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5280B1 - 라디에이터의 드레인 구조 - Google Patents

라디에이터의 드레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5280B1
KR100775280B1 KR1020060124375A KR20060124375A KR100775280B1 KR 100775280 B1 KR100775280 B1 KR 100775280B1 KR 1020060124375 A KR1020060124375 A KR 1020060124375A KR 20060124375 A KR20060124375 A KR 20060124375A KR 100775280 B1 KR100775280 B1 KR 100775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sealing
radiator
cooling water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4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명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원공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원공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원공조
Priority to KR1020060124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52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5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5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P1/00 - F01P9/00
    • F01P11/02Liquid-coolant filling, overflow, venting, or draining devices
    • F01P11/0276Draining or purg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P1/00 - F01P9/00
    • F01P11/02Liquid-coolant filling, overflow, venting, or drain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2050/00Applications
    • F01P2050/22Motor-c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디에이터의 드레인 구조에 관한 것으로, 라디에이터(1)의 드레인 장치(6)가 상기 냉각수 유출탱크(3)의 제 1 드레인 홀(11)을 막는 드레인 마개부재(20)에 냉각수를 배출하는 제 2 드레인 홀(23)을 형성하여 구성함으로써, 드레인 마개부재(20)로 제 1 드레인 홀(11)을 열면 냉각수가 드레인실(12)을 통해 제 2 드레인 홀(23)로 배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드레인 마개부재(20)를 통해 직접 냉각수를 배출하는 구조로써 냉각수 유출탱크(3)에 별도의 냉각수 드레인 관을 구비할 필요가 없어 라디에이터(1)의 형상을 단순화할 수 있고,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제조 시 제조공정을 단순화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냉각수가 드레인실(12)을 거쳐 외부로 배출되므로, 배출 시 배출구에서 냉각수가 비산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작업자의 안전성과 주변의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드레인 통로가 외부로 돌출되어 노출되지 않아 외부의 충격에 의한 파손의 위험이 없고 라디에이터 드레인 장치(6)의 내구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라디에이터의 드레인 구조{Drain Structure of Radiator}
도 1은 일반적인 라디에이터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
도 2a 내지 도 2b는 종래 라디에이터의 드레인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인 라디에이터의 드레인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 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 : 라디에이터 2 : 냉각수 유입탱크
3 : 냉각수 유출탱크 4 : 튜브플레이트부재
5 : 방열핀부재 6 : 드레인 장치
10 : 드레인 탱크부 11 : 제 1 드레인 홀
12 : 드레인실 13 : 마개결합부
20 : 드레인 마개부재 21 : 제 1 실링마개부
22 : 제 2 실링마개부 23 : 제 2 드레인 홀
24 : 호스결합부 30 : 배출호스
본 발명은 라디에이터의 드레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라디에이터의 드레인 구조를 단순화시킨 발명인 것이다.
일반적으로 라디에이터는 차량의 엔진 룸 전방에 설치되어 엔진을 냉각시키는 냉각수를 냉각시키는 장치이다.
상기 라디에이터는 차량의 엔진을 냉각하면서 가열된 냉각수를 냉각시킨 후 다시 엔진으로 공급하는 것으로 냉각수를 엔진으로 순환 시켜 엔진의 과열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 라디에이터는 공조장치의 히터코어와 연결되어, 히터코어로 가열된 냉각수를 순환하도록 하여 주위 공기를 가열시키는 것이다.
또 상기 히터 코어에 의해 가열된 공기는 송풍팬으로 차량의 실내로 공급되어 차량의 실내를 난방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라디에이터(1)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냉각수가 유입되는 냉각수 유입관(2a)이 구비되는 냉각수 유입탱크(2)와, 냉각수가 통과하는 유로가 관통되며, 일단이 상기 냉각수 유입탱크(2)에 결합하고, 간격을 두고 다수개 구비되는 튜브플레이트부재(4)와, 상기 튜브플레이트부재(4)의 단부에 결합하며 냉각수를 배출시키는 냉각수 유출관(3a)이 구비된 냉각수 유출탱크(3)와, 상기 튜브플레이트부재(4) 사이에 설치되며 열전달면적을 넓히는 방열핀부재(5)를 포함한다.
또 상기 냉각수 유출탱크(3)에는 내부의 불순물을 제거하거나, 교체 주기에 따른 냉각수 교체, 라디에이터 정비 시 냉각수 제거를 위해 냉각수를 외부로 배출 시키는 드레인 장치(6)가 구비된다.
상기 드레인 장치(6)는 도 2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냉각수 유출탱크(3)의 하부로 별도의 드레인 관(7)을 돌출시키고, 드레인 관(7)의 단부에 드레인 캡(8)을 나사 결합시켜 구성하거나, 도 2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냉각수 유출탱크(3)의 정면으로 드레인 캡(8)이 나사결합하는 캡결합부를 형성하고, 상기 캡결합부의 하부에 드레인 관(7)을 돌설시켜 구성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상기 라디에이터(1)는 드레인 캡(8)을 분리하면 냉각수 유출탱크(3)에서 기존의 냉각수를 외부로 배출시켜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라디에이터 드레인 장치는 별도의 드레인 관을 돌설하고, 돌설된 드레인 관을 냉각수 유출탱크의 내부와 연결시키도록 형성해야 하므로 냉각수 유출탱크의 형상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특히 상기 드레인 관은 라디에이터 제조 시 별도로 제작되므로 제조 공정을 증대시키고, 복잡하게 되는 원인이 되었던 것이다.
또한 종래의 드레인 관은 냉각수를 배출하는 통로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외부 충격에 의해 파손될 위험이 있었던 것이다.
또 종래의 드레인 관은 배출 시 냉각수가 비산되는 폐단이 있으며 냉각수가 비산될 경우 작업자에게 튀어 화상을 입히거나, 외부로 누출되어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라디에이터의 드레인 장치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라디에이 터의 제조 공정을 줄여 제조성 및 내구성을 증대시키고, 드레인 작업 시 냉각수가 비산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작업 시 안전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라디에이터의 드레인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순환되는 냉각수를 배출하는 드레인 장치가 냉각수 유출탱크에 구비된 라디에이터의 드레인 구조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장치는 상기 냉각수 유출탱크에 제 1 드레인 홀로 연통되며, 내부에 냉각수가 유입되어 일시 저장되는 드레인실이 형성되며 상기 드레인실을 밀폐하는 마개를 결합할 수 있는 마개결합부가 구비된 드레인 탱크부와, 일 단에 상기 제 1 드레인 홀을 막아 실링하는 제 1 실링마개부 및 상기 제 1 실링마개부가 제 1 드레인 홀을 개폐할 수 있도록 마개결합부로 결합하며, 드레인실을 밀폐하는 제 2 실링마개부가 구비되며, 상기 드레인실에서 외부로 연통되는 제 2 드레인 홀이 뚫려진 드레인 마개부재를 포함하여 달성된다.
상기 드레인 마개부재는 냉각수드레인 탱크부에 결합되어 제 1 실링마개부로 제 1 드레인 홀을 막아 냉각수가 라디에이터 및 엔진을 순환하도록 하고, 제 1 드레인 홀이 열리도록 제 1 실링마개부가 위치하면 냉각수가 드레인실로 유입된 후 제 2 드레인 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라디에이터의 냉각수 유출탱크 에 드레인 마개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인 라디에이터의 드레인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4는 드레인 마개부재가 제 1 드레인 홀을 막아 냉각수가 라디에이터 및 엔진을 순환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5는 제 1 드레인 홀이 열려 드레인 마개부재의 제 2 드레인 홀을 통해 냉각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드레인 마개부재의 단부에 드레인호스가 결합하는 실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라디에이터(1)는 상, 하부에 각각 엔진을 냉각하는 냉각수가 유입, 유출되는 냉각수 유입탱크(2) 및 냉각수 유출탱크(3)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냉각수 유입탱크(2) 및 냉각수 유출탱크(3)는 간격을 두고 다수개 구비되는 튜브플레이트부재(4)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튜브플레이트부재(4)는 내부로 냉각수가 통과되도록 안내하는 유로가 형성되며, 일단이 냉각수 유입탱크(2)로 결합하고, 타단이 냉각수 유출탱크(3)로 결합하여 냉각수를 통과시키면서 외부 공기와 접촉시켜 열교환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튜브플레이트부재(4)의 사이에는 열교환되는 유체의 열전달 면적을 증대시키는 방열핀부재(5)가 설치된다.
상기한 냉각수 유입탱크(2) 및 냉각수 유출탱크(3)는 각각 엔진과 연계되는 냉각수 유입관(2a) 및 냉각수 유출관(3a)이 연결된다.
즉, 엔진을 냉각한 고온의 냉각수는 냉각수 유입관(2a)을 통해 냉각수 유입탱크(2)로 유입된 엔진을 냉각한 냉각수를 유입시킨 후 튜브플레이트부재(4)를 통해서 냉각수 유출탱크(3)로 이동하면서 냉각되고, 냉각수 유출탱크(3)에서 엔진으로 유출되어 순환되는 것이다.
상기한 라디에이터(1)의 구조는 종래의 공지된 구성과 동일하며 본 발명의 구성에 포함됨을 밝혀둔다.
한편, 상기 냉각수 유출탱크(3)는 내부의 불순물을 제거하거나, 교체 주기에 따른 냉각수 교체, 라디에이터 정비 시 냉각수 제거를 위해 냉각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드레인 장치(6)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은 상기 드레인 장치(6)에 있어 드레인 마개부재(20)를 통해 냉각수를 직접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드레인 장치(6)는 냉각수 유출탱크(3)에 일체로 구비되는 드레인 탱크부(10)와, 상기 드레인 탱크부(10)를 막아 밀폐시키고, 냉각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드레인 마개부재(20)를 포함한다.
상기 드레인 탱크부(10)는 냉각수 유출탱크(3)의 내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내부에 냉각수를 일시적으로 일정량 저장할 수 있는 드레인실(12)이 형성되며, 이 드레인실(12)은 후술될 드레인 마개부재(20)가 결합하도록 냉각수 유출탱크(3)의 일면으로 개구되며, 냉각수 유출탱크(3)의 내부로 제 1 드레인 홀(11)을 통해 연통된다.
상기 드레인 탱크부(10)는 냉각수 유출탱크(3)의 전면을 향해 개구되도록 형 성되는 것을 기본으로 하며, 냉각수 유출탱크(3)의 하부면 또는 후면을 향해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는 제조 시 다양하게 설계변경하여 제조가 가능함을 밝혀둔다.
또 상기 드레인 탱크부(10)는 드레인실(12)의 개구부 측에 드레인 마개부재(20)가 결합하는 마개결합부(13)가 구비된다.
상기 드레인 마개부재(20)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단에 상기 제 1 드레인 홀(11)을 막아 밀폐시키는 제 1 실링마개부(21)가 구비되며, 제 1 실링마개부(21)는 제 1 드레인 홀(11)에 대응되는 직경을 가지는 돌기형상으로 외주면에 시일링(21a)이 구비되어 제 1 드레인 홀(11)을 완전히 밀폐시켜 막을 수 있도록 한다.
또 상기 드레인 마개부재(20)는 단부에 상기 드레인실(12)의 개구부로 결합하여 개구부를 밀폐시키는 제 2 실링마개부(22)가 구비된다.
상기 마개결합부(13)는 드레인 마개부재(20)의 제 2 실링마개부(22)가 결합되는 것이며, 상기 제 2 실링마개부(22)를 숫나사부로 형성하고, 이에 대응되는 암나사부로 형성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또 상기 제 2 실링마개부(22)는 외주면에 오링(22a)이 구비되어 드레인실(12)을 실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개결합부(13)와 제 2 실링마개부(22)는 상기한 나사결합 이외에도 각각 억지끼움부로 형성하여 억지끼움결합하고, 마개결합부(13)의 내주면 또는 제 2 실링마개부(22)의 외주면에 오링(22a)을 결합시켜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마개결합부(13)와 제 2 실링마개부(22)가 나사결합된 경우 드레인 마개부재(20)를 회전시켜 회전 방향에 따라 전, 후진 이동시킴으로써 제 1 실링마개부(21)가 제 1 드레인 홀(11)을 개폐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마개결합부(13)와 제 2 실링마개부(22)가 억지끼움결합된 경우 드레인 마개부재(20)에 힘을 가해 전, 후진 이동시킴으로써 제 1 실링마개부(21)가 제 1 드레인 홀(11)을 개폐하게 되는 것이다.
이외에도 상기 마개결합부(13)와 제 2 실링마개부(22)는 드레인실(12)의 개구부를 실링하며, 후술될 제 1 실링마개부(21)가 상기 제 1 드레인 홀(11)을 개폐할 수 있도록 드레인 마개부재(20)를 하는 어떠한 결합구조도 본 발명에 포함됨을 밝혀둔다.
상기 드레인 마개부재(20)는 상기 드레인실(12)과 외부를 연통하는 제 2 드레인 홀(23)이 뚫려지며, 상기 제 2 드레인 홀(23)은 드레인 마개부재(20)의 단부면으로 뚫려져 형성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라디에이터(1)의 냉각수는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나사결합된 드레인 마개부재(20)를 회전시켜 후진시키면 제 1 실링마개부(21)가 이동하여 제 1 드레인 홀(11)을 개방하게 되어, 드레인실(12)로 유입된 후 제 2 드레인 홀(23)을 통해 외부로 간단히 배출되는 것이다.
또 드레인 마개부재(20)를 완전히 분리하지 않고 냉각수의 배출이 이루어져 제 2 드레인 홀(23)로 배출되는 수압이 조절되어 배출 시 배출구에서 냉각수가 비산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냉각수를 배출하는 드레인 통로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드레인 마개부재(20)에 일체로 형성되어 파손의 위험이 적고, 별도의 냉각수 드레인 관을 구비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한편, 상기 드레인 마개부재(20)는 제 2 드레인 홀(23)에 배출호스(30)를 연결할 수 있는 호스결합부(24)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호스결합부(24)는 도 6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드레인 홀(23)의 단부 측으로 돌출되는 호스결합돌기(24a)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도 6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드레인 홀(23)의 단부 축 주위로 파여지는 호스결합홈(24b)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호스결합돌기(24a) 또는 호스결합홈(24b)으로 배출호스(30)를 결합하여, 냉각수의 배출되는 통로의 길이를 증대시켜 냉각수를 비산없이 안정적으로 배출되도록 하고, 배출호스(30)의 플렉시블한 특성을 이용하여 작업 시 냉각수를 원하는 장소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드레인 마개부재를 통해 직접 냉각수를 배출하는 구조로써 냉각수 유출탱크에 별도의 냉각수 드레인 관을 구비할 필요가 없어 라디에이터의 형상을 단순화할 수 있고,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제조 시 제조공정을 단순화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냉각수가 드레인실을 거쳐 외부로 배출되므로, 배출 시 배출구에서 냉각수가 비산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작업자의 안전성과 주변의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드레인 통로가 외부로 돌출되어 노출되지 않아 외부의 충격에 의한 파손의 위험이 없고 라디에이터 드레인 장치의 내구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7)

  1. 순환되는 냉각수를 배출하는 드레인 장치(6)가 냉각수 유출탱크(3)에 구비된 라디에이터(1)의 드레인 구조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장치(6)는 상기 냉각수 유출탱크(3)에 제 1 드레인 홀(11)로 연통되며, 내부에 냉각수가 유입되어 일시 저장되는 드레인실(12)이 형성되며 상기 드레인실(12)을 밀폐하는 마개를 결합할 수 있는 마개결합부(13)가 구비된 드레인 탱크부(10)와;
    일 단에 상기 제 1 드레인 홀(11)을 막아 실링하는 제 1 실링마개부(21) 및 상기 제 1 실링마개부(21)가 제 1 드레인 홀(11)을 개폐할 수 있도록 마개결합부(13)로 결합하며, 드레인실(12)을 밀폐하는 제 2 실링마개부(22)가 구비되며, 상기 드레인실(12)에서 외부로 연통되는 제 2 드레인 홀(23)이 뚫려진 드레인 마개부재(2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에이터의 드레인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실링마개부(21)는 외주면에 제 1 드레인 홀(11)을 실링하는 시일링(21a)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에이터의 드레인 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마개부재(20)는 제 2 실링마개부(22)가 숫나사부로 형성되고, 상기 마개결합부(13)가 상기 숫나사부에 대응되는 암나사부로 형성되어 드레인 탱크부(10)에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에이터의 드레인 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실링마개부(22)는 외주면에 드레인실(12)을 실링하는 오링(22a)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에이터의 드레인 구조.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마개부재(20)는 제 2 드레인 홀(23)에 배출호스(30)를 연결할 수 있는 호스결합부(2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에이터의 드레인 구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호스결합부(24)는 상기 제 2 드레인 홀(23)의 단부 측으로 돌출되는 호스결합돌기(24a)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에이터의 드레인 구조.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호스결합부(24)는 상기 제 2 드레인 홀(23)의 단부 축 주위로 파여지는 호스결합홈(24b)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에이터의 드레인 구조.
KR1020060124375A 2006-12-08 2006-12-08 라디에이터의 드레인 구조 KR1007752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4375A KR100775280B1 (ko) 2006-12-08 2006-12-08 라디에이터의 드레인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4375A KR100775280B1 (ko) 2006-12-08 2006-12-08 라디에이터의 드레인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5280B1 true KR100775280B1 (ko) 2007-11-08

Family

ID=39061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4375A KR100775280B1 (ko) 2006-12-08 2006-12-08 라디에이터의 드레인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52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6271B1 (ko) 2009-05-28 2013-06-21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차량용 라디에이터의 드레인기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4996Y1 (ko) * 1994-12-06 1998-04-18 박기영 라디에이터의 드레인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4996Y1 (ko) * 1994-12-06 1998-04-18 박기영 라디에이터의 드레인 어셈블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6271B1 (ko) 2009-05-28 2013-06-21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차량용 라디에이터의 드레인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35505B (zh) 发动机冷却系统
CN100554661C (zh) 带有冷却剂保养系统的机油-冷却剂-模块
KR101789318B1 (ko) 사출금형 냉각라인의 냉각수 공급 및 건조장치
KR100775280B1 (ko) 라디에이터의 드레인 구조
CN114285212B (zh) 一种增程式电机
IT201800020332A1 (it) Filtro per il trattamento di un fluido in un impianto di riscaldamento e/o raffrescamento, in particolare di tipo domestico e/o industriale
KR20120020817A (ko) 라디에이터
KR101313567B1 (ko) 차량용 송풍기 모터의 냉각장치
JP6451706B2 (ja) 油圧ユニット
JP2009092160A (ja) 燃料ガスタンク
KR20070021391A (ko) 라디에이터의 필러넥 결합구조
JP2007120381A (ja) エンジン冷却装置
KR20190002922A (ko) 냉각수 순환 펌프
KR101990441B1 (ko) 냉수탱크
KR101318635B1 (ko) 워터 밸브
KR101936723B1 (ko) 쿨링모듈
KR100680676B1 (ko) 라디에이터의 냉각수 드레인 겸용 배출장치
JP6200837B2 (ja) メカニカルシール
KR20120059917A (ko) 차량용 워터 밸브
JP3240603U (ja) 栓体
JP5576424B2 (ja) 燃料ガスタンク
KR101409190B1 (ko) 열교환기
KR102409395B1 (ko) 오일쿨러 일체형 타이밍 기어 케이스
KR102131389B1 (ko) 통합형 열관리모듈용 냉각수 드레인구조
CN201129233Y (zh) 风、水冷发动机汽缸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