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8053B1 - 전착본조 유분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전착본조 유분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8053B1
KR101338053B1 KR1020070036977A KR20070036977A KR101338053B1 KR 101338053 B1 KR101338053 B1 KR 101338053B1 KR 1020070036977 A KR1020070036977 A KR 1020070036977A KR 20070036977 A KR20070036977 A KR 20070036977A KR 101338053 B1 KR101338053 B1 KR 1013380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bath solution
main tank
bath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6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3267A (ko
Inventor
안홍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36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8053B1/ko
Publication of KR20080093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32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8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80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21/00Accessories or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19/00

Landscapes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 Cleaning And De-Greasing Of Metallic Materials By Chemical Meth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착본조 유분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조탱크 하부에서 욕액을 석션할 수 있도록 마련된 펌프와, 이 펌프로 석션된 욕액이 통과하면서 욕액내의 철분, 이물질 및 유분을 제거하도록 마련된 백필터와, 이 백필터를 통과한 욕액이 다시 본조탱크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이 본조탱크 벽면을 따라 설치된 노즐로 구성된 유분제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조탱크내 측면에 마련된 가이드레일과, 이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고 욕액 표면상에 떠 있을 수 있도록 마련된 유분받이와, 이 유분받이를 통해 표면용액을 흡입할 수 있는 에어펌프와, 이 에어펌프에 의해 이송된 표면욕액 내의 유분을 제거하기 위해 마련된 유분필터를 포함한 것이다.
본조탱크, 유분, 유분받이, 도장, 유분필터

Description

전착본조 유분제거 장치{Apparatus for remove greasy of electrolysis painting}
도 1은 종래의 유분제거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의 유분제거를 위한 백필터를 도시한 도면.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전착본조 유분제거 장치의 방식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착본조 유분제거 장치의 유분받이의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착본조 유분제거 장치의 작동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본조탱크 20: 펌프
30: 백필터 31: 필터
40: 노즐 130: 가이드레일
200: 유분받이 210: 플레이트
220: 에어바 230: 가이드
240: 드레인홀 250: 플렉시블 호스
300: 에어펌프 400: 유분필터
본 발명은 전착본조 유분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차체를 도장하는 도장공장 내 유분불량 방지를 위해 탱크내 유분이 주로 떠있는 위치에서 표면욕액만을 취출하여 유분을 제거할 수 있는 전착본조 유분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장공장 내 유분불량 방지는 도장품질을 위한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이는 욕조내 미세한 유분 유입도 대량 불량으로 이어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욕액내에 유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전착공정에서는 순환되는 욕액중에 유분필터를 설치하여 욕액내의 유분제거를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유분성분은 실제로 전착욕액의 메인성분인 순수보다 비중이 낮기에 욕액 표면에 많이 잔존하게 되고, 이는 탱크하부를 통하여 순환하는 순환욕액 내에는 유분 성분이 미세하리라 생각된다.
도 1에서 보듯이, 종래의 유분 제거 방식을 보면 본조탱크(10) 하부에서 욕액 석션, 펌프 통과(20), 백필터(30) 하우징 통과, 백필터(30)를 통과한 욕액들은 다시 본조탱크(10)로 재투입, 본조탱크(10) 벽면 노즐(40)을 통하여 본조탱크(10)내 투입을 반복하는 과정이며, 이런 순환 흐름 도중에 철분 및 유분을 제거하는 것이다.
상기 백필터(30)는 도 2에서 보듯이, 하우징 내부에 필터(31)들이 걸려 있으며, 이 필터(31)들을 통과하면서 철분, 이물질 및 유분을 걸러낸다. 특히 유분의 경우에는 유분전용 필터가 별도로 있어 해당 필터중 절반은 유분필터를 걸어서 유분제거를 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유분제거 방식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유분성분은 욕액 표면에 주로 존재하기에, 탱크 하부에서 석션 해서는 철분등의 이물질제거에는 효과적이나, 유분제거에는 비효율적임 이는 전착 욕액의 액레벨이 300MM 범위에서 계속 변하기에, 흡입배관을 욕액 표면에 설치하더라도 계속해서 변하는 욕액 레벨 때문에 적정한 위치를 정하기가 어려운 이유이다.
또한, 욕액표면에서 욕액을 순환코자 흡입배관을 표면에 설치하는 곳도 있으나, 이는 욕액 레벨(LEVEL)이 수시로 변하는 욕액 현실상, 그 효과가 미비하다고 생각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기존의 탱크 하부에서 석션을 실시해 유분을 제거하던 것을 탈피해 유분이 주로 떠있는 탱크 상부에서 표면욕액만을 취출하여 유분을 제거할 수 있는 전착본조 유분제거 장치를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착본조 유분제거 장치는, 본조탱크 하부에서 욕액을 석션할 수 있도록 마련된 펌프와, 이 펌프로 석션된 욕액이 통과하면서 욕액내의 철분, 이물질 및 유분을 제거하도록 마련된 백필터와, 이 백필터를 통과한 욕액이 다시 본조탱크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이 본조탱크 벽면을 따라 설치된 노즐로 구성된 유분제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조탱크내 측면에 마련된 가이드레일과, 이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고 욕액 표면상에 떠 있을 수 있도록 마련된 유분받이와, 이 유분받이를 통해 표면용액을 흡입할 수 있는 에어펌프와, 이 에어펌프에 의해 이송된 표면욕액 내의 유분을 제거하기 위해 마련된 유분필터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전착본조 유분제거 장치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착본조 유분제거 장치의 방식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착본조 유분제거 장치의 유분받이의 상세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착본조 유분제거 장치의 작동 순서도이다.
본조탱크(10) 하부에서 욕액을 석션(Suction)할 수 있도록 펌프(20)가 마련되고, 이 펌프(20)로 석션된 욕액이 통과하면서 욕액내의 철분, 이물질 및 유분을 제거하도록 백필터(30)가 마련된다. 이 백필터(30)를 통과한 욕액이 다시 본조탱크(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이 본조탱크(10) 벽면을 따라 설치된 노즐(40)로 구성된 유분제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조탱크(10)내 측면에는 가이드레일(130)이 상/하 방향으로 마련된다.
상기 가이드레일(130)에는 이 가이드레일(130)을 따라 이동할 수 있고 욕액 표면상에 떠 있을 수 있도록 유분받이(200)가 마련된다.
이 유분받이(200)를 통해 표면용액을 흡입할 수 있도록 에어펌프(300)가 마 련되고, 이 에어펌프(300)에 의하여 유입된 욕액은 표면욕액 내의 유분을 제거하기 위해 마련된 유분필터(400)로 이송되어 진다.
또한, 상기 유분받이(200)는 바디를 이루는 플레이트(210)와, 이 플레이트(210) 양측에 마련된 에어바(220)와, 플레이트(210)가 상/하로만 이동 가능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레일(130)에 고정되는 상/하 한 쌍의 가이드(230)와, 유분받이(200)에서 드레인 되는 표면욕액을 상기 에어펌프(300) 측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플렉시블 호스(250)가 마련되며 상기 에어펌프(300)로 드레인 시킬 수 있도록 플레이트(210) 하부 일측에 드레인홀(240)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유분받이(200)가 욕액표면에서 떠 있을 수 있는 이유는 PVC재질의 에어바(220)로 구성됨에 따라 욕조 표면에 항상 떠있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210)가 욕액표면에서 자유롭게 떠다닐 경우 출조하는 바디와 충돌할 수 있기 때문에 정해진 위치에서만 상/하 이동할 수 있게 상기 가이드레일(130)이 설치되는 가이드(230)가 마련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유분필터(400)는 2개 이상 마련되어 이 유분필터(400)를 유액이 통과하면서 유액에 포함되어 있는 금속, 이물질 및 유분을 걸러내게 된다.
이렇게 표면액내에 포함되어 있는 유분을 유분필터에 의하여 제거하고 나머지 욕액은 중력에 의해 다시 욕조로 떨어지게 된다.
이하에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전착본조 유분제거 장치의 작동 실시예를 설명한다.
먼저, 유분제거순서에 따라 탱크출조부에서 서브탱크(Subtank)측으로 욕액의 흐름이 발생되면, 욕액이 이동하면서 표면에 떠있는 유분제거장치 측으로 오버플로우(Overflow)되어 일부 유입되어 지고 되고, 유입된 욕액은 유분제거 플레이트(Plate) 내에 드레인 홀을 통하여 에어펌프 측으로 이송되면, 이 에어펌프를 통하여 욕액은 유분필터로 이송되고 이 유분필터에 의하여 유분성분은 제거되며 남은 욕액은 다시 욕액본조로 재투입되어 진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 순환하면서 욕액내의 이물질 및 유분을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착본조 유분제거 장치에 따르면, 욕액 내부만의 이물질을 제거하던 방식에서 탈피하여, 대체적으로 욕액 표면상에 떠있는 유분을 제거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보다 근본적으로 욕조 상에 떠있는 유분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본조탱크(10) 하부에서 욕액을 석션할 수 있도록 마련된 펌프(20)와, 이 펌프(20)로 석션된 욕액이 통과하면서 욕액내의 철분, 이물질 및 유분을 제거하도록 마련된 백필터(30)와, 이 백필터(30)를 통과한 욕액이 다시 본조탱크(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이 본조탱크(10) 벽면을 따라 설치된 노즐(40)로 구성된 유분제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조탱크(10) 내 측면에 마련된 가이드레일(130);
    상기 가이드레일(130)을 따라 이동하고 욕액 표면상에 떠 있을 수 있도록 마련된 유분받이(200);
    상기 유분받이(200)를 통해 표면용액을 흡입할 수 있는 에어펌프(300); 및
    상기 에어펌프(300)에 의해 이송된 표면욕액 내의 유분을 제거하기 위해 마련된 유분필터(400)를 포함하는데;
    상기 유분필터(400)는 2개 이상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착본조 유분제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분받이(200)는 바디를 이루는 플레이트(210);
    상기 플레이트(210) 양측에 마련된 에어바(220);
    상기 플레이트(210)가 상/하로만 이동 가능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레일(130)에 고정되는 상/하 한 쌍의 가이드(230); 및
    표면욕액을 상기 에어펌프(300)로 드레인 시킬 수 있도록 플레이트(210) 하부 일측에 형성된 드레인홀(2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착본조 유분제거 장치.
  3. 삭제
KR1020070036977A 2007-04-16 2007-04-16 전착본조 유분제거 장치 KR1013380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6977A KR101338053B1 (ko) 2007-04-16 2007-04-16 전착본조 유분제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6977A KR101338053B1 (ko) 2007-04-16 2007-04-16 전착본조 유분제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3267A KR20080093267A (ko) 2008-10-21
KR101338053B1 true KR101338053B1 (ko) 2013-12-06

Family

ID=40153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6977A KR101338053B1 (ko) 2007-04-16 2007-04-16 전착본조 유분제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805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065U (ja) * 1992-06-15 1994-01-18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脱脂装置
JPH0841687A (ja) * 1994-07-29 1996-02-13 Trinity Ind Corp 電着塗装装置
KR960001454Y1 (ko) * 1993-09-15 1996-02-17 이희근 수면 부상식 오일제거장치
JPH11106996A (ja) * 1997-08-08 1999-04-20 Taikisha Ltd 電着塗装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着塗装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065U (ja) * 1992-06-15 1994-01-18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脱脂装置
KR960001454Y1 (ko) * 1993-09-15 1996-02-17 이희근 수면 부상식 오일제거장치
JPH0841687A (ja) * 1994-07-29 1996-02-13 Trinity Ind Corp 電着塗装装置
JPH11106996A (ja) * 1997-08-08 1999-04-20 Taikisha Ltd 電着塗装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着塗装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3267A (ko) 2008-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7149B1 (ko) 오수에 포함된 협잡물 필터링장치
JP5712458B1 (ja) 洗浄処理装置
JPWO2018066331A1 (ja) 浮上分離装置
CN205709989U (zh) 一种油田污水除油除砂沉降系统
JP2016097395A (ja) 洗浄処理装置
KR101338053B1 (ko) 전착본조 유분제거 장치
JP2010188321A (ja) 洗浄方法および被洗浄物並びに洗浄装置
JP2006289266A (ja) タンク用のオーバーフロー装置
JP3898257B2 (ja) ウエハ洗浄装置及びウエハ洗浄方法
JP2011121017A (ja) 高純度油回収手段及びこれを備える食品へドロ回収装置
KR101124552B1 (ko) 기판도금장치
KR20120002794U (ko) 우유 기포 제거장치
KR100770200B1 (ko) 아연도금설비의 이물질 제거장치
KR20060035693A (ko) 절삭유 정제기
CN210825542U (zh) 一种电镀前处理水油分离装置
JP4197186B2 (ja) スラッジ除去装置
JPH04210201A (ja) 油水分離装置
JPS6315336Y2 (ko)
CN216259243U (zh) 一种清洗装置中的油水分离槽
KR101461791B1 (ko) 슬러지 후처리 장치
JP2019030818A (ja) 水処理装置、濾材の流出抑制方法
JP2009256805A (ja) 洗浄装置及び洗浄方法並びに被洗浄物
KR200428879Y1 (ko) 침지형막여과시스템의 오염 방지 장치
JP2000050797A (ja) 茶生葉洗浄装置
KR101386092B1 (ko) 거품제거장치용 흡입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