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2142A - 길이 방향의 개방부를 갖는 파이프 - Google Patents

길이 방향의 개방부를 갖는 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2142A
KR20120082142A KR1020110003480A KR20110003480A KR20120082142A KR 20120082142 A KR20120082142 A KR 20120082142A KR 1020110003480 A KR1020110003480 A KR 1020110003480A KR 20110003480 A KR20110003480 A KR 20110003480A KR 20120082142 A KR20120082142 A KR 201200821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bent
plate
present
ho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3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동배
Original Assignee
조동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동배 filed Critical 조동배
Priority to KR1020110003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82142A/ko
Publication of KR20120082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21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7Rigid pipes obtained by bending a sheet longitudinally and connecting the ed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2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frame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37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supported by a pos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68Modular articulated structures, e.g. stands, and articulation means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양단이 인접하도록 절곡되어 중공부를 형성하는 판재로 이루어지는 파이프에 있어서, 상기 양단 사이의 공간은 상기 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개방부를 형성하고, 상기 양단 중 적어도 일단에는 상기 중공부 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부가 형성되는 파이프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길이 방향의 개방부를 갖는 파이프{PIPE HAVING LONGITUDINAL OPENING}
본 발명은 길이 방향의 개방부를 갖는 파이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접 등의 공정 없이도 높은 지탱력을 가지며 현수막 등의 다른 구조물 설치에 용이한 파이프에 관한 것이다.
비닐하우스, 신호등, 교통표지판 등의 각종 기구물 설치를 위해 파이프가 널리 사용된다. 이러한 파이프 중 가장 널리 이용되는 원통형 파이프는 판재를 원통형으로 절곡하고 양단을 용접함으로써 형성된다. 따라서, 용접 및 용접을 위한 연마 과정 등의 제작 공정이 필수적이고, 여기에 소요되는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다른 구조물을 설치하는 데에 파이프를 이용하기도 한다. 예를 들면, 2개의 파이프를 세워놓고 현수막 양단을 각 파이프에 묶어 현수막을 설치할 수도 있는데, 아무런 보조 수단 없이 현수막 자체를 파이프에 고정시키면 그 결합이 불안정해지기 때문에, 현수막의 양단 고정을 위해서는 별도의 구성이 파이프에 추가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파이프에 현수막의 양단에 묶여 있는 끈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체결 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구조물을 형성시키고자 할 때마다 해당 구조물의 고정을 위한 수단을 추가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따랐다.
그리고, 이러한 파이프는 실외에서 사용되는 것이 통상적이므로, 외력에 많은 영향을 받기 때문에 그 지지력 또한 강해야 한다.
따라서, 강한 지지력을 가지면서도 다른 구조물 설치를 용이하게 하는 파이프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강한 지지력 또는 지탱력을 갖는 파이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른 구조물의 고정을 위한 고정 수단의 체결을 용이하게 하는 파이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파이프의 제조 시 용접 과정을 생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양단이 인접하도록 절곡되어 중공부를 형성하는 판재로 이루어지는 파이프에 있어서, 상기 양단 사이의 공간은 상기 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개방부를 형성하고, 상기 양단 중 적어도 일단에는 상기 중공부 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부가 형성되는 파이프가 제공된다.
상기 절곡부의 길이는 상기 절곡부의 끝단이 상기 파이프의 내벽에 닿는 길이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방부의 적어도 일부에는 다른 외부 구조물의 고정을 위한 고정부가 고정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중공부 내에 고정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파이프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의 적어도 일부에는 천공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판재는 원통형 또는 다각통형으로 절곡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파이프가 절곡부를 가짐으로써 외력에 대해 강한 지지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파이프의 절곡부 사이에 고정부가 삽입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구조물의 결합이 용이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용접 과정 없이도 강한 지지력을 갖는 파이프에 대한 제조가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의 횡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파이프의 구조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되는 파이프의 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는 양단이 인접하도록 절곡되어 중공부를 형성하는 판재(100)로 이루어진다. 양단 사이의 공간은 전체 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개방부를 형성한다. 판재(100)는 원통형으로 절곡될 수도 있으나, 이와는 다른 다각통형으로 절곡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파이프는 원통형 또는 다각통형을 가질 수 있다.
한편, 파이프의 양단 중 적어도 일단에는 중공부 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부(111, 112)가 형성될 수 있다. 절곡부(111, 112)는 판재(100)의 양단부를 중공부 방향으로 절곡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절곡부(111, 112)가 형성된 판재(100)의 양단 사이의 개방부를 통해서는 파이프의 중공부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도면에는 판재(100)의 양단에 모두 절곡부(111, 112)가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양단 중 일단에만 절곡부가 형성되어도 족하다. 일반적인 평평한 판재에 절곡부가 형성되었을 시, 해당 판재를 절곡 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세우면, 절곡부가 지지력을 제공하여, 판재가 지탱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의 절곡부(111, 112)는 전체 파이프에 지지력을 제공한다. 즉, 판재(100)의 양단이 중공부 방향으로 절곡되어 절곡부(111, 112)를 형성하는데, 상기 절곡 방향에 수직하게 세워져 이용되는 파이프는 이러한 절곡부(111, 112)에 의해 지지력을 갖게 된다. 절곡부(111, 112)의 길이는 임의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절곡부(111, 112)의 끝이 파이프의 내벽에 닿을 정도의 길이 또는 그 이하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파이프에 따르면, 양단이 서로 접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종래 파이프 제조 시에 필수적이었던 용접 과정이 생략될 수 있다.
도 3a, 도 3b 및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의 이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파이프에 있어서는 절곡된 판재(100)의 양단 사이, 즉, 개방부의 적어도 일부에 다른 외부 구조물의 고정을 위한 고정부(200)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고정부(200)는 파이프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고정부(200)와 파이프는 동시 압출 성형 방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파이프 판재(100)의 양단 사이에 고정부(200)를 삽입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고정부(200)는 중공부로부터 파이프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210), 돌출부(210)의 일단과 결합되며, 판재(100)의 양단에 의해 걸려진 상태로 상기 중공부 내부에 위치하는 지지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돌출부(210) 및 지지부(220)는 평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돌출부(210) 및 지지부(220)는 사각판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이와는 다르게 원형판 또는 다른 다각판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는 바와는 다르게 돌출부(210) 및 지지부(220)가 막대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4b를 참조하면, 지지부(220)는 양단 중 적어도 일단이 파이프의 내벽 방향으로 절곡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지지부(220)의 양단 중 적어도 일단이 파이프의 내벽 방향으로 절곡됨에 따라, 지지부(220)는 판재(100)의 양단 또는 양단에 형성되는 절곡부(111, 112)에 더욱더 안정적으로 걸려질 수 있다. 지지부(220)의 양단이 파이프의 내벽 방향으로 절곡됨으로써, 판재(100)의 절곡부(111, 112)가 지지부(220)의 절곡된 부분 및 돌출부(210) 사이에 삽입 결합되는 형태가 될 수도 있다. 돌출부(210)의 양면이 절곡부(111, 112)와 접합됨으로써 고정부(200)와 파이프가 결합될 수 있다. 접합 방법으로서는 통상적인 용접 방법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돌출부(210) 및 지지부(220)는 서로 수직 관계를 이룰 수 있다. 또한, 돌출부(210)에는 천공부(211)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200)는 파이프에 다른 구조물을 고정시키기 위한 구조인데, 천공부(211)는 이러한 다른 구조물의 고정 지지체로서 기능할 수 있다.
판재(100)의 양단 사이, 즉, 개방부에 고정부(200)가 삽입된 파이프는 도 3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기둥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기둥은 교통 표지판, 신호등 등에 적용될 수 있다. 고정부(200)에는 현수막 등이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도 3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체 파이프가 원호 형상으로 절곡되어 비닐 하우스 등의 골격으로 이용될 수도 있다.
이 때, 지지를 위한 다른 파이프(300)들의 양단이 고정부(200)에 결합됨으로써 전체 구조물이 지지될 수 있다. 지지를 위한 다른 파이프(300)는 일반적인 파이프(300)일 수 있으며, 파이프(300)의 양단은 압축된 상태일 수 있다. 파이프(300)의 양단에는 천공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천공이 고정부(200)의 천공(211)과 일치되고, 일치된 천공에 고정 수단(미도시됨)이 삽입 고정됨으로써 전체 구조물이 지지될 수 있다.
한편, 도 3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체 파이프가 원호 형상으로 절곡되어 돔형 구조물 등의 골격으로 이용될 수도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와 수직 방향의 힘을 지탱하기 위한 다른 파이프(400) 들이 고정부(200)의 천공(211)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고정부(200)의 천공(211)은 파이프(400)가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b에 도시되는 돔형 구조물에 따르면, 파이프(400)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즉, 원호 형상으로 절곡된 파이프의 하부에 위치함에 따라, 돔형 구조물을 덮도록 천막을 설치하였을 때 하중을 잘 견딜 수 있고, 외관상으로도 안정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판재
111, 112: 절곡부
200: 고정부
210: 돌출부
220: 지지부

Claims (5)

  1. 양단이 인접하도록 절곡되어 중공부를 형성하는 판재로 이루어지는 파이프에 있어서,
    상기 양단 사이의 공간은 상기 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개방부를 형성하고, 상기 양단 중 적어도 일단에는 상기 중공부 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부가 형성되는 파이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의 길이는 상기 절곡부의 끝단이 상기 파이프의 내벽에 닿는 길이 이하로 형성되는 파이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의 적어도 일부에는 다른 외부 구조물의 고정을 위한 고정부가 고정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중공부 내에 고정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파이프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파이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적어도 일부에는 천공부가 형성되는 파이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는 원통형 또는 다각통형으로 절곡되는 파이프.
KR1020110003480A 2011-01-13 2011-01-13 길이 방향의 개방부를 갖는 파이프 KR201200821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3480A KR20120082142A (ko) 2011-01-13 2011-01-13 길이 방향의 개방부를 갖는 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3480A KR20120082142A (ko) 2011-01-13 2011-01-13 길이 방향의 개방부를 갖는 파이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2142A true KR20120082142A (ko) 2012-07-23

Family

ID=46714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3480A KR20120082142A (ko) 2011-01-13 2011-01-13 길이 방향의 개방부를 갖는 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8214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9074B1 (ko) * 2012-11-29 2013-04-03 김광중 스프링 핀
KR20210019674A (ko) * 2019-08-13 2021-02-23 고재용 분리형 배수직관
KR20210019673A (ko) * 2019-08-13 2021-02-23 고재용 개방형 배수직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9074B1 (ko) * 2012-11-29 2013-04-03 김광중 스프링 핀
WO2014084518A1 (ko) * 2012-11-29 2014-06-05 Kim Kwang-Jung 스프링 핀
KR20210019674A (ko) * 2019-08-13 2021-02-23 고재용 분리형 배수직관
KR20210019673A (ko) * 2019-08-13 2021-02-23 고재용 개방형 배수직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531623B (en) Seismic bracing connector
US7296699B2 (en) Structure of display rack
KR101188784B1 (ko) 원형 브레이스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20082142A (ko) 길이 방향의 개방부를 갖는 파이프
JP2018062853A (ja) 天井下地構造
KR20110001689U (ko) 가설식 트러스 구조물
KR101158823B1 (ko) 돔구조물용 골조프레임
KR101754619B1 (ko) 단열성과 결합력을 향상시킨 커튼월 프레임
JP2005220735A (ja) 建築用外装パネル
KR20100099440A (ko) 막 구조물인양용 지지프레임
KR101399782B1 (ko) 기둥폼 지지장치
KR20130094056A (ko) 돔 구조물용 프레임 구조
WO2015096817A1 (zh) 新型集成房屋拼装式柱状型材组件
KR20120086060A (ko) 구조물 고정을 위한 고정부를 갖는 파이프
JP2013133901A (ja) 枠材の連結構造
KR20100016734A (ko) 지지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이중비닐하우스
JP2006029682A (ja) 段ボールダクト
KR20100010420U (ko) 천장 시설물 고정용 행거
KR200448263Y1 (ko) 프레임 연결용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프레임
JP2006299778A (ja) 天井パネルと壁パネルの接合構造
KR101737214B1 (ko) 노출형 텐트 아답터, 노출형 텐트 튜브, 노출형 텐트 프레임, 노출형 텐트 및 노출형 텐트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
KR200493870Y1 (ko) 배너 걸이용 브라켓 및 그를 포함하는 배너 걸이 장치
JP5713754B2 (ja) 天井下地構造
JP3656999B2 (ja) 電飾広告塔の帆布製表示パネル
KR102334008B1 (ko) 텐트 프레임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격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