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3465U - 측량용 기준대의 깃발 결합 구조 - Google Patents

측량용 기준대의 깃발 결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3465U
KR20130003465U KR2020110010730U KR20110010730U KR20130003465U KR 20130003465 U KR20130003465 U KR 20130003465U KR 2020110010730 U KR2020110010730 U KR 2020110010730U KR 20110010730 U KR20110010730 U KR 20110010730U KR 20130003465 U KR20130003465 U KR 2013000346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g
flagpole
surveying
base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107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창덕
Original Assignee
윤창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창덕 filed Critical 윤창덕
Priority to KR20201100107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3465U/ko
Publication of KR201300034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346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2Means for marking measuring p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G09F2017/0066Stands for fl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적 측량 또는 토목 측량의 기준이 되는 기준대에 깃발을 결합하기 위한 구조에 관한 것으로, 측량용 기준대를 구성하는 깃대 표면에 하나 이상의 단추 구멍을 형성하고, 깃발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단추 구멍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스냅 단추를 설치한 구조와, 측량용 기준대를 구성하는 깃대와 깃대 표면의 깃발을 동시에 감싸 고정하는 고정 클립을 통한 깃발 결합 구조, 및 측량용 기준대를 구성하는 깃대의 표면과 그 표면에 대응하는 깃발의 일측 단부에 각각 벨크로 테이프를 설치한 구조로부터 측량용 기준대의 깃대에 대한 깃발을 보다 간단한 탈부착이 가능하고, 아울러 강한 바람이나 외부 충격에도 깃발이 깃대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고 매우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측량용 기준대의 깃발 결합 구조{FLAG COUPLING STRUCTURE IN FOCAL POINT FOR SURVEYING INSTRUMENT}
본 고안은 지적 측량 또는 토목 측량의 기준이 되는 기준대에 깃발을 결합하기 위한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깃발의 탈착이 용이하고 결합 후의 상태가 보다 견고하도록 한 측량용 기준대의 깃발 결합 구조에 관한 것이다.
건축이나 토목 건설공사 현장에서 실시되는 지적 또는 토목 측량은 일반적으로 측량기와 기준대를 사용하여 현 위치와 각 기준점의 위치 사이의 수평, 방위 및 거리를 측정하게 된다.
특히, 측량기를 사용하여 수평, 방위 및 거리를 측정함에 있어서 기준대의 위치 식별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기준대의 상단에 깃발을 결합하여 기준대의 위치를 표시하게 된다.
이와 같이 기준대에 깃발을 결합함에 있어서 종래에는 보통 노끈이나 접착 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일일이 묶어 사용하였는데, 측량 현장에서 사용되는 기준대의 수가 상당하므로 일일이 깃발을 묶거나 테이프로 감아서 사용하기에는 작업 여건상 매우 번거롭고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투입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깃발 결합 후에도 깃발의 묶은 상태나 바람 등의 원인에 의해 탈락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어 작업 진행에 애로점을 제공하므로 이에 대한 시급한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본 고안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과 결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주된 목적은 많은 수의 측량용 기준대에 깃발을 결합함에 있어서 보다 간단히 탈부착할 수 있게 하여 깃발 결합에 소요되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한편, 깃발의 결합 상태도 보다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함에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1 형태로서, 측량용 기준대를 구성하는 깃대 표면에 하나 이상의 단추 구멍을 형성하고, 깃발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단추 구멍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스냅 단추를 설치하여 상기 깃대에 대한 스냅 단추의 탈착에 의해 깃발의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한 측량용 기준대의 깃발 결합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단추 구멍의 변형으로 2개 이상의 구멍이 상하 연결된 형태를 갖되, 상부의 구멍은 상기 스냅 단추의 억지 끼움이 가능한 대경부로 구성되고, 하부의 구멍은 상기 스냅 단추의 이탈이 불가능한 소경부로 구성되며, 대경부와 소경부의 연결 부분은 상기 스냅 단추의 단추 목 부분이 억지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제공되어 깃발의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깃발 결합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2 형태로서, 측량용 기준대를 구성하는 깃대와 깃대 표면의 깃발을 동시에 감싸 고정하는 고정 클립을 통한 측량용 기준대의 깃발 결합 구조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고정 클립은 깃대의 표면 일부를 감싸 밀착되는 둥근 면을 가진 소정의 탄성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둥근 면의 일측은 깃대에 대하여 고정 클립의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외측으로 개방된 개방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개방부의 앞단은 깃대에 대하여 끼워짐이 용이하도록 외측으로 벌어진 형태로 제공되고, 상기 개방부의 후단은 오목한 형태로 이루어져 깃대에 대하여 탄력에 의한 조임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위 제2 형태의 변형으로 상기 깃발의 일측 단부에 고정 클립의 둥근 면이 끼워지는 구멍을 상기 고정 클립의 개수에 맞게 상하 일정 간격으로 형성하고, 상기 각 구멍에는 고정 클립을 끼워넣은 상태로 각각의 고정 클립을 개방부로부터 깃대 표면에 끼움 고정하도록 한 깃발 결합 구조를 제공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3 형태로서, 측량용 기준대를 구성하는 깃대의 표면과 그 표면에 대응하는 깃발의 일측 단부에 각각 벨크로 테이프를 설치하여, 측량용 기준대의 깃대에 대한 깃발의 간편한 탈부착 및 안정적인 결합이 가능하도록 한 깃발 결합 구조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된 구성으로부터 본 고안은 측량용 기준대의 깃대에 대한 깃발을 보다 간단한 탈부착이 가능하고, 아울러 강한 바람이나 외부 충격에도 깃발이 깃대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고 매우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측량용 기준대의 깃발 결합 구조의 제1 실시예로서, 도 1은 깃발 결합 전 분리 상태도, 도 2는 깃발 결합 후의 조립 상태도;
도 3은 도 1의 깃대 표면에 형성된 단추 구멍의 변형례를 도시한 도면;
도 4 내지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측량용 기준대의 깃발 결합 구조의 제2 실시예로서, 도 4는 깃발 결합 전 분리 상태도, 도 5는 깃발 결합 후의 조립 상태도;
도 6은 도 4에 따른 깃발 결합 구조의 변형례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측량용 기준대의 깃발 결합 구조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측량용 기준대의 깃발 결합 구조에 관한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깃발 결합 전의 분리 상태도이고, 도 2는 깃발 결합 후의 조립 상태도이다.
도 1에 따르면, 본 고안은 측량용 기준대(10)의 깃대(11) 표면에 하나 이상의 단추 구멍(12)을 형성하고, 깃발(20)의 끝단에는 하나 이상의 스냅 단추(21; 일명‘똑딱이 단추’)를 장착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깃발(20)은 보통 삼각형 내지는 사각형의 형태로 제공되므로 넓은 쪽 단부에 스냅 단추(21)를 장착할 경우 적어도 2개 이상이 결합됨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깃대(11)의 표면에도 스냅 단추(21)가 삽입되는 2개 이상의 단추 구멍(1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고안은 측량용 기준대(10)에 깃발(20)을 결합할 경우 깃발(20) 표면의 스냅 단추(21)를 간단히 깃대(11)의 단추 구멍(12)에 끼워 고정하고, 분리시에도 간단히 단추를 빼내어 깃발을 분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와 반대로 측량용 기준대의 깃대에 스냅 단추를 배치하고 깃발의 단부에는 단추 구멍을 배치하여 구성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깃발의 결합과 분리는 상기와 반대로 이루어진다.
도 3은 도 1의 깃대 표면에 형성되는 단추 구멍의 변형례를 도시한 것으로, 강한 바람이나 외부 충격에도 깃발(20; 도 1)이 측량용 기준대(10′)의 깃대(11′)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고 보다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하도록 스냅 단추(21; 이하‘단추’)가 단추 구멍(12′)에 다단계로 끼워지는 결합 형태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단추 구멍(12′)은 2개 이상의 구멍이 상하 연결된 형태로서, 상부의 구멍은 단추의 억지 끼움이 가능한 대경부(13)로 제공되고, 하부의 구멍은 단추의 이탈이 불가능한 소경부(14)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단추 구멍(12′)의 대경부(13)와 소경부(14)의 연결 부분은 단추 목 부분이 억지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제공됨이 바람직한데, 이에 따라 대경부(13)에서 소경부(14)로 이동한 단추는 강한 바람이나 외부 충격에 의해서도 쉽게 이탈됨이 없이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물론 대경부와 소경부의 상하 위치는 반대로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측량용 기준대의 깃발 결합 구조에 관한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4는 깃발 결합 전의 분리 상태도이고, 도 5는 깃발 결합 후의 조립 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깃발(20′)과 측량용 기준대(10″)의 깃대(11″)를 동시에 감싸 고정하는 고정 클립(30)을 통한 결합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클립(30)은 깃대(11″)의 표면 일부를 감싸도록 소정 폭의 둥근 면(31)을 가지는 탄성체로 이루어지고, 둥근 면(31)의 일측은 깃대(11″)에 대하여 클립의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외측으로 열림 상태에 있는 개방부(32)로 이루어진다.
고정 클립(30)은 깃대(11″) 표면에 소정 이상의 밀착 강도로 조여짐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 개방부(32)의 앞단은 끼워짐이 용이하도록 외측으로 벌어진 형태로 제공되고, 개방부(32)의 후단은 내측으로 오목한 조임부(33)로 이루어져 깃대(11″)에 대하여 탄력에 의한 조임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형태에서 본 고안은 깃발(20′)의 넓은 쪽 단부를 깃대(11″) 표면에 둘러 감싼 상태로 여기에 고정 클립(30)을 끼워 깃발(20′)을 깃대 표면에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고정 클립(30)은 깃발(20′)의 크기에 따라 2개 이상을 일정한 간격으로 끼워 고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보다 간편하고 견고하게 깃발(20′)을 깃대(11″)에 결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경우 깃발(20′)을 깃대(11″)에서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고정 클립(30)의 개방부(32)를 벌려주어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다.
도 6은 도 4에 따른 측량용 기준대의 깃발 결합 구조의 변형례를 도시한 것으로, 고정 클립(30)을 결합하기 전 깃대(11″) 표면에 깃발을 둘러 감싸야 하는 번거로움 없이 단지 고정 클립(30)의 결합을 통해 깃발(20″)을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깃발(20″)의 넓은 쪽 단부에 고정 클립(30)의 둥근 면(31; 도 4)이 끼워지는 구멍(22)을 고정 클립(30)의 개수에 맞게 상하 일정 간격으로 형성하고, 이들 각각의 구멍(22)에 고정 클립(30)을 끼워 넣은 상태로 고정 클립(30)의 개방부(32; 도 4)를 통해 깃대(11″)의 표면에 장착함으로써 깃발을 깃대에 매우 간편하게 결합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측량용 기준대의 깃발 결합 구조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측량용 기준대의 깃대 표면과 깃발 사이에 벨크로 테이프를 통한 결합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측량용 기준대(10″′)의 깃대(11″′) 표면과 깃발(20″′)의 넓은 쪽 단부에 각각 벨크로 테이프(23)(15)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깃대 표면에 깃발을 둘러 감싸거나 단추 또는 클립을 뺏다 끼웠다 하는 수고없이 매우 간단하게 깃발의 탈부착이 가능하며, 아울러 강한 바람이나 외부 충격에도 깃발이 깃대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고 매우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Claims (5)

  1. 측량용 기준대를 구성하는 깃대 표면에 하나 이상의 단추 구멍을 형성하고, 깃발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단추 구멍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스냅 단추를 설치하여 상기 깃대에 대한 스냅 단추의 탈착에 의해 깃발의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한 측량용 기준대의 깃발 결합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추 구멍은 2개 이상의 구멍이 상하 연결된 형태를 갖되, 상부의 구멍은 상기 스냅 단추의 억지 끼움이 가능한 대경부로 구성되고, 하부의 구멍은 상기 스냅 단추의 이탈이 불가능한 소경부로 구성되며, 대경부와 소경부의 연결 부분은 상기 스냅 단추의 단추 목 부분이 억지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제공되어 깃발의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량용 기준대의 깃발 결합 구조.
  3. 측량용 기준대를 구성하는 깃대와 깃대 표면의 깃발을 동시에 감싸 고정하는 고정 클립을 통한 측량용 기준대의 깃발 결합 구조로서,
    고정 클립은 깃대의 표면 일부를 감싸 밀착되는 둥근 면을 가진 소정의 탄성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둥근 면의 일측은 깃대에 대하여 고정 클립의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외측으로 개방된 개방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개방부의 앞단은 깃대에 대하여 끼워짐이 용이하도록 외측으로 벌어진 형태로 제공되고, 상기 개방부의 후단은 오목한 형태로 이루어져 깃대에 대하여 탄력에 의한 조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량용 기준대의 깃발 결합 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깃발의 일측 단부에 고정 클립의 둥근 면이 끼워지는 구멍을 상기 고정 클립의 개수에 맞게 상하 일정 간격으로 형성하고, 상기 각 구멍에는 고정 클립을 끼워넣은 상태로 각각의 고정 클립을 개방부로부터 깃대 표면에 끼움 고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량용 기준대의 깃발 결합 구조.
  5. 측량용 기준대를 구성하는 깃대의 표면과 그 표면에 대응하는 깃발의 일측 단부에 각각 벨크로 테이프를 설치하여 상기 측량용 기준대의 깃대에 대한 깃발의 간편한 탈부착 및 안정적인 결합이 가능하도록 한 측량용 기준대의 깃발 결합 구조.
KR2020110010730U 2011-12-02 2011-12-02 측량용 기준대의 깃발 결합 구조 KR2013000346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730U KR20130003465U (ko) 2011-12-02 2011-12-02 측량용 기준대의 깃발 결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730U KR20130003465U (ko) 2011-12-02 2011-12-02 측량용 기준대의 깃발 결합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465U true KR20130003465U (ko) 2013-06-12

Family

ID=53683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10730U KR20130003465U (ko) 2011-12-02 2011-12-02 측량용 기준대의 깃발 결합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3465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7003B1 (ko) * 2019-07-16 2020-09-16 이재영 측량용 깃발
KR20230036217A (ko) * 2021-09-07 2023-03-14 최미정 깃발형 측량표시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7003B1 (ko) * 2019-07-16 2020-09-16 이재영 측량용 깃발
KR20230036217A (ko) * 2021-09-07 2023-03-14 최미정 깃발형 측량표시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6868Y1 (ko) 착탈식 차광막 고정구
RU2017116845A (ru) Украшения для волос и метод крепления
KR20130003465U (ko) 측량용 기준대의 깃발 결합 구조
KR20160003908U (ko) 타프 폴대 체결구
KR200487940Y1 (ko) 텐트용 연결구 및 그것을 구비하는 텐트
KR20190012342A (ko) 탄성 결합부를 갖는 배너 거치대
US10000904B2 (en) Securing system for basketball pole
KR200464193Y1 (ko) 머리끈
US20120222271A1 (en) Shoelace locking structure
KR101440243B1 (ko) 자립형 타프
KR200476867Y1 (ko) 코일형 차광막 고정구
KR101360840B1 (ko) 안내표지판 고정구
KR101186501B1 (ko) 배관 고정장치
JP3130114U (ja) 電柱標識板等の取付け具
JP3157453U (ja) 靴紐留め装置
JP6216661B2 (ja) 膜天井固定ユニット
US20070107285A1 (en) Detachable cross-arm for real estate signs
JP6908321B1 (ja) バレーボールアンテナ取付具
CN217879678U (zh) 一种光缆普查仪的检测用辅助支架
CN220675330U (zh) 一种首饰连接用的三通件
KR200327674Y1 (ko) 연장 가능한 인장연결체가 구비된 안내판
JP2013247699A (ja) ワイヤーハーネス、ワイヤーハーネスの製造方法及び分岐用部材
CN211513340U (zh) 一种球和拍一体式新型乒乓球拍
KR102290692B1 (ko) 인삼재배용 차광부재 고정타이
US20050209028A1 (en) Badminton net re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