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7582B1 - 상수도 곡선관 고정장치구조 - Google Patents

상수도 곡선관 고정장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7582B1
KR100667582B1 KR1020060096079A KR20060096079A KR100667582B1 KR 100667582 B1 KR100667582 B1 KR 100667582B1 KR 1020060096079 A KR1020060096079 A KR 1020060096079A KR 20060096079 A KR20060096079 A KR 20060096079A KR 100667582 B1 KR100667582 B1 KR 1006675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ved
support
pile
pipe
curved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6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종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안
Priority to KR1020060096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75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7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75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partly surrounding th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수도 곡선관 고정장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지중을 지지기반으로 하여 곡선관을 지지하여 버팀력을 증대함으로써 곡선관의 이탈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며, 각각 반원형의 곡선관 안착부가 구비되면서 상하부에 각각 볼트공이 구비되어 곡선관의 양측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곡선관을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밴드로 이루어지며 상기 곡선관의 직선부와 연결부에 각각 설치되는 제1,2,3곡선관 지지틀과; 양 측벽 및 상기 측벽을 연결하는 연결벽에 의해 "H"형 단면이면서 하단부에 첨예부가 구비되어 지중에 박히면서 상기 지지틀의 지지밴드 중 상대적으로 바깥의 제1지지밴드에 접하는 제1말뚝과; 상기 말뚝에서부터 제1,2지지밴드의 상하 볼트공에 각각 관통 체결되어 상기 말뚝과 지지틀을 서로 결속하는 인장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수도관, 곡선관, 지지, 말뚝, 지지밴드

Description

상수도 곡선관 고정장치구조{WATER SUPPLY ELBOW CONNECTING UNI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 곡선관 고정장치구조의 설치 상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상수도 곡선관 고정장치구조의 요부 발췌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곡선관, 11,12,21,31 : 플랜지
20,30 : 직선관, 40-1,40-2,40-3 : 지지틀
41,42 : 지지밴드, 50-1,50-2,50-3 : 제1말뚝
60-1,60-2,60-3 : 인장볼트, 70 : 고정링
80 : 제2말뚝, 90 : 인장재
본 발명은 상수도 곡선관 고정장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수가 제1직선관에서부터 곡선관을 통해 방향을 선회하여 제2직선관으로 흐를 때 곡 선관에 큰 수압이 가해지더라도 곡선관이 제1직선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 상수도 곡선관 고정장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시 등에서 각 가정으로 상수도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땅속(지중)에 각 가정으로 연결되는 상수도관을 설치하여 수돗물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한 상수도관은 통상적으로 시멘트로 원통형 제작된 것을 사용하거나 또는 금속관을 제작된 것을 사용하게 되는 바, 이를 지면에서 일정 깊이로 판 땅속으로 묻어서 설치하게 된다.
즉, 직선상으로 제작된 직선관을 지중에 매설하다가 곡선관을 매설해야 할 위치가 되면 땅을 곡선관에 맞춰서 판 후, 곡선관의 일측을 상수도관에 끼워서 배치하고, 다시 곡선관의 타측에 직선관을 끼워서 결합함과 아울러 이를 메우기하는 것이다.
물론, 상기한 직선관과 곡선관과의 연결 부분은 서로 끼워져 있는 상태로서, 물이 새지 않도록 별도의 실링 부재로 마감 처리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상수도용 곡선관의 연결구조에 의하면, 물이 직선관 - 곡선관 - 직선관을 통해 흐를 때 곡선관에는 큰 수압이 가해지게 되고, 이 수압을 견디지 못하고 곡선관이 직선관에서 이탈됨으로써 단수가 발생되고 보수공사를 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원수가 곡선관을 경 유하여 선회할 때 곡선관에 큰 수압이 가해지더라도 곡선관이 직선관에서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 상수도 곡선관 고정장치구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 곡선관 고정장치구조는, 곡선관을 양측에서 감싸는 제1,2지지밴드로 이루어진 지지틀과, 상기 지지틀의 제1지지밴드에 접하며 지중에 박히는 말뚝과, 상기 지지틀과 말뚝에 관통 체결되는 인장볼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곡선관에 관이음되는 상류측의 제1직선관과 상기 지지틀을 서로 결속하여 상기 제1직선관을 지지기반으로 하여 상기 곡선관을 상기 제1직선관측으로 지지하는 인장재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과 도 2에서 보이는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한 상수도 곡선관 고정장치구조는, 단부에 플랜지(21)가 구비된 제1직선관(20)과 제1직선관(20)과 다른 방향(예컨대 직각)으로 배관되며 단부에 플랜지(31)가 구비된 제2직선관(30)의 사이에 개 재되면서 양단부에 각각 플랜지(11,12)가 형성되어 플랜지(11,21)(12,31)가 볼트(22,32) 체결되어 결합되는 곡선관(10)을 고정하는 것으로, 먼저, 곡선관(10)은 서로 다른 방향의 직선부(13,14)가 연결부(15)를 통해 연결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의 곡선관(10)을 지지하는 본 발명에 의한 상수도 곡선관 고정장치구조는, 곡선관(10)에 감싸 결합되는 지지틀(40-1,40-2,40-3)과; 지지틀(40,50,60)을 각각 지중에 고정하는 제1말뚝(50-1,50-2,50-3)과; 지지틀(40-1,40-2,40-3)과 제1말뚝(50-1,50-2,50-3)을 서로 결속하는 인장볼트(60-1,60-2,60-3)로 구성되며, 각 구성요소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지틀(40-1,40-2,40-3)은 곡선관(10)의 직선부(13,14) 및 연결부(15)에 장착되는 3개인 것이 바람직하며, 지지틀(40-1,40-2,40-3)과 제1말뚝(50-1,50-2,50-3)과 인장볼트(60-1,60-2,60-3)의 구성은 서로 동일한 것인바, 제1직선관(20)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제2직선관(30)과 동일한 방향의 직선부(14)에 장착되는 제3지지틀(40-3)만을 예로 들어 설명하며 제1,2지지틀(40-1,40-2)은 제3지지틀(40-3)과 동일부호를 부여한다. 도 2에서와 같이, 제3지지틀(40-3)은 각각 반원형의 곡선관 안착부(41a,42a)가 구비되면서 상하부에 각각 볼트공(41b,42b)이 구비되며 곡선관(10)의 제2직선부(14)의 양측에 결합되어 곡선관(10)을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밴드(41,42)로 구성된다.
제1말뚝(50-3)은 양 측벽(51,52) 및 측벽(51,52)을 연결하는 연결벽(53)에 의해 "H"형 단면이면서 하단부에 첨예부(54)가 구비되어 지중에 박히면서 지지틀(40-3)의 지지밴드(41,42) 중 상대적으로 바깥의 제1지지밴드(41)에 접한다.
제1지지밴드(41)에는 결속홈(41c)이 형성되고, 제1말뚝(50)은 결속홈(41c)에 끼워 결합되는 결속돌기(54)가 형성되어 제1말뚝(50)과 제1지지밴드(41)가 결합될 수 있다.
인장볼트(60-3)는 제1말뚝(50-3)의 측벽(51)에서부터 제2지지밴드(42)의 상하 볼트공(41b,42b)에 각각 관통 체결되어 제1말뚝(50-3)과 제3지지틀(40-3)을 서로 결속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곡선관(10)을 제1직선관(20)에 결속하여 제1직선관(20)에서부터 공급되는 원수의 수압에 의한 버팀력을 증대함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하며, 이를 위하여 제1직선관(20)에 결합되는 환형의 고정링(70)과; 양 측벽(81,82) 및 측벽(81,82)을 연결하는 연결벽(83)에 의해 "H"형 단면이면서 하단부에 첨예부(84)가 구비되고 고정링(70)이 양 측벽(81,82) 사이에 삽입되어 하나 이상의 볼트(85)로 고정되는 제2말뚝(80)과; 제2말(80)뚝과 제3지지틀(40-3)의 제2지지밴드(42)의 사이에 체결되어 제1직선관(20)을 지지기반으로 하여 곡선관(10)을 지지하는 2개의 인장재(9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상수도 곡선관 고정장치구조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제1,2지지밴드(41,42)를 곡선관(10)에 감싸 결합함으로써 지지틀(40-1,40-2,40-3)을 곡선관(10)에 설치하고, 제1말뚝(50-1,50-2,50-3)을 각각 제1지지밴드(41)에 접한 상태로 지중에 박아 고정하며, 인장볼트(60-1,60-2,60-3)을 각각 제1말뚝(50-1,50-2,50-3)에서부터 제2지지밴드(42)까지 관통시켜 너트로 조인다.
그리고, 제1직선관(20)의 둘레부에 고정링(70)을 끼우고, 제2직선관(20)과 평형하게 제2말뚝(80)을 고정하며, 고정링(70)을 제2말뚝(80)의 양 측벽(81,82) 사이에 삽입한 후 볼트(81)를 체결하여 서로 결속하고, 인장재(90)의 양단부를 제3지지틀(40-3)의 제2지지밴드(42)와 제2말뚝(80)에 연결한다.
이와 같이 곡선관(10)이 설치된 상태에서 물이 제1직선관(20)에서부터 곡선관(10)을 경유하여 제2직선관(30)으로 흐를 때 큰 수압이 곡선관(10)에 가해지게 되며, 이 수압에 의해 곡선관(10)이 밀려 제1직선관(20)에서 이탈될 수 있지만, 곡선관(10)이 지중에 박힌 제1말뚝(50-1,50-2,50-3)에 의해 버팀력이 발생됨에 따라 곡선관(10)이 제1직선관(20)에서 이탈되지 않으며, 아울러, 인장재(90)가 제1직선관(20)을 지지기반으로 하여 곡선관(10)을 제1직선관(20)측으로 지지하여 곡선관(10)이 제1직선관(20)에서 이탈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 곡선관 고정장치구조에 의하면, 원수가 제1직선관에서부터 곡선관을 경유하여 방향을 선회한 후 제2직선관으로 흐를 때 곡선관에 큰 수압이 가해지더라도 곡선관이 제1직선관에서 이탈되지 않으므로 상수의 단수를 막을 수 있고, 불필요한 유지비용을 줄일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

  1. 서로 다른 방향의 직선부가 연결부를 통해 연결되어 구성되며 양단부에 각각 플랜지가 형성되며 단부에 플랜지가 구비된 제1,2직선관의 사이에 개재되면서 상기 플랜지가 볼트 체결되어 결합되는 곡선관 지지장치에 있어서,
    각각 반원형의 곡선관 안착부가 구비되면서 상하부에 각각 볼트공이 구비되어 상기 곡선관의 양측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곡선관을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밴드로 이루어지며 상기 곡선관의 직선부와 연결부에 각각 설치되는 제1,2,3곡선관 지지틀과;
    양 측벽 및 상기 측벽을 연결하는 연결벽에 의해 "H"형 단면이면서 하단부에 첨예부가 구비되어 지중에 박히면서 상기 지지틀의 지지밴드 중 상대적으로 바깥의 제1지지밴드에 접하면서 상기 제1지지밴드에 형성된 결속홈에 끼워지는 결속돌기를 갖는 제1말뚝과;
    상기 말뚝에서부터 제1,2지지밴드의 상하 볼트공에 각각 관통 체결되어 상기 말뚝과 지지틀을 서로 결속하는 인장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곡선관 고정장치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직선관에 결합되는 환형의 고정링과; 양 측벽 및 상기 측벽을 연결하는 연결벽에 의해 "H"형 단면으로서 지중에 박히며 상기 고정링 이 상기 양 측벽 사이에 삽입되어 볼트로 고정되는 제2말뚝과; 양단부가 각각 상기 제1직선관과 직교하는 방향의 제3지지틀의 제2지지밴드와 상기 제2말뚝에 체결되어 상기 제1직선관을 지지기반으로 하여 상기 곡선관을 지지하는 인장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곡선관 고정장치구조.
KR1020060096079A 2006-09-29 2006-09-29 상수도 곡선관 고정장치구조 KR1006675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6079A KR100667582B1 (ko) 2006-09-29 2006-09-29 상수도 곡선관 고정장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6079A KR100667582B1 (ko) 2006-09-29 2006-09-29 상수도 곡선관 고정장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7582B1 true KR100667582B1 (ko) 2007-01-11

Family

ID=37867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6079A KR100667582B1 (ko) 2006-09-29 2006-09-29 상수도 곡선관 고정장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758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87569A (en) 1994-10-12 1996-01-30 Restek Corporation Connector for three or more capillary tubes
JP2000154894A (ja) 1998-11-19 2000-06-06 Tokai Kokan Tsugite Kk 伸縮管継手
JP2001041353A (ja) 1999-07-28 2001-02-13 Sankei Giken:Kk 配管の継手構造
KR20050015208A (ko) * 2003-08-04 2005-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유체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87569A (en) 1994-10-12 1996-01-30 Restek Corporation Connector for three or more capillary tubes
JP2000154894A (ja) 1998-11-19 2000-06-06 Tokai Kokan Tsugite Kk 伸縮管継手
JP2001041353A (ja) 1999-07-28 2001-02-13 Sankei Giken:Kk 配管の継手構造
KR20050015208A (ko) * 2003-08-04 2005-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유체이송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0860B1 (ko) 플랜지 형태의 수밀용 파형강관 연결장치
KR20060082483A (ko) 파형강관 연결구
KR101171334B1 (ko) 파형강관 연결장치
KR100667582B1 (ko) 상수도 곡선관 고정장치구조
KR100664876B1 (ko) 상수도 소형관 이음새 연결장치구조
JP2009057714A (ja) マンホールと下水道本管との接続構造
KR100933823B1 (ko) 파형강관 연결장치
JP6327897B2 (ja) フランジ離間防止装置
KR100647525B1 (ko) 하수관 연결용 엘보
KR100919107B1 (ko) 파형강관 연결장치
KR100657178B1 (ko) 상수도 이음부 이탈방지장치
JP2009121036A (ja) 導水ジョイント
KR200415417Y1 (ko) 지중매설관의 연결장치
KR100657177B1 (ko) 연약지반 상수도관 이음장치
US20120049515A1 (en) Boltless Pipe Joint Assembly
KR100726755B1 (ko) 하수관 매설지지 구조물
KR100651230B1 (ko) 상수도용 곡선관 고정장치
KR100784825B1 (ko) 고정지지링이 설치된 관체결장치
KR101147515B1 (ko) 상수도관의 이탈방지장치
RU2509735C1 (ru) Устройство соединения аэраторов
KR101478321B1 (ko) 수밀성이 강화된 파이프 연결구
KR101111184B1 (ko) 지중 구조물 조립식 관로구
KR19980063922U (ko) 관로의 구조물벽체 접속부 수밀장치
CN214425286U (zh) 一种市政道路排水管固定安装装置
KR200165409Y1 (ko) 상ㆍ하수도관누수차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