2005-10-06 주식회사 국일인토트 분기관 연결구
KR100784591B1 (ko) * 2006-04-20 2007-12-11 김제현 일체형 부단수 활정자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41627A (ja) * 2007-08-07 2009-02-26 Cosmo Koki Co Ltd 付属部品の脱着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2616A (ko) 2015-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76752C1 (ru) Трубная муфта для соединения концов двух труб
KR101599464B1 (ko) 개폐장치 일체형 부단수 할정자관
KR101034653B1 (ko) 관로 보호대
US4802792A (en) Bushings for joining rigid objects to flexible membranes
KR20160004207U (ko) 소켓부를 갖는 콘크리트 하수관 조인트부의 누수방지 연결구
KR101380120B1 (ko) 가변형 제수밸브
EP2387647B1 (en) Drain valve assembly
US7617835B2 (en) Hydrant assist kit
KR100806932B1 (ko) 송배전케이블 이설장치
KR100576259B1 (ko) 상수도 곡선관의 이탈 방지 장치
KR20150110196A (ko) U볼트형 부단수 할정자관
KR100837666B1 (ko) 배전 지중구조물 조립식 관로구
KR200415417Y1 (ko) 지중매설관의 연결장치
KR102225550B1 (ko) 압축 에어 분기용 기구적 죠인트
KR100585268B1 (ko) 하수도관의 누수 안전진단장치
KR200375104Y1 (ko) 관로연결구
US20160195212A1 (en) Obstructive Tap and Sleeve
KR200376646Y1 (ko) 하수도관의 누수 안전진단장치
KR101992423B1 (ko) 결합력 향상된 상수도 배관용 플랜지구조
WO2016034889A1 (en) Improved valve apparatus and method of installation
RU2719812C1 (ru) Противовращательное основание для трубки подачи гидравлической жидкости и гидравлический насос, оснащенный таким основанием
JP3168996U (ja) 可撓性止水継手の取り付け構造
AU2011240324B2 (en) Device for axially fixing a connection between a pipe and a pipe component, and connection which comprises such a device, and use of such a device
KR100667582B1 (ko) 상수도 곡선관 고정장치구조
KR20220149827A (ko) 밸브실 침하시 배관 보호용 밸브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