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4326Y1 - 텐트폴 및 이를 구비하는 텐트 - Google Patents

텐트폴 및 이를 구비하는 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4326Y1
KR200344326Y1 KR20-2003-0039936U KR20030039936U KR200344326Y1 KR 200344326 Y1 KR200344326 Y1 KR 200344326Y1 KR 20030039936 U KR20030039936 U KR 20030039936U KR 200344326 Y1 KR200344326 Y1 KR 2003443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t
pole
pole piece
center
cl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99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복
Original Assignee
연안알루미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안알루미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연안알루미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399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43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43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432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04H15/44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측면인 텐트 폴은, 복수 개의 관(管)형 폴 피스(pole piece)들을 일자형태로 연결하고, 이를 곡선을 이루도록 굽혀서 텐트 천을 지지하는데 사용하며, 상기 텐트 천에서 분리하면 탄성에 의해 복원되어 다시 일자형태가 되는 텐트 폴로서, 상기 텐트 폴의 중앙부의 폴 피스와 양 단부의 폴 피스 사이에 있는 폴 피스는, 상기 양 단부의 폴 피스에 비해 더 큰 곡률로 굽혀진 상태로 상기 텐트 천을 지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측면인 텐트는, 텐트 천; 및 복수 개의 관(管)형 폴 피스(pole piece)들을 일자형태로 연결하고. 이를 곡선을 이루도록 굽혀서 상기 텐트 천을 지지하는데 사용하며, 상기 텐트 천에서 분리하면 탄성에 의해 복원되어 다시 일자형태가 되는 텐트 폴;을 구비하는 텐트로서, 상기 텐트 폴은, 그 중앙부의 폴 피스와 양 단부의 폴 피스 사이에 있는 폴 피스가, 상기 양 단부의 폴 피스에 비해 더 큰 곡률로 굽혀진 상태로 상기 텐트 천을 지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텐트폴 및 이를 구비하는 텐트{Tent pole and tent with such}
본 고안은 텐트 폴과 이를 구비하는 텐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 개의 관(管)형 폴 피스(pole piece)들을 일자형태로 연결하고, 이를 곡선을 이루도록 굽혀서 텐트 천을 지지하는데 사용하는 텐트 폴과, 이를 구비하는 텐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텐트는 그 형태에 따라 돔(Dome)형, 터널(Tunnel)형, 캐빈(Cabin)형 등으로 나눌 수 있으며, 사용자는 설치 조건 및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텐트를 선택할 수 있다. 그중 돔형이나 터널형은 곡선형의 외관을 가지고 있어 비교적 바람에 강하고, 설치가 용이하여 많이 선택되고 있는데, 도 1에는 종래의 돔형 또는 터널형 텐트에 구비된 텐트 폴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를 참조하면, 돔형 또는 터널형 텐트에 사용되는 텐트 폴(1)은 복수 개의 관(管)형 폴 피스(pole piece, 2 내지 6)들을 일자형태로 연결하고, 이를 곡선을 이루도록 굽혀서 텐트 천(미도시)을 팽팽하게 지지하도록 하고 있는데, 상기 텐트 폴(1)에 의해 형성되는 곡선의 곡률이 각 폴 피스(2 내지 6)에서 대체로 일정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텐트는 그 형태가 바닥의 폭(B)에 비해 전고(全高, H)가 상당히 낮아지게 되어, 성인(2)이 상기 텐트 속에서 자유롭게 움직이기에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성인(2)이 움직이기에 불편하지 않을 정도의 전고(H)를 갖도록 하기 위해서는, 텐트의 바닥 폭(B)을 과도하게 넓혀야 하므로 설치 장소에 제약이 커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굽어질 수 있는 일자형태의 텐트 폴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폴 피스가 곡률이 다르게 굽어질 수 있도록 하여, 종래의 텐트보다 바닥 폭에 대한 높이의 비율이 큰 텐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텐트의 일 예에 구비된 텐트 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텐트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텐트 폴만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텐트의 다른 일 실시예에 구비된 텐트 폴만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텐트 11 ...텐트 천
20 ...텐트 폴 21, 25, 31, 35, 41 ...폴 피스(pole piece)
22. 32 ...요철부 47 ...탄력 로프(rop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측면인 텐트 폴은, 복수 개의 관(管)형 폴 피스(pole piece)들을 일자형태로 연결하고, 이를 곡선을 이루도록 굽혀서 텐트 천을 지지하는데 사용하며, 상기 텐트 천에서 분리하면 탄성에 의해 복원되어 다시 일자형태가 되는 텐트 폴에 있어서,
상기 텐트 폴의 중앙부의 폴 피스와 양 단부의 폴 피스 사이에 있는 폴 피스는, 상기 양 단부의 폴 피스에 비해 더 큰 곡률로 굽혀진 상태로 상기 텐트 천을 지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텐트 폴의 중앙부의 폴 피스와 양 단부의 폴 피스 사이에 있는 폴 피스가, 상기 텐트 폴의 중앙부의 폴 피스에 비해 더 큰 곡률로 굽혀진 상태로 상기 텐트 천을 지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텐트 폴의 중앙부의 폴 피스와 양 단부의 폴 피스 사이에 있는 폴 피스는, 알루미늄합금 재질로 이루어지며, 그 직경이 7 내지 14 mm 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텐트 폴의 중앙부의 폴 피스와 양 단부의 폴 피스는, 알루미늄합금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중앙부의 폴 피스와 양 단부의 폴 피스 사이에 있는 폴 피스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측면인 텐트는, 텐트 천; 및 복수 개의 관(管)형 폴 피스(pole piece)들을 일자형태로 연결하고. 이를 곡선을 이루도록 굽혀서 상기 텐트 천을 지지하는데 사용하며, 상기 텐트 천에서 분리하면 탄성에 의해 복원되어 다시 일자형태가 되는 텐트 폴;을 구비하는 텐트에 있어서,
상기 텐트 폴은, 그 중앙부의 폴 피스와 양 단부의 폴 피스 사이에 있는 폴 피스가, 상기 양 단부의 폴 피스에 비해 더 큰 곡률로 굽혀진 상태로 상기 텐트 천을 지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텐트 폴은, 그 중앙부의 폴 피스와 양 단부의 폴 피스 사이에 있는 폴 피스가, 상기 중앙부의 폴 피스에 비해 더 큰 곡률로 굽혀진 상태로 상기 텐트 천을 지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텐트 폴의 중앙부의 폴 피스와 양 단부의 폴 피스 사이에 있는 폴 피스는, 알루미늄합금 재질로 이루어지며, 그 직경이 7 내지 14 mm 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텐트 폴의 중앙부의 폴 피스와 양 단부의 폴 피스는, 알루미늄합금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중앙부의 폴 피스와 양 단부의 폴 피스 사이에 있는 폴 피스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고안의 텐트는 텐트의 바닥과 최고점 사이의 소정 높이에서 상기 텐트 내부의 횡단면적이 최대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텐트와 이에 구비되는 텐트 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텐트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텐트 폴만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텐트의 다른 일 실시예에 구비된 텐트 폴만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트(10)는 터널형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열되는 복수 개의 텐트 폴(20)들과, 내부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텐트 폴(20)들에 의해 팽팽하게 지지되는 텐트 천(11)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텐트 폴(20)은 제1 내지 제5의 관(管)형 폴 피스(pole piece, 21, 25, 31, 35, 41)를 일자형태로 연결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텐트 설치시에는 상기 일자형태의 텐트 폴(20)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굽혀서 상기 텐트 천을 지지하도록 한다. 텐트를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텐트 폴(20)의 양 단부를 구성하는 제1 및 제5 폴 피스(21, 41)와, 중앙부를 구성하는 제3 폴 피스(31)가, 상기 폴 피스들(21, 31, 41)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2 및 제4 폴 피스(25, 35) 보다 상대적으로 곡률이 작게, 즉 완만한 곡선을 이루며 굽혀진다. 본 고안에 따르면, 이와 같이 보다 큰 곡률로 굽혀진 폴 피스들(25, 35)을 마련하기 위해 상기 폴 피스들(25, 35)을 소성 변형을 일으키도록 굽힐 필요가 없다. 다시 말해 상기 제2 및 제4 폴 피스(25, 35)는 제1, 제3, 및 제5 폴 피스(21, 31, 41)에 비해 굽힘에 대한 탄성 복원력이 더 커서, 상기 제1, 제3, 및 제5 폴 피스(21, 31, 41) 보다 더 굴곡이 큰 곡선으로 굽혀져도 원래의 일자형태로 되돌아올 수 있는 관형 폴 피스들인 것이다.
상술한 굽힘에 대한 탄성 복원력의 조건을 만족하기 위하여, 바람직한 본 실시예의 제2 및 제4 폴 피스(25, 35)는 알루미늄합금 재질로 이루어진다. 알루미늄합금은 강재(鋼材) 보다 중량에 대한 강도가 커서 중량을 줄일 필요가 있는 텐트 폴의 재질로서 많이 이용되는 것으로, 상기 제2 및 제4 폴 피스(25, 35)에는 인장강도가 500 내지 800 MPa 인 소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A7000 계열의알루미늄합금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알루미늄합금으로 된 관(管)은 그 직경(DS)이 7 mm 보다 작으면 텐트 천(11)의 중량이나 바람 기타 외력에 의해 쉽게 굽혀져 텐트 천(11)을 지지하기 어려우며, 그 직경(DS)이 14 mm 보다 크면 제2 내지 제4 폴 피스(25, 35)에 대해 요구되는 큰 곡률로 굽힐 때 소성 변형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제2 및 제4 폴 피스(25, 35)는 그 직경(DS)이 7 내지 14 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본 실시예의 제1, 제3, 및 제5 폴 피스(21, 31, 41)도 또한 알루미늄합금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및 제4 폴 피스(25, 35) 보다 작은 곡률로 굽혀지므로, 상기 제2 및 제4 폴 피스(25, 35) 보다 더 큰 직경(DL)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 제3, 및 제5 폴 피스(21, 31, 41)는 제2 및 제4 폴 피스(25, 35)에 비해 더 큰 직경(DL)을 가지므로 상대적으로 인장강도가 좀 작은, 예컨대 A6000 계열의 알루미늄합금을 소재로 사용하여도 폴 피스 자체의 강도는 텐트 천(11)을 지지하기에 부족함이 없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 폴 피스(21, 25)가 서로 이어지는 부분의 제1 폴 피스(21)의 말단부에는 상기 제1 폴 피스(21)의 내경이 좁아지도록 요철부(22)가 형성되고, 제2 및 제3 폴 피스(25, 31)가 서로 이어지는 부분의 제3 폴 피스(31)의 말단부에도 상기 제3 폴 피스(31)의 내경이 좁아지도록 요철부(32)가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3 폴 피스의 요철부(22, 32)에 의해 상기 제2 폴 피스(25)의 양 말단부가 소정 길이만큼 상기 제1 및 제3 폴 피스(21, 31)에 삽입되어 일렬로 연결되며, 상기 제2 폴 피스(25)가 상기 제1 또는 제3 폴 피스(21, 31)내부로 깊숙이 삽입되지 않게 된다. 상술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제4 폴 피스(35)와 이어지는 제3 폴 피스(31)의 말단부와 제5 폴 피스(41)의 말단부에도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으나, 도 3에 별도로 도시되진 않는다.
한편, 상기 폴 피스들(21, 25, 31, 35, 41)은 그 내부를 관통하는 탄력 로프(47)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탄력 로프(47)는 상기 폴 피스들(21, 25, 31, 35, 41)을 쉽게 일자형태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며, 일자형태로 연결된 상기 폴 피스들(21, 25, 31, 35, 41)이 탄성에 의해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해준다. 상기 텐트 폴(20)의 각 폴 피스들(21, 25, 31, 35, 41)은 텐트 설치 전에는 상기 탄력 로프(47)만 연결된 상태로 서로 분리되므로 수납에 큰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아,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다.
상기 텐트(10)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한 폴 피스들(21, 25, 31, 35, 41)이 분리된 상태로 있는 텐트 폴(20)을 넓은 장소에 펼쳐 놓는다. 그리하면, 상기 탄력 로프(47)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폴 피스들(21, 25, 31, 35, 41)이 일렬로 연결되어, 일자형태의 텐트 폴(20)이 만들어진다. 이와 같이 만들어진 복수 개의 텐트 폴(20)들을 텐트 천(11)의 소정 위치에 끼워 상기 텐트 천(11)을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텐트(10) 설치를 완료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만들어진 텐트(10)는, 도 3을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텐트 폴(20)의 제2 및 제4 폴 피스(25. 35)가 상대적으로 크게 굴곡되고 제1 및 제5 폴 피스(21, 41)가 바닥으로 내려갈수록 서서히 접근하여, 소위 '왕관(crown) 형태'가 된다. 따라서, 텐트의 바닥이 아닌 텐트의 최고점과 바닥 사이의 소정 위치에서 텐트의 최대 횡폭(W1)이 형성되며, 그 위치에서 텐트 내부의 횡단면적이 최대가 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경우와 비교하여 바닥 폭(B1)에 대한 텐트 전고(全高, H1)의 비율이 커지므로, 작은 설치 면적으로도 성인(2)이 불편없이 움직일 수 있는 텐트 내부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텐트의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3에 대응되도록 텐트 폴만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텐트 폴(50)은 제1 내지 제5 폴 피스(51, 55, 61, 65, 71)을 일자형태로 연결하고 텐트 설치 시에 굽혀서 텐트 천(미도시)를 지지토록 하는 것으로, 제2 내지 제4 폴 피스(55, 61, 65)가 제1 및 제5 텐트 폴 피스(51, 71) 보다 더 큰 곡률로 굽혀진다. 상기 실시예의 경우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제3 폴 피스(61)가 제2 및 제4 폴 피스(55, 65)와 마찬가지로 잘 굽어져 바닥 폭(B2)에 대한 전고(全高, H2)의 비율이 더 높아진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첨부된 도면에는 터널형 텐트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돔형 텐트로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는 텐트 폴이 5개의 폴 피스로 구성되나, 더 많은 수의 폴 피스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된 도면에는 폴 피스가 알루미늄합금으로 되어 있으나, 강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각 폴 피스의 직경이 서로 같을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기한 본 고안의 텐트는 설치하였을 때 그 종단면의 형상이 소위 '왕관형'이 되고, 바닥 폭에 대한 전고(全高)의 비율도 종래의 경우에 비하여 커지므로, 성인이 움직이는데 불편이 없을 정도의 텐트 내부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경우에 비해 설치에 요구되는 바닥 면적이 작아서 설치 장소 설정에 어려움이 없다.
한편, 상기 텐트에 구비되는 텐트 폴은 텐트 해체 시에는 직선형의 폴 피스들로 분리할 수 있어,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다. 더욱이 다른 폴 피스들 보다 큰 곡률로 굽혀지는 폴 피스들이라 하더라도 미리 소성 변형시켜 굽혀 놓을 필요가 없으므로, 보관에 필요한 공간이 더욱 줄어들게 되어, 보관 및 운반이 더욱 용이하다.

Claims (9)

  1. 복수 개의 관(管)형 폴 피스(pole piece)들을 일자형태로 연결하고, 이를 곡선을 이루도록 굽혀서 텐트 천을 지지하는데 사용하며, 상기 텐트 천에서 분리하면 탄성에 의해 복원되어 다시 일자형태가 되는 텐트 폴에 있어서,
    상기 텐트 폴의 중앙부의 폴 피스와 양 단부의 폴 피스 사이에 있는 폴 피스는, 상기 양 단부의 폴 피스에 비해 더 큰 곡률로 굽혀진 상태로 상기 텐트 천을 지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 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텐트 폴의 중앙부의 폴 피스와 양 단부의 폴 피스 사이에 있는 폴 피스가, 상기 텐트 폴의 중앙부의 폴 피스에 비해 더 큰 곡률로 굽혀진 상태로 상기 텐트 천을 지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 폴.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텐트 폴의 중앙부의 폴 피스와 양 단부의 폴 피스 사이에 있는 폴 피스는, 알루미늄합금 재질로 이루어지며, 그 직경이 7 내지 14 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 폴.
  4.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텐트 폴의 중앙부의 폴 피스와 양 단부의 폴 피스는, 알루미늄합금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중앙부의 폴 피스와 양 단부의 폴 피스 사이에 있는 폴 피스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 폴.
  5. 텐트 천; 및 복수 개의 관(管)형 폴 피스(pole piece)들을 일자형태로 연결하고. 이를 곡선을 이루도록 굽혀서 상기 텐트 천을 지지하는데 사용하며, 상기 텐트 천에서 분리하면 탄성에 의해 복원되어 다시 일자형태가 되는 텐트 폴;을 구비하는 텐트에 있어서,
    상기 텐트 폴은, 그 중앙부의 폴 피스와 양 단부의 폴 피스 사이에 있는 폴 피스가, 상기 양 단부의 폴 피스에 비해 더 큰 곡률로 굽혀진 상태로 상기 텐트 천을 지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텐트 폴은, 그 중앙부의 폴 피스와 양 단부의 폴 피스 사이에 있는 폴 피스가, 상기 중앙부의 폴 피스에 비해 더 큰 곡률로 굽혀진 상태로 상기 텐트 천을 지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텐트 폴의 중앙부의 폴 피스와 양 단부의 폴 피스 사이에 있는 폴 피스는, 알루미늄합금 재질로 이루어지며, 그 직경이 7 내지 14 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
  8. 제5 항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텐트 폴의 중앙부의 폴 피스와 양 단부의 폴 피스는, 알루미늄합금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중앙부의 폴 피스와 양 단부의 폴 피스 사이에 있는 폴 피스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
  9.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텐트의 바닥과 최고점 사이의 소정 높이에서 상기 텐트 내부의 횡단면적이 최대가 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
KR20-2003-0039936U 2003-12-23 2003-12-23 텐트폴 및 이를 구비하는 텐트 KR2003443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9936U KR200344326Y1 (ko) 2003-12-23 2003-12-23 텐트폴 및 이를 구비하는 텐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9936U KR200344326Y1 (ko) 2003-12-23 2003-12-23 텐트폴 및 이를 구비하는 텐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4326Y1 true KR200344326Y1 (ko) 2004-03-09

Family

ID=49426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9936U KR200344326Y1 (ko) 2003-12-23 2003-12-23 텐트폴 및 이를 구비하는 텐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432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01727A (en) Tent including web structure and article storage and support member
US20100025547A1 (en) Clip for fastening an article to a panel having a self-expanding clip head
USRE40577E1 (en) Flexible tube having a variable stiffness bellows
KR100727045B1 (ko) 텐트폴 커넥터
US20030089390A1 (en) Steel pole for a rectangular dome-shaped tent
US20180064979A1 (en) Torsion spring trampoline
US6523558B1 (en) Pole connector for flexible structure
KR200344326Y1 (ko) 텐트폴 및 이를 구비하는 텐트
US6371143B1 (en) Canopy structure
US20050150534A1 (en) Portable structure with linking pole
US8567424B2 (en) Tent and tent frame
US20210246685A1 (en) High pressure inflatable beam
US6843261B2 (en) Lightweight flexible frame for shelter structure
EP0753634A1 (en) Tent structure
KR101357742B1 (ko) 개량형 옷걸이
KR101572645B1 (ko) 길이 가변 폴
JP3409265B2 (ja) 膜構造大型ドームとその構築方法
EP1905927B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ents
JP3967715B2 (ja) トンネル型又はドーム型テント
KR200314973Y1 (ko) 텐트폴 커넥터
KR102360471B1 (ko) 낙수 받이 구조물
KR200356520Y1 (ko) 텐트용 폴대 연결구
KR200356508Y1 (ko) 보강구조를 가지는 텐트폴
KR100377528B1 (ko) 텐트 프레임의 폴 조립체
JP5566345B2 (ja) テ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