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6412B1 - 광학계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독취장치 - Google Patents

광학계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독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6412B1
KR100776412B1 KR1020060008810A KR20060008810A KR100776412B1 KR 100776412 B1 KR100776412 B1 KR 100776412B1 KR 1020060008810 A KR1020060008810 A KR 1020060008810A KR 20060008810 A KR20060008810 A KR 20060008810A KR 100776412 B1 KR100776412 B1 KR 1007764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path
reflection mirror
light
reflecting
ref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8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8505A (ko
Inventor
김중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8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6412B1/ko
Priority to CNA2006101470033A priority patent/CN101008706A/zh
Priority to US11/599,295 priority patent/US20070177223A1/en
Publication of KR20070078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85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6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64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24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 H04N1/028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 H04N1/03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with photodetectors arranged in a substantially linear arr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24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 H04N1/028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 H04N1/03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with photodetectors arranged in a substantially linear array
    • H04N1/0301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with photodetectors arranged in a substantially linear array using a bent optical path between the scanned line and the photodetector array, e.g. a folded optical path
    • H04N1/0305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with photodetectors arranged in a substantially linear array using a bent optical path between the scanned line and the photodetector array, e.g. a folded optical path with multiple folds of the optical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0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 H04N1/1013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with sub-scanning by translatory movement of at least a part of the main-scanning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광학계유닛은, 원고측으로 빛을 조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 원고로부터 반사된 빛을 입사받아 다수의 광경로를 형성하는 다수의 반사미러; 반사미러에 의해 형성된 최종 광경로상에 배치되어 원고의 화상을 결상하는 결상렌즈; 결상렌즈의 결상위치에 배치된 독취부재;를 포함하고, 원고 및 결상렌즈 사이에는 다수의 반사미러에 의해 적어도 7개의 광경로가 형성되며, 원고에 의해 형성된 제1광로를 통해 빛을 입사받는 반사미러는 다른 반사미러 보다 하부측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광학계, 광경로, 독취, 결상렌즈, 반사미러

Description

광학계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독취장치{IMAGE READ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학계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독취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광학계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독취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D : 원고 10 : 원고적재대
11 : 스캔창 20 : 광학계유닛
21 : 광학프레임 22: 광원
23 : 입사부(입력부) 24 : 출사부(출력부)
25 : 결상렌즈 31, 32, 33, 34 : 반사미러
본 발명은 원고의 화상에 대응하는 독취화상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화상독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스캐너, 팩시밀리, 복사기, 복합기 등과 같은 화상독취장 치는 원고의 화상을 독취하고, 원고의 화상에 대응하는 독취화상을 전기적 신호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화상독취장치는 광원으로부터 원고적재대 위에 올려진 원고에 빛이 조사되면, 원고에서 반사된 빛은 다수의 반사미러에 의해 반사되며, 이 반사된 빛은 결상렌즈를 통과한 후에 최종적으로 CCD(Charged Couple Devic) 등과 같은 이미지센서에 결상(image formation)되고, 이렇게 결상된 독취화상은 전기적 신호 등으로 변환되어 출력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이러한 화상독취장치의 광학계유닛은, 광원과 이미지센서 사이에 다수의 반사미러에 의해 형성된 다수의 광경로(optical path)를 구비하고, 이러한 광경로의 배치관계는 화상독취장치의 독취성능을 결정짓는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된다.
특히, 광경로의 전체길이(overall optical path length)를 적절히 늘리면 비네팅현상(vignetting) 등을 약화시켜 그 독취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렇게 비네팅현상 등을 최소화하기 위해 광경로의 길이를 증대시키 위해서는 반사미러가 많이 소요되어 그 제조단가를 상승시키고, 그 사이즈를 증대시켜 실용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독취성능의 향상과 더불어 보다 컴팩트한 사이즈를 구현할 수 있는 광학계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독취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광학계유닛은,
원고측으로 빛을 조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
원고로부터 반사된 빛을 입사받아 다수의 광경로를 형성하는 다수의 반사미러;
반사미러에 의해 형성된 최종 광경로상에 배치되어 원고의 화상을 결상하는 결상렌즈;
결상렌즈의 결상위치에 배치된 독취수단;을 포함하고,
원고 및 결상렌즈 사이에는 다수의 반사미러에 의해 적어도 7개의 광경로가 형성되며, 원고에 의해 형성된 제1광로를 통해 빛을 입사받는 반사미러는 다른 반사미러 보다 하부측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수의 반사미러는 4개 이상의 갯수로 이루어진다.
상기 다수의 반사미러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은 적어도 2번 반사된다.
상기 다수의 반사미러는 빛의 입사각 및 반사각을 합한 각도가 예각이 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원고 및 반사미러들에 의해 형성된 광경로의 총길이는 250mm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반사미러는, 원고에 의해 형성된 제1광로를 통해 빛을 수직으로 입사받는 위치에 배치된 제1반사미러; 제1반사미러에 의해 형성된 제2광 로를 통해 빛을 입사받는 제2반사미러; 제2반사미러에 의해 형성된 제3광로를 통해 빛을 입사받는 제3반사미러; 및 제3반사미러에 의해 형성된 제4광로를 통해 빛을 입사받는 제4반사미러를 포함하고, 제4반사미러는 제5광로를 형성하며, 이 제5광로를 통과하는 빛은 다시 제3반사미러로 입사된 후에 반사되어 제6광로를 형성하고, 이 제6광로를 통과한 빛은 다시 제4반사미러로 입사된 후에 반사되어 제7광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반사미러 및 제4반사미러는 그 반사면이 평행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대안적으로, 다수의 반사미러는, 원고에 의해 형성된 제1광로를 통해 빛을 수직으로 입사받는 위치에 배치된 제1반사미러; 제1반사미러에 의해 형성된 제2광로를 통해 빛을 입사받는 제2반사미러; 제2반사미러에 의해 형성된 제3광로를 통해 빛을 입사받는 제3반사미러; 제3반사미러에 의해 형성된 제4광로를 통해 빛을 입사받아 제5광로를 형성하는 제4반사미러; 및 제4반사미러에 근접하여 배치된 제5반사미러를 포함하고, 제5광로를 통과하는 빛은 제3반사미러를 통해 재반사되어 제6광로를 형성하고, 제5반사미러는 제6광로를 통해 빛을 입사받아 제7광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반사미러의 반사면은 제4 및 제5 반사미러의 각 반사면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화상독취장치는,
메인몸체에 설치되고, 원고가 적재되는 원고적재대; 및
원고의 화상을 독취하도록, 광원, 반사미러, 결상렌즈 및 독취수단을 구비한 광학계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원고 및 결상렌즈 사이에 배치된 다수의 반사미러들은, 원고에 의해 형성된 제1광로를 통해 빛을 수직으로 입사받는 위치에 배치되며, 다른 반사미러 보다 하부측에 배치된 제1반사미러; 상기 제1반사미러에 의해 형성된 제2광로를 통해 빛을 입사받는 제2반사미러; 상기 제2반사미러에 의해 형성된 제3광로를 통해 빛을 입사받는 제3반사미러; 및 상기 제3반사미러에 의해 형성된 제4광로를 통해 빛을 입사받는 제4반사미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4반사미러는 제5광로를 형성하며, 상기 제5광로를 통과하는 빛은 다시 제3반사미러로 입사된 후에 재반사되어 제6광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6광로를 통과한 빛은 다시 제4반사미러로 입사된 후에 재반사되어 제7광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화상독취장치는, 원고가 적재되는 스캔창이 구비된 프레임; 원고를 향해 빛을 조사하도록 상기 스캔창에 인접된 광원; 상기 원고로부터 반사된 빛을 선택된 반사미러를 통해 적어도 두번 이상 반사시키는 반사장치; 및 상기 반사장치에 인접 배치되어 최종적으로 반사된 빛을 독취하는 독취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화상독취장치는, 상측에 원고가 적재되는 입력부 및 출력부를 구비하는 프레임; 상기 입력부에 인접 배치되어 빛이 원고로부터 상기 프레임의 입력부로 광입력축을 따라 입사되도록 원고를 향해 빛을 조사하는 광원; 및 광입력축을 따라 입사된 빛의 경로를 변경시키도록 배치되며, 최종적으로 상기 광입력축과 수직한 광출력축을 따라 빛을 출사시키는 복수의 반사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입사된 빛은 광입력축과 적어도 5회 이상 교차되는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상기 입사된 빛은 각각의 반사체에 대해서 입사각과 반사각을 합한 각도가 예각인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의 화상독취장치는, 광입사축을 따라 화상정보가 포함된 빛을 받는 입사부와, 광출사축을 따라 상기 빛을 내보내는 출사부를 구비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내의 광입사축의 끝단에 상기 입구부와 대면되도록 배치되는 제1반사기; 상기 광입사축의 일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반사기; 상기 광입사축의 타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1,2반사기를 거친 빛을 상기 프레임의 출사부로 반사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제3반사기; 및 상기 제3반사기로부터 반사된 빛을 독취하도록 상기 출사부에 배치된 독취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화상독취장치는, 원고가 적재되는 스캔창이 구비된 프레임; 상기 스캔창에 인접 배치되어 빛이 원고로부터 광입사축을 따라 상기 프레임에 입사되도록 원고를 향해 빛을 조사하는 광원; 광입사축의 끝단에 배치되는 제1반사기, 상기 광입사축의 일면에 배치되는 제2반사기 및 상기 광입사축의 타면에 오목형 구조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3반사기를 구비하여 원고로부터 반사된 빛의 경로를 변경하는 반사장치; 및 경로가 변경된 빛을 독취하도록 상기 반사장치와 인접되게 설치된 독취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화상독취장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는 입력부;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 설치되는 출력부; 상기 입력부로부터 제1광로를 따라 빛이 조사되는 제1반사미러; 제1광로의 일면에 하나 이상의 반사미러로 이루어지며, 조사된 빛을 제1광로의 타면방향으로 경로를 변경하는 제1반사그룹; 제1광로의 타면에 하나 이상의 반사미러로 이루어지며, 제1반사미러 및 제1반사그룹으로부터 경로가 변경된 빛을 조사받아 제1광로의 일면방향으로 경로를 변경시키는 제2반사그룹; 및 제2반사그룹으로 인하여 출력부를 향하도록 경로가 변경된 빛이 직접 조사되는 상기 프레임 내에 구비된 결상렌즈;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제2반사그룹으로 인하여 제1반사그룹 방향으로 경로가 변경된 빛의 경로는 제1광로와 교차되는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상기 제1반사그룹으로 인하여 제2반사그룹 방향으로 경로가 변경된 빛의 경로는 제1광로 및 제1반사미러에서 조사된 제2광로와 교차된다.
또한, 상기 제1반사그룹과 상기 제2반사그룹은 빛의 경로상 입력부와 결상렌즈의 사이에 배치되며, 제1광로를 사이로 서로 대면되게 배치된는 것이 특징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학계유닛 및 화상독취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상독취장치(100)는 메인몸체(main body, 미도시), 원고(D)가 적재되는 원고적재대(10) 및 원고(D)의 화상을 독취하는 광학계유닛(20)을 포함한다.
원고적재대(10)는 메인몸체의 상부면에 지지되고, 투명체 재질의 스캔창(11, scan window)을 가지며, 이 스캔창(11) 위에 원고(D)가 적재된다.
광학계유닛(20)은 광학프레임(21), 원고(D)를 향해 빛을 조사하는 광원(22), 원고(D)에서 반사된 빛을 다수의 광경로(L1, L2, L3, L4. L5, L6. L7)를 형성하도록 반사시키는 다수의 반사미러(31, 32, 33, 34), 반사된 빛을 결상시키는 결상렌즈(imaging lens, 25), 및 결상렌즈의 결상위치에 배치된 독취수단(reading means, 27)를 포함한다.
광학프레임(21)은 원고적재대(10)의 하부에 소정의 구동수단(미도시)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이 광학프레임(21)의 상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22)이 설치되고, 이 광원(22)에 인접하여 광원(22)의 빛을 원고(D)측으로 반사시키는 반사체(reflector, 22a)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광원(22)은 형광램프, 할로겐램프 등으로 이루어지고, 빛을 원고(D)측으로 직접 또는 반사체(22a)를 통해 조사하여 원고(D)를 조명한다(illuminate).
원고(D) 및 다수의 반사미러(31, 32, 33, 34)는 적어도 7개의 광경로(L1, L2, L3, L4, L5, L6. L7)를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제1반사미러(31)는 원고(D)에 의해 형성된 제1광로(L1)를 따라 반사된 빛을 수직방향으로 입사받는 위치에 배치된다. 그리고, 제1반사미러(31)는 제1광로(L1)를 따라 반사된 빛을 반사시키는 제2광로(L2)를 형성시킨다.
제1반사미러(31)에 의해 형성된 제2광로(L2)를 따라 반사된 빛은 제2반사미러(32)에 입사되어 제3광로(L3)를 형성하고, 제3광로(L3)를 따라 반사된 빛은 제3반사미러(33)로 입사되어 제4광로(L4)를 형성하며, 제4광로(L4)를 따라 반사된 빛은 제4반사미러(34)로 입사되어 제5광로(L5)를 형성하고, 제5광로(L5)를 따라 반사된 빛은 다시 제3반사미러(33)로 입사되어 제6광로(L6)를 형성하며, 제6광로(L6)를 따라 반사된 빛은 다시 제4반사미러(34)로 입사되어 제7광로(L7)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반사미러(31)는 다른 반사미러(32, 33, 34)들에 비해 최하부측에 배치되고, 제3 및 제4 반사미러(33, 34)와 같이 적어도 2번 반사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광학프레임(21) 및 화상독취장치(100)의 전체 사이즈를 보다 컴팩하 게 구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반사미러구조는 제3 및/또는 제4 반사미러(33, 34)가 적어도 2번 반사되는 구조로 인해 원고(D)로부터 결상렌즈(25)까지 적어도 7개의 광경로(L1, L2. L3, L4. L5. L6, L7)를 형성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비네팅현상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광경로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제3 및 제4 반사미러(33, 34)는 그 반사면이 평행하게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결상렌즈(25)는 원고(D)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되고, 제7광로(L7)를 통해 입사된 빛을 결상(image forming)시킨다.
독취수단(27)은 CCD(Charge-Coupled Device) 등과 같은 이미지센서로 이루어지고, 결상렌즈(25)에 의해 결상된 빛을 수광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반사미러(31, 32, 33, 34)는 빛의 입사각 및 반사각을 합한 각도가 예각이 되도록 설치됨으로써, 반사미러(31, 32, 33, 34)들간의 상호 간섭을 방지함과 더불어 보다 정확한 입사 및/또는 반사작용을 도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반사미러(31)로 조사되는 제1광로(L1)의 입사각과 상기 제1반사미러(31)로부터 반사되어 제2반사미러(32)로 조사되는 제2광로(L2)의 반사각의 합은 0˚~ 90˚ 사이인 예각이다.
상기 제1광로(L1)는 원고로부터 반사되어 광학 프레임(21)의 입력부(또는 입사부)(23)를 통해 제1반사미러(31)로 조사되며, 광학 프레임(21) 내로 최초로 조사되는 빛의 광입력축(또는 광입사축)이다. 또한, 상기 제7광로(L7)는 제4반사미러(34)로부터 반사되어 광학 프레임(21)의 출력부(또는 출사부)(24)를 통해 독취수단(27)으로 조사되며, 광학 프레임(21)에서 최종적으로 외부로 조사되는 빛의 광출력축(또는 광출사축)이다. 상기 다수의 반사미러(31,32,33,34)의 집합은 반사장치로 통칭될 수 있다. 상기 반사장치는 광경로(L1~L7)를 따라 빛의 경로를 소요횟수만큼 변경한다. 또한, 상기 다수의 반사미러(31,32,33,34)는 필요에 따라서 두개의 반사미러가 일체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원고(D)로부터 결상렌즈(25)까지의 광경로(L1, L2, L3, L4, L5, L6. L7)의 총길이(overall length)는 250mm이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할 것이다. 여기서, 250mm는 비네팅현상(vignetting)을 방지할 수 있는 최소임계치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광학계유닛 및 화상독취장치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제2실시예에 따른 광학계유닛(20)은 제1실시예의 반사미 러(33, 34)의 갯수가 4개인 반면에 5개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즉, 본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의 제3 및 제4반사미러(33, 34)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를 2개 또는 그 이상의 갯수로 분할하여 설치함으로써 광경로의 정확성 및 반사미러 사이의 간섭 회피 등을 도모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제1실시예의 제4반사미러(34)가 제4 및 제5 반사미러(35, 36)로 분할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즉, 본 제2실시예는 보다 많은 갯수의 반사미러(31, 32, 33, 35, 36)를 설치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길이가 긴 광경로를 구현함과 더불어 반사미러(31, 32, 33, 35, 36)들 사이에 형성된 광경로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제2실시예에서도 광경로(L1, L2, L3. L4, L5. L6. L7)는 적어도 7개 이상이 된다. 상기 다수의 반사미러(31,32,33,35,36)의 집합체는 반사장치로 통칭된다. 또한, 제1반사미러(31), 제2반사미러(32), 제4반사미러(35) 및 제5반사미러(36)는 오목형 구조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3반사미러(33)은 제1광로(L1)를 중심으로 일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2반사미러(32), 제4반사미러(35) 및 제5반사미러(36)는 제1광로(L1)을 중심으로 타면에 배치된다.
또한, 제3반사미러(33)의 반사면은 제4 및 제5반사미러(35, 36)의 각 반사면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외의 나머지 구성 및 작동관계는 선행하는 제1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독취성능의 향상과 더불어 보다 컴팩트한 사이즈를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와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수정과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28)

  1. 원고측으로 빛을 조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
    상기 원고로부터 반사된 빛을 입사받아 다수의 광경로를 형성하는 다수의 반사미러;
    상기 반사미러에 의해 형성된 최종 광경로상에 배치되어 원고의 화상을 결상하는 결상렌즈;
    상기 결상렌즈의 결상위치에 배치된 독취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반사미러들은,
    원고에 의해 형성된 제1광로를 통해 빛을 수직으로 입사받는 위치에 배치되며, 다른 반사미러 보다 하부측에 배치된 제1반사미러;
    상기 제1반사미러에 의해 형성된 제2광로를 통해 빛을 입사받는 제2반사미러;
    상기 제2반사미러에 의해 형성된 제3광로를 통해 빛을 입사받는 제3반사미러; 및
    상기 제3반사미러에 의해 형성된 제4광로를 통해 빛을 입사받는 제4반사미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4반사미러는 제5광로를 형성하며, 상기 제5광로를 통과하는 빛은 다시 제3반사미러로 입사된 후에 재반사되어 제6광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6광로를 통과한 빛은 다시 제4반사미러로 입사된 후에 재반사되어 제7광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계유닛.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반사미러는 빛의 입사각 및 반사각을 합한 각도가 예각이 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계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고 및 반사미러들에 의해 형성된 광경로의 총길이는 250mm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계유닛.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반사미러 및 제4반사미러는 그 반사면이 평행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계유닛.
  7. 원고측으로 빛을 조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
    상기 원고로부터 반사된 빛을 입사받아 다수의 광경로를 형성하는 다수의 반사미러;
    상기 반사미러에 의해 형성된 최종 광경로상에 배치되어 원고의 화상을 결상하는 결상렌즈;
    상기 결상렌즈의 결상위치에 배치된 독취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반사미러는,
    상기 원고에 의해 형성된 제1광로를 통해 빛을 수직으로 입사받는 위치에 배치된 제1반사미러;
    상기 제1반사미러에 의해 형성된 제2광로를 통해 빛을 입사받는 제2반사미러;
    상기 제2반사미러에 의해 형성된 제3광로를 통해 빛을 입사받는 제3반사미러;
    상기 제3반사미러에 의해 형성된 제4광로를 통해 빛을 입사받아 제5광로를 형성하는 제4반사미러; 및
    상기 제4반사미러에 근접하여 배치된 제5반사미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5광로를 통과하는 빛은 제3반사미러를 통해 재반사되어 제6광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5반사미러는 제6광로를 통해 빛을 입사받아 제7광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계유닛.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반사미러의 반사면은 제4 및 제5 반사미러의 각 반사면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계유닛.
  9. 메인몸체에 설치되고, 원고가 적재되는 원고적재대; 및
    상기 원고의 화상을 독취하도록, 광원, 다수의 반사미러, 결상렌즈 및 독취수단을 구비한 광학계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반사미러는,
    원고에 의해 형성된 제1광로를 통해 빛을 수직으로 입사받는 위치에 배치되며, 다른 반사미러 보다 하부측에 배치된 제1반사미러;
    상기 제1반사미러에 의해 형성된 제2광로를 통해 빛을 입사받는 제2반사미러;
    상기 제2반사미러에 의해 형성된 제3광로를 통해 빛을 입사받는 제3반사미러; 및
    상기 제3반사미러에 의해 형성된 제4광로를 통해 빛을 입사받는 제4반사미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4반사미러는 제5광로를 형성하며, 상기 제5광로를 통과하는 빛은 다시 제3반사미러로 입사된 후에 재반사되어 제6광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6광로를 통과한 빛은 다시 제4반사미러로 입사된 후에 재반사되어 제7광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반사미러는 빛의 입사각 및 반사각을 합한 각도가 예각이 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원고 및 반사미러들에 의해 형성된 광경로의 총길이는 250mm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
  13. 삭제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반사미러 및 제4반사미러는 그 반사면이 평행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
  15. 메인몸체에 설치되고, 원고가 적재되는 원고적재대; 및
    상기 원고의 화상을 독취하도록, 광원, 다수의 반사미러, 결상렌즈 및 독취수단을 구비한 광학계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반사미러는,
    상기 원고에 의해 형성된 제1광로를 통해 빛을 수직으로 입사받는 위치에 배치된 제1반사미러;
    상기 제1반사미러에 의해 형성된 제2광로를 통해 빛을 입사받는 제2반사미러;
    상기 제2반사미러에 의해 형성된 제3광로를 통해 빛을 입사받는 제3반사미러;
    상기 제3반사미러에 의해 형성된 제4광로를 통해 빛을 입사받아 제5광로를 형성하는 제4반사미러; 및
    상기 제4반사미러에 근접하여 배치된 제5반사미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5광로를 통과하는 빛은 제3반사미러를 통해 재반사되어 제6광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5반사미러는 제6광로를 통해 빛을 입사받아 제7광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3반사미러의 반사면은 제4 및 제5 반사미러의 각 반사면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KR1020060008810A 2006-01-27 2006-01-27 광학계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독취장치 KR1007764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8810A KR100776412B1 (ko) 2006-01-27 2006-01-27 광학계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독취장치
CNA2006101470033A CN101008706A (zh) 2006-01-27 2006-11-09 光学系统扫描单元和具有该光学系统扫描单元的成像设备
US11/599,295 US20070177223A1 (en) 2006-01-27 2006-11-15 Optical system scanning unit and a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8810A KR100776412B1 (ko) 2006-01-27 2006-01-27 광학계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독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8505A KR20070078505A (ko) 2007-08-01
KR100776412B1 true KR100776412B1 (ko) 2007-11-16

Family

ID=38321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8810A KR100776412B1 (ko) 2006-01-27 2006-01-27 광학계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독취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70177223A1 (ko)
KR (1) KR100776412B1 (ko)
CN (1) CN10100870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0818859A (en) * 2006-10-04 2008-04-16 Asia Optical Co Inc Scanning module
JP4979452B2 (ja) * 2007-05-07 2012-07-1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US8358447B2 (en) * 2007-07-31 2013-01-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Scanner module and image scann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US8610972B2 (en) * 2010-12-28 2013-12-17 Lexmark International, Inc. Optical system for a scanner including a light source for illuminating a target area and a plurality of mirrors positioned to receive a light beam
KR102475651B1 (ko) * 2015-12-30 2022-12-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인체 착용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385688B1 (ko) * 2020-09-15 2022-04-15 모스탑주식회사 검출 정밀도가 향상된 멀티 가스 검출 장치
CN115607043A (zh) * 2021-07-12 2023-01-17 美智纵横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传感器模组及清洁机器人
JP2023145283A (ja) * 2022-03-28 2023-10-11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画像読み取り装置および画像形成システム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37103A (ja) * 1989-07-03 1991-06-11 Kenichi Takeo シクロデキストリン誘導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5122451A (ja) * 1991-10-24 1993-05-18 Seiko Epson Corp イメージスキヤナ
JPH06222479A (ja) * 1993-01-25 1994-08-12 Canon Inc 原稿読取装置
JPH07170376A (ja) * 1993-12-14 1995-07-04 T T T Kk 光学ユニット
JPH09163098A (ja) * 1995-12-12 1997-06-20 Lab Shinei:Kk 光学ユニット
JP2000134413A (ja) * 1998-08-19 2000-05-12 Rohm Co Ltd イメージセンサ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備えたイメージスキャナ
JP2004253956A (ja) * 2003-02-19 2004-09-09 Nec Access Technica Ltd 読取装置
JP2012134413A (ja) * 2010-12-24 2012-07-12 Murata Mfg Co Ltd 積層型電子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46293A (ja) * 1998-06-01 1999-12-14 Nec Corp 光源固定部品及び原稿読取装置
JP2000050031A (ja) * 1998-07-29 2000-02-18 Canon Inc 画像読取装置
US6144475A (en) * 1998-11-09 2000-11-07 Avision, Inc. Optical system for scanner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37103A (ja) * 1989-07-03 1991-06-11 Kenichi Takeo シクロデキストリン誘導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5122451A (ja) * 1991-10-24 1993-05-18 Seiko Epson Corp イメージスキヤナ
JPH06222479A (ja) * 1993-01-25 1994-08-12 Canon Inc 原稿読取装置
JPH07170376A (ja) * 1993-12-14 1995-07-04 T T T Kk 光学ユニット
JPH09163098A (ja) * 1995-12-12 1997-06-20 Lab Shinei:Kk 光学ユニット
JP2000134413A (ja) * 1998-08-19 2000-05-12 Rohm Co Ltd イメージセンサ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備えたイメージスキャナ
JP2004253956A (ja) * 2003-02-19 2004-09-09 Nec Access Technica Ltd 読取装置
JP2012134413A (ja) * 2010-12-24 2012-07-12 Murata Mfg Co Ltd 積層型電子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08706A (zh) 2007-08-01
KR20070078505A (ko) 2007-08-01
US20070177223A1 (en) 2007-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6412B1 (ko) 광학계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독취장치
JP3707810B2 (ja) スキャナ用アダプタ
JP2012235538A (ja) 画像読取装置
CN101867676A (zh) 照明装置以及图像读取装置
KR20140048958A (ko) 이미지 센서 유닛 및 이것을 사용한 화상 판독 장치
JP2000050031A (ja) 画像読取装置
JP2006243258A (ja) 照明装置、画像読み取り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7005860A (ja) 光照射ユニット、画像読取機構、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7742203B2 (en) Image reading apparatus
JP4531095B2 (ja) 原稿読取装置
US7692827B2 (en) Image reading apparatus
JPH0951405A (ja) 画像読取装置
KR101486215B1 (ko) 문서 조사기용 광학 소자
JP2010068411A (ja) 照明系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読取装置
JP2009037073A (ja) 光源装置および原稿読み取り装置
US6728010B1 (en) Color image reader for use in image forming apparatus
JP4569086B2 (ja) 画像読取り光学装置及び該装置における反射面の調整方法
JP2016220125A (ja) 照明装置および画像読取装置
JP5712046B2 (ja) 照明装置、画像読み取り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5091601A (ja) 画像読取り光学装置
JP2020145491A (ja) 線状光源装置
JP2000349967A (ja) 画像読取装置
JP2007037012A (ja) 読取用照明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読取装置
JP2000307809A (ja) 画像読取装置
JPH11355512A (ja) 画像読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