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6447B1 - 텐트폴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텐트폴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6447B1
KR100766447B1 KR1020050015287A KR20050015287A KR100766447B1 KR 100766447 B1 KR100766447 B1 KR 100766447B1 KR 1020050015287 A KR1020050015287 A KR 1020050015287A KR 20050015287 A KR20050015287 A KR 20050015287A KR 100766447 B1 KR100766447 B1 KR 1007664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tent
tent pole
connecting pipe
expa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5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4261A (ko
Inventor
라제건
Original Assignee
라제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제건 filed Critical 라제건
Priority to KR1020050015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6447B1/ko
Priority to US11/245,198 priority patent/US20060185705A1/en
Priority to DE102005048271A priority patent/DE102005048271B4/de
Publication of KR20060094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42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6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64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0Po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텐트폴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텐트폴 연결장치는 한 쌍의 텐트폴을 서로 연결하는 경우에, 일단부는 일측 텐트폴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가지며 타단부는 상기 일단부에 비하여 확장된 직경을 가지는 확관부를 형성하는 제1연결관을 포함하고, 상기 일단부에는 상기 일측 텐트폴의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확관부에는 타측 텐트폴의 단부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텐트폴 연결장치에 의하면, 텐트폴의 무게를 감소시키고, 텐트폴 연결장치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텐트폴, FRP, 카본, 연결관, 확관부, 축관부

Description

텐트폴 연결장치 {Apparatus of connecting tent poles}
도 1은 종래의 텐트폴의 연결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텐트폴의 연결장치에 휨응력이 걸린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텐트폴의 연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이고(도 3에는 제1연결관과 제2연결관이 연결되지 않았으나, 도 4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연결된 상태로 도시함.),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텐트폴 연결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6 및 도 7은 재질이 서로 틀린 텐트폴들을 연결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텐트폴 연결장치들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16, 22, 26, 42, 52...FRP 텐트폴 13, 23, 43, 53...제1연결관
17, 27...제2연결관 14, 24, 44, 54...확관부
18...축관부 30, 48, 58...제3연결관
본 발명은 텐트폴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FRP(Fiber Reinforced Plastic) 텐트폴을 연결관에 의해 서로 연결하는 경우에 FRP 텐트폴의 무게를 감소시키면서 FRP 텐트폴의 연결부위의 취약성을 극복하고, FRP 텐트폴의 절단면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텐트폴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텐트는 사용자가 캠핑 또는 야외에서 임시로 거처할 수 있도록 방수천과 다수개의 폴로 구성되어 있고, 이러한 폴을 서로 조립하여 다양한 형태의 텐트를 형성하게 된다. 이경우, 상기 텐트폴은 방수천을 펼쳐서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골조로서, 대부분 원통형 파이프 형태로 제작되며, 고강도 알루미늄 튜브나 FRP 튜브로 제작된다. 고강도 알루미늄 튜브는 무게도 가볍고 외관도 수려하지만 가격이 비싸서 고급 텐트에 사용되고, FRP 튜브는 가격이 저렴하여 널리 사용된다.
도 1은 FRP 튜브로 이루어진 종래의 텐트폴의 연결장치를 나타낸다. 도면을 참조하면, 연결관(2)의 일단부에 어느 하나의 텐트폴(4)을 삽입하고, 접착제(8) 등에 의해 연결관(2)의 내부에 텐트폴(4)이 고정되도록 한다. 연결관(2)의 타단부에는 다른 텐트폴(6)을 삽입하여 텐트폴(4)(6)들이 연결관(2)에 의해 서로 연결되도록 한다. 텐트폴(4)(6)들은 탄발력이 매우 우수한 FRP로 제조되는데, 연결관(2)은 상대적으로 탄발력이 낮은 알루미늄이나 백동 등을 사용하여 제조한다.
서로 연결된 텐트폴(4)(6)들은 아치형으로 휘어져 텐트의 골조를 이루게 된 다. 이경우,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텐트폴(4)(6)의 연결부에 휨응력이 작용한다. 휨응력이 작용하면 화살표 A방향으로 하중이 걸리게 되어, 텐트폴(4)(6)과 맞닿는 연결관(2)의 양단부에서 파손이 자주 발생한다. 또한, FRP 텐트폴(4)(6)은 통상 인발성형법에 의해 제조를 하게 되는데, 제조공정에서 그의 외경의 칫수를 금속과 같이 정밀하게 제어하는 것이 곤란하다. 따라서, 연결관(2)과 FRP 텐트폴(4)(6)의 간격이 벌어질 수 밖에 없고, 이에 따라 화살표 A방향으로 하중이 더욱 많이 걸리게 되어 FRP 텐트폴(4)(6)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FRP는 유리섬유 등에 의해 플라스틱의 장력, 내충격성, 및 내식성을 보강한 복합소재인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FRP 텐트폴(4)(6)을 제조하기 위해 FRP를 절단하게 되면, FRP 절단면의 유리섬유가 노출되게 되어, 상기 유리섬유가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경우에 피부질환을 유발하는 여러가지 문제점을 수반하였다.
따라서, 전술한 종래의 여러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이루어져 왔으며, 이러한 기술적 배경하에서 본 발명이 개발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탄발력이 높은 고강도 알루미늄으로 제조된 연결관에 의해 FRP 텐트폴을 서로 연결시킴으로써, FRP 텐트폴의 연결부위의 파손을 방지하고, 연결된 텐트폴 전체의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FRP 텐트폴의 절단면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가 인체에 유해한 유리섬유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텐트폴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텐트폴 연결장치는, 한 쌍의 텐트폴들을 연결하는 경우에, 일단부는 일측 텐트폴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가지며, 타단부는 상기 일단부에 비하여 확장된 직경을 가지는 확관부를 형성하는 제1연결관을 포함하며, 상기 일단부에는 상기 일측 텐트폴의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확관부에는 타측 텐트폴의 단부가 연결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텐트폴 연결장치에서, 일단부는 상기 타측 텐트폴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가지며, 타단부는 상기 제1연결관의 확관부의 내경에 대응하도록 상기 일단부에 비하여 축소된 직경을 가지는 축관부를 형성하는 제2연결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연결관의 일단부에는 상기 타측 텐트폴의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축관부는 상기 제1연결관의 확관부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텐트폴 연결장치에서, 상기 일측 텐트폴은 상기 타측 텐트폴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일단부는 상기 타측 텐트폴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가지며, 타단부는 상기 제1연결관의 확관부와 동일한 직경을 가지도록 축소된 축관부를 형성하는 제2연결관; 및 양단이 상기 제1연결관의 확관부 및 상기 제2연결관의 축관부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3연결관을 더 포함한 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텐트폴 연결장치에서, 상기 텐트폴들은 서로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상기 타측 텐트폴의 단부에는 상기 제1연결관의 확관부와 동일한 직경을 가지도록 확장된 확관부가 형성되고, 양단이 상기 제1연결관의 확관부 및 상기 타측 텐트폴의 확관부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3연결관을 더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텐트폴 연결장치에서, 상기 일측 텐트폴은 상기 타측 텐트폴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타측 텐트폴의 단부에는 상기 제1연결관의 확관부와 동일한 직경을 가지도록 축소된 축관부가 형성되고, 양단이 상기 제1연결관의 확관부 및 상기 타측 텐트폴의 축관부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3연결관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연결관의 축관부가 상기 제1연결관의 확관부의 휨강성의 60%이상이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텐트폴은 FRP(Fiber Reinforced Plastic) 또는 카본(carbon)으로 제조되며,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관은 고강도 알루미늄으로 제조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텐트폴 연결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적절하 게 정의되었다. 따라서, 이들의 용어나 단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텐트폴의 연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에서는 제1연결관(13)과 제2연결관(17)이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도시했지만, 도 4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연결된 것으로 도시하였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텐트폴 연결장치에서는, 서로 연결되어야 할 한 쌍의 텐트폴(12)(16)의 서로 접하는 단부가 각각 제1연결관(13) 및 제2연결관(17)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제1연결관(13)은 일단부에 어느 하나의 텐트폴(12)의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고, 타단부에는 일단부보다 큰 직경을 갖는 확관부(14)가 형성된다. 제2연결관(17)은 일단부에 타 텐트폴(16)의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고, 타단부에는 제1연결관(12)의 확관부(14)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갖는 축관부(18)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2연결관(17)의 축관부(18)가 제1연결관(13)의 확관부(14)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텐트폴(12)(16)들은 가격이 저렴하고 무게도 가벼우며 휨강성이 우수한 재질로 제조하는데, 바람직하게 FRP(Fiber Reinforced Plastic) 또는 카본(carbon)을 사용하여 튜브형상으로 제조한다.
연결관(13)(17)은 종래 사용하던 연질의 알루미늄이나 백동과 같은 금속에 비해 내력이 높으면서도 탄발력이 우수한 재질을 사용하여 제조하며, 바람직하게 고강도 알루미늄으로 제조한다. 탄발력이 우수한 고강도 알루미늄으로 제조한 연결관(13)(17)을 사용하게 되면, 종래의 금속 연결관과 달리 텐트폴(12)(16)의 연결부에 휨응력이 작용하는 경우에 연결관(13)(17)의 단부에서 텐트폴(12)(16)에 작용하는 하중을 크게 줄일 수 있어서 텐트폴(12)(16)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튜브 형상에서 관성모멘트는 아래와 같은 수학식 1로 표현된다.
I=MR2
상기 수학식 1에서 I는 관성모멘트를 나타내면, M은 질량을 나타내고, R은 튜브내부의 반지름을 나타낸다. 튜브형상에서는 반지름이 커질수록 관성모멘트가 더욱 커지게 된다.
따라서, 확관부(14)가 형성된 연결관(13)은 직경이 커짐에 따라 확관되지 않은 연결관에 비해 관성모멘트가 증가하게 된다. 관성모멘트가 증가함에 따라 휨강성도 증가하게 되어, 확관부(14)가 형성된 연결관(13)에 의해 텐트폴(12)(16)들을 서로 연결하게 되면 텐트폴(12)(16)들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다시 살펴보면, 제1연결관(13)의 일단부에는 어느 하나의 텐트폴(12)의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고 타단부에 확관부(14)가 형성된다. 이경우, FRP로 제조한 텐트폴의 경우에는 외경을 정밀하게 제어하여 제조하는 것이 곤란하 므로, 제1연결관(13)과 텐트폴(12)의 간격은 0.2~0.3㎜ 정도로 유지하고, 간격을 접착제(15)로 채워서 제1연결관(13)의 내부에 텐트폴(12)을 견고하게 고정한다. 제1연결관(13)의 일단부는 삽입되는 텐트폴(12)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갖도록 제작되므로, 다양한 외경을 갖는 텐트폴(12)에 대해서 적절한 내경의 일단부를 구비하는 제1연결관(13)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연결관(17)은 제1연결관(13)과 반대로, 일단부에 타 텐트폴(16)의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고 타단부에 축관부(18)가 형성된다. 전술한 제1연결관(13)과 마찬가지로, 제2연결관(17)과 타 텐트폴(16)의 간격은 접착제(19)에 의해 채워져서 고정된다. 제2연결관(17)의 타단부는 타 텐트폴(16)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갖도록 제작된다.
텐트폴(12)(16)을 조립하여 서로 연결하는 경우에는, 제2연결관(17)의 축관부(18)를 제1연결관(13)의 확관부(14)에 삽입시켜 서로 연결시킨다. 제1연결관(13) 및 제2연결관(17)은 고강도 알루미늄으로 제조되므로, 더욱 높은 휨강성을 가지면서 얇게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1연결관(13)과 제2연결관(17)의 단부에 의해 각 텐트폴(12)(16)에 작용하는 하중을 줄일 수 있어 텐트폴(12)(16)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1연결관(13)과 제2연결관(17)을 더욱 얇게 만들 수 있으므로, 텐트폴(12)(16)의 무게를 줄일 수 있다. 제1연결관(13)의 확관부(14)와 제2연결관(17)의 축관부(18)의 간격은 0.1㎜ 정도로 유지하여, 용이하게 조립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방법에 의해 각 텐트폴(12)(16)을 조립하게 되면, 직경이 서로 틀린 텐 트폴(12)(16)을 연결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즉, 상기 텐트폴(12)(16)들의 직경이 서로 다른 경우에도 제1연결관(13)과 제2연결관(17)의 일단부 내경을 각 텐트폴(12)(16)의 외경에 대응하는 크기로 제조하게 되면, 제2연결관(17)의 축관부(18)를 제1연결관(13)의 확관부(14)에 삽입하여 텐트폴(12)(16)들을 서로 연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각 텐트폴(12)(16)의 단부에 연결관(13)(17)이 설치되므로 텐트폴(12)(16)의 절단면이 노출되지 않아, FRP로 텐트폴(12)(16)을 제조하더라도 사용자가 FRP 텐트폴 절단면의 유리섬유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라 서로 직경이 상이한 텐트폴들을 연결하는 연결장치를 나타낸다.
도 5의 실시예는 도 4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제1연결관(23)의 확관부(24)와 제2연결관(27)의 축관부(28)가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제3연결관(30)의 양단이 제1연결관(23)의 확관부(24)와 제2연결관(27)의 축관부(28)에 각각 삽입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하 이러한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서로 연결되어야 할 한 쌍의 텐트폴(22)(26)은 서로 상이한 직경을 갖는다. 제1연결관(23)의 일단부에는 직경이 작은 텐트폴(22)의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고, 타단부에는 일단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확관부(24)가 형성된다. 제2연결관(27)의 일단부에는 직경이 큰 텐트폴(26)의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고, 타단부에는 제1연결관(22)의 확관부(24)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축관부(28)가 형성된다. 제3연결관(30)의 양단은 상기 제1연결관(23)의 확관부(24)의 내경 및 제2연결관(27)의 축관부(28)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가지면서, 제1연결관(23)의 확관부(24) 및 제2연결관(27)의 축관부(28)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된다.
각 텐트폴(22)(26)과 제1연결관(23) 및 제2연결관(27)사이의 간격은 접착제로 채워지고, 접착제에 의해 각 텐트폴(22)(26)과 제1연결관(23) 및 제2연결관(27)이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 제1연결관(23)의 확관부(24)와 제2연결관(27)의 축관부(28)의 내경은 서로 일치하게 제조한다. 제3연결관(30)은 제1연결관(23)의 확관부(24)와 제2연결관(27)의 축관부(28)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을 가지거나, 바람직하게는 제3연결관(30)이 제1연결관(23)의 확관부(24) 및 제2연결관(27)의 축관부(28)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내경보다 0.1㎜ 이하의 작은 외경을 갖도록 제조한다.
제3연결관(30)의 양단은 제1연결관(23)의 확관부(24)와 제2연결관(27)의 축관부(28)에 각각 삽입된다. 제3연결관(30)은 제1연결관(23)의 확관부(24) 또는 제2연결관(27)의 축관부(28)에 삽입된 부분 중에 어느 한쪽에서 접착제(미도시)에 의해 고정된다.
한편,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2연결관(17)(27)의 축관부(18)(28)는 제1연결관(13)(23)의 확관부(14)(24)의 휨강성의 60%이상이 되도록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연결관(17)(27)의 축관부(18)(28)의 휨강성이 제1연결관(13)(23)의 확관부(14)(24)의 60%미만이 되면, 제2연결관(17)(27)과 제1연결관(13)(23)이 연결되어 휨응력이 작용하는 경우에 제2연결관(17)(27)의 축관부(18)(28)에서 파손 등의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도 6 및 도 7은 FRP 또는 카본으로 제조된 텐트폴(42)(52)과 그 외의 금속, 예를 들어 고강도 알루미늄 등으로 제조된 텐트폴(46)(56)들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장치를 나타낸다. 도 6은 서로 연결되어야 할 텐트폴(42)(46)의 직경이 같은 경우를 나타내고, 도 7은 직경이 서로 상이한 경우를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FRP 또는 카본으로 제조된 텐트폴(42)의 단부는 제1연결관(43)의 일단부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제1연결관(43)의 타단부에는 상기 일단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확관부(44)가 형성된다. 타 텐트폴(46)의 단부에는 제1연결관(43)의 확관부(44)와 동일한 직경을 갖는 확관부(47)가 형성된다. 제1연결관(43)의 확관부(44) 및 타 텐트폴(46)의 확관부(47)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갖는 제3연결관(48)의 양단이 제1연결관(43)의 확관부(44) 및 타 텐트폴(46)의 확관부(47)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된다.
제1연결관(43)은 접착제에 의해 텐트폴(42)과 견고하게 고정된다. 제3연결관(48)은 제1연결관(43)의 확관부(44) 및 타 텐트폴(46)의 확관부(47)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는다. 바람직하게, 제3연결관(48)은, 제1연결관(43)의 확관부(44) 및 타 텐트폴(46)의 확관부(47)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내경보다 0.1㎜ 이하의 작은 외경을 갖는다.
제3연결관(48)의 양단은 제1연결관(43)의 확관부(44)와 타 텐트폴(46)의 확관부(47)에 각각 삽입된다. 제3연결관(48)은 제1연결관(43)의 확관부(44) 또는 타 텐트폴(46)의 확관부(47)에 삽입된 부분 중에 어느 한쪽에서 접착제(미도시)에 의해 고정된다.
도 7은 서로 연결되어야 할 텐트폴(52)(56)들이 재질 및 직경이 서로 상이한 경우를 나타낸다.
도 7의 실시예는 도 6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타 텐트폴(56)의 단부에 축관부(57)가 형성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하 이러한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서로 연결되어야 할 한 쌍의 텐트폴(52)(56)은 서로 상이한 직경을 갖는다. 직경이 작은 FRP 또는 카본으로 제조된 텐트폴(52)의 단부는 제1연결관(53)의 일단부에 삽입되어 접착제 등에 의해 고정된다. 제1연결관(53)의 타단부에는 일단부보다 큰 직경을 갖는 확관부(54)가 형성된다. 직경이 큰 텐트폴(56)의 단부에는 제1연결관(53)의 확관부(54)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축관부(57)가 형성된다. 제1연결관(53)의 확관부(54) 및 타 텐트폴(56)의 축관부(57)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갖는 제3연결관(58)의 양단이 제1연결관(53)의 확관부(54) 및 타 텐트폴(56)의 축관부(57)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텐트폴 연결장치에 의하면, 내력 및 탄발력이 우수한 고강도 알루미늄으로 제조한 연결관에 의해 텐트폴들을 서로 연결함으로써, 연결관에 휨응력이 작용하더라도 연결관의 파손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연질 알루미늄이나 백동과 달리, 고강도 알루미늄으로 연결관을 제조함으로써, 내력 및 탄발력을 유지하면서도 두께를 얇게 만드는 것이 가능하여, 텐트폴 전체의 무게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텐트폴의 양단부에 연결관을 설치하여 텐트폴의 절단면이 노출되지 않게 함으로써, FRP를 사용하여 텐트폴을 제조한 경우에도 사용자가 FRP 텐트폴 절단면의 유리섬유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연결관의 내경 치수를 달리하여, 재질 및 외경이 서로 틀린 텐트폴들을 연결하여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8)

  1. 삭제
  2. 한 쌍의 텐트폴들을 연결하는 연결장치로서,
    일단부는 일측 텐트폴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가지며, 타단부는 상기 일단부에 비하여 확장된 내경을 가지는 확관부를 형성하는 제1연결관과,
    일단부는 타측 텐트폴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가지며, 타단부는 상기 제1연결관의 확관부의 내경에 대응하도록 상기 일단부에 비하여 축소된 외경을 가지는 축관부를 형성하는 제2연결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관의 일단부에는 상기 일측 텐트폴의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제2연결관의 일단부에는 상기 타측 텐트폴의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제2연결관의 축관부는 상기 제1연결관의 확관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폴 연결장치.
  3. 한 쌍의 텐트폴들을 연결하는 연결장치로서,
    일단부는 일측 텐트폴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가지며, 타단부는 상기 일단부에 비하여 확장된 내경을 가지는 확관부를 형성하는 제1연결관을 포함하며,
    상기 일단부에는 상기 일측 텐트폴의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확관부에는 타측 텐트폴의 단부가 연결되며,
    상기 일측 텐트폴은 상기 타측 텐트폴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일단부는 상기 타측 텐트폴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가지며, 타단부는 상기 제1연결관의 확관부와 동일한 직경을 가지도록 축소된 축관부를 형성하는 제2연결관; 및
    양단이 상기 제1연결관의 확관부 및 상기 제2연결관의 축관부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3연결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폴 연결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관의 축관부는 상기 제1연결관의 확관부의 휨강성의 60%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폴 연결장치.
  7.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텐트폴 중 어느 하나는 FRP(Fiber Reinforced Plastic) 또는 카본(carbon)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폴 연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연결관은 고강도 알루미늄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폴 연결장치.
KR1020050015287A 2005-02-24 2005-02-24 텐트폴 연결장치 KR1007664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5287A KR100766447B1 (ko) 2005-02-24 2005-02-24 텐트폴 연결장치
US11/245,198 US20060185705A1 (en) 2005-02-24 2005-10-07 Connecting device of tent poles
DE102005048271A DE102005048271B4 (de) 2005-02-24 2005-10-08 Verbindungsvorrichtung für Zeltstang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5287A KR100766447B1 (ko) 2005-02-24 2005-02-24 텐트폴 연결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4978U Division KR200383944Y1 (ko) 2005-02-24 2005-02-24 텐트폴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4261A KR20060094261A (ko) 2006-08-29
KR100766447B1 true KR100766447B1 (ko) 2007-10-18

Family

ID=36848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5287A KR100766447B1 (ko) 2005-02-24 2005-02-24 텐트폴 연결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60185705A1 (ko)
KR (1) KR100766447B1 (ko)
DE (1) DE102005048271B4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741Y1 (ko) 2008-05-29 2010-05-12 (주)에이치앤에이치파트너스 접이식 모기장의 접이결속구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20291A1 (de) * 2005-04-30 2007-01-04 Jeh-Kun Lah Verbindungsstruktur für Zeltstangen
DE102010001479A1 (de) * 2010-02-02 2011-08-04 Rieter Ingolstadt GmbH, 85055 Fadenführerstange und Kupplungselement für eine Fadenführerstange
DE102014218637A1 (de) * 2014-09-17 2016-03-17 Bombardier Transportation Gmbh Haltestangensystem für Personentransport-Fahrzeuge
WO2017218357A1 (en) * 2016-06-13 2017-12-21 Kurani Hemant Adaptable net
US10787836B2 (en) 2018-07-20 2020-09-29 Dong-In Entech Co., Ltd. Tent po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7490B1 (ko) * 1994-03-15 1996-06-05 동아알루미늄 주식회사 텐트용 폴 제조방법 및 그 구조
KR100217233B1 (ko) 1997-06-10 1999-09-01 이윤복 원터치형 텐트의 관절모울드를 파이프에 성형시키는 방법 및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52820A (en) * 1960-07-29 1964-10-13 Giampa Joseph Ferrule for fishing rods
DE1871814U (de) * 1963-01-16 1963-05-09 Fritz Haack Anordnung zur gewindelosen verbindung fester rohrleitungen, -gelaender oder -traggerueste.
US5584311A (en) * 1995-09-25 1996-12-17 Schaefer; Gary Self-supported tent frame coupler
JP3122941B2 (ja) * 1997-11-13 2001-01-09 甲府方 幾子 折畳み式テント
KR200182863Y1 (ko) * 1999-12-27 2000-05-15 라제건 텐트폴의 연결구조
US6382223B1 (en) * 2000-11-27 2002-05-07 Lah Jeh-Kun Featherlite tent pole
US7226235B2 (en) * 2004-07-26 2007-06-05 Terry Conway Joint for joining two coaxial shaft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7490B1 (ko) * 1994-03-15 1996-06-05 동아알루미늄 주식회사 텐트용 폴 제조방법 및 그 구조
KR100217233B1 (ko) 1997-06-10 1999-09-01 이윤복 원터치형 텐트의 관절모울드를 파이프에 성형시키는 방법 및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741Y1 (ko) 2008-05-29 2010-05-12 (주)에이치앤에이치파트너스 접이식 모기장의 접이결속구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185705A1 (en) 2006-08-24
DE102005048271A1 (de) 2006-09-07
KR20060094261A (ko) 2006-08-29
DE102005048271B4 (de) 2009-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6447B1 (ko) 텐트폴 연결장치
KR200383944Y1 (ko) 텐트폴 연결장치
KR200400494Y1 (ko) 텐트용 폴대 연결부재
KR101035640B1 (ko) 관체의 교차부위 고정장치
KR200304809Y1 (ko) 텐트용 폴의 연결대 구조
US10787836B2 (en) Tent pole
KR200400475Y1 (ko) 텐트폴 연결구조
JP3084894U (ja) フレキシブルホース
KR101100935B1 (ko) 파이프 벤딩용 맨드릴
KR200267965Y1 (ko) 텐트폴의 연결구조
KR20170023453A (ko) 노출형 텐트 아답터, 노출형 텐트 튜브, 노출형 텐트 프레임, 노출형 텐트 및 노출형 텐트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
KR200383554Y1 (ko) 파이프와, 이를 사용한 텐트폴 및 지팡이
JP3489923B2 (ja) 継式釣竿
US20230130809A1 (en) Tensile rod and bracket
KR100377528B1 (ko) 텐트 프레임의 폴 조립체
KR19980033571U (ko) 이중강화 파이프
JP3081758U (ja) ジョイントパイプ
KR20000010883U (ko) 텐트용 폴
GB2264863A (en) Umbrella rib reinforcement
KR19990033759U (ko) 낚시대용로드의보강구조
KR200344326Y1 (ko) 텐트폴 및 이를 구비하는 텐트
US20100053779A1 (en) Digital presenter using gooseneck
JP2021126436A (ja) 板コイル付きチューブ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356508Y1 (ko) 보강구조를 가지는 텐트폴
JP3121099U (ja) 折りたたみ式旗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