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9967B1 - 불소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불소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9967B1
KR100779967B1 KR1020067008278A KR20067008278A KR100779967B1 KR 100779967 B1 KR100779967 B1 KR 100779967B1 KR 1020067008278 A KR1020067008278 A KR 1020067008278A KR 20067008278 A KR20067008278 A KR 20067008278A KR 100779967 B1 KR100779967 B1 KR 1007799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ororesin
carbon nanotubes
fluorine
composition
stabiliz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8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3120A (ko
Inventor
케이고 고시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쥰코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3372251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5133002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384006A external-priority patent/JP4070707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쥰코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쥰코샤
Publication of KR20060093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31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9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99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4Ingredients treated with 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08K3/041Carbon nanotub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1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11Nanostructured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4Antistat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20Applications use in electrical or conductive gadge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no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불소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말단기가 안정화된 불소수지와 카본나노튜브로 이루어지는 불소수지 조성물, 및 불소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불소수지와 불소계 계면활성제에 의해서 표면처리된 카본나노튜브를 배합한 것인 불소수지 조성물을 구성함으로써, 도전성, 정전기 대전특성 등의 전기적인 특성이 우수한 불소수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불소수지 조성물{FLUORORESIN COMPOSITIONS}
본 발명은, 불소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뛰어난 표면저항을 갖는 도전성 재료 등에 사용가능한 불소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합성수지 재료에 도전성 필러를 함유시킨 수지 조성물은 특성을 갖는 도전성 재료로서 전자재료를 비롯해서 각종의 용도에 있어서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도전성의 카본블랙으로 이루어지는 도전성 필러로서 카본나노튜브를 필러로서 사용하는 것이,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2003-192914호 공보에 제안되어 있다.
카본나노튜브를 도전성 필러로서 합성수지에 첨가했을 경우에는, PAN계의 탄소섬유를 첨가했을 경우에 비해서 1/3∼1/4의 첨가량으로 같은 정도의 도전성을 나타내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것은, 카본나노튜브가 종래의 탄소계 도전성 필러에 비해서 도전성이 높고, 애스펙트비(aspect ratio)가 높기 때문에 배합한 합성수지 중에 네트워크 구조를 형성하기 쉽고, 또한 미세하며 부피밀도가 작아 단위중량당의 개수가 많아지는 것에 의한 것이라고 말해지고 있다.
또한 카본계 도전성 필러를 함유하는 도전성 재료는, 각종 전자재료, 전자장치, 전선의 실드체 등으로서 사용되었을 경우에는, 마찰 등의 이유에 의해 도전성 필러가 빠지면 전기회로의 단락 등의 중대한 문제를 야기할 가능성이 있었다.
그런데, 카본나노튜브는 종래의 도전성 탄소재료에 비해서 크기가 작고 미세한 물질이며, 수지 조성물로부터의 「뜸」이 거의 일어나지 않고, 표면상태가 뛰어나며, 또한 강도가 크고 탄성율을 갖는 물질이므로 파손에 의한 빠짐도 적다고 하는 특징을 갖고 있었다.
또한 카본나노튜브는 탄소원자만으로 구성된 것이며, 카본블랙 등과 달리 불순물을 거의 함유하지 않고, 성형시 혹은 사용시에 고온하에 노출되어도 변화되지 않으며, 또 배합하는 합성수지를 분해시키거나, 성형품으로부터 가스발생의 가능성이 없어, 전자부품용의 재료로서 기대되고 있다.
또한 카본나노튜브를 불소수지 중으로 필러로서 배합하는 것도 제안되어 있다. 불소수지 중으로 필러로서 카본나노튜브를 배합했을 경우에는, 카본나노튜브의 뛰어난 성질과 함께, 불소수지가 갖는 화학적 안정성을 아울러 가진 불소수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불소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불소수지에 도전성 필러로서 카본나노튜브를 함유한 조성물에 있어서, 도전특성 및 정전기 대전특성이 양호한 불소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불소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말단기가 안정화된 불소수지와 카본나노튜브로 이루어지는 불소수지 조성물에 의해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말단기가 안정화된 불소수지가 퍼플루오로알콕시알칸 폴리머, 또는 퍼플루오로에틸렌프로필렌 코폴리머인 상기 불소수지 조성물이다.
또한 카본나노튜브가 단층 카본나노튜브, 다층 카본나노튜브, 기상성장 탄소섬유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상기 불소수지 조성물이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불소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불소수지와 불소계 계면활성제에 의해 표면처리한 카본나노튜브를 배합한 것인 불소수지 조성물에 의해 해결할 수 있다.
그 때, 상기 불소계 계면활성제가, 플루오로알킬술폰산, 플루오로알킬카르복실산, 및 그들의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상기 불소수지 조성물이다.
또한 불소수지와 불소계 계면활성제에 의해 표면처리한 카본나노튜브를 배합한 불소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불소수지가 말단기가 안정화된 것이며, 여기에서, 바람직하게는 말단기가 안정화된 불소수지가 퍼플루오로알콕시알칸 폴리머, 또는 퍼플루오로에틸렌프로필렌 코폴리머에서 선택되는 상기 불소수지 조성물이다.
불소수지와 불소계 계면활성제에 의해 표면처리한 카본나노튜브를 배합한 불소수지 조성물에 있어서는, 카본나노튜브를 미리 불소계 계면활성제에 의해 표면처리를 행한 후에, 불소수지와 혼합했으므로 카본나노튜브와 불소수지의 친화성이 높아지고, 불소수지로부터의 빠짐이 적어지고, 또 불소수지 상호의 친화성의 향상에 의해 도전성도 큰 불소수지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국면에 있어서의 불소수지 조성물은, 불소수지로서 말단기가 안정화된 불소수지를 사용함과 아울러 카본나노튜브를 도전성 필러로서 배합한 결과, 소량의 배합 비율로 큰 도전성을 갖고, 저노이즈, 전자파 실드 재료 등에 유용하다. 또한 정전기 대전특성이 양호하며, 필러로서 사용한 카본나노튜브의 빠짐이 없고, 또 정전기의 대전이 작은 것이 얻어지므로 고신뢰성이 요구되는 각종의 전자부품 재료 등으로서 매우 유용한 것이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있어서의 불소수지 조성물은, 카본나노튜브를 불소계 계면활성제에 의해 처리를 행한 후에 도전성 필러로서 배합한 결과, 보다 소량의 배합량으로 큰 도전성을 갖고, 저노이즈 전자실드 재료 등에 유용하다. 또한 정전기 대전특성이 양호하며, 필러로서 사용한 카본나노튜브의 빠짐이 없고, 또 정전기의 대전이 작은 것이 얻어지므로 고신뢰성이 요구되는 각종의 전자부품 재료 등으로서 매우 유용한 것이 얻어진다.
또한 필요로 하는 도전특성이 소량의 카본나노튜브의 배합으로 얻어지기 때문에, 불소수지가 가지는 본래의 표면특성이나 기계특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필러 배합에 의한 가공성의 저하도 작게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서술한다.
본 발명은, 그 일국면에서는, 카본나노튜브를 도전성 필러로 한 불소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불소수지의 말단기가 불안정한 경우, 그 불소수지가 가공되는 융점 이상의 고온하에서 카본나노튜브의 도전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것에 비해, 불소수지의 말단기가 안정화된 것의 경우, 도전성의 저하현상 등이 억제 가능한 것을 발견하여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불소수지는, 내약품성 등이 다른 합성수지에 비해서 뛰어난 수지이며, 내약품성이 요구되는 분야, 내열성이 요구되는 분야, 혹은 플라스틱으로부터의 용출물에 의한 액체의 오염 등이 없는 것이 요구되는 분야에 있어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특히, 플루오로 모노머의 중합에 의해 제조되는 플루오로 폴리머는 각종의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으므로, 도전성 필러와 혼련한 불소수지 조성물의 제조에는 바람직한 것이다.
플루오로 모노머의 중합시에는, 개시제, 연쇄 이동제 등이 배합되어 있으므로, 이들 약제의 작용, 혹은 부반응에 의해, 형성되는 폴리머에는 아미드기, 카르비놀기, 카르복실기 등의 화학적으로 불안정한 말단기가 형성되는 것을 피할 수 없었다.
이러한 불안정한 말단기는, 반응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불소수지의 용도 에 따라서는 문제가 될 경우도 있고, 고도의 안정성이 요구되는 반도체 제조공정 등에 있어서는, 이들의 불안정한 말단기를 불소가스 등의 불소화제에 의해 불소화 처리하여, 말단기가 안정화된 불소수지가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은, 그 일국면에서는, 불소수지 조성물로서, 말단기가 안정화된 불소수지에 카본나노튜브를 배합함으로써 도전성을 부여했을 경우에는, 소량의 배합으로 그 물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전기전도도, 정전기 대전특성의 면에서 뛰어난 특성을 발휘하는 것을 찾아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일국면에 있어서의 불소수지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말단기를 안정화한 불소수지는, 중합 후에 불소화제에 의해 말단기의 불소화 처 리를 행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FEP),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PFA),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에틸렌 공중합체(ETFE),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삼원공중합체(THV),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TFE), 폴리불화비닐리덴(PVdF),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PCTFE)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전불소화 폴리머가 바람직하고,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FEP),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PFA)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국면에 있어서는, 말단기가 안정화된 불소수지와 함께, 말단기가 안정화되어 있지 않은 불소수지를 배합한 것이라도 된다. 이 경우에는, 사용하는 불소수지의 전체 질량의 1/3이상이 말단기가 안정화된 불소수지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전체 질량의 1/2이상이 말단기가 안정화된 불소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국면에 있어서의 불소수지 조성물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카본나노튜브는, 단층 카본나노튜브(SWCNT), 다층 카본나노튜브(MWCNT), 기상성장 탄소섬유(VGCF), 카본나노혼 등의 도전성을 갖는 카본 나노 다공체를 들 수 있다.
또한 카본나노튜브는, 지름이 1nm∼300nm인 것이 바람직하고, 애스펙트비는 5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국면에 있어서는, 카본나노튜브는, 조성물 전체의 질량을 기준 으로 해서, 0.1질량%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질량% 이상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지만, 배합비는 목적으로 하는 불소수지 조성물의 도전특성에 따라서 배합량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카본나노튜브는, 불소수지에 대한 분산성을 향상시키는 점에서, 미리 수지혼합해서 혼련한 마스터배치(Master-batch)로서 사용해도 좋다. 마스터배치의 형성에 이용하는 수지는, 최종적으로 제조하는 불소수지 조성물과 동일한 불소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국면에 있어서의 불소수지 조성물은, 불소수지와 카본나노튜브를 소정의 비율로 혼합한 후에, 압출성형법, 롤성형법, 사출성형법 등의 방법에 의해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다.
이하에 실시예, 비교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설명한다.
실시예
2축압출기(테크노벨사 제 KZW20-25G)의 호퍼에, 2대의 피더로 각각 불소수지 펠릿과 카본나노튜브를 표 1의 중량비율로 되도록 공급했다. 2축압출기는 실린더 온도를 330℃, 다이 온도를 340℃로 설정하고, 스크류 회전수 30rpm으로 불소수지와 카본나노튜브를 가닥(strand)형상으로 용융 혼련 압출한 후에 수조에서 냉각한 후, 펠렛타이져(Pelletizer)로, 지름 1.5mm, 길이 3mm의 펠릿을 제작했다.
또, 시료5∼7은 불소수지 PFA450HPJ와 350J의 펠릿을 미리 균일하게 혼합하고, 피더로부터 공급했다. 또 비교3은 디스퍼젼인 FEP120J를 건조한 후, 아세톤으로 계면활성제를 씻어 낸 후, 단축압출기에서 가닥으로 압출하여, 펠렛타이져로 펠 릿화해서 사용했다.
(도전율의 측정)
도전율은 2축압출기에서 혼련하고, 얻어진 펠릿 10g을 350℃의 열 프레스에서, 두께 0.2mm의 시트상으로 성형하고, 고저항율계(미쓰비시카가구 제 HIRESTA-IP), 저저항율계(미쓰비시카가쿠 제 LORESTA-AP)를 이용하여 표면저항을 측정하고, 그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 표 1에 있어서 비교는 비교예인 것을 나타낸다.
(정전기 대전성의 측정)
시료 펠릿 100g을 정전기 제거기를(아즈완 제 SF-1000) 사용해서 제전한 후, 폴리에틸렌의 자루에 넣어 속을 부풀어 오르게 한 상태로 입구를 닫고, 격렬하게 10회 상하시켜, 자루 속의 펠릿이 정전기에 의해 자루벽에 부착되는지의 여부로 판정했다. 부착되지 않는 것을 "양", 부착된 것 "불'이라고 했다.
표 1에 있어서, PFA450HPJ, PFA440HPJ는, 각각 말단기를 안정화한 미츠이·듀폰플루오로케미컬사 제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PFA)를 나타내고, FEP100J는, 말단기를 안정화한 미츠이·듀폰플루오로케미컬사 제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FEP)를 나타낸다.
또한 PFA350J, PFA340J는, 각각 말단기를 안정화하고 있지 않은 미츠이·듀폰플루오로케미컬사 제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PFA)를 나타내고, FEP120J는 말단기를 안정화하고 있지 않은 미츠이·듀폰플루오로케미컬사 제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FEP)를 나 타낸다.
또한 VGCF는 쇼와덴코 제의 지름이 150nm인 기상법 탄소섬유이며, CNT20은 카본 나노텍 리서치 인스티튜트 제의 지름이 20nm인 카본나노튜브이다.
Figure 112006030174296-pct00001
다음에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형태에 대해서 서술한다.
본 발명은, 다른 국면에서는, 카본나노튜브를 도전성 필러로 한 불소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카본나노튜브를 미리 불소계 계면활성제에 의해 처리했으므로, 사용하는 불소수지와의 친화성이 높아지는 결과, 카본나노튜브의 보다 소량의 배합량으로, 큰 도전성을 가짐과 아울러 필러의 빠짐이 없고 양호한 가공성과 기계적특성을 갖는 불소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찾아낸 것이다.
또한 사용하는 불소수지의 말단기의 화학구조에 의해 얻어지는 불소수지 조성물의 특성이 크게 변하여, 말단기의 구조에 의해 도전성 및 정전특성이 변화되는 것을 찾아내고, 특정의 말단기를 갖는 불소수지를 사용함으로써 도전성 등이 좋은 불소수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을 찾아낸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있어서의 불소수지 조성물에 있어서는, 불소계 계면활성제에 의해 처리한 카본나노튜브를 사용하여, 말단기가 안정화된 불소수지와 혼합했을 경우에는, 전기전도도 특히 정전기 대전특성의 면에서 뛰어난 특성을 발휘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있어서의 불소수지 조성물에 사용하는 불소계 계면활성제로서는, 플루오로알킬술폰산 또는 그 염, 플루오로알킬카르복실산 또는 그 염을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퍼플루오로옥탄술폰산 칼륨, 퍼플루오로옥탄술폰산 리튬, 퍼플루오로부탄술폰산 칼륨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있어서의 불소계 계면활성제에 의한 처리방법은, 불소계 계면활성제와 카본나노튜브를 접촉시키는 방법에 의해 행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불소계 계면활성제의 유기용매 용액, 혹은 수용액 중에 카본나노튜브를 침지한 후에 건조 처리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불소계 계면활성제의 첨가량은,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0.001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3질량% 이상, 5질량% 이하이며, 0.005질량% 이상, 2질량%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첨가량은 용제를 포함하지 않는 양이다.
첨가량이 0.001질량%보다 적으면 양호한 도전성이 얻어지지 않고, 또 5질량%보다 많으면 가공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있어서의 불소수지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불소수지로서는,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TFE),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PFA), 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FEP),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에틸렌 공중합체(ETFE), 폴리불화비닐리덴(PVDF),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르에틸렌(PCTFE), 에틸렌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코폴리머(ECTFE) 등을 들 수 있다.
말단기를 안정화한 불소수지로서는, 중합에 의해 얻어진 불소수지를 불소화제에 의해 말단기의 불소화 처리를 행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FEP),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PFA),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에틸렌 공중합체(ETFE),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삼원공중합체(THV)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전불소화 폴리머가 바람직하고,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FEP),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PFA)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있어서는, 말단기가 안정화된 불소수지와 함께, 말단기가 안정화되어 있지 않은 불소수지를 배합한 것이라도 된다. 말단기가 안정화된 불소수지에 의한 특성을 충분한 것으로 하기 위해서는, 사용하는 불소수지의 전체 질량의 1/3이상이 말단기가 안정화된 불소수지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전체 질량의 1/2이상이 말단기가 안정화된 불소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있어서의 불소수지 조성물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카본나노튜브는, 단층 카본나노튜브(SWCNT), 다층 카본나노튜브(MWCNT), 기상성장 탄소섬유(VGCF), 카본나노혼 등의 도전성을 갖는 카본 나노 다공체를 들 수 있다.
또한 카본나노튜브는, 지름이 1nm∼300nm인 것이 바람직하고, 애스펙트비는 5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있어서는, 카본나노튜브는, 조성물 전체의 질량을 기준으로 해서 0.1질량%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질량% 이상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지만, 배합비는 목적으로 하는 불소수지 조성물의 도전 특성에 따라 배합량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카본나노튜브는, 불소수지에 대한 분산성을 향상시키는 점으로부터, 미리 수지혼합해서 혼련한 마스터배치로서 사용해도 좋다. 마스터배치의 형성에 이용하는 수지는, 최종적으로 제조하는 불소수지 조성물과 동일한 불소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있어서의 불소수지 조성물은, 불소수지와 카본나노튜브를 소정의 비율로 혼합한 후에, 압출성형법, 롤성형법, 사출성형법 등의 방법에 의해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다.
이하에, 실시예, 비교예를 나타내고,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한다.
실시예
표 2에 기재된 불소계 계면활성제에 카본나노튜브를 표 2 기재의 고정분의 배합비율로 되는 양을 넣고, 잘 교반한 후 11O℃에서 건조시켰다.
2축압출기(테크노벨사 제 KZW20-25G)의 호퍼에, 2대의 피더로부터 각각 불소수지 펠릿과 카본나노튜브를 표 2의 중량비율이 되도록 공급했다. 2축압출기는 실린더 온도를 330℃, 다이 온도를 340℃로 설정하고, 스크류 회전수 30rpm으로 불소수지와 카본나노튜브를 가닥상으로 용융 혼련 압출한 후에 수조에서 냉각한 후, 펠렛타이져에서 지름 1.5mm, 길이 3mm의 펠릿을 제작했다.
또 비교10은 디스퍼젼인 FEP120J를 건조한 후, 메탄올로 계면활성제를 씻어 낸 후, 단축 압출기에서 가닥으로 압출하여, 펠렛타이져에서 지름 1.5mm, 길이 3mm의 펠릿화해서 사용했다.
또, 표 2에 있어서 비교는 비교예인 것을 나타낸다.
(도전율의 측정)
도전율은 2축압출기로 혼련하고, 얻어진 펠릿 10g을 350℃의 열 프레스에서 두께 0.2mm의 시트상으로 성형하고, 고저항율계(미쓰비시카가쿠 제 HIRESTA-IP), 저저항율계(미쓰비시카가쿠 제 LORESTA-AP)를 이용하여 표면저항을 측정하고, 그 평가결과를, Ω/□를 단위로 표 2에 나타낸다.
(정전기 대전성의 측정)
시료 펠릿 100g을 정전기 제거기(아즈완 제 SF-1000)를 사용해서 제전한 후, 폴리에틸렌의 자루에 넣어, 속을 부풀어 오르게 한 상태로 입구를 막고, 격렬하게 10회 상하시켜 자루 속의 펠릿이 정전기에 의해 자루벽에 부착되는지의 여부로 판정했다. 부착되지 않는 것을 "양", 부착된 것 "불'이라고 했다.
표 2에 있어서, PFA350J, PFA450J, PFA340J, PFA420J는, 각각 미츠이·듀폰플루오로케미컬사 제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PFA)를 나타낸다. 또, PFA450J, PFA420J는 말단기가 안정화 된 것이다.
FEP100J, FEP120J는 각각 미츠이·듀폰플루오로케미컬사 제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FEP)를 나타낸다. 또, FEP100J는 말단기가 안정화 된 것이다.
또한 ETFEC88AX는, 아사히가라스사 제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에틸렌 공중합체(ETFE)를 나타낸다.
또한 수치는 고형분의 배합 중량비를 나타낸다.
계면활성제는,
SA1 : 퍼플루오로옥탄술폰산 칼슘을 나타내고, 4질량% 메탄올 용액 속에서 카본나노튜브를 처리한 것이다.
SA2 : 퍼플루오로옥탄술폰산 리듐을 나타내고, 4질량% 메탄올 용액 속에서 카본나노튜브를 처리한 것이다.
SA3 : 퍼플루오로부탄술폰산 리듐을 나타내고, 4질량% 수용액 속에서 카본나노튜브를 처리한 것이다.
또한 수치는 계면활성제의 고형분의 배합 중량비를 나타낸다.
CNT는, 카본나노튜브를 나타내고,
VGCF는 쇼와덴코 제의 지름이 150nm인 기상법 탄소섬유,
CNT20은, 카본 나노테크 리서치 인스티튜트 제의 지름이 20nm인 카본나노튜브이다.
또한 수치는 고형분의 배합 중량비를 나타낸다.
Figure 112006030174296-pct00002
본 발명의 불소수지 조성물은, 도전성 필러로서 카본나노튜브를 사용함과 아울러, 불소수지로서 말단기가 안정된 불소수지를 사용했으므로, 도전특성 특히 정전기 대전특성이 뛰어난 불소수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고, 도전성 및 정전기 특성 등의 전기적 특성이 뛰어난 전기재료, 전자재료의 제조에 이용할 수 있고, 또한 본 발명의 불소수지 조성물은, 불소계 계면활성제에 의해 처리를 행한 카본나노튜브를 사용했으므로, 도전특성 특히 정전기 대전특성이 뛰어난 불소수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으며, 도전성 및 정전기 특성 등의 전기적 특성이 뛰어난 전기재료, 전자재료의 제조에 이용할 수 있다.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불소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퍼플루오로알콕시알칸 폴리머, 또는 퍼플루오로에틸렌프로필렌 코폴리머로부터 선택되는 불소수지와,
    불소계 계면활성제에 의해 표면처리한 카본나노튜브를 배합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수지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계 계면활성제가 플루오로알킬술폰산, 플루오로알킬카르복실산, 및 그들의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수지 조성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수지는 말단기가 안정화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수지 조성물.
  6. 삭제
  7. 삭제
KR1020067008278A 2003-10-31 2004-10-28 불소수지 조성물 KR1007799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372251 2003-10-31
JP2003372251A JP2005133002A (ja) 2003-10-31 2003-10-31 フッ素樹脂組成物
JPJP-P-2003-00384006 2003-11-13
JP2003384006A JP4070707B2 (ja) 2003-11-13 2003-11-13 フッ素樹脂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3120A KR20060093120A (ko) 2006-08-23
KR100779967B1 true KR100779967B1 (ko) 2007-11-28

Family

ID=34554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8278A KR100779967B1 (ko) 2003-10-31 2004-10-28 불소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70037918A1 (ko)
KR (1) KR100779967B1 (ko)
TW (1) TWI370154B (ko)
WO (1) WO20050426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89535B2 (en) * 2005-06-24 2011-08-02 Daikin Industries, Ltd. Surface-modified nanofiller and polymer composite material
CN100455624C (zh) * 2006-04-20 2009-01-28 上海道氟化工科技有限公司 氟橡胶组合物及其成型制品
US7732029B1 (en) 2006-12-22 2010-06-08 Xerox Corporation Compositions of carbon nanotubes
KR20200118830A (ko) * 2018-02-09 2020-10-16 도호 카세이 가부시키가이샤 도전성 용접재 및 그 제조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2914A (ja) * 2001-12-28 2003-07-09 Mitsubishi Plastics Ind Ltd 導電性に優れた熱可塑性樹脂成形体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69846A (en) * 1983-05-20 1984-09-04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Core/shell fluoropolymer compositions
DE3887435T2 (de) * 1987-10-16 1994-06-30 Du Pont Leitfähige Fluorpolymere.
US5399643A (en) * 1992-04-22 1995-03-21 Diakin Industries Ltd. Method for preparation of tetrafluoroethylene/hexafluoropropylene copolymer
TW491824B (en) * 1997-04-30 2002-06-21 Daikin Ind Ltd Aqueous dispersion composition
JP2000281855A (ja) * 1999-04-01 2000-10-10 Mitsubishi Chemicals Corp フッ素系重合体組成物及びそれからなる導電性ベルト
FR2817076A1 (fr) * 2000-11-20 2002-05-24 Atofina Poudre microcomposite a base d'un electroconducteur et d'un fluoropolymere et objets fabriques avec cette poudr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2914A (ja) * 2001-12-28 2003-07-09 Mitsubishi Plastics Ind Ltd 導電性に優れた熱可塑性樹脂成形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037918A1 (en) 2007-02-15
WO2005042636A1 (ja) 2005-05-12
KR20060093120A (ko) 2006-08-23
TW200519151A (en) 2005-06-16
TWI370154B (en) 2012-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16943B2 (ja) 導電性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及び導電性樹脂組成物
JP2006526058A (ja) 導電性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097006A (ja) 導電性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及び用途
JP6390290B2 (ja) 導電性フッ素樹脂組成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成形体
JP4070707B2 (ja) フッ素樹脂組成物
EP0337487A1 (en) Electroconductive polymer composition
JP2006089710A (ja) 炭素系導電性フィラーおよびその組成物
KR100779967B1 (ko) 불소수지 조성물
US8784961B2 (en) Fluoropolymer blends with inorganic layered compounds
KR101055620B1 (ko) 전기적 특성이 뛰어난 고분자/탄소나노튜브 복합체와 이의 제조방법
KR20130029977A (ko) 탄소나노튜브-고분자 나노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6028313A (ja) 炭素繊維強化熱可塑性樹脂コンパウンド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133002A (ja) フッ素樹脂組成物
Hajar et al. Effect of graphite loading on the electr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Poly (Ethylene Oxide)/Poly (Vinyl Chloride) polymer films
JP2004207097A (ja) 導電性樹脂組成物
JP2006097005A (ja) 導電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126985A (ja) 成形体、その製造方法及び該成形体の用途
WO2019181828A1 (ja) 導電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4802368B2 (ja) 高導電性成形品の製造方法
JP5362312B2 (ja) 導電性樹脂成形物
JP4429706B2 (ja) 導電性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成形品
JP5129561B2 (ja) 帯電防止性樹脂組成物
JP2003342474A (ja) 導電性樹脂材料
CN116903991A (zh) 聚醚醚酮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JP2016188359A (ja) ポリエーテル芳香族ケトン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