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2887A - 부단수 할정자관 - Google Patents
부단수 할정자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82887A KR20110082887A KR1020100002819A KR20100002819A KR20110082887A KR 20110082887 A KR20110082887 A KR 20110082887A KR 1020100002819 A KR1020100002819 A KR 1020100002819A KR 20100002819 A KR20100002819 A KR 20100002819A KR 20110082887 A KR20110082887 A KR 2011008288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anch
- closing member
- sealing members
- opening
- tub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7/00—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 F16L17/02—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 F16L17/03—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having annular axial lips
- F16L17/032—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having annular axial lips the sealing rings having only one lip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9/00—Joints with fluid cut-off means
- F16L29/002—Joints with fluid cut-off means joints with tap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 F16L41/12—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using attaching means embracing the pip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 F16L41/16—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the branch pipe comprising fluid cut-off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2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 F16L23/028—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the flanges being held against a shoulder
- F16L23/0283—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the flanges being held against a shoulder the collar being integral with the pip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3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composition of the fl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부단수 할정자관은 관로본관의 일측을 에워싸고, 분기부가 돌출 형성되며, 분기부의 둘레부에 분기부 개폐부재가 통과하는 출입구가 형성된 할정자관과; 분기부에 설치되어 누수를 막는 복수개의 실링부재를 포함하고, 복수개의 실링부재는 분기부 개폐부재가 분기부를 밀폐하는 방향으로 전진되면 복수개의 실링부재 사이로 삽입되게 일부가 출입구와 대향되게 위치되고 분기부 개폐부재가 분기부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후퇴하면 서로 접촉되게 설치되어, 구조가 간단하고 비용이 저렴하며 공간 활용도가 높은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부단수 할정자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할정자관의 분기부 내부에 누수를 막는 실링부재가 설치된 부단수 할정자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단수 할정자관은, 상하수도관, 냉수관, 온수관, 오일관, 공장 설비라인 등의 관로본관을 단수시키지 않는 상태에서 분기관이나 밸브 등을 연결하는 관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부단수 할정자관에 분기관을 연결할 때의 공정도이다.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로본관(2)의 둘레에 부단수 할정자관(10)을 설치한다.
이후, 부단수 할정자관(10)의 분기부(12)에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 밸브(20)를 볼트(21) 및 너트로 장착한다.
상기 게이트 밸브(20)는, 상기 분기부(22)와 상하 연통되는 개구부(22)가 형성된 밸브 바디(23)와, 상기 밸브 바디(23)의 개구부(22)를 개폐하도록 밸브 바디(23)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밸브체(24)와, 상기 밸브 바디(23)를 덮는 밸브 캡(25)과, 상기 밸브체(24)를 밸브 동작시키는 조작부(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게이트 밸브(20)가 장착된 상태에서, 도 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공장치(30)를 게이트 밸브(20)에 장착한다.
그런 다음, 도 1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공장치(30)의 커터(32)를 하강시켜 관로본관(2)에 천공(4)을 형성한다.
이후, 도 1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공장치(30)의 커터(32)를 상승시킨 다음, 상기 게이트 밸브(20)의 조작부(26)를 밀폐 조작하여 상기 밸브체(24)로 게이트 밸브(20)의 개구부(22) 밀폐한다.
그리고, 상기 천공장치(30)를 상기 게이트 밸브(20)에서 분리하고, 도 1의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기관(40)을 게이트 밸브(20)에 볼트 및 너트로 장착한다.
최종적으로, 상기 게이트 밸브(20)를 개방 조작하면, 상기 밸브체(24)는 상기 게이트 밸브(20)의 개구부(22)를 개방하고, 상기 관로본관(2)의 유체는 천공(4)과 분기부(22)의 내부와, 게이트 밸브(20)의 개구부(22)를 차례로 통과하여 분기관(40)의 내부로 유출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부단수 활정자관은 부단수 할정자관의 분기부 상측에 게이트 밸브가 별도로 설치되어, 구조가 복잡함과 아울러 비용이 증대되고, 셋트 전체의 크기가 크므로, 설치 공간이나 작업 공간이 협소할 경우 부단수 활정자관을 설치하기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고 비용이 저렴하며 공간 활용도가 높은 부단수 할정자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부단수 할정자관은 관로본관의 일부를 에워싸고, 분기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분기부의 둘레부에 분기부 개폐부재가 통과하는 출입구가 형성된 할정자관과; 상기 분기부에 설치되어 누수를 막는 복수개의 실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실링부재는 상기 분기부 개폐부재가 상기 분기부를 밀폐하는 방향으로 전진되면 상기 분기부 개폐부재가 상기 복수개의 실링부재 사이로 삽입되게 일부가 상기 출입구와 대향되게 위치되고 상기 분기부 개폐부재가 상기 분기부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후퇴하면 서로 접촉되게 설치된다.
상기 복수개의 실링부재 각각은 상기 부단수관과 접촉되는 면이 평면이고, 복수개의 실링부재끼리 접촉되는 면이 곡면일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실링부재는 상기 분기부의 돌출 방향으로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실링부재 각각은 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실링부재는 상기 할정자관에 설치된 복수개의 고리형 실링부재와, 상기 고리형 실링부재와 상기 출입구의 사이에 설치된 복수개의 막대형 실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막대형 실링부재는 중앙부에 라운드진 접촉면을 갖고 좌,우 양측부에 평평한 접촉면을 갖을 수 있다.
상기 할정자관은 상기 복수개의 실링부재가 수용되는 실링부재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할정자관은 상기 복수개의 실링부재를 고정하는 고정 리브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기부 개폐부재는 일측에 손잡이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기부 개폐부재는 선단의 두께가 중앙의 두께 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기부 개폐부재는 좌,우 양측에 절곡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기부 개폐부재는 좌,우 양측에 리브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할정자관에 결합되고, 내부가 상기 출입구와 연통되어 상기 분기부 개폐부재가 수용되는 개폐부재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분기부 개폐부재가 슬라이드되게 안착되는 개폐부재 안착부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기부 개폐부재를 직선 이동시키는 직선 무빙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기부 개폐부재에 길이 방향으로 랙이 형성되고, 상기 직선 무빙기구는 상기 랙과 치합되어 상기 랙을 직선 이동시키게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피니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직선 무빙기구는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수나사부재와, 상기 수나사부재의 회전시 분기부 개폐부재를 직선 이동시키게 분기부 개폐부재에 설치된 암나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부단수 할정자관은 부단수 할정자관의 상측에 별도의 게이트 밸브를 장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함과 아울러 비용이 저렴하고, 분기부 개폐부재가 분기부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후퇴되었을 때 유체가 누수되지 않으므로 신뢰성이 높은 이점이 있다.
또한, 분기부 개폐부재가 할정자관에서 분리되어 다른 부단수 할정자관의 시공시 사용될 수 있어, 비용이 저렴하고 자원 활용도가 높으며, 부단수 할정자관의 경량화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복수개의 실링부재가 분기부와 출입구 사이를 이중으로 실링하여 신뢰도가 높은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부단수 할정자관에 분기관을 연결할 때의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단수 할정자관 제 1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단수 할정자관 제 1 실시예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부단수 할정자관 제 1 실시예의 횡단면도,
도 5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복수개의 막대형 실링부재가 접촉되었을 때의 사시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관로본관에 부단수 할정자관을 설치하였을 때의 횡단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부단수 할정자관에 천공장치를 장착하였을 때의 횡단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천공장치가 관로본체에 천공을 형성할 때의 횡단면도,
도 9는 도 2에 도시된 분기부 개폐부재로 분기부를 밀폐하였을 때의 횡단면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천공장치를 분기부에서 분리하고 분기부에 분기관을 장착하였을 때의 횡단면도,
도 11은 도 10에 분기부를 개방하였을 때의 횡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부단수 할정자관 제 2 실시예의 분기부가 밀폐일 때의 종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부단수 할정자관 제 2 실시예의 분기부가 개방일 때의 종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부단수 할정자관 제 3 실시예의 분기부가 밀폐일 때의 종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부단수 할정자관 제 3 실시예의 분기부가 개방일 때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단수 할정자관 제 1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단수 할정자관 제 1 실시예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부단수 할정자관 제 1 실시예의 횡단면도,
도 5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복수개의 막대형 실링부재가 접촉되었을 때의 사시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관로본관에 부단수 할정자관을 설치하였을 때의 횡단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부단수 할정자관에 천공장치를 장착하였을 때의 횡단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천공장치가 관로본체에 천공을 형성할 때의 횡단면도,
도 9는 도 2에 도시된 분기부 개폐부재로 분기부를 밀폐하였을 때의 횡단면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천공장치를 분기부에서 분리하고 분기부에 분기관을 장착하였을 때의 횡단면도,
도 11은 도 10에 분기부를 개방하였을 때의 횡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부단수 할정자관 제 2 실시예의 분기부가 밀폐일 때의 종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부단수 할정자관 제 2 실시예의 분기부가 개방일 때의 종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부단수 할정자관 제 3 실시예의 분기부가 밀폐일 때의 종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부단수 할정자관 제 3 실시예의 분기부가 개방일 때의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단수 할정자관 제 1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단수 할정자관 제 1 실시예의 종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부단수 할정자관 제 1 실시예의 횡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부단수 할정자관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로본관(50)의 일부를 에워싸고 분기부(56)가 형성된 할정자관(60)을 포함한다.
관로본관(50)은 후술하는 천공장치(100)에 의해 천공(52)이 형성된다.
할정자관(60)은 분기부(56)가 할정자관(60)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분기부(56)는 내부에 할정자관(60)의 반경 방향으로 개구된 개구부(57)가 형성되고, 분기부(56)의 단부에는 후술하는 분기관(98)과 천공장치(100) 중 하나가 볼트 및 너트로 장착되는 플랜지(58)가 형성된다. 플랜지(58)에는 볼트가 관통되는 되는 볼트 관통홀(59)이 형성된다.
할정자관(60)은 관로본관(50) 중 일부의 일측을 에워싸는 제 1 바디(61)와, 제 1 바디(61)와 결합되고 관로본관(50) 중 일부의 타측을 에워싸는 제 2 바디(62)를 포함하고, 분기부(56)는 제 1 바디(61)와 제 2 바디(62) 중 하나에서 할정자관(60)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다.
할정자관(60)은 제 1 바디(61)가 관로본관(50)의 일부 전방부와 후방부 중 일측을 에워싸고, 제 2 바디(62)가 관로본관(50)의 일부 전방부와 후방부 중 타측을 에워싸는 것도 가능하다.
할정자관(60)은 제 1 바디(61)이 관로본관(50)의 일부 상부와 하부 중 일측을 에워싸고, 제 2 바디(62)가 관로본관(50)의 일부 상부와 하부 중 타측을 에워싸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할정자관(60)은 제 1 바디(61)가 하부에 위치되고, 제 2 바디(62)가 제 1 바디(61)의 상부에 위치되며, 분기부(56)가 제 2 바디(62)에서 상향 돌출된 것으로 설명한다.
제 1 바디(61)와 제 2 바디(62)는 볼트(63) 및 너트(64)로 체결된다. 제 1 바디(61)와 제 2 바디(62)에는 체결공(65a)(66a)을 갖는 체결부(65)(66)가 각각 형성되고, 볼트(63)는 체결공(66a)(65a)을 차례로 관통하여 너트(64)에 체결되며, 제 1 바디(61)와 제 2 바디(62)는 볼트(63)와 너트(64)의 체결시, 전체적으로 중공 원통 형상으로 결합된다.
할정자관(60)은 분기부(56)의 둘레부에 분기부 개폐부재(80)가 통과하는 출입구(67)가 형성된다. 여기서, 분기부 개폐부재(80)는 분기부(56)의 내부를 밀폐시키거나 개방시키는 것으로서, 분기부(56)의 밀폐와 개방을 위해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고, 후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할정자관(60)에는 분기부(56) 내의 유체가 출입구(67)를 향해 유동되지 않게 막는 복수개의 실링부재(71)(72)(73)(74)가 설치된다.
할정자관(60)은 분기부(56)에 복수개의 실링부재(71)(72)(73)(74)가 수용되는 실링부재 수용공간(S)이 형성된다.
실링부재 수용공간(S)은 분기부(56)의 개구부(57)와 분기부(56)의 출입구(67)를 연통시키게 형성된다.
할정자관(60)은 분기부(56)의 일측에 실링부재 설치부(68)가 형성되고, 실링부재 수용공간(S)은 실링부재 설치부(68) 내부에 형성되며, 출입구(67)는 실링부재 설치부(68)의 둘레부 중 일측에 형성된다.
출입구(67)는 실링부재 설치부(68)의 둘레부 중에서 할정자관(6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개구되는 것도 가능하고, 할정자관(6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지 않는 방향으로 개구되는 것도 가능하다.
실링부재 설치부(68)는 활정자관(60) 중 곡면부와 분기부(56)의 경계에 분기부(56)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분기부(56)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 분기부(56)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정자관(60)은 복수개의 실링부재(71)(72)(73)(74)를 고정하는 고정 리브(69)가 돌출 형성된다.
고정 리브(69)는 실링부재 설치부(68)에 형성되고 실링부재 설치부(68)에서 실링부재 수용공간(S)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다.
복수개의 실링부재(71)(72)(73)(74)는 분기부 개폐부재(80)가 분기부(56)를 밀폐하는 방향으로 전진되었을 때, 분기부 개폐부재(80)를 고정하여 분기부 개폐부재(80)의 임의 이동을 제한하고, 분기부 개폐부재(80)가 분기부(56)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후퇴되었을 때, 분기부(56)의 내부와 출입구(67)의 사이를 막는다.
복수개의 실링부재(71)(72)(73)(74)는 분기부 개폐부재(80)가 분기부(56)를 밀폐하는 방향으로 전진되면 분기부 개폐부재(80)가 복수개의 실링부재(71)(72)(73)(74) 사이로 삽입되게 일부가 출입구(67)와 대향되게 위치에 설치된다.
복수개의 실링부재(71)(72)(73)(74)는 분기부 개폐부재(80)가 분기부(56)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후퇴하면 그 사이로 유체가 누수되지 않게 할정자관(60)에 서로 접촉되게 설치된다.
복수개의 실링부재(71)(72)(73)(74)는 두 개가 한 쌍을 이루면서 분기부(56)의 길이방향으로 접촉되게 배치된다.
복수개의 실링부재(71)(72)(73)(74)는 분기부(56) 중 관로본관(50)에 근접한 일부 실링부재(71)(73)가 하부 실링부재이고, 분기부(56) 중 플랜지(58)에 근접한 나머지 실링부재(72)(74)가 상부 실링부재로 구성된다.
복수개의 실링부재(71)(72)(73)(74)는 분기부 개폐부재(80)가 복수개의 실링부재(71)(72)(73)(74)의 사이로 삽입되었을 때, 일부 실링부재(71)(73)가 분기부 개폐부재(80)의 일면과 접촉되고, 나머지 실링부재(72)(74)가 분기부 개폐부재(80)의 타면과 접촉되며, 일부 실링부재(71)(73)와 나머지 실링부재(72)(74)가 분기부 개폐부재(80)를 사이에 두고 이격된다.
복수개의 실링부재(71)(72)(73)(74)는 분기부 개폐부재(80)가 복수개 실링부재(71)(72)(73)(74)의 사이 옆으로 인출되었을 때, 분기부 개폐부재(80)의 삽입시 이격되어 있던 일부 실링부재(71)(73)와 나머지 실링부재(72)(74)가 탄성 복원되면서 접촉되고, 이때 복수개의 실링부재(71)(72)(73)(74)는 사이는 실링된다.
복수개의 실링부재(71)(72)(73)(74)는 각각이 할정자관(60)과 접촉되는 면(75)(76)(77)이 평면을 갖고, 복수개의 실링부재(71)(72)(73)(74) 끼리 접촉되는 면(78)이 곡면을 갖는다.
복수개의 실링부재(71)(72)(73)(74)는 분기부(56)의 돌출 방향으로 접촉된다.
복수개의 실링부재(71)(72)(73)(74)는 전부가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전부가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일부가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고 나머지가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복수개의 실링부재(71)(72)(73)(74)는 할정자관(60)에 설치된 복수개의 고리형 실링부재(71)(72)와, 고리형 실링부재(71)(72)와 출입구(67)의 사이에 설치된 복수개의 막대형 실링부재(73)(74)를 포함한다.
복수개의 막대형 실링부재(73)(74)는 복수개의 고리형 실링부재(71)(72)와 분기부 개폐부재(80)의 이동 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즉, 복수개의 실링부재(71)(72)(73)(74)는 하부 고리형 실링부재(71)와, 하부 고리형 실링부재(71)와 접촉되는 상부 고리형 실링부재(72)와, 하부 막대형 실링부재(73)와, 하부 막대형 실링부재(73)와 접촉되는 상부 막대형 실링부재(74)를 포함하고, 하부 고리형 실링부재(71)와 상부 고리형 실링부재(72)가 1차적으로 실링작용을 하고, 하부 막대형 실링부재(73)와 상부 막대형 실링부재(74)가 2차적으로 실링 작용을 한다.
분기부 개폐부재(80)는 그 초기 삽입이 용이하도록 선단(81)의 두께가 중앙(82)의 두께 보다 얇게 형성된다.
분기부 개폐부재(80)는 일측에 손잡이(83)(84)가 형성된다.
손잡이(83)(84)는 분기부 개폐부재(80)에 형성된 손잡이홈 또는 손잡이홀(83)과, 분기부 개폐부재(80)의 후단을 설치되고 탄성을 갖는 탄성부재(84)을 포함한다.
분기부 개폐부재(80)는 좌,우 양측에 강도 보강부(85)(86)가 형성된다.
강도 보강부(85)(86)는 분기부 개폐부재(80)의 좌,우 양측에 절곡된 절곡부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분기부 개폐부재(80)의 적어도 일면 좌,우 양측에 돌출된 리브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복수개의 막대형 실링부재가 접촉되었을때의 사시도이다.
복수개의 막대형 실링부재(73)(74)는 접촉되는 면(78) 중 중앙부에 라운드진 곡면(78a)이 형성되고, 좌,우 양측부에 평평한 평면(78b)을 갖는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관로본관에 부단수 할정자관을 설치하였을 때의 횡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부단수 할정자관에 천공장치를 장착하였을 때의 횡단면도이며,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천공장치가 관로본체에 천공을 형성할 때의 횡단면도이고, 도 9는 도 2에 도시된 분기부 개폐부재로 분기부를 밀폐하였을 때의 횡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천공장치를 분기부에서 분리하고 분기부에 분기관을 장착하였을 때의 횡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분기부를 개방하였을 때의 횡단면도이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로본관(50)의 일부 둘레를 할정자관(60)이 에워싸도록 제 1 바디(61)와 제 2 바디(62)를 결합한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분기부 개폐부재(80)는 복수개의 실링부재(71)(72)(73)(74)의 사이 이외에 위치된다.
제 1 바디(61)와 제 2 바디(62)의 결합 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101)와 너트(102)로 천공장치(100)를 분기부(56)에 장착한다.
이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공장치(100)를 조작하여 관로본관(50)에 천공(52)을 형성한다. 천공장치(100)는 커터(104)가 회전되면서 하강되어 분기부(56)의 개구부(57)를 관통하고 관로본관(50)의 일측에 천공(52)을 개구되게 형성한다.
이때, 상기 관로본관(50) 내의 유체는 관로본관(50)의 천공(52)을 통과하여 분기부(56)의 내부로 유출되고, 복수개의 실링부재(71)(72)(73)(74)에 막힘되어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유체는 천공장치(100)를 향해 유동된다.
이후, 천공장치(100)는 커터(104)가 역회전되면서 관로본관(50)과 점차 멀어지고 분기부(56)의 개구부(57)를 관통하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공장치(100)의 내부로 삽입된다.
이후, 작업자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기부 개폐부재(80)를 출입구(67)로 삽입하여, 복수개의 실링부재(71)(72)(73)(74) 사이로 밀어 넣으면, 분기부 개폐부재(80)는 복수개의 실링부재(71)(72)(73)(74)의 안내를 받으면서 복수개의 실링부재(71)(72)(73)(74) 사이로 삽입된다.
분기부 개폐부재(80)는 일부가 분기부(56)의 내부에 위치되어 분기부(56)의 개구부(57)를 막는다.
이때, 분기부 개폐부재(80)는 복수개의 실링부재(71)(72)(73)(74) 중 일부(71)(73)와 접촉된 상태에서, 유체가 복수개의 실링부재(71)(72)(73)(74) 중 일부(71)(73)와 분기부 개폐부재(80)의 사이로 유출되는 것을 막는다.
상기와 같이 유체의 흐름이 차단된 상태에서, 천공장치(100)를 분기부(56)에서 분리하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기관(98)을 볼트(101)와 너트(102)로 분기부(56)에 장착하면, 분기관(98)은 관로본관(50)에 대해 직교한 방향으로 할정자관(60)에 연결된다.
이후,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기부 개폐부재(80)를 출입구(67)의 외측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분기부 개폐부재(80)는 복수개의 실링부재(71)(72)(73)(74)의 안내를 받으면서 복수개의 실링부재(71)(72)(73)(74) 사이의 옆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며, 분기부 개폐부재(80)는 분기부(56)의 내부 위치를 벗어나서 분기부(56)의 개구부(57)를 개방한다.
분기부(56)의 개구부(57) 개방시 관로본관(50) 내의 유체는 관로본관(50)의 천공(52)과 분기부(56)의 개구부(57)를 차례로 통과한 후 분기관(98)의 내부로 유출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부단수 할정자관 제 2 실시예의 분기부가 밀폐일 때의 종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부단수 할정자관 제 2 실시예의 분기부가 개방일 때의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부단수 할정자관은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할정자관(60)에 결합되고, 내부가 출입구(67)와 연통되어 분기부 개폐부재(80)가 수용되는 개폐부재 수용공간(S')이 형성된 하우징(90)을 더 포함한다.
할정자관(60)은 하우징(90)이 결합될 경우 주변 공간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출입구(67)가 실링부재 설치부(68)의 둘레부 중 할정자관(6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개구되고, 하우징(90)이 할정자관(6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90)은 볼트 등의 체결부재(94)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할정자관(60)에는 볼트 등의 체결부재(94)가 체결되는 체결공이 형성되며, 하우징(90)은 볼트 등의 체결부재(94)에 의해 할정자관(60)에 결합된다.
할정자관(60)은 실링부재 설치부(68)에 볼트 등의 체결부재(94)가 체결되는 체결공이 형성되고, 하우징(90)은 실링부재 설치부(68)에 설치된다.
하우징(90)에는 분기부 개폐부재(80)가 슬라이드되게 안착되는 개폐부재 안착부(92)가 돌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부단수 할정자관은 분기부 개폐부재(80)를 직선 이동시키는 직선 무빙기구(110)를 포함한다.
분기부 개폐부재(80)에는 길이 방향으로 랙(112)이 형성된다.
직선 무빙기구(110)는 랙(112)과 치합되어 랙(112)을 직선 이동시키게 하우징(90)에 설치된 피니언을 포함한다.
피니언에는 하우징(9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축과,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는 구동축이 구비된다. 구동축은 하우징(90)의 외부로 돌출된 부분에 사용자가 직접 회전시키기 위한 손잡이가 형성되거나 모터 등의 피니언 회전기구가 연결되는 연결구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부단수 할정자관은 피니언이 회전되면, 랙(112)은 피니언에 의해 직선 이동되고, 분기부 개폐부재(80)는 하우징(90)의 내부에서 출입구(67)를 통과한 후 복수개의 실링부재(71)(72)(73)(74) 사이로 삽입되어 분기부(56)를 밀폐한다.
한편, 피니언이 분기부(56) 밀폐시와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랙(112)은 피니언에 의해 분기부(56) 밀폐시와 반대 방향으로 직선 이동되며, 분기부 개폐부재(80)는 분기부(56)의 내부에서 출입구(67)를 통과한 후 하우징(90)의 내부로 삽입된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부단수 할정자관 제 3 실시예의 분기부가 밀폐일 때의 종단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부단수 할정자관 제 3 실시예의 분기부가 개방일 때의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부단수 할정자관은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90′)이 할정자관(60)에 결합되고 내부가 출입구(67)와 연통되어 분기부 개폐부재(80)가 수용되는 개폐부재 수용공간(S')이 형성되며 양면이 개방된 통체(96)와, 통체(96)의 개구면 중 출입구(67)의 반대편 개구면을 막는 커버(97)를 포함하고, 직선 무빙기구(110')가 하우징(90)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수나사부재(116)와, 수나사부재(116)의 회전시 분기부 개폐부재(80)를 직선 이동시키게 분기부 개폐부재(80)에 설치된 암나사부재(118)를 포함하며, 하우징(90′)와 직선 무빙기구(110')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 제 2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동일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커버(97)는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98)로 통체(96)에 결합되고, 수나사부재(116)가 회전가능하게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된다.
커버(97)에는 관통홀을 통한 누수를 막을 수 있도록 커버(97)와 수나사부재(116) 사이를 실링하는 커버 실링부재(99)가 설치된다.
수나사부재(116)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커버 실링부재(99)를 관통하며 일부가 하우징(90′)의 외부로 돌출되게 배치된다.
암나사부재(118)은 분기부 개폐부재(80) 일면에 돌출되게 설치되고, 내주면에 수나사부재(116)의 나사산과 치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부단수 할정자관은 작업자가 하우징(90′)의 외부에서 수나사부재(116)를 회전시키면, 암나사부재(118)가 수나사부재(116)의 외면을 따라 분기부(56)을 향해 이동되고, 이때, 분기부 개폐부재(80)는 하우징(90)의 내부에서 출입구(67)를 통과한 후 복수개의 실링부재(71)(72)(73)(74) 사이로 삽입되어 분기부(56)를 밀폐한다.
한편, 작업자가 하우징(90′)의 외부에서 수나사부재(116)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암나사부재(118)가 수나사부재(116)의 외면을 따라 커버(97)를 향해 이동되고, 이때 분기부 개폐부재(80)는 분기부(56)의 내부에서 출입구(67)를 통과한 후 하우징(90′)의 내부로 삽입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분기관(98) 대신에 관로본체(50)의 흐름을 단속하는 밸브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적 범주 내에서 다양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50: 관로본관 56: 분기부
60: 할정자관 67: 출입구
68: 실링부재 설치부 71,72,73,74: 실링부재
80: 분기부 개폐부재 90: 하우징
100: 직선 무빙기구
60: 할정자관 67: 출입구
68: 실링부재 설치부 71,72,73,74: 실링부재
80: 분기부 개폐부재 90: 하우징
100: 직선 무빙기구
Claims (18)
- 관로본관의 일부를 에워싸고, 분기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분기부의 둘레부에 분기부 개폐부재가 통과하는 출입구가 형성된 할정자관과;
상기 분기부에 설치되어 누수를 막는 복수개의 실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실링부재는 상기 분기부 개폐부재가 상기 분기부를 밀폐하는 방향으로 전진되면 상기 분기부 개폐부재가 상기 복수개의 실링부재 사이로 삽입되게 일부가 상기 출입구와 대향되게 위치되고 상기 분기부 개폐부재가 상기 분기부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후퇴하면 서로 접촉되게 설치된 부단수 할정자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실링부재 각각은 상기 부단수관과 접촉되는 면이 평면이고, 복수개의 실링부재끼리 접촉되는 면이 곡면인 부단수 할정자관.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실링부재는 상기 분기부의 돌출 방향으로 접촉되는 부단수 할정자관.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실링부재 각각은 고리 형상인 부단수 할정자관.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실링부재 각각은 막대 형상인 부단수 할정자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실링부재는 상기 할정자관에 설치된 복수개의 고리형 실링부재와, 상기 고리형 실링부재와 상기 출입구의 사이에 설치된 복수개의 막대형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부단수 할정자관.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막대형 실링부재는 중앙부에 라운드진 곡면을 갖고 좌,우 양측부에 평평한 평면을 갖는 부단수 할정자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할정자관은 상기 복수개의 실링부재가 수용되는 실링부재 수용공간이 형성된 부단수 할정자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할정자관은 상기 복수개의 실링부재를 고정하는 고정 리브가 돌출 형성된 부단수 할정자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부 개폐부재는 일측에 손잡이가 형성된 부단수 할정자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부 개폐부재는 선단의 두께가 중앙의 두께 보다 얇은 부단수 할정자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부 개폐부재는 좌,우 양측에 절곡부가 형성된 부단수 할정자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부 개폐부재는 좌,우 양측에 리브가 돌출 형성된 부단수 할정자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할정자관에 결합되고, 내부가 상기 출입구와 연통되어 상기 분기부 개폐부재가 수용되는 개폐부재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부단수 할정자관.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분기부 개폐부재가 슬라이드되게 안착되는 개폐부재 안착부가 돌출 형성된 부단수 할정자관.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부 개폐부재를 직선 이동시키는 직선 무빙기구를 포함하는 부단수 할정자관.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부 개폐부재에 길이 방향으로 랙이 형성되고,
상기 직선 무빙기구는 상기 랙과 치합되어 상기 랙을 직선 이동시키게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피니언을 포함하는 부단수 할정자관.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 무빙기구는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수나사부재와, 상기 수나사부재의 회전시 분기부 개폐부재를 직선 이동시키게 분기부 개폐부재에 설치된 암나사부재를 포함하는 부단수 할정자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02819A KR20110082887A (ko) | 2010-01-12 | 2010-01-12 | 부단수 할정자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02819A KR20110082887A (ko) | 2010-01-12 | 2010-01-12 | 부단수 할정자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82887A true KR20110082887A (ko) | 2011-07-20 |
Family
ID=44920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02819A KR20110082887A (ko) | 2010-01-12 | 2010-01-12 | 부단수 할정자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10082887A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88830B1 (ko) * | 2013-08-27 | 2015-02-06 | 이영복 | 실린더 밸브를 내장한 부단수 분기 장치 |
JP2019199918A (ja) * | 2018-05-16 | 2019-11-21 | 東京瓦斯株式会社 | 管路分岐システムおよび管路分岐方法 |
JP2020085136A (ja) * | 2018-11-26 | 2020-06-04 | 株式会社水道技術開発機構 | 弁蓋の設置構造、設置方法及び撤去方法 |
CN113756412A (zh) * | 2021-10-14 | 2021-12-07 | 张�浩 | 建筑工程用易于疏通的管道结构 |
KR20230153826A (ko) * | 2022-04-29 | 2023-11-07 | 김제현 | 높이를 낮춘 저상형 부단수 밸브 |
-
2010
- 2010-01-12 KR KR1020100002819A patent/KR20110082887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88830B1 (ko) * | 2013-08-27 | 2015-02-06 | 이영복 | 실린더 밸브를 내장한 부단수 분기 장치 |
JP2019199918A (ja) * | 2018-05-16 | 2019-11-21 | 東京瓦斯株式会社 | 管路分岐システムおよび管路分岐方法 |
JP2020085136A (ja) * | 2018-11-26 | 2020-06-04 | 株式会社水道技術開発機構 | 弁蓋の設置構造、設置方法及び撤去方法 |
CN113756412A (zh) * | 2021-10-14 | 2021-12-07 | 张�浩 | 建筑工程用易于疏通的管道结构 |
CN113756412B (zh) * | 2021-10-14 | 2023-01-24 | 张�浩 | 建筑工程用易于疏通的管道结构 |
KR20230153826A (ko) * | 2022-04-29 | 2023-11-07 | 김제현 | 높이를 낮춘 저상형 부단수 밸브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10082887A (ko) | 부단수 할정자관 | |
WO2014148645A1 (ja) | 分水栓形成方法及び同方法に使用する分水栓取付用治具 | |
RU2673922C2 (ru) | Двухзапорный клапан | |
EP2673457B1 (en) | Device for a valve | |
KR100784591B1 (ko) | 일체형 부단수 활정자관 | |
CN107709697B (zh) | 环空隔离阀组件 | |
EP3230695B1 (en) | Multi- double block and bleed system for an orifice fitting | |
CN111819385B (zh) | 不断流方法及装置 | |
KR20190129052A (ko) | 개선된 파이프라인 장치 | |
CN104662345A (zh) | 改进的管路装置 | |
KR100723936B1 (ko) | 밸브 일체형 부단수 활정자관 | |
US20140246105A1 (en) | Shutoff valve | |
WO2011011836A1 (en) | Drilling apparatus | |
KR101307278B1 (ko) | 가동형 제수밸브 | |
JP2015503068A (ja) | クイックメンテナンス海底チェックバルブ | |
NO20120310A1 (no) | Fremgangsmåte og apparatur for å injisere fluid i et borehull | |
JP2004524460A (ja) | 管継手 | |
KR20120138130A (ko) | 일체형 부단수 활정자관 | |
CN102787790A (zh) | 一种液压密码门 | |
KR20180054299A (ko) | 자동 밸브 장치 | |
CN2818938Y (zh) | 保安水龙头 | |
US5435340A (en) | Pipe coupling apparatus | |
RU2644002C1 (ru) | Отсечная задвижка | |
JP4642522B2 (ja) | 既設流体管の不断水制水体設置装置 | |
JP5080138B2 (ja) | 制水体設置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