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6646Y1 - 하수도관의 누수 안전진단장치 - Google Patents

하수도관의 누수 안전진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6646Y1
KR200376646Y1 KR20-2004-0034852U KR20040034852U KR200376646Y1 KR 200376646 Y1 KR200376646 Y1 KR 200376646Y1 KR 20040034852 U KR20040034852 U KR 20040034852U KR 200376646 Y1 KR200376646 Y1 KR 2003766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sewer pipe
link member
pairs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48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한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기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기기술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기기술단
Priority to KR20-2004-00348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66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66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66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16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 F16L23/167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in connection with the appearance or detection of lea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수도관의 누수 안전진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나사 체결이 가능한 2조 한쌍으로 형성되어 있되, 내측은 하수도관의 연결 이음부를 삽입 고정할 수 있는 단면 구조를 취하고 있고, 외경에는 조임 레버가 등간격으로 수개 형성되어 있는 연결 고정부재와; 2조 한쌍으로 형성되어 있되, 양측은 상기 연결 고정부재의 플렌지부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 고정을 취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고, 맞닿는 부위에는 상호간의 스위치 작동을 가능하게 하고, 이러한 스위치 작동 상태를 별도의 외부 자료획득시스템에 송출할 수 있는 접점 스위치가 형성되어 있는 링크부재와; 상기, 링크부재의 접점 스위치가 위치한 연결부 외측에 위치되어 고정핀을 통해 링크부재의 결속을 다지는 보호부재를 일체로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성을 통해 평상시에는 구조적 특성상 연결 이음이 다소 부실한 하수도관 간의 연결 이음부의 결속을 보강하여 경미한 외부 충격에 하수도관의 연결 이음부가 뒤틀리거나 휨이 일어나면서 하수도관 일부에 파손 및 크랙을 야기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결속을 유지하지 못할 극한 상황이 전개될 시에는 이러한 상황에 의해 누수로 직결될 우려가 있는 상태 변화를 나타내는 지점을 관리자에게 신속히 통보하여 신속 용이한 대응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하수도관의 누수 안전진단장치{Mmeasuring device of water leakage safety testing for Drain pipe}
본 고안은 하수도관의 누수 안전진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평상시에는 구조적 특성상 연결 이음이 다소 부실한 하수도관 간의 연결 이음부의 결속을 보강하여 경미한 외부 충격에 하수도관의 연결 이음부가 뒤틀리거나 휨이 일어나면서 하수도관 일부에 파손 및 크랙을 야기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결속을 유지하지 못할 극한 상황이 전개될 시에는 이러한 상황에 의해 누수로 직결될 우려가 있는 상태 변화를 나타내는 지점을 관리자에게 신속히 통보하여 신속 용이한 대응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 하수도관의 누수 안전진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 및 기타 폐수를 원거리에 있는 오폐수처리시설 등으로 이송하기 위해 하수도관이 지하에 매설된다.
하지만 상기 하수도관을 흐르는 하수는 높은 수압을 유지하지 않으므로, 하수도관은 상수관에 비해 비교적 내압성이 작은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며, 하수도관 간의 연결구조 또한 하수도관과 하수도관을 상호 맞대는 수준이어서 하수도관 간의 기밀성 및 고정성 또한 부실하였다.
한편, 지면으로 스며든 우수는 지하의 일정 장소에서 오랫동안 정체되거나 특정 부분만을 집중적으로 침식시키면서 하수도관을 지지하는 지반을 붕괴하거나 약화시키는데, 이는 이를 기반으로 매설된 하수도관의 고정력 또한 약화시킴으로서 일부를 내려앉힐 수 있고, 이로 인해 하수도관의 연결부가 뒤틀리거나 휨이 일어나면서 하수도관 일부에 파손 및 크랙이 발생될 수 있었다.
더불어, 파손 및 크랙이 발생된 부분을 통해 누수가 일어날 수도 있었다.
그러므로, 최근에는 상술한 문제 현상을 해소할 수 있는 기술이 여러모로 모색되고는 있으나 현재까지는 하수도관 이음 연결부의 실링 상태를 보완 또는 보강하여 누수(漏水)를 방지하는 정도의 수준이였다.
그러나, 이러한 보완책 역시 지반의 침하 또는 자동차의 주행 등으로 반복충격이 가해져 올 경우 연결부위의 초기 상태를 장기간 견고히 유지시키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문제 현상이 발생시 누수 지점을 정확히 찾지 못해 보수 작업의 지연과 작업자의 불편을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경미한 누수가 발생시에는 사실 아무런 대응책이 없어 상술한 바와 같이 하수도관을 지지하는 지반을 붕괴시키는 현상과 더불어 폐수의 누출로 인한 지표수와 지하수를 오염시키는 요인을 제공하였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평상시에는 구조적 특성상 연결 이음이 다소 부실한 하수도관 간의 연결 이음부의 결속을 보강하여 경미한 외부 충격에 하수도관의 연결 이음부가 뒤틀리거나 휨이 일어나면서 하수도관 일부에 파손 및 크랙을 야기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결속을 유지하지 못할 극한 상황이 전개될 시에는 이러한 상황에 의해 누수로 직결될 우려가 있는 상태 변화를 나타내는 지점을 관리자에게 신속히 통보하여 신속 용이한 대응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 하수도관의 누수 안전진단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수단은,
나사 체결이 가능한 2조 한쌍으로 형성되어 있되, 내측은 하수도관의 연결 이음부를 삽입 고정할 수 있는 단면 구조를 취하고 있고, 외경에는 조임 레버가 등간격으로 수개 형성되어 있는 연결 고정부재와;
2조 한쌍으로 형성되어 있되, 양측은 상기 연결 고정부재의 플렌지부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 고정을 취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고, 맞닿는 부위에는 상호간의 스위치 작동을 가능하게 하고, 이러한 스위치 작동 상태를 별도의 외부 자료획득시스템에 송출할 수 있는 접점 스위치가 형성되어 있는 링크부재와;
상기, 링크부재의 접점 스위치가 위치한 연결부 외측에 위치되어 고정핀을 통해 링크부재의 결속을 다지는 보호부재를 일체로 포함하여 구성됨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하수도관의 누수 안전진단장치의 구성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하수도관의 누수 안전진단장치의 구성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참고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와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 체결이 가능한 2조 한쌍으로 형성되어 있되, 내측은 하수도관(1)의 연결 이음부를 삽입 고정할 수 있는 단면 구조를 취하고 있고, 외경에는 조임 레버(12)가 등간격으로 수개 형성되어 있는 연결 고정부재(1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 고정부재(10)와는 별도로 2조 한쌍으로 형성되어 있되, 양측은 상기 연결 고정부재(10)의 플렌지부(14)에 형성된 관통공(16)에 삽입 고정을 취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고, 맞닿는 부위에는 상호간의 스위치 작동을 가능하게 하고, 이러한 스위치 작동 상태를 별도의 외부 자료획득시스템(40)에 송출할 수 있는 접점 스위치(22)가 형성되어 있는 링크부재(2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링크부재(20)의 접점 스위치(22)가 위치한 연결부 외측에는 고정핀(32)을 통해 링크부재(20)의 결속을 다지는 보호부재(30)가 연결 구성되어 있다.1
한편, 상기 조임 레버(12)에는 하수도관(1)과의 긴밀한 접촉을 이룰 수 있도록 접지판(18) 하부에 탄성 러버재(19)가 연결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고안의 설치방법과 작용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하수도관의 누수 안전진단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먼저, 설치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즉, 터파기된 지면상에 하수도관(1)을 연결 시공시, 설치될 하수도관(1)의 연결부 일측에 2조 한쌍으로 연결 구성된 연결 고정부재(10)의 일측 조임 레버(12)를 이용하여 연결 고정한 후 터파기된 지면상에 위치시키면 된다.
그리고, 뒤이어 상기 하수도관(1)에 연결 설치되는 하수도관(1)을 연결 위치시킨 후에 연결 고정부재(10)의 타측 조임 레버(12)를 이용하여 연결 고정하고, 상기 연결 고정부재(10)의 플렌지부(14)에 형성된 관통공(16)에 링크부재()의 일단을 삽입 연결한 후 고정하면 된다.
또한, 상기 링크부재(20)의 접점 스위치(22)에 연결 연장된 전선을 관리자가 위치해 있는 자료획득시스템(40)에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도록 연결하면 설치가 완료된다.
이렇게 설치된 본 고안은 평상시에는 상기 링크부재(20)에 의해 하수도관(1) 간의 연결 이음부의 결속을 보강하여 경미한 외부 충격에 하수도관(1)의 연결 이음부가 뒤틀리거나 휨이 일어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여 파손 및 크랙을 야기하는 문제 현상과 누수가 야기되는 문제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링크부재(20)를 이용한 결속을 유지하지 못할 극한 상황, 즉, 지진과 같은 자연 현상 및 지상에서 전달되는 반복 충격 등에 의해 나타나는 지반 침하 현상 등으로 하수도관(1)을 지지하는 지반이 붕괴되어 하수관(1)의 이음부가 이완되거나 이탈될 시에는 이러한 변형에 상기 링크부재(20)가 반응하여 이러한 상태 변화를 나타내는 지점을 자료획득시스템(40)에 통보하여 관리자가 이를 체크하여 신속 용이한 대응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수도관(1)의 이음부가 상술한 바 있는 여러 외부적인 요인에 의해 벌어질 경우 상기 하수도관(1) 이음부에 고정 설치된 연결 고정부재(10) 사이에 위치한 링크부재(20)가 상호간을 보호부재(30) 내에서 결속시키던 고정핀(32)을 파괴함과 동시에 벌어지며 상호간에 접지 되어 있던 접점 스위치(22)를 단락 시켜 이러한 단락 신호를 자료획득시스템(40)에 통보하게 된다.
참고로 본 고안은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고, 여러 가지의 형태를 취할 수 있으나 상기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인정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평상시에는 구조적 특성상 연결 이음이 다소 부실한 하수도관 간의 연결 이음부의 결속을 보강하여 경미한 외부 충격에 하수도관의 연결 이음부가 뒤틀리거나 휨이 일어나면서 하수도관 일부에 파손 및 크랙을 야기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결속을 유지하지 못할 극한 상황이 전개될 시에는 이러한 상황에 의해 누수로 직결될 우려가 있는 상태 변화를 나타내는 지점을 관리자에게 신속히 통보하여 신속 용이한 대응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함에 따른 보수 작업의 편리성과 관리상의 편의성을 향상 시켜 줄 수 있도록 효과와 오폐수의 누출로 인한 지표수와 지하수의 오염 문제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하수도관의 누수 안전진단장치의 구성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하수도관의 누수 안전진단장치의 구성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a,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하수도관의 누수 안전진단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수도관
10 : 연결 고정부재 12 : 조임 레버
14 : 플렌지부 16 : 관통공
18 : 접지판 19 : 탄성 러버재
20 : 링크부재 22 : 접점 스위치
30 : 보호부재 32 : 고정핀
40 : 자료획득시스템

Claims (2)

  1. 나사 체결이 가능한 2조 한쌍으로 형성되어 있되, 내측은 하수도관(1)의 연결 이음부를 삽입 고정할 수 있는 단면 구조를 취하고 있고, 외경에는 조임 레버(12)가 등간격으로 수개 형성되어 있는 연결 고정부재(10)와;
    2조 한쌍으로 형성되어 있되, 양측은 상기 연결 고정부재(10)의 플렌지부(14)에 형성된 관통공(16)에 삽입 고정을 취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고, 맞닿는 부위에는 상호간의 스위치 작동을 가능하게 하고, 이러한 스위치 작동 상태를 별도의 외부 자료획득시스템(40)에 송출할 수 있는 접점 스위치(22)가 형성되어 있는 링크부재(20)와;
    상기, 링크부재(20)의 접점 스위치(22)가 위치한 연결부 외측에 위치되어 고정핀(32)을 통해 링크부재(20)의 결속을 다지는 보호부재(30)를 일체로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도관의 연결 이음부 보강 안전진단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 레버(12)에는 하수도관(1)과의 긴밀한 접촉을 이룰 수 있도록 접지판(18) 하부에 탄성 러버재(19)가 연결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도관의 연결 이음부 보강 안전진단장치.
KR20-2004-0034852U 2004-12-08 2004-12-08 하수도관의 누수 안전진단장치 KR2003766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4852U KR200376646Y1 (ko) 2004-12-08 2004-12-08 하수도관의 누수 안전진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4852U KR200376646Y1 (ko) 2004-12-08 2004-12-08 하수도관의 누수 안전진단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3910A Division KR100585268B1 (ko) 2004-12-10 2004-12-10 하수도관의 누수 안전진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6646Y1 true KR200376646Y1 (ko) 2005-03-08

Family

ID=43678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4852U KR200376646Y1 (ko) 2004-12-08 2004-12-08 하수도관의 누수 안전진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664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033B1 (ko) 2008-06-17 2008-10-30 주식회사 삼림엔지니어링 상하수도관 접합부 정밀안전진단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033B1 (ko) 2008-06-17 2008-10-30 주식회사 삼림엔지니어링 상하수도관 접합부 정밀안전진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22766B1 (en) Manhole saddle tee
KR100585268B1 (ko) 하수도관의 누수 안전진단장치
KR200376646Y1 (ko) 하수도관의 누수 안전진단장치
KR101615971B1 (ko) 비 굴착식의 하수관로 보수방법
JP2001152501A (ja) 排水管装置及びその更生方法
KR102083378B1 (ko) 콘크리트 관로 보강부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관로 보수공법
JP4325995B2 (ja) 液状化によるマンホールの浮き上がり防止方法
KR101599464B1 (ko) 개폐장치 일체형 부단수 할정자관
KR200452669Y1 (ko)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pc 암거의 조립구조
KR102085579B1 (ko) 건축용 배전 지중 케이블 보호관
KR20020091617A (ko) 프리캐스트 구조물 연결부 접합장치
KR101407685B1 (ko) 분기관 연결용 조인트
KR102663151B1 (ko) 보수의 신뢰성 및 지속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비굴착식 제관 공법
JPH11191918A (ja) コンクリート製品の接続方法、接続構造およびシール用可とう性継手
KR102203393B1 (ko) 파이프 연결구
KR200362348Y1 (ko) 조립형 이음관
JP2015081671A (ja) 更生管の分岐方法及び分岐部構造
KR102524445B1 (ko) 갱생 시트 결합체 및 이를 이용한 갱생방법
JP2970805B1 (ja) 導水樋
JPH084950A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と埋設管との接続構造
KR102641895B1 (ko) 하수관거의 침하 예방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200434156Y1 (ko) 맨홀과 접속관의 연결구조
JP3927633B2 (ja) 配管用止水栓
KR200352643Y1 (ko) 관이음장치
KR200346437Y1 (ko) 교량의 배수시설에 적용되는 접속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203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