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0200B1 - 아연도금설비의 이물질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아연도금설비의 이물질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0200B1
KR100770200B1 KR1020060063514A KR20060063514A KR100770200B1 KR 100770200 B1 KR100770200 B1 KR 100770200B1 KR 1020060063514 A KR1020060063514 A KR 1020060063514A KR 20060063514 A KR20060063514 A KR 20060063514A KR 100770200 B1 KR100770200 B1 KR 1007702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nout
suction pipe
drain pipe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3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봉규
김선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60063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02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0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02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03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4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2/06Zinc or cadmium or alloys based thereon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14Removing excess of molten coatings;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thicknes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34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material to be treated
    • C23C2/36Elongated material
    • C23C2/40Plates; Stri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ating With Molten Me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연도금설비의 가동시에 용해되지 않은 드로스 및 용융아연 탕에 존재하는 애쉬 등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배출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이물질에 의한 스트립 불량 발생됨을 방지하도록 하는 아연도금설비의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용융아연욕조의 스나우트 내부에 형성되는 이물질이 흡입되도록 장착되는 흡입관과, 흡입관에 흡입력을 부여하도록 장착되는 펌핑부와, 흡입관과 연통되어 스나우트 내부의 미펌핑된 상기 애쉬 및 탑 드로스를 배출하도록 하는 드레인부를 제공한다.
아연도금, 용융아연, 스나우트, 드레인

Description

아연도금설비의 이물질 제거장치{Forean substance removal equipment of zinc plating equipment}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아연도금설비의 이물질 제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아연 도금 설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아연도금설비의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아연도금설비의 가동시에 용해되지 않은 드로스 및 용융아연 탕에 존재하는 애쉬 등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배출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이물질에 의한 스트립 불량 발생됨을 방지하도록 하는 아연도금설비의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트립을 연속적으로 아연도금 제조하는 아연 도금 설비에서 소둔 열처리 후 아연 도금 욕조를 지나면서 밀폐된 공간인 스나우트에서 발생된 애쉬 및 탑 드로스가 아연 욕조 탕면에 떠 있다가 스트립이 용융아연 탕면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스트립에 묻어 불량이 발생하게 된다.
도 3은 일반적인 아연 도금 설비(40)로 용융아연 도금공정에서 소둔로에서 소둔 열처리된 스트립(43)은 밀폐된 공간을 유지하도록, 소둔로와 아연욕조(45)를 연결하는 스나우트(47)로 진행되어 싱크롤(49)을 따라 아연 욕조(45)로 침적된 후 아연 욕조(45) 상부로 빠져나가도록 되어 있다.
이 과정에서 스나우트(47) 내부의 애쉬나 톱 드로스를 스나우트 측면 흡입관(42)을 통해서 펌프(44)로 스나우트(47) 외부로 배출하여 제거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 구조는 라인의 정지시에 스나우트 내부의 댐(46)과, 흡입관(42) 내부와, 펌프(44) 내부에 잔존하는 용융아연과 애쉬 및 드로스가 그대로 응고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아연도금설비를 재가동하게 되면, 응고된 아연과 드로스의 용해될때까지 시간이 소요되고, 용해되지 않은 드로스가 펌프(44)의 임펠라 및 케이싱 사이에 끼임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펌프(44)의 임펠라 및 케이싱의 고착됨이 발생됨으로, 모터의 펌프를 교환해야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그리고, 애쉬 및 드로스가 핵으로 성장되어 커지게 되면, 펌프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스나우트 내의 댐과 흡입관 내부에 잔존하여 스트립에 부착됨으로써, 애쉬 및 드로스에 의한 줄무늬 마크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아연 도금 설비의 가동시 용해되지 않은 드로스 및 애쉬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하여, 스트립의 불량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아연도금설비의 이물질 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아연도금설비의 이물질 제거장치는, 용융아연욕조의 스나우트 내부에 형성되는 이물질이 흡입되도록 장착되는 흡입관, 상기 흡입관에 흡입력을 부여하도록 장착되는 펌핑부 및 상기 흡입관과 연통되어 상기 스나우트 내부의 미펌핑된 상기 애쉬 및 탑 드로스를 배출하도록 하는 드레인부를 구비한다.
상기 드레인부는, 상기 흡입관에 연통되는 드레인 배관 및 상기 드레인 배관에 장착되는 역류 방지밸브를 포함한다.
상기 드레인 배관은 상기 아연욕조의 저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역류 방지밸브는 상기 용융아연욕조의 용융아연 내부에서 부력의 작용으로 상기 드레인 배관을 밀폐하고, 용융아연 외부에 위치시 부력의 미작용으로 드레인 배관을 개방한다.
상기 드레인 배관에는 퍼지용 질소배관이 장착된다.
상기 펌핑부는, 상기 흡입관에 흡입력을 부여하는 펌프 및 상기 펌프로 흡입된 이물질을 배출하는 배출관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아연도금설비의 이물질 제거장치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 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아연도금설비의 이물질 제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아연도금설비의 이물질 제거장치(100)는, 아연욕조의 스나우트 내부에 형성되는 이물질이 흡입 배출되도록 장착되는 흡입관(10)과, 흡입관(10)에 흡입력을 부여하도록 장착되는 펌핑부(20)와, 흡입관(10)과 연통되어 스나우트(11) 내부의 미펌핑된 애쉬 또는 탑 드로스를 배출하도록 하는 드레인부(30)를 구비한다. 여기서, 스트립(15)은 싱크롤(14)의 안내을 통해 아연욕조(12)의 상부로 진행하게 된다. 참조번호 16은 모터를 말한다.
상기 흡입관(10)은 스나우트(11) 내부의 댐(13)과 연통되도록 함으로써, 애쉬 또는 탑 드로스 등의 이물질의 외부 배출이 가능하도록 한다. 즉, 상기 스나우트(11)는 스트립(15)의 용융 아연 도금 공정에서 소둔 열처리된 스트립(15)의 밀폐된 상태에서의 아연 도금 작업을 실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작업중에 스나우트(11)의 댐(13)의 내부에는 애쉬 또는 탑 드로스 등의 이물질이 넘어오게 된다. 이에 따라, 스나우트(11)의 댐(13) 내부와 연통되는 흡입관(10)을 마련하여, 이물질의 흡입관(10)을 통한 배출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댐(13)의 내부로 이물질의 넘어옴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용융아연(17)의 저장된 높이는 댐(13)의 높이보다 일정 높이 높도록 한다. 이러한 흡입관(10)에는 흡입력을 부여하는 펌핑부(20)가 장착된다.
상기 펌핑부(20)는 흡입관(10)에 흡입력을 부여하는 펌프(21)와, 흡입된 이물질을 배출하는 배출관(23)으로 구비된다. 이러한 펌핑부(20)는 스나우트(11)에 고정되어 스나우트(11)의 댐(13) 내부의 이물질의 펌핑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펌핑부(20)는 스나우트(11)의 댐(13) 내부의 용융아연, 애쉬 및 탑 드로스등의 이물질을 흡입관(10)을 통해 흡입하고, 배출관(23)을 통하여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펌핑부(20)를 통한 이물질의 배출 작용시에, 스나우트(11)의 내부에 잔존된 이물질은 드레인부(30)를 통해 배출이 이루어진다.
상기 드레인부(30)는 흡입관(10)에 연통되는 드레인 배관(31)과, 드레인 배관(31)에 장착되는 역류 방지밸브(33)를 구비한다. 상기 드레인 배관(31)은 흡입관(10)에 일측이 연통되며, 타측은 아연욕조(12) 저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러한 드레인 배관(31)과 흡입관(10)의 연통된 위치는, 펌핑부(20)와 연직선상으로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이물질의 펌핑 작용시 미배출된 잔류 이물질의 배출의 용이함을 위함이다. 즉, 펌핑부(20)의 펌핑 작동시에 미배출된 이물질이 역류방지밸브(33)의 개폐작동으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역류방지밸브(33)는 이물질의 용이한 배출을 위해 드레인 배관(10)의 하방향에 장착된다.
상기 역류방지밸브(33)는 드레인 배관(31)의 하방향에 장착되어 드레인 배관(31)의 선택적인 개폐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스나우트(11)의 댐(13) 내부로 넘어온 용융아연과 애쉬 및 탑 드로스 등의 이물질의 원활한 드레인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역류방지밸브(33)의 선택적인 개폐작동을 설명하면, 역류방지밸 브(33)가 아연욕조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됨에 따른 용융아연의 부력의 선택적인 작용여부에 따라 드레인 배관(31)의 개폐 작동이 결정된다.
상기 역류방지밸브의 개폐 작동을 이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역류방지밸브(33)가 아연욕조의 탕 내부에 위치될 경우에는, 아연욕조(12)의 용융아연의 부력이 역류방지밸브(33)에 직접적으로 작용하여 드레인 배관(31)을 밀폐하도록 하여 용융아연(17)의 역류를 방지하도록 한다. 이에따라, 드레인 작용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펌핑부(20)를 통한 애쉬 또는 탑 드로스의 펌핑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역류방지밸브(33)가 아연욕조(12)의 탕 외부에 위치될 경우에는, 아연욕조(12)의 용융아연의 부력이 역류방지밸브(33)에 작용하지 않음으로써, 역류방지밸브(33)의 드레인 배관(31)의 개방 작동이 발생되어 애쉬 또는 탑 드로스 등의 이물질의 드레인 작용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역류방지밸브(33)의 아연욕조 외부에 위치될 경우를 설명하면, 스나우트(11)의 아연욕조(12)의 상측으로의 이동 작동시 또는 싱크롤(14) 및 아연욕조(12)의 교체시에 역류방지밸브(33)의 위치는 아연욕조(12)의 용융아연 내부에 위치되지 않고, 용융아연의 외부에 위치되어 부력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된다. 이에 따라, 역류방지밸브(33)는 드레인 배관(31)을 오픈하도록 작동됨으로써, 스나우트(11)의 댐(13) 내부와 흡입관(10) 및 펌프(21)의 케이싱 내부에 있는 용융아연과 애쉬 및 핵으로 성장한 드로스 등이 모두 드레인 배관(31)을 통해 배출되도록 한다. 이러한 역류방지밸브(33)의 개방에 따른 드레인 작용이 이루어짐으로써, 용융아연, 애 쉬 및 탑 드로스의 장비 내에서의 고착화를 방지하고 라인가동시 보다 빠른 시간내 재 가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역류방지밸브(33)가 장착된 드레인 배관(31)에는 퍼지용 질소배관(40)이 장착된다.
상기 퍼지용 질소배관(40)은 일측은 드레인 배관(31)의 역류방지배관(33) 장착 위치에 장착되며, 타측은 용용아연(17) 외부로 연장 형성된다. 이러한 퍼지용 질소배관(40)은 질소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여, 본 발명의 아연도금설비의 이물질 제거장치의 장기간 사용정지시 퍼지용 질소를 공급하도록 하여 이물질의 제거가 가능하도록 한다. 즉, 모터의 고장등 장기간 사용 정지로 모터(16)의 임펠러 등이 드로스에 의해 고착되었거나, 핵으로 생성된 커다란 드로스에 의해 펌핑이 용이하지 못할 경우가 발생된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의 퍼지용 질소배관(40)을 통해 퍼지용 질소가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고착된 드로스의 원활한 제거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아연도금설비의 이물질 제거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스나우트(11)의 댐(13) 내부에 용융아연, 애쉬 또는 드로스가 일정량 이상 넘어온 상태로 판단되면, 펌프(21)를 구동하여 배출관(23)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여기서, 드레인관(31)에 구비된 역류방지밸브(33)는 용융아연(17)의 부력으로 드레인관(31)이 폐쇄되도록 함으로써, 용이한 배출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아연욕조(12) 또는 싱크롤(14) 등의 교환을 위해 스나우트(11)가 용융아연(17)의 외부로 이동될 경우에는, 역류방지밸브(33)에 용융아연(17)의 부력이 작용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역류방지밸브(33)는 드레인 배관(31)을 개방하도록 작동됨으로써, 스나우트(11)의 댐(13) 내부와 흡입관(10)과 펌프(21)의 케이싱 내 부의 이물질의 용이한 배출이 가능하도록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과 균등한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예 또는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이어지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아연도금설비의 이물질 제거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스나우트의 용융아연에 존재하는 애쉬 및 톱 드로스 등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함으로써, 용융아연도금 품질의 향상을 이룰 수 있다.
둘째, 스나우트 내부의 이물질의 자동제거가 가능하도록 하여,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한 제거 작업을 대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산성의 향상이 가능하다.
셋째, 스나우트 내부 이물질 제거를 위한 작업자의 수작업 공정이 필요치 않음으로, 작업중 안전사고 발생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6)

  1. 용융아연욕조의 스나우트 내부에 형성되는 이물질이 흡입되도록 장착되는 흡입관;
    상기 흡입관에 흡입력을 부여하도록 장착되는 펌핑부; 및
    상기 흡입관에 연통되는 드레인 배관과, 상기 드레인 배관에 장착되는 역류 방지 밸브와, 상기 드레인 배관에 장착되는 퍼지용 질소배관을 구비하여 상기 스나우트 내부의 미펌핑된 애쉬 및 탑 드로스를 배출하도록 하는 드레인부;를 포함하는 아연도금설비의 이물질 제거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배관은 상기 아연욕조의 저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아연도금설비의 이물질 제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 방지밸브는 상기 용융아연욕조의 용융아연 내부에서 부력의 작용으로 상기 드레인 배관을 밀폐하고, 용융아연 외부에 위치시 부력의 미작용으로 드레인 배관을 개방하도록 하는 아연도금설비의 이물질 제거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부는,
    상기 흡입관에 흡입력을 부여하는 펌프; 및
    상기 펌프로 흡입된 이물질을 배출하는 배출관;를 포함하는 아연도금설비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020060063514A 2006-07-06 2006-07-06 아연도금설비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007702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3514A KR100770200B1 (ko) 2006-07-06 2006-07-06 아연도금설비의 이물질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3514A KR100770200B1 (ko) 2006-07-06 2006-07-06 아연도금설비의 이물질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0200B1 true KR100770200B1 (ko) 2007-10-25

Family

ID=38815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3514A KR100770200B1 (ko) 2006-07-06 2006-07-06 아연도금설비의 이물질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02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1061B1 (ko) * 2007-03-27 2008-05-20 문병원 스나우트 내부의 탕면 이물질제거장치
CN113767184A (zh) * 2019-05-03 2021-12-07 株式会社斯戴普安津 用于在钢板热浸镀锌工艺中从熔融金属表面去除杂质的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19559A (ja) 1987-03-09 1988-09-13 Kubota Ltd ドロス除去装置
JPH05279827A (ja) * 1992-03-31 1993-10-26 Kawasaki Steel Corp 溶融金属めっきにおけるスナウト内ドロス除去装置
JPH05295505A (ja) * 1992-04-23 1993-11-09 Nkk Corp めっき浴清浄化装置
KR20040097552A (ko) * 2003-05-12 2004-11-18 주식회사 포스코 용융 아연도금공정의 드로스 부착방지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19559A (ja) 1987-03-09 1988-09-13 Kubota Ltd ドロス除去装置
JPH05279827A (ja) * 1992-03-31 1993-10-26 Kawasaki Steel Corp 溶融金属めっきにおけるスナウト内ドロス除去装置
JPH05295505A (ja) * 1992-04-23 1993-11-09 Nkk Corp めっき浴清浄化装置
KR20040097552A (ko) * 2003-05-12 2004-11-18 주식회사 포스코 용융 아연도금공정의 드로스 부착방지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1061B1 (ko) * 2007-03-27 2008-05-20 문병원 스나우트 내부의 탕면 이물질제거장치
CN113767184A (zh) * 2019-05-03 2021-12-07 株式会社斯戴普安津 用于在钢板热浸镀锌工艺中从熔融金属表面去除杂质的装置
EP3926066A4 (en) * 2019-05-03 2023-02-08 Step Engineering Co. Ltd. DEVICE FOR REMOVING FOREIGN MATERIAL FROM A MOLTEN METAL SURFACE IN A STEEL SHEET HOT DIP GALVANIZING PROCES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728383B (zh) 一种用于汽车零件的自动清洗装置
KR100770200B1 (ko) 아연도금설비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01285781B1 (ko) 노체 냉각을 위한 프로세스 펌프용 여과기의 이물질 제거 장치
CN110644432A (zh) 一种河道修防工程用河道防汛装置
WO2015145682A1 (ja) 放電加工装置
US11850634B2 (en) Method and device for rinsing an overflow chamber at the bath-side end of a snout of a hot-dip coating device
KR101709692B1 (ko) 도금욕조의 도금액 자동배출장치 및 자동배출방법
KR101642767B1 (ko) 금속 부재 세정 장치
JP4457710B2 (ja) 連続溶融金属めっき設備のスナウト内異物除去装置
CN108486329B (zh) 一种加工阶梯钻淬火用冷却装置
JP4872400B2 (ja) 連続溶融金属めっき設備
JPH05125509A (ja) 連続溶融亜鉛めつき用スナウト内のドロス回収方法及び その装置
KR20080007791A (ko) 양어장 용수 협잡물 제거장치
KR102163286B1 (ko) 알카리 용액 탱크의 슬러지 제거장치
KR200257526Y1 (ko) 저수물통
JP2009255223A (ja) 複合加工装置
KR200363077Y1 (ko) 스나우트 내부의 탕면 이물질제거장치
KR20170032516A (ko) 습식 표면처리장치
JP2004074195A (ja) 切断定盤
KR100822961B1 (ko) 비숍 배출수의 이물질 제거장치
TW201515747A (zh) 放電加工機之過濾器
KR101338053B1 (ko) 전착본조 유분제거 장치
JP3576533B2 (ja) 空調機用フィルター洗浄装置の制御方法
CN212399247U (zh) 带湿式除尘功能的抛磨机
CN219169080U (zh) 一种蜡模清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