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5476B1 - 스트립의 선단부 유도장치 - Google Patents

스트립의 선단부 유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5476B1
KR100775476B1 KR1020010070243A KR20010070243A KR100775476B1 KR 100775476 B1 KR100775476 B1 KR 100775476B1 KR 1020010070243 A KR1020010070243 A KR 1020010070243A KR 20010070243 A KR20010070243 A KR 20010070243A KR 100775476 B1 KR100775476 B1 KR 100775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
guide
support member
shear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0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9263A (ko
Inventor
안정국
이동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10070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5476B1/ko
Publication of KR20030039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92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5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5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14Guiding, positioning or alig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5/00Arrangements for performing additional metal-working operation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15/0007Cutting or shearing the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cessories And Tools For Shear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상/하부 전단기가 작동됨에 따라 그 상/하부 전단기의 일측면에 각각 설치된 가압부 및 안내부의 작동에 의해서 스트립 톱부의 밴딩방향을 하부에서 상부로 변환시켜 스트립의 이송불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스트립의 선단부 유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스트립(S)을 전단하는 전단기의 후방에 설치된 베이스(11)의 상면에는 지지부재(12)가 마련되고, 그 지지부재의 상측에는 피이언기어(13)가 설치되며, 그 피이언기어에는 스트립의 상면에 접촉되어 스트립을 유도하는 회동암(14)이 설치되고, 상기 피니언기어의 상측에는 지지부재의 상단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랙기어(18)가 기어결합되며, 그 랙기어의 일단은 상부 전단기(5)의 일면에 부착된 가이드레일(5a)을 따라 이동되게 결합된 가압부(10); 상기 스트립을 전단하는 하부 전단기(6)의 일면에 지지스프링(22)으로 탄력 설치된 이동테이블(21)이 마련되고, 그 이동테이블의 상면 중앙에는 복수개의 안내롤(24)을 지지하는 고정부재(25)가 압축스프링(26)으로 탄력 설치된 안내부(20)를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스트립, 전단기, 톱부, 앤드부, 가압부, 안내부

Description

스트립의 선단부 유도장치{Top part guide apparatus of strip}
도 1은 종래의 유도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도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도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도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S : 스트립 5 : 상부 전단기
5a : 가이드레일 6 : 하부 전단기
10 : 가압부 11 : 베이스
12 : 지지부재 13 : 피이언기어
14 : 회동암 15 : 가압롤
16 : 가이드핀 17a : 가이드홈
17 : 가이드판 18 : 랙기어
20 : 안내부 21 : 이동테이블
22 : 지지스프링 24 : 안내롤
25 : 고정부재 26 : 압축스프링
본 발명은 스트립의 선단부 유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부 전단기의 출측에는 스트립을 안내하는 벨트 콘베이어를 설치하고 상부 전단기의 출측에는 랙기어의 작동으로 회전되면서 스트립이 하부로 이동되게 가압 유도하는 회동부재를 설치하여 스트립 톱부의 패스가 용이하도록 형상을 변형시킴은 물론 전자석화 되는 유도롤의 안내로 원활히 이송하도록 함으로써 전단설비에서의 스트립 전단 후 발생되는 이송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스트립의 선단부 유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연제품 생산라인에서는 코일의 단중 분할, 스트립의 톱부와 앤드부의 결함 제거 및 냉연제품의 재질시험을 위한 코일의 시험편 채취등의 작업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작업은 출측부에 설치된 전단기에서 행하여진다.
종래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트립(S)은 전단기의 사이를 통과하여 상부 마그네틱 컨베이어(1)의 전자석(3)에서 발생되는 자력에 의해서 상부 마그네틱 컨베이어(1)의 하부면에 접촉된 상태로 이동된 후 롤러테이블(4)에 안내를 받으면서 이동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이동되는 스트립(S)의 톱부 또는 앤드부를 전단할 때에는 상부 마그네틱 컨베이어(1)의 전자석(3)에는 전원이 차단되고 하부 마그네틱 컨베이어(2)의 전자석(3)에 전원이 공급됨과 동시에 상부 전단기(5)와 하부 전단기(6)가 스트립(S)의 진행방향으로 진행됨과 함께 중앙으로 이동된다.
상기와 같이 상/하부 전단기(5)(6)가 이동되면 그 상/하부 전단기(5)(6)에 각각 설치된 상/하부 나이프(7)(8)가 스트립(S)에 접촉되면서 그 스트립(S)을 전단하게 되고 전단된 스트립(S)은 하부 마그네틱 컨베이어(2)의 전자석(3)에서 발생되는 자력에 의해서 하부 마그네틱 컨베이어(2)의 상면에 접촉된 상태로 이동되어 시편 컨베이어(9)로 이동되는 것이다.
상기 스트립(S)은 코일 형태로 권취된 상태에서 풀려지면서 전단기를 통과하게 되므로 그 스트립(S)의 톱부는 응력이 아래 방향으로 밴딩되어 있고, 특히 앤드부는 밴딩 정도가 심하여 상부 마그네틱 콘베어(1)의 전자석(3)에 의해서 유도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되어 시편 콘베이어(8) 및 롤러테이블(4) 하단부로 진입함으로써 이송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라인을 정지시키게 되므로 이와 같은 라인 정지시에는 소둔로 내에 있는 스트립에 결함이 발생되어 제품품질이 저하되고 대형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상/하부 전단기가 작동됨에 따라 그 상/하부 전단기의 일측면에 각각 설치된 가압부 및 안내부의 작동에 의해서 스트립 톱부의 밴딩방향을 하부에서 상부로 변환시켜 스트립의 이송불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스트립의 선단부 유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스트립의 선단부 유도장치는 스트립을 전단하는 전단기의 후방에 설치된 베이스의 상면에는 지지부재가 마련되고, 그 지지부재의 상측에는 피이언기어가 설치되며, 그 피이언기어에는 스트립의 상면에 접촉되어 스트립을 유도하는 회동암이 설치되고, 상기 피니언기어의 상측에는 지지부재의 상단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랙기어가 기어 결합되며, 그 랙기어의 일단은 상부 전단기의 일면에 부착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게 결합된 가압부; 상기 스트립을 전단하는 하부 전단기의 일면에 스프링으로 탄력 설치된 이동테이블이 마련되고, 그 이동테이블의 상면 중앙에는 복수개의 안내롤을 지지하는 고정부재가 스프링으로 탄력 설치된 안내부를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도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도장치를 나타낸 측면도로서, 종래장치와 동일한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여기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스트립(S)의 밴딩 방향을 변환시키는 가압부와 그 가압부에 의해서 가압되는 스트립을 안내하는 안내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압부(10)는 스트립(S)을 전단하는 전단기의 후방에 베이스(11)가 설 치되어 있고 그 베이스(11)의 상면 양측에는 지지부재(12)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지지부재(12)의 상측에는 피니언기어(13)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12)의 상단부에는 피니언기어(13)에 기어 결합되는 랙기어(18)가 이동 가능하도록 끼워지고 그 랙기어(18)의 일단에는 가이드롤(19)이 설치되어 있고 그 가이드롤(19)은 상부 전단기(5)의 일면에 부착된 가이드레일(5a)을 따라 이동되게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피니언기어(13)에는 그 피니언기어(13)와 함께 회전되면서 스트립(S)의 상면에 접촉되어 그 스트립(S)을 유도하는 회동암(14)이 설치되어 있고 그 회동암(14)의 단부에는 스트립(S)을 가압하면서 밴딩을 변환시키는 가압롤(15)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회동암(14)의 중앙에는 가이드핀(16)이 설치되어 있되, 그 가이드핀(16)은 회동암(14)이 회동될 때 안내할 수 있도록 지지부재(12)에 설치된 가이드판(17)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홈(17a)에 삽입되어 있다.
상기 안내부(20)는 스트립(S)을 전단하는 하부 전단기(6)의 일면에 이동테이블(21)이 지지스프링(22)으로 탄력 설치되어 있고 그 이동테이블(21)의 상면 양측에는 스트립(S)의 이동을 안내하는 회전롤(23)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회전롤(23)의 사이에는 복수개의 안내롤(24)이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되, 그 안내롤(24)은 고정부재(25)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부재(25)는 압축스프링(26)을 매개로 탄력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스트립(S)이 연속적으로 진행하는 상태에서 그 스트립(S)을 전단하기 위하여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부 전단기(5)(6)를 작동시키면 그 상/하부 전단기(5)(6)는 스트립(S)과 함께 이동됨과 동시에 중앙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상기 상/하부 전단기(5)(6)가 스트립(S)과 함께 이동될 때 상부 전단기(5)에 의해서 랙기어(18)가 이동되므로 그 랙기어(18)에 기어 결합된 피니언기어(13)는 회전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피니언기어(13)가 회전되면 그 피니언기어(13)의 일측에 설치된 회동암(14)이 함께 회전된다.
상기 회동암(14)이 회전하게 되면 그 하단부에 설치된 가압롤(15)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트립(S)의 상면에 긴밀히 접촉된 상태로 회전되므로 상기 스트립(S)의 밴딩을 변환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회동암(14)이 회동되어 그 단부에 설치된 가압롤(15)이 스트립(S)을 가압 할 때 상기 스트립(S)의 저면에는 복수개의 안내롤(24)이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그 안내롤(24)이 설치된 고정부재(24)는 압축스프링(26)에 의해서 탄력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스트립(S)이 원활하게 이동되는 것이다.
한편 하부 전단기(6)가 이동됨에 따라 그 하부 전단기(6)에 설치된 안내부(20)가 함께 이동되어 스트립(S)의 저면을 지지하게 되며, 상기 상/하부 전단기(5)(6)에 각각 설치된 상/하부 나이프(7)(8)에 의해서 스트립(S)이 전단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전단된 스트립(S)은 하부 마그네틱 컨베이어(2)에 안내를 받으면서 이동되어 시편 컨베이어(9)의 상부로 공급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하부 전단기(5)(6)가 스트립(S)을 전단한 후 초기상태로 복원되면 안내부(20)는 스트립(S)이 진행되는 역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고 이때 상기 상부 전단기(5)에 설치된 랙기어(18)도 함께 이동되는 것이다.
상기 랙기어(18)가 역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그 랙기어(18)에 기어 결합되어 있는 피니언기어(13)가 역방향으로 회동되므로 상기 피니언기어(13)에 설치된 회동암(14)은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되면서 스트립(S)의 밴딩을 변환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스트립(S)이 하부로 처짐을 방지하게 되어 원활하게 이송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스트립의 톱부 및 앤드부의 변형을 가압하면서 변환시킨 상태로 이송하게 되므로 시험편을 채취할 때 그 시험편은 하부로 유도하게 되고 스트립의 톱부 및 앤드부를 가압하면서 밴딩을 변환시킨 상태에서 이송하게 되므로 스트립의 밴딩에 의한 이송불량을 미연에 방지하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스트립(S)을 전단하는 전단기의 후방에 설치된 베이스(11)의 상면에는 지지부재(12)가 마련되고, 그 지지부재(12)의 상측에는 피이언기어(13)가 설치되며, 그 피이언기어(13)에는 스트립의 상면에 접촉되어 스트립을 유도하는 회동암(14)이 설치되고, 상기 피니언기어의 상측에는 지지부재의 상단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랙기어(18)가 기어결합되며, 그 랙기어의 일단은 상부 전단기(5)의 일면에 부착된 가이드레일(5a)을 따라 이동되게 결합된 가압부(10);
    상기 스트립을 전단하는 하부 전단기(6)의 일면에 지지스프링(22)으로 탄력 설치된 이동테이블(21)이 마련되고, 그 이동테이블의 상면 중앙에는 복수개의 안내롤(24)을 지지하는 고정부재(25)가 압축스프링(26)으로 탄력 설치된 안내부(2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의 선단부 유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암의 하단부에는 스트립에 접촉된 상태로 회전되는 가압롤(15)이 설치되고, 상기 회동암의 중앙에는 가이드핀(16)이 설치되며 지지부재(12)에는 상기 가이드핀을 안내하는 가이드홈(17a)이 구비된 가이드판(17)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의 선단부 유도장치.
KR1020010070243A 2001-11-12 2001-11-12 스트립의 선단부 유도장치 KR100775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0243A KR100775476B1 (ko) 2001-11-12 2001-11-12 스트립의 선단부 유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0243A KR100775476B1 (ko) 2001-11-12 2001-11-12 스트립의 선단부 유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9263A KR20030039263A (ko) 2003-05-17
KR100775476B1 true KR100775476B1 (ko) 2007-11-12

Family

ID=29569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0243A KR100775476B1 (ko) 2001-11-12 2001-11-12 스트립의 선단부 유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54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1969B1 (ko) * 2003-06-20 2010-07-23 주식회사 포스코 선재처짐 방지기능을 갖는 선재 전단기 장치
KR101388025B1 (ko) * 2012-05-31 2014-04-22 현대제철 주식회사 소재 휨 방지 장치
KR102124967B1 (ko) * 2017-08-03 2020-06-19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 표면 이물질 제거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06619A (en) * 1979-02-09 1980-08-15 Hitachi Ltd Mill guide device for rolling mill
JPH0258859A (ja) * 1988-08-24 1990-02-28 Nec Kyushu Ltd 半導体装置のリード典げ金型
JPH04322806A (ja) * 1991-04-23 1992-11-12 Nippon Steel Corp 熱間圧延鋼板先端部の上反り矯正装置
JPH08197127A (ja) * 1995-01-20 1996-08-06 Mitsubishi Heavy Ind Ltd 条鋼整列装置
KR20030016038A (ko) * 2001-08-20 2003-02-26 주식회사 포스코 벤딩강판의 자동 유도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06619A (en) * 1979-02-09 1980-08-15 Hitachi Ltd Mill guide device for rolling mill
JPH0258859A (ja) * 1988-08-24 1990-02-28 Nec Kyushu Ltd 半導体装置のリード典げ金型
JPH04322806A (ja) * 1991-04-23 1992-11-12 Nippon Steel Corp 熱間圧延鋼板先端部の上反り矯正装置
JPH08197127A (ja) * 1995-01-20 1996-08-06 Mitsubishi Heavy Ind Ltd 条鋼整列装置
KR20030016038A (ko) * 2001-08-20 2003-02-26 주식회사 포스코 벤딩강판의 자동 유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9263A (ko) 2003-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4634Y1 (ko) 원형톱기계용 금속판재 절단장치
KR20090122671A (ko) 철판 절단기용 폭 가변 안내장치
KR100775476B1 (ko) 스트립의 선단부 유도장치
KR200487877Y1 (ko) 피 절곡물에 접촉을 최소화 하면서 절곡을 수행할 수 있는 프레스 금형
KR20220134075A (ko) 가공된 철판 배출이 용이한 롤링장치
US326916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formation of folds in metal sheets
KR100931207B1 (ko) 열연소재의 롤끼임 해제장치
KR100863555B1 (ko) 압연소재 센터링용 사이드 가이드 장치
US5860345A (en) Transversely movable thread sled
KR20090067806A (ko) 압연소재 센터링용 사이드 가이드 장치
KR200215161Y1 (ko) 스트립 형상 체크용 샘플링 장치
JPH03178716A (ja) サイドトリマの板支持装置
CN217550800U (zh) 一种金属板带材辊式矫直机换辊装置
JP6825599B2 (ja) 金属帯先端部の通板方法および装置
KR20020083853A (ko) 가변식 스트립 선단부 절곡장치
CN220216868U (zh) 一种汽车板件加工的板材剪板机
KR100302959B1 (ko) 압연판자동전단장치
KR19980042442U (ko) 강판 후진 장치의 구조
CN219310182U (zh) 一种自动卷带裁切设备
KR102632322B1 (ko) 트랜지스터 리드 성형장치
SU946824A1 (ru) Установка дл резки проката
KR200242530Y1 (ko) 스트립 에지부 가압장치
JPH11221711A (ja) ブランキング金型
SU1097475A1 (ru) Стыкосварочна машина
KR100896575B1 (ko) 강판샘플 채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