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1732B1 - 물품 보관 장치 - Google Patents

물품 보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1732B1
KR100771732B1 KR1020060101261A KR20060101261A KR100771732B1 KR 100771732 B1 KR100771732 B1 KR 100771732B1 KR 1020060101261 A KR1020060101261 A KR 1020060101261A KR 20060101261 A KR20060101261 A KR 20060101261A KR 100771732 B1 KR100771732 B1 KR 1007717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cle
air
article storage
rectifying
part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1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2479A (ko
Inventor
토오루 오가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ublication of KR20070042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24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1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17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1/00Cabinets or rack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e.g. for storing guns or sk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11Underframes
    • A47B2200/0019Auxiliary use of table underframes, e.g. incorporating: cooling, drainage, air supply or wir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Landscapes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각 물품 수용부에 대응하지 않는 송풍 수단을 채용하여도, 각 물품 수용부에 있어서의 공기의 흐름이 현저하게 흐트러지지 않고, 물품으로의 먼지의 부착이나 퇴적을 방지할 수 있는 물품 보관 장치의 제공이다.
복수의 물품 수용부(12)가 상하에 다단 모양으로 형성된 물품 보관 선반(11)과.각 물품 수용부(12)의 배면에서부터 물품 수용부(12) 내로 공기를 보내는 송풍 수단을 구비한 물품 보관 장치(10)로서, 물품 보관 선반(11)의 배면에 각 물품 수용부(12)와 연통하는 배면 측 공간부(24)가 형성되고, 배면 측 공간부(24)에는, 배면 측 공간부(24)를 상하의 구획 공간부(24a ~ 24d)로 분할 형성하는 구획판(29)이 설치되며, 구획판(29)은 복수의 공기 유통 구멍(30)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물품 보관 장치{ARTICLE SAFEKEEPING DEVICE}
도 1은 제 1 실시 형태에 관한 물품 보관 장치를 일부 파단하여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 형태에 관한 물품 보관 장치를 일부 파단하여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 형태에 관한 물품 보관 장치의 요부를 일부 파단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제 1 실시 형태에 관한 물품 보관 장치 내의 공기의 속도 분포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는 제 2 실시 형태에 관한 물품 보관 장치를 일부 파단하여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제 3 실시 형태에 관한 물품 보관 장치를 일부 파단하여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제 4 실시 형태에 관한 물품 보관 장치를 일부 파단하여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제 5 실시 형태에 관한 물품 보관 장치를 일부 파단하여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0, 40, 50, 60, 70 물품 보관 장치
11 물품 보관 선반
12 물품 수용부
21 천장 측 공간부
24, 41, 51, 62, 71 배면 측 공간부
24a ~ 24d, 41a ~ 41l, 51a, 51b, 61a ~ 61e, 71a ~ 71d 구획 공간부
27, 78 송풍 팬
28, 75, 77 제진 필터
29, 42, 52, 62, 79 구획판
30, 43, 53, 63, 80 공기 유통 구멍
32, 44, 54, 64, 81 정류판
33, 45, 55, 65, 82 정류용 통과 구멍
W 물품
<기술 분야>
본 발명은, 물품 보관 장치에 관한 것이고, 특히, 물품 보관 선반 내의 물품으로의 먼지의 부착이나 퇴적을 방지하도록, 청정한 공기(클린·에어(clean air)) 를 물품 보관 선반 내에 공급하는 송풍 수단을 구비한 물품 보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경 기술>
종래, 반도체 부품 등에 이용되는 유리 기판은, 먼지의 부착이나 퇴적에 의해 제품 수율이 대폭 저하하기 때문에, 항상 먼지의 부착이나 퇴적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이러한 먼지의 부착이나 퇴적을 싫어하는 유리 기판 등의 물품은, 공기 청정도가 높은 환경에 있어서 취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런 종류의 물품은,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물품 보관 장치(짐 보관 장치)에서 보관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런 종류의 물품 보관 장치는, 물품 수용부(짐 수용부)가 상하에 복수단(複數段) 형성된 물품 보관 선반(랙 유니트(rack unit))과, 물품 보관 선반 배면에 구비된 배면 측 공간부(유로(流路))와, 물품 수용부와 배면 측 공간부의 사이에 설치된 필터와, 배면 측 공간부에 각 물품 수용부에 대응하여 구비된 송풍 수단(팬(fan))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물품 보관 장치는, 송풍 수단의 구동에 의해 배면 측 공간부로부터 필터를 통하여 물품 수용부 내에 청정한 공기를 보내도록 하고 있다.
이 물품 보관 장치에 의하면, 각 물품 수용부에 대응하여 송풍 수단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각 물품 수용부에 있어서 물품 수용부 내의 공기의 흐름은 일정하여, 물품 수용부 마다 공기의 흐름이 달라지지 않는다.
또, 다른 물품 보관 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2에 개시된 물품 보관 장치(클린룸(clean room)용 자동 창고)가 알려져 있다.
이런 종류의 물품 보관 장치는, 물품 수용부가 상하에 복수단 형성된 물품 보관 선반(선반)과, 물품 보관 선반의 위쪽 천장에 공기(클린 에어)를 불어 내리는 송풍 수단과, 물품 수용부의 배면 측에 형성된 배면 측 공간부 (덕트)와, 물품 수용부와 배면 측 공간부와의 사이에 개재된 정류판(整流板)(정밀 정류판)을 가지고 있다.
이 물품 보관 장치는, 배면 측 공간부를 통하여, 천장 측에서부터의 공기를 물품 수용부 내에 보낼 수 있고, 또, 정류판에 의해 물품 수용부 내의 공기의 흐름을 거의 균등하게 한다.
이 물품 보관 장치에 의하면, 천장 측에 송풍 수단을 설치함으로써, 각 물품 수용부 마다 송풍 수단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특허문헌 1> 특개평10-2911607호 공보
<특허문헌 2> 특개평7-172506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그렇지만,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이런 종류의 물품 보관 선반에서는, 각 물품 수용부에 대응하여 송풍 수단이 각각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물품 수용부의 수(數)에 따른 송풍 수단을 필요로 한다.
또, 송풍의 조건을 변경하거나 조정하거나 하는 경우, 모든 송풍 수단을 조 작할 필요가 있다.
한편, 특허문헌 2에 개시된 이런 종류의 물품 보관 장치에서는, 물품 보관 선반의 배면 측에 형성된 배면 측 공간부가 상하로 길게 설정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배면 측 공간부는, 천장 측의 송풍 수단에서부터의 공기의 공급을 받아도, 공기의 흐름이 곧바로 하부까지 도달하고, 이 때문에, 배면 측 공간부에 있어서의 공기의 압력은 상부와 하부에 있어서 일정하게 되지 않는다.
즉, 이런 종류의 물품 보관 장치에 있어서의 배면 측 공간부에서는, 하부에 있어서의 공기의 압력은, 상부에 있어서의 공기의 압력보다 높아진다.
이 때문에, 상부의 물품 수용부 내로 보내지는 공기의 흐름과, 하부의 물품 수용부 내로 보내지는 공기의 흐름이 현저하게 흐트러지는 것을 피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물품 수용부 내로 보내지는 공기의 흐름이 현저하게 흐트러지면, 예를 들면, 상부의 물품 수용부에서는 공기의 흐름이 먼지의 부착·퇴적을 방지하는 층류(層流)로 있어도, 하부의 물품 수용부에서는, 공기의 유속이 과도(過度)하게 되어 먼지의 부착·퇴적을 초래하는 원인이 되는 난류가 생길 가능성이 높다.
혹은, 하부의 물품 수용부에 있어서 공기의 흐름을 층류로 하면, 상부의 물품 수용부에서는, 공기의 유속이 부족하여 먼지의 부착·퇴적의 방지에 불충분한 약한 흐름이 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각 물품 수용부에 대응하지 않는 송풍 수단을 채용하여도, 각 물품 수용부에 있어 서의 공기의 흐름이 현저하게 흐트러지지 않게, 물품으로의 먼지의 부착이나 퇴적을 방지할 수 있는 물품 보관 장치의 제공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은, 복수의 물품 수용부가 상하에 다단(多段) 모양으로 형성된 물품 보관 선반과, 상기 각 물품 수용부의 배면에서부터 이 물품 수용부 내로 공기를 보내는 송풍 수단을 구비한 물품 보관 장치로서, 상기 물품 보관 선반의 배면에 상기 각 물품 수용부와 연통하는 배면 측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배면 측 공간부에는, 이 배면 측 공간부를 상하 방향의 복수의 구획 공간부로 분할 형성하는 구획판이 설치되고, 상기 구획판은 복수의 공기 유통 구멍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물품 보관 선반의 배면 측에 형성되는 배면 측 공간부에는, 공기 유통 구멍을 구비한 구획판에 의해 상하 방향의 복수의 구획 공간부가 분할 형성되기 때문에, 송풍 수단에서부터 공급되는 공기는 배면 측 공간부를 상하로 통할 때, 구획판에 의한 유통의 억제를 받는 한편으로, 공기 유통 구멍을 통과한다.
따라서, 공기 유통 구멍을 가지는 구획판의 작용에 의해 구획 공간부 마다 공기의 압력을 거의 일정하게 유지하기 쉽게 되는 것 외에, 각 구획 공간부와의 압력 차이를 억제하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구획 공간부에서부터 물품 수용부 내로 보내지는 공기는, 물품으 로의 먼지의 부착이나 퇴적을 방지하기 때문에 적절한 흐름인 층류를 만들어 내기 쉽다.
또한, 물품 보관 선반에 있어서, 물품의 출입이 행해지는 측을 정면측으로 하고, 반대측을 배면 측으로 한다.
청구항 2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1 기재의 물품 보관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면 측 공간부와 상기 각 물품 수용부 사이에 정류판이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배면 측 공간부에 있어서의 구획 공간부로부터 물품 수용부에 공급되는 공기는 정류판에 의해 정류된다.
따라서, 정류판에 의해 공기의 흐름을 정류하는 것에 의해, 물품으로의 먼지의 부착이나 퇴적을 초래할 우려가 있는 난류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3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2 기재의 물품 보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류판은, 공기를 정류하는 복수의 정류용 통과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정류용 통과 구멍의 개구율(開口率)은 상하 방향으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구획 공간부로부터 물품 수용부에 공급되는 공기는, 복수의 정류용 통과 구멍을 구비한 정류판에 의해 정류된다.
정류용 통과 구멍의 개구율이 정류판의 상하 방향으로 다르기 때문에, 구획 공간부에 있어서 상부와 하부의 압력 차이가 존재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정류판의 상부를 통과하는 공기와, 하부를 통과하는 공기는, 물품 수용부 내에서 거의 같은 속도 분포가 된다.
청구항 4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3 기재의 물품 보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류판은, 상부 정류판과 하부 정류판을 가지고, 상부 정류판에 있어서의 상기 정류용 통과 구멍의 개구율은, 하부 정류판에 있어서의 상기 정류용 통과 구멍의 개구율보다도 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구획 공간부로부터 물품 수용부에 공급되는 공기는 상부 정류판 및 하부 정류판의 정류용 통과 구멍을 통하여 정류된다.
정류용 통과 구멍의 개구율은, 하부 정류판에 있어서의 정류용 통과 구멍의 개구율보다 크게 하고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하부 정류판에 대응하는 구획 공간부 내의 공기의 압력이, 상부 정류판에 대응하는 구획 공간부 내의 공기의 압력보다 큰 경우, 공기는 상부 정류판에 있어서의 정류용 통과 구멍과 하부 정류판에 있어서의 정류용 통과 구멍을 통과하는 것에 의해 물품 수용부 내에서 거의 일정한 속도 분포가 된다.
청구항 5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1 ~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물품 보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풍 수단은, 상기 배면 측 공간부의 위쪽 또는 상기 배면 측 공간부의 배면 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배면 측 공간부의 위쪽 또는 배면 측 공간부의 배면 측에 설치되는 송풍 수단은 배면 측 공간부로 공기를 공급하고, 배면 측 공간부로 공급된 공기는 배면 측 공간부의 상하로 널리 퍼진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각 물품 수용부에 대응하지 않는 송풍 수단을 채용하여 도, 각 물품 수용부에 있어서의 공기의 흐름이 현저하게 흐트러지지 않고, 물품으로의 먼지의 부착이나 퇴적을 방지할 수 있는 물품 보관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
(제 1 실시 형태)
이하, 실시 형태에 관한 물품 보관 장치(10)에 대하여 도 1 ~ 도 4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 형태의 물품 보관 장치(10)는, 스태커 크레인(stacker crane)을 구비한 자동 창고에 적용한 예이다.
도 1은, 이 실시 형태에 관한 물품 보관 장치(10)의 일부를 파단하여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 실시 형태에 관한 물품 보관 장치(1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물품 수용부(12)가 상하로 좌우에 형성된 물품 보관 선반(11)을 가진다.
물품 수용부(12)는, 물품(W)의 양측 부근을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 부재(12a)를 구비하고, 물품 수용부(12)에는 물품(W)이 수용된다.
지지 부재(12a)의 하면 측에는, 아래쪽의 물품 수용부(12)와 격절(隔絶)하는 바닥판(12b)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하의 물품 수용부(12) 사이는, 바닥판(12b)에 의해 나누어진다.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물품(W)은, 먼지의 퇴적 및 부착을 싫어하는, 예를 들면, 기판 부품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물품 보관 선반(11)의 정면 측에는, 각 물품 수 용부(12)에 대한 물품(W)의 출입을 도모하는 스태커 크레인(13)이 배치되어 있다.
스태커 크레인(13)은 마스트(mast)(15)가 세워 설치된 주행 차체(chassis)(14)를 구비하고 있는 것 외에, 물품 수용부(12)에 대하여 진퇴가 자유로운 슬라이드 포크(slide fork)(17)를 구비한 캐리지(carriage)(16)를 가지고 있고, 이 캐리지(16)는 마스트(15)에 따라 승강한다.
스태커 크레인(13)은, 바닥면의 궤도(18) 및 천장 측의 안내체(19)에 따라서 주행이 자유롭고, 물품 보관 선반(11)과 입출고 컨베이어(conveyer)(20)와의 사이를 왕복 주행한다.
이것에 의해, 스태커 크레인(13)은 각 물품 수용부(12)에 대하여 물품(W)의 출입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포크(17)에 의해 물품 수용부(12)로부터 꺼내는 경우는, 물품 수용부(12)에 있어서의 물품(W)과 바닥판(12b)과의 사이에 포크(17)를 삽입하여 물품(W)의 취득을 행한다.
또한, 입출고 컨베이어(20)는, 입출고해야 할 물품(W)을 반송하는 컨베이어이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물품 보관 선반(11)에 있어서, 스태커 크레인(13)에 의해 물품(W)의 출입을 하는 측을 정면측으로 하고, 반대측을 배면 측으로 한다.
물품 보관 선반(11) 및 스태커 크레인(13)의 위쪽에는,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천장벽(23)이 구비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물품 보관 선반(11)의 배면 측에는, 배면 측 공 간부(24)가 측벽(22)에 의해 구획 형성되어 있다.
측벽(22) 및 천장벽(23)은, 물품 보관 선반(11)과, 스태커 크레인(13)과, 입출고 컨베이어(20)를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측벽(22)은, 물품 보관 선반(11)과, 스태커 크레인(13)과, 입출고 컨베이어(20)를 외부와 격절하는 밀폐 공간을 형성한다.
천장벽(23)은 스태커 크레인(13)이 구비되는 공간(25)(설명의 편의상 「정면측 공간부(25)」라고 표기한다.)과 천장 측 공간부(21)를 격절하고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천장 측 공간부(21)은, 배면 측 공간부(24) 및 물품 수용부(12)를 통과하여, 정면측 공간부(25)와 연통하고 있다.
이 때문에, 천장 측 공간부(21), 배면 측 공간부(24), 물품 수용부(12), 정면측 공간부(25), 통로(26), 천장 측 공간부(21)라고 하는 공기의 순환 경로가 형성된다.
또한, 도 2에 있어서, 스태커 크레인(13)의 일측에만 물품 보관 선반(11)을 도시하였으나, 이 실시 형태에서는, 스태커 크레인(13)의 양측에 각각 물품 보관 선반(11)이 설치되는 구성이다.
천장 측 공간부(21)에는, 송풍 수단으로서의 복수대의 송풍 팬(27)이 배치 되어 있다.
각 송풍 팬(27)은, 위쪽에서부터 아래쪽으로 공기를 일정한 유속으로 흘러, 공기를 물품 보관 선반(11)의 배면 측 공간부(24)에 공급하는 팬이다.
송풍 팬(27)의 하면에는, 제진(除塵) 필터(28)가 천장 측 공간부(21)를 상하 로 분할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진 필터(28)는 송풍 팬(27)에서부터 불어 나온 공기 중의 먼지를 포집(捕集)하는 필터이다.
이것에 의해, 제진 필터(28)를 통과한 공기는 청정한 공기가 된다.
도 2에 나타내는 배면 측 공간부(24)는, 송풍 팬(27)의 송풍을 받아 천장 측 공간부(21)로부터의 청정한 공기의 공급을 받는 공간부이다.
배면 측 공간부(24)는, 상하에 복수로 분할 형성된 구획 공간부(24a ~ 24d)를 가진다.
또, 각 구획 공간부(24a ~ 24d)의 사이에 구획판(29)이 설치되어 있고, 배면 공간부(24)와 천장 측 공간부(21)와의 경계에도 구획판(29)이 설치되어 있다.
구획판(29)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공기 유통 구멍(30)을 구비하고 있고, 공기 유통 구멍(30)은 구획판(29)의 상하의 구획 공간부(24a ~ 24d)를 서로 연통한다.
또, 최상위의 구획판(29)은, 천장 측 공간부(21)와 최상위의 구획 공간부(24a)를 서로 연통한다.
이 실시 형태의 구획판(29)은, 금속판의 펀칭 가공에 의해 형성되는 펀칭(puncing)판을 채용하고 있다.
구획판(29)은 물품 수용부(12)에 있어서의 지지 부재(12a)의 높이에 일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각 구획 공간부(24a ~ 24d)는, 물품 수용부(12) 마다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다.
구획판(29)은, 공기 유통 구멍(30)에 의해 위쪽에서부터 아래쪽으로의 공기의 유통을 가능하게 하지만, 배면 측 공간부(24)에 있어서의 공기의 흐름은 구획판(29)의 개재에 의한 규제를 받는다.
즉, 구획판(29)은, 위쪽에서부터 아래쪽으로 향하는 공기의 흐름의 저항체이지만, 공기의 위쪽에서부터 아래쪽으로의 유통을 방해하지 않는 요소로 되고 있다.
구획판(29)에 있어서의 공기 유통 구멍(30)의 총면적이 차지하는 비율(이후 「개구율(開口率)」이라고 표기한다.)에 의해 공기의 통과 쉬움, 혹은, 어려움이 결정된다.
예를 들면, 구획판(29)의 개구율이 큰 경우, 공기 유통 구멍(30)의 총면적이 많게 되기 때문에, 공기는 구획판(29)을 통과하기 쉽고, 반대로, 구획판(29)의 개구율이 작은 경우는, 공기 유통 구멍(30)의 총면적이 작아지기 때문에, 공기는 구획판(29)을 통하기 어렵다고 말할 수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구획판(29)의 개구율은 각 구획판(29)과 달라, 예를 들면, 최상위의 구획판(29)에서는 개구율이 가장 작게 설정되어 있다.
각 구획판(29)의 개구율의 설정은, 송풍 팬(27)의 공기의 유속, 천장 측 공간부(21)나 배면 측 공간부(24)의 용적, 물품(W)의 치수·형상 등의 모든 조건에 의해 결정된다.
한편, 배면 측 공간부(24)와 각 물품 수용부(12)의 사이에는, 도 2 및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정류용 통과 구멍(33)을 가지는 정류판(32)이 구비 되어 있다.
정류용 통과 구멍(33)은 구획 공간부(24a ~ 24d)와 대응하는 물품 수용부(12)를 연통하지만, 정류용 통과 구멍(33)은 물품 수용부(12)에 있어서의 공기의 흐름을 적절히 정돈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정류판(32)에 있어서의 정류용 통과 구멍(33)이 차지하는 비율(이후 「개구율」이라고 표기한다.)이, 정류판(32)의 상반과 하반이 차이가 난다.
구체적으로는, 정류판(32)의 상반에서는 개구율이 크고, 하반에서는 개구율이 작게 설정되어 있다.
이것은, 공기의 압력이 각 구획 공간부(24a ~ 24d)의 아래쪽에서 높고, 위쪽에서 낮게 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정류판(32)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 개구율을 다르게 하는 것에 의해, 각 구획 공간부(24a ~ 24d)에 있어서의 압력 차이를, 물품 수용부(12)에 있어서의 공기의 흐름에 반영시키지 않게 하기 위해서이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개구율이 다른 하부 정류판(32a)과 상부 정류판(32b)의 조합에 의해 정류판(32)을 구성하고 있다.
하부 정류판(32a) 및 상부 정류판(32b)은, 모두 금속판의 펀칭 가공에 의한 펀칭판을 채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각 구획 공간부(24a ~ 24d)의 상하에는 구획판(29)이 설치되고, 배면 측에는 측벽(22)이 배치되며, 물품 수용부(12) 측은 정류판(32)이 설치되고 있다.
그리고, 각 구획 공간부(24a ~ 24d)의 양측(좌우)은, 도시하지 않는 구획벽에 의해, 대응하는 근처의 각 구획 공간부(24a ~ 24d)와 격절되어 있다.
다음에, 이 실시 형태에 관한 물품 보관 장치(1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물품 보관 장치(10)는, 통상 상태에서는 항상 송풍 팬(27)이 구동되는 상태이다.
송풍 팬(27)에 의해 불어 나온 공기는 제진 필터(28)를 통과하지만, 이 때, 공기 중의 먼지는 제진 필터(28)에 포집된다.
제진 필터(28)를 통과한 공기는 청정한 공기가 되고, 청정한 공기는 배면 측 공간부(24)로 이송된다.
배면 공간부(24)와 천장 측 공간부(21)과의 경계에 위치하는 구획판(29)은, 공기의 흐름을 규제하면서, 구획판(29)의 개구율에 따른 공기의 흐름을 아래쪽의 구획 공간부(24a)로 통과한다.
구획 공간부(24a)에 유도된 공기의 흐름은, 구획판(29)에 의한 규제를 받으면서 하부의 구획 공간부(24b ~ 24d)로 향한다.
이와 같이, 구획판(29)을 통하여 최상위의 구획 공간부(24a)에서부터 최하위의 구획 공간부(24d)로 공기가 구획판(29)의 개구율에 따른 유속으로 통과된다.
송풍 팬(27)의 구동이 안정되어 있는 경우, 각 구획 공간부(24a ~ 24d) 내의 공기의 압력은, 구획판(29)의 작용에 의해 각 구획 공간부(24a ~ 24d) 마다 결정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배면 측 공간부(24)가 구획판(29)의 작용에 의해 물품 수용부(12)에 따른 각 구획 공간부(24a ~ 24d)로 분할되어 있으므로, 각 구획 공간부(24a ~ 24d) 내의 압력 차이가 억제된 상태에 있다.
또, 각 구획 공간부(24a ~ 24d)의 공기의 압력이 현저하게 흐트러지지 않도록, 구획판(29)의 개구율을 설정하고 있고,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최하위의 구획 공간부(24d)와 최상위의 구획 공간부(24a)에 있어서의 공기의 압력의 차이가 억제되고 있다.
그리고, 정류판(32)를 통과하여 각 구획 구간부(24a ~ 24d)에서부터 대응하는 물품 수용부(12)로 공기가 이송되지만, 각 물품 수용부(12)에 있어서의 공기의 흐름은, 구획 공간부(24a ~ 24d) 내의 공기의 압력에 따른 것으로 된다.
도 4는, 물품 수용부(12)에 있어서의 공기의 속도 분포를 나타낸 도로서, 실선 Vm으로 나타나는 공기의 속도 분포이고, 2점 쇄선 Va ~ Vd는 구획판(29) 및 정류판(32)이 없는 경우의 공기의 속도 분포를 나타내고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구획 공간부(24a ~ 24d)에서부터 대응하는 각 물품 수용부(12)에 공급되는 공기는, 복수의 정류용 통과 구멍(33)을 구비한 정류판(32)에 의해 정류된다.
물품 수용부(12)에 있어서의 공기의 흐름은, 정류용 통과 구멍(33)을 통과하고 있는 것에서부터 층류(層流)로 되고 있다.
층류는, 난류와 달리, 물품(W)으로의 먼지의 부착이나 퇴적을 방지하기 위해 적합한 흐름이다.
구획 공간부(24a ~ 24d) 내의 압력 분포를 보면, 각 구획 공간부(24a ~ 24d)의 상부와 하부에 있어서 약간의 압력 차이가 생기는 것을 피할 수 없지만, 개구율이 다른 하부 정류판(32a)과 상부 정류판(32b)이 이용되어 있는 것에 의해, 압력이 높은 하부에서는 공기의 흐름이 조여지고 있고, 압력의 낮은 상부에서는 하부보다 흐르기 쉽게 되어 있다.
이 결과, 물품 수용부(12)의 하부 및 상부에 있어서 거의 같은 층류가 생기고 있어, 공기의 현저한 유속 차이에 의한 난류는 생기지 않는다.
그리고, 물품 수용부(12)에 있어서의 공기는, 정면측 공간부(25)에 나오지만, 이 실시 형태에서는, 바닥 측에 구비된 도시는 하지 않는 바닥 측 통로를 통과하여서 외부로 나온다.
이 실시 형태에 관한 물품 보관 장치에 의하면 이하의 효과를 나타낸다.
(1) 공기 유통 구멍(30)을 가지는 구획판(29)의 작용에 의해 구획 공간부(24a ~ 24d) 마다 공기의 압력을 거의 일정하게 유지하기 쉬워지는 것 외에, 각 구획 공간부(24a ~ 24d)와의 압력 차이를 억제하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구획 공간부(24a ~ 24d)에서부터 물품 수용부(12) 내에 이송되는 공기는, 물품(W)으로의 먼지의 부착이나 퇴적을 방지하기 위한 적절한 흐름인 층류를 만들어 내기 쉽다.
(2) 배면 측 공간부(24)에 있어서의 각 구획 공간부(24a ~ 24d)에서부터 물품 수용부(12)에 공급되는 공기는 정류판(32)에 의해 정류되기 때문에, 정류판(32)에 의해 공기의 흐름을 정류하는 것에 의해, 물품(W)으로의 먼지의 부착이나 퇴적 을 초래할 우려가 있는 난류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3) 정류용 통과 구멍(33)의 개구율이 정류판(32)의 상하 방향으로 다르기 때문에, 각 구획 공간부(24a ~ 24d)에 있어서 상부와 하부의 압력 차이가 존재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정류판(32)에 있어서의 개구율의 상이에 근거하여 정류판(32)의 상부를 통과하는 공기와, 하부를 통과하는 공기는, 물품 수용부(12) 내에 있어서 거의 같은 속도 분포의 흐름이 된다.
(4) 상부 정류판(32b)에 있어서의 개구율은, 하부 정류판(32a)에 있어서의 정류용 통과 구멍(33)의 개구율보다 크게 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하부 정류판(32a)에 대응하는 구획 공간부(24a) 내의 상부 부근의 공기의 압력이, 상부 정류판(32b)에 대응하는 하부 부근의 공기의 압력보다 큰 경우, 공기는 상부 정류판(32)에 있어서의 정류용 통과 구멍(33)과 하부 정류판(32a)에 있어서의 정류용 통과 구멍(33)을 통과하는 것에 의해 대응하는 물품 수용부(12) 내에 있어서 거의 일정한 속도 분포가 된다.
(5) 배면 측 공간부(24)의 위쪽에 설치되는 송풍 팬(27)은 배면 측 공간부(24)로 유속에 따른 공기를 내보내고, 배면 측 공간부(24)로 공급된 공기는 구획판(29)을 통과하여 배면 측 공간부(24)의 위쪽에서부터 아래쪽으로 널리 퍼져, 공기의 유속에 따라 각 구획 공간부(24a ~ 24d) 내의 공기의 압력을 높일 수 있다.
(제 2 실시 형태)
다음으로, 제 2 실시 형태에 관한 물품 보관 장치(4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제 2 실시 형태에 관한 물품 보관 장치(40)의 일부를 파단하여 나타 내는 정면도이다.
제 2 실시 형태에 관한 물품 보관 장치(40)는, 설치되는 구획판의 수가 다른 점과 정류판의 구성이 다른 점을 제외하고, 제 1 실시 형태의 물품 보관 장치(10)의 구성과 거의 공통된다.
이 때문에, 제 2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실시 형태와 공통되는 요소에 대해서는, 제 1 실시 형태의 설명을 원용하고, 설명의 편의상, 공통의 부호를 이용한다.
제 2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실시 형태의 각 구획 공간부(24a ~ 24d)를 구획판(42)에 의해 더욱 3분할한 형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 실시 형태의 배면 측 공간부(41)는 12의 구획 공간부(41a ~ 41l)로 분할 형성되어 있다.
즉, 이 실시 형태의 각 구획 공간부(41a ~ 41l)는, 제 1 실시 형태의 각 구획 공간부(24a ~ 24d)의 대략 1/3의 공간으로 되어 있다.
구획판(42)은 기본적으로, 제 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공기 유통 구멍(43)을 가지고, 구획판(42)의 개구율은 각 구획 공간부(41a ~ 41l)에 적합한 개구율이 설정되어 있다.
각 구획 공간부(41a ~ 41l)의 공간이 더욱 적게 되므로, 각 구획 공간부(41a ~ 41l) 내에 있어서의 공기의 압력을 미세한 차이로 하기 쉽다.
또, 각 구획 공간부(41a ~ 41l)와 물품 수용부(12)의 사이의 면적이 감소한다.
이 때문에, 각 구획 공간부(41a ~ 41l)와 물품 수용부(12)의 사이에는, 정류용 통과 구멍(45)을 가지고, 개구율이 공통되는 정류판(44)이 개재되어 있다.
덧붙여서,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정류판(44)이 물품 수용부(12) 마다 구비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 의하면, 구획판(42)의 수가 증가하지만, 각 물품 수용부(12)에 있어서의 공기의 흐름은 보다 적절한 층류가 되는 것 외에, 개구율이 일정한 정류판(44)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 구획 공간부(41a ~ 41l)의 상하 간격이 짧아지는 것에 의해, 구획 공간부(41a ~ 41l)에 있어서의 공기가 구획판(42)에 따라 안내되고, 정류판(44)에 의한 공기의 정류 작용을 구획판(42)이 조장(助長)한다.
(제 3 실시 형태)
다음으로, 제 3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제 3 실시 형태에 관한 물품 보관 장치(50)의 요부를 파단하여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실시 형태와 공통 또는 유사하는 요소에 대해서는 제 1 실시 형태에서 사용한 부호를 사용한다.
제 3 실시 형태의 배면 측 공간부(51)는, 구획판(52)에 의해 2개의 구획 공간부(51a, 52b)로 구획 형성되어 있다.
아래쪽의 구획판(52)은, 2단째의 물품 수용부(12)의 지지 부재(12a)의 위치에 대응하고 있기 때문에, 각 구획 공간부(51a, 52b)는 각각 2개의 물품 수용 부(12)에 대응하고 있다.
이 실시 형태의 각 구획 공간부(51a, 51b)는, 제 1 실시 형태의 각 구획 공간부(24a ~ 24d)의 2배의 크기로 되어 있다.
구획판(52)은 공기 유통 구멍(53)을 가지고, 제 1 실시 형태의 구획판(29)과 기본적으로 동일하지만, 구획 공간부(51a, 51b)에 적합한 개구율이 설정되어 있다.
또, 구획 공간부(51a, 51b)와 물품 수용부(12)와의 사이에는, 정류용 통과 구멍(55)을 가지는 정류판(54)이 구비되어 있다.
구획 공간부(51a, 51b)에 있어서의 상단 측의 정류판 54(54a)에 대해서는, 상단 측의 물품 수용부(12)에 대응하여 개구율을 크게 설정하고 있다.
한편, 하단 측의 물품 수용부(12)에 대응하는 정류판 54(54b)의 개구율은 상단 측의 정류판(54a)과 비교하여 작게 설정하고 있다.
즉, 큰 구획 공간부(51a, 52b)에서는 생길 가능성이 있는 공기의 압력 차이를 정류판(54a, 54b)의 개구율에 의해 흡수하는 의도가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구획판(52)의 수를 줄일 수 있지만, 물품 수용부(12) 마다 적합한 개구율이 다른 정류판(54a, 54b)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4 실시 형태)
다음으로, 제 4 실시 형태의 물품 보관 장치(6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제 4 실시 형태에 관한 물품 보관 장치(60)의 일부를 파단하여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실시 형태와 공통 또는 유사하는 요소에 대해서는 제 1 실시 형태에서 사용한 부호를 사용한다.
제 4 실시 형태에서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천장 측 공간부(21)와 배면 측 공간부(61)의 경계의 구획판(62)을 제외한 구획판(62)이, 물품 수용부(12)의 중간의 높이로 설정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의 배면 측 공간부(61)는, 6개의 구획 공간부(61a ~ 61e)로 분할 형성되어 있다.
최상위의 구획 공간부(61a) 및 최하위의 구획 공간부(61e)는, 다른 구획 공간부(61b ~ 61d)의 반의 크기로 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구획 공간부(61b ~ 61d)가 복수의 물품 수용부(12)의 일부를 임하는 상태이다.
예를 들면, 구획 공간부(61b)는 최상단의 물품 수용부(12)의 하반의 공간을 임함과 동시에, 2단째의 물품 수용부(12)의 상반의 공간을 임한다.
최상위의 구획 공간부(61a)는, 최상단의 물품 수용부(12)의 상반의 공간을 임하고, 최하위의 구획 공간부(61e)는, 최하단의 물품 수용부(12)의 하반의 공간을 임한다.
각 구획판(62)은 공기 유통 구멍(63)을 가지고, 각 구획 공간부(61a ~ 61e) 에 적절한 개구율로 설정되어 있다.
또, 배면 측 공간부(61)와 물품 수용부(12)의 사이에는, 정류용 통과 구멍(65)을 구비한 정류판(64)이 물품 수용부(12) 마다 구비되어 있다.
정류판(64)은 개구율이 작게 설정된 하부 정류판(64a)과, 개구율이 크게 설 정된 상부 정류판(64b)의 조합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 1 실시 형태와 동등 또는 유사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 이 실시 형태에서는, 구획판(62)이 물품 수용부(12)의 지지 부재(12a)의 일치하지 않는 구성으로서, 구획판(62)을 설치하는 경우에 지지 부재(12a)와의 위치 맞춤을 행할 필요가 없다
(제 5 실시 형태)
다음으로, 제 5 실시 형태에 관한 물품 보관 장치(7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제 5 실시 형태에 관한 물품 보관 장치(70)의 일부를 파단하여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 실시 형태의 물품 보관 선반(11) 및 스태커 크레인(13)은 제 1 실시 형태와 공통되다.
이 때문에, 제 5 실시 형태에서는, 공통되는 요소에 대해서는, 제 1 실시 형태의 설명을 원용하고, 설명의 편의상, 공통의 부호를 사용한다.
제 5 실시 형태에서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면 측 공간부(71)가 외벽(72) 및 방화벽(73)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배면 측 공간부(71)의 배면 측에 또 다른 공간부(74)(설명의 편의상, 「측부 공간부(74)」라고 표기한다.)가 형성되어 있다.
측부 공간부(74)는 배면 측 공간부(71)와 연통하고 있고, 측부 공간부(74)와 배면 측 공간부(71)와의 사이에는 제진 필터(75)가 구비되어 있다.
또, 측부 공간부(74)는 물품 보관 선반(11)의 하부에 형성된 통로(76)를 통하여 정면측 공간부(25)와 연통하고 있다.
통로(76)에는 별도의 제진 필터(77)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서는, 측부 공간부(74)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천장 측 공간부(21)가 존재하지 않는다.
측부 공간부(74)에는 송풍 수단인 송풍 팬(78)이 수용되고, 송풍 팬(78)은 배면 측 공간부(71)에 공기를 보내도록 구동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배면 측 공간부(71)에 있어서 송풍 팬(78)은 2단째 및 3단째의 물품 수용부(12)에 대응하는 높이로 설정되어 있다.
배면 측 공간부(71)는, 복수의 구획판(79)에 의해 4개의 구획 공간부(71a ~ 71d)로 분할 형성되어 있다.
각 구획판(79)은 공기 유통 구멍(80)을 가지고 있고, 각 구획 공간부(71a ~ 71d)에 적합한 개구율이 설정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송풍 팬(78)에 가까운 구획판(79)의 개구율을 작게 설정하고, 송풍 팬(78)으로부터 떨어진 구획판(79)의 개구율을 크게 설정하고 있다.
한편, 배면 측 공간부(71)와 물품 수용부(12)의 사이에는, 정류용 통과 구멍(82)을 가지는 정류판(81)이 개재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송풍 팬(78)에 대응하는 2단째, 3단째의 물품 수용부(12)에 대응하는 정류판(81)의 개구율을 작게 설정하고, 최상단 및 최하단에 대응하는 정류판(81)의 개구율을 크게 설정하고 있다.
이 실시 형태에 의하면, 송풍 팬(78)에서부터의 배면 측 공간부(71)로 이송되는 공기는, 구획 공간부(71b, 71c)로부터 최상위의 구획 공간부(71a) 및 최하위의 구획 공간부(71d)로 나뉘게 된다.
이 때, 나눠진 공기는 각 구획판(79)을 통과한다.
또, 각 구획 공간부(71a ~ 71d)의 공기는 정류판(81)을 통과하고, 대응하는 물품 수용부(12)에 층류가 되어 흘러 들어간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송풍 팬(78)이 배면 측 공간부(71)의 배면 측에 구비되는 경우에서도, 물품(W)으로의 먼지의 부착이나 퇴적을 방지하는 적절한 공기의 흐름(층류)을 물품 수용부(12) 내에서 만들어 낼 수 있다.
또, 물품 보관 선반(11)이나 스태커 크레인(13)의 위쪽에 스페이스가 없는 경우에서도, 청정한 공기를 보내기 위한 송풍 팬(78)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제 1 ~ 제 5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발명의 취지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며,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변경으로 하여도 좋다.
○ 제 1 ~ 제 5 실시 형태에서는, 스태커 크레인을 구비한 자동 창고에 적용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물품 보관 장치 중 반드시 스태커 크레인을 구비할 필요는 없다. 스태커 크레인 대신에 포크 리프트 등의 하역 차량을 이용하여도 좋고, 혹은, 사람 손에 의해 물품의 출입을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 제 1 ~ 제 5 실시 형태에서는, 구획판의 공기 유통 구멍 및 정류판의 정류용 통과 구멍을 펀칭에 의한 원형 구멍으로 하였으나 이러한 통과 공멍은 원형 구멍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다각형, 타원, 긴 구멍, 홈 구멍 등과 같이 공기가 통할 수 있는 통과 구멍이면 좋다.
○ 제 1 ~ 제 5 실시 형태에서는, 구획판 및 정류판을 금속제의 판재로 하였으나, 예를 들면, 제진 필터와 같은 섬유 재료로 형성된 구획판 또는 정류판을 이용하여도 좋고, 이 경우, 구획판 또는 정류판의 기능을 하도록 어느 정도의 공기가 통하는 재료로 할 필요가 있다. 또, 이러한 재료에서는 재료 자체가 공기를 통과하므로, 구획판 및 정류판의 재료에 유통 구멍 또는 정류용 통과 구멍이 구비되게 된다. 공기 유통 구멍 또는 정류용 통과 구멍이 명확한 형상을 가질 필요가 없다.
○ 제 1 ~ 5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구획판을 이용하여 배면 측 공간부를 분할하여 구획 공간부를 형성하였으나, 이용하는 구획판의 수는 특별히 제한하지 않고, 적어도 1이상 있으면면 좋다.
○ 제 1 실시 형태에서는, 구획 공간부의 양측(좌우)에 구획벽이 구비되어 있고, 구획벽에 의해 근처의 구획 공간부와의 격절을 도모하였으나, 구획벽은 특별히 없어도 좋다. 이 경우, 각 구획 공간부는 근처의 구획 공간부와 연통한다. 이 때문에, 횡방향으로 넓혀지는 구획 공간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각 물품 수용부에 대응하지 않는 송풍 수단을 채용하여도, 각 물품 수용부에 있어서의 공기의 흐름이 현저하게 흐트러지지 않고, 물품으로의 먼지의 부착이나 퇴적을 방지할 수 있는 물품 보관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5)

  1. 복수의 물품 수용부가 상하에 다단 모양으로 형성된 물품 보관 선반과, 상기 각 물품 수용부의 배면에서부터 이 물품 수용부 내로 공기를 보내는 송풍 수단을 구비한 물품 보관 장치로서,
    상기 물품 보관 선반의 배면에 상기 각 물품 수용부와 연통하는 배면 측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배면 측 공간부에는, 이 배면 측 공간부를 상하 방향의 복수의 구획 공간부로 분할 형성하는 구획판이 설치되며,
    상기 구획판은 복수의 공기 유통 구멍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보관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 측 공간부와 상기 각 물품 수용부의 사이에 정류판이 각각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보관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판은, 공기를 정류하는 복수의 정류용 통과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정류용 통과 구멍의 개구율은 상하 방향으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보관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판은, 상부 정류판과 하부 정류판을 가지고, 상부 정류판에 있어서의 상기 정류용 통과 구멍의 개구율은, 하부 정류판에 있어서의 상기 정류용 통과 구멍의 개구율보다 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보관 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 수단은, 상기 배면 측 공간부의 위쪽 또는 상기 배면 측 공간부의 배면 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보관 장치.
KR1020060101261A 2005-10-18 2006-10-18 물품 보관 장치 KR1007717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302618 2005-10-18
JP2005302618A JP2007112527A (ja) 2005-10-18 2005-10-18 物品保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2479A KR20070042479A (ko) 2007-04-23
KR100771732B1 true KR100771732B1 (ko) 2007-10-30

Family

ID=38095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1261A KR100771732B1 (ko) 2005-10-18 2006-10-18 물품 보관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7112527A (ko)
KR (1) KR100771732B1 (ko)
TW (1) TW20073041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51980B2 (ja) * 2008-06-11 2013-07-31 株式会社Ihi ストッカー
JP5366030B2 (ja) * 2011-09-22 2013-12-11 村田機械株式会社 クリーンルーム用の自動倉庫
JP6057826B2 (ja) * 2013-04-23 2017-01-1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蓄電装置
JP6005011B2 (ja) * 2013-08-12 2016-10-1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蓄電装置
JP6005030B2 (ja) * 2013-12-03 2016-10-1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蓄電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1592U (ko) * 1999-06-30 2001-01-15 윤장호 신발장
KR200335026Y1 (ko) 2003-09-01 2003-12-01 김효수 신발살균 및 건조장치
KR200388068Y1 (ko) 2005-03-28 2005-06-28 주재순 신발건조 탈취장치
KR200413838Y1 (ko) 2006-01-23 2006-04-11 이영필 탈취와 살균 정화기능을 가진 신발장
KR200422381Y1 (ko) 2006-05-17 2006-07-26 이상민 다기능 신발장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96394B2 (ja) * 2001-05-18 2011-06-08 ムラテックオートメーション株式会社 ストッカ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1592U (ko) * 1999-06-30 2001-01-15 윤장호 신발장
KR200335026Y1 (ko) 2003-09-01 2003-12-01 김효수 신발살균 및 건조장치
KR200388068Y1 (ko) 2005-03-28 2005-06-28 주재순 신발건조 탈취장치
KR200413838Y1 (ko) 2006-01-23 2006-04-11 이영필 탈취와 살균 정화기능을 가진 신발장
KR200422381Y1 (ko) 2006-05-17 2006-07-26 이상민 다기능 신발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112527A (ja) 2007-05-10
KR20070042479A (ko) 2007-04-23
TW200730416A (en) 2007-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1732B1 (ko) 물품 보관 장치
US10242900B2 (en) Storage facility for semiconductor containers
KR100524359B1 (ko) 클린 룸용의 물품 보관 설비
JP4688000B2 (ja) 物品収納設備
JP6766584B2 (ja) 物品搬送設備
KR100935870B1 (ko) 자동창고
CN107804636B (zh) 物品收纳设备
JP2018174259A (ja) ロボット搬送装置
KR102227862B1 (ko) 스토커
JP4378659B2 (ja) 物品保管庫及びクリーンルーム用の物品保管設備
JP4378652B2 (ja) 浄化空気通風式の物品保管設備
JP5772693B2 (ja) 保管庫
KR101291626B1 (ko) 반송차 시스템
JP4780396B2 (ja) 物品保管庫及びクリーンルーム用の物品保管設備
KR20130032252A (ko) 클린룸용의 자동 창고
JP2003081405A (ja) 浄化空気通風式の保管設備
KR20170113389A (ko) 용기 수납 설비
JP2007147180A (ja) 保管倉庫室内の空気清浄装置
JP4811677B2 (ja) 物品収納設備
KR20090086163A (ko) 물품 수납 설비
KR101184320B1 (ko) 물품 수납 설비
JPH1179318A (ja) 自動倉庫
JP2011241020A (ja) カセットストッカ
JPH03192005A (ja) クリーンルーム内の荷保管設備
JPH03284505A (ja) クリーン装置付き荷保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