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2643Y1 - 관이음장치 - Google Patents

관이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2643Y1
KR200352643Y1 KR20-2004-0007293U KR20040007293U KR200352643Y1 KR 200352643 Y1 KR200352643 Y1 KR 200352643Y1 KR 20040007293 U KR20040007293 U KR 20040007293U KR 200352643 Y1 KR200352643 Y1 KR 2003526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ircular
joint
sewer
fast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72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승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조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조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조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4-00072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26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26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2643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06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comprising radial locking means
    • F16L25/08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comprising radial locking means in the form of screws, nail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관 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수도관의 내부에 이음장치 설치홈이 형성되어 다수개의 하수도관의 연결시 이음장치 설치홈에 관이음장치를 설치하여 체결 볼트로 체결하는 구조로 구성함과 아울러, 그로 인해 하수관로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누수 현상을 차단하여 토양 및 지하수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관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하수도관의 관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수도관(100)에는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이음장치 설치홈(120)이 형성되고, 그 이음장치 설치홈(120)이 형성된 하수도관의 외주면에 볼트홀(140)이 형성되며, 상기 다수개의 하수도관(100)의 이음부가 관이음장치(800)에 의해 체결되는 한편, 상기 관이음장치(800)는, 하수도관(100)의 이음장치 설치홈(120)에 각각 원형 체결구(400)가 체결 볼트(450)에 의해 고정됨과 아울러, 그 원형 체결구(400)의 일측에 원형누수 방지구(500)가 삽입되고, 타측에 원형신축 이음구(300)가 결합되어 2개의 하수도관(100)을 다수개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관이음장치{PIPE COUPLER}
본 고안은 관 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수도관의 내부에 이음장치 설치홈이 형성되어 다수개의 하수도관의 연결시 이음장치 설치홈에 관이음장치를 설치하여 체결 볼트로 체결하는 구조로 구성함과 아울러, 그로 인해 하수관로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누수 현상을 차단하여 토양 및 지하수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관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에는 하수도관이 설치되어 도로 및 많은 건물에서 발생되는 하수를 처리하게 되는데, 상기 하수도관은 대부분 콘크리트 흄관을 이용하거나 암거(CULVERT)를 이용하여 설치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하수관로의 문제점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하수도관(20)이 다수개가 연장되는 경우, 관 연결구(40)가 설치되어 이음부에 대한 마감을 하게 되는데, 콘크리트 흄관이 이용되는 경우, 그 이음부에 모르타르가 타설되어 이음부에 대한 분리를 방지하게 되고, 아연도 강관을 사용하는 경우, 그 이음부에 용접을 실시하여 연결하게 된다.
그러나, 다수개의 하수도관이 연결된 하수관로는, 장시간 시간이 흐른뒤 침하 등에 따른 하수도관의 이음부에서 도면과 같은 누수 현상이 발생되어 주변의 토양 및 지하수를 오염시키는 문제가 발생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고안은, 하수도관의 내부에 이음장치 설치홈을 구성함과 아울러, 관이음장치를 원형신축 이음구, 원형 체결구, 원형누수 방지구로 제작하여 체결 볼트로 체결시키는 구조로 하수관로가 시공되는 관계로, 시공이 용이하고 누수에 따른 토양 및 지하수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관이음장치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하수관로의 문제점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하수관로에 관이음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하수도관에 관이음장치가 설치된되는 분해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하수도관 120: 이음장치 설치홈
300: 원형신축 이음구 400: 원형 체결구
450: 체결 볼트 500: 원형누수 방지구
800: 관이음장치
본 고안은 상술한 목적 달성을 위해, 본 고안은, 하수도관의 관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수도관에는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이음장치 설치홈이 형성되고, 그이음장치 설치홈이 형성된 하수도관의 외주면에 볼트홀이 형성되며, 상기 다수개의 하수도관의 이음부가 관이음장치에 의해 체결되는 한편, 상기 관이음장치는, 하수도관의 이음장치 설치홈에 각각 원형 체결구가 체결 볼트에 의해 고정됨과 아울러, 그 원형 체결구의 일측에 원형누수 방지구가 삽입되고, 타측에 원형신축 이음구가 결합되어 2개의 하수도관을 다수개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하수관로에 관이음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하수도관에 관이음장치가 설치된되는 분해 상태도이다.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하수도관(100)에는, 그 이음부에 관이음장치(800)가 설치되어 다수개의 하수도관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우, 상부 하중에 따른 지반의 침하에 의해 이음부에서 발생되는 누수를 최대한 방지하게 된다.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하수도관(100)에는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이음장치 설치홈(120)이 형성되고, 그 이음장치 설치홈(120)이 형성된 하수도관의 외주면에 볼트홀(140)이 형성되며, 상기 이음장치 설치홈(120)에 관이음장치(800)가 체결되는 구조로 결합된다.
상기 관이음장치(800)는, 중앙의 원형신축 이음구(300), 그 원형신축 이음구(300)의 양측에 설치되는 원형 체결구(400), 및 그 원형 체결구(400)의 측면에 각각 설치되는 원형누수 방지구(500)로 구성된다.
상기 원형신축 이음구(300)는 중앙에 볼트부(310)가 형성되고 그볼트부(310)의 양측에 각각 삽입부(320)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원형신축 이음구(300)의 삽입부(320)가 원형 체결구(400)의 삽입홈(420)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상기 원형 체결구(400)는 중앙에 돌출되는 부위가 이음장치 설치홀(120)에 밀착되고 체결 볼트(450)가 우레탄을 적층하여 고정되며, 그 체결 볼트(450)의 외측에 와셔와 너트가 체결되어 고정되는 한편, 상기 원형 체결구(400)는 양측에 삽입홈(420)이 형성된다.
상기 원형누수 방지구(500)는 일측에 삽입부(520)가 형성되어 원형 체결구(400)의 삽입홈(420)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즉, 상기 하수도관(100)에는 이음장치 설치홈(120)에 각각 원형 체결구(400)가 체결 볼트(450)에 의해 고정됨과 아울러, 그 원형 체결구(400)의 일측에 원형누수 방지구(500)가 삽입되고, 타측에 원형신축 이음구(300)가 결합되어 2개의 하수도관이 연결되게 된다.
상기 관이음장치(800)는, 2개의 원형누수 방지구(500), 2개의 원형 체결구(400) 및 1개의 원형신축 이음구(300)가 체결되는 구조로, 2개의 하수도관(100)의 이음부가 체결됨과 아울러, 원형 체결구(400)의 삽입홈()에 일측과 타측에 원형누수 방지구(500)와 원형신축 이음구(300)가 결합되는 관계로 결합설치가 용이하여 시공이 용이하다.
상술한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한 효과를 설명한다.
본 고안의 관이음장치는, 하수도관의 내부에 원형신축 이음구, 원형 체결구, 원형누수 방지구가 체결 볼트로 체결되는 구조로 구성되는 관계로 시공이 용이하고, 그 하수도관의 이음부에서 발생되는 누수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어 하수관로가 매설된 지중의 토양 및 지하수의 오염을 최대한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2)

  1. 하수도관의 관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수도관(100)에는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이음장치 설치홈(120)이 형성되고, 그 이음장치 설치홈(120)이 형성된 하수도관의 외주면에 볼트홀(140)이 형성되며, 상기 다수개의 하수도관(100)의 이음부가 관이음장치(800)에 의해 체결되는 한편,
    상기 관이음장치(800)는, 하수도관(100)의 이음장치 설치홈(120)에 각각 원형 체결구(400)가 체결 볼트(450)에 의해 고정됨과 아울러, 그 원형 체결구(400)의 일측에 원형누수 방지구(500)가 삽입되고, 타측에 원형신축 이음구(300)가 결합되어 2개의 하수도관(100)을 다수개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신축 이음구(300)는 중앙에 볼트부(310)가 형성되고 그 볼트부(310)의 양측에 각각 삽입부(320)가 형성되며, 상기 원형신축 이음구(300)의 삽입부(320)가 원형 체결구(400)의 삽입홈(420)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한편,
    상기 원형 체결구(400)는 중앙에 돌출되는 부위가 이음장치 설치홀(120)에 밀착되고 체결 볼트(450)가 고정되며, 그 체결 볼트(450)의 외측에 와셔와 너트가 체결되고, 양측에 삽입홈(420)이 형성되며,
    상기 원형누수 방지구(500)는 일측에 삽입부(520)가 형성되어 원형체결구(400)의 삽입홈(420)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장치.
KR20-2004-0007293U 2004-03-17 2004-03-17 관이음장치 KR2003526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7293U KR200352643Y1 (ko) 2004-03-17 2004-03-17 관이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7293U KR200352643Y1 (ko) 2004-03-17 2004-03-17 관이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2643Y1 true KR200352643Y1 (ko) 2004-06-05

Family

ID=49431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7293U KR200352643Y1 (ko) 2004-03-17 2004-03-17 관이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264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0860B1 (ko) 플랜지 형태의 수밀용 파형강관 연결장치
KR101721631B1 (ko) 마그네틱 패킹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유닛 접합부 구조
KR20060069419A (ko) 수밀성 및 가요성을 갖는 철근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박스암거와 이 암거의 시공 구조 및 방법
KR200394863Y1 (ko) 맨홀의 배수관 연결 플랜지
KR200352643Y1 (ko) 관이음장치
KR100704609B1 (ko) 복합 기능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 암거의 구조
KR200403877Y1 (ko) 맨홀의 관접속장치
KR100598769B1 (ko) 연약지반 하수도관 침하방지구조물
KR100497536B1 (ko) 경사면에 설치되는 하수관의 이탈 방지장치
KR100522142B1 (ko) 지중 하수관 및 가지관의 결속구조
KR100619403B1 (ko) 연약지반 침하방지용 안전을 위한 삼각형 상하수도관의설치구조
KR200375104Y1 (ko) 관로연결구
KR200359265Y1 (ko) 파이프 연결구
KR200268425Y1 (ko) 도로 경사면의 지중 콘크리트 흄관의 연결구조
KR200234533Y1 (ko) 도로 배수처리구간 우수,오수관로 죠인트 이탈방지 자켓
KR200388137Y1 (ko) 파형강관의 분기관 접속장치
KR200358863Y1 (ko) 습지지역 누수방지용 맨홀 구조물 접합구조
KR200216512Y1 (ko) 조립식 관로구
KR200341353Y1 (ko) ㄷ형 클립을 이용한 폴리에틸렌 하수관 연결 구조
KR200179201Y1 (ko) 개거 수로관용 연결장치
KR200352056Y1 (ko) 하수도관 연결구
KR200252819Y1 (ko) 수질오염 방지를 위한 콘크리트 하수관 연결구조
KR102203393B1 (ko) 파이프 연결구
KR20090061868A (ko) 관로설치용 아치형 프리캐스트 암거의 조립구조 및 이를이용한 관로설치용 아치형 암거의 시공방법
KR200265417Y1 (ko) 도로의 교차로 하부에 사용되는 십자형 하수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