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0853B1 - 주름형 강관 성형기의 락심 포인트 이동장치 - Google Patents

주름형 강관 성형기의 락심 포인트 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0853B1
KR100780853B1 KR1020060124845A KR20060124845A KR100780853B1 KR 100780853 B1 KR100780853 B1 KR 100780853B1 KR 1020060124845 A KR1020060124845 A KR 1020060124845A KR 20060124845 A KR20060124845 A KR 20060124845A KR 100780853 B1 KR100780853 B1 KR 100780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lock seam
corrugated steel
roller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4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헌
Original Assignee
김지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헌 filed Critical 김지헌
Priority to KR1020060124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08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0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08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6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 B21D5/1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for making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04Movable or exchangeable mountings for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9/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 B21D39/02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of sheet metal by folding, e.g. connecting edges of a sheet to form a cylin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Of Tubular Articles Or Embedded Mould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름형 강관의 락심 포인트 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주름형 강관의 성형시 락심 연결을 위해 상부 락심롤러가 설치되어 있는 회동브라켓이 전,후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성형하고자 하는 주름형 강관의 직경 크기에 따라 락심 연결을 위한 상부 락심롤러의 락심 포인트를 선택적으로 달리할 수 있게 하고, 이로 인해 상기 주름형 강관의 직경 크기와는 상관없이 그 직경 크기가 전 부분에 걸쳐 계속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성형부(4)를 구성하는 성형부 베이스(405)에 회동브라켓(406)이 힌지축(407)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회동브라켓(406)에는 성형부 베이스(405)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된 하부 락심롤러(404)와 함께 성형되는 주름형 강관(1)의 경계면을 락심 연결하기 위한 상부 락심롤러(403)가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된 것에 있어서, 상기 회동브라켓(406)의 하부에 서로 대향되게 고정되고 그 대향부에는 각각 원형의 끼움편(412)이 형성된 한쌍의 고정부재(411)와, 상기 각 고정부재의 끼움편 형성부에 서로 마주본 상태에서 전,후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갖게 일체 형성되어 회동브라켓(406)을 축결합하기 위한 힌지축(407)이 끼위지는 장공(413)과, 상기 각 고정부재(411)에 형성된 끼움편(412)에 걸쳐진 상태로 끼워진 끼움링(414)과, 상기 성형부 베이스(405)의 후방쪽 끝단에 고정되어 그 중심부에 수평방향으로 연통되게 구멍(416)을 형성하고 있는 지지편(417)과, 상기 끼움링(414)에 일단이 고정되고 다른 일단부는 지지편(415)에 형성 된 구멍(416)을 통해 상기 지지편(415)의 바깥쪽으로 인출된 나사조임봉(417)과, 상기 지지편(415)의 안쪽에서 나사조임봉(417)에 나사조임된 제1너트(418) 및 지지편(415)의 바깥쪽에서 나사조임봉(417)에 나사조임된 제2너트(419)로 구성되어 상기 제1,2너트(418)(419)의 조임 및 풀림량에 따라 회동브라켓(406)이 전후로 수평이동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형 강관 성형기의 락심 포인트 이동장치를 제공한 것이다.
강관, 주름형 강관, 강관 성형기, 락심 연결, 락심 포인트

Description

주름형 강관 성형기의 락심 포인트 이동장치{device for moving lock seam point of steel pipe forming apparatus}
도 1은 주름형 강관을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2는 주름형 강관을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
도 3은 주름형 강관 성형기를 참고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도 3에서 포밍부를 통과한 강판에 ㄷ자형 주름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5는 도 3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도 5의 Ⅰ-Ⅰ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락심 포인트 이동장치가 구비된 주름형 강관 성형기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측면도
도 8은 도 7의 Ⅱ-Ⅱ선 단면도
도 9는 도 7의 Ⅲ-Ⅲ선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 락심 포인트 이동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 락심 포인트 이동장치에 의해 락심 포인트가 이동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상부 락심롤러와 하부 락심롤러의 위치를 상세히 나타낸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주름형 강관 4. 성형부
403. 상부 락심롤러 404. 하부 락심롤러
405. 성형부 베이스 406. 회동브라켓
407. 힌지축 411. 고정부재
412. 끼움편 413. 장공
414. 끼움링 415. 지지편
416. 구멍 417. 나사조임봉
418. 제1너트 419. 제2너트
본 발명은 주름형 강관 성형기 분야에 관련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포밍부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복수열의 주름이 성형된 강판을 나선상으로 말면서 그 말아진 경계부분을 락심(lock seam) 연결할 때 락심 포인트를 필요에 따라 이동시켜 줄 수 있도록 한 주름형 강관 성형기의 락심 포인트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항만, 하수처리장 등에서 유체의 이동을 안내하는 관으로 콘크리트 흄관을 주로 사용하고 있는데, 상기 콘크리트 흄관은 자체의 중량 및 부피의 증가로 인하여 운반 및 취급시에 중장비의 투입이 요구되고, 시공시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에 따른 작업성 저하와 함께 연결부의 증가로 인해 공사기간이 길어지며, 연결부를 잇는 기초 시멘트의 동결로 인한 계절적 제약을 받게되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따라서 근래에는 아연도금강판(이하 "강판"이라 한다)을 나선상으로 말면서 원통형태가 되도록 그 말아진 경계부분을 락심(lock seam)연결한 강관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고 그 사용량이 점점더 증대되고 있는데, 상기 강관은 관몸체의 락심 연결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모두 매끄러운 형태의 강관이 사용되거나 상기 관몸체(101)의 락심 연결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역시 나선상으로 주름(102)이 형성된 주름형 강관(1)이 사용된다.
상기에서 락심 연결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관몸체 부분이 모두 매끄러운 형태의 강관은 표면 강도가 약하므로 직경이 큰 대형의 강관일수록 성형후 변형성이 심하게 되어 강관 매설작업중 뒤틀림에 의해 락심 연결부위가 빠지게되는 문제점이 있음은 물론 강관 매설작업중에 부주의로 인해 외부적 충격이 가해졌을 경우 관몸체 표면이 찌그러들거나 심한 경우에는 찢겨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락심 연결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관몸체(101) 부분에 나선상의 주름(102)이 형성된 주름형 강관(1)은 그 주름(102)으로 인해 관몸체(101) 표면의 강도가 매우 강해져 직경이 큰 대형의 주름형 강관이라 하더라도 변형성이 심하지 않아 강관 매설작업중 뒤틀림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인해 락심 연결부위가 빠지거나 하는 일이 없음은 물론 강관 매설작업중에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외압이 작용할 경우 관몸체 표면이 쉽게 일그러지거나 심할 경우 일부가 찢겨지는 일도 없었다.
한편 상기 락심 연결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관몸체(101) 부분에 나선상의 주름(102)이 형성된 주름형 강관(1)은 도시는 하지 않았지만 상기 관몸체(101)에 부 드러운 물결모양의 주름이 연속적이면서 나선상으로 말아진 원통형태일 수도 있고, 도 과 1 및 도 2와 같이 관몸체(101)의 내경부 쪽이 개방되게 대략 ㄷ자형의 요입부를 갖는 주름(102)이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나선상으로 말아진 원통형태일 수도 있는데, 상기 도 1 및 도 2와 같은 형태의 주름형 강관(1)은 ㄷ자형의 요입부를 갖는 주름(102)으로 인해 관몸체(101)의 표면강도가 강해지면서도 내경부의 굴곡 면적이 심하지 않아 사용과정에서 유체의 이동을 크게 방해하는 일이 적어 근래에 들어서면서 아주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럼 여기서 첨부된 도 3을 참고로 하여 주름형 강관을 성형하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언코일러부(2)에 롤상태로 감겨진 강판이 풀리면서 포밍부(3)를 통과하게 되면 상기 강판에는 상기 포밍부(3)의 구성요소인 포밍롤러(301)에 의해 이후 락심 연결이 가능하도록 그 길이방향 일측으로 일측 걸림편(103)이 절곡 형성됨과 함께 길이방향 타측으로는 타측 걸림편(104)이 절곡 형성되고, 상기 일측 걸림편(103)과 타측 걸림편(104) 사이에는 역시 포밍롤러(301)에 의해 ㄷ자형으로 절곡되게 복수열의 주름(102)이 형성되는데, 상기 포밍부(3)를 통과한 강판의 형상은 도 4와 같다.
상기에서 포밍부(3)를 통과함에 따라 일측 걸림편(103) 및 타측 걸림편(104)과 함께 복수열의 주름(102)이 형성되어 있는 강판은 그 선단이 성형부(4)를 통과하면서 상기 성형부의 구성요소인 전방 가이드롤러(401)와 후방 가이드롤러(402)에 의해 나선상으로 말아지고, 그 말아지는 과정에서 경계부분인 일측 걸림편(103)과 타측 걸림편(104)이 서로 물림 가능하게 근접되는데, 상기 성형부(4)에는 전방 가이드롤러(401)와 후방 가이드롤러(402) 사이에 락심(lock seam)을 위한 상부 락심롤러(403) 및 하부 락심롤러(404)가 축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근접된 걸림편(103)(104) 부위가 상기 상부 락심롤러(403)와 하부 락심롤러(404) 사이를 지나면서 물려들어가 압착되고, 이에 따라 나선상으로 말리는 경계부분이 락심(lock seam) 연결되면서 완전한 원통형형태의 주름형 강관(1)이 성형되는 것이다.
한편 주름형 강관 성형기는 기 설명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복수열이 형성된 강판을 나선상으로 말아 그 말아지는 경계부분을 락심 연결하여 전체적으로 원통형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므로, 필요에 따라 성형되는 강관의 직경 크기를 달리할 수 있는데, 상기 성형되는 강관(1)의 직경 크기를 달리하기 위해서는 도 3을 평면상태로 볼 때 포밍부(3)를 통과한 강판이 성형부(4)에 일정한 경사각도를 유지하면서 인입되어야 하므로 주름형 강관 성형기의 구성중 상기 성형부(4)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언코일러, 포밍부 등)가 하나의 대차(5)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대차의 움직임에 의해 적정 각도의 경사를 이루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도 3을 평면상태로 볼 때 직경이 작은 크기의 강관(1)을 성형하기 위해서는 성형부(4)의 전방 끝단을 잇는 임의의 수평선을 기준으로 하여 언코일러(2)와 포밍부(3)의 위치각도가 커지도록 대차(5)를 움직여야 하고, 반대로 직경이 큰 크기의 강관(1)을 성형하기 위해서는 성형부(4)의 전방 끝단을 잇는 임의의 수평선을 기준으로 하여 언코일러(2)와 포밍부(3)의 위치각도가 작아지도록 대차(5)를 움직여야 한다.
한편 상기한 성형부(4)의 구성요소인 전방 가이드롤러(401) 및 후방 가이드롤러(402)는 각각 여러개가 세트화되어 성형부 베이스(405)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부 락심롤러(403)는 별도로 구비된 회동브라켓(406)의 전방쪽 하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회동브라켓(406)은 성형부 베이스(405)에 회동가능하게 힌지축(407)으로 결합되어 있고, 상기 회동브라켓(406)은 성형부 베이스(405)에 설치된 실린더(408)의 작동력을 링크(409)를 통해 전달받아 힌지축(407)을 기준으로 하여 회동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상기 회동브라켓(406)의 하부에는 상부 락심롤러(403)와는 별도로 이동되는 강판의 상부를 안내하도록 복수개의 중간 가이드롤러(41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한 성형부(4)의 작동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하자.
먼저 포밍부(3)를 통과함에 따라 일측 걸림편(103)과 타측 걸림편(104)이 형성됨과 함께 ㄷ자형으로 절곡된 복수개의 주름(102)이 형성된 강판이 성형부(4)로 들어가지 전 단계에서는 상기 강판이 성형부의 전방 가이드롤러(401)와 중간 가이드롤러(410) 사이로 원할히 통과하도록 상기 전방 가이드롤러(401)와 중간 가이드롤러(410)의 상,하 간격을 확보하여야 하는데, 이때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408)가 작동하여 링크(409)를 도면상 우측으로 밀어주고, 상기 링크는 회동브라켓(406)의 후방 끝단(도면상 오른쪽 끝단)을 하부로 잡아당기며, 상기 회동브라켓(406)은 힌지축(407)을 기준으로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되므로 결국 상기 전방 가이드롤러(401)와 중간 가이드롤러(410)의 상,하 간격이 확보된다.
이 상태에서 일측 걸림편(103)과 타측 걸림편(104)이 형성됨과 함께 ㄷ자형으로 절곡된 복수개의 주름(102)이 형성된 강판이 계속적으로 포밍부(3)를 통과함에 따라 상기 강판의 선단은 큰 무리없이 성형부(4)를 구성하는 전방 가이드롤러(401)의 안내를 받은 다음 중간 가이드롤러(410)의 안내를 받으므로 상기 강판의 선단부가 전방 가이드롤러(401)와 후방 가이드롤러(402) 사이로 들어간 상태가 되는데, 이 상태에서 실린더(408)의 작동에 의해 링크(409)를 잡아당기게 되면 회동브라켓(406)은 성형부 베이스(405)와의 결합점인 힌지축(407)을 기준으로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 도 5의 실선과 같이 위치되고, 이 경우 상기 회동브라켓(406)에 설치되어 있는 중간 가이드롤러(410)가 강판을 가볍게 눌러주면서 전방 가이드롤러(401)를 통과한 부분을 상부에서 가이드하여 주므로 일측 걸림편(103) 및 타측 걸림편(104)이 형성됨과 함께 ㄷ자형으로 절곡된 복수개의 주름(102)이 형성된 강판이 이후 후방 가이드롤러(402) 쪽으로 계속이동하면서 상기 후방 가이드롤러(402)에 의해 나선상태로 말아질 때 이송상태가 안정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한편 강판이 후방 가이드롤러(402) 쪽으로 계속 이동할 때 상기 강판의 선단부가 어느 순간 상기 후방 가이드롤러에 안내되면서 그 경로가 자연스럽게 상부쪽으로 바뀌면서 나선상으로 감겨지는데, 상기 후방 가이드롤러(402)는 성형하고자 하는 주름형 강관(1)의 직경 크기에 따라 중간 가이드롤러(410)와의 좌,우 간격을 달리하여야 하므로 상기 후방 가이드롤러(402)는 별도의 구성요소에 의해 중간 가이드롤러(410)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좌,우로 수평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음은 이해 가능하다.
상기한 과정에서 성형부(4)에 의해 강판이 나선상으로 말아질 때 기 설명된 바와 같이 그 경계부분에 있는 일측 걸림편(103)과 타측 걸림편(104)은 서로 근접상태가 되면서 자연스럽게 상부 락심롤러(403)와 하부 락심롤러(404) 사이를 지나가게 되고, 이 과정에서 걸림편(103)(104)은 상기 상,하부 락심롤러(403)(404)의 가압력을 받아 완전하게 오므라들게 됨에 따라 나선상으로 말아지는 강판의 경계부분이 락심 연결되면서 원통형태의 주름형 강관(1)이 성형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주름형 강관 성형기는 성형부(4)의 구성요소인 회동브라켓(406)이 성형부 베이스(405)에 회동가능하게 힌지축(407)으로서 결합되어 있을 뿐 상기 회동브라켓(406)이 전,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구조를 가지고 있지 않으므로 강관의 성형 과정에서 회동브라켓(406)에 설치되어 있는 상부 락심롤러(403)의 위치가 항상 동일하므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강판에 형성된 일측 걸림편(103) 및 타측 걸림편(104)이 락심 연결되도록 상부 락심롤러(403)와 하부 락심롤러(404) 사이를 통과할 때는 상기 강판은 이미 나선상으로 말아지는 형태를 갖추고 있으므로 재질의 특성상 탄성에 의해 다시 복원될려는 힘을 가지게 되고, 그 복원을 위한 탄성력은 성형하고자 하는 주름형 강관(1)의 직경 크기가 달라지는 대도 락심 연결을 위한 상부 락심롤러(403)의 가압지점은 항상 동일하여 강판이 주름형 강관(1)으로 성형되는 과정에서 락심 포인트로 인해 그 직경 크기가 일정하지 않고 점점 커지거나 아니면 점점 더 작아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주름형 강관의 성형시 락심 연결을 위해 상부 락심롤러가 설치되어 있는 회동브라켓이 전,후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성형하고자 하는 주름형 강관의 직경 크기에 따라 락심 연결을 위한 상부 락심롤러의 락심 포인트를 선택적으로 달리할 수 있게 하고, 이로 인해 상기 주름형 강관의 직경 크기와는 상관없이 그 직경 크기가 전 부분에 걸쳐 계속적으로 일정해지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성형부를 구성하는 성형부 베이스에 회동브라켓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회동브라켓에는 성형부 베이스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어 있는 하부 락심롤러와 함께 성형되는 주름형 강관의 경계면을 락심 연결하기 위한 상부 락심롤러가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된 것에 있어서, 상기 회동브라켓의 하부에 서로 대향되게 고정되고 그 대향부에는 각각 끼움편이 형성된 한쌍의 고정부재와, 상기 각 고정부재의 끼움편 형성부에 서로 마주본 상태에서 전,후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갖게 일체 형성되어 회동브라켓을 축결합하기 위한 힌지축이 끼워진 장공과, 상기 각 고정부재에 형성된 끼움편에 걸쳐진 상태로 끼워진 끼움링과, 상기 성형부 베이스의 후방쪽 끝단에 고정되어 그 중심부에 수평방향으로 연통되게 구멍을 형성하고 있는 지지편과, 상기 끼움링에 일단이 고정되고 다른 일단부는 지지편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상기 지지편의 바깥쪽으로 인출된 나사조임봉과, 상기 지지편의 안쪽에서 나사조임봉에 나사조임된 제1너트 및 지지편의 바깥쪽에서 나사조임봉에 나사조임된 제2너트로 구성되어 상기 제1,2너트의 조임 및 풀림량에 따라 회동브라켓이 전후로 수평이동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형 강관 성형기의 락심 포인트 이동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 6 내지 도 11을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7은 본 발명 락심 포인트 이동장치가 구비된 주름형 강관 성형기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Ⅱ-Ⅱ선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7의 Ⅲ-Ⅲ선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 락심 포인트 이동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 락심 포인트 이동장치에 의해 락심 포인트가 이동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상부 락심롤러와 하부 락심롤러의 위치를 상세히 나타낸 측면도로서, 본 발명은 주름형 강관 성형기의 성형부(4) 구성중 성형부 베이스(405)에 회동브라켓(406)이 힌지축(407)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회동브라켓(406)에는 성형부 베이스(405)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된 하부 락심롤러(404)와 함께 성형되는 주름형 강관(1)의 경계면을 락심 연결하기 위한 상부 락심롤러(403)가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된 것은 기 설명된 일반적 기술과 같다.
이하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성형부(4)를 이루는 회동브라켓(406)중 힌지축(407)과 근접된 하부에는 서로 대향되게 각각 끼움편(412)이 형성되어 있는 한쌍의 고정부재(411)가 고정되고, 상기 각 고정부재의 끼움편(412) 부분에는 서로 마주본 상태에서 전,후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며 회동브라켓(406)을 축결합하기 위한 힌지축(407)이 끼워진 상태로 장공(413)이 형성되며, 상기 각 고정부재(411)에 형성된 끼움편(412)에는 끼움편을 감싼상태로 끼움링(414)이 끼워지고, 상기 성형부 베이스(405)의 후방쪽 끝단에는 그 중심부에 수평방향으로 연통되게 구멍(416)을 형성하고 있는 지지편(415)이 고정되며, 상기 끼움링(414)에는 다른 일단이 지지편(415)에 형성된 구멍(416)을 통해 상기 지지편(415)의 바깥쪽으로 인출된 상태로 나사조임봉(417)의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나사조임봉에는 지지편(415)의 안쪽에서 제1너트(418)가 나사조임됨과 함께 지지편(415)의 바깥쪽에서 제2너트(419)가 나사조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락심 포인트 이동장치에 의해 락심 포인트를 이동하면서 성형되는 강관의 직경 크기에 따라 그 나선상으로 말아지는 경계부분을 락심 연결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특히 작은 크기의 직경(300∼600㎜)을 갖는 주름형 강관을 성형시에 강판이 나선상으로 말아질 때 상기 강판에 절곡 형성된 일측 걸림편(103) 및 타측 걸림편(104)이 상부 락심롤러(403)와 하부 락심롤러(404) 사이를 통과하면서 가압에 의해 서로 물리면서 결합되고, 그 결합되는 락심 포인트가 성형되는 주름형 강관(1)의 직경에 맞게 정확하지 못하면 강한 탄성으로 인해 주름형 강관의 성형 길이가 길어지면 질수록 직경 크기가 점점 더 커지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강관을 성형과정에서 강판에 절곡 형성된 일측 걸림편(103) 및 타측 걸림편(104)이 상부 락심롤러(403)와 하부 락심롤러(404) 사이를 통과하면서 가압에 의해 서로 물릴 때 그 물림을 위한 락심 포인트가 정확하게 위치되도록 상기 상부 락심롤러(403)의 위치를 이동시켜야 하고, 상기 상부 락심롤러의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상부 락심롤러(403)가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어 회동브라켓(406)을 전,후로 수평되게 이동시켜야 만 하는 것이다.
즉, 성형되는 주름형 강관(1)의 직경 크기에 따라 하부 락심롤러(404)를 기준으로 상부 락심롤러(403)의 위치가 도 11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을 수도 있고 아니면 아니면 상기 하부 락심롤러(404)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상부 락심롤러(403)의 위치가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될 수도 있음은 물론 상기 하부 락심롤러(404)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상부 락심롤러(403)의 위치가 이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될 수도 있는데, 상기 상부 락심롤러(403)의 이동방향 및 그 이동량은 기 설명된 바와 같이 성형되는 주름형 강관(1)의 직경 크기에 따라 작업자가 적절히 선택하면 된다.
그럼 다음으로 주름형 강관(1)의 성형 과정에서 상기 강관의 직경 크기에 따라 락심 포인트를 이동시켜 주기 위해 회동브라켓(406)을 전,후로 수평이동시켜 주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작업자가 회동브라켓(406)의 후방쪽 끝단에 고정되어 있는 지지편(415)을 기준으로 하여 나사조임봉(417)에 나사조임된 제1,2너트(418)(419)중 안쪽의 제1너트(418)를 풀고 바깥쪽의 제2너트(419)를 조이면 상기 나사조임봉(417)은 다른 일단이 지지편(415)에 형성된 구멍(416)을 통해 바깥쪽으로 인출된 상태에 있음에 따라 도면상(도 9) 우측으로 이동되는데, 이때 상기 회동브라켓(406)중 힌지축(407)과 근접된 하부에는 서로 대향되게 각각 끼움편(412)이 형성되어 있는 한쌍의 고정부재(411)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각 고정부재의 끼움편(412) 부분에는 서로 마주 본 상태에서 전,후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며 회동브라켓(406)을 축결합하기 위한 힌지축(407)이 끼워진 상태로 장공(4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 고정부재(411)에 형성된 끼움편(412)에는 끼움편을 감싼상태로 끼움링(414)이 끼워져 있고, 상기 끼움링에는 나사조임봉(417)의 일단이 고정되어 있음을 감안할 때 상기 나사조임봉의 도면상 우측방향 이동력은 끼움링(414) → 각 고정부재(411)를 통해 회동브라켓(406)으로 전달되므로 상기 회동브라켓이 나사조임봉(417)의 이동거리와 비례된 거리만큼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회동브라켓(406)의 도면상 우측이동 거리에 비례된 만큼 상부 락심롤러(403)도 우측으로 이동하므로 결국 상기 상부 락심롤러 및 하부 락심롤러(404)에 의한 락심 포인트가 우측으로 이동된 상태로 결정되는 것이다.
또한 작업자가 나사조임봉(417)에 나사조임된 제1,2너트(418)(419)중 바깥쪽의 제2너트(419)를 풀고 안쪽의 제1너트(418)를 조이면 상기 나사조임봉(417)은 도면상(도 9) 좌측으로 이동하고, 이 도면상 좌측방향 이동력은 끼움링(414) → 각 고정부재(411)를 통해 회동브라켓(406)으로 전달되므로 상기 회동브라켓이 나사조임봉(417)의 이동거리와 비례된 거리만큼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하며, 상기 회동브라켓(406)의 도면상 좌측이동 거리에 비례된 만큼 상부 락심롤러(403)도 좌측으로 이동하므로 결국 상기 상부 락심롤러 및 하부 락심롤러(404)에 의한 락심 포인트가 좌측으로 이동된 상태로 결정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정에서 나사조임봉(417)의 전,후이동에 의해 회동브라켓(406)이 전,후로 이동할 때 그 이동거리는 힌지축(407)이 각 고정부재(411)의 끼움편(412)부분에 형성된 장공(413)의 길이 범위내에서 이루어 짐은 이해 가능하다.
따라서 성형하고자 하는 주름형 강관(1)의 직경 크기에 맞게 락심 포인트를 적절히 이동시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성형부(4)의 구성요소인 회동브라켓(406)이 성형부 베이스(405)에 회동가능하게 힌지축(407)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전후로 수평이동시킬 수가 있으므로 상기 회동브라켓(406)의 전후 수평이동 거리 만큼 회동브라켓에 설치된 상부 락심롤러(403)의 위치가 이동되고, 이 경우 상기 상부 락심롤러 및 하부 락심롤러(404)에 의해 성형되는 주름형 강관(1)의 직경에 맞도록 락심 포인트를 이동시킬 수가 있어 상기 주름형 강관의 성형 과정에서 직경 크기가 처음부터 나중으로 갈수록 점점더 커지거나 아니면 작아지는 일이 없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고품질의 주름형 강관을 성형할 수 있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주름형 강관의 성형 과정에서 그 직경 크기가 처음부터 나중까지 일정하면 그 락심 부위의 결합력도 향상될 것 임은 이해 가능하다.

Claims (1)

  1. 성형부를 구성하는 성형부 베이스에 회동브라켓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회동브라켓에는 성형부 베이스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어 있는 하부 락심롤러와 함께 성형되는 주름형 강관의 경계면을 락심 연결하기 위한 상부 락심롤러가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된 것에 있어서,
    상기 회동브라켓의 하부에 서로 대향되게 고정되고 그 대향부에는 각각 끼움편이 형성된 한쌍의 고정부재와,
    상기 각 고정부재의 끼움편 형성부에 서로 마주본 상태에서 전,후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갖게 일체 형성되어 회동브라켓을 축결합하기 위한 힌지축이 끼워진 장공과,
    상기 각 고정부재에 형성된 끼움편에 걸쳐진 상태로 끼워진 끼움링과,
    상기 성형부 베이스의 후방쪽 끝단에 고정되어 그 중심부에 수평방향으로 연통되게 구멍을 형성하고 있는 지지편과,
    상기 끼움링에 일단이 고정되고 다른 일단부는 지지편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상기 지지편의 바깥쪽으로 인출된 나사조임봉과,
    상기 지지편의 안쪽에서 나사조임봉에 나사조임된 제1너트 및 지지편의 바깥쪽에서 나사조임봉에 나사조임된 제2너트로 구성되어 상기 제1,2너트의 조임 및 풀림량에 따라 회동브라켓이 전후로 수평이동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형 강관 성형기의 락심 포인트 이동장치.
KR1020060124845A 2006-12-08 2006-12-08 주름형 강관 성형기의 락심 포인트 이동장치 KR100780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4845A KR100780853B1 (ko) 2006-12-08 2006-12-08 주름형 강관 성형기의 락심 포인트 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4845A KR100780853B1 (ko) 2006-12-08 2006-12-08 주름형 강관 성형기의 락심 포인트 이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0853B1 true KR100780853B1 (ko) 2007-11-30

Family

ID=39081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4845A KR100780853B1 (ko) 2006-12-08 2006-12-08 주름형 강관 성형기의 락심 포인트 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085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418B1 (ko) * 2007-12-28 2008-03-27 주식회사 픽슨 강관 성형방법 및 강관 성형장치
KR100956425B1 (ko) 2010-01-08 2010-05-06 김한곤 주름형 강관의 제작방법 및 장치
WO2012043924A1 (ko) * 2010-09-27 2012-04-05 주식회사 픽슨 강관 외주면에 락심이 형성된 내부 평활관과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3137A (ko) * 1995-12-29 1997-07-22 석용환 철재 압연성형방법
KR20000008620U (ko) * 1998-10-23 2000-05-15 김정환 비틀림 보강파이프의 제조장치
KR20030068494A (ko) * 2003-06-25 2003-08-21 이종림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제조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파이프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3137A (ko) * 1995-12-29 1997-07-22 석용환 철재 압연성형방법
KR20000008620U (ko) * 1998-10-23 2000-05-15 김정환 비틀림 보강파이프의 제조장치
KR20030068494A (ko) * 2003-06-25 2003-08-21 이종림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제조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파이프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19970033137 (공개번호)
1020030068494 (공개번호)
2020000008620 (공개번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418B1 (ko) * 2007-12-28 2008-03-27 주식회사 픽슨 강관 성형방법 및 강관 성형장치
KR100956425B1 (ko) 2010-01-08 2010-05-06 김한곤 주름형 강관의 제작방법 및 장치
WO2011083925A2 (ko) * 2010-01-08 2011-07-14 Kim Han Gon 주름형 강관의 제작방법 및 장치
WO2011083925A3 (ko) * 2010-01-08 2011-09-22 Kim Han Gon 주름형 강관의 제작방법 및 장치
WO2012043924A1 (ko) * 2010-09-27 2012-04-05 주식회사 픽슨 강관 외주면에 락심이 형성된 내부 평활관과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21881B2 (ja) ライニング管の支保工装置および支保工の施工方法
JP4866428B2 (ja) 製管装置およびこの製管装置を用いた既設管の更生工法
KR100780862B1 (ko) 평면 주름형 강관의 제조방법
KR100780853B1 (ko) 주름형 강관 성형기의 락심 포인트 이동장치
HU216603B (hu) Eljárás csővezetékek bélelésére, változó szög alatti bevezetéssel
EP3359370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auskleidungsschlauchs für rohrleitungen
EP0963932B1 (de) Vorrichtung zum Positionieren einer Glättrolle beim Bandhaspeln
KR101097381B1 (ko) 기설관 내의 라이닝관 형성을 위한 제관방법 및 장치
JP5329370B2 (ja) 螺旋巻き製管装置
US6089276A (en) Method for repairing buried pipe using a metal pip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metal pipes that are used in the repairing method
JP3821215B2 (ja) 耐震性管更生工法に於ける管接続装置
JP6329260B2 (ja) 巻癖形成装置
KR100780858B1 (ko) 주름형 강관 성형기의 입구측 가이드롤러 승강장치
US5108283A (en) Apparatus for winding pipes
JP2012000786A (ja) 螺旋巻き製管装置及びその製管方法
EP2318158B1 (en) Rolling mill of rotating expander type for tubular bodies with tip-stabilizing system
CN109226331B (zh) 一种波纹管连续密波成型方法
EP0701086A1 (de) Aushärtbarer Schlauch zum Auskleiden und Herstellen von Rohrleitungen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selben
JP5926661B2 (ja) 製管装置
EP0687642B1 (de) Vorrichtung zum Speichern sowie zum Auf- und Abwickeln eines flexiblen, biegsamen Stabes
JP5166896B2 (ja) 製管装置および製管方法
DE19960773C2 (de) Seilzugvorrichtung
KR101127410B1 (ko) 관경 변화가 가능한 라이닝관 제관장치
CN214639935U (zh) 一种钢筋笼编制设备
DE10316161A9 (de) Vorrichtung zum Sanieren eines in einen Hauptkanal einmündenden Seitenkan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