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0883U - 텐트용 폴 - Google Patents

텐트용 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0883U
KR20000010883U KR2019980023329U KR19980023329U KR20000010883U KR 20000010883 U KR20000010883 U KR 20000010883U KR 2019980023329 U KR2019980023329 U KR 2019980023329U KR 19980023329 U KR19980023329 U KR 19980023329U KR 20000010883 U KR20000010883 U KR 2000001088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inertia
moment
main pole
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33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25982Y1 (ko
Inventor
라제건
Original Assignee
라제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제건 filed Critical 라제건
Priority to KR20199800233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5982Y1/ko
Publication of KR200000108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08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59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5982Y1/ko

Links

Landscapes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텐트용 폴에 관한 것으로, 메인 폴의 일측부위에는 이 메인 폴의 관성모멘트(I1)를 기준으로 하여 축관부의 관성모멘트(I2)가 70%∼85%의 범위를 갖는 상태로 일정길이 만큼 축관되어 있고, 이 축관부가 삽입.결합되는 서브 폴의 일정부위에는 확관부가 형성된 구조로 하여, 보다 견고한 상태로 지지하면서, 텐트 폴의 소형화 및 초경량화를 실현하도록 하고, 아울러 메인 폴과 서브 폴 간에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텐트용 폴
본 고안은 텐트용 폴(pole for tent)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축관부의 관성모멘트가 메인 폴의 관성모멘트를 기준으로 하여 70%∼85%가 되는 범위로 축관부를 일정길이 만큼 일체로 축관시키고, 이 축관부가 삽입.결합되는 서브 폴의 일정부위에는 확관부를 형성하여, 보다 견고한 상태로 지지하면서, 소형화 및 초경량화를 실현하도록 하며, 아울러 메인 폴과 서브 폴간에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텐트는 사용자가 캠핑 혹은 야외에서 간의적으로 거처할 수 있도록 방수성 천과 다수개의 메인 폴 및 서브 폴로 이루어진 텐트 폴을 상호 대응 조립하여 하나의 골조로 지지 혹은 지탱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텐트 폴은 첨부된 예시도면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폴(10)의 일측 내면에는 일정길이를 갖는 별도의 연결대(12)를 일부 삽입시켜 접착재나 프레스를 사용하여 내면에 밀착되는 상태로 위치.고정시키고, 이 연결대(12)의 인출된 부분을 서브 폴(14)의 내부에 삽입하여 상호 연결시키게 되는데, 여기서 상기 연결부위에 대한 강도를 조절하고자 할 경우에는 메인 폴(10)의 구조상 연결대(12)의 외경을 크게하기가 불가능함으로써, 결국 연결대(12)의 두께를 가변적으로 설정하여 가장 적합한 강도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메인 폴(10)은 사용자가 간편한 휴대를 위하여 텐트 폴(16)에 대한 길이를 소형화하고자, 총길이가 같은 폴에서 하나의 각 마디에 대한 길이를 짧게 형성할 경우, 각 마디의 갯수에 따라 부착.고정되는 연결대(12)의 갯수가 증가하게 되고, 이와 같이 각 마디의 길이를 초소형화 할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늘어나는 마디의 갯수에 따라 부착.고정되는 연결대(12)로 인하여 텐트 폴(16)의 중량이 급속도로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연결대(12)를 메인 폴(10)의 내면에 위치 고정되도록 하고자 접착재 혹은 별도의 위치 고정용 프레스를 사용할 경우, 우선 전자는 간혹 접착불량으로 연결대(12)가 이탈되는 경우를 배제 할 수 없고, 후자는 자칫 프레스의 압압력이 변화되면, 메인 폴(10)의 연결부위가 깨지는 불량률이 간혹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이 메인 폴(10) 연결대(12)의 중량 및 제작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폴(20)의 일정부위를 일체로 축관시킨 축관부(22)를 형성시키고, 이 축관부(22)를 이와 대응 결합되는 서브 폴(24)의 내부에 삽입시키게 되는데, 이때 사용자가 간편한 휴대를 위하여 텐트 폴(26)에 대한 길이를 소형화하고자 총길이가 같은 폴에서 하나의 각 마디에 대한 길이를 짧게 형성할 경우, 각 마디의 갯수에 따라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로 부착.고정되는 연결대(12)가 제거되고, 서로 연결되어 겹치는 축관부(22)의 길이가 연결대(12)의 길이에 비해 절반으로 줄어들어, 결국 연결대(12)에 비해 줄어든 만큼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어, 구조적으로 초소형화 및 초경량화를 실현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이와같은 경우 축관부(22) 부위의 강도를 증가시키고자 상기 연결대(12)와 같이 두께를 가변적으로 조절하기가 불가능함으로써, 결국 축관부(22) 부위의 관성모멘트는 메인 폴(20)의 관성모멘트에 비해 낮아 축관부(22)의 부위가 항상 먼저 부러지는 문제가 있으며, 아울러 메인 폴(20)의 축관부(22)를 서브 폴(24)의 내부에 삽입.결합시, 이 축관부(22)의 테이퍼(28)진 부분이 서브 폴(24)에 박혀 메인 폴(20)과 서브 폴(24)간에 신속.용이한 분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메인 폴에 대하여 축관부를 이상적으로 축관시켜 보다 견고한 상태로 지지하면서, 소형화 및 초경량화를 실현하도록 하며, 아울러 메인 폴과 서브 폴간에 분리를 용이하게 하도록 한 텐트용 폴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메인 폴과 서브 폴로 이루어진 텐트용 폴에 있어서, 상기 메인 폴의 일측부위에는 이 메인 폴의 관성모멘트를 기준으로 하여 축관부의 관성모멘트가 70%∼85%의 범위를 갖는 상태로 일정길이를 만큼 축관되어 있고, 이 축관부가 용이하게 삽입.결합되도록 서브 폴의 일정부위에는 확관부가 형성된 구조로서, 축관부를 이상적으로 설계하여 보다 견고한 상태로 지지하면서, 텐트 폴의 소형화 및 초경량화를 할 수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도 1(a)은 종래의 텐트용 폴을 나타낸 단면도
(b)는 텐트용 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2은 본 고안의 텐트용 폴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3는 도 2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텐트용 폴의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20,30 : 메인 폴 12 : 연결대
14,24,34 : 서브 폴 16,26 : 텐트 폴
22,32 : 축관부 28,38 : 테이퍼
36 : 확관부 40 : 스톱퍼
첨부된 예시도면 도 2 내지 도 4는 본 고안의 텐트용 폴을 나타낸 도면인 바, 첨부된 예시도면 도 1과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부품을 표시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도 1과 상이한 점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예시도면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메인 폴(30)의 축관부(32)를 가장 이상적으로 설계하기 위해서는 구조상 축관부(32)의 두께(t)를 늘릴수는 없으므로 이 축관부(32)의 관성모멘트(I2)가 메인 폴(30)의 관성모멘트(I1)를 기준으로 하여 70%∼85%가 되는 범위에 이르도록 축관부(32)의 외경(D2)을 설정하여 축관시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메인 폴(30)의 관성모멘트(I1)를 기준으로 하여 70%∼85%범위에 이르도록 축관부(32)를 이상적으로 축관시키고자 할 경우, 예를들어 메인 폴(30)의 외경(D1)을 8.8mm, 내경(d1)을 7.6mm, 메인 폴(30)의 두께(T)를 0.6mm,로 정하고, 이에 대한 관성모멘트(I1)를 아래와 같은 수학식 1을 이용하여 그 값을 먼저 구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수학식 1을 이용한 메인 폴(30)의 관성모멘트(I1)는 130.5mm4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메인 폴(30)의 관성모멘트(I1)를 계산한 상태에서 축관부(32)의 관성모멘트(I2)를 아래와 같은 수학식 2를 이용하여 그 값을 구하고, 표 2에 나타내기로 한다.
메인 폴(30)의 관성모멘트(I1) 130.5mm4대한 축관부(32)의 관성모멘트(I2) (단 축관부(32)의 두께(t)는 늘릴수 없으므로 두께(t)는 메인 폴(30)의 두께(T)와 동일한 0.6mm이다)
축관부외경(D2)mm 축관부내경(d2)mm 축관부관성모멘트(I2)mm4 I1에 대한 I2비율(%)
7.5 6.3 77.8 60
7.7 6.5 84.8 65
7.9 6.7 92.1 70
8.1 6.9 99.9 77
8.3 7.1 108.0 83
8.5 7.3 116.6 90
따라서,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메인 폴(30)의 관성모멘트(I1)에 대하여 70%∼85%의 범위에 이르는 가장 이상적인 축관부(32)의 외경(D2)을 7.9mm∼8.3mm로 형성하여, 연결부위에 대한 가장 적합한 강도를 형성시켜, 축관부(32) 부분의 깨짐 및 파손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예컨데, 상기 메인 폴(30)의 관성모멘트(I1)에 대하여 70%이하나 85%이상의 범위로 축관부(32)를 형성할 경우에는, 이 축관부(32)의 강도가 약해지거나 강하게 형성되어 축관부(32)를 이루는 범위에서 부러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축관부(32)와 대응하여 삽입.결합되는 서브 폴(34)의 일측에는 일정길 만큼 확관부(36)가 형성되어 있고, 이 확관부(36)의 내면에는 축관부(32)의 테이퍼(38)진 부분이 확관부(36)에 박혀 상호 분리되지 못하는 점을 방지하고자, 플라스틱재질로 이루어진 스톱퍼(40)가 억지끼움방식으로 위치.고정되어 있어서, 상기 축관부(32)를 확관부(36)에 삽입시키게 되면, 축관부(32)의 측단면이 스톱퍼(40)의 대응면에 밀착되어 더 이상의 삽입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데, 이때 축관부(32)의 테이퍼(38)진 부분은 확관부(36)의 측단과 미세히지만 이격되는 상태가 되어 상호 간섭을 방지하게 됨으로써, 결국 메인 폴(30)과 서브 폴(34)의 분리를 쉽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메인 폴(30)의 관성모멘트(I1)를 기준으로 하여 70%∼85%의 범위에 이르는 상태로 일정길이 많큼 축관부(32)를 이상적으로 축관함으로써, 각 마디에 대한 길이를 짧게 형성할 경우에도, 종래의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연결대(12)의 중량과 제작상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어 소형화 및 초경량화를 실현하면서, 보다 견고한 상태로 지지할 수 있고, 서브 폴(34)의 확관부(36) 내부에 위치.고정된 스톱퍼(40)로 인하여 축관부(32)와 확관부(36)간에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위와 같이 본 고안은 메인 폴의 관성모멘트를 기준으로 하여 70%∼85%가 되는 상태로 축관부를 이상적으로 축관.형성하여, 보다 견고한 상태로 지지하면서, 텐트 폴의 소형화 및 초경량화를 실현할 수 있으며, 아울러 확관부의 내부에 스톱퍼가 삽입.고정되어 있어서, 메인 폴과 서브 폴간에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메인 폴(10,20)과 서브 폴(14,24)로 이루어진 텐트용 폴에 있어서,
    상기 메인 폴(30)의 일측부위에는 이 메인 폴(30)의 관성모멘트(I1)를 기준으로 하여 축관부(32)의 관성모멘트(I2)가 70%∼85%의 범위를 갖는 상태로 일정길이를 만큼 축관되어 있고, 이 축관부(32)가 삽입.결합되는 서브 폴(34)의 일정부위에는 확관부(3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용 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확관부(36)의 내면에는 축관부(32)의 테이퍼(38)진 부분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스톱퍼(40)가 억지끼움방식으로 위치.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용 폴.
KR2019980023329U 1998-11-27 1998-11-27 텐트용 폴 KR2002259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3329U KR200225982Y1 (ko) 1998-11-27 1998-11-27 텐트용 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3329U KR200225982Y1 (ko) 1998-11-27 1998-11-27 텐트용 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0883U true KR20000010883U (ko) 2000-06-26
KR200225982Y1 KR200225982Y1 (ko) 2001-06-01

Family

ID=69504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3329U KR200225982Y1 (ko) 1998-11-27 1998-11-27 텐트용 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598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4535B1 (ko) * 2000-07-04 2003-08-14 연안알루미늄 주식회사 텐트용 폴의 스웨징부 보강방법 및 그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9706A (ko) * 2002-08-29 2004-03-06 연안알루미늄 주식회사 텐트용 폴의 연결부 보강구조
US10787836B2 (en) 2018-07-20 2020-09-29 Dong-In Entech Co., Ltd. Tent po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4535B1 (ko) * 2000-07-04 2003-08-14 연안알루미늄 주식회사 텐트용 폴의 스웨징부 보강방법 및 그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5982Y1 (ko) 2001-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82863Y1 (ko) 텐트폴의 연결구조
US4523780A (en) Tube joint
US20070017564A1 (en) Connector for tent pole
KR200225982Y1 (ko) 텐트용 폴
US6382223B1 (en) Featherlite tent pole
US6716123B1 (en) Net support rack assembly
KR100766447B1 (ko) 텐트폴 연결장치
KR200267965Y1 (ko) 텐트폴의 연결구조
KR200304809Y1 (ko) 텐트용 폴의 연결대 구조
KR200329747Y1 (ko) 삽입막형 막구조의 지지구조체
US5417223A (en) Method for fabricating intra-uterine contraceptives
KR200267964Y1 (ko) 텐트폴의 연결구조
JPS6259914A (ja) 内視鏡
US20040028466A1 (en) Steel pipe connection device
EP1111711A2 (en) Stucture of rod antenna guide port in cellular telephone
KR200383944Y1 (ko) 텐트폴 연결장치
EP1329158B1 (en) An angling support assembly
US20030067160A1 (en) System for detachable connection of a first and a second tube element
US6268687B1 (en) Base for compact fluorescent lamp
JPH0648969Y2 (ja) 伸縮ロッドアンテナ
TWM603047U (zh) 管件固定扣結構
JPH023244Y2 (ko)
US20040264183A1 (en) Christmas lamp bulb
KR20200010003A (ko) 텐트 폴
KR960004630Y1 (ko) 골조 조립용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1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