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9059Y1 - 텐트 폴 지지구조 - Google Patents

텐트 폴 지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9059Y1
KR200359059Y1 KR20-2004-0013888U KR20040013888U KR200359059Y1 KR 200359059 Y1 KR200359059 Y1 KR 200359059Y1 KR 20040013888 U KR20040013888 U KR 20040013888U KR 200359059 Y1 KR200359059 Y1 KR 2003590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t
pole
tent pole
support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38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라제건
Original Assignee
라제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제건 filed Critical 라제건
Priority to KR20-2004-00138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90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90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905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53Mounting poles or posts to the holder
    • E04H12/2269Mounting poles or posts to the holder in a socke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84Means for adjusting the orientation of the post or pol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4Tent or canopy cover fast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텐트 폴 지지구조는, 텐트 폴(2)의 단부를 수용하는 안착부재(10)와, 하단은 텐트 모서리에 결합되며, 상단은 안착부재(10)의 측면에 결합되어 텐트 폴(2)을 지면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경사진 상태로 지지하는 받침부재(20)로 이루어진다. 안착부재(10)는 텐트 폴(2)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일부가 절개된 원통형의 지지관(11)과, 지지관(11)의 중간부분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 설치되어 받침부재(20)의 상단이 삽입되는 연결관(12)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지지구조에 의하면, 받침부재(20)가 텐트 폴(2)을 텐트 본체 바깥 방향으로 지지함으로써, 텐트 하부에서 텐트 폴(2)이 텐트 본체로부터 이격되며 텐트 본체의 바닥면이 지면에 밀착된다. 따라서, 텐트 설치 후 텐트 본체 위에 플라이를 덮는 경우, 텐트 본체와 플라이 사이의 공간이 충분히 확보되어 통풍과 환기가 양호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텐트 폴의 양단에도 굽힘 모멘트가 작용하게 되어, 텐트 하부도 충분한 탄발력을 가지게 됨으로써 내풍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텐트 폴 지지구조 {Tent pole supporting structure}
본 고안은 텐트의 골격을 이루는 텐트 폴을 지지하는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텐트 설치 시에 지면과 인접한 텐트 폴의 하단부를 텐트 본체로부터 이격되도록 지지할 수 있는 텐트 폴 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텐트는 방수 천으로 이루어진 본체가, 유연성과 강성을 겸비한 텐트 폴에 의하여 사방으로 팽팽하게 당겨짐으로써 소정의 체적을 가지는 막사 형태를 형성하게 된다. 텐트 폴은 통상적으로 길이가 짧은 다수의 단위 폴들이 서로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텐트 폴은 텐트 본체의 외면 능선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다수의 클립(clip) 또는 텐트 본체의 외면 능선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된 슬리브(sleeve)에 삽입되며, 아치형으로 휘어진 상태에서 그 양단이 텐트 본체 하부의 서로 대향하는 모서리들에 각각 고정되면,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텐트 본체를 팽팽하게 펼쳐지도록 사방으로 당겨주게 된다.
도 1에는 종래의 텐트의 일례로서, 텐트 본체에 텐트 폴이 삽입되는 슬리브를 구비한 형태의 텐트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형태의 텐트를 설치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텐트 폴(2)을 슬리브(4)에 끼워 넣은 다음, 텐트 폴(2)의 일단을 텐트 본체(1)의 일 모서리에 연장 설치된 웨빙(webbing)(3)의 아이렛(eyelet)(미도시)에 끼워 넣는다.이 상태에서, 텐트 폴(2)을 구부려 그 타단을 텐트 본체(1)의 반대쪽 모서리에 구비된 웨빙의 아이렛에 끼워 넣으면, 도 1과 같이 텐트의 형태가 완성된다.
이와 같이, 텐트 폴(2)의 일단을 텐트 본체(1)의 한쪽 모서리 부분에 먼저 고정한 후에 그 타단을 텐트 본체(1)의 다른 쪽 모서리 부분에 고정하는 경우, 텐트 폴(2)이 이미 슬리브(4)에 의하여 제한된 상태이므로, 다른 쪽 모서리 부분에 텐트 폴(2)의 타단을 고정하기가 대단히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텐트 폴(2)이 고정되는 웨빙(3)에 길이 조절장치(미도시)를 설치하고, 이 길이 조절장치를 이용하여 웨빙(3)의 길이를 늘인 상태에서 텐트 폴(2)의 끝단을 아이렛에 고정한 다음, 상기 길이 조절장치로 다시 웨빙(3)의 길이를 줄이는 방식을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텐트 설치 시 길이 조절장치를 사용하여 웨빙(3)의 길이를 조절해야 하므로, 텐트의 설치 과정이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의 텐트에서는 텐트 폴(2)의 일단을 웨빙(3)에 구비된 아이렛에 삽입하여 지면에 텐트 폴(2)을 고정하는 경우, 텐트 폴(2)의 인장력에 의하여 텐트 본체(1)의 모서리 부분이 웨빙(3)과 함께 위로 당겨져 올라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모서리 부근에서, 텐트 본체(1)의 능선부(5)는 텐트 폴(2)과 충분히 이격되지 않으며, 텐트 본체(1)의 바닥면(6)은 지면으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텐트 본체(1) 위에 플라이(미도시)를 덮으면, 텐트 하부에서 텐트 본체(1)와 플라이 사이의 공간이 충분히 확보되지 않아 환기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텐트에 습기가 차게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의 경우 텐트 폴(2)의 고정은 텐트 폴(2)의 양단을 단순히 아이렛에 삽입하는 방식, 즉 힌지(Hinge) 방식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텐트의 하부가 충분한 탄발력을 갖지 못하여 내풍성이 나빠지는 단점이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경우 텐트 폴(2) 양단은 지면에 대하여 대략 65ㅀ 내외의 각도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텐트의 내부 공간, 구체적으로는 텐트의 하부 내측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텐트 폴(2)의 양단에는 굽힘 모멘트(Bending Moment)가 전혀 작용하지 않게 되므로 강한 바람과 같은 외부로부터 충격에 의하여 텐트 폴(2)이 쉽게 흔들리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텐트가 조립된 상태에서 텐트 폴의 하부를 텐트 본체와 이격되도록 지지함으로써, 텐트 바닥면이 지면으로부터 들여 올려지는 것을 방지하고 텐트 본체와 플라이 사이에 환기를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텐트 내부 공간의 활용도를 높이고 텐트의 하부도 충분한 탄발력을 가질 수 있는 텐트 폴 지지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텐트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도 1의 텐트에 작용하는 굽힘 모멘트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텐트 폴 지지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텐트 폴 지지구조가 적용된 텐트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5a 내지 도 5c는 도 3의 텐트 폴 지지구조의 측면도로서, 텐트 폴의 경사 각도에 대한 여러 가지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3의 텐트 폴 지지구조가 적용된 텐트에 작용하는 굽힘 모멘트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텐트 본체 2 : 텐트 폴
10 : 안착부재 11 : 지지관
12 : 연결관 20 : 받침부재
30 : 힌지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텐트 폴의 단부를 수용하는 안착부재와, 하단은 텐트 모서리에 결합되며, 상단은 상기 안착부재의 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텐트 폴을 지면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경사진 상태로 지지하는 받침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 폴 지지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안착부재는 상기 텐트 폴의 단부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지지관과, 상기 지지관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 설치되어 상기 받침부재의 상단이 삽입되는 연결관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받침부재는 그 일단에 구비된 힌지에 의하여 상기 텐트 모서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한편,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텐트 폴의 지면에 대한 경사 각도를, 예를 들어 90도에 가깝게 증가시킬 수 있도록, 상향으로 절곡된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텐트 폴 지지구조는, 텐트 폴(2)의 단부를 수용하는 안착부재(10)와, 하단은 텐트 본체(1)의 능선부(5) 하단, 즉 텐트 모서리에 결합되며, 상단은 텐트 폴(2)과 경사지도록 안착부재(10)의 측면에 결합되는 받침부재(20)를 구비한다.
안착부재(10)는 일부가 절개된 원통형상의 지지관(11)과, 지지관(11)의 중간부분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 설치된 연결관(12)으로 이루어져 있다. 지지관(11)에는 텐트 폴(2)의 단부가 삽입되며, 연결관(12)에는 받침부재(20)의 상단이 삽입된다. 지지관(11)의 바닥면에는 지면에 고정되는 뾰족한 형상의 팁(13)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받침부재(20)의 하단에는 텐트 모서리와의 연결을 위한 힌지(30)가 구비되어 있다. 이 힌지(30)에 의하여, 받침부재(20)의 하단은 텐트 모서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이, 받침부재(20)의 하단은 힌지(30)에 의하여 텐트 모서리에 결합된 상태로 지면과 접촉하게 되며, 받침부재(20)의 상단은 안착부재(10)의 지지관(11)에 삽입됨으로써, 받침부재(20)는 텐트 폴(2)을 경사진 상태로 지지하게 된다.
도 4에는 본 고안에 따른 텐트 지지구조를 사용하여 설치된 텐트의 일부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재(20)가 텐트 모서리로부터 상향으로 경사진 상태로 텐트 폴(2)을 지지함으로써, 텐트 폴(2)은 텐트 본체(1)로부터 충분히 이격되며, 텐트 본체(1)의 바닥면은 지면에 밀착되게 된다. 따라서, 텐트 본체(1) 위에 플라이(미도시)를 덮는 경우에도 텐트 본체(1)와 플라이 사이의 공간이 충분히 확보되어, 텐트 내부의 환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재(20)는, 텐트의 형태에 따라 텐트 폴(2)이 지면에 대하여 다양한 각도 가질 수 있도록, 희망하는 텐트 폴(2)의 각도에 맞추어 직선 형태나, 상향 또는 하향으로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받침부재(20)는 텐트 폴(2)과 적어도 동일한 휨 강도(Bending Stiffness)를 가지는 재료로 제조된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텐트 폴 지지구조가 적용된 텐트에 작용하는 굽힘 모멘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것은 본 고안의 경우를, 점선으로 도시된 것은 도 2와 같은 종래의 경우를 나타낸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텐트 폴 지지구조에서는 텐트 폴(2)의 양단이 받침부재(20)에 의하여 지지되므로, 종래의 텐트에서와 달리 텐트 폴(2) 양단에도 굽힘 모멘트가 작용하게 되며, 그에 따라 텐트 중앙부와 양단 사이에서의 굽힘 모멘트의 편차가 종래에 비하여 줄어들게 되므로 텐트 폴(2)의 인장력이 고르게 분포하게 된다. 따라서, 텐트의 하부도 충분한 탄발력을 갖게 되어 내풍성이 향상된다. 또한, 텐트 폴(2)의 경사각을 증가시키면, 종래의 경우에 비하여, 텐트 하부가 바깥 방향으로 더 펼쳐지게 됨으로써 텐트 내부의 활용 공간이 더 넓어지게 된다. 특히, 도 5b에 도시된 것처럼, 텐트 폴(2)의 지면에 대한 경사각을 90ㅀ에 가깝게 증가시키면, 이러한 효과는 더욱 증대된다.
한편, 도면에서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텐트 폴(2)의 길이가 짧은 단위폴들이 서로 연결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텐트 폴(2)을 구성하는 단위 폴들 중에서 안착부재(10)의 지지관(11)에 삽입되는 단위 폴을, 다른 단위 폴에 비하여 휨 강도가 양호한 직경이 굵은 폴을 사용하면, 텐트 폴(2)의 각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받침부재(20)를 절곡시키지 않아도, 텐트 폴(2) 양 단부에서의 곡률반경이 커짐으로서, 내풍성의 향상과 텐트 내부의 공간 확대라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받침부재가 지면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로 텐트 폴을 지지함으로써, 텐트 하부에서 텐트 폴이 텐트 본체로부터 이격되며 텐트 본체의 바닥면이 지면에 밀착된다. 따라서, 텐트 설치 후 텐트 본체 위에 플라이를 덮는 경우, 텐트 본체와 플라이 사이의 공간이 충분히 확보되어 통풍과 환기가 양호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텐트 폴의 양단에도 굽힘 모멘트가 작용하게 되어, 텐트 하부도 충분한 탄발력을 가지게 됨으로써 내풍성이 향상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4)

  1. 텐트 폴(2)의 단부를 수용하는 안착부재(10); 및
    하단은 텐트 모서리에 결합되며, 상단은 상기 안착부재(10)의 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텐트 폴(2)을 지면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경사진 상태로 지지하는 받침부재(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 폴 지지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재(10)는 상기 텐트 폴(2)의 단부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지지관(11)과, 상기 지지관(11)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 설치되어 상기 받침부재(20)의 상단이 삽입되는 연결관(12)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 폴 지지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20)는 그 일단에 구비된 힌지(30)에 의하여 상기 텐트 모서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 폴 지지구조.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20)는 상기 텐트 폴(2)의 지면에 대한 경사 각도를 증가시키도록 상향으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 폴 지지구조.
KR20-2004-0013888U 2004-05-19 2004-05-19 텐트 폴 지지구조 KR2003590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3888U KR200359059Y1 (ko) 2004-05-19 2004-05-19 텐트 폴 지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3888U KR200359059Y1 (ko) 2004-05-19 2004-05-19 텐트 폴 지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9059Y1 true KR200359059Y1 (ko) 2004-08-16

Family

ID=49349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3888U KR200359059Y1 (ko) 2004-05-19 2004-05-19 텐트 폴 지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905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01727A (en) Tent including web structure and article storage and support member
US7766023B2 (en) Portable structure with linking pole
CN102639800A (zh) 用于帐篷或遮蔽物的通风口
US20090255563A1 (en) Umbrella With Dome Shape
US20070017563A1 (en) Tent having improved windproof and ventilation abilities
JP3217504U (ja) テント
KR200482166Y1 (ko) 타프 폴대 체결구
US6662849B1 (en) Shading device for automobile
US5190066A (en) Device for attachment onto a tent, and a tent
KR200359059Y1 (ko) 텐트 폴 지지구조
US20180010361A1 (en) Tent having short pole sleeves
US8851097B2 (en) Infant seat cover
US20030024564A1 (en) Light-weight flexible shelter structure with improved volume
KR200314974Y1 (ko) 텐트 폴 지지구조
US20080142063A1 (en) Tent pole fixer of connecting pole and fly
US6227218B1 (en) Tent pole clip
US4494558A (en) Enclosure and frame therefor
KR200356508Y1 (ko) 보강구조를 가지는 텐트폴
KR200309666Y1 (ko) 텐트 폴 지지구조
US8555908B2 (en) Support system for tents and shelters
US6357697B1 (en) Kite structure
KR101718884B1 (ko) 폴대의 활용성을 향상시키는 텐트폴대 연결기구 및 이를 이용한 텐트세트
JP2519963Y2 (ja) テントのフライシート張出し装置
JPH0410765Y2 (ko)
KR200486706Y1 (ko) 텐트 또는 캐노피의 지지대 결속용 기능성 클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