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2166Y1 - 타프 폴대 체결구 - Google Patents

타프 폴대 체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2166Y1
KR200482166Y1 KR2020150002861U KR20150002861U KR200482166Y1 KR 200482166 Y1 KR200482166 Y1 KR 200482166Y1 KR 2020150002861 U KR2020150002861 U KR 2020150002861U KR 20150002861 U KR20150002861 U KR 20150002861U KR 200482166 Y1 KR200482166 Y1 KR 2004821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er
pole
hole
band
r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28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3908U (ko
Inventor
김광철
Original Assignee
김광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철 filed Critical 김광철
Priority to KR20201500028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166Y1/ko
Publication of KR201600039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90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1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16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0Po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4Tent or canopy cover fast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타프 폴대 체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타프 밴드와 봉재 결합되는 제1, 제2체결구로 이루어져 있어 폴대의 상부에 삽입되고 로프와 결속시켜 지지하므로 안정적이고 견고한 고정력을 제공하면서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개선된 타프 폴대 체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타프 폴대 체결구{TARP DOUBLE FIXING DEVICE}
본 고안은 타프 폴대 체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측은 타프 밴드와 봉재 결합되고 타측은 로프가 삽입된 채로 폴대의 상부가 삽입되어 타프를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고정해주는 타프 폴대 체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타프는 방수 처리한 천이라는 뜻의 영어 단어 타포린(tarpaulin)의 줄임말이며 햇볕, 비, 이슬 등을 피하기 위해 사용되는 가림막을 가리키는 것이다.
타프는 텐트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고 무게가 가벼우며 부피가 작은 장점이 있고, 베이스캠프(야영지)에서 간편한 차양 또는 텐트 대용품으로 활용할 수도 있기 때문에 캠핑을 즐기는 사람들 사이에서 타프의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또한 타프는 매우 추운 시기가 아니라면 급작스럽게 산에서 노숙을 할 때, 유용한 대피수단이 될 수 있으나 텐트에 비하면 외부환경으로부터 완벽하게 사용자를 보온 및 보호하기는 어렵다.
종래의 등록특허공보 10-1440243에서는 타프 둘레에 다수개의 고정끈 고리가 형성되어 있고, 고정끈 고리에 고정끈의 일측을 걸고 타측을 나무나 기둥에 묶어 고정하거나 고정할 나무나 기둥이 없을 경우 폴대를 지면에 삽입하여 고정끈 고리에 걸어 사용하는 자립형 타프를 기술하고 있다.
하지만 고정끈 고리는 타프스킨(천)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통공이기 때문에 고정끈에 걸려 지속적으로 당겨지면 점차 늘어나거나 또는 찢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외에도 등록실용신안공보 1995-015955에서는 차양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걸림공에 폴대를 끼운 후 로프로 고정시켜 펼치는 텐트용 푸라이를 기술하고 있다.
이 경우에도 걸림공은 차양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통공이므로 자주 설치하다 보면 로프의 당기는 힘에 의해 차양이 미어지고 급기야 통공 부분이 찢어지게 되므로 내구도가 약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바람이 불면 차양의 걸림공이 날려 폴대에서 빠질 수 있어 설치 이후에 형태를 유지하는 견고함이 부족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타프에 타공이 형성되어 내구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바람에 날려 타프가 빠지는 문제점을 해결한 타프 폴대 체결구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타프 폴대 체결구는, 타프에 부착된 밴드가 봉재 결합되도록 일측에 형성된 제1밴드통공 및 타프 지지용 폴대 상부가 삽입되도록 반대편 타측에 형성된 제1폴대삽입구를 포함하는 판상형의 제1체결구; 및 타프에 부착된 밴드가 봉재 결합되도록 일측에 형성된 제2밴드통공, 말뚝에 묶여 지면에 고정될 로프가 체결되도록 반대편 타측에 형성된 로프통공 및 타프 지지용 폴대 상부가 삽입되도록 제2밴드통공과 로프통공 사이에 형성된 제2폴대삽입구를 포함하는 판상형의 제2체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제2체결구의 로프통공이 제1체결구와 겹치지 않도록 제2체결구가 제1체결구 보다 더 길고 제2체결구가 제1체결구 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제2밴드통공의 폭이 제1밴드통공의 폭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제1폴대삽입구 및 제2폴대삽입구는 길이방향으로 폭이 점점 좁아지도록 형성되고 제1폴대삽입구와 제2폴대삽입구는 형상이 상호 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제2체결구는 몸체의 너비가 일측에서 타측을 향해 점점 좁아지다가 로프통공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너비가 넓어지도록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타프 폴대 체결구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제1체결구와 제2체결구가 제1밴드통공 및 제2밴드통공을 이용하여 타프의 밴드와 함께 봉재 결합되므로 타프에 불필요한 타공을 뚫지 않으므로 타프의 내구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 제1체결구와 제2체결구에 제1폴대삽입구 및 제2폴대삽입구가 형성되어 폴대의 상단에 이중으로 결합되므로 고정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셋째, 제2체결구의 로프통공이 제1체결구와 겹치지 않도록 제2체결구가 길게 형성되므로 여타 간섭없이 로프를 로프통공에 통과시켜 쉽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제2밴드통공의 폭이 제1밴드통공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므로 제1체결구와 제2체결구 사이에 밴드가 껴서 유격이 발생하지 않고 서로 단단히 밀착하여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제1폴대삽입구 및 제2폴대삽입구는 길이방향으로 폭이 점점 좁아지도록 형성되고, 상호 대칭을 이루는 형태이므로 제1체결구는 타프에 의해 당겨지고 제2체결구는 로프에 의해 당겨지면서, 서로 좁아지는 제1, 제2폴대삽입구가 폴대를 단단히 물어 고정되기 때문에 바람이 불어도 폴대에서 빠지지 않고 형태가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제2체결구는 몸체의 너비가 일측에서 타측을 향해 점점 좁아지다가 로프통공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너비가 넓어지도록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되므로 로프통공에 결속되는 로프가 이탈하지 않고 고정돌기에 걸려 단단하게 결속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타프 폴대 체결구의 제1체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타프 폴대 체결구의 제2체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인 타프 폴대 체결구가 설치되는 것을 나타낸 상태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인 타프 폴대 체결구가 고정된 것을 나타낸 상태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인 타프 폴대 체결구의 제1, 제2폴대삽입구의 고정 상태를 나타낸 확대도.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고안인 타프 폴대 체결구는 제1체결구(100) 및 제2체결구(200)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타프 폴대 체결구가 주로 사용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는 장소는 야외이기 때문에 형태가 쉽게 변형되지 않는 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타프의 밴드와 봉재 결합되고 지면에 기립되어 있는 폴대의 상부에 삽입되며 로프에 의해 지면에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체결구(200)는 제1체결구(100)보다 수직방향으로 위에 위치하며, 아래에 위치한 제1체결구(100)부터 차례로 폴대에 삽입되어 사용된다.
도 1에 명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1체결구(100)는 납작한 판상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1밴드통공(110) 및 제1폴대삽입구(120)를 포함하고 있다.
제1밴드통공(110)은 타프에 부착된 밴드(B)와 봉재 결합되도록 제1체결구(100)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반대편 타측에는 제1폴대삽입구(120)가 형성되는데, 제1폴대삽입구(120)로 타프 지지용 폴대 상부가 삽입되어 타프를 고정하게 된다.
도 1에 명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폴대삽입구(120)는 길이 방향으로 즉 일측에서 타측을 향해 점차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폴대삽입구의 좁아지는 형태를 계란형으로 도시하였으나, 단지 길이방향으로 좁아지는 것이 명확하다면 어떠한 형태가 되어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제2체결구(200)는 도 2에 명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납작한 판상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1체결구(100) 보다 더 긴 길이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2체결구(200)는 제2밴드통공(210), 제2폴대삽입구(220), 로프통공(230) 및 고정돌기(24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2밴드통공(210)은 제2체결구(200)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밴드통공(110)과 봉재 결합되는 동일한 밴드(B)에 함께 봉재 결합된다.
이로써 제1, 제2밴드통공(110, 210)은 타프에 봉재 결합되어 있는 밴드(B)에 의해 하나로 결속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제2밴드통공(210)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제2밴드통공(210)의 폭이 제1밴드통공(110)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제2밴드통공(210)의 폭이 제1밴드통공(110)의 폭과 동일하다면, 형태의 변형이 비교적 자유로운 봉재 결합된 밴드(B)가 타프 설치 도중 제1, 제2체결구(100, 200) 사이에 껴서 유격이 발생할 수 있게 되고, 이러한 유격으로 인하여 서로 단단히 밀착하여 고정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제2밴드통공(210)의 폭을 넓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밴드통공(210)의 반대편 타측에는 로프통공(230)이 형성되어 있으며 로프통공(230)은 말뚝에 묶여 지면에 고정될 로프(R)와 결속되어 타프가 단단히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로프통공(230)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로프통공(230)이 제1체결구(100)와 겹치지 않도록 제2체결구(200)가 제1체결구(100) 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상기 로프통공(230)이 제1체결구(100)와 어느 정도 겹치게 된다면, 로프통공(230)과 체결되는 로프(R)의 두께로 인해 제1체결구(100)와 제2체결구(200)가 밀착되지 못하고 중간에 유격이 생기게 되며, 이러한 유격은 단단한 고정력을 저하시키게 되므로 제2체결구(200)가 제1체결구(100) 보다 더 길게 형성되고 제1체결구(100)와 겹치지 않도록 로프통공(23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예시로 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밴드통공(210)과 로프통공(230) 사이에는 타프 지지용 폴대 상부가 삽입되도록 제2폴대삽입구(220)가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명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2폴대삽입구(220)는 길이 방향으로 즉 타측에서 일측을 향해 점차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에서는 제2폴대삽입구(220)의 좁아지는 형태를 계란형으로 도시하였으나, 단지 길이방향으로 좁아지는 것이 명확하다면 어떠한 형태가 되어도 무방하다.
더욱 부가하자면 도 3에 명시된 바와 같이, 제1폴대삽입구(120)와 제2폴대삽입구(220)의 형태가 대칭이 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폴대에 삽입되면 폭이 점점 좁아지는 방향으로 폴대가 단단히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제2체결구(200)에는 고정돌기(240)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돌기(240)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도 2에 명시된 바와 같이 제2체결구(200)의 몸체의 너비가 일측에서 타측을 향해 점점 좁아지다가 로프통공(230)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고정돌기(240)가 돌출 형성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고안인 타프 폴대 체결구를 사용함에 있어서 바람직한 사용예시를 서술한다.
기본적으로 타프의 둘레를 따라 다수개의 밴드(B)가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밴드(B)는 타프와 봉재 결합되어 타프에 불필요한 타공을 만들지 않는 방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 내지 도 4에 명시된 바와 같이 제1, 제2밴드통공(110, 210)은 타프에 봉재 결합되어 있는 밴드(B)에 의해 하나로 결속되어 있다.
다음으로 폴대를 지면에 박아 고정시키고, 이때 기립한 폴대의 상단에 제1, 제2체결구(100, 200)의 제1, 제2폴대삽입구(120, 220)를 차례로 삽입하여 걸고 제2체결구(200)의 로프통공(230)을 통해 결속되어 있는 로프(R)를 말뚝에 걸어 지면에 박아 넣어 고정시킬 수 있다.
더욱 부가하여 설명하자면 도 3 내지 4에서는 로프(R)가 단지 단방향으로 고정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로프(R)를 삽입하고 반대편 타측으로 인출하여 각각 다른 말뚝에 결속시켜 지면에 고정할 수도 있다.
각각의 로프통공(230)에는 로프(R)를 걸 수 있는데 로프통공(230)에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돌기(240)가 돌출되어 있으므로 로프(R)의 일측에 매듭을 만들어 고정돌기(240)에 안착시킬 수 있다.
다수개의 폴대, 로프(R) 및 제1, 제2체결구(100, 200)를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조립함에 있어서 제1폴대삽입구(120) 및 제2폴대삽입구(220)의 역할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5에 명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점차 좁아지는 형태를 가지며 서로 대칭인 제1, 제2폴대삽입구(120, 220)가 폴대의 상부에 삽입되고, 제1체결구(100)는 타프를 향하는 방향으로 힘을 받아 폴대에 고정되며, 제2체결구(200)는 상기 로프(R)가 말뚝에 걸려 지면에 팽팽하게 고정되면 로프(R)와 결속된 로프통공(230)을 통해 전달되는 당기는 힘에 의해 로프(R)가 고정된 방향으로 즉, 제1체결구(100)와는 반대방향으로 팽팽하게 당겨지게 된다.
이때 서로 대칭이며 길이방향으로 점차 좁아지는 형태를 가지는 제1, 제2폴대삽입구(120, 220)는 폴대와 유격없이 서로 반대방향을 향해 잡아당기는 힘에 의해 고정되게 된다.
이렇게 하나의 폴대 당, 양방향으로 힘을 받아 타프가 고정되므로 강한 고정력을 유지할 수 있으며, 강한 고정력에도 타프에 불필요한 타공이 없고 봉재 결합되어 있으므로 쉽게 찢어지지 않게 된다.
100 : 제1체결구 110 : 제1밴드통공
120 : 제1폴대삽입구 200 : 제2체결구
210 : 제2밴드통공 220 : 제2폴대삽입구
230 : 로프통공 240 : 고정돌기
B : 밴드 R : 로프
T : 타프 P : 폴대

Claims (4)

  1. 타프에 부착된 밴드가 봉재 결합되도록 일측에 형성된 제1밴드통공 및
    타프 지지용 폴대 상부가 삽입되도록 반대편 타측에 형성된 제1폴대삽입구를 포함하는 판상형의 제1체결구; 및
    타프에 부착된 밴드가 봉재 결합되도록 일측에 형성된 제2밴드통공,
    말뚝에 묶여 지면에 고정될 로프가 체결되도록 반대편 타측에 형성된 로프통공 및
    타프 지지용 폴대 상부가 삽입되도록 제2밴드통공과 로프통공 사이에 제1폴대삽입구와 상호 대칭의 형상으로 형성된 제2폴대삽입구를 포함하며, 제1체결구 위에 제2폴대삽입구가 제1폴대삽입구와 길이방향으로 오프셋되게 배치되는 판상형의 제2체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제2체결구의 로프통공이 제1체결구와 겹치지 않도록 제2체결구가 제1체결구 보다 더 길고 제2체결구가 제1체결구 위에 위치하며,
    제1폴대삽입구와 제2폴대삽입구는 타프 지지용 폴대 상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타프 지지용 폴대 상부가, 길이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제1폴대삽입구의 타측 내면 및 제2폴대삽입구의 일측 내면에 밀착 지지되고, 길이방향으로 서로 대향되는 제1폴대삽입구의 일측 내면 및 제2폴대삽입구의 타측 내면으로부터 이격되는 타프 폴대 체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제2밴드통공의 폭이 제1밴드통공의 폭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프 폴대 체결구
  3. 제1항에 있어서, 제1폴대삽입구 및 제2폴대삽입구는 길이방향으로 폭이 점점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프 폴대 체결구.
  4. 제 1항에 있어서
    제2체결구는 몸체의 너비가 일측에서 타측을 향해 점점 좁아지다가 로프통공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너비가 넓어지도록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프 폴대 체결구.
KR2020150002861U 2015-05-06 2015-05-06 타프 폴대 체결구 KR2004821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2861U KR200482166Y1 (ko) 2015-05-06 2015-05-06 타프 폴대 체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2861U KR200482166Y1 (ko) 2015-05-06 2015-05-06 타프 폴대 체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908U KR20160003908U (ko) 2016-11-16
KR200482166Y1 true KR200482166Y1 (ko) 2016-12-23

Family

ID=57707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2861U KR200482166Y1 (ko) 2015-05-06 2015-05-06 타프 폴대 체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2166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467U (ko) 2019-05-02 2020-11-11 (주)에르젠아웃도어 캠핑 장비용 폴대
KR102355137B1 (ko) 2020-09-24 2022-02-07 (주)미래환경플랜건축사사무소 캠핑용 타프 고정용 폴
KR200496553Y1 (ko) 2022-10-06 2023-02-24 한경환 타프용 폴대 체결구
KR20240062021A (ko) 2022-11-01 2024-05-08 정환희 타프 설치용 지주 받침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8013B1 (ko) * 2020-05-08 2023-05-03 (주)코린토 레저용 다용도 걸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1547B2 (ja) * 1992-03-30 2000-07-31 マツダ株式会社 エンジン構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1547A (ja) * 1989-08-08 1991-03-27 Jeol Ltd オージェ電子分光装置のシリンドリカルミラーアナライザ
KR910008160Y1 (ko) * 1989-09-12 1991-10-12 주식회사 뉴-테크 텐트용 폴(Pole)홀더
JPH1181748A (ja) * 1997-09-08 1999-03-26 Sumitomo Rubber Ind Ltd プラスチック製のテント用シートホルダ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1547B2 (ja) * 1992-03-30 2000-07-31 マツダ株式会社 エンジン構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467U (ko) 2019-05-02 2020-11-11 (주)에르젠아웃도어 캠핑 장비용 폴대
KR102355137B1 (ko) 2020-09-24 2022-02-07 (주)미래환경플랜건축사사무소 캠핑용 타프 고정용 폴
KR200496553Y1 (ko) 2022-10-06 2023-02-24 한경환 타프용 폴대 체결구
KR20240062021A (ko) 2022-11-01 2024-05-08 정환희 타프 설치용 지주 받침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908U (ko) 2016-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2166Y1 (ko) 타프 폴대 체결구
US6226813B1 (en) Anchoring system for a beach blanket
US7472666B1 (en) Support frame for tarpaulin used for sheltering boats and other objects
US4175305A (en) Clip for gripping fabric or the like
US5771912A (en) Attachment device for erecting a tent
US5651633A (en) Tent pole fastener comprising clip and attached flexible tie
US6994099B2 (en) Shelter with twist tight canopy and method for assembling same
US8650725B1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ing a flexible panel
US20080053508A1 (en) Pole for holding and/or supporting tent sheets
US9874039B2 (en) Sheet material fastener device
CA2377297C (en) Tie down device and method of use
KR200467077Y1 (ko) 해치백 자동차의 텐트설치구조
KR101398241B1 (ko) 사철스프링을 이용한 비닐하우스용 비닐의 고정수단
KR101440243B1 (ko) 자립형 타프
JP4201450B2 (ja) テントの取り付け構造
JPS626208Y2 (ko)
CN205682662U (zh) 一种无需手持的雨伞
KR200496553Y1 (ko) 타프용 폴대 체결구
US20120118342A1 (en) Connector plate for tent assembly
JP2013221391A (ja) 本体を周縁支持したタープなどの張設用シート
US20120048175A1 (en) Bridge device for connecting a flag to a shackle
KR20130003465U (ko) 측량용 기준대의 깃발 결합 구조
JP2022031599A (ja) ビニールハウスにおけるシート押え紐の設置方法、及びシート押え紐の留め具
JPH026194Y2 (ko)
JP3100361U (ja) 天幕式テントにおける天幕取付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