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2342A - 탄성 결합부를 갖는 배너 거치대 - Google Patents

탄성 결합부를 갖는 배너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2342A
KR20190012342A KR1020170095092A KR20170095092A KR20190012342A KR 20190012342 A KR20190012342 A KR 20190012342A KR 1020170095092 A KR1020170095092 A KR 1020170095092A KR 20170095092 A KR20170095092 A KR 20170095092A KR 20190012342 A KR20190012342 A KR 201900123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ner
vertical
holder
coupled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5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창모
Original Assignee
데코미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코미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데코미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95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12342A/ko
Publication of KR20190012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23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5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portable display standar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25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display surface tensioning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68Modular articulated structures, e.g. stands, and articulation mean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2015/0093Tensioned struct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배너 거치대는 받침대, 받침대에서 상방으로 결합하고 배너를 내장 지지하는 수직대, 수직대의 내측면에 결합하는 다수의 걸림 고정부, 그리고 일측은 배너에 결합하고 타측은 걸림 고정부에 결합하여 배너를 걸림 고정부의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 결합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탄성 결합부를 갖는 배너 거치대{Banner Stand with Elastic Hook}
본 발명은 광고 내용이 인쇄(실사출력물 포함)된 배너를 지지 고정하는 배너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배너를 탄성 지지하는 배너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광고판, 전광판, 현수막, 배너 거치대 등은 대중에게 특정 정보를 알리기 위해 자주 사용되고 있다.
광고판이나 전광판은 벽면이나 옥상에 고정 설치하여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에 주로 이용하고, 현수막은 벽면, 가로수, 전봇대의 사이에 걸어 사용하는 경우에 주로 이용한다. 이들 광고 수단은 설치 장소나 시간에서 어느 정도 자유롭기는 하지만, 배너 거치대에 미치지는 못한다. 배너 거치대는 천이나 시트 등에 광고가 인쇄한 배너를 수직 형태로 세워 실외 또는 실내에 비치하여 사용한다.
한국특허등록 제1423096는 바람이 강하게 불더라도 배너가 거치대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배너의 상부 양측과 하부 양측을 고리를 이용해 견고히 고정한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한국특허등록 제1415393는 장시간 사용에도 배너광고 시트가 구겨지지 않도록 배너광고 시트를 장력으로 팽팽히 당겨 설치하고 있으며, 또한 배너광고 시트를 외력이나 충격에 의해 손상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는 구조의 배너 거치대를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배너 거치대는 배너를 평평하게 지지하는데 한계가 있고, 또한 배너가 배너 결합부나 배너 거치대에 겹쳐 결합되어 배너가 손상되거나 배너나 배너 거치대의 미관이 해쳐지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첫째, 배너를 평평하게 지지할 수 있고,
둘째, 배너와 배너 거치대가 결합하는 부분에서 배너가 배너 거치대와 겹치지지 않아 배너 또는 배너 거치대의 외관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는, 배너 거치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배너 거치대는 받침대, 수직대, 걸림 고정부, 탄성 결합부 등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받침대는 바닥에 놓여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
수직대는 받침대에서 상방으로 결합하고 배너를 내장 지지할 수 있다.
걸림 고정부는 수직대의 내측면에 결합하며 다수를 구비할 수 있다.
탄성 결합부는 일측이 배너에 결합하고 타측이 걸림 고정부에 결합하여 배너를 걸림 고정부의 방향으로 탄성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너 거치대에서, 걸림 고정부는 고정 몸체, 걸림턱을 구비할 수 있다.
고정 몸체는 일측이 수직대의 내측면에 결합하고 타측은 수직대의 중앙 방향으로 돌출하는 형태일 수 있다.
걸림턱은 고정 몸체의 타측에 구비되어 탄성 결합부의 타측을 선택적으로 걸어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너 거치대에서, 걸림턱은 수직대의 전방과 후방에 대칭되게 2개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너 거치대에서, 탄성 결합부는 탄성 몸체, 걸림 고리, 배너 고리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탄성 몸체는 길이 방향을 따라 수축 탄성을 가질 수 있다.
걸림 고리는 일측이 탄성 몸체의 일측에서 연장되고 타측은 걸림턱에 선택적으로 걸려 지지될 수 있다.
배너 고리는 일측이 탄성 몸체의 타측에서 연장되고 타측은 배너의 모서리 또는 꼭지점에 형성되는 배너 결합공에 삽입되어 배너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배너 고리는 길이를 배너의 측단과 배너 결합공 사이의 간격보다 크게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너 거치대에서, 걸림턱은 걸림 고리의 유동을 저지하는 곡면 또는 각형의 함몰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배너 거치대에 의하면, 수직대의 내부에 내장 지지되는 배너를 배너의 꼭지점 또는 측방에서 탄성적으로 잡아당겨 배너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배너 거치대에 의하면, 배너와 배너 거치대가 결합하는 부분에서 배너가 배너 거치대와 겹치지 않아 배너가 손상되지 않을 뿐 아니라 배너 거치대에 지지된 배너도 양호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너 거치대에 배너를 결합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너 거치대에서 배너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너 고정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너 거치대에 배너를 결합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너 거치대는 받침대(100), 수직대(200), 배너 고정부(300)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받침대(100)는 배너 거치대의 하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바닥에 수평으로 놓여 질 수 있다. 도 1에서는 각 파이프를 'H'자 형상으로 결합한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원형 프레임, 물통 등과 같이 배너 거치대의 하부에서 수평을 유지하면서 상부에 결합하는 수직대(200)를 지지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떤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수직대(200)는 배너(400)를 내장하면서 지지하는 것으로, 받침대(100)에서 상방으로 수직되게 결합할 수 있다. 배너(400)는 보통 사각 형상을 갖는데, 이 경우 수직대(200)는, 도 1의 도시와 같이, 각 파이프를 사각 형상으로 연결한 형태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그렇지 않고, 배너(400)가 원형 형상일 때에는 수직대(200)를 원형 형상으로, 또는 배너(400)가 삼각 형상일 때에는 수직대(200)를 삼각 형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나, 배너(400)를 내장하여 결합할 수 있는 것이면 수직대(200) 형상을 배너(400) 형상과 동일하게 구성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배너 고정부(300)는 배너(400)를 수직대(200)에 고정 지지하는 것으로, 배너(400)와 수직대(200)가 사각 형상이면, 수직대(200)의 내측면 등에 구비할 수 있다.
배너 고정부(300)는 수직대(200)에 결합 고정되는 걸림 고정부와 배너(400)를 선택적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 결합부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걸림 고정부는 일측이 수직대(200)의 내측면에 결합하고 타측은 수직대(200)의 내측면에서 돌출하는 형태일 수 있다. 걸림 고정부는, 도 1의 도시와 같이, 수직대(200)의 꼭지점마다 하나씩, 즉 4개를 구비할 수 있다.
탄성 결합부는 일측이 배너(400)에 결합하고 타측은 걸림 고정부에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배너(400)를 걸림 고정부의 방향으로 탄성 지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너 거치대에서 배너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너 고정부(300)는 일측이 수직대(200)에 결합하여 고정되고 타측은 자유단이 되어 배너(400)의 배너 결합공(H)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면서 배너(400)의 꼭지점 등을 탄성적으로 당겨 지지할 수 있다.
배너 고정부(300)의 걸림 고정부는, 도 2의 확대도와 같이, 일측이 수직대(200)에 용접 등으로 결합 고정되고, 타측은 고리 형태를 구비하는 자유단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배너 고정부(300)는 배너(400)을 전방 및 후방에 각각 결합할 수 있도록 전후방 대칭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배너 고정부(300)의 탄성 결합부는 양단에 고리 형태를 구비하고 중앙에 수축 탄성력을 부여한 형태일 수 있다. 배너 고정부(300)의 탄성 결합부는 걸림 고정부의 수만큼, 또는 전방과 후방에 2개 배너(400)를 결합하는 경우에는 걸림 고정부 수의 2배, 즉 8개를 구비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너 고정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너 고정부(300)는 걸림 고정부(310), 탄성 결합부(320)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걸림 고정부(310)는 고정 몸체(311), 걸림턱(313) 등을 구비할 수 있다.
고정 몸체(311)는 일측이 수직대(200)의 내측벽에 결합 고정되고 타측은 수직대(200)에서 멀어지는 방향, 즉 중앙 방향으로 돌출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몸체(311)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긴 변을 수직대(200)의 폭 방향으로 정렬하여 수직대(200)에 결합하고, 이 경우 일측은 수직대(200)에 용접 등으로 결합된다. 고정 몸체(311)의 일측은 평면 형상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수직대(200)의 꼭지점 내측면 형상에 부합되게 삼각대 형상으로 구성하는 바람직할 수 있다.
걸림턱(313)은 고정 몸체(311)의 타측에 자유단 형태로 구비할 수 있다. 걸림턱(313)은 탄성 결합부(320)의 일측이 선택적으로 걸리는 것으로, 고리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걸림턱(313)은, 탄성 결합부(320)의 일측이 걸려 결합될 때 탄성 결합부(320)의 일측이 걸림턱(313)에 고정되어 흔들리지 않도록, 즉 유동이 저지되도록 곡면이나 각형의 함몰부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들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턱(313)은 고정 몸체(311)의 측방에서 자유단 쪽으로 가면서 곡면 절결되고, 측방은 개방되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걸림턱(313)은 고정 몸체(311)의 한쪽에만 1개를 구비하거나 양쪽에 대칭되게 2개를 구비할 수 있다.
탄성 결합부(320)는 탄성 몸체(321), 걸림 고리(323), 배너 고리(325)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탄성 몸체(321)는 원형으로 권취된 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고, 길이 방향을 따라 늘어난 후 원래 형태로 복원하는 수축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걸림 고리(323)는 일측이 탄성 몸체(321)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걸림턱(313)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걸림 고리(323)는 원형, 사각형 등의 고리로 구성할 수 있다. 걸림 고리(323)는 걸림턱(313)이 개방 구조를 갖기 때문에 폐쇄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배너 고리(325)는 일측이 탄성 몸체(321)의 타측에서 연장되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배너 고리(325)는 타측이 배너(400)의 모서리 또는 꼭지점에 구비되는 배너 결합공(H)에 삽입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배너 고리(325)는 적어도 단부를 고리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배너 고리(325)는 그 길이(d2)를 배너(400)의 측단과 배너 결합공(H) 사이의 간격(d1)보다 크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배너(400)의 꼭지점 영역이나 모서리 영역이 탄성 몸체(321)까지 겹쳐 배너(400)의 꼭지점 영역이나 모서리 영역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휘어지거나 구부려지거나 또는 끼워져 배너(400)의 외관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여러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이다. 통상의 기술자라면, 위 실시예를 다른 형태로 변형하거나 수정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출원의 권리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므로, 그러한 변형이나 수정이 아래의 청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100 : 받침대 200 : 수직대
300 : 배너 고정부 310 : 걸림 고정부
311 : 고정 몸체 313 : 걸림턱
320 : 탄성 결합부 321 : 탄성 몸체
323 : 걸림 고리 325 : 배너 고리
400 : 배너 H : 배너 결합공

Claims (5)

  1. 배너 거치대에 있어서,
    받침대;
    상기 받침대에서 상방으로 결합하고 배너를 내장 지지하는 수직대;
    상기 수직대의 내측면에 결합하는 다수의 걸림 고정부;
    일측은 배너에 결합하고 타측은 상기 걸림 고정부에 결합하여 배너를 상기 걸림 고정부의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결합부를 갖는 배너 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고정부는
    일측은 상기 수직대의 내측면에 결합하고 타측은 상기 수직대의 중앙 방향으로 돌출하는 고정 몸체;
    상기 고정 몸체의 상기 타측에 상기 탄성 결합부의 상기 타측을 선택적으로 걸어 지지하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결합부를 갖는 배너 거치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상기 수직대의 전방과 후방에 대칭되게 2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결합부를 갖는 배너 거치대.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결합부는
    길이 방향을 따라 수축 탄성을 갖는 탄성 몸체;
    일측은 상기 탄성 몸체의 일측에서 연장되고 타측은 상기 걸림턱에 선택적으로 걸려 지지되는 걸림 고리;
    일측은 상기 탄성 몸체의 타측에서 연장되고 타측은 배너의 모서리 또는 꼭지점에 형성되는 배너 결합공에 삽입되어 배너를 탄성 지지하되, 길이가 배너의 측단과 상기 배너 결합공 사이의 간격보다 큰 배너 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결합부를 갖는 배너 거치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상기 걸림 고리의 유동을 저지하는 곡면 또는 각형의 함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결합부를 갖는 배너 거치대.
KR1020170095092A 2017-07-27 2017-07-27 탄성 결합부를 갖는 배너 거치대 KR201900123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5092A KR20190012342A (ko) 2017-07-27 2017-07-27 탄성 결합부를 갖는 배너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5092A KR20190012342A (ko) 2017-07-27 2017-07-27 탄성 결합부를 갖는 배너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2342A true KR20190012342A (ko) 2019-02-11

Family

ID=65370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5092A KR20190012342A (ko) 2017-07-27 2017-07-27 탄성 결합부를 갖는 배너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1234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3180B1 (ko) 2019-06-25 2020-01-08 (주)소나무그래픽 접이식 스탠딩 배너
KR102053179B1 (ko) 2019-06-25 2020-01-08 (주)소나무그래픽 분리형 스탠딩 배너
KR20210006057A (ko) * 2019-07-08 2021-01-18 데코미공업 주식회사 배너 거치대
KR102455792B1 (ko) * 2021-06-18 2022-10-18 조성일 배너 거치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3180B1 (ko) 2019-06-25 2020-01-08 (주)소나무그래픽 접이식 스탠딩 배너
KR102053179B1 (ko) 2019-06-25 2020-01-08 (주)소나무그래픽 분리형 스탠딩 배너
KR20210006057A (ko) * 2019-07-08 2021-01-18 데코미공업 주식회사 배너 거치대
KR102455792B1 (ko) * 2021-06-18 2022-10-18 조성일 배너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12342A (ko) 탄성 결합부를 갖는 배너 거치대
US20140014024A1 (en) Flag Retention Clips
US5694733A (en) Flag/banner display system
US20130047478A1 (en) Sign display device and system for interchanging signs and banners
US8677663B1 (en) Sign display
US9069239B2 (en) Collapsible display means
KR20170035490A (ko) 현수막 및 배너광고물
US20180240380A1 (en) Pole-mountable display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KR200410843Y1 (ko) 현수막 거치대
US20060207494A1 (en) Staff-mounted banner
KR20060012338A (ko) 상부 구조물에 지탱하여 사용하는 현수막 거치대
US5544850A (en) Banner holding device
US8474394B2 (en) Vertical flag display apparatus
KR200371463Y1 (ko) 현수막 거치대
US20200273386A1 (en) Temporary Outdoor Banner and Sign Display Device
JP3074785U (ja) 立看板固定装置
KR200474163Y1 (ko) 발광장치가 설치되어 야간에도 광고가 가능한 배너광고거치대
US9881527B1 (en) Flexible tensioned banner
GB2483786A (en) Double sided display sign with band of display material tensioned by spring biased frame.
US2109330A (en) Sign
US20090139441A1 (en) Wrap around banner
KR102288518B1 (ko) 다중 배너 거치대
KR200404960Y1 (ko) 광고판 지지대의 각도조절용 받침대 지지판 구조
KR200493870Y1 (ko) 배너 걸이용 브라켓 및 그를 포함하는 배너 걸이 장치
JP3068685U (ja) シ―ト状物の取付用フレ―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