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2009B1 - 유압식 쇽업소버 - Google Patents

유압식 쇽업소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2009B1
KR100782009B1 KR1020010050559A KR20010050559A KR100782009B1 KR 100782009 B1 KR100782009 B1 KR 100782009B1 KR 1020010050559 A KR1020010050559 A KR 1020010050559A KR 20010050559 A KR20010050559 A KR 20010050559A KR 100782009 B1 KR100782009 B1 KR 1007820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shock absorber
recess
hydraulic shock
piston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0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7706A (ko
Inventor
김남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010050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2009B1/ko
Publication of KR20030017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77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2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20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8Stroke limiting stops, e.g. arranged on the piston rod outside the cylind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48Arrangements for providing different damping effects at different parts of the stroke
    • F16F9/49Stops limiting fluid passage, e.g. hydraulic stops or elastomeric elements inside the cylinder which contribute to changes in fluid damp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6Means for adjusting the length of, or for locking, the spring or damper, e.g. at the end of the stro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압식 쇽업소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링형 상단에 기울기를 가지며 면취된 외측 면취부를 포함하는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가 삽입되도록 하단 내측으로 오목부가 형성되고, 오목부의 하단에 상기 외측 면취부와 대향되는 위치에 내측 면취부가 형성된 로드 가이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풀 리바운드 시 피스톤 로드의 스트로크 변화에 따라 유로 면적이 변화함으로써, 충격 흡수력 향상에 따른 차량의 승차감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급격한 댐핑력에 의한 오일 누유를 방지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유압식 쇽업소버{A HYDRAULIC SHOCK ABSORBER}
도 1은 종래의 쇽 업소버의 구조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쇽업소버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로드 가이드 12 : 오목부
14 : 내측 면취부 20 : 스토퍼
22 : 외측 면취부 30 : 오리피스 홀
본 발명은 유압식 쇽 업소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리바운드 충격을 효과적으로 감쇠시킬 수 있도록 한 유압식 쇽업소버에 관한 것이다.
현가장치는 주로 차체와 차축 사이에 설치되어 주행 중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이나 진동을 완화시켜 바퀴와 노면의 점착성을 향상시키고 승차감을 양호하게 해주는 장치이다.
특히, 쇽 업소버(shock absorber)는 노면에서 발생한 스프링의 자유진동을 흡수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스프링이 압축될 때에는 급격히 압축되고 늘어날 때는 오일의 저항력을 크게 하며 서서히 작동함으로서 스프링의 상하운동 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일을 한다.
이와 같은 쇽 업소버는 안내를 겸한 길고 가는 실린더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고, 실린더는 차축과 연결되며, 실린더 내부에는 차체에 연결되는 피스톤 로드가 있으며, 피스톤 로드의 말단에는 피스톤 밸브가 설치되어 있으며, 실린더에는 오일과 가스(또는 공기)가 채워져 있다.
도 1은 종래의 쇽 업소버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쇽 업소버는 기본적으로 실린더(C), 튜브(T), 피스톤 로드(P), 로드 가이드(1) 및 오일실(O;oil seal)을 구비하고 있다.
로드 가이드(1)의 하부에 위치한 스토퍼(2)는 리바운드(rebound) 거동 시 피스톤 로드(P)가 차체 방향으로 상승할 수 있는 스트로크를 결정하는 것으로, 피스톤 로드(P)의 일단에 설치되어 있다.
즉, 리바운드시 피스톤 로드(P)가 차체 방향으로 상승하면서 스토퍼(2)와 로드 가이드(1)간의 간극을 통한 오리피스 홀(3)로 충격력을 완화시켜주는 것이다.
그러나 풀 리바운드시 속도가 클 경우 유압식 스토퍼에 의한 댐핑력이 상당한 힘으로 증가하는데 오리피스 홀의 유로면적이 일정하여 충격을 흡수하는데 한계가 있어 풀 리바운드 충격에 의한 승차감 불량 및 노이즈가 발생되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스토퍼와 로드 가이드 사이의 오리피스 홀 즉, 그 삽입공차를 가공하여 적용하기가 매우 번거로왔다.
또한, 댐핑력이 클 경우 스토퍼와 로드 가이드 사이에 잔존했던 오일이 로드 가이드와 피스톤 로드 사이의 틈새로 누유되며, 이 때 누유된 오일량의 압력이 크므로 오일실을 통하여 오일 리크(leak)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풀리바운드 시 피스톤 로드의 스트로크 변화에 따라 유로 면적이 변화하여 충격을 완화시켜주는 유압식 쇽업소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리바운드 작동 시 피스톤 로드의 스트로크를 결정하기 위해 피스톤 로드의 일단에 스토퍼가 마련된 유압식 쇽 업소버에 있어서; 링형 상단에 기울기를 가지며 면취된 외측 면취부를 포함하는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가 삽입되도록 하단 내측으로 오목부가 형성되고, 오목부의 하단에 상기 외측 면취부와 대향되는 위치에 내측 면취부가 형성된 로드 가이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쇽업소버를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쇽업소버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쇽업소버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쇽 업소버는 기본적으로 실린더(C), 튜브(T), 피스톤 로드(P), 로드 가이드(10) 및 오일실(O;oil seal)을 구비하고 있으며, 스토퍼(20)는 피스톤 로드의 일단에 설치되어 리바운드(rebound) 거동 시 피스톤 로드가 차체 방향으로 상승할 수 있는 스트로크 를 결정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로드 가이드(10)의 하단 내측으로 오목부(12)를 형성하고, 그 오목부(12)의 하단 내측으로는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며 면취된 내측 면취부(14)가 형성된다.
그리고 로드 가이드(10)의 하부에는 링형의 스토퍼(20)가 피스톤 로드(P)의 일단에 습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스토퍼(20)는 리바운드 작동시 상기 오목부(12)에 삽입되는 외경이 상기 로드 가이드(10)의 오목부(12) 내경 보다는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오리피스 홀(30)을 형성되며, 그 상단에는 상기 로드 가이드(10)의 내측 면취부(14)에 대향되는 위치에 같은 기울기를 가지며 면취된 외측 면취부(22)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쇽업소버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유압식 쇽 업소버의 스토퍼(20) 장치는, 풀 리바운드시 로드 가이드(10)의 오목부(12)에 스토퍼(20)가 삽입되면서 오목부(12) 상부에는 상대적으로 높은 압력 상태의 챔버가 형성된다. 챔버의 높은 압력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로드 가이드(10)와 스토퍼(20)의 간극인 오리피스 홀(30)을 통해 오일이 빠져나가면서 충격을 흡수한다.
여기에서 챔버의 체적변화속도는 즉, 스토퍼(20)의 오목부(12)내 진입속도는 풀 리바운드 속도와 같으며 그 속도에 따라 오리피스 홀(30)을 통과하는 유체의 속도가 달라지며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이 때 로드 가이드(10)의 내측 면취부(14)와 스토퍼(20)의 외측 면취부(22) 의 영향으로 피스톤 로드(P)의 스트로크에 따라 오리피스 홀(30)의 간극 유로가 변화게 된다.
즉, 풀 리바운드 작동시 스토퍼(20)가 로드 가이드(10)에 가까워짐에 따라 오리피스 홀(30)의 유로 면적은 서서히 작아지며 상대적으로 댐핑력은 서서히 증가한다. 이는 스토퍼(20)의 초기 접촉지점에서의 승차감 확보 및 노이즈 방지를 위해 부드러운 변형 특성을 나타내면서도 리바운드 거동의 속도가 높고 발생하중이 큰 조건에서는 딱딱한 성능을 나타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풀 리바운드시 충격 흡수를 위한 오리피스 홀(30)의 유로 면적이 변화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게 되며, 기존에 비하여 챔버내 압력이 낮고 유량 또한 적으므로 오일 누유의 발생 가능성이 낮아진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유압식 쇽업소버의 스토퍼에 의하면, 풀리바운드 시 피스톤 로드의 스트로크 변화에 따라 유로 면적이 변화함으로써, 충격 흡수력 향상에 따른 차량의 승차감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급격한 댐핑력에 의한 오일 누유를 방지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Claims (1)

  1. 리바운드 작동 시 피스톤로드의 스트로크를 결정하기 위해 피스톤로드의 일단에 스토퍼가 마련된 유압식 쇽 업소버에 있어서,
    링형 상단에 기울기를 가지며 면취된 외측 면취부를 포함하는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가 삽입되도록 하단 내측으로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의 하단에 상기 외측 면취부와 대향되는 위치에 내측 면취부가 형성된 로드 가이드를 포함하여,
    상기 오목부 내로 상기 스토퍼의 삽입이 진행됨에 따라, 상기 외측 면취부와 상기 내측 면취부에 의해, 상기 스토퍼와 상기 오목부 사이의 간극 유로 면적이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쇽 업소버.
KR1020010050559A 2001-08-22 2001-08-22 유압식 쇽업소버 KR1007820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0559A KR100782009B1 (ko) 2001-08-22 2001-08-22 유압식 쇽업소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0559A KR100782009B1 (ko) 2001-08-22 2001-08-22 유압식 쇽업소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7706A KR20030017706A (ko) 2003-03-04
KR100782009B1 true KR100782009B1 (ko) 2007-12-06

Family

ID=27720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0559A KR100782009B1 (ko) 2001-08-22 2001-08-22 유압식 쇽업소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20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4318B1 (ko) * 2020-05-20 2020-07-16 김인호 케이블 연결용 슬리브 압착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752B1 (ko) * 2009-03-11 2013-06-10 주식회사 만도 쇽업소버
CN101782126B (zh) * 2008-11-17 2012-07-25 株式会社万都 用于减震器的杆引导装置
KR101276337B1 (ko) * 2009-03-11 2013-06-18 주식회사 만도 쇽업소버
KR101410449B1 (ko) * 2010-01-07 2014-06-20 주식회사 만도 유압식 스토퍼 장착형 쇽 업소버
CN108869610B (zh) * 2017-05-12 2021-10-26 株式会社万都 一种液压式导向器及减震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9625U (ko) * 1996-12-30 1998-10-07 추호석 차량 쇽업소버의 감쇠력 조절 구조
KR19990049122A (ko) * 1997-12-11 1999-07-05 오상수 쇽업소버의 충격완화장치
KR19990049114A (ko) * 1997-12-11 1999-07-05 오상수 쇽업소버 장치
KR20000050466A (ko) * 1999-01-11 2000-08-05 밍 루 쇽업소버의 충격 흡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9625U (ko) * 1996-12-30 1998-10-07 추호석 차량 쇽업소버의 감쇠력 조절 구조
KR19990049122A (ko) * 1997-12-11 1999-07-05 오상수 쇽업소버의 충격완화장치
KR19990049114A (ko) * 1997-12-11 1999-07-05 오상수 쇽업소버 장치
KR20000050466A (ko) * 1999-01-11 2000-08-05 밍 루 쇽업소버의 충격 흡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4318B1 (ko) * 2020-05-20 2020-07-16 김인호 케이블 연결용 슬리브 압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7706A (ko) 2003-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18605B2 (en) Inverted type front fork in two-wheeled vehicle or the like
US20140048365A1 (en) Valve assembly of shock absorber
KR100782009B1 (ko) 유압식 쇽업소버
CN107642575B (zh) 一种汽车双筒式减振器
KR20020045772A (ko) 쇽 업소버의 스토퍼 장치
KR100757808B1 (ko) 쇽 업소버의 바디밸브
KR20030017707A (ko) 유압식 쇽업소버의 스토퍼
KR20110067531A (ko) 유압 스토핑 구조를 가지는 쇽업소버
KR100445986B1 (ko) 쇽 업소버
KR100776220B1 (ko) 쇽업소버의 스톱러버
KR101276337B1 (ko) 쇽업소버
KR200181042Y1 (ko) 차량용현가장치의쇽업소버
KR101089574B1 (ko) 차량용 쇽업소버
KR100376151B1 (ko) 쇽압쇼바의가변식유압댐퍼
KR940007879Y1 (ko) 자동차의 쇽 업소버 스톱퍼구조
KR100268080B1 (ko) 자동차용 쇽 업소버
KR100735475B1 (ko) 쇽 업소버의 극 저속용 피스톤 밸브
KR100737149B1 (ko) 횡하중의 지지력이 향상된 쇽 업소버
KR100489369B1 (ko) 쇽 업소버의 노이즈 방지장치
KR100331644B1 (ko) 쇽 업소오버
KR20020040313A (ko) 쇽 업소버의 스톱퍼 장치
KR101188242B1 (ko) 쇽업소버
KR960004424Y1 (ko) 자동차의 쇽업소오버 감쇠벨브
KR20050102713A (ko) 쇽 업소버의 씰링 구조
KR0162675B1 (ko) 쇽업쇼버의 소음방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