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9009B1 - 수재 운송라인의 침전탱크내 수재 미립자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수재 운송라인의 침전탱크내 수재 미립자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9009B1
KR100979009B1 KR1020030023324A KR20030023324A KR100979009B1 KR 100979009 B1 KR100979009 B1 KR 100979009B1 KR 1020030023324 A KR1020030023324 A KR 1020030023324A KR 20030023324 A KR20030023324 A KR 20030023324A KR 100979009 B1 KR100979009 B1 KR 1009790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water
sedimentation tank
fine particles
belt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3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8889A (ko
Inventor
이인준
황준영
이철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30023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9009B1/ko
Publication of KR20040088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88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9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90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25/00Devices or methods for removing incrustations, e.g. slag, metal deposits, dust; Devices or methods for preventing the adherence of slag
    • F27D25/001Devices or methods for removing incrustations, e.g. slag, metal deposits, dust; Devices or methods for preventing the adherence of slag comprising breaking tools, e.g. hammers, drills, scra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25/00Devices or methods for removing incrustations, e.g. slag, metal deposits, dust; Devices or methods for preventing the adherence of slag
    • F27D25/008Devices or methods for removing incrustations, e.g. slag, metal deposits, dust; Devices or methods for preventing the adherence of slag using fluids or gases, e.g. blowers, suction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wage (AREA)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Abstract

고로에서 출선되는 용선재중 부산물인 슬래그(SLAG)로 생산하는 수재(SLAG GRANU LATION)의 운송을 위한 수재 운송라인에 배치된 침전탱크내 수재 미립자 제거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수재 운송라인의 침전탱크내 수재미립자 제거장치는, 침전탱크의 양측 벽면에 각도 조정가능하게 다수개가 순차로 배치되고 탱크내로 공기를 분사시키어 수재 미립자의 탱크벽면 누적을 차단하는 블로잉댐퍼; 및, 상기 침전탱크와 이로부터 수재운송 벨트컨베이어측으로 신장된 배출로를 따라 무한궤도로 이동하는 체인컨베이어에 순자로 배열 설치되어 상기 침전탱크 바닥의 누적 수재 미립자를 제거하는 브레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재 운송라인에서 수재운송 벨트컨베이어를 세척한 세척수에 포함된 수재 미립자가 침전탱크내에 누적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누적된 수재 미립자를 수재운송 벨트컨베이어로 배출 제거함으로서, 수재 미립자에 의한 침전탱크 및 여러 관부를 막히게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보다 개선된 효과를 얻는다.
Figure R1020030023324
수재, 수재 운송라인, 침전탱크, 수재 미립자, 수재 미립자 제거장치

Description

수재 운송라인의 침전탱크내 수재 미립자 제거장치{AN APPARATUS FOR REMOVING SLAG-GRANULATION PARTICULATE IN SETTLE TANK OF SLAG-GRANULATION CONVEYANCE LINE}
도 1은 종래 수재 운송라인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재 운송라인의 침전탱크내 수재 미립자 제거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수재 운송라인의 침전탱크내 수재 미립자 제거장치에 제공되는 블로잉댐퍼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침전탱크의 외곽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b)는 요부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블로잉댐퍼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공기를 침전탱크의 양측 벽면에서 세척수에 공기를 분사시키어 기포차단막을 형성시킴으로서, 수재 미립자의 벽면누적을 차단하는 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도
(b)는 세척수 드레인후 침전탱크내에서의 공기분사에 의한 세척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인 수재 운송라인의 침전탱크내 수재 미립자 제거장치에서 침전탱크의 바닥과 관로상에 수재 미립자의 누적을 차단하도록 설치된 브레이드을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수재 운송라인의 침전탱크내 수재 미립자 제거장치
10.... 블로잉댐퍼 12.... 공기공급관
14.... 회전샤프트 16.... 바디
18.... 분사노즐구 20.... 구동수단
22.... 링크 24.... 연결아암
26.... 구동실린더 28.... 작동아암
30.... 브레이드 32.... 배출로
34.... 체인컨베이어 36.... 피동 스프로켓
38.... 구동스프로켓 100.... 수재
110,130.... 벨트컨베이어 150.... 세척수
170.... 침전탱크 170a,170c.... 침전탱크 벽면
170b....침전탱크 바닥
본 발명은 고로에서 출선되는 용선재중 부산물인 슬래그(SLAG)로 생산하는 수재(SLAG GRANULATION)의 운송라인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수재 운송라인에서 벨트컨베이어를 세척한 세척수가 모이는 침전탱크내에 수재의 미세한 입자인 수재 미립자가 누적되면서, 침전탱크와 여러 관부를 막히게 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수재 운송라인의 침전탱크내 수재미립자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철공장에서 고로조업시 출선되는 용선제중의 불순물인 슬래그(SLAG)는 시멘트의 제조시 사용되는 수재(SLAG GRANULATION)로 생산될 수 있는데, 도 1에서는 이와 같은 수재의 운송라인을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벨트컨베이어(110)중 캐리어벨트 (110a)를 통하여 이송되는 수재(100)는 슈트(120)를 통하여 제 2 벨트 컨베이어 (130)를 통하여 운송라인을 따라 이송되는데, 상기 제 1 벨트컨베이어(110a)중 하부의 리턴벨트(110b)는 리턴도중 그 하측에 설치된 세척수 노즐(140)에서 분사되는 세척수(150)로서 세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리턴벨트(110b)에 분사된 세척수(150)는 저장탱크(160)에서 연결관(172)을 통하여 침전탱크(170)로 보내지고, 여기서 세척수(150)는, 오버플로우관(180)을 통하여 배수로(190)를 거치면서 수처리설비로 보내지게 되고, 상기 침전탱크(170)의 드레인시에는 하부에 연결된 드레인관(202)을 통하여 세척수(150)는 저장조(200)로 드레인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세척수(150)에는 제 1 벨트컨베이어(110)의 리턴벨트 (110b)에 부착되어 있는 다량의 수재 미립자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운송라인을 거쳐 수처리설비까지 보내지는 경우에, 세척수(150)에 포함된 다량의 수재 미립자가 시멘트성질을 갖고 있기 때문에, 각종 배관과 침전탱크에 누적(쌓이게) 되고, 이는 결국 각종 배관과 탱크 배출구등을 막히게 하는 문제를 초래한다.
따라서, 이들을 제거하면서 막힌부위를 개방시키는 데에 상당한 재처리 비용이 발생되는 것은 물론, 특히 침전탱크(170)에 누적되는 수재 미립자는 침전탱크 (150)의 내벽에 점착된 상태로 누적되기 때문에, 이경우 수분이 증발되면 경화되면서 고화상태로 변하면서, 결국에는 이를 제거하는 데에 상당한 작업과 비용이 투입되어야 한다.
또한, 도면에서는 상세하게 도시하지 않았지만, 수재 운송라인에 설치된 여러 배관 즉, 연결관(172)과 오버플로우관(180) 및, 드레인관(202)등의 여러 배관들을 막히는 것은 물론, 도면에서는 별도의 부호로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운송라인상의 각 배관에 설치된 개폐밸브등의 밸브류도 누적되는 수재미립자에 의하여 막히면서 오작동되기 쉽고, 이경에도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일일이 누저된 수재 미립자를 제거해야 하는 번거로운 작업이 필요하게 되고, 전체적으로 수재 운송라인의 가동을 자주 중단시키면서 수재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등의 여러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수재 운송라인에서 벨트컨베이어의 세척시 수재 미립자를 포함하는 세척수가 모이는 침전탱크내의 수재 미립자를 작업자의 수작업없이 신속하면서 효과적으로 제거하도록 하는 수재 운송라인의 침전탱크내 수재 미립자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재 미립자를 포함하는 세척수가 모이는 침전탱크내의 수재 미립자를 효과적으로 제거함으로서, 수재 미립자에 의한 탱크 및 여러 관들이 막히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특히 관의 여러 밸브들의 오작동을 차단하면서 전체적으로 수재 운송라인의 가동율을 향상시키도록 한 수재 운송라인의 침전탱크내 수재미립자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수재를 운송하는 벨트컨베이어와, 상기 벨트컨베이어를 세척하고 수재 미립자를 포함하는 세척수가 저장되는 침전탱크를 갖춘 수재 운송라인에 있어서,
상기 침전탱크의 양측 벽면에 각도 조정가능하게 다수개가 순차로 배치되고 탱크내로 공기를 분사시키어 수재 미립자의 탱크벽면 누적을 차단하는 블로잉댐퍼; 및,상기 침전탱크와 벨트컨베이어측으로 신장된 배출로를 따라 무한궤도로 이동하는 체인컨베이어에 순자로 배열 설치되어 상기 침전탱크 바닥의 누적 수재 미립자를 제거하는 브레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블로잉댐퍼는, 상기 침전탱크의 양측 벽면을 따라 다수개가 구동수단으로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탱크외부의 공기공급관이 연결된 중공의 회전샤프트에 일체로 고정된 바디; 및, 상기 회전샤프트를 통하여 공급되는 공기를 탱크내에 커튼형태로 분사시키도록 상기 바디를 따라 다수개가 일체로 관통 형성된 분사노즐구;를 포함하는 수재 운송라인의 침전탱크내 수재미립자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재 운송라인의 침전탱크내 수재 미립자 제거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수재 운송라인의 침전탱크내 수재 미립자 제거장치에 제공되는 블로잉댐퍼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블로잉댐퍼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인 수재 운송라인의 침전탱크내 수재 미립자 제거장치에서 침전탱크의 바닥과 관로상에 수재 미립자의 누적을 차단하도록 설치된 브레이드을 도시한 사시도인데, 이하에서 수재 운송라인과 관련된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은 동일부호로서 나타낸다.
도 2 및 도 4a에서는 본 발명인 수재 운송라인의 침전탱크내 수재미립자 제거장치(1)의 설치상태 및 전체 구성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수재미립자 제거장치(1)는, 크게 블로잉댐퍼(10) 및, 브레이드(30)로 나누어 질 수 있고, 이들 구성(10)(30)들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1)는 수재 운송라인의 침전탱크(170)와 이에 새롭게 배치된 배츨로(32)상에 설치되고, 따라서 이하에서는 기존의 운송라인과 동일한 구성은 동일부호로 나타낸다.
먼저, 도 2 내지 도 4에서는 본 발명인 수재 운송라인의 침전탱크내 수재미 립자 제거장치(1)의 상기 블로잉댐퍼(10)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블로잉댐퍼(10)는, 공기를 침전탱크(170)내에 각도를 조정하면서 특히 침전탱크 (170)내에 수재 미립자가 누적되기 쉬운 양측벽면측에 분사시키어 수재 미립자의 탱크벽면측 누적을 차단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블로잉댐퍼(10)는, 상기 침전탱크(170)의 양측 벽면에 각도 조정가능하게 다수개가 순차로 배치되고 탱크내로 공기를 분사시키어 수재 미립자의 탱크벽면 누적을 차단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때,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블로잉댐퍼(10)를 상세하게 살펴보면, 이와 같은 블로잉댐퍼(10)는, 다시 수재 운송라인의 침전탱크(170)의 양측 벽면(170a)을 따라 다수개가 구동수단(20)으로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탱크외부의 공기공급관(12)이 연결된 중공의 회전샤프트(14)에 일체로 고정된 바디 (16) 및, 상기 회전샤프트(14)를 통하여 공급되는 공기를 탱크내서 분사시키도록 상기 바디(16)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중공된 회전샤프트(14)와 통하도록 여러개가 일체로 관통 형성된 분사노즐구(18)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회전샤프트(14)는 도 3b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침전탱크(170)의 전후측 벽면(170c)에 설치된 베어링(15)을 통하여 공회전 가능하게 체결 고정되어 있고, 도 3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샤프트(14)는 내부가 중공되어 있으면서 일단부(14a)에는 조인트(12a)를 통하여 공기를 공급하는 탱크외곽의 상기 공기공급관(12)이 연결되고, 상기 회전샤프트(14)의 타단(14b)은 막혀있는 상태로 상기 침전탱크(170)의 전방측 벽면(170c)에 돌출되게 된다.
물론,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회전샤프트(14)가 지지되는 베어링(15)은 침전탱크(170)의 전,후방측 벽면(170c)에 체결될때, 세척수의 누수를 방지토록 실링재가 제공되는 것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블로잉댐퍼(10)의 바디(16)는 두께를 갖는 사각플레이트로서 그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분사노즐구(18)들이 순차로 일체로 관통되고, 이와 같은 분사노즐구(18)들은 상기 회전샤프트(14)의 내측 중공부와 통하도록 연결되어야 하는데, 상기 회전샤프트(14)의 길이방향으로 장홈을 형성시키고, 이에 사각플레이트 형상의 바디(16)와 회전샤프트(14)와 접촉하는 경계면을 용접으로 고정시키면 된다.
결국, 도 2에서와 같이, 공기공급관(12)의 솔레노이드밸브(v)가 온작동되어 상기 공기공급관(12)을 통하여 공기가 공급되면 회전샤프트(14)와 바디 분사노즐구 (18)들을 통하여 침전탱크(170)내의 세척수(150)에 도 4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를 분사시키기 때문에, 바디(16)의 각도에 따라 공기는 침전탱크 양측 벽면 (170a)에 인접하여 역삼각형 형상의 기포차단막(C)을 형성시키어 수재 미립자가 탱크 벽면에 도달 및 누적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한다.
다음, 상기 구동수단(20)은, 도 3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샤프트(14)의 침전탱크 돌출부인 타측단부(14b)에 연결되는 링크(22)들과, 상기 각각의 링크(22) 일측단부가 침전탱크(170)의 종방향으로 연결되는 연결아암(24) 및, 상기 연결아암(24)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탱크외벽에 수직 설치된 구동실린더(26)와 연결되는 작동아암(28)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구동실린더(26)는 상기 침전탱크(170)의 전방측 벽면(170c)에 설치된 브라켓트(26b)에 몸체부분이 수직하게 고정되어 있고, 상기 구동실린더(26)의 로드(26a)와 연결된 작동아암(28)과 링크(22)들이 연결된 연결아암(24)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도 3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실린더(26)가 구동되면, 구동실린더(26)의 로드(26a)와 연결된 작동아암(28)이 상하 이동하게 되고, 결국 연결아암(24)은 링크(22)들을 일시에 회전시키고, 상기 링크(22)들은 침전탱크(170)의 전후벽면(170c)에 베어링(15)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회전샤프트(14)를 회전시키고, 이에 용접으로 고정된 블로잉댐퍼(10)의 바디(16)도 도 4a 및 도 4b와 같이, 공기분사 각도가 조정되면서 회전된다.
이때, 도 4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블로잉댐퍼(10)의 바디(16)들이 침전탱크(170)의 양측 벽면(170a)을 따라 일직선으로 배열되면서 공기가 분사되면, 블로잉댐퍼(10)의 바디(16)면을 따라 공기가 분사되기 때문에, 크리닝작동이 되고, 앞에서 설명한 도 4a와 같이 공기를 분사시키면 커튼식의 역삼각형 기포차단막(C)을 형성하여 수재 미립자가 탱크벽면에 누적되는 것을 차단한다.
한편,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침전탱크(170)는 바닥(170b)이 좁고 양측벽면(170a)이 경사지게 된 상광하협의 박스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블로잉댐퍼(10)들이 설치되면서 다음에 설명하는 브레이드 (30)가 바닥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이를 감안한 것이다.
다음, 도 2, 도 4a 및 도 5에서는 본 발명인 수재 운송라인의 침전탱크내 수 재미립자 제거장치(1)의 상기 브레이드(30)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브레이드(30)는, 상기 침전탱크(170)와 벨트컨베이어(130)측으로 신장된 배출로 (32)를 따라 무한궤도로 이동하는 체인컨베이어(34)에 순자로 배열 설치되어 상기 침전탱크(170) 바닥의 누적 수재 미립자를 제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도 2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체인컨베이어(34)는, 상기 침전탱크(170)의 바닥 일측과 상기 벨트컨베이어 배출로(32)에 각각 모터 구동토록 설치된 피동 및 구동스프로켓(36)(38)에 체결되어 구동스프로켓 구동시 무한궤도로 이동토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피동 스프로켓(36)은, 상기 침전탱크(170)의 바닥(170b)에 전방벽면(170c)측으로 베어링블록상에 공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36a)에 설치되고,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스프로켓 (38)은, 제 2 벨트컨베이어(130)의 상측으로 상기 침전탱크(170)와 연결되는 배출로 (32)의 일측으로 도면에서는 개략적으로 도시하였지만 고정대상에 설치된 구동모터 (38a)의 구동축(38b)과 연결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38a)가 구동되면 구동스프로켓(38)이 체인컨베이어 (34)를 피동스프로켓(36)과 함께 무한궤도로 회전 이송시키고, 상기 체인컨베이어 (34)에 일정간격으로 수평하게 신장되도록 고정된 브레이드(30)는 침전탱크(170)의 바닥(170b)과 배출로(32)를 따라 진행되면서 누적된 수재 미립자를 수재운송 벨트 컨베이어(130)로 배출시키어 침전탱크(170)내에 수재 미립자가 누적되는 것을 차단하는 구성이다.
또한,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침전탱크(170)에는 내부에 유입되는 세척수(150)의 레벨을 감지하는 레벨스위치(50)가 설치되어 침전탱크(170)내의 수위변동을 검출토록 하고, 상기 공기공급관(12)들 즉, 총 4개의 회전샤프트(14)에 연결되는 공기공급관(12)에는 공기공급을 조정하는 솔레노이드밸브(V)들이 제공되고, 상기 공기공급관(12)들과 연결되는 메인관(12a)에는 압력계(P)가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 진 본 발명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재(100)의 운송작업이 개시되면, 먼저 수재운송 벨트켄베이어(130)가 작동되면서 동시에, 본 발명의 체인컨베이어 (34)가 구동모터(38a)의 작동으로 구동되고, 다음 다른 수재운송 벨트컨베이어 (110)가 작동된다.
그리고, 상기 다른 수재운송 벨트컨베이어(110)의 구동과 동시에, 그 하측의 분사노즐(140)로서 세척수(150)가 제 1 벨트컨베이어(110)의 리턴부(110b)에 분사되어 상기 수재운송 벨트컨베이어(110)의 세척이 수행된다.
이때, 발생되는 세척수(150)는 수재 미립자를 포함한 상태에서 연결관(172)을 통하여 침전탱크(170)내로 유입되고, 이때 상기 침전탱크(170)의 전방측 벽면 (170c)에 설치된 구동실린더(26)는 하강한 상태에서 침전탱크(170)내의 배열된 4개의 블로잉댐퍼(10)들은 초기 세척수(150)가 유입되는 상태에서는 서로 일직선상으 로 배치되어 공기공급관(12)을 통하여 공기가 공급되면서 도 4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를 분사시키고, 점차 세척수(150)의 유입량이 증가되면 구동실린더(36)는 상승하여 도 4a에서와 같이 블로잉댐퍼(10)는 각도가 조정되면서 이때, 블로잉댐퍼(10)의 분사노즐구(18)를 통하여 분사되는 공기는 세척수(150)내에서 기포를 발생시키면서 역삼각형의 기포차단막(C)을 제공하고, 결국 침전탱크(170)내에 유입되는 세척수(150)에 포함된 수재 미립자는 침전탱크(170)의 벽면(170a)측에 누적되지 못한다.
또한, 침전탱크(170)의 측벽면(170a)측에 연결된 오버플로우관(180)측으로도 수재 미립자가 흘러들어가는 것을 차단하기 때문에, 이후 관부등에 수재 미립자가 누적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한다.
다음, 수재 운송작업이 완료되면서 다른 수재운송 벨트컨베이어(110)의 작동이 중단되면, 그 리턴벨트(110b)의 세척이 중단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한후, 수재 미립자가 침전탱크(170)의 바닥(170b)에 침전되면 체인컨베이어 (34)가 구동모터(38a)의 구동으로 구동되면서 도 4a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브레이드(30)는 침전탱크(170) 바닥의 수재 미립자는 배출로(32)를 통하여 수재운송 벨트컨베이어(130)로 배출시킨다.
다음, 드레인관(202)을 통하여 수재 미립자가 제거된 청정수는 저장조(200)로 드레인되고, 드레인이 완료되면 상기 구동실린더(36)는 하강하여 블로잉댐퍼 (10)들은 일직선상으로 배열되면서 공기공급관(12)의 메인관(12a)을 통하여 공급되고 압력계(P)로 조정되는 고압공기가 분사노즐구(18)을 통하여 도 4b와 같이 분사 되면서 블로잉댐퍼(10)의 바디(16)표면을 분사공기로 크리닝시키게 되고, 다시 체인컨베이어 (34)를 작동시키어 브레이드(30)로서 침전탱크(170)의 바닥 (170b)에 누적 잔존하는 수재 미립자를 배출로(32)를 통하여 수재운송 벨트컨베이어(130)로 배출하게 한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장치(1)에 의하면, 수재운송 벨트컨베이어(110)의 세척시 세척수에 포함된 다량의 수재 미립자를 침전탱크(170)에 누적되는 것을 차단하고 제거하기 때문에, 침전탱크와 여러 관 및 밸브들이 막히거나 작동불량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시키어 수재 운송시 그 가동성을 높이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인 수재 운송라인의 침전탱크내 수재미립자 제거장치에 의하면, 수재 운송라인에서 벨트컨베이어의 세척시 수재 미립자를 포함하는 세척수가 모이는 침전탱크내의 수재 미립자를 작업자의 수작업없이 신속하면서 효과적으로 제거하도록 함으로서, 수재 운송라인의 각종 배관, 밸브 및 침전탱크의 폐쇄에 의한 설비 가동중단을 예방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침전탱크의 벽면에 수재 미립자가 누적되는 차단하면서 누적된 수재 미립자를 수재 운송 벨트 컨베이어로 자동 운송시킴으로서, 수재의 운송지연을 방지하여 수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우수한 효과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 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4)

  1. 수재(100)를 운송하는 벨트컨베이어(110)(130)와, 상기 벨트컨베이어(110)를 세척하고 수재 미립자를 포함하는 세척수(150)가 저장되는 침전탱크(170)를 갖춘 수재 운송라인에 있어서,
    상기 침전탱크(170)의 양측 벽면에 각도 조정가능하게 다수개가 순차로 배치되고 탱크내로 공기를 분사시키어 수재 미립자의 탱크벽면 누적을 차단하는 블로잉댐퍼(10); 및, 상기 침전탱크(170)와 벨트컨베이어(130)측으로 신장된 배출로(32)를 따라 무한궤도로 이동하는 체인컨베이어(34)에 순자로 배열 설치되어 상기 침전탱크(170) 바닥의 누적 수재 미립자를 제거하는 브레이드(3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블로잉댐퍼(10)는, 상기 침전탱크(170)의 양측 벽면(170a)을 따라 다수개가 구동수단(20)으로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탱크외부의 공기공급관(12)이 연결된 중공의 회전샤프트(14)에 일체로 고정된 바디(16); 및, 상기 회전샤프트(14)를 통하여 공급되는 공기를 탱크내에 커튼형태로 분사시키도록 상기 바디(16)를 따라 다수개가 일체로 관통 형성된 분사노즐구(1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재 운송라인의 침전탱크내 수재미립자 제거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20)은,
    상기 회전샤프트(14)의 침전탱크(170) 돌출부(14b)에 연결되는 링크(22)들;
    상기 각각의 링크(22) 일측단부가 탱크 종방향으로 연결되는 연결아암(24); 및
    상기 연결아암(24)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탱크외벽에 수직 설치된 구동실린더 (26)와 연결되는 작동아암(28);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재 운송라인의 침전탱크내 수재미립자 제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컨베이어(34)는, 상기 침전탱크(170)의 바닥 일측과 상기 벨트컨베이어 배출로(32)에 각각 모터 구동토록 설치된 피동 및 구동스프로켓(36)(38)에 체결되어 구동스프로켓 구동시 무한궤도로 이동토록 설치되고,
    상기 브레이드(30)는 상기 이동하는 체인컨베이어(34)에 양측으로 신장되는 형태로 고정되어 탱크바닥의 누적 수재 미립자를 탱크외부로 제거토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재 운송라인의 침전탱크내 수재미립자 제거장치
KR1020030023324A 2003-04-14 2003-04-14 수재 운송라인의 침전탱크내 수재 미립자 제거장치 KR1009790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3324A KR100979009B1 (ko) 2003-04-14 2003-04-14 수재 운송라인의 침전탱크내 수재 미립자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3324A KR100979009B1 (ko) 2003-04-14 2003-04-14 수재 운송라인의 침전탱크내 수재 미립자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8889A KR20040088889A (ko) 2004-10-20
KR100979009B1 true KR100979009B1 (ko) 2010-08-30

Family

ID=37370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3324A KR100979009B1 (ko) 2003-04-14 2003-04-14 수재 운송라인의 침전탱크내 수재 미립자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90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522649C1 (ru) * 2013-03-11 2014-07-2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Ярослав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ранулирования и смешения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ых продуктов
KR101632476B1 (ko) * 2013-12-26 2016-06-21 주식회사 포스코 전기로 원료 이송설비용 퇴적물 제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41961U (ko) * 1974-05-10 1975-11-21
JPS6219292A (ja) 1985-07-08 1987-01-28 ア−ンスト レオポルド シユミツト タンク洗浄システム
JPS6288722A (ja) * 1985-10-15 1987-04-23 Sumitomo Heavy Ind Ltd 撒物清掃装置
JPH067884U (ja) * 1992-06-30 1994-02-01 株式会社スギノマシン タンク内面洗浄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41961U (ko) * 1974-05-10 1975-11-21
JPS6219292A (ja) 1985-07-08 1987-01-28 ア−ンスト レオポルド シユミツト タンク洗浄システム
JPS6288722A (ja) * 1985-10-15 1987-04-23 Sumitomo Heavy Ind Ltd 撒物清掃装置
JPH067884U (ja) * 1992-06-30 1994-02-01 株式会社スギノマシン タンク内面洗浄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8889A (ko) 2004-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54462B2 (ja) 沈砂池の集砂装置
CN208265832U (zh) 具有自动冲洗功能的侧向流沉淀池及水处理系统
CN106512494A (zh) 一种斜板沉淀池、斜板沉淀池的清洗方法及清洗装置
KR100979009B1 (ko) 수재 운송라인의 침전탱크내 수재 미립자 제거장치
KR100714092B1 (ko) 오폐수처리장용 침강유도기 및 이를 이용한 침사물 제거 장치
KR200417549Y1 (ko) 침사용 타공이송 컨베이어
KR200260031Y1 (ko) 종합수처리장치
JP4981734B2 (ja) 沈砂池
KR102347977B1 (ko) 우수처리장치
CN107626682B (zh) 高炉矿槽区域水清洗回收利用系统及其使用方法
CN217748427U (zh) 一种点胶固化炉上的输送带免拆装清洗结构
JP2000237507A (ja) し渣搬送方法
KR200420120Y1 (ko) 고압세척 및 절수 기능을 갖는 스크린용 세척수공급관
CN206857612U (zh) 斜皮带自动清洗装置
KR100303182B1 (ko) 침사지의 침사제거설비
JP2006068635A (ja) 洗浄装置
KR102662546B1 (ko) 침사이송용 고정형 특수 노즐구조체
JP6862018B2 (ja) 夾雑物除去スクリーン装置
KR20090099819A (ko) 잔토 강제 배출 세척기
CN216174966U (zh) 管道清洗装置
KR102651007B1 (ko) 침사이송용 고정형 특수 노즐구조체
JP2000024564A (ja) 塗装ラインのスカム処理装置
KR100822961B1 (ko) 비숍 배출수의 이물질 제거장치
KR20080097846A (ko) 수처리 시설의 침전물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JP2003112132A (ja) 洗浄水交換方法及び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