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9827B1 - 외발 겸용 자전거 - Google Patents

외발 겸용 자전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9827B1
KR100769827B1 KR1020060103296A KR20060103296A KR100769827B1 KR 100769827 B1 KR100769827 B1 KR 100769827B1 KR 1020060103296 A KR1020060103296 A KR 1020060103296A KR 20060103296 A KR20060103296 A KR 20060103296A KR 100769827 B1 KR100769827 B1 KR 1007698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addle
support
pedal
b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3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유은
Original Assignee
박유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유은 filed Critical 박유은
Priority to KR1020060103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98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9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98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3/00Cycles convertible to, or transformable into, other types of cycles or land vehicle
    • B62K13/08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00Uni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 B62K2015/001Frames adapted to be easily dismant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발 겸용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히는 두발자전거의 프레임을 분리시켜 외발자전거로 선택적으로 결합시켜 외발자전거와 두발자전거를 선택적으로 선택적으로 사용하도록, 초보자용의 핸들이 부착된 프레임지지대 하부에 바퀴지지대와 페달부를 마련하여 외발자전거를 처음 접하는 초보자들이 핸들을 잡고 페달을 밟으면서 몸의 중심을 잡도록 하여 초보자들도 간편하게 외발자전거의 감각을 익힐 수 있도록 하는 이점과, 상기 분리된 바퀴지지대의 상부에 안장을 마련하여 페달을 밟으면서 안장에 의해 중심을 잡을 수 있는 고수용의 외발자전거를 선택적으로 사용가능케 하므로, 두발자전거와 외발자전거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즉, 상기 프레임(2)을 분리하여 일측에 결속공(16)을 형성한 결속구(15)를 마련하고 타측에는 안장끼움관(43)을 형성하고 상기 안장끼움관(43)과 결속하는 안장지지대(41)를 하부에 형성한 안장(40)을 고정구(42)에 의해 고정하는 프레임(2)과, 앞바퀴()의 양측으로 걸림돌기(22)와 나사부(23)를 형성하고, 상기 앞바퀴()를 고정하며 일측에 끼움관(21)을 형성한 바퀴지지대(20)와, 상기 페달부(30)에는 페달(33)을 일측에 회전가능케 마련하고 타측에는 상기 걸림돌기(22)와 결속하는 걸림공(32)을 형성한 페달고정구(31)와, 상기 프레임(2)의 결속구(15)를 수용하는 결속부(11)를 내부에 마련하고 하부에는 바퀴지지대(20)의 끼움관(21)과 결속하여 결 속레버(13)에 의해 고정하고, 상부에는 통공(12)을 형성한 프레임지지대(10)를 형성하여, 고정레버(51)를 일측에 마련한 나사고정축(50)을 상기 프레임지지대(10)의 통공(12)을 거쳐 프레임지지대(10)의 결속부(11)에 마련된 프레임(2)의 결속공(16)을 거쳐 바퀴지지대(20)의 끼움관(21)과 고정가능케 하는 것이다.
자전거, 프레임, 외발자전거, 프레임지지대, 결속부, 페달부, 안장

Description

외발 겸용 자전거{One foot a combined bicycle}
도 1은 본 발명의 적용된 예시도
도 2,3는 본 발명의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5,6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7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8는 본 발명의 요부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자전거 2 : 프레임
3 : 앞바퀴 4 : 뒷바퀴
5 : 핸들 6 : 외발자전거
10 : 프레임지지대 11 : 결속부
12 : 통공 13 : 결속레버
14 : 끼움공 15 : 결속구
16 : 결속공 20 : 바퀴지지대
21 : 끼움관 22 : 걸림돌기
23 : 나사부 30 : 페달부
31 : 페달고정구 32 : 걸림공
33 : 페달 34 : 너트
40 : 안장 41 : 안장지지대
42 : 고정구 43 : 안장끼움관
50 : 나사고정축 51 : 고정레버
본 발명은 외발 겸용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히는 두발자전거의 프레임을 분리시켜 외발자전거로 선택적으로 결합시켜 외발자전거와 두발자전거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외발자전거는 폐달이 구비된 바퀴와 안장이 구비된 지지대를 결합된 것으로서, 이는 고도로 숙련된 사람, 즉 대중 앞에서 공연을 하는 곡예사들에게만 사용되고 있는 실정으로 이와 같은 외발자전거는 특히 어린이들에게 호기심만을 불러 일으킬 뿐 숙련된 사람 외에는 위험이 있어 대중화되지 못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외바퀴 자전거는 핸들이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 에 탑승시에 중심을 잡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있는 것임은 물론 그 탑승 방법을 습득하는 데에도 상상한 위험이 따르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이유에 의해 종래의 외바퀴 자전거는 아직 일반인들에게는 레져나 스포츠기구로서 널리 애용되고 있지는 못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일반적인 두발자전거는 2개의 바퀴를 앞, 뒤로 구비하여 앞바퀴를 피동축과 뒷바퀴를 구동축으로 마련하고 상기 피동축과 구동축은 체인으로 연결하여 운전자가 페달을 밟아 발생되는 동력으로 구동축을 회전시켜 체인에 의해 피동축으로 연결하여 두바퀴를 회전하면서 전진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두바퀴 자전거는 여러번의 연습을 통해 탑승시 중심을 잡을 수 있게 되고, 중심이 잡힌 상태에서는 페달을 밟아 동력을 뒷바퀴에 전달하여 전달된 동력에 비례하는 속도로 주행할 수 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두발자전거는 페달을 밟아 동력을 발생시켜 전진하는 것으로, 신체의 건강증진에 도움을 주었으나, 외발자전거의 스릴이나, 곡예의 기술을 제공할 수 없어 외발자전거에 관심이 있는 사람은 별도의 외발자전거를 구입하여 연습하여야 하므로 외발자전거와 두발자전거를 별도로 보관 및 취급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위와 같이 외발자전거를 어느 특정인에게만 사용이 한정되지 않고 대중화시켜 널리 사용될 수 있도록, 두발자전거의 프레임을 분리시켜 탈착가능케 하여 앞바퀴에 안장과 페달을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외발자전거와 두발자전거를 동시에 겸할 수 있도록 하여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외발 겸용 자전거를 발명한 것인데,
이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으로는 프레임(2)의 하부 양측에 앞,뒷바퀴(3)(4)와 페달부(30)를 마련하고 프레임(2) 상부에는 안장(40)과 핸들(5)을 마련하는 자전거(1)에 있어서,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2)을 분리하여 일측에 결속공(16)을 형성한 결속구(15)를 마련하고 타측에는 안장끼움관(43)을 형성하고 상기 안장끼움관(43)과 결속하는 안장지지대(41)를 하부에 형성한 안장(40)을 고정구(42)에 의해 고정하는 프레임(2)과,
앞바퀴(3)의 양측으로 걸림돌기(22)와 나사부(23)를 형성하고, 상기 앞바퀴(3)를 고정하며 일측에 끼움관(21)을 형성한 바퀴지지대(20)와,
상기 페달부(30)에는 페달(33)을 일측에 회전가능케 마련하고 타측에는 상기 걸림돌기(22)와 결속하는 걸림공(32)을 형성한 페달고정구(31)와,
상기 프레임(2)의 결속구(15)를 수용하는 결속부(11)를 내부에 마련하고 하부에는 끼움공(14)을 형성하여 바퀴지지대(20)의 끼움관(21)과 결속하여 결속레버(13)에 의해 고정하고, 상부에는 통공(12)을 형성한 프레임지지대(10)를 형성하여, 고정레버(51)를 일측에 마련한 나사고정축(50)을 상기 프레임지지대(10)의 통공(12)을 거쳐 프레임지지대(10)의 결속부(11)에 마련된 프레임(2)의 결속공(16)을 거쳐 바퀴지지대(20)의 끼움관(21)과 고정가능케 하는 것이다.
상기 안장(40)의 하부에 형성한 안장지지대(41)에는 나사부(23)를 형성하여 안장끼움관(43)과 체결하여 고정구(42)에 의해 높이를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구성은 앞바퀴(3)를 피동축과 뒷바퀴(4)를 구동축으로 마련하고 상기 피동축과 구동축은 체인으로 연결하여 운전자가 구동축에 연결된 페달(33)을 밟아 발생되는 동력으로 구동축을 회전시켜 체인에 의해 피동축으로 연결하여 앞,뒷바퀴(3)(4)를 회전시켜 전진하게 하는 두발 자전거(1)의 결합구조이다.
그러나, 이러한 두발 자전거(1)의 사용하다가 외발자전거(6)의 스릴이나 곡예등의 즐거움을 만킥하기 위해 외발자전거(6)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레버(51)를 열어 나사고정축(50)을 바퀴지지대(20)의 끼움 관(21)과 분리시키면 상기 프레임(2)의 결속구(15)는 프레임지지대(10)의 결속부(11)에서 분리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지지대(10)에서 프레임(2)을 분리시킨 후 핸들(5)이 마련된 프레임지지대(10)의 하부에 마련된 끼움공(14)과 바퀴지지대(20)의 끼움관(21)을 나사고정축(50)으로 삽입시켜 고정레버(51)에 의해 고정하게 하고, 상기 앞바퀴(3)의 걸림돌기(22)에는 통상의 페달부(30)인 페달고정구(31)의 걸림공(32)을 삽입하여 너트(34)로 고정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외발자전거(6)는 상부에 핸들(5)을 마련하고 하부에는 페달부(30)를 마련하므로, 초보자가 외발자전거(6)의 안장(40)에 앉아 페달(33)을 밟으면서 중심 잡기에는 상당히 어려움이 있어, 그 중심 잡는 감각을 익히기 위해 핸들(5)을 마련하여 초보자가 핸들(5)을 잡고 페달(33)을 밟으면서 중심을 잡도록 하여 초보자가 쉽게 외발자전거(6)의 감각을 익힐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두발자전거를 타다가 또는 초보자가 어느정도 외발자전거(6)의 중심잡는 감각을 익히게 되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레버(51)를 열어 나사고정축(50)을 분리시켜 프레임지지대(10)의 결속부(11)에서 프레임(2)의 결속구(15)를 분리시켜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앞바퀴(3)를 고정하는 바퀴지지대(20)의 끼움관(21)에 상기 안장지지대(41)를 형성한 안장(40)을 삽입하여 높낮이를 맞 추어 고정구(42)에 의해 고정가능케 하고,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앞바퀴(3)의 걸림돌기(22)에 페달고정구(31)의 걸림공(32)을 삽입시켜 너트(34)로 고정하게 하면 앞바퀴(3) 위에 안장(40)을 마련하여 고수 또는 숙련자가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숙련도에 따라 나눠지는 초보자용 또는 고수용인 핸들(5)이나 안장(40)을 상부에 마련한 외발자전거를 다시 두발 자전거로 결합하여 사용하고자 할 시에는 앞바퀴(3)의 바퀴지지대(20)의 상부에 고정된 프레임지지대(10) 및 안장(40)과 페달부(30)를 분리시키고 상기 프레임(2)의 결속구(15)를 프레임지지대(10)의 결속부(11)에 위치시켜 나사고정축(50)으로 바퀴지지대(20)의 끼움관(21)과 고정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두발자전거의 프레임을 분리시켜 외발자전거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도록, 초보자용의 핸들이 부착된 프레임지지대 하부에 바퀴지지대와 페달부를 마련하여 외발자전거를 처음 접하는 초보자들이 핸들을 잡고 페달을 밟으면서 몸의 중심을 잡도록 하여 초보자들도 간편하게 외발자전거의 감각을 익힐 수 있도록 하는 이점과, 상기 분리된 바퀴지지대의 상부에 안장을 마련하여 페달을 밟으면서 안장에 의해 중심을 잡을 수 있는 고수용의 외발자전거를 선택적으로 사용가능케 하므로, 두발자전거와 외발자전거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아 도 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프레임(2)의 하부 양측에 앞,뒷바퀴(3)(4)와 페달부(30)를 마련하고 프레임(2) 상부에는 안장(40)과 핸들(5)을 마련하는 자전거(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을 분리하여 일측에 결속공(16)을 형성한 결속구(15)를 마련하고 타측에는 안장끼움관(43)을 형성하고 상기 안장끼움관(43)과 결속하는 안장지지대(41)를 하부에 형성한 안장(40)을 고정구(42)에 의해 고정하는 프레임(2)과,
    앞바퀴(3)의 양측으로 걸림돌기(22)와 나사부(23)를 형성하고, 상기 앞바퀴(3)를 고정하며 일측에 끼움관(21)을 형성한 바퀴지지대(20)와,
    상기 페달부(30)에는 페달(33)을 일측에 회전가능케 마련하고 타측에는 상기 걸림돌기(22)와 결속하는 걸림공(32)을 형성한 페달고정구(31)와,
    상기 프레임(2)의 결속구(15)를 수용하는 결속부(11)를 내부에 마련하고 하부에는 바퀴지지대(20)의 끼움관(21)과 결속하여 결속레버(13)에 의해 고정하고, 상부에는 통공(12)을 형성한 프레임지지대(10)를 형성하여, 고정레버(51)를 일측에 마련한 나사고정축(50)을 상기 프레임지지대(10)의 통공(12)을 거쳐 프레임지지대(10)의 결속부(11)에 마련된 프레임(2)의 결속공(16)을 거쳐 바퀴지지대(20)의 끼움관(21)과 고정가능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발 겸용 자전거.
KR1020060103296A 2006-10-24 2006-10-24 외발 겸용 자전거 KR1007698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3296A KR100769827B1 (ko) 2006-10-24 2006-10-24 외발 겸용 자전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3296A KR100769827B1 (ko) 2006-10-24 2006-10-24 외발 겸용 자전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9827B1 true KR100769827B1 (ko) 2007-10-23

Family

ID=38815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3296A KR100769827B1 (ko) 2006-10-24 2006-10-24 외발 겸용 자전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98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93178A2 (ko) * 2009-02-11 2010-08-19 Choi Eui Jeong 자전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06381A (ja) 1982-12-08 1984-06-20 木村 政司 一輪車の練習用車
JPS60144587U (ja) 1984-03-06 1985-09-25 宮本 義重 一輪自転車
JPH01144188U (ko) * 1988-03-30 1989-10-03
JPH05116666A (ja) * 1991-10-28 1993-05-14 Bungo Otani 形状変換自転車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06381A (ja) 1982-12-08 1984-06-20 木村 政司 一輪車の練習用車
JPS60144587U (ja) 1984-03-06 1985-09-25 宮本 義重 一輪自転車
JPH01144188U (ko) * 1988-03-30 1989-10-03
JPH05116666A (ja) * 1991-10-28 1993-05-14 Bungo Otani 形状変換自転車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93178A2 (ko) * 2009-02-11 2010-08-19 Choi Eui Jeong 자전거
WO2010093178A3 (ko) * 2009-02-11 2010-11-11 Choi Eui Jeong 자전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75162A (en) Swingable skateboard
TWI428163B (zh) 使得使用者能夠進行模擬騎乘腳踏車之健身運動的裝置及方法
TWI469809B (zh) 用於使用多元件負載分散以進行模擬騎乘腳踏車之健身運動的裝置及方法
US6581494B2 (en) Bicycle riding trainer
KR101564841B1 (ko) 수영 연습 및 수영 동작 자전거
KR100742999B1 (ko) 승마형 자전거
US3954283A (en) Tandem tricycle
KR100769827B1 (ko) 외발 겸용 자전거
US20040201199A1 (en) Learning-aid bicycle
US4523770A (en) Roller bicycle
TWM511880U (zh) 能維持運動器材之踩踏動能的傳動機構
US20140274582A1 (en) Training Equipment with Alternative Assembly Modules
KR100768964B1 (ko) 기립식 운동용 소형자전거
KR200384072Y1 (ko) 자전거의 견인장치
US20040070165A1 (en) Learning-aid bicycle
KR20220163705A (ko) 보조바퀴가 구비된 전동 킥보드
KR20090011620U (ko) 이륜겸용 삼륜자전거
US20040036247A1 (en) Method of motion transmission and a wheeled vehicle driven by this method
KR200484192Y1 (ko) 상, 하체운동이 가능한 자전거
US20070284843A1 (en) Fork for simultaneously hand-pedaled and foot-pedaled therapeutic tricycle
KR20070080633A (ko) 인라인자전거
CN211281287U (zh) 多用途自行车
GB2410727A (en) Human powered vehicle or exercise machine
KR20110101953A (ko) 트리서클 킥보드
JP2003312562A (ja) 走行練習用自転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