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1443B1 - 건축용 바닥판재 접착 성형방법 및 그 바닥판재 - Google Patents

건축용 바닥판재 접착 성형방법 및 그 바닥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1443B1
KR100771443B1 KR1020070018214A KR20070018214A KR100771443B1 KR 100771443 B1 KR100771443 B1 KR 100771443B1 KR 1020070018214 A KR1020070018214 A KR 1020070018214A KR 20070018214 A KR20070018214 A KR 20070018214A KR 100771443 B1 KR100771443 B1 KR 1007714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ain body
mold
upper plate
low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8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오수
Original Assignee
김오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오수 filed Critical 김오수
Priority to KR1020070018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14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1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14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05Floor panels
    • E04F15/02417Floor panels made of box-like elements
    • E04F15/02423Floor panels made of box-like elements filled with core material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용 바닥판재 접착 성형방법 및 그 바닥판재에 관한 것으로, 사면 둘레에 수평 및 수직으로 교차하는 요홈(21a)이 형성된 본체(21)를 구비하는 단계와; 하부금형(11) 및 측면금형(12)의 내부에 사방 둘레가 상기 측면금형(12)의 내벽과 이격되도록 하부판(22)을 수납하는 단계와; 상기 하부판(22)의 상부에 상기 본체(21)를 적층하는 단계와; 상기 본체(21)의 상부에 상부판(23)을 적층하고 상부금형(13)을 상기 상부판(23)에 밀착하여 상기 적층된 하부판(22), 본체(21), 상부판(23)을 고정하며 하부금형(11) 및 측면금형(12)의 내부를 밀폐하는 단계와; 상기 측면금형(12)에 형성된 주입공(12a)을 통해 상기 하부판(22), 본체(21), 상부판(23)의 둘레와 상기 측면금형(12)의 내벽간의 이격된 공간에 합성수지 충진재(15)를 주입하여 상기 하부판(22), 본체(21), 상부판(23)의 둘레에 측면판(24)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하부판(22), 본체(21), 상부판(23)을 접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충진재(15)가 건조되면 상기 하부금형(11)의 하부에서 실린더(14)를 상승시켜서 상기 하부금형(11) 및 측면금형(12)의 내부에서 성형된 바닥판재(20)를 분리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측면판(24)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충진재(15)가 주입되면서 상기 본체(21)의 요홈(21a)들에 상기 충진재(15)가 충진되어서 상기 요홈(21a)내에 형성되고 상기 측면판(24)들을 연결하는 요철(24a)이 형성되는 건축용 바닥판재 접착 성형방법 및, 중간층을 형성하는 본체(21)와; 상기 본체(21)의 상부에 접착되는 상부판(23)과; 상기 본체(21)의 하부에 접착되는 하부판(22)과; 상기 본체(21), 상부판(23), 하부판(22)의 둘레에 일체로 형성되면서 상기 본체(21), 상부판(23), 하부판(22)이 접착되도록 하는 측면판(24)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측면판(24)은 성형금형의 하부금형(11) 및 측면금형(12)의 내부에 충진재(15)가 주입되어서 상기 본체(21), 상부판(23), 하부판(22)을 접착함과 동시에 그 둘레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21)의 사면 둘레에 수평 및 수직으로 교차하는 다수의 요홈(21a)이 형성되며; 상기 측면판(24)은 상기 본체(21)에 형성된 요홈(21a)들에 고정되고 상호 대향하는 측면판(24)들을 연결고정하는 요철(24a)을 가지는 건축용 바닥판재를 구비하였다.
그러므로, 하부금형(11) 및 측면금형(12)의 내부에 충진재(15)를 주입하는 한번의 공정으로 상부판(23), 본체(21), 하부판(22)이 동시에 접착되고 그 둘레에 측면판(24)이 일체로 형성되는 건축용 바닥판재(20)가 성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바닥판재(20)의 성형시 제작공정이 단순화되어 제작비용이 절감되고, 신속한 성형이 이루어지므로 바닥판재(20)를 대량 생산할 수 있고, 측면판(24)이 일체로 성형되므로 상부판(23), 하부판(22), 본체(21)의 둘레에서 측면판(24)이 절대로 이탈되지 않으며, 측면판(24)에 요철(24a)이 일체로 형성되고 그 요철(24a)이 본체(21)의 요홈(21a)에 융착되므로 본체(21)의 상하면에 밀착되고 요홈(21a)들에 대응되는 상부판(23) 및 하부판(22)의 접착력을 증대시키며, 측면판(24)이 본체(21), 상부판(23), 하부판(22)의 둘레에 더욱 견고하게 성형고정되는 등의 이점이 있다.
본체, 요홈, 하부판, 상부판, 측면판, 요철, 충진재

Description

건축용 바닥판재 접착 성형방법 및 그 바닥판재{Floor borad adhesion forming method for architecture and the floor borad}
도 1은 종래의 건축용 바닥판재의 구성을 보이는 단면도.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 건축용 바닥판재 접착 성형방법의 공정을 보이는 사시도 및 단면도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 건축용 바닥판재를 보이는 사시도 및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하부금형 12 ; 측면금형
12a ; 주입공 13 ; 상부금형
14 ; 실린더 15 ; 충진재
20 ; 바닥판재 21 ; 본체
21a ; 요홈 22 ; 하부판
23 ; 상부판 24 ; 측면판
24a ; 요철
본 발명은 건축용 바닥판재 접착 성형방밥 및 그 바닥판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바닥판재의 측면판이 일체로 형성되는 건축용 바닥판재 접착 성형방법 및 그 바닥판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업무용 사무실을 입주 대상으로 하는 건물에는 다양한 OA기기를 효과적으로 설치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바닥에서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지주들 위에 바닥판재를 연속적으로 배열하여 바닥을 형성하고, 바닥판재의 하부 공간부에는 OA기기와 접속되는 각종 전선들이 설치된다.
종래의 바닥판재는 소정의 두께는 갖는 4각판재로 형성되며, 본체(1), 합성수지재의 상부판(2), 알루미늄재의 하부판(3)과, 그 둘레에 부착되는 합성수지재의 측면판(4)으로 구성된다.
그런데, 종래의 바닥판재(5)는 본체(1), 상부판(2), 하부판(3), 측면판(4)들이 본드와 같은 접착제에 의하여 접착되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그 접착력이 저하되어 바닥판재(5)의 접착고정력이 견고하지 못하였다.
특히, 본체(1), 상부판(2), 하부판(3)의 단부 둘레에 접착되는 측면판(4)들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그리고 충격 등에 의해 쉽게 떨어지는 경우가 빈번하였다.
한편, 본체(1), 상부판(2), 하부판(3), 측면판(4)들을 각각 접착제로 접착시키면서 바닥판재(5)를 성형하여야 하므로 그 작업이 매우 번거러웠으며, 이에 따라 바닥판재(5)의 성형시 작업 능률이 저하되고 성형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한번의 공정으로 바닥판재 전체를 접착함과 동시에 측면판을 일체로 형성하고, 바닥판재의 접착고정력이 더욱 향상되도록 한 건축용 바닥판재 접착 성형방법 및 그 바닥판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건축용 바닥판재 접착 성형방법은, 사면 둘레에 수평 및 수직으로 교차하는 요홈이 형성된 본체를 구비하는 단계와; 하부금형 및 측면금형의 내부에 사방 둘레가 상기 측면금형의 내벽과 이격되도록 하부판을 수납하는 단계와; 상기 하부판의 상부에 상기 본체를 적층하는 단계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상부판을 적층하고 상부금형을 상기 상부판에 밀착하여 상기 적층된 하부판, 본체, 상부판을 고정하며 하부금형 및 측면금형의 내부를 밀폐하는 단계와; 상기 측면금형에 형성된 주입공을 통해 상기 하부판, 본체, 상부판의 둘레와 상기 측면금형의 내벽간의 이격된 공간에 합성수지 충진재를 주입하여 상기 하부판, 본체, 상부판의 둘레에 측면판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하부판, 본체, 상부판을 접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충진재가 건조되면 상기 하부금형의 하부에서 실린더를 상승시켜서 상기 하부금형 및 측면금형의 내부에서 성형된 바닥판재를 분리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건축용 바닥판재 접착 성형방법의 다른 특징은, 상기 측면판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충진재가 주입되면서 상기 본체의 요홈들에 상기 충진재가 충진되어서 상기 요홈내에 형성되고 상기 측면판들을 연결하는 요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건축용 바닥판재는, 건축용 바닥판재에 있어서, 중간층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접착되는 상부판과; 상기 본체의 하부에 접착되는 하부판과; 상기 본체, 상부판, 하부판의 둘레에 일체로 형성되면서 상기 본체, 상부판, 하부판이 접착되도록 하는 측면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건축용 바닥판재의 다른 특징은, 상기 측면판은 성형금형의 하부금형 및 측면금형의 내부에 충진재가 주입되어서 상기 본체, 상부판, 하부판을 접착함과 동시에 그 둘레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건축용 바닥판재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본체의 사면 둘레에 수평 및 수직으로 교차하는 다수의 요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건축용 바닥판재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측면판은 상기 본체(21)에 형성된 요홈들에 고정되고 상호 대향하는 측면판들을 연결고정하는 요철(24a)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하부금형 및 측면금형의 내부에 충진재를 주입하는 한번의 공정으로 상부판, 본체, 하부판이 동시에 접착되고 그 둘레에 측면판이 일체로 형성되는 건축용 바닥판재가 성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바닥판재의 성형시 제작공정이 단순화되어 제작비용이 절감되고, 신속한 성형이 이루어지므로 바닥판재를 대량 생산할 수 있고, 측면판이 일체로 성형되므로 상부판, 하부판, 본체의 둘레에서 측면판이 절대로 이탈되지 않으며, 측면판에 요철이 일체로 형성되고 그 요철이 본체의 요홈에 융착되므로 본체의 상하면에 밀착되고 요홈들에 대응되는 상부판 및 하부판 의 접착력을 증대시키며, 측면판이 본체, 상부판, 하부판의 둘레에 더욱 견고하게 성형고정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2 내지 도6은 본 발명 건축용 바닥판재의 성형과정을 보이는 사시도 및 단면도들로써, 본 발명 건축용 바닥판재 성형방법은 먼저, 도2와 같이 사면 둘레에 수평 및 수직으로 교차하는 다수의 요홈(21a)을 가지는 본체(21)를 구비한다.
그리고, 도3과 같이 하부금형(11) 및 측면금형(12)의 내부에 사방 둘레가 측면금형(12)의 내벽과 이격되도록 하부판(22)을 수납한다.
다음으로 도4와 같이 하부판(22)의 상부에 본체(21)를 적층시키고, 적층된 본체(21)의 상면에 상부판(23)을 적층시킨다.
이때, 본체(21)의 상하면에 형성된 다수의 요홈(21a)들은 본체(21)의 상하면에 밀착된 상부판(23) 및 하부판(22)의 대응면에 대응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부판(23)의 상면에 상부금형(13)을 밀착시켜서 상부판(23), 본체(21), 하부판(22)을 하부금형(11) 및 측면금형(12)의 내부에 고정하며 그 내부를 밀폐시킨다.
다음으로, 도5와 같이 측면금형(12)의 일측에 형성된 주입공(12a)을 통해 상부판(23), 본체(21), 하부판(22)의 둘레와 측면금형(12)의 이격된 공간에 합성수지 충진재(15)를 주입한다.
주입된 충진재(15)는 상부판(23), 본체(21), 하부판(22) 둘레를 따라 점차적으로 충진되며, 이때 본체(21)에 형성된 요홈(21a)들에도 충진재(15)가 충진된다.
이에 따라, 충진재(15)가 상부판(23), 본체(21), 하부판(22)의 둘레와 본체(21)의 요홈(21a)들에 충진되면 상부판(23), 본체(21), 하부판(22)은 자연적으로 접착되면서 그 둘레에 측면판(24)이 일체로 형성되고, 본체(21)의 요홈(21a)들에 충진재(15)가 충진되면서 측면판(24)에 요철(24a)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측면판(24)이 일체로 형성된 후 건조되면 도6과 같이 하부금형(11)의 하부에서 실린더(14)를 상승시켜서 하부금형(11) 및 측면금형(12)의 내부에서 성형된 바닥판재(20)를 분리한다.
이러한 본 발명 건축용 바닥판재 접착 성형방법은, 상부판(23), 본체(21), 하부판(22)을 단순 적층시키는 단계이후에 하부금형(11) 및 측면금형(12)의 내부에 충진재(15)를 주입하는 한번의 공정으로 상부판(23), 본체(21), 하부판(22)이 동시에 접착되고 그 둘레에 측면판(24)이 일체로 형성되는 건축용 바닥판재(20)가 성형된다.
이에 따라, 바닥판재(20)의 성형시 제작공정이 단순화되어 제작비용이 절감되고, 신속한 성형이 이루어지므로 바닥판재(20)를 대량 생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체(21)의 요홈(21a)에 융착되는 요철(24a)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상부판(23), 하부판(22), 본체(21), 측면판(24)의 접착고정력이 향상되어 더욱 견고한 바닥판재(20)를 성형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성형된 본 발명의 바닥판재(20)는, 본체(21)의 사면 둘레에 도2 및 도8과 같이 다수의 요홈(21a)을 가지며, 상부판(23), 하부판(22), 본체(21)의 둘레에 측면판(24)이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측면판(24)에는 도7 및 도8과 같이 본체(21)의 요홈(21a)들 내에 융착된 요철(24a)을 가지며, 그 요철(24a)은 상부판(23)과 본체(21), 하부판(22)과 본체(21)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고, 상호 대향하는 측면판(24)들을 연결고정시킨다.
따라서, 상부판(23), 하부판(22), 본체(21)의 둘레에 측면판(24)이 일체로 성형되므로 상부판(23), 하부판(22), 본체(21)의 둘레에서 측면판(24)이 절대로 이탈되지 않으며, 상부판(23), 하부판(22), 본체(21)의 접착력이 향상되어 바닥판재(20)가 견고해진다.
또한, 측면판(24)이 일체로 형성되면서 측면판(24)에 요철(24a)이 일체로 형성되고 그 요철(24a)이 본체(21)의 요홈(21a)에 융착되므로 본체(21)의 상하면에 밀착되고 요홈(21a)들에 대응되는 상부판(23) 및 하부판(22)의 접착력을 증대시키며, 측면판(24)이 본체(21), 상부판(23), 하부판(22)의 둘레에 더욱 견고하게 성형고정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 건축용 바닥판재 접착 성형방법 및 그 바닥판재에 의하면, 하부금형(11) 및 측면금형(12)의 내부에 충진재(15)를 주입하는 한번의 공정으로 상부판(23), 본체(21), 하부판(22)이 동시에 접착되고 그 둘레에 측면판(24)이 일체로 형성되는 건축용 바닥판재(20)가 성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바닥판재(20)의 성형시 제작공정이 단순화되어 제작비용이 절감되고, 신속한 성형 이 이루어지므로 바닥판재(20)를 대량 생산할 수 있고, 측면판(24)이 일체로 성형되므로 상부판(23), 하부판(22), 본체(21)의 둘레에서 측면판(24)이 절대로 이탈되지 않으며, 측면판(24)에 요철(24a)이 일체로 형성되고 그 요철(24a)이 본체(21)의 요홈(21a)에 융착되므로 본체(21)의 상하면에 밀착되고 요홈(21a)들에 대응되는 상부판(23) 및 하부판(22)의 접착력을 증대시키며, 측면판(24)이 본체(21), 상부판(23), 하부판(22)의 둘레에 더욱 견고하게 성형고정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사면 둘레에 수평 및 수직으로 교차하는 요홈(21a)이 형성된 본체(21)를 구비하는 단계와;
    하부금형(11) 및 측면금형(12)의 내부에 사방 둘레가 상기 측면금형(12)의 내벽과 이격되도록 하부판(22)을 수납하는 단계와;
    상기 하부판(22)의 상부에 상기 본체(21)를 적층하는 단계와;
    상기 본체(21)의 상부에 상부판(23)을 적층하고 상부금형(13)을 상기 상부판(23)에 밀착하여 상기 적층된 하부판(22), 본체(21), 상부판(23)을 고정하며 하부금형(11) 및 측면금형(12)의 내부를 밀폐하는 단계와;
    상기 측면금형(12)에 형성된 주입공(12a)을 통해 상기 하부판(22), 본체(21), 상부판(23)의 둘레와 상기 측면금형(12)의 내벽간의 이격된 공간에 합성수지 충진재(15)를 주입하여 상기 하부판(22), 본체(21), 상부판(23)의 둘레에 측면판(24)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하부판(22), 본체(21), 상부판(23)을 접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충진재(15)가 건조되면 상기 하부금형(11)의 하부에서 실린더(14)를 상승시켜서 상기 하부금형(11) 및 측면금형(12)의 내부에서 성형된 바닥판재(20)를 분리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바닥판재 접착 성형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판(24)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충진재(15)가 주입되면서 상기 본체(21)의 요홈(21a)들에 상기 충진재(15)가 충진되어서 상기 요홈(21a)내에 형성되고 상기 측면판(24)들을 연결하는 요철(24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바닥판재 접착 성형방법.
  3. 건축용 바닥판재에 있어서,
    중간층을 형성하는 본체(21)와;
    상기 본체(21)의 상부에 접착되는 상부판(23)과;
    상기 본체(21)의 하부에 접착되는 하부판(22)과;
    상기 본체(21), 상부판(23), 하부판(22)의 둘레에 일체로 형성되면서 상기 본체(21), 상부판(23), 하부판(22)이 접착되도록 하는 측면판(24)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바닥판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판(24)은 성형금형의 하부금형(11) 및 측면금형(12)의 내부에 충진재(15)가 주입되어서 상기 본체(21), 상부판(23), 하부판(22)을 접착함과 동시에 그 둘레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바닥판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1)의 사면 둘레에 수평 및 수직으로 교차하는 다수의 요홈(21a) 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바닥판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판(24)은 상기 본체(21)에 형성된 요홈(21a)들에 고정되고 상호 대향하는 측면판(24)들을 연결고정하는 요철(24a)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바닥판재.
KR1020070018214A 2007-02-23 2007-02-23 건축용 바닥판재 접착 성형방법 및 그 바닥판재 KR1007714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8214A KR100771443B1 (ko) 2007-02-23 2007-02-23 건축용 바닥판재 접착 성형방법 및 그 바닥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8214A KR100771443B1 (ko) 2007-02-23 2007-02-23 건축용 바닥판재 접착 성형방법 및 그 바닥판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1443B1 true KR100771443B1 (ko) 2007-10-30

Family

ID=38816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8214A KR100771443B1 (ko) 2007-02-23 2007-02-23 건축용 바닥판재 접착 성형방법 및 그 바닥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1443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1510B1 (ko) 2007-12-14 2009-04-06 김오수 건축용 바닥판재 접착 성형방법 및 그 바닥판재
KR100967463B1 (ko) * 2009-08-27 2010-07-07 이윤재 벌집형다공판을 심재(心材)로 한 건물용 바닥판재
CN103419281A (zh) * 2013-09-09 2013-12-04 乐居众普(北京)新型墙体材料有限公司 一种轻质隔墙板生产流水线
CN103434003A (zh) * 2013-09-09 2013-12-11 乐居众普(北京)新型墙体材料有限公司 一种轻质隔墙板的制作方法及产品
CN103448136A (zh) * 2013-09-09 2013-12-18 乐居众普(北京)新型墙体材料有限公司 一种用于制作轻质隔墙板的长线平模模具
CN105971238A (zh) * 2016-05-26 2016-09-28 洛阳贝奇尔塑胶有限公司 一种塑胶地板
KR101885889B1 (ko) 2018-06-04 2018-08-17 이종현 우드타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우드타일
KR101974921B1 (ko) 2018-11-20 2019-05-07 주식회사 스타코리아 콤비 합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콤비 합판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6172Y1 (ko) 2000-03-24 2000-09-15 주식회사행림종합 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바닥판재
KR200196513Y1 (ko) 1999-02-26 2000-09-15 이윤재 건축용 바닥판재
KR200226487Y1 (ko) 2000-12-29 2001-06-15 김우현 건축용 바닥판재
KR200287022Y1 (ko) 2002-05-03 2002-08-29 박순희 조립식 인형완구
KR200332771Y1 (ko) 2003-08-11 2003-11-07 김용순 건물용 바닥판의 조이너 조립구조
KR20040010464A (ko) * 2003-12-17 2004-01-31 김용순 건물용 바닥판의 조이너 조립구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6513Y1 (ko) 1999-02-26 2000-09-15 이윤재 건축용 바닥판재
KR200196172Y1 (ko) 2000-03-24 2000-09-15 주식회사행림종합 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바닥판재
KR200226487Y1 (ko) 2000-12-29 2001-06-15 김우현 건축용 바닥판재
KR200287022Y1 (ko) 2002-05-03 2002-08-29 박순희 조립식 인형완구
KR200332771Y1 (ko) 2003-08-11 2003-11-07 김용순 건물용 바닥판의 조이너 조립구조
KR20040010464A (ko) * 2003-12-17 2004-01-31 김용순 건물용 바닥판의 조이너 조립구조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1510B1 (ko) 2007-12-14 2009-04-06 김오수 건축용 바닥판재 접착 성형방법 및 그 바닥판재
KR100967463B1 (ko) * 2009-08-27 2010-07-07 이윤재 벌집형다공판을 심재(心材)로 한 건물용 바닥판재
CN103419281A (zh) * 2013-09-09 2013-12-04 乐居众普(北京)新型墙体材料有限公司 一种轻质隔墙板生产流水线
CN103434003A (zh) * 2013-09-09 2013-12-11 乐居众普(北京)新型墙体材料有限公司 一种轻质隔墙板的制作方法及产品
CN103448136A (zh) * 2013-09-09 2013-12-18 乐居众普(北京)新型墙体材料有限公司 一种用于制作轻质隔墙板的长线平模模具
CN103419281B (zh) * 2013-09-09 2015-08-05 乐居众普(北京)新型墙体材料有限公司 一种轻质隔墙板生产流水线
CN105971238A (zh) * 2016-05-26 2016-09-28 洛阳贝奇尔塑胶有限公司 一种塑胶地板
KR101885889B1 (ko) 2018-06-04 2018-08-17 이종현 우드타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우드타일
KR101974921B1 (ko) 2018-11-20 2019-05-07 주식회사 스타코리아 콤비 합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콤비 합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1443B1 (ko) 건축용 바닥판재 접착 성형방법 및 그 바닥판재
CN102459781B (zh) 窄衬里的模块化地板组件
JP6677709B2 (ja) 通過ゾーンに貼り付けられた光起電力モジュールを含む光起電力構造組立体、光起電力構造組立体を作成する方法、光起電力モジュール、および通過ゾーンに光起電力モジュールを貼り付ける貼り付け方法
KR100797906B1 (ko) 건축용 바닥판재 성형방법 및 그 바닥판재
KR20140128352A (ko) 바닥 타일
CN105307832A (zh) 双织物面注射模制附件
KR100891510B1 (ko) 건축용 바닥판재 접착 성형방법 및 그 바닥판재
KR20150124863A (ko) Epcd복공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497562B1 (ko) 이중 바닥판재 구조와 그 성형방법
JP5928781B2 (ja) 型枠パネル、及びコンクリート壁体の構築構造
CN211622408U (zh) 无机复合板结构
KR101239789B1 (ko) 건축용 바닥판재 성형방법 및 그 바닥판재
KR101952530B1 (ko) 테두리 분리방지 몰딩구조를 갖는 건축용 바닥판재
KR101597788B1 (ko) 기능성 책상 상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597339B1 (ko) 건축용 바닥판재
CN1301360C (zh) 玻璃混凝土复合板
CN109306784B (zh) 无机复合板结构及其生产工艺
KR200397131Y1 (ko) 건축용 바닥판재
CN218831206U (zh) 一种显示面板
KR100480494B1 (ko) 겹침구조를 갖는 차량용 frp 중공형 구조물 및 그제조방법
JP2002339552A (ja) ユニット床材
JP3217067U (ja) プラスチック型枠構造
JP4535197B1 (ja) タイルユニット
KR101952531B1 (ko) 바닥판 2중 구조를 갖는 건축용 바닥판재
JP5322314B2 (ja) フロア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