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7633B1 - 고주파 처치 기구 - Google Patents

고주파 처치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7633B1
KR100777633B1 KR1020060047277A KR20060047277A KR100777633B1 KR 100777633 B1 KR100777633 B1 KR 100777633B1 KR 1020060047277 A KR1020060047277 A KR 1020060047277A KR 20060047277 A KR20060047277 A KR 20060047277A KR 100777633 B1 KR100777633 B1 KR 1007776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gh frequency
flexible sheath
guide
guide collar
knif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7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1766A (ko
Inventor
하루오 아키바
마모루 마치야
마사유키 오오야츠
Original Assignee
후지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5152005A external-priority patent/JP463203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152007A external-priority patent/JP4794214B2/ja
Application filed by 후지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21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17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7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76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92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having a flexible, catheter-like structure, e.g. for heart ab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601Cut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2018/1475Electrodes retractable in or deployable from a hou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3Automatic limiting or abutting means, e.g. for safety
    • A61B2090/033Abutting means, stops, e.g. abutting on tissue or skin
    • A61B2090/034Abutting means, stops, e.g. abutting on tissue or skin abutting on parts of the device itsel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218/00Details of 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218/001Details of 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having means for irrigation and/or aspiration of substances to and/or from the surgical site
    • A61B2218/002Irrig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lasma & Fu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ardi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Discharge Heating (AREA)
  • Knives (AREA)

Abstract

내시경의 처치 기구 삽입 채널 내에 삽입 가능한 유연한 시스와, 이 유연한 시스의 내부에 형성되고, 유연한 코드의 선단에 고주파 전류가 인가되는 고주파 나이프를 형성한 처치 기구 본체로 이루어지는 고주파 처치 기구로서, 상기 유연한 시스 내에, 상기 고주파 나이프를 안내하기 위해 각각 전기 절연 부재로 되는 제 1, 제 2 가이드 칼라를 장착하고, 상기 제 2 가이드 칼라의 선단면은 상기 유연한 시스의 선단면과 거의 동일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 1 가이드 칼라는 이 제 2 가이드 칼라보다 기단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가이드 칼라는 상기 고주파 나이프를 상기 유연한 시스의 내면으로부터 이 유연한 시스의 중심축선을 향하는 방향으로 안내하는 제 1 가이드면을 갖는 것이며, 상기 제 2 가이드 칼라에는 상기 고주파 나이프를 출몰시키는 삽입구멍이 형성되고, 또한, 이 삽입구멍을 향해서 상기 고주파 나이프를 안내하는 제 2 가이드면을 갖는 것이며, 이 제 1, 제 2 가이드면은 스페이서부에 의해 상호 이간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 2 가이드 칼라에는 상기 제 1 가이드면으로부터 외주측의 위치에 상기 유연한 시스 내로 통하는 유체 공급 통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처치 기구 본체에 상기 삽입구멍으로부터의 돌출 길이를 규제하는 스토퍼 부재를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처치 기구.
고주파 처치 기구

Description

고주파 처치 기구{HIGH FREQUENCY TREATMENT TOOL}
도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낸 고주파 처치 기구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2는 도1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3은 처치 기구 본체의 선단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며, 니들형 나이프가 제 1 가이드 칼라의 위치까지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4는 도3의 상태로부터 니들형 나이프가 제 1 가이드 칼라의 위치를 통과하여 제 2 가이드 칼라의 위치까지 진행된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3과 마찬가지의 단면도이다.
도5는 니들형 나이프가 제 2 가이드 칼라의 삽입구멍으로부터 도출된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3과 마찬가지의 단면도이다.
도6은 도4의 X-X 단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낸 고주파 처치 기구를 내시경의 처치 기구 삽입 채널로부터 도출한 상태를 나타낸 외관도이다.
도8은 고주파 처치 기구를 이용하여 절개를 행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작용 설명도이다.
도9는 도1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10은 처치 기구 본체의 선단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11은 전극 부재가 돌출된 상태를 나타낸 도10과 마찬가지의 단면도이다.
도12는 격벽부재에 형성된 액체 분사 통로 홈과 스토퍼 부재에 형성된 송액 통로 홈(送液通路溝)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13은 스토퍼 부재에 형성된 송액 통로의 변형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내시경의 처치 기구 삽입 채널내에 삽입되고, 병변점막부(病變粘膜部)의 절개와 같은 처치를 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고주파 처치 기구에 관한 것이다.
내시경검사에 의해 식도, 위, 십이지장, 대장 등의 체강내벽(體腔內壁)에 있어서의 점막부분에 종양과 같은 병변부(病變部)가 발견되었을 경우, 고주파 처치 기구를 이용하여 이 병변점막의 부위를 절제하는 처치가 행해진다. 이 경우, 처치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내시경에 의한 관찰하에 처치를 행하지만, 이것을 위해 사용되는 고주파 처치 기구는 내시경의 처치 기구 삽입 채널에 삽입시켜 처치해야 할 부위로 안내되게 한다. 여기서, 체강내벽에 있어서, 점막층의 하부에는 점막하층이 존재하고 있고, 근육층은 이 점막하층으로 덮여 있다. 그리고, 고주파 처치 기구를 이용하여 병변점막층을 절개하여 제거하는 처치는 병변부에 잔류하지 않도록 해야하고, 또 근육층에는 아무런 데미지(damage)를 주지 않도록 해야 한다.
점막층의 절개에 이용할 수 있는 고주파 처치 기구는 봉상부(棒狀部)를 갖는 전극 부재로 이루어지는 고주파 나이프(knife)를 유연한 시스 내에 장착함으로써 구성되고, 유연한 시스의 기단부(基端部)에는 조작수단이 연결되어 있고, 이 조작수단에 의한 원격조작으로 고주파 나이프를 유연한 시스의 선단으로부터 출몰하도록 제어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유연한 시스로부터 돌출된 고주파 나이프에 통전함으로써 점막을 소작(燒灼)하여 절개할 수 있다.
고주파 나이프를 구성하는 전극 부재의 구조로서는 봉상의 전극 부재를 곧게 연장한 니들형 나이프(needle-like knife)와, 봉상의 전극 부재의 선단에 큰 직경의 전극부를 연속적으로 설치하거나 선단을 거의 L자형으로 굴곡 시킴으로써 후크부를 형성한 후크 나이프(hook knife)가 있다. 니들형 나이프는 점막을 찌르도록 조작되고, 또한, 전극 부재를 수평 이동시키거나 스윙(swing) 동작시킴으로써 점막 등을 절개할 수 있다. 한편, 후크 나이프는 점막 등의 조직을 선단의 후크부에서 걸리게 하고, 내시경의 삽입부 측에 인입되도록 동작시킴으로써 절개가 행해지게 된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고주파 나이프의 통전시에, 이 고주파 나이프가 근육층에 대해서는 확실히 비접촉 상태로 유지되지 않으면 안 된다. 니들형 나이프를 이용할 경우에는, 이 니들형 나이프가 유연한 시스의 전방에 위치하고 있고, 또한, 점막을 찌르게 되기 때문에 처치를 행할 때 니들형 나이프의 선단이 내시경의 관찰 시야에 의해 파악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니들형 나이프의 유연한 시스로부터의 돌출 길이 및 그 방향이 정확히 제어되지 않는 한, 처치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없 게 된다.
이에 대하여, 후크 나이프는 내시경의 관찰 하에서 후크 나이프를 점막 등에 걸리게 하고, 이어서, 이 후크 나이프에 고주파 전류를 흘리면서 처치 기구 삽입 채널(channel) 내에 인입되도록 동작시킴으로써 점막을 절개하게 된다. 따라서, 후크 나이프를 조작하고 있는 동안은 이 후크 나이프의 선단부를 항상 내시경의 관찰하에 둘 수 있으므로, 통전 상태로 했을 때 근육층에 접촉하지 않도록 조작할 수 있다.
단, 후크 나이프를 사용할 경우에 있어서, 점막 등의 조직을 걸리게 하는 조작을 원활히 행하기 위해 후크 나이프의 선단부분이 안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작동시에 있어서의 후크 나이프의 안정을 도모하는 기구를 갖춘 구성으로 한 것이 일본 특허 공개 제2004-313537호 공보에 제안되어 있다. 이 일본 특허 공개 제2004-313537호 공보의 고주파 처치 기구는 유연한 시스의 선단에 전기 절연 부재를 장착하고, 이 전기 절연 부재에 관통구멍을 설치하고, 후크 나이프를 구성하는 전극 부재에 있어서의 봉상의 부위를 이 관통구멍으로 삽입되게 구성하고, 또한, 선단의 후크부는 전기 절연 부재의 선단 외면에 접촉가능하게 되어 있다. 통전시에는 전극 부재를 유연한 시스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돌출시키지만, 관통구멍의 직경과 전극 부재의 외경 사이의 차이를 최소화하고, 또한, 전극 부재의 돌출길이를 규제함으로써 전극 부재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전극 부재를 이용하여 병변부를 절개하는 처치를 행하고 있는 동안에는 출혈이 생길 경우가 있기 때문에 병변부를 확인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전기 절연 부재에 전극 부재를 삽입시키는 관통구멍과는 다른 개구를 형성하거나 관통구멍을 십자형 내지 삼각형으로 함으로써 전극 부재의 봉상부가 진입할 수 없는 액체유출부를 형성하고 있다. 유연한 시스의 기단부에 시린지(syringe)를 접속하고, 이 시린지에 생리식염수를 충전하고, 이 시린지를 조작함으로써, 액체유출부로부터 출혈부를 향해 생리식염수를 분출시켜서 세정할 수 있다.
그런데, 고주파 나이프를 후크 나이프로 했을 경우에는 이 후크 나이프에 의해 점막이나 점막하층을 걸리게 하고, 처치 기구 삽입 채널 내를 향해 인입되도록 조작하고, 그 상태로 후크 나이프에 통전함으로써 조직을 절단하고, 이어서, 후크 나이프를 다시 처치 기구 삽입 채널로부터 후크 나이프를 도출시키는 조작을 되풀이하여 행하게 된다. 따라서, 조작의 효율성과 신속성이 얻어질 수 없고, 병변점막을 제거하는 처치에 긴 시간이 필요하게 되고, 그만큼 피검자의 고통과시술자의 부담이 증대하게 된다.
한편, 니들형 나이프를 사용하는 경우, 처치를 행하는데 있어서의 조작의 효율성과 신속성을 도모할 수 있다. 다만, 니들형 나이프를 이용할 경우, 처치의 안전성 및 확실성을 도모하기 위해서, 니들형 나이프로 처치를 행하는 경우 이외는 그것을 유연한 시스의 내부에 배치하고, 또한, 처치를 행할 경우에는, 유연한 시스로부터의 돌출 길이를 규제하지 않으면 안된다. 또한, 니들형 나이프의 선단에 의해 건강한 조직에 데미지를 주지 않도록 예컨대, 병변점막을 절제하는 경우, 점막의 하부에 위치하는 근육층에 니들형 나이프가 접촉하지 않도록 하여 조작할 필요가 있다.
또한, 고주파 나이프의 후크부는 유연한 시스의 선단에 형성된 전기 절연 부재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항상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예컨대, 처치 기구 삽입 채널에 삽입하는 조작을 행하고 있는 동안 등에 있어서, 전극 부재에 실수로 통전되면 채널 내벽을 손상시키는 등의 문제점도 있다. 또한, 액체를 분사시킬 경우, 그 분사통로의 전방에 후크부가 위치하고 있으므로, 분사된 액체는 이 후크부에 의해 차단되고, 목적으로 하는 부위를 향하여 정확히 분사될 수 없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처치를 행하지 않고 있을 때에는 고주파 나이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안전하게 조작을 행할 수 있게 하고, 또한, 소망하는 위치에 효율적으로 액체를 공급할 수 있는 고주파 처치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는 내시경의 처치 기구 삽입 채널 내에 삽입 가능한 유연한 시스와, 이 유연한 시스의 내부에 형성되고 유연한 코드(code)의 선단에 고주파 전류가 인가되는 고주파 나이프를 형성한 처치 기구 본체로 이루어지는 고주파 처치 기구에 있어서, 상기 유연한 시스 내에 상기 고주파 나이프를 안내하기 위해 각각 전기 절연 부재로 이루어지는 제 1, 제 2의 가이드 칼라(guide collar)를 장착하고, 상기 제 2 가이드 칼라의 선단면은 상기 유연한 시스의 선단면과 거의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 1 가이드 칼라는 이 제 2 가이드 칼라보다 기단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가이드 칼라는 상기 고주파 나이프를 상기 유연한 시스의 내면으로부터 이 유연한 시스의 중심축선을 향하는 방향으로 안내하는 제 1 가이드면을 가지며, 상기 제 2 가이드 칼라에는 상기 고주파 나이프를 출몰시키는 삽입구멍이 형성되고, 또한, 이 삽입구멍을 향하여 상기 고주파 나이프를 안내하는 제 2 가이드면을 가지며, 이들 제 1 및 제 2 가이드면은 스페이서부에 의해 상호 이간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 2 가이드 칼라에는 상기 제 1 가이드면의 내주 에지보다 적어도 외주측의 위치에 상기 유연한 시스 내로 통하는 유체 공급 통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처치 기구 본체에 상기 삽입구멍으로부터의 돌출 길이를 규제하는 스토퍼 부재를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스토퍼 부재에 의한 상기 고주파 나이프의 돌출 길이는 점막층의 두께보다 길고, 점막층과 점막하층의 두께의 합보다 짧은 것으로 하기 때문에, 통상 수 ㎜이하, 보다 구체적으로는 1∼3㎜이다.
유연한 시스 내에 장착되고, 전기 절연 부재로 이루어지는 제 1, 제 2 가이드 칼라는 예컨대, 합성 수지로 형성할 수도 있지만 내열성 등을 감안하면 세라믹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고주파 나이프는 유연한 시스 내에 있어서, 제 1 가이드 칼라보다 기단측에까지 인입함으로써, 비록 오조작에 의해 통전되어도 별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다. 고주파 나이프는 제 2 가이드 칼라로 형성된 삽입구멍으로 삽입되어 외부로 돌출되게 된다. 이 삽입구멍으로부터 도출된 고주파 나이프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 삽입구멍의 직경과 고주파 나이프의 외경의 차이를 가능한 한 작게 하여 그 사이의 간극을 최소한으로 한다.
고주파 나이프를 삽입구멍의 기단측에까지 인입한 상태에서 삽입구멍을 향해서 안내할 필요가 있지만, 고주파 나이프를 안내하는 만큼의 기능을 발휘시키는 것이라면 단일 가이드 칼라를 이용하고, 그 외주측으로부터 삽입구멍에 이르는 테이퍼진 형상의 가이드면을 형성하는 것이 고려된다. 단, 가이드 칼라에는 유체 공급 통로가 형성되므로 고주파 나이프의 선단이 가이드면에 인접하여 안내되어 있는 동안, 이 유체 공급 통로 내에 들어가고, 그 위치에서 잠겨져 삽입구멍에까지 안내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이러한 사태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전극 부재를 삽입구멍을 향하여 2단으로 가이드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우선, 제 1 가이드 칼라에 형성한 제 1 가이드면의 내주 에지부는 유연한 시스의 종단면에 있어서, 제 2 가이드 칼라에 형성한 유체 공급 통로의 위치와 같거나 그것보다 안쪽에 위치되어 있다. 유체 공급 통로는 제 2 가이드 칼라에 형성한 관통구멍으로 형성할 수 있지만, 유로 면적을 크게 하기 위해 외주측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를 갖는 하나 또는 복수의 홈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쨌든, 유연한 시스의 종단면에 있어서 유체 공급 통로는 제 1 가이드면과 오버랩(overlap)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제 2 가이드 칼라에 형성한 제 2 가이드면은 제 1 가이드면을 따라 안내된 전극 부재의 선단이 접촉해서 삽입구멍으로 이행시키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제 2 가이드면의 외주 에지부는 제 1 가이드면의 내주 에지부와 거의 일치시키거나 양쪽 가이드면을 어느 정도 오버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고주파 나이프의 형상 등에 의해서 제 1, 제 2 가이드면에 다소의 갭(gap)이 있어도 제 1 가이드면으로부터 제 2 가이드면으로 이행시킬 수 있다.
제 1, 제 2 가이드면을 축선방향으로 이간시키기 위한 스페이서부는 제 1, 제 2 가이드 칼라의 단부면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형성된다. 이 스페이서부는 독립 부재로 구성할 수도 있지만, 제 1 가이드 칼라 또는 제 2 가이드 칼라의 어느 한쪽의 단부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예컨대, 제 1 가이드 칼라와 일체로 스페이서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 스페이서부의 형상으로서는 그 구성이 간단하고 높은 강도를 유지시키기 위해 원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제 1 가이드 칼라의 외주면에 연속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지만, 제 1 가이드면과 제 2 가이드면을 이간시키는 구성이면 상기 구성에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스페이서부를 제 1 가이드 칼라의 외주면에 형성하고, 또한, 유체 공급 통로를 제 2 가이드 칼라의 외주면에 홈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했을 경우, 스페이서부는 유체 공급 통로와 오버랩하게 된다. 이 경우, 홈은 스페이서부로부터 내측까지의 깊이를 갖도록 한다.
스토퍼 부재는 고주파 나이프의 기단부 또는 그 근방 위치에 배치되지만 고주파 나이프보다 큰 직경의 링 부재로 형성할 수 있다. 이 스토퍼 부재의 외경 치수는 제 1 가이드면의 내주보다 작은 것으로 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스토퍼 부재는 제 2 가이드 칼라에 있어서의 테이퍼진 형상으로 된 제 2 가이드면에 접촉 및 이간되도록 구성해도 좋지만 제 1 가이드면의 내주 에지보다 제 2 가이드면에 있어서의 외주 에지 쪽이 작을 경우에는 스토퍼 부재는 제 2 가이드 칼라에 있어서 그 제 2 가이드면의 외측에 형성한 평탄면에 접촉 및 이간되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고주파 처치 기구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부는 상기 제 1 가 이드 칼라에 연속적으로 설치되고, 또한, 상기 스토퍼 부재는 상기 고주파 나이프의 기단부에 장착되고, 그 외경이 상기 제 1 가이드면의 내경보다 작은 링 형상의 부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체 공급 통로는 상기 제 2 가이드 칼라의 외주면에 축선방향으로 관통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소의 홈을 형성한 것으로 구성되고, 이 홈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스페이서부의 내측에서 상기 제 2 가이드 칼라로의 상기 스토퍼 부재의 접촉부보다 외측으로 개구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고주파 처치 기구로 처치를 행하지 않고 있을 때에는, 그 고주파 나이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안전하게 조작을 행할 수 있게 되고, 또한, 필요에 따라 생리식염수 등의 유체를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유연한 코드의 선단에 고주파전류가 인가 가능한 직선 형상의 전극 부재를 구비한 처치 기구 본체를 유연한 시스의 내부에 장착하고, 내시경의 처치 기구 삽입 채널을 통해 체강내에 삽입되는 고주파 처치 기구에 있어서, 상기 유연한 시스 내에는 상기 전극 부재를 출몰시키는 삽입구멍을 형성한 격벽 부재를, 상기 격벽 부재의 선단면이 이 유연한 시스의 선단면과 거의 동일한 위치가 되도록 하여 고정적으로 장착하고, 상기 처치 기구 본체에는 상기 전극 부재의 상기 삽입구멍으로부터의 돌출 길이를 규제하는 스토퍼 부재를 상기 격벽 부재의 기단측면에 접촉 및 이간 가능하게 형성하고, 상기 격벽 부재에는 상기 유연한 시스의 내부로부터 공급되는 액체를 분사하는 적어 도 1개소의 액체 분사 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스토퍼 부재에는 그 임의의 회전위치에서 상기 액체 분사 통로와 연통하는 송액 통로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극 부재로서 직선형상으로 된 것, 즉, 니들형 나이프를 사용한다. 이 니들형 나이프는 유연한 시스에 삽입되고, 고주파 처치 기구에 의해 실제로 처치를 행하는 때 이외에는 이 전극 부재를 유연한 시스 내에 확실히 수용시켜 둔다. 그리고, 처치를 행할 때에는 전극 부재를 돌출시키지만 이 전극 부재의 돌출 길이를 규제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유연한 시스에는 격벽 부재를 형성하고, 전극 부재를 형성한 처치 기구 본체 측에는 스토퍼 부재를 형성하고, 이 스토퍼 부재가 격벽 부재에 접촉하는 위치까지만 전극 부재로부터 돌출시키지 않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격벽 부재 및 스토퍼 부재는 함께 경질 부재로 구성되기 때문에 내시경의 처치 기구 삽입 채널에 고주파 처치 기구를 원활히 삽입하기 위해서는, 특히, 유연한 시스에 고정되어 형성되는 격벽 부재 축선 방향의 길이를 너무 길게 할 수 없다. 고주파 처치 기구는 길고 유연한 부재이고, 고주파 처치 기구를 루프 형상으로 감거나 또는, 내시경 삽입부를 만곡시킨 상태로 그 처치 기구 삽입 채널에 삽입하는 등에 의해 유연한 시스와 처치 기구 본체가 상대위치 차이를 보이고, 전극 부재가 삽입구멍을 형성한 격벽 부재보다 기단측으로 변위된다. 즉, 전극 부재는 삽입구멍으로부터 내측으로 빠져나가게 된다. 따라서, 처치를 행하는 때에는, 전극 부재를 삽입구멍으로 진입시키도록 조작하지 않으면 안된다. 전극 부재를 격벽 부재로부터 돌출시킨 경우에, 전극 부재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 삽입구멍의 내경과 전극 부재의 외경의 직경 차이를 작게 하는 경우 전극 부재가 삽입구멍에 대하여 위치 차이가 있으면 이 삽입구멍으로 진입할 수 없게 된다. 격벽 부재에 드로인부(draw-in portion)를 형성함으로써 전극 부재를 삽입구멍으로 안내되게 할 수 있지만, 더욱이 전극 부재의 삽입구멍으로의 삽입을 더욱 확실히 하기 위해서는 스토퍼 부재의 외경과 유연한 시스의 내경 사이의 차이를 작게 하여 유연한 시스 내에서는 전극 부재 축선방향 이외의 움직임을 규제한다. 따라서, 스토퍼 부재는 실질적으로 유연한 시스의 내벽에 대하여 슬라이딩하도록 동작한다. 결과적으로, 전극 부재는 유연한 시스 내에 있어서, 거의 그 축심 위치에 유지되기 때문에, 확실히 삽입구멍으로 안내되게 된다.
예컨대, 처치를 행하고 있는 동안에 점막부 등에 출혈이 생겼을 경우, 생리식염수 등의 액체를 분사함으로써 출혈부를 씻어낸다. 이것 때문에, 유연한 시스의 내부가 송액용 경로로서 이용된다. 즉, 유연한 시스 내에 있어서, 처치 기구 본체를 구성하는 유연한 코드와의 사이의 틈을 송액용 경로로 하고 있다. 유연한 시스의 내부에 있어서, 유연한 코드의 선단 근방에는 스토퍼 부재가 장착되어 있고, 또한, 유연한 시스의 선단부에는 격벽 부재가 고정되어 형성되어 있다. 격벽 부재에는 액체 분사 통로를 형성하고, 또한, 스토퍼 부재에 송액 통로를 형성한다. 격벽 부재는 유연한 시스의 내면에 강고하게 고정되기 위해 필요한 접촉 면적을 갖지 않으면 안된다. 따라서, 연통로의 크기가 한정된다. 한편, 이 격벽 부재의 기단측에는 스토퍼 부재가 형성되어 있고, 전극 부재의 자세를 안정시키기 위해 이 스토퍼 부재의 외경을 크게 하지만 이 스토퍼 부재는 반드시 넓은 면적으로 유연한 시스에 접촉시킬 필요는 없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격벽 부재에 형성되는 액체 분사 통로는 홈 또는 관통구멍으로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홈으로 형성할 경우에는 외주측에 형성한다. 액체 분사 통로는 1개소라도 좋지만,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소, 예컨대, 3개소 정도로 한다. 스토퍼 부재에 형성된 송액 통로에 대해서도, 홈으로 형성해도 좋고, 또한, 관통구멍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송액 통로를 관통구멍으로 형성할 경우에는 그 반경방향의 위치가 격벽 부재의 액체 분사 홈과 오버랩하는 위치이며, 원주방향에 있어서의 피치(pitch) 간극은 액체 분사 통로에 있어서의 원주방향의 폭보다 작은 간극으로 한다. 그리고, 관통구멍의 직경은 가능한한 큰 것이 바람직하다. 송액 통로를 스토퍼 부재의 외주부에 형성한 홈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스토퍼 부재는 유연한 시스의 내부에 있어서, 전극 부재 축선방향의 위치를 안정시키도록 하면 좋기 때문에 그 유연한 시스로의 슬라이딩 면적을 너무 넓게 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송액 통로를 구성하는 홈의 깊이는 격벽 부재 홈의 깊이와 거의 동일하게 하고, 원주방향의 폭을 격벽 부재 홈에 있어서의 홈간 간극의 원주방향의 폭보다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격벽 부재 및 스토퍼 부재에 형성되는 홈은 동수이어도 좋지만, 다른 수, 예컨대, 격벽 부재 측의 홈을 3개소, 스토퍼 부재 측의 홈을 4개소 형성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액체 분사 통로 및 송액 통로는 각각 상기 격벽 부재 및 스토퍼 부재의 외주부에 형성한 복수의 홈 또는 관통구멍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니들형 나이프를 이용하여 안전하게 점막 절개 등의 처치를 행할 수 있고, 처치를 원활하고 확실하게 또한,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고, 더욱 출혈부 등을 향해서 정확하게 액체를 분사할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
이하,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1은 고주파 처치 기구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고, 도2는 그 요부 확대 단면을 나타낸다. 또한, 도3 내지 도5는 각각 다른 작동 상태에서의 고주파 처치 기구의 선단부분의 단면을 나타낸다.
우선, 도1 및 도2에 있어서, 1은 고주파 처치 기구가며, 이 고주파 처치 기구(1)는 길이가 긴 유연한 시스(2)를 갖고, 이 유연한 시스(2)의 기단부에는 접속 파이프(3)가 연결되어 있고, 또한, 이 접속 파이프(3)의 타단에는 조작수단(4)이 연결되어 있다. 조작수단(4)은 접속 파이프(3)에 연결한 본체축(4a)과, 이 본체축(4a)에 끼워 맞추어져 본체축(4a)의 축선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형성된 슬라이더(4b)로 구성되어 있다. 슬라이더(4b)에는 처치 기구 본체(10)를 구성하는 유연한 코드(11)의 기단부가 연결되어 형성되고 있다.
유연한 코드(11)는 도3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예컨대, 도전선부(導電線部)(11a)의 외주부를 절연피복(11b) 내에 삽입시켜 이루어지고, 적어도 굴곡 방향으로 유연성을 구비하고 있다. 이 유연한 코드(11)에 있어서의 도전선부(11a)의 기단부는 슬라이더(4b)로의 연결부로부터 소정 길이로 돌출하여 접점부(1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접점부(12)는 도시되지 않은 고주파 전원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게 되어 있다.
처치 기구 본체(10)를 구성하는 유연한 코드(11)는 슬라이더(4b)로의 설치부로부터 접속 파이프(3)의 내부를 통과하여 유연한 시스(2) 내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유연한 코드(11)의 선단부로부터 니들형 나이프(13)가 돌출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니들형 나이프(13)는 바람직하게는 경질인 봉상부재로 이루어지고, 유연한 코드(11)의 도전선부(11a)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그 소정 길이 만큼은 외부에 노출하고, 통전시에는 이 부분이 체내조직에 작용하여 이 조직을 소작하여서 절개, 점막 박리 등의 처치를 행할 수 있는 것이다.
20은 제 1 가이드 칼라, 30은 제 2 가이드 칼라이다. 이들 제 1, 제 2 가이드 칼라(20, 30) 중에서 적어도 제 2 가이드 칼라(30)는 전기 절연 부재, 특히, 세라믹으로 형성된다. 한편, 제 1 가이드 칼라(20)에 대해서는 반드시 전기 절연 부재로 하지 않아도 좋지만 세라믹, 합성 수지 등의 전기 절연 부재로 구성해도 좋고, 또한, 금속 등의 도전 부재로 구성할 수도 있다. 제 1 가이드 칼라(20)는 그 외경이 유연한 시스(2)의 내경보다 약간 큰 외경치수를 갖고, 이 유연한 시스(2)의 내부에 장착되고, 또한 이 제 2 가이드 칼라(30)는 유연한 시스(2) 내에 있어서, 제 1 가이드 칼라(20)보다 선단측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제 2 가이드 칼라(30)의 선단면은 유연한 시스(2)의 선단면과 거의 동일한 위치에 배치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 1 가이드 칼라(20)에는 제 1 가이드면(21)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 1 가이드면(21)은 유연한 시스(2)의 기단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하여 소정 각도로 기울어져 내향으로 경사진 테이퍼 면으로 된 것이며, 이 제 1 가이드면(21)은 제 1 가 이드 칼라(20)의 외주부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소정 폭을 갖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가이드면(21)을 형성한 부위의 선단측에는 스페이서부(22)가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스페이서부(22)는 제 1 가이드 칼라(20)의 외주부와 동일한 외경을 갖는 것이며, 또한, 제 1 가이드면(21)의 내주 에지보다 큰 외경을 갖는 두께의 엷은 링 형상 부재이다.
제 2 가이드 칼라(30)에는 유연한 시스(2)의 중심축선이 되는 위치에 삽입구멍(31)이 형성되어 있다. 유연한 코드(11)의 선단에 형성된 니들형 나이프(13)는 이 삽입구멍(31)으로 삽입 분리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니들형 나이프(13)의 외경보다 삽입구멍(31)의 내경 측이 크지만 그 직경 차이를 작게 함으로써 실질적으로 간극이 생기지 않도록 구성하고, 또한, 니들형 나이프(13)의 삽입구멍(31)으로부터의 돌출길이를 수 ㎜이하, 예컨대, 1∼3㎜ 정도로 하고 있다. 그 결과, 삽입구멍(31)으로부터 니들형 나이프(13)를 돌출시키면 이 니들형 나이프(13)가 직진 상태로 안정한 상태로 유지되게 되어 외력 등의 작용으로 구부러지거나 변형되지 않는다. 또한, 니들형 나이프(13)의 제 2 가이드 칼라(30)에 있어서의 축선방향의 길이도 삽입구멍(31)으로부터 돌출하는 니들형 나이프(13)의 안정화를 꾀하는 상태에서 중요한 요소가 된다. 따라서, 삽입구멍(31)의 길이는 니들형 나이프(13)의 안정에 필요한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제 2 가이드 칼라(30)에 있어서의 제 1 가이드 칼라(20)와 대면하는 측의 단부면에는 삽입구멍(31)을 향하여 니들형 나이프(13)를 안내하는 제 2 가이드면(32)이 형성되어 있다.
제 2 가이드면(32)의 외주부는 제 1 가이드 칼라(20)에 있어서의 제 1 가이 드면(21)으로부터 니들형 나이프(13)의 선단부를 제 2 가이드 칼라(30)로 확실히 이행시키기 위해서 유연한 시스(2)의 축선방향에서 보았을 때 제 1 가이드면(21)의 내주 에지로부터 외측에까지 연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니들형 나이프(13)가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이 거의 반구면 형상이 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가이드면(21)의 내주 에지와 제 2 가이드면(32)의 외주부의 사이에 니들형 나이프(13)의 반경 이하의 갭이 발생해도 좋다.
유연한 코드(11) 및 니들형 나이프(13)를 포함하는 처치 기구 본체(10)에 있어서, 니들형 나이프(13)와 유연한 코드(11) 사이의 이행부에는 스토퍼 부재(1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스토퍼 부재(14)는 니들형 나이프(13)의 외경 및 삽입구멍(31)의 내경보다 큰 링 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니들형 나이프(13)의 외주이며 절연피복(11b)의 선단부에 고정되어 형성된다. 스토퍼 부재(14)는 바람직하게는, 제 2 가이드 칼라(30)에 있어서, 그 제 2 가이드면(32)의 외주부로부터 이행하는 평탄부에 접촉 및 이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스토퍼 부재(14)의 외경 치수는 제 1 가이드 칼라(20)에 있어서의 제 1 가이드면(21)의 내주 에지가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되어 있다.
스토퍼 부재(14)는 니들형 나이프(13)의 유연한 시스(2)의 선단면[제 2 가이드 칼라(30)와 거의 동일면을 형성하고 있음]으로부터의 돌출 길이를 규제하는 것이며, 그 최대 돌출 길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유연한 시스(2)의 선단면을 점막표면에 접촉시켰을 때에, 점막층의 두께 치수 이상이며, 점막층과 점막하층 두께의 합 이하로 하고 있다. 따라서, 고주파 처치 기구(1)에 의해 처치가 행하여지는 부 위에 따라 니들형 나이프(13)의 바람직한 돌출 길이는 바뀌게 된다.
또한, 이 고주파 처치 기구(1)는 예컨대, 생리식염수 등의 유체 공급 수단을 갖고 있다. 이 유체 공급 수단은 접속 파이프(3)에 형성된 배관 접속부(3a)를 갖고, 이 배관 접속부(3a)에는 송액 탱크(5)로부터의 송액 배관(6)이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송액 배관(6)의 도중에는, 풋 스위치(foot switch) 등과 같이 유로를 개폐하는 스위칭수단(7)이 형성되어 생리식염수의 공급 제어를 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접속 파이프(3)에 연결되어 있는 유연한 시스(2)의 내부, 즉, 유연한 시스(2)의 내면과 이 유연한 시스(2)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처치 기구 본체(10)의 외면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원고리형의 간극이 송액 통로로서 기능한다. 또한, 처치 기구 본체(10)에 있어서의 유연한 코드(11)는 접속 파이프(3)를 통과하여 본체축(4a)에 삽입되어 있지만, 이 접속 파이프(3) 내에는, 유연한 코드(11)의 주위에 씰(Seal) 부재(15)가 장착되어 유체가 조작수단(4) 측으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유체 공급 통로의 선단은 유연한 시스(2)와 제 2 가이드 칼라(30)의 접합 부분으로 개구되어 있다. 즉, 제 2 가이드 칼라(30)의 외주면에는 그 축선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치는 홈(33)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홈(33)은 제 2 가이드 칼라(30)의 원주방향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개소, 예컨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주방향에 등간극으로 3개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홈(33)의 깊이는 제 1 가이드 칼라(20)에 형성한 스페이서부(22)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에까지 연장되어 있고, 홈(33) 중 스페이서부(22)보다 내측부분은 유연한 시스(2) 내에 항상 개구되어 있 다. 단, 홈(33)의 저부는 제 1 가이드면(21)의 내주 에지와 거의 동일하거나, 또는, 그것보다 니들형 나이프(13)의 반경만큼에 상당하는 치수만큼 제 1 가이드면(21)의 내주 에지보다 내측에까지 연장시킴으로써 유체 공급 통로의 통로 단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1, 제 2 가이드 칼라(20, 30)는 유연한 시스(2)로부터 탈락하지 않도록 유지할 필요가 있다. 특히, 니들형 나이프(13)를 삽입구멍(31)으로부터 돌출시킬 때에, 가이드 칼라(20, 30)에는 니들형 나이프(13)의 선단을 누를 수 있으므로 가이드 칼라(20, 30)가 가압 되지만, 제 1, 제 2 가이드 칼라(20, 30)를 안정적 으로 유지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 1 가이드 칼라(20)의 외경은, 유연한 시스(2)의 내경보다 약간 크게 되어 있고, 이 제 1 가이드 칼라(20)는 유연한 시스(2)를 확대하도록 하여 장착되게 된다. 또한, 제 2 가이드 칼라(30)의 외주면은 기단측이 가장 직경이 크고, 선단측이 가장 직경이 작고, 중간부는 그 중간의 외경이 됨으로써 제 2 가이드 칼라(30)의 외면에는 수직방향의 단차부(30a, 30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 2 가이드 칼라(30)에 있어서의 최소 직경부의 외경은 적어도 자유상태에서의 유연한 시스(2)의 내주면의 직경과 같거나, 혹은 그것보다 크게 되어 있다. 또한, 이들 제 1, 제 2 가이드 칼라(20, 30)를 유연한 시스(2)에 의해 강고하게 고정하기 위해서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그 사이를 고착할 수도 있다. 또한, 이들 가이드 칼라(20, 30)의 외주면에 나사부를 형성하여 유연한 시스(2)에 나사결합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니들형 나이프(13)의 조작시에 있어서, 제 1 가이드 칼 라(20) 및 제 2 가이드 칼라(30)가 유연한 시스(2)의 선단을 향하여 압출되는 방향의 힘이 작용하지만, 이들 제 1, 제 2 가이드 칼라(20, 30)에 대하여는 유연한 시스(2)에 의한 체결력이 작용하고, 또한, 단차부(30a, 30b)가 유연한 시스(2)의 내면으로 물려 들어가게 됨에 따라 제 2 가이드 칼라(30)가 탈락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고주파 처치 기구(1)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며,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찰부(W)를 갖는 내시경 삽입부(S)에 형성된 처치 기구 삽입 채널(C)을 통해 예컨대, 식도, 위, 십이지장, 대장 등의 체강 내에 삽입되어서, 이 체강내벽에 병변점막이 존재할 때에, 이 병변점막부를 절개 및 박리하여 제거하는 처치의 실행 등을 위해 이용된다. 여기서, 내시경 삽입부(S)의 관찰부(W)를 통한 관찰에 의해 점막에 병변부가 존재하고 있는 것이 발견되었을 때에, 이 병변부를 포함하는 소정 영역의 점막을 박리하여 제거하지만 그 전단계로서, 바람직하게는, 이 병변점막에 국부적 주입을 행함으로써 점막을 팽윤시킨다.
고주파 처치 기구(1)가 처치 기구 삽입 채널(C)에 삽입되어, 처치가 개시되기 전 단계에서는 처치 기구 본체(10)를 구성하는 니들형 나이프(13)를 유연한 시스(2)의 내부 깊숙한 곳, 적어도 제 1 가이드 칼라(20)보다 기단측의 위치, 바람직하게는 그 보다 충분히 내측으로 인입된 상태로 한다. 이것에 의해, 가령 고주파 처치 기구(1)를 루프 형상으로 감고, 또한, 내시경 삽입부(S)를 만곡시킨 상태로 고주파 처치 기구(1)를 처치 기구 삽입 채널(C) 내에 삽입시킴으로써 처치 기구 본체(10)가 유연한 시스(2) 내에서 상대 위치 차이를 일으켰다고 해도 니들형 나이 프(13)는 확실히 유연한 시스(2)의 내부에 위치하고, 외부로 노출하지 않도록 유지된다. 따라서, 실수로 고주파 전원이 투입되어 니들형 나이프(13)에 고주파 전류가 흘렀다고 해도, 다른 물체 등과 접촉하지 않으므로 안전하다.
고주파 처치 기구(1)의 선단부분이 처치 기구 삽입 채널(C)로부터 도출하면 고주파 처치 기구(1)의 조작수단(4)을 조작하여 니들형 나이프(13)를 유연한 시스(2)의 선단으로부터 돌출시킨다. 이 때, 니들형 나이프(13)가 유연한 시스(2)의 중심축선에 대하여 최대로 벗어나 있을 경우 니들형 나이프(13)의 선단이 유연한 시스(2)의 내면과 접촉한다. 이 상태에서 니들형 나이프(13)를 처치 기구 삽입 채널(C)의 선단으로부터 도출시키도록 조작수단(4)을 조작하면 니들형 나이프(13)의 선단부가 유연한 시스(2)의 내면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가이드 칼라(20)를 구성하는 제 1 가이드면(21)에 접촉한다. 제 1 가이드면(21)은 전방을 향함에 따라 내향으로 경사져 있으므로, 니들형 나이프(13)의 선단은 이 제 1 가이드면(21)으로 슬라이딩하여 확실히 유연한 시스(2)의 중앙부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제 1 가이드면(21)은 유연한 시스(2)의 내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향하는 원고리형의 테이퍼 면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니들형 나이프(13)가 이 제 1 가이드면(21)으로 원활히 슬라이딩하여 이동한다.
니들형 나이프(13)의 선단이 제 1 가이드 칼라(20)에 있어서의 제 1 가이드면(21)의 내주 에지를 통과하면, 제 2 가이드 칼라(30)를 향하게 된다. 여기서, 제 2 가이드 칼라(30)에는 제 2 가이드면(32)이 형성되어 있고, 이 제 2 가이드면(32)은 제 1 가이드면(21)에 오버랩하거나 또는, 그 사이에 니들형 나이프(13)의 반경 이하의 갭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니들형 나이프(13)의 선단은 이 제 2 가이드면(32)에 확실히 안내되어 삽입구멍(31) 내로 드로인된다.
제 1 가이드 칼라(20)에 있어서의 제 1 가이드면(21)은 그 전 둘레에 걸쳐 결여된 부분은 없지만 제 2 가이드 칼라(30)에는 홈(33)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니들형 나이프(13)가 이 홈(33) 내로 들어가지 않도록 해야 한다. 그러나, 이 홈(33)은 제 1 가이드면(21)의 내측보다 외주측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니들형 나이프(13)의 선단이 홈(33)에 들어가서 잠겨지지 않는다. 따라서, 조작수단(4)에 의해 니들형 나이프(13)를 압입하도록 조작하는 것만으로 이 니들형 나이프(13)를 유연한 시스(2)의 내주면으로부터 제 1, 제 2 가이드면(21, 32)에 의해 삽입구멍(31) 내를 향하여 안내되어 확실히 삽입구멍(31)으로 도입될 수 있다. 따라서, 이 삽입구멍(31)의 내경과 니들형 나이프(13)의 외경 사이에 최소한의 차이를 갖게 하고 그 사이에 간극이 생기지 않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니들형 나이프(13)의 유연한 시스(2)로부터의 도출부분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구부러지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니들형 나이프(13)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기에 형성된 스토퍼 부재(14)가 삽입구멍(31)의 주위의 부위,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2 가이드면(32)보다 외측의 평탄면에 접촉하는 위치에 접촉할때까지 진행하지만, 그 이상 돌출되지 않는다. 이 때의 니들형 나이프(13)의 돌출 길이는 고주파 처치 기구(1)의 유연한 시스(2) 및 제 2 가이드 칼라(30)의 선단면을 점막 표면에 접촉시켰을 때에 점막층은 관통하지만 점막하층의 하부에 위치하는 근육층에는 도달되지 않는 길이로 하고 있 다.
따라서,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막하층에 생리식염수 등을 미리 국부적으로 주입하여 점막하층이 팽윤되어서 점막층을 근육층으로부터 크게 이간시키도록 처치해 두고, 유연한 시스(2)의 선단 및 그 내부에 형성된 제 2 가이드 칼라(30)의 선단면을 점막층에 접촉시킨 상태로, 상기한 바와 같이, 처치 기구 본체(10)를 구성하는 니들형 나이프(13)를 유연한 시스(2)로부터 도출시키고, 점막층으로 찔러 넣는다. 니들형 나이프(13)는 제 2 가이드 칼라(30)에 있어서의 삽입구멍(31)에 대하여 거의 간극없도록 삽입되므로 이 니들형 나이프(13)가 얇은 경우에도 접히거나 구부러지지 않는다. 그리고, 니들형 나이프(13)를 점막층의 내부에 찔러 넣고, 이어서, 고주파전류를 흘려보냄으로써 점막층을 소작하지만, 유연한 시스(2)의 선단면이 점막 표면에 접촉하고 있는 한 니들형 나이프(13)에 통전해도, 근육층을 손상시키지 않고 또한, 점막층을 확실히 절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점막층을 절개한 후에, 점막층을 근육층으로부터 박리하기 위해서, 유연한 시스(2)의 선단으로부터 돌출시킨 니들형 나이프(13)에 의해 점막하층의 섬유를 절단함으로써 점막 박리를 행한다. 그리고, 전술한 점막층의 절개 및 박리를 행할 때에 출혈이 있으면 배관 접속부(3a)에 접속한 송액 배관(6)으로부터 이 출혈부를 향하여 생리식염수 등의 액체를 분사시켜서 출혈 부위를 씻어낸다. 그 결과, 내시경 삽입부(S)에 있어서의 관찰부(W)로부터의 관찰 시야가 양호해진다.
또한, 생리식염수에 의해 병변부가 존재하는 점막부분을 팽윤시키고 있지만 절개를 행하는 사이에 공급한 생리식염수가 유출되거나 체내에 흡수되기 때문에 팽윤부가 수축된다. 따라서, 이 점막하층을 팽윤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해서, 상기한 바와 같은 경로를 통해 생리식염수를 보급하면서 점막 박리를 행할 수 있다. 즉, 니들형 나이프(13)를 제 2 가이드 칼라(30)에 형성된 삽입구멍(31) 내에 인입하고, 유연한 시스(2)의 선단면을 점막하층에 접촉시킨 상태로 접속 파이프(3)의 배관 접속부(3a)로부터 유연한 시스(2) 내에 고압으로 생리식염수를 공급함으로써, 점막하층을 향하여 직접 송액할 수 있다. 그 결과, 박리하려고 하는 점막하층을 팽윤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선단면을 점막하층에 접촉시키고, 필요한 개소를 향해서 생리식염수를 공급함으로써, 점막하층을 확실히 팽윤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니들형 나이프(13)에 의한 점막박리를 안전하게 행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이하,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2 실시형태의 고주파 처치 기구(100)의 전체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와 같다(도1참조).
도9(도1의 요부 확대도)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처치 기구 본체(10)를 구성하는 유연한 코드(11)는 슬라이더(4b)로의 접속부에서 접속 파이프(3)의 내부를 통과하여 유연한 시스(2) 내로 연장되어 있다. 유연한 코드(11)의 선단부로부터는 도전선이 직선 상태로 연장되어 있고, 이 도전선의 도출 부분이 니들형 나이프를 구성하는 전극 부재(13)가 되어 있다. 또한, 유연한 시스(2)의 선단부에는 격벽 부재(114)가 삽입 및 끼워 맞춰져 접착 등의 수단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격벽 부재(114)는 세라믹 등으로 이루어지고, 도10 및 도11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유연 한 시스(2)의 선단면과 거의 같은 표면을 구성하는 위치에 고정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격벽 부재(114)에는 그 중심축선의 위치에 있어서, 축선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삽입구멍(115)이 형성되어 있고, 이 삽입구멍(115)의 직경은 전극 부재(13)의 외경 치수보다 약간 큰 치수로 되어 있다. 그리고, 격벽 부재(114)의 기단부에는 삽입구멍(115)을 향하여 전극 부재(13)를 안내하는 드로인 테이퍼부(draw-in tapered portion)(114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처치 기구 본체(10)에 있어서의 유연한 코드(11)로부터 전극 부재(13)로의 이행부 또는 전극 부재(13)의 부위에는 스토퍼 부재(116)가 장착되어 있다. 스토퍼 부재(116)는 유연한 시스(2)의 내경보다 약간 작은 외경을 갖고, 따라서, 처치 기구 본체(10)를 유연한 시스(2) 내로 이동시킬 때는 이 유연한 시스(2)의 내면에 대하여 거의 슬라이딩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 처치 기구 본체(10)의 선단의 전극 부재(13)가 격벽 부재(114)의 선단면으로부터 소정 길이로 돌출한 상태가 되면 스토퍼 부재(116)가 격벽 부재(114)에 접촉하여 전극 부재(13)는 그 이상 돌출하지 않도록 규제된다.
이와 같이, 스토퍼 부재(116)를 격벽 부재(114)에 접촉시킴으로써 전극 부재(13)를 유연한 시스(2)의 선단으로부터 소정 길이로 돌출한 상태로 소정의 처치를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이 때의 전극 부재(13)의 돌출 길이는 처치의 대상이 되는 조직에 있어서의 두께에 의존한다. 예컨대, 점막의 절개를 행할 경우에는 체강내벽에 있어서의 점막층의 두께보다 길고, 점막층과 점막하층 두께의 합보다 짧은 치수로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유연한 시스(2)의 선단면을 점막층에 접 촉시킨 상태에서 전극 부재(13)에 통전하면서 점막에 대하여 찔러 넣으면 전극 부재(13)는 점막층을 관통하여 점막하층에 이르지만, 근육층에는 도달하지 않게 되고, 점막층을 확실히 절개하고, 또한, 근육층에는 데미지를 주지 않도록 하여 처치를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고주파 처치 기구(100)에서는 점막층의 절개나 근육층으로부터의 박리 등으로 한 처치가 행해지지만 이 처치를 행하는 사이에 출혈이 발생했을 때에는 이 출혈부를 씻기 위해 생리식염수 등의 액체를 공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1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접속파이프(3)에 형성된 접속구(3a)를 갖고, 이 접속구(3a)에 송액 탱크(5)로부터의 송액 배관(6)이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이 송액 배관(6)에는 예컨대, 풋 스위치(foot switch) 등에 의한 스위칭수단(7)이 장착되어 있고, 이 스위칭수단(7)에 의해 액체의 공급이 제어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접속구(3a)로부터 접속 파이프(3)의 내부를 통과하고 이 접속 파이프(3)에 접속한 유연한 시스(2)의 내부가 송액용 경로가 된다. 따라서, 유연한 코드(11)는 접속 파이프(3)의 기단부에 있어서 씰 부재(20)를 통해 외부로 도출되어 있다.
이 송액경로의 도중에는 격벽 부재(114) 및 스토퍼 부재(116)가 개재되어 있다. 또한, 격벽 부재(114)는 유연한 시스(2)의 내면에 고정되어 있고, 또한, 스토퍼 부재(116)는 유연한 시스(2)의 내면에 대하여 마찰 접촉하고 있다. 따라서, 이 격벽 부재(114) 및 스토퍼 부재(116)를 통해 유연한 시스(2)의 선단으로부터 액체를 분사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 부재(114)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에 등간극으로 3개소의 액체 분사 통로 홈(121)이 형성되어 있다. 이 액체 분사 통로 홈(121)은 격벽 부재(114)의 축선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격벽 부재(114)는 유연한 시스(2)의 내면에 고정되어 있지 않으면 안된다. 격벽 부재(114)는 유연한 시스(2) 내에 삽입되어 접착제를 이용하여 고정된다. 그리고, 격벽 부재(114)의 외주면에 형성된 액체 분사 통로 홈(121)의 원주방향의 폭은 이 격벽 부재(114)의 유연한 시스(2)로의 고정성을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가능한 한 넓게 함으로써 유로면적을 크게 한다.
이와 같이, 격벽 부재(114)는 유연한 시스(2)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지만 처치 기구 본체(10) 측에 형성된 스토퍼 부재(116)는 유연한 시스(2)의 내면에 있고 회전 방향의 위치가 규제되지 않고 있다. 그리고, 이 스토퍼 부재(116)의 외주면에는 도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 부재(114)의 액체 분사 통로 홈(121)보다 많은 수, 구체적으로는 4개소의 송액 통로 홈(122)을 원주방향에 등간극으로 형성하고 있다. 또한, 이 송액 통로 홈(122)의 깊이는 액체 분사 통로 홈(121)과 거의 동일하거나 그보다 깊게 하고, 또한, 그 원주방향에 있어서의 길이 치수는 격벽 부재(114)에 있어서의 인접촉하는 액체 분사 통로 홈(121)의 홈간 간극보다 넓게 한다. 이것에 의해, 스토퍼 부재(116)의 송액 통로 홈(122)은 임의의 회전 위치에 있고, 적어도 일부가 액체 분사 통로 홈(121)으로 연통하게 된다. 또한, 송액 통로 홈(122)을 이와 같이 구성하면 그 홈간 간극이 좁아지지만, 스토퍼 부재(116)는 전극 부재(13)를 거의 유연한 시스(2)의 축중심의 위치에 안정적으로 유지하면 좋기 때문에 유연한 시스(2)의 내면에의 마찰 접촉부는 짧아도 지장이 없다.
이것에 의해, 전극 부재(13)를 최대 돌출 위치까지 돌출시키고, 스토퍼 부재(116)가 격벽 부재(114)에 접촉했을 때에, 송액 통로 홈(122)은 격벽 부재(114)의 액체 분사 통로 홈(121)과 부분적으로 오버랩 하고 유연한 시스(2)의 선단으로부터 액체를 분사시킬 수 있게 된다.
전극 부재(13)를 유연한 시스(2)의 내부로 인입한 상태가 도10에, 또한, 전극 부재(13)가 격벽 부재(114)로부터 최대로 돌출한 상태가 도11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면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전극 부재(13)를 유연한 시스(2) 내로 인입하면, 이 전극 부재(13)의 선단은 격벽 부재(114)의 기단면보다 기단측에 배치된다. 한편, 전극 부재(13)의 최대 돌출 상태에서는 격벽 부재(114)의 삽입구멍(115)에 삽입되고 소정 길이로 돌출하게 된다. 그리고, 이 전극 부재(13)의 누르고 당기는 조작은 조작수단(4)에 의한 원격조작으로 행해진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고주파 처치 기구(100)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찰부(W)를 갖는 내시경 삽입부(S)에 형성된 처치 기구 삽입 채널(C)을 통해 체강내에 삽입되어 예컨대, 식도, 위, 십이지장, 대장 등의 체강내벽에 병변점막이 존재할 때 이 병변점막부를 박리하여 제거하는 처치를 행하는데 사용된다. 우선, 주사기를 사용하여 병변점막부에 생리식염수 등을 주입함으로써 점막하층을 팽출 및 융기시킨다. 그리고, 처치 도구 삽입 채널(C)에 고주파 처치 기구(1)를 삽입함으로써 이 고주파 처치 기구(1)로 점막의 절개를 행한다. 이 때에는, 접속 파이프(3)의 접속구(3a)에 미리 송액 배관(6)을 접속해 두고, 이 송액 배관(6)에 의해 생리식염수 등의 액체를 공급하도록 한다.
유연한 시스(2)의 선단면을 절제되는 점막층에 정확히 대향하게 하고, 또한, 점막 표면에 가볍게 누르도록 한다. 여기서, 유연한 시스(2)의 선단면은 격벽 부재(114)의 선단면과 거의 같은 면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점막 표면에는 넓은 면적으로 접촉하게 되고 점막이 압박되지 않도록 하여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조작수단(4)을 조작함으로써 전극 부재(13)를 유연한 시스(2)의 선단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한다. 그리고, 전극 부재(13)에는 고주파 전류가 흐르게 함으로써 체내조직이 소작되어 절개되게 된다. 여기서, 전극 부재(13)는 격벽 부재(114)의 삽입구멍(115)보다 기단측에 위치하고 있지만 이 전극 부재(13)의 선단 근방 위치에는 스토퍼 부재(116)가 장착되어 있고, 이 스토퍼 부재(116)는 유연한 시스(2)의 내주면에 거의 접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전극 부재(13)는 유연한 시스(2)의 내부에 있고, 그 축중심과 거의 일치하는 자세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이 전극 부재(13)는 격벽 부재(114)에 형성된 삽입구멍(115)과 거의 동일축선상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또한, 격벽 부재(114)에 있어서의 삽입구멍(115)의 주위에는 테이퍼부(114a)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조작수단(4)에 의한 원격조작에 의해, 이 전극 부재(13)는 원활하고 확실하게 삽입구멍(115)에 삽입되게 된다.
전극 부재(13)가 최대 돌출 상태가 되면, 즉, 전극 부재(13)에 장착한 스토퍼 부재(116)가 격벽 부재(114)에 접촉하는 위치까지 전진하면 이 전극 부재(13)의 선단부는 점막층을 관통하여 점막하층에 이르고, 또한, 근육층에는 도달되지 않는 위치까지 찔러 들어가게 된다. 그리고, 전극 부재(13)에 고주파전류를 흘려보내면 서, 내시경 삽입부(S)를 구부리는 조작 등에 의해 병변점막의 외주를 전극 부재(13)로 덮도록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병변점막의 외주가 절개되지만, 이 때에 점막하층에 위치하는 근육층에 아무런 데미지를 주지 않는다. 이 후에, 전극 부재(13)의 작용에 의해 점막하층을 구성하는 섬유를 절단함으로써 점막 박리를 행한다. 그리고, 이렇게 박리된 점막층은 예컨대, 파지 겸자(grasping forceps) 등에 의해 회수할 수 있다.
이상의 조작에 의해 병변점막을 남겨두지 않고 완전하게 절제할 수 있고, 또한, 건강한 점막이나 근육층에 대하여 아무런 데미지를 주지 않는다. 그리고, 전극 부재(13)는 니들형 나이프를 구성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것을 점막층에 따라 수평 이동시킴으로써, 또한 전극 부재(13)를 스윙(swing)시키는 등의 동작에 의해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점막의 절제를 행할 수 있다. 그 결과, 피검자의 고통 및 시술자의 부담 등이 경감된다.
전술한 처치를 행하고 있는 사이에 있어서, 출혈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렇게 출혈이 발생한 경우에는 액체를 분사시킴으로써 이 출혈부를 세정함으로써 관찰부(W)에 의한 관찰 시야를 확보한다. 이 때문에, 접속 파이프(3)의 접속구(3a)에 접속한 송액 배관(6)으로부터 유연한 시스(2)의 내부에 생리식염수 등의 액체를 압송한다. 이것에 의해, 유연한 시스(2)의 내부로부터 스토퍼 부재(116)의 송액 통로 홈(122) 및 격벽부재(114)의 액체 분사 통로 홈(21)을 통해 생리식염수 등이 출혈부를 향해 분사되어 그 세정을 원활히 행할 수 있다. 또한, 국부적 주입에 의해 팽윤하고 있는 점막하층으로부터 생리식염수 등의 액체가 유출하거나, 체내로 흡수 되거나 함으로써, 팽윤부가 수축하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격벽 부재(114)에 형성된 액체 분사 통로 홈(121)으로부터 생리식염수 등을 보급할 수도 있다.
여기서, 출혈부의 세탁 흘려 보내기나 생리 식염수등의 보급은, 전극 부재 (13)를 돌출한 채로 행할 수도 있지만, 이 전극 부재(13)를 삽입구멍(115) 내로 인입함으로써 유연한 시스(2)의 선단을 액체의 공급 위치에 접촉시키거나 또는, 그 바로 옆 위치에 배치해 분사시킬 수 있다. 또한, 액체 분사 통로 홈(121)의 전방에는 어떠한 부재도 배치되지 않고 있으므로 이 액체 분사 통로 홈(121)으로부터 분사되는 액체는 주위로 흩어지지 않고 목표 위치에 확실히 집중하게 된다. 따라서, 소량의 액체로 효율적인 세정 및 보급을 행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 스토퍼 부재(116)의 외주면에 형성한 송액 통로 홈(122)을 대신하고,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 부재(13)에 관통구멍으로부터 되는 송액 통로 구멍(131)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 송액 통로 구멍(131)은 원주방향에 있어서 복수로 형성되어 있고, 그 원주방향에 있어서의 피치 간극은 격벽 부재(114)에 형성된 액체 분사 통로 홈(121)의 원주방향의 폭 이하로 함으로써 스토퍼 부재(130)의 회전 위치에 구애받지 않고 적어도 일부의 송액 통로 구멍(131)이 액체 분사 통로 홈(121)과 연통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처치 기구에 의하면, 처치를 행하지 않고 있을 때에는 고주파 나이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안전하게 조작을 행할 수 있게 하고, 또한, 소망하는 위치에 효율적으로 액체를 공급할 수 있다.

Claims (5)

  1. 내시경의 처치 기구 삽입 채널(c) 내에 삽입 가능한 유연한 시스(2)와, 이 유연한 시스(2)의 내부에 형성되고 유연한 코드(11)의 선단에 고주파 전류가 인가되는 고주파 나이프(13)를 형성한 처치 기구 본체(10)로 이루어지는 고주파 처치 기구(1)에 있어서:
    상기 유연한 시스(2) 내에, 상기 고주파 나이프(13)를 안내하기 위해 각각 전기 절연 부재로 이루어지는 제 1, 제 2 가이드 칼라(20, 30)를 장착하고,
    상기 제 2 가이드 칼라(30)의 선단면은 상기 유연한 시스(2)의 선단면과 동일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 1 가이드 칼라(20)는 이 제 2 가이드 칼라(30)보다 기단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가이드 칼라(20)는 상기 고주파 나이프(13)를 상기 유연한 시스(2)의 내면으로부터 이 유연한 시스(2)의 중심축선을 향하는 방향으로 안내하는 제 1 가이드면(21)을 갖는 것이며,
    상기 제 2 가이드 칼라(30)에는 상기 고주파 나이프(13)를 출몰시키는 삽입구멍(31)이 형성되고, 또한, 이 삽입구멍(31)을 향해서 상기 고주파 나이프(13)를 안내하는 제 2 가이드면(32)을 갖는 것이며,
    이들 제 1, 제 2 가이드면(21, 32)은 스페이서부(22)에 의해 상호 이간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 2 가이드 칼라(30)에는 상기 제 1 가이드면(21)의 내주 에지보다 외주측의 위치에 상기 유연한 시스(2) 내로 통하는 유체 공급 통로(3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처치 기구 본체(10)에 상기 삽입구멍(31)으로부터의 돌출 길이를 규제하는 스토퍼 부재(14)를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처치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부(22)는 상기 제 1 가이드 칼라(20)에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스토퍼 부재(14)는 상기 고주파 나이프(13)의 기단부에 장착되고, 그 외경이 상기 제 1 가이드면(21)의 내경보다 작은 링 형상의 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처치 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공급 통로(33)는 상기 제 2 가이드 칼라(30)의 외주면에 축선방향으로 관통하는 하나 이상 개소의 홈을 형성한 것으로 구성되고, 이 홈의 일부 또는 전부는 상기 스페이서부(22)의 내측에서 상기 제 2 가이드 칼라(30)로의 상기 스토퍼 부재(14)의 접촉부보다 외측으로 개구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처치 기구.
  4. 삭제
  5. 삭제
KR1020060047277A 2005-05-25 2006-05-25 고주파 처치 기구 KR1007776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52005A JP4632039B2 (ja) 2005-05-25 2005-05-25 高周波処置具
JPJP-P-2005-00152005 2005-05-25
JPJP-P-2005-00152007 2005-05-25
JP2005152007A JP4794214B2 (ja) 2005-05-25 2005-05-25 高周波処置具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0544A Division KR100753520B1 (ko) 2005-05-25 2007-04-25 고주파 처치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1766A KR20060121766A (ko) 2006-11-29
KR100777633B1 true KR100777633B1 (ko) 2007-11-28

Family

ID=3681707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7277A KR100777633B1 (ko) 2005-05-25 2006-05-25 고주파 처치 기구
KR1020070040544A KR100753520B1 (ko) 2005-05-25 2007-04-25 고주파 처치 기구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0544A KR100753520B1 (ko) 2005-05-25 2007-04-25 고주파 처치 기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60271079A1 (ko)
EP (2) EP1726267B1 (ko)
KR (2) KR100777633B1 (ko)
AT (1) ATE403400T1 (ko)
DE (2) DE602006007945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7992B1 (ko) * 2005-08-12 2007-11-29 후지논 가부시키가이샤 고주파 처치구
US8372071B2 (en) * 2005-08-12 2013-02-12 Fujinon Corporation High-frequency treatment tool
US8277379B2 (en) 2006-01-13 2012-10-02 Mirabilis Medica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the treatment of menometrorrhagia, endometrial pathology, and cervical neoplasia using high intensity focused ultrasound energy
US20070239011A1 (en) 2006-01-13 2007-10-11 Mirabilis Medica, Inc. Apparatus for delivering high intensity focused ultrasound energy to a treatment site internal to a patient's body
US8052604B2 (en) 2007-07-31 2011-11-08 Mirabilis Medica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engagement and coupling of an intracavitory imaging and high intensity focused ultrasound probe
US8187270B2 (en) 2007-11-07 2012-05-29 Mirabilis Medica Inc. Hemostatic spark erosion tissue tunnel generator with integral treatment providing variable volumetric necrotization of tissue
US8439907B2 (en) 2007-11-07 2013-05-14 Mirabilis Medica Inc. Hemostatic tissue tunnel generator for inserting treatment apparatus into tissue of a patient
US9248318B2 (en) 2008-08-06 2016-02-02 Mirabilis Medica Inc. Optimization and feedback control of HIFU power deposition through the analysis of detected signal characteristics
US8216161B2 (en) 2008-08-06 2012-07-10 Mirabilis Medica Inc. Optimization and feedback control of HIFU power deposition through the frequency analysis of backscattered HIFU signals
US9050449B2 (en) 2008-10-03 2015-06-09 Mirabilis Medica, Inc. System for treating a volume of tissue with high intensity focused ultrasound
CA2739425A1 (en) 2008-10-03 2010-04-08 Mirabilis Medic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tissues with hifu
CN102198014B (zh) * 2011-03-11 2012-08-15 西安交通大学 高频电刀的无线控制系统
US9204868B2 (en) 2011-12-02 2015-12-08 Interscop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removing material from within a mammalian cavity using an insertable endoscopic instrument
US8882680B2 (en) 2011-12-02 2014-11-11 Interscope, Inc. Insertable endoscopic instrument for tissue removal
DE102012102271A1 (de) 2012-03-19 2013-09-19 Ovesco Endoscopy Ag Endoskopisches Chirurgieinstrument
EP3513747A1 (en) * 2013-05-17 2019-07-24 Interscope, Inc. Insertable endoscopic instrument for tissue removal
EP3222241A4 (en) * 2014-11-18 2018-08-01 Olympus Corporation Endoscopic treatment instrument
CN108472055B (zh) 2015-10-20 2022-04-15 卢门迪公司 用于执行微创手术的医疗器械
US11446081B2 (en) 2015-10-20 2022-09-20 Lumedi Ltd. Medical instruments for performing minimally-invasive procedures
US11504104B2 (en) 2015-10-20 2022-11-22 Lumendi Ltd. Medical instruments for performing minimally-invasive procedures
EP4124307A1 (de) 2021-07-26 2023-02-01 Erbe Elektromedizin GmbH Elektrochirurgisches instrument mit beweglicher elektrod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12485A1 (de) * 2003-03-20 2004-10-07 Medi-Globe Gmbh Endoskopische Punktionsnadelvorrichtung
US20040210284A1 (en) * 2003-04-17 2004-10-21 Olympus Corporation Radio knif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08137A (en) * 1985-05-20 1987-11-24 Olympus Optical Co., Ltd. High-frequency incision device
US4857057A (en) * 1985-06-28 1989-08-15 Olympus Optical Co., Ltd. Endoscope treatment device
JPS62211060A (ja) * 1986-03-12 1987-09-17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高周波処置具
WO1992013494A1 (en) * 1991-02-06 1992-08-20 Laparomed Corporation Electrosurgical device
JP3171628B2 (ja) * 1991-12-26 2001-05-28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内視鏡用高周波ナイフ
US5318565A (en) * 1992-11-12 1994-06-07 Daniel B. Kuriloff Suction cautery dissector
JP3655664B2 (ja) * 1995-05-02 2005-06-02 オリンパス株式会社 高周波ナイフ
US5964740A (en) * 1996-07-09 1999-10-12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Treatment accessory for an endoscope
DE19602759C2 (de) * 1996-01-26 2001-12-13 Wolf Gmbh Richard Instrument für die Hochfrequenzchirurgie
US6193717B1 (en) * 1997-10-16 2001-02-27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Treating instrument for endoscope
US6962597B2 (en) * 2001-10-24 2005-11-08 Scimed Life Systems, Inc. Inner member support block
JP4351458B2 (ja) * 2002-03-18 2009-10-28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挿入システム
JP4455002B2 (ja) * 2003-10-06 2010-04-21 オリンパス株式会社 高周波ナイ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12485A1 (de) * 2003-03-20 2004-10-07 Medi-Globe Gmbh Endoskopische Punktionsnadelvorrichtung
US20040210284A1 (en) * 2003-04-17 2004-10-21 Olympus Corporation Radio knif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34598B1 (en) 2009-07-22
DE602006007945D1 (de) 2009-09-03
KR100753520B1 (ko) 2007-08-31
US20060271079A1 (en) 2006-11-30
EP1726267B1 (en) 2008-08-06
KR20070050424A (ko) 2007-05-15
DE602006002061D1 (de) 2008-09-18
EP1834598A1 (en) 2007-09-19
ATE403400T1 (de) 2008-08-15
EP1726267A2 (en) 2006-11-29
EP1726267A3 (en) 2007-01-10
KR20060121766A (ko) 2006-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7633B1 (ko) 고주파 처치 기구
EP1752108B1 (en) High-frequency treatment tool
JP4836492B2 (ja) 高周波処置具及び高周波処置具を用いた粘膜剥離方法
JP4692141B2 (ja) 高周波処置具
JP2009112788A (ja) 高周波処置具
US20100241118A1 (en) High frequency treatment instrument
JP4692166B2 (ja) 高周波処置具
JP4794214B2 (ja) 高周波処置具
JP4965416B2 (ja) 高周波処置具
JP4632039B2 (ja) 高周波処置具
JP4776594B2 (ja) 高周波処置具
JP2006325812A (ja) 高周波処置具
KR100777992B1 (ko) 고주파 처치구
JP4701833B2 (ja) 高周波処置具
JP2009118891A (ja) 内視鏡用高周波処置具
JP2007313345A (ja) 高周波処置具
JP2007313344A (ja) 高周波処置具
JP2009118890A (ja) 内視鏡用高周波処置具
JP2006325787A (ja) 高周波処置具及び高周波処置具を用いた粘膜切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