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7214B1 - 노출형 텐트 아답터, 노출형 텐트 튜브, 노출형 텐트 프레임, 노출형 텐트 및 노출형 텐트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노출형 텐트 아답터, 노출형 텐트 튜브, 노출형 텐트 프레임, 노출형 텐트 및 노출형 텐트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7214B1
KR101737214B1 KR1020150118600A KR20150118600A KR101737214B1 KR 101737214 B1 KR101737214 B1 KR 101737214B1 KR 1020150118600 A KR1020150118600 A KR 1020150118600A KR 20150118600 A KR20150118600 A KR 20150118600A KR 101737214 B1 KR101737214 B1 KR 1017372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t
exposed
tube
rod
adap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8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3453A (ko
Inventor
임병철
윤무진
Original Assignee
임병철
윤무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병철, 윤무진 filed Critical 임병철
Priority to KR1020150118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7214B1/ko
Publication of KR20170023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34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72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72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04H15/44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노출형 텐트 아답터, 노출형 텐트 튜브, 노출형 텐트 프레임, 노출형 텐트 및 노출형 텐트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노출형 텐트 아답터는 중심에서 서로 다른 각도로 연장되며, 노출형 텐트 튜브의 일부가 삽입되기 위한 복수의 연결관을 포함하고, 연결관은 연결관의 관벽에 개구측에서부터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장홀, 및 장홀의 일단에 위치하는 관벽의 일단부에서 내부로 함몰되어 장홀의 타단에 위치하는 관벽의 타단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노출형 텐트 튜브에 장착된 텐트 로드의 삽입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로드 지지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노출형 텐트 아답터, 노출형 텐트 튜브, 노출형 텐트 프레임, 노출형 텐트 및 노출형 텐트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Exposed type tent adapter, exposed type tent tube, exposed type tent frame, exposed type tent, method for assembling exposed type tent}
본 발명은 노출형 텐트 아답터, 노출형 텐트 튜브, 노출형 텐트 프레임, 노출형 텐트 및 노출형 텐트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텐트 프레임이 텐트막의 외부 및 내부로 노출되는 노출형 텐트 아답터, 노출형 텐트 튜브, 노출형 텐트 프레임, 노출형 텐트 및 노출형 텐트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텐트는 일반적으로 외부활동 시 휴식 공간 및 숙박 공간으로 활용하기 위해 설치하는 간이 구조물로서, 플라스틱, 금속 및 나무 소재 등으로 이루어진 프레임으로 형성된 골격에 원단을 씌워 구성된다. 최근 글램핑 등의 유행으로, 안락하고 고급스러운 텐트를 요구하는 수요가 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에 발맞추어 상업적으로는 텐트를 숙박시설로 활용함에 따라 텐트를 장기적으로 설치할 필요가 증대되고 있다. 또한, 텐트는 레저용뿐만 아니라 재난용 임시 대피소, 행사용 천막, 군용 숙소로 활용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에 여러 사람을 수용하기 위한 대형 텐트를 장기간 설치하는 것이 요구될 수 있다.
텐트의 조립방식에는, 텐트막 내부에 텐트 프레임을 끼워 넣어 텐트를 조립하는 내부형 조립방식, 텐트막 외부에 위치한 텐트 프레임에 텐트막을 거는 형태로 텐트를 조립하는 외부형 조립방식, 내부형 조립방식 및 외부형 조립방식이 혼합된 혼합 조립방식이 있다.
내부형 조립방식에서는, 텐트막이 텐트 프레임 외부에 설치되어 있어, 텐트의 외형이 아치형 구조 또는 그의 변형 형태로 텐트 외형 구조가 제한되는 문제가 있고, 외부에서는 텐트 프레임이 보이지 않는 한계가 있다.
외부형 조립방식에서는, 텐트 프레임이 텐트막 외부에 있어, 텐트 내부가 아치형 구조 또는 그의 변형 형태로 텐트의 내부 모양이 제한되는 문제가 있고, 내부에서는 텐트 프레임이 보이지 않는 한계가 있다.
혼합형 조립방식은, 텐트 프레임을 구성하는 부품들이 내부용 및 외부용으로 나뉘어 있고, 텐트막과 텐트 프레임이 접합 부위가 내부 및 외부로 나뉘어 있어 각각 파악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조립 방법이 복잡하고, 텐트를 제조하는데에도 시간 및 비용이 많이 요구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텐트 프레임이 텐트막의 외부 및 내부로 노출되는 노출형 텐트 아답터, 노출형 텐트 튜브, 노출형 텐트 프레임, 노출형 텐트 및 노출형 텐트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대형 텐트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노출형 텐트 아답터, 노출형 텐트 튜브, 노출형 텐트 프레임, 노출형 텐트 및 노출형 텐트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다양한 구조를 갖는 텐트를 조립할 수 있는 노출형 텐트 아답터, 노출형 텐트 튜브, 노출형 텐트 프레임, 노출형 텐트 및 노출형 텐트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노출형 텐트 아답터는, 중심에서 서로 다른 각도로 연장되며, 노출형 텐트 튜브의 일부가 삽입되기 위한 복수의 연결관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관은, 상기 연결관의 관벽에 개구측에서부터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장홀; 및 상기 장홀의 일단에 위치하는 상기 관벽의 일단부에서 내부로 함몰되어 상기 장홀의 타단에 위치하는 상기 관벽의 타단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노출형 텐트 튜브에 장착된 텐트 로드의 삽입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로드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관은 복수의 로드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로드 지지부는 서로 상기 연결관의 중점에서 소정의 각도로 이격된 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드 지지부는, 상기 텐트 로드의 삽입부분의 외주면을 감싸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연결관은 가장 이웃한 연결관과의 각도에 따라 길이가 달라질 수 있다.
상기의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노출형 텐트 튜브는, 텐트 로드가 장착되기 위한 로드 장착관이 형성된 폴부, 상기 폴부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길이 방향으로 일측에서 타측까지 형성된 홈을 포함하며, 노출형 텐트 아답터에 삽입되기 위한 제1 결속부, 및 상기 폴부의 타측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길이 방향으로 일측에서 타측까지 형성된 홈을 포함하며, 노출형 텐트 아답터에 삽입되기 위한 제2 결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로드 장착관은, 길이 방향으로 상기 로드 장착관의 관벽의 일측에서 타측까지 형성된 장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결속부 및 상기 제2 결속부의 외경 또는 폭은 상기 폴부의 외경 또는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1 결속부의 홈 및 상기 제2 결속부의 홈의 내경 또는 폭은 상기 로드 장착관의 내경보다 클 수 있다.
상기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노출형 텐트 프레임은, 본 발명에 따른 노출형 텐트 아답터, 본 발명에 따른 노출형 텐트 튜브, 및 외주면에 텐트 원단이 끼워져 상기 노출형 텐트 튜브에 장착되고, 상기 노출형 텐트 아답터의 연결관에 일부분이 삽입되는 텐트 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텐트 로드의 내주면에는 복수의 리브살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노출형 텐트는 본 발명에 따른 노출형 텐트 프레임, 및 상기 노출형 텐트 프레임의 텐트 로드의 외주면에 끼워져, 상기 텐트 로드가 장착된 노출형 텐트 튜브의 로드 장착관에 장착되고 상기 노출형 텐트 튜브의 일부가 삽입된 노출형 텐트 아답터의 연결관에 일부분이 삽입되며, 상기 로드 장착관의 장홀 및 상기 연결관의 장홀을 통해 외부로 도출되어 텐트막을 형성하는 텐트 원단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텐트 원단은 일단에 상기 텐트 로드가 삽입되기 위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노출형 텐트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은, 텐트 로드 외주면에 텐트 원단을 끼우는 단계, 상기 텐트 원단이 끼워진 텐트 로드를 노출형 텐트 튜브에 장착하는 단계, 및 상기 텐트 로드가 장착된 노출형 텐트 튜브를 노출형 텐트 아답터에 결속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텐트 원단은 상기 노출형 텐트 튜브 및 상기 노출형 텐트 아답터의 외부로 돌출되어 텐트막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노출형 텐트 아답터, 노출형 텐트 튜브, 노출형 텐트 프레임, 노출형 텐트 및 노출형 텐트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에 의하면, 텐트 원단이 프레임 내부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텐트 프레임이 텐트막 내부 및 외부로 노출될 수 있어, 텐트 이용자에게 심미적 아름다움과 함께 기둥이 보여짐에 따른 안정감을 주고, 아답터에 튜브를 결속하는 방식으로 텐트를 조립할 수 있어, 대형 텐트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고, 아답터가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어, 다양한 구조의 텐트를 조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노출형 텐트 아답터, 노출형 텐트 튜브 및 텐트 로드가 결합된 일실시예의 부분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아답터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아답터의 정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튜브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튜브의 정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로드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로드의 정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연결관의 단면의 다양한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아답터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텐트 프레임이 조립된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는 텐트 프레임이 텐트막의 내부로 노출된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b는 텐트 프레임이 텐트막의 외부로 노출된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노출형 텐트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a 내지 도10c는 본 발명에 따른 노출형 텐트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노출형 텐트 아답터, 노출형 텐트 튜브, 노출형 텐트 프레임, 노출형 텐트 및 노출형 텐트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해 기술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노출형 텐트 아답터, 노출형 텐트 튜브 및 텐트 로드가 결합된 일실시예의 부분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노출형 텐트 프레임(10)은 노출형 텐트 아답터(100), 노출형 텐트 튜브(200) 및 텐트 로드(300)를 포함할 수 있다. 텐트 로드(300)는 노출형 텐트 튜브(200)에 장착되고, 텐트 로드(300)가 장착된 노출형 텐트 튜브(200)의 일부가 노출형 텐트 아답터(100) 삽입되어 결속된다. 텐트 로드(300) 및 노출형 텐트 튜브(200)는 텐트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텐트 로드(300)의 길이는 노출형 텐트 튜브(200)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길 수 있다.
노출형 텐트 프레임(10)은 플라스틱, 금속 및 나무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노출형 텐트 프레임(10)은 알루미늄으로 제작될 수 있다.
도 2a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아답터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아답터의 정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및 2b를 참조하면, 노출형 텐트 아답터(100)는 노출형 텐트 튜브(200)의 일부가 삽입되기 위한 복수의 연결관(110, 160, 170, 180)을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연결관(110, 160, 170, 180)은 중심(101)에서 서로 다른 각도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복수의 연결관(110, 160, 170, 180)은 중심(101)측의 일단 쪽에서 서로 결합되고, 타단(예를 들어, 개구측 (115))쪽으로 연장되면서 서로 분리된다. 도 2a 및 도2b에서 연결관을 4개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노출형 텐트 아답터(100)는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연결관을 구비할 수 있다.
연결관(110)은 장홀(110H, 115H) 및 로드 지지부(120, 130)를 구비할 수 있다. 장홀(110H)은 로드 지지부(120)와 연관되고, 장홀(115H)은 로드 지지부(130)와 연관된다. 연결관(110)의 모양은 노출형 텐트 튜브(200)의 모양에 대응하여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출형 텐트 튜브(200)가 원형인 경우에는, 연결관(110)은 원형으로 제작된다.
장홀(110H)은 연결관(110)의 관벽(111)의 개구측(115)에서부터 연결관(11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장홀(110H)의 폭은 텐트막으로 사용되는 텐트 원단의 두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텐트 원단의 두께가 2mm인 경우에는, 장홀(110H)의 폭은 2mm 이상에 3mm이하로 결정될 수 있다.
로드 지지부(120)는 장홀(110H)의 일단에 위치하는 관벽(111)의 일단부(116)에서 내부로 함몰되어 장홀(110H)의 타단에 위치하는 관벽(111)의 타단부(118)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연결관(110)으로 삽입된 텐트 로드(300)의 삽입부분이 로드 지지부(120)에 안착되고, 로드 지지부(120)는 텐트 로드(300)의 안착된 부분을 지지한다.
로드 지지부(120)의 모양은 텐트 로드(300)의 모양에 대응하여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텐트 로드(300)가 원형인 경우에는, 로드 지지부(120)는 원형으로 제작된다. 이러한 경우에, 로드 지지부(120)에 텐트 로드(300)의 일부가 삽입되고, 로드 지지부(120)는 텐트 로드(300)의 삽입부분의 외주면을 감싸 지지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에서 장홀 및 로드 지지부를 두 개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연결관은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장홀 및 상기 장홀과 각각 연관된 로드 지지부를 구비할 수 있고, 연결관들이 구비하는 장홀 및 로드 지지부의 개수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튜브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튜브의 정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및 3b를 참조하면, 노출형 텐트 튜브(300)는 폴부(210), 노출형 텐트 아답터(300)에 삽입되기 위한 제1 결속부(240) 및 노출형 텐트 아답터(300)에 삽입되기 위한 제2 결속부(250)를 구비할 수 있다. 노출형 텐트 튜브(300)는 원형 및, 다각형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노출형 텐트 튜브(300)는 원형일 수 있다.
폴부(210)에는 텐트 로드(200)가 장착되기 위한 로드 장착관(220, 230)이 형성된다. 도 3a 및 도 3b에서 로드 장착관을 두 개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폴부(210)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로드 장착관이 형성될 수 있다. 로드 장착관(220)은 로드 장착관(220)의 길이 방향으로 로드 장착관의 관벽(221)의 일측(228)에서 타측(229)까지 형성된 장홀(220H)를 포함한다. 장홀(220H)은 로드 장착관(220)의 일단(223) 및 타단(225)의 사이에 개구를 형성한다. 장홀(220H)의 폭은 텐트막으로 사용되는 텐트 원단의 두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텐트 원단의 두께가 2mm인 경우에는, 장홀(220H)의 폭은 2mm 이상에 3mm이하로 결정될 수 있다.
제1 결속부(240)는 폴부(210)의 일측(215)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제1 결속부(240)의 길이 방향으로 일측(241)에서 타측(243)까지 형성된 홈(245)을 포함한다. 홈(245)은 로드 장착관(220)에 텐트 로드(200)가 장착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한다.
제2 결속부(250)는 폴부(210)의 타측(217)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제2 결속부(250)의 길이 방향으로 일측(251)에서 타측(253)까지 형성된 홈(255)을 포함한다. 홈(255)은 로드 장착관(220)에 텐트 로드(200)가 장착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한다.
제1 결속부(240) 및 제2 결속부(250)의 외경 또는 폭은 폴부(210)의 외경 또는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노출형 텐트 튜브(200)는 노출형 텐트 아답터(100)와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1 결속부(240) 및 제2 결속부(250)의 홈의 내경 또는 폭은 로드 장착관(220, 230)의 내경보다 큰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텐트 로드(300)가 노출형 텐트 튜브(200)로 장착이 보다 용이해 질 수 있다.
폴부(210), 제1 결속부(240) 및 제2 결속부(250)의 내주면에는 리브살(205, 206, 207, 208, 209)이 형성될 수 있다. 리브살(205, 206, 207, 208, 209)로 노출형 텐트 튜브(200)의 인장력 및 강도가 더 강화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로드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로드의 정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및 4b를 참조하면, 텐트 로드(300)는 막대형일 수 있고, 단면은 원형 또는 다각형일 수 있다. 텐트 로드(300)의 내주면에는 리브살(예를 들어, 305)가 형성될 수 있다. 리브살로 인해 텐트 로드(300)는 인장력 및 강도가 더 강화될 수 있다.
텐트 로드(300)는 외주면(301)에 텐트 원단이 끼워져 노출형 텐트 튜브(200)의 폴부(210)에 구비된 로드 장착관(220)에 장착되고, 노출형 텐트 튜브(200)에 장착된 상태로 노출형 텐트 아답터(100)의 연결관(110)에 일부분이 삽입된다. 텐트 로드(300)의 길이가 노출형 텐트 튜브(200) 보다 긴 경우에는, 텐트 로드(300)가 노출형 텐트 튜브(200) 보다 더 깊이 노출형 텐트 아답터(100)에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노출형 텐트 튜브(200)의 결속부(240, 250)를 노출형 텐트 아답터(100)의 연결관(110) 보다 짧게 제잘 할 수 있어, 제작비용을 보다 절감할 수 있다.
텐트 로드(300)에 끼워진 원단은 로드 장착관(220)의 장홀(220H) 및 연결관(110)의 장홀(110H)를 통해 외부로 도출될 수 있다.
도 5는 연결관의 단면의 다양한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5(a) 내지 도5(i)는 각각 노출형 텐트 아답터(300)의 연결관의 다양한 실시예를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연결관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장홀 및 대응하는 로드 지지부를 구비할 수 있고, 도 5(b) 내지 도 5(i)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장홀 및 대응하는 로드 지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도 5(b) 내지 도 5(i)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로드 지지부는 서로 연결관의 중점(501)에서 각도(α)가 서로 다르게 배열될 수 있고, 서로 다른 위치에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b)의 각도(α)는 66.18도이고, 도 5(c)의 각도(α)는 90도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동일한 텐트 프레임 구조 내에서, 텐트막의 위치가 상이한 다양한 형태의 텐트를 조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아답터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6(a) 내지 도 6(h)는 각각 노출형 텐트 아답터(100)의 다양한 실시예를 사시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와 같이, 노출형 텐트 아답터(100)는 3개의 연결관을 구비할 수 있고, 도 6(b) 내지 도 6(h)와 같이, 노출형 텐트 아답터(100)는 4개의 연결관을 구비할 수 있으며, 연결관이 서로 다른 각도로 배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다양한 구조를 갖는 텐트 프레임을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연결관은 가장 이웃한 연결관과의 각도에 따라 길이가 달라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도가 작을수록 연결관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있다. 이는 상기 각도가 작을 수록, 튜브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의 길이가 작아 지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도 6(e)에서, 연결관(610)의 가장 이웃한 연결관은 연결관(620)이고, 연결관(630)의 가장 이웃한 연결관은 연결관(620)이다. 연결관(610) 및 연결관(620)과의 각도(601)는 연결관(630) 및 연결관(620)의 각도(603) 보다 작으므로, 연결관(610)은 연결관(630) 보다 더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이웃한 연결관과의 각도에 따라 적절한 길이의 연결관을 제작할 수 있어, 재료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텐트 프레임이 조립된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텐트 구조물(700)은 텐트 프레임(10)으로 조립된 구조물이다. 텐트 구조물(700)에서, 노출형 텐트 튜브(730)는 일단(731)이 노출형 텐트 아답터(710)의 연결관(715)에 결속되고, 타단(733)이 노출형 텐트 아답터(720)의 연결관(725)에 결속된다. 텐트 원단을 끼워 텐트 구조물(700)을 조립하면, 본 발명에 따른 노출형 텐트를 조립할 수 있다.
텐트 구조물(700)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노출형 텐트 아답터를 이용하여 다양한 구조의 텐트 구조물을 제작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심미적 아름다움 주는 텐트를 제작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8a는 텐트 프레임이 텐트막의 내부로 노출된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b는 텐트 프레임이 텐트막의 외부로 노출된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노출형 텐트(800)는 노출형 텐트 아답터(100), 노출형 텐트 튜브(200), 텐트 로드(300) 및 텐트 원단(850, 86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a는 조립된 노출형 텐트(800)의 내부의 일부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는 내부에서 텐트막(850) 및 텐트막(860) 사이에로 노출된 노출형 텐트 아답터(810)의 내부면(813) 및 노출형 텐트 튜브(830)의 내부면(833)을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노출형 텐트는 사용자에게 기둥이 있는 일반 건물 안에 있다는 느낌을 주므로 사용자의 안정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텐트 원단과 프레임의 조화로 인한 심미적 아름다움을 줄 수 있다.
도 8b는 조립된 노출형 텐트(800)의 외부의 일부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는 외부에서 텐트막(850) 및 텐트막(860) 사이에로 노출된 노출형 텐트 아답터(810)의 외부면(815) 및 노출형 텐트 튜브(830)의 외부면(835)을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노출형 텐트는 기둥이 있는 일반 건물로 보여져 사용자에게 안정감을 주고, 텐트 원단과 프레임의 조화로 심미적 아름다움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은 장홀(예를 들면, 110H, 220H)의 폭에 따라 두꺼운 재질의 텐트 원단이 사용될 수 있어, 복수의 층을 갖는 텐트 원단 사용이 가능하여, 텐트 원단의 내부면(853) 및 텐트 원단의 외부면(855)이 다르게 구성된 원단을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공간에 맞는 무늬로 외부면(855)을 꾸미고, 내부 공간에 맞는 무늬로 내무면(853)을 꾸밀 수 있어, 본 발명은 심미적으로 보다 아름다운 텐트를 제작 가능하게 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노출형 텐트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a 내지 도10c는 본 발명에 따른 노출형 텐트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a 내지 도10c를 참조하면, 단계 S100에서, 텐트 로드(300) 외주면에 텐트 원단(400)을 끼운다. 텐트 원단(400)의 삽입홀(430H)에 텐트 로드(300)를 삽입하는 형태로, 텐트 원단(400)을 텐트 로드(300) 외주면에 끼울 수 있다. 여기서, 삽입홀(430H)은 텐트 원단의 접힌 부분(420)이 텐트 로드(300)의 원면(410)에 결합되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접힌 부분(420)과 원면(410)은 박음질, 접착제 및 초음파를 이용한 열융착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단계 S110에서, 텐트 원단(400)이 끼워진 텐트 로드(300)를 노출형 텐트 튜브(200)에 장착한다. 여기서 텐트 원단(400)은 노출형 텐트 튜브(200)의 폴부(210)에 구비된 로드 장착관(220)의 장홀(220H)을 통해 원면(410)이 외부로 도출되도록 텐트 로드(300)가 노출형 텐트 튜브(200)에 장착되어야 한다.
텐트 로드(300)의 길이는 노출형 텐트 튜브(200) 보다 길이 2L 만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텐트 로드(300)가 노출형 텐트 튜브(200)의 양측에서 길이 L만큼 외부로 도출된 로드 도출 영역(예를 들면, 310)이 형성된다.
단계 S120에서, 텐트 로드(300)가 장착된 노출형 텐트 튜브(200)를 노출형 텐트 아답터(100)에 결속한다. 텐트 로드(300)의 일단은 노출형 텐트 아답터(100)의 연결관(1110)에 삽입되고, 타단은 노출형 텐트 아답터(1100)의 연결관(1120)에 삽입된다. 여기서, 원단(400)은 연결관(1110)의 장홀을 통해 원면(410)이 외부로 도출되도록 노출형 텐트 튜브(200)가 노출형 텐트 아답터(100)에 삽입되어야 한다.
로드 도출 영역(310)은 연결관(1110)의 중심측 단부까지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노출형 텐트 튜브(200)의 결속부가 노출형 텐트 아답터(100)의 연결관의 길이 보다 작게 형성할 수 있어 노출형 텐트 튜브(200)의 재료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텐트 원단(400)은 노출형 텐트 튜브(200) 및 노출형 텐트 아답터(100)의 외부로 돌출되어 텐트막을 형성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텐트 프레임 10 노출형 텐트 아답터 100
노출형 텐트 튜브 200 텐트 로드 300
텐트 800

Claims (12)

  1. 중심에서 서로 다른 각도로 연장되는 복수의 연결관을 포함하는 노출형 텐트 아답터;
    상기 노출형 텐트 아답터의 연결관에 삽입되어 상기 노출형 텐트 아답터와 결합되는 노출형 텐트 튜브; 및
    외주면에 텐트 원단이 끼워져 상기 노출형 텐트 튜브에 장착되고, 상기 노출형 텐트 아답터의 연결관에 일부분이 삽입되는 텐트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관은,
    상기 연결관의 관벽에 개구측에서부터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텐트 원단을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장홀; 및
    상기 장홀의 일단에 위치하는 상기 관벽의 일단부에서 내부로 함몰되어 상기 장홀의 타단에 위치하는 상기 관벽의 타단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텐트 로드의 삽입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로드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노출형 텐트 튜브는,
    상기 텐트 로드가 장착되기 위한 로드 장착관이 형성된 폴부;
    상기 폴부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길이 방향으로 일측에서 타측까지 형성된 홈을 포함하며, 상기 노출형 텐트 아답터의 연결관에 삽입되기 위한 제1 결속부; 및
    상기 폴부의 타측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길이 방향으로 일측에서 타측까지 형성된 홈을 포함하며, 상기 노출형 텐트 아답터의 연결관에 삽입되기 위한 제2 결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로드 장착관은,
    길이 방향으로 상기 로드 장착관의 관벽의 일측에서 타측까지 형성되어 상기 텐트 원단을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장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결속부 및 상기 제2 결속부의 외경 또는 폭은 상기 폴부의 외경 또는 폭보다 작고,
    상기 제1 결속부의 홈 및 상기 제2 결속부의 홈의 내경 또는 폭은 상기 로드 장착관의 내경보다 크며,
    상기 노출형 텐트 튜브가 상기 제1 결속부 및 상기 제2 결속부의 길이 이상으로 상기 노출형 텐트 아답터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폴부의 외경 또는 폭은 상기 연결관의 외경 또는 폭과 대응하며,
    상기 로드 지지부는, 상기 텐트 로드의 삽입부분의 외주면을 감싸 지지하고,
    상기 제1 결속부의 홈 및 상기 제2 결속부의 홈은 각각 상기 로드 장착관의 장홀에 대응하는 하는 지점에 위치하여 상기 로드 지지부의 외주면을 감싸 지지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형 텐트 프레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은 복수의 로드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로드 지지부는 서로 상기 연결관의 중점에서 소정의 각도로 이격된 방향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형 텐트 프레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텐트 로드의 길이는 상기 노출형 텐트 튜브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형 텐트 프레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은 가장 이웃한 연결관과의 각도에 따라 길이가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형 텐트 프레임.
  5. 텐트 로드가 장착되기 위한 로드 장착관이 형성된 폴부;
    상기 폴부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길이 방향으로 일측에서 타측까지 형성된 홈을 포함하며, 노출형 텐트 아답터의 연결관에 삽입되기 위한 제1 결속부; 및
    상기 폴부의 타측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길이 방향으로 일측에서 타측까지 형성된 홈을 포함하며, 상기 노출형 텐트 아답터의 연결관에 삽입되기 위한 제2 결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로드 장착관은,
    길이 방향으로 상기 로드 장착관의 관벽의 일측에서 타측까지 형성된 장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결속부 및 상기 제2 결속부의 외경 또는 폭은 상기 폴부의 외경 또는 폭보다 작고,
    상기 제1 결속부의 홈 및 상기 제2 결속부의 홈의 내경 또는 폭은 상기 로드 장착관의 내경보다 크며,
    상기 제1 결속부 및 상기 제2 결속부의 길이 이상으로 상기 노출형 텐트 아답터의 연결관으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폴부의 외경 또는 폭은 상기 노출형 텐트 아답터의 연결관의 외경 또는 폭과 대응하며,
    상기 제1 결속부의 홈 및 상기 제2 결속부의 홈은 각각 상기 로드 장착관의 장홀에 대응하는 지점에 위치하여 상기 연결관의 로드 지지부의 외주면을 감싸 지지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형 텐트 튜브.
  6. 제 5항에 따른 노출형 텐트 튜브; 및
    외주면에 텐트 원단이 끼워져 상기 노출형 텐트 튜브에 장착되고, 상기 노출형 텐트 아답터의 연결관에 일부분이 삽입되는 텐트 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형 텐트 프레임.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텐트 로드의 내주면에는 복수의 리브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형 텐트 프레임.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텐트 노드의 길이는 상기 노출형 텐트 튜브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형 텐트 프레임.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텐트 로드의 내주면에는 복수의 리브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형 텐트 프레임.
  10. 제 1항 내지 제4항,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노출형 텐트 프레임; 및
    상기 노출형 텐트 프레임의 텐트 로드의 외주면에 끼워져, 상기 텐트 로드가 장착된 노출형 텐트 튜브의 로드 장착관에 장착되고 상기 노출형 텐트 튜브의 일부가 삽입된 노출형 텐트 아답터의 연결관에 일부분이 삽입되며, 상기 로드 장착관의 장홀 및 상기 연결관의 장홀을 통해 외부로 도출되어 텐트막을 형성하는 텐트 원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형 텐트.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텐트 원단은,
    일단에 상기 텐트 로드가 삽입되기 위한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형 텐트.
  12. 텐트 로드 외주면에 텐트 원단을 끼우는 단계;
    상기 텐트 원단이 끼워진 텐트 로드를 노출형 텐트 튜브에 장착하는 단계; 및
    상기 텐트 로드가 장착된 노출형 텐트 튜브를 노출형 텐트 아답터에 결속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텐트 원단은 상기 노출형 텐트 튜브 및 상기 노출형 텐트 아답터의 외부로 돌출되어 텐트막을 형성하며,
    상기 노출형 텐트 튜브의 제1 결속부 및 상기 노출형 텐트 튜브의 제2 결속부의 외경 또는 폭은 상기 노출형 텐트 튜브의 폴부의 외경 또는 폭보다 작고,
    상기 제1 결속부의 홈 및 상기 제2 결속부의 홈의 내경 또는 폭은 상기 폴부의 로드 장착관의 내경보다 크며,
    상기 제1 결속부 및 상기 제2 결속부의 길이 이상으로 상기 노출형 텐트 아답터의 연결관으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폴부의 외경 또는 폭은 상기 노출형 텐트 아답터의 연결관의 외경 또는 폭과 대응하며,
    상기 제1 결속부의 홈 및 상기 제2 결속부의 홈은 각각 상기 로드 장착관의 장홀에 대응하는 지점에 위치하여 상기 연결관의 로드 지지부의 외주면을 감싸 지지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형 텐트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


KR1020150118600A 2015-08-24 2015-08-24 노출형 텐트 아답터, 노출형 텐트 튜브, 노출형 텐트 프레임, 노출형 텐트 및 노출형 텐트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 KR1017372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8600A KR101737214B1 (ko) 2015-08-24 2015-08-24 노출형 텐트 아답터, 노출형 텐트 튜브, 노출형 텐트 프레임, 노출형 텐트 및 노출형 텐트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8600A KR101737214B1 (ko) 2015-08-24 2015-08-24 노출형 텐트 아답터, 노출형 텐트 튜브, 노출형 텐트 프레임, 노출형 텐트 및 노출형 텐트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3453A KR20170023453A (ko) 2017-03-06
KR101737214B1 true KR101737214B1 (ko) 2017-05-18

Family

ID=58398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8600A KR101737214B1 (ko) 2015-08-24 2015-08-24 노출형 텐트 아답터, 노출형 텐트 튜브, 노출형 텐트 프레임, 노출형 텐트 및 노출형 텐트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72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4487B1 (ko) * 2017-11-15 2020-08-13 주식회사 소셜빈 유아용 텐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3453A (ko) 2017-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12006B2 (en) Tent having retractable roof
US7650724B2 (en) Tube with external channel
KR101470525B1 (ko) 알루미늄 단열 커튼월
JP2015229919A (ja) スチールハウス用構造部材
US9211006B2 (en) Combining structure for shelves
KR101682202B1 (ko) 건물 외장판넬구조체 및 상기 외장판넬구조체의 시공방법
KR101737214B1 (ko) 노출형 텐트 아답터, 노출형 텐트 튜브, 노출형 텐트 프레임, 노출형 텐트 및 노출형 텐트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
KR101698593B1 (ko) 알루미늄-스틸 복합 커튼월 구조
KR100766447B1 (ko) 텐트폴 연결장치
KR101754619B1 (ko) 단열성과 결합력을 향상시킨 커튼월 프레임
KR101377613B1 (ko) 커튼월 단열시스템
JP6758106B2 (ja) 骨格材およびこれを用いた建屋
KR200174254Y1 (ko) 건축물의 외장재
KR20120082142A (ko) 길이 방향의 개방부를 갖는 파이프
CN204850179U (zh) 模块化帷幕墙组合结构
JP4636601B2 (ja) 継手構造及び棒状製品
KR101147999B1 (ko) 입체구조물 시공용 스페이스 트러스
CN215310177U (zh) 一种插管式连接平衡板
KR101700629B1 (ko) 조립식 부스용 프레임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립식 부스
KR200383944Y1 (ko) 텐트폴 연결장치
KR101866238B1 (ko) 커튼월 창호 프레임
KR20080085950A (ko) 다용도 판넬
CN219909710U (zh) 一种建筑立面轻质装饰组件
US20130294099A1 (en) Flexible tube and lamp having the same
KR200329729Y1 (ko) 조립식 파티션의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