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6172Y1 - 건축용 바닥판재 - Google Patents

건축용 바닥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6172Y1
KR200196172Y1 KR2020000008376U KR20000008376U KR200196172Y1 KR 200196172 Y1 KR200196172 Y1 KR 200196172Y1 KR 2020000008376 U KR2020000008376 U KR 2020000008376U KR 20000008376 U KR20000008376 U KR 20000008376U KR 200196172 Y1 KR200196172 Y1 KR 2001961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truction
casing
bottom plate
mortar
plat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83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행림종합 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행림종합 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행림종합 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20200000083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61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61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61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05Floor panels
    • E04F15/02417Floor panels made of box-like elements
    • E04F15/02423Floor panels made of box-like elements filled with core material
    • E04F15/02429Floor panels made of box-like elements filled with core material the core material hardening after appl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제작비가 저렴하면서도 구조가 견고하여 시공하였을 때 울림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건축용 바닥판재를 개시한다. 개시된 본 고안의 건축용 바닥판재는 콘트리트 바닥(3)에 입설된 복수개의 지주(2) 위에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바닥판재(1)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재(1)는 그 사방이 절곡 입설되어 입벽(13)이 형성된 하부판재(12) 상부에 상부판재(11)가 고정되어 전체적으로 케이싱 형태를 갖는 케이싱부(10)와, 상기 하부판재(12) 저면에 뚫어진 주입공(14)을 통해 주입되어 케이싱부(10) 내부 공간부에 충진되는 몰탈(mortar)을 주성분으로 하는 충진재(20)에 의하여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축용 바닥판재{FLOOR PANEL FOR CONSTRUCTION}
본 고안은 건물의 콘크리트 바닥 위에서 일정 높이 이격하여 설치되는 바닥판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바닥판재의 구조를 견고하게 구성하여 바닥판재를 시공하였을 때 울림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고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업무용 사무실을 입주 대상으로 하는 건물에는 다양한 OA기기를 효과적으로 설치하기 위하여, 콘트리트 바닥에 입설된 복수개의 지주위에 바닥판재를 연속적으로 배열하여 이중으로 설치함으로써, 바닥판재의 하부 공간부에 OA기기와 접속되는 각종 전선들을 배선토록 되어 있다.
상기 바닥판재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4각판재로 형성되어 있으며, 바닥판재 위에는 각종 OA기기들과 사무용 비품들이 놓여지는 것을 감안하여 바닥판재의 구조는 상당히 견고하면서도 강한 재질인 금속으로 제작된다.
이와 같이 금속으로 제작되는 바닥판재는 응용된 금속을 형틀에 주입하여 성형하는 주물에 의한 제작이거나, 금속판재를 절곡하여 결합시킨 내부 공간부에 보강 리브를 형성한 케이싱 타입의 바닥판재들로 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바닥판재들은 이들을 시공하였을 때 상당한 문제점이 제기된다. 즉, 얇은 금속판재를 절곡하여 결합시킨 케이싱 타입의 바닥판재들을 지주위에 설치한 후 그 위를 사람들이 보행하게 되면, 바닥판재의 하부는 배선설치를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고 바닥판재의 내부에도 공간부가 형성되어 걸을 때마다 쿵쿵하는 울림소리가 발생되어 업무에 상당한 지장을 주는 한편 보행자의 심리를 불안하에 하는 등의 폐단이 발생된다.
또한, 응용된 금속을 주물하여 제작되는 바닥판재는 그 중량이 상당하여 운반 및 시공작업이 매우 힘들고 상당한 주의를 요하는 것이며 제작비용이 고가로 형성되어 경제성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된다.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바닥판재의 두께를 얇게하고, 그 하부에 보강리브가 형성된 바닥판재를 주물에 의하여 제작된 바 있으나, 이 역시 시공후 울림현상이 발생되는 등의 폐단이 제기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제작비가 저렴하면서도 구조가 견고하여 시공 후 울림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는 건축용 바닥판재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바닥판재를 일부 단면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를 확대한 일부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이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일실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바닥판재 2 : 지주
3 : 콘크리트 바닥 10 : 케이싱부
11 : 상부판재 12 : 하부판재
13 : 입벽 13a : 플랜지
14 : 주입공 14a : 마개
20 : 충진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콘트리트 바닥(3)에 입설된 복수개의 지주(2) 위에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바닥판재(1)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재(1)는 그 사방이 절곡 입설되어 입벽(13)이 형성된 하부판재(12) 상부에 상부판재(11)가 고정되어 전체적으로 케이싱 형태를 갖는 케이싱부(10)와, 상기 하부판재(12) 저면에 뚫어진 주입공(14)을 통해 주입되어 케이싱부(10) 내부 공간부에 충진되는 몰탈(mortar)을 주성분으로 하는 충진재(20)에 의하여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 바닥(3)에는 일정간격으로 배열되는 복수개의 지주(2)가 입설되어 있고, 상기 지주(2) 위에는 바닥판재(1)들이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바닥판재(1)의 하부 공간부에는 OA기기와 접속되는 각종 전선들을 배선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지주(2) 위에 바닥판재(1)들을 설피하여 이중 바닥판을 구성하는 기술구성은 이미 알려진 공지의 기술구성이다.
그러나, 본 고안의 구성상 가장 중요한 특징은 지주(2) 위에 설치되는 바닥판재(1)의 구성에 있다.
즉, 상기 바닥판재(1)는 그 사방이 절곡되어 입벽(13)이 형성된 하부판재(12) 위에 상부판재(11)가 결합되어 케이싱 형태를 이루는 케이싱부(10)로 되어 있다. 상기 하부판재(12) 저명에는 주입공(14)이 뚫려져 있고, 주입공(14)과 상응하는 마개(14a)가 삽지되어 있다.
상기 케이싱부(10) 내부 공간부에는 몰탈(mortar)을 주성분으로 하는 충진재(20)가 충진되어 있고, 이 충진재(20)는 하부판재(12)에 뚫려진 주입공(14)을 통해 주입된 후 마개(14a)에 의하여 밀폐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케이싱부(10)의 내부 공간부에 충진되는 충진재(20)인 몰탈은 시멘트 분말과 모래를 1:1 내지는 1:3 정도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적당량의 물과 반죽한 것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충진재(20)를 함수 황산칼슘을 주성분으로 하는 석고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나, 비용 및 구입의 용이성을 감안하여 몰탈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케이싱부(10) 내부에 몰탈을 주성분으로 하는 충진재(20)가 충진되어 있는 본 고안에 의하면, 케이싱부(10) 내부에 충진된 충진재(20)가 딱딱하게 굳게 되면 바닥판재(1)의 전체적인 강도가 매우 강하면서도 견고해 지는 것이며, 특히, 바닥판재(1)의 케이싱부(10) 내부에는 공간부가 전혀 형성되지 않으므로 이러한 바닥판재(1)를 지주(2) 위에 설치하였을 때, 그 설치 상태가 매우 견고하게 유지되어 사람의 보행시 발생되는 울림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상기 바닥판재(1)의 내부에 충진되는 몰탈 충진재(20)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바닥판재에 비하여 비중이 가벼워 시공이 간편하면서도 저렴한 비용이 소요되어 대외적인 경쟁력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하부판재(12) 상부에 상부판재(11)가 결합되어 케이싱으로 이루어진 바닥판재(1) 내부에 몰탈 충진제(20)를 충진시키도록 함으로써, 바닥판재(1)의 전체적인 강도를 상승시켜 바닥판재(1)를 지주(2) 위에 설치하였을 때 그 설치 상태가 매우 견고하게 유지되는 동시에 울림현상 등이 방지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기타, 본 고안은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Claims (1)

  1. 콘크리트 바닥에 입설된 복수개의 지주 위에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바닥판재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재는 그 사방이 절곡 입설되어 입벽이 형성된 하부판재 상부에 상부판재가 고정되어 전체적으로 케이싱 형태를 갖는 케이싱부와, 상기 하부판재 저면에 뚫려진 주입공을 통해 주입되어 케이싱부 내부 공간부에 충진되는 몰탈(mortar)을 주성분으로 하는 충진재에 의하여 구성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바닥판재.
KR2020000008376U 2000-03-24 2000-03-24 건축용 바닥판재 KR2001961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8376U KR200196172Y1 (ko) 2000-03-24 2000-03-24 건축용 바닥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8376U KR200196172Y1 (ko) 2000-03-24 2000-03-24 건축용 바닥판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6172Y1 true KR200196172Y1 (ko) 2000-09-15

Family

ID=19648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8376U KR200196172Y1 (ko) 2000-03-24 2000-03-24 건축용 바닥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6172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9598A (ko) * 2002-10-01 2004-04-08 김영분 악세스 플로어패널의 바닥패널 제조방법
KR100738682B1 (ko) 2006-04-25 2007-07-11 김재열 바닥 시공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771443B1 (ko) 2007-02-23 2007-10-30 김오수 건축용 바닥판재 접착 성형방법 및 그 바닥판재
KR100797906B1 (ko) 2007-02-23 2008-01-24 김오수 건축용 바닥판재 성형방법 및 그 바닥판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9598A (ko) * 2002-10-01 2004-04-08 김영분 악세스 플로어패널의 바닥패널 제조방법
KR100738682B1 (ko) 2006-04-25 2007-07-11 김재열 바닥 시공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771443B1 (ko) 2007-02-23 2007-10-30 김오수 건축용 바닥판재 접착 성형방법 및 그 바닥판재
KR100797906B1 (ko) 2007-02-23 2008-01-24 김오수 건축용 바닥판재 성형방법 및 그 바닥판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8636B1 (ko) 패널 거푸집 부재를 이용하여 교각의 상부에 일체형으로코핑부를 시공하는 방법 및 이러한 코핑부를 구비한콘크리트 교각
JP5955010B2 (ja) 建築基礎工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立ち上がりブロック
KR101638155B1 (ko) 박스형 부재를 활용한 앵커접합부
KR101478611B1 (ko) 기둥 주체 조립식 풀 피씨 계단실의 시공방법
KR200196172Y1 (ko) 건축용 바닥판재
KR0134763Y1 (ko) 건축용 바닥판재
KR100433561B1 (ko) 벽체상승 슬래브하강 타설공법
KR101270697B1 (ko) 프리캐스트 블록과 그 블록을 이용한 중저층 건물의 기둥 리모델링 보강공법
JP2005146556A (ja) 地盤改良体及びべた基礎からなる建築物の基礎の構造並びに地盤改良べた基礎工法
KR101956517B1 (ko) 콘크리트 바닥 조인트
JP2015021314A (ja) Pcユニットを用いたベタ基礎工法、及びpcユニット
CN210529916U (zh) 低层装配式钢砼结构建筑
CN106245828A (zh) 保温一体化墙体的建造方法
KR200457690Y1 (ko) 지반보강용 블록
JP5378137B2 (ja) 既存布基礎および土台の補強構造
KR100390059B1 (ko) 미장용 레벨
JP4111992B1 (ja) 基礎用ユニットと基礎
CN212224474U (zh) 装配式预制抗震楼梯结构
CN212001993U (zh) 一种连接组件及预制楼梯的连接结构
KR200246507Y1 (ko) 콘크리트구조물용 매립식 앵커
KR200306741Y1 (ko) 콘크리트 조립식 거푸집
KR20230062951A (ko) 암거블럭 지붕구조체
KR20230063552A (ko) 암거블럭 지붕구조체
JP2020165094A (ja) 駅ホームの補強構造
JP3092975B2 (ja) 住宅ユニットの基礎への据付け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53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