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2961B1 - 비숍 배출수의 이물질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비숍 배출수의 이물질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2961B1
KR100822961B1 KR1020060132151A KR20060132151A KR100822961B1 KR 100822961 B1 KR100822961 B1 KR 100822961B1 KR 1020060132151 A KR1020060132151 A KR 1020060132151A KR 20060132151 A KR20060132151 A KR 20060132151A KR 100822961 B1 KR100822961 B1 KR 1008229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
hose
foreign matter
alien
reservo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2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순섭
이수현
김용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60132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29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2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29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5Discharge mechanisms for the sediments
    • B01D21/2461Positive-displacement pumps; Screw feeders; Trough convey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001/007Processes including a sedimentation step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전조를 통과한 상등수를 저장하는 저장조 저면에 침전된 이물질을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는 비숍 배출수의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특징적인 구성은 상등수가 유입되는 방향의 저면에 차단벽(152)이 돌출되게 설치된 저장조(150)와, 상기 저장조(150)의 저면에 침전된 이물질을 흡입하는 펌프(160)와, 상기 펌프(160)를 이동시키는 이동장치(190)와, 상기 펌프(160)에 의해서 펌핑된 이물질을 이동시키는 호스(161)와 상기 펌프(160)를 선택적으로 승강시키도록 와이어(171)를 매개로 펌프(160)에 연결된 승강장치(170)와, 상기 승강장치(170)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저장조(150)의 상면에 설치된 가이드(200)와, 상기 호스(161)의 단부에 연결된 이물질 이송관(180)과, 상기 이물질 이송관(180)의 단부에 설치된 이물질 저장박스(210)를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침전조, 저장조, 펌프, 이물질

Description

비숍 배출수의 이물질 제거장치{Dust removal apparatus of bischoff drow off water}
도 1은 일반적인 비숍 배출수의 순환과정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제거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50 : 저장조
152 : 차단벽
160 : 펌프
161 : 호스
162 : 밸브
170 : 승강장치
171 : 와이어
180 : 이물질 이송관
200 : 가이드
210 : 이물질 저장박스
220 : 상부 가이드
삭제
본 발명은 비숍 배출수의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침전조를 통과한 상등수를 저장하는 저장조 저면에 침전된 이물질을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는 비숍 배출수의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 용광로에서 나오는 고로 가스 청정을 위하여 습식 청정 설비가 갖추어지게 되는데 이러한 가스 청정 설비는 원통에 가스를 통과시키고, 그 가스에 물을 분사시키는 장치가 구비되어 세정수가 분사된다.
상기 가스에 분사된 세정수는 가스에 포함된 이물질과 함께 하부로 낙하되고, 상기 이물질이 제거된 후 재 사용된다.
상기 세정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습식제진기(100)에 가스가 공급될 때 상기 습식제진기(100)에 세정수를 공급하면, 그 세정수에 의해서 가스에 포함된 이물질이 분리되는 것이다.
상기 이물질이 포함된 세정수는 배수관(110)을 통하여 이동되고, 상기 배수관(110)의 단부에 설치된 분기관(120)에 의해서 복수개의 침전조(130)로 공급된다.
상기 침전조(130)로 세정수가 공급되면, 그 세정수에 포함된 이물질은 자중에 의해서 침전조(130)의 저부에 침전되고, 이물질이 제거된 상등수는 침전조(130)의 상부에 설치된 연결관(131)을 통하여 저장조(150)로 이동된다.
한편, 상기 저장조(150)에 공급된 상등수는 공급관(151)을 통하여 습식제진기(100)로 공급되어 가스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으로서, 상기 세정수는 연 속적으로 순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침전조(130)의 저부에 침전된 이물질은 하부에 설치된 배출관(132)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 후 케이크 생성기(140)에서 수분이 제거된 케이크로 생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침전조(130)에서 연결관(131)을 통하여 저장조(150)로 공급되는 상등수에는 침전되지 못한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으며, 그 이물질은 저장조(150)의 저부에 침전된다.
따라서, 상기 저장조(150)에 침전된 이물질은 정기적 또는 부 정기적으로 제거하고 있으며, 이때에는 설비를 정지시키고, 저장조(150)에 저장된 상등수를 배수한 후 그 저장조(150)에 침전된 이물질을 제거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방법은 설비를 반드시 정지하여야 하므로 설비의 가동효율이 저하됨은 물론, 저장조(150)에 침전된 이물질을 실시간으로 제거하지 못하게 되므로 다량의 이물질이 저장조(150)에 침전된 경우에는 습식제진기(100)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이 이물질이 습식제진기(100)로 유입되면, 세정수를 분사하는 노즐의 막힘으로 업무 부하가 많이 발생되고 세정효율의 저하로 가스의 청정 효율도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저장조에 침전된 이물질을 실시간으로 제거하여 설비를 정지하지 않고도 이물질을 제 거함은 물론, 습식제진기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차단하여 세정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비숍 배출수의 이물질 제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비숍 배출수의 이물질 제거장치는 상등수가 유입되는 방향의 저면에 차단벽이 돌출되게 설치된 저장조와, 상기 저장조의 저면에 침전된 이물질을 흡입하는 펌프와, 상기 펌프를 이동시키는 이동장치와, 상기 펌프에 의해서 펌핑된 이물질을 이동시키는 호스와, 상기 펌프을 선택적으로 승강시키도록 와이어를 매개로 펌프에 연결된 승강장치와, 상기 승강장치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저장조의 상면에 설치된 가이드와, 상기 호스의 단부에 연결된 이물질 이송관과, 상기 이물질 이송관의 단부에 설치된 이물질 저장박스를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제거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여기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등수가 저장되는 저장조(150)가 마련되어 있고, 그 저장조(150)의 저면에는 차단벽(152)이 설치되어 있되, 상기 차단벽(152)은 상등수가 유입되는 방향에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저장조(150)의 상면에는 가이드(200)가 설치되어 있고, 그 가이드(200)에는 승강장치(170)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승강장치(170)에는 와이어(171)가 설치되어 있고, 그 와이어(171) 의 단부에는 펌프(160)가 연결되어 있고, 그 펌프(160)는 이동장치(190)에 의해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펌프(160)에는 그 펌프(160)에 의해서 펌핑된 이물질을 이동시키는 호스(161)가 설치되어 있되, 상기 호스(161)는 승강장치(170)에 의해서 펌프(160)가 상하로 이동될 때 변형되지 않도록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호스(161)의 상단에는 밸브(16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호스(161)의 단부에는 이물질 이송관(180)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이물질 이송관(180)의 단부에는 이물질 저장박스(210)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저장조(150)로 상등수가 유입되면, 그 상등수에 포함된 이물질 중 비교적 큰 이물질은 차단벽(152)에 의해서 차단되는 것이고, 상등수 및 작은 이물질은 차단벽(152)의 상부를 통하여 저장조(150)에 저장된다.
한편 상기 저장조(150)에 저장된 상등수에 포함된 이물질은 그 저장조(150)의 저부에 침전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이물질이 제거된 상등수는 저장조(150)의 상부를 통하여 습식제진기(100)로 공급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저장조(150)의 저부에 침전된 이물질을 제거할 때에는 펌프(160)를 저장조(150)의 저부에 근접시킨다.
이때 에는 승강장치(170)를 정방향으로 작동시키면, 와이어(171)가 풀려지면서 펌프(160)는 자중에 의해서 하부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펌프(160)의 저면이 저 장조(150)의 저부에 근접되면 승강장치(170)를 정지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펌프(160)를 작동시키면, 그 펌프(160)가 근접된 저장조(150) 저부에 침전된 이물질은 펌프(160)에 의해서 펌핑된 후 호스(161) 및 이물질 이송관(180)을 통하여 이물질 저장박스(210)로 모아진다.
상기 승강장치(170) 및 펌프(160)는 저장조(150)의 상부에 설치된 가이드(200)에 안내된다. 그리고, 상기 저장조(150)의 저부에 침전된 이물질이 펌핑될 수 있도록 이동장치(190)를 작동시키면, 펌프(160)가 상부 가이드(220)을 따라 일정한 경로로 수평 이동되면서, 저장조(150) 저부에 침전된 이물질을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승강장치(170) 및 이동장치(190)는 별도로 설치된 제어부(미도시)에 따라 작동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저장조(150)에 침전된 이물질의 제거가 완료된 후 펌프(160)는 저장조(150)의 외부에 보관하는 것이며, 이때에는 승강장치(170)를 역방향으로 작동시키면, 와이어(171)가 당겨지므로 펌프(160)가 상승하게 된다.
상기 펌프(160)가 상승 또는 하강될 때 그 펌프(160)에 연결된 호스(161)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변형 또는 파손이 방지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펌프(160)가 정지된 경우에는 호스(161)를 통하여 이물질 이송관(180)으로 이동된 이물질이 역류하지 않도록 밸브(162)를 닫은 상태로 보관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설비를 정지하지 않고도 저장조에 침전된 이물질을 실시간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되므로 습식제진기로 유입되는 상등수의 청정도를 유지하여 가스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정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상등수가 유입되는 방향의 저면에 차단벽(152)이 돌출되게 설치된 저장조(150)와, 상기 저장조(150)의 저면에 침전된 이물질을 흡입하는 펌프(160)와, 상기 펌프(160)를 이동시키는 이동장치(190)와, 상기 펌프(160)에 의해서 펌핑된 이물질을 이동시키는 호스(161)와 상기 펌프(160)를 선택적으로 승강시키도록 와이어(171)를 매개로 펌프(160)에 연결된 승강장치(170)와, 상기 승강장치(170)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저장조(150)의 상면에 설치된 가이드(200)와, 상기 호스(161)의 단부에 연결된 이물질 이송관(180)과, 상기 이물질 이송관(180)의 단부에 설치된 이물질 저장박스(21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숍 배출수의 이물질 제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161)는 펌프(160)가 상승될 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숍 배출수의 이물질 제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161)의 상단에는 밸브(162)가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숍 배출수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020060132151A 2006-12-21 2006-12-21 비숍 배출수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008229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2151A KR100822961B1 (ko) 2006-12-21 2006-12-21 비숍 배출수의 이물질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2151A KR100822961B1 (ko) 2006-12-21 2006-12-21 비숍 배출수의 이물질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2961B1 true KR100822961B1 (ko) 2008-04-17

Family

ID=39571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2151A KR100822961B1 (ko) 2006-12-21 2006-12-21 비숍 배출수의 이물질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296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36424A (ja) * 1992-10-22 1994-05-17 Kawasaki Steel Corp 転炉ガス集塵廃水の処理方法
JPH1080615A (ja) 1996-09-06 1998-03-31 Shinwa Kogyo Kk 集塵装置
KR19990025742U (ko) * 1997-12-17 1999-07-05 이구택 용광로 비숍의 배출수 이물제거장치
KR200178331Y1 (ko) 1999-11-17 2000-04-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집진수 공급폰드의 슬러리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36424A (ja) * 1992-10-22 1994-05-17 Kawasaki Steel Corp 転炉ガス集塵廃水の処理方法
JPH1080615A (ja) 1996-09-06 1998-03-31 Shinwa Kogyo Kk 集塵装置
KR19990025742U (ko) * 1997-12-17 1999-07-05 이구택 용광로 비숍의 배출수 이물제거장치
KR200178331Y1 (ko) 1999-11-17 2000-04-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집진수 공급폰드의 슬러리 제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54462B2 (ja) 沈砂池の集砂装置
KR101701517B1 (ko) 캡슐형 세정기
KR100822961B1 (ko) 비숍 배출수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01285781B1 (ko) 노체 냉각을 위한 프로세스 펌프용 여과기의 이물질 제거 장치
KR100731795B1 (ko) 워터제트 침사인양 세정장치
KR100865958B1 (ko) 워터젯용 슬러지 회수장치 및 방법
KR100885957B1 (ko) 세척수 분사 유무에 따른 벨트 워싱 롤 착탈장치
JP5842203B2 (ja) 揚砂方法
KR100355793B1 (ko) 스컴/협잡물제거장치
JP4981734B2 (ja) 沈砂池
KR100998023B1 (ko) 수문의 슬러지 처리장치
KR100717722B1 (ko) 부유 협잡물 제거형 부유스크린 장치
KR101208992B1 (ko) 침사물 세척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침사물 처리시스템
JP2012040565A (ja) 揚砂方法
KR100770200B1 (ko) 아연도금설비의 이물질 제거장치
CN107626682B (zh) 高炉矿槽区域水清洗回收利用系统及其使用方法
KR100979009B1 (ko) 수재 운송라인의 침전탱크내 수재 미립자 제거장치
JP5728723B2 (ja) 揚砂方法
KR101508935B1 (ko) 슬러지 배출장치
KR20080007791A (ko) 양어장 용수 협잡물 제거장치
KR102406712B1 (ko) 다단 경사 공기 필터 설비용 자동 청소장치
CN206089385U (zh) 污泥回收系统
KR100738972B1 (ko) 파이프 노즐형 오니 수집장치
KR102651007B1 (ko) 침사이송용 고정형 특수 노즐구조체
KR102662546B1 (ko) 침사이송용 고정형 특수 노즐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