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6301B1 - H형강 기둥과 수평보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H형강 기둥과 수평보의 결합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66301B1 KR100766301B1 KR1020060062002A KR20060062002A KR100766301B1 KR 100766301 B1 KR100766301 B1 KR 100766301B1 KR 1020060062002 A KR1020060062002 A KR 1020060062002A KR 20060062002 A KR20060062002 A KR 20060062002A KR 100766301 B1 KR100766301 B1 KR 10076630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plate
- horizontal beam
- beams
- horizontal
- pilla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4
- 23000000180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5000020637 scallop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41000237509 Patinopecten sp.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5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41000237503 Pectin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324 bea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47 exhibi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0—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15—Brackets, gussets, joining plates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H형강 기둥과 수평보의 결합구조 및 그에 따른 결합방법은 서포트 플레이트의 3면이 H형강 기둥 약축부분의 플랜지 및 웨브와 용접 고정되기 때문에, 용접량 및 용접길이를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그 접합상세가 단순하여 접합부에 대한 힘의 흐름이 단순 명쾌해짐에 따라 접합부의 구조설계가 간편해지며, 서포트 플레이트가 평판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제작이 용이하고, 이에 따른 제작비용의 절감 및 시공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H형강 기둥-보의 접합구조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H형강 기둥과 수평보의 결합구조가 도시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H형강 기둥과 수평보의 결합구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H형강 기둥과 수평보의 결합과정이 도시된 조립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서포트 플레이트가 도시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H형강 기둥과 수평보의 결합방법이 도시된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 H형강 기둥 12 : 플랜지
14 : 웨브 20 : 하부 서포트 플레이트
22 : 체결구멍 30 : 상부 서포트 플레이트
50 : 수평보 52 : 체결구멍
60 : 체결부재 62 : 고력볼트
64 : 너트
본 발명은 H형강 기둥과 수평보의 결합구조 및 그에 따른 결합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H형강을 이용한 기둥-보 결합 시 H형강 기둥과 보의 결합시간을 단축시키고, 설치가 용이한 H형강 기둥과 수평보의 결합구조 및 그에 따른 결합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H형강 기둥-보의 접합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H형강 기둥-보의 접합구조는 H형강으로 이루어진 기둥(1)과, 상기 기둥에 고정되는 브라켓(2)과, 용접 H형강으로 이루어져 상기 브래킷(2)에 수평하게 접합되는 보(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브라켓(2)은 상기 기둥(1)에 용접으로 고정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기둥(1)과 직교하도록 수평하게 돌출되어 형성되는 용접 H형강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브라켓(2)과 상기 보(5)는 수평하게 위치된 후, 상하부 플레이트(6)(8) 및 웨브 플레이트(7)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조립 플레이트(6)(7)(8)에 체결된 고력볼트(9)에 의해 상기 브라켓(2) 및 상기 보(5)가 연결 고정된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따른 H형강 기둥-보의 접합구조는 수평으로 설치되는 상기 보(5)의 설치 시 상기 기둥(1)에서 수평하게 돌출된 브라켓(2)과, 상기 브라켓(2)과 상기 보(5)를 연결하는 상하부 플레이트(6)(8), 웨브 플레이트(7) 및 체결용 고력볼트(9)가 요구되기 때문에 접합에 필요한 부품이 많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H형강 기둥-보의 접합방법은 상기 상하부 플레이트(6)(8) 및 웨브 플레이트(7)의 설치 시 상기 보(5)와 상기 브라켓(2)의 높낮이가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상기 보(5)를 이동시키는 크레인의 사용시간을 장시간 점유해야 하기 때문에, 건설공사의 공사시간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H형강 기둥-보의 접합구조는 상기 기둥(1)에 상기 보(5)를 설치하기 위해 상기 브라켓(2)을 통해 상기 기둥(1) 및 상기 보(5)가 연결되어야 하기 때문에, 서로 수평하게 설치된 브래킷(2) 및 보(5)를 연결하기 위해 여러 개의 조립 플레이트(6)(7)(8)가 사용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각 조립 플레이트(6)(7)(8)를 고정하기 위한 작업시간이 오래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H형강 기둥의 약축 부분에 대한 기둥-보 결합 시 H형강 기둥과 수평보의 결합시간을 단축시키고, 설치가 용이한 H형강 기둥의 약축부분에 대한 기둥-보의 결합구조 및 결합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평보를 이동시키는 크레인의 사용시간을 최소화하는 H형강 기둥과 수평보의 결합구조 및 그에 따른 결합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 다.
또한 본 발명은 H형강 기둥과 수평보를 연결하는 서포트 플레이트를 개발하여 결합 시간 및 설치가 용이한 H형강 기둥과 수평보의 결합구조 및 그에 따른 결합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특징에 따른 H형강 기둥-보 결합구조는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된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를 연결하는 웨브로 구성된 H형강의 기둥과; 상기 기둥의 상기 플랜지 및 상기 웨브와 접하여 고정되는 서포트 플레이트와; 상기 각 기둥의 서포트 플레이트에 거치되어 고정되는 수평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수평보는 H형강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는 상기 수평보의 하부에 위치되는 하부 서포트 플레이트와; 상기 수평보의 상부에 위치되는 상부 서포트 플레이트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는 3면 가장자리에 용접개선(25, Welding groove) 부분과; 모서리에 형성된 스칼럽(27)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스칼럽은 라운드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는 판 형태로 형성되어, 3면이 상기 H형강 기둥의 플랜지 및 상기 웨브에 용접 고정된다.
본 발명의 제 2 특징에 따른 H형강 기둥-보 결합방법은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된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를 연결하는 웨브로 구성된 H형강 기둥과; 상기 기둥의 상기 플랜지 및 상기 웨브와 접하여 고정되는 서포트 플레이트와; 상기 각 기둥의 서포트 플레이트에 거치되어 고정되는 수평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기둥의 내측공간에 서포트 플레이트가 용접 고정되는 서포트 플레이트 고정단계(S10)와; 상기 각 기둥의 서포트 플레이트에 상기 수평보를 거치하는 수평보 거치단계(S2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 고정단계(S10)는 공장에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수평보 거치단계(S20) 이후에 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수평보와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의 체결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는 상기 수평보의 하부에 위치되는 하부 서포트 플레이트와; 상기 수평보의 상부에 위치되는 상부 서포트 플레이트로 구성되고, 상기 H형강 기둥-보 결합방법은 상기 수평보 거치단계(S20)이후에 상기 하부 서포트 플레이트에 거치된 수평보와 상부 서포트 플레이트를 체결 고정함과 아울러 상기 기둥과 상기 상부 서포트 플레이트를 용접 고정하는 상부 서포트 플레이트 고정단계(S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는 상기 수평보의 하부에 위치되는 하부 서포트 플레이트와; 상기 수평보의 상부에 위치되는 상부 서포트 플레이트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 서포트 플레이트는 공장에서 상기 기둥에 용접 고정되고, 상기 상부 서포트 플레이트는 현장에서 상기 수평보에 가조립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H형강 기둥과 수평보의 결합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H형강 기둥과 수평보의 결합구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H형강 기둥과 수평보의 결합과정이 도시된 조립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서포트 플레이트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H형강 기둥과 수평보의 결합구조는 소정 간격 이격되고 서로 대향되어 직립되어진 H형강 기둥(10)과, 상기 각 기둥(10)에 용접 고정되는 서포트 플레이트(20)(30)와,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20)에 거치되는 수평보(50)와,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20)(30)와 상기 수평보(50)를 체결 고정하는 체결부재(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기둥(10)은 H형강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 기둥(10)은 상기 수평보(50)가 설치될 수 있도록, 소정 간격 이격되고, 서로 대향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기둥(10)은 서로 대향되도록 나란히 위치되는 플랜지(12)와, 상기 대향된 플랜지(12)와 직교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각 플랜지(12)를 연결하는 웨브(14)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H형강 기둥에서 상기 플랜지(12)와 상기 웨브(14)에 형성된 내측공간(15)에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20)(30)가 설치되고,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20)(30)는 하부 서포트 플레이트(20)와 상부 서포트 플레이트(30)로 구성된다.
상기 수평보(50)는 상기 기둥(10)과 같은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재 (60)가 설치될 수 있도록 체결구멍(52)이 형성된다.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20)(30)는 상기 기둥(10)의 내측공간(15)에 설치되되, 상기 기둥(10)의 플랜지(12)와 웨브(14)에 각각 밀착됨과 아울러 용접 고정된다.
그래서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20)(30)는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20)(30)의 폭(w)은 상기 기둥(10)의 웨브(14) 길이(l)와 같다.
또한,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20)(30)는 상기 기둥(10)의 내측 공간(15)에 밀착되어 용접 고정되되, 상기 수평보(50)의 거치가 용이하도록 상기 내측공간(15)에서 대향된 기둥(10)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20)(30)의 돌출 길이는 상기 수평보(50)가 용이하게 안착되고, 수평보에 작용하는 휨모멘트에 의해 발생되는 인장력과 압축력에 따른 체결부재를 충분히 설치할 수 있도록 충분히 길게 형성된다. 특히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20)(30)는 상기 기둥(10)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20)(30)에는 상기 체결부재(60)가 설치되는 다수개의 체결구멍(22)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구멍(22)은 2열로 나란히 형성되며, 상기 체결구멍(22)의 각 열은 상기 수평보(50)의 웨브를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위치된다.
또한,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20)(30)는 상기 기둥(10)의 플랜지(12) 및 웨브(14)에 각각 용접 고정되는 바, 상기 용접고정이 용이하도록, 3면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용접개선(25, Welding groove) 부분과, 모서리에 형성된 스칼럽(2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용접개선(25, Welding groove) 부분은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20)(30)의 가장자리 중 상기 플랜지(12) 및 상기 웨브(14)와 접촉되는 3면에 형성되고, 용접개선(25) 부분은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어 두께가 더 얇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용접개선(25, Welding groove) 부분은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20)(30)의 3면 중, 상기 플랜지(12) 및 상기 웨브(14)와 접촉되는 길이만큼만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20)(30)의 용접고정 시, 상기 용접개선(25, Welding groove) 부분과 상기 플랜지(12)가 형성하는 사이 및 상기 용접개선(25, Welding groove) 부분과 상기 웨브(14)가 형성하는 사이에 용접의 비드(미도시)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20)(30)에 형성된 용접개선(25, Welding groove) 부분은 상측을 향하도록 형성되고, 이는 작업자가 용접을 향할 때 상측에서 하측으로 용접작업을 수행할 때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20)(30) 중 상기 내측 공간에 삽입되는 양 모서리는 모따기되어 형성된 스칼럽(27)으로 형성되고,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스칼럽(27)은 오목한 라운드 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스칼럽(27)은 용접으로 조립된 상기 플랜지(12)와 상기 웨브(14)의 용접비드(미도시)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스칼럽(27)은 본 실시예의 라운드 형태와 달리 경사지게 형성되어 도 무방하다.
그래서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20)(30)가 상기 기둥(10)의 내측 공간(15)에 삽입될 경우,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20)(30)의 3면은 상기 플랜지(12) 및 상기 웨브(14)와 밀착되되, 상기 스칼럽(27)은 상기 플랜지(12) 또는 상기 웨브(14)와 소정간격 이격된다.
그리고 상기 스칼럽(27)은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20)(30)의 3면 용접 시 상기 기둥(10)과 용접된다.
상기 체결부재(60)는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20)(30) 및 상기 수평보(50)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고력볼트(62)와, 상기 고력볼트(62)와 결합되는 너트(64)이고, 본 실시예에서 제시되지 않은 볼트, 리벳 등의 체결부재를 사용하여 체결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상/하부 서포트 플레이트(20)(30)는 상기 수평보(50)를 거치하여 고정함으로서, 수평보(50)에 작용된 휨모멘트에 의해 발생되는 인장력 및 압축력을 H형강 기둥(10)에 전달하기 위한 구성인 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기둥(10)과 수평보(50)의 결합방법은 H형강 기둥의 약축에 대한 결합방법이고, 상기 H형강 기둥(10)의 약축은 상기 H형강 기둥(10)의 내측공간(15)에 설치되는 수평보(50)의 축방향을 가르킨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H형강 기둥과 수평보의 결합방법을 도 4 또는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H형강 기둥과 수평보의 결합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H형강 기둥과 수평보의 결합방법은 상기 기둥(10)의 내측공간(15)에 하부 서포트 플레이트(20)가 용접 고정되는 하부 서포트 플레이트 고정단계(S10)와, 서로 대향되게 직립되어 세워진 상기 기둥(10)에 상기 수평보(50)를 거치하는 수평보 거치단계(S20)와, 상기 하부 서포트 플레이트(20)에 거치된 상기 수평보(50)와 상기 상부 서포트 플레이트(30)를 체결 고정함과 아울러 상기 기둥(10)과 상기 상부 서포트 플레이트(30)를 용접 고정하는 상부 서포트 플레이트 고정단계(S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부 서포트 플레이트 고정단계(S10)는 상기 H형강 기둥-보의 제작이 이루어지는 공장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공장의 작업자는 상기 기둥(10)의 내측 공간(15)에 상기 수평보(50)가 설치되는 개수만큼 상기 하부 서포트 플레이트(20)를 용접 고정한다.
여기서 상기 하부 서포트 플레이트(20)는 용접이 이루어지는 작업현장에서 상기 기둥(10)과 용접되어 설치되어도 무방하지만, 작업자의 안전 및 편의성을 위해 공장에서 용접 고정된 후, 상기 기둥(10)이 직립되어 세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4a)
한편, 상기 수평보(50)의 제작이 이루어지는 공장에서는 체결부재(60)가 설치되는 위치에 상기 체결구멍(52)이 각각 형성한다.
더불어 상기 수평보(50)의 체결구멍(52)과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20)의 체결구멍(22) 위치는 결합 시 서로 일치하도록 한다.
특히, 지상에서는 상기 수평보(50)와 제작된 상부 서포트 플레이트(30)의 가조립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수평보(50)는 크레인(미도시)을 통해 직립된 기둥(10)의 하부 서포트 플레이트(20)의 상면에 거치된다.(도 4b)
여기서 상기 수평보(50)는 상기 플랜지(12)와 상기 하부 서포트 플레이트(20)가 대면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수평보(50)의 거치 시 상기 수평보(50)의 체결구멍(52)과 상기 하부 서포트 플레이트(20)의 체결구멍(22)이 서로 일치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상부 서포트 플레이트(30)는 현장에서 작업자가 용접위치까지 직접 가지고 이동하기에는 작업자의 작업 편의성이 현저히 저하되고, 이동과정에서 발생되는 위험성이 상당하기 때문에, 지상에서 상기 수평보(50)와 상기 상부 서포트 플레이트(30)를 가조립한 후, 작업자는 상기 용접이 이루어지는 현장의 지상 위에서 가조립된 상기 상부 서포트 플레이트(30)를 해체하여 사용한다.(4c)
그래서 상기 수평보(50)가 거치될 때, 상기 수평보(50)에 가조립된 상기 상부 서포트 플레이트(30)는 상기 수평보(50)와 함께 상기 크레인에 의해 이동된다.
이후, 작업자는 상기 수평보(50)가 설치된 곳으로 이동하여, 체결부재(60)를 통해 상기 하부 서포트 플레이트(20)와 상기 수평보(50)를 체결 고정한다.
더불어 상기 작업자는 상기 수평보(50)에 가조립된 상부 서포트 플레이트 (30)를 풀어 상기 기둥(10)의 플랜지(12) 및 웨브(14)와 밀착시키고, 상기 상부 서포트 플레이트(30)가 상기 플랜지(12) 및 상기 웨브(14)와 밀착될 때, 상기 상부 서포트 플레이트(30)의 체결구멍(22)과 상기 수평보(50)의 체결구멍(52)이 서로 연통되게 일치된다.
이후, 작업자는 체결부재(60)를 통해 상기 수평보(50)와 상기 상부 서포트 플레이트(30)를 체결 고정하고, 상기 상부 서포트 플레이트(30)의 가장자리 3면에 형성된 용접개선(25, Welding groove) 부분과 상기 플랜지(12)/웨브(14)를 용접 고정한다. (도 4d)
여기서 상기 체결부재(60)의 설치 순서는 작업현장의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바, 상부 서포트 플레이트(30)와 상기 기둥(10)의 용접이 이루어진 후에, 체결부재(60)의 고정이 이루어져도 무방함은 너무나 당연하다.
상기와 같은 H형강을 이용한 철골구조의 구성부품인 기둥(10), 수평보(50) 및 상/하 서포트 플레이트(20)(30)는 모두 공장에서 제작된 후 작업현장에서 조립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H형강 기둥과 수평보의 결합이 이루어지면, 시공방법이 단순화되어 작업현장에서의 생산성이 월등히 향상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H형강 기둥과 수평보의 결합구조는 작업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용접 고정의 횟수 및 용접부위를 최소화하기 때문에 작업시간 및 작업의 난이도를 대폭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H형강 기둥과 수평보의 결합구조는 구조적으로 강도(strength) 및 연성(ductility)이 우수한 구조로서 기둥(10)과 수평보(50)를 연결 하는 구성이 상/하부 서포트 플레이트(20)(30)로 단순화되기 때문에, 상기 기둥(10) 또는 상기 수평보(50)에 가해진 하중의 전달과정이 단순화되는 효과가 있다.
그래서 상기와 같이 가해진 하중의 전달과정이 단순화되면, 작업현장에서의 설치 시 발생할 수 있는 오차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평보(50)는 기둥(10)에 설치된 상/하부 서포트 플레이트(20)(30)에 거치되어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수평보(50)에 하중이 가해질 경우, 상기 수평보(50)가 재질의 연성을 충분히 발휘하면서 휘어질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 따른 H형강 기둥과 수평보의 결합구조는 상기 수평보(50)가 충분히 휘어지면서 하중을 흡수하기 때문에, 적은 재료로도 충분한 연성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상/하부 서포트 플레이트가 커버 플레이트 역할을 하기 때문에 강성이 증가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응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H형강 기둥과 수평보의 결합구조 및 그에 따른 결합방법은 수평보가 기둥에 설치된 서포트 플레이트에 거치되어 고정되기 때문에, 수평보에 가해지는 하중에 따라 충분히 휨을 발생시키면서 하중을 흡수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H형강 기둥과 수평보의 결합구조 및 그에 따른 결합방법은 서포트 플레이트의 3면이 H형강의 기둥과 접하는 플랜지 및 웨브와 용접 고정되기 때문에, 용접량 및 용접길이를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H형강 기둥과 수평보의 결합구조 및 그에 따른 결합방법은 서포트 플레이트가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제작이 용이하고, 이에 따른 제작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H형강 기둥과 수평보의 결합구조 및 그에 따른 결합방법은 서포트 플레이트에 수평보가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수평보의 조립과정이 실행되기 때문에, 공사현장의 크레인의 사용빈도 및 사용시간을 대폭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H형강 기둥과 수평보의 결합구조 및 그에 따른 결합방법은 수평보의 조립 시, 공사현장에서 상부 서포트 플레이트의 용접만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용접시간이 최소화되어 생산성이 높은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H형강 기둥과 수평보의 결합구조 및 그에 따른 결합방법은 서포트 플레이트와 H형강 기둥의 용접 시 용접이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의 상부에서 이루어지도록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가 구성되기 때문에, 작업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된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를 연결하는 웨브로 구성된 H형강 형태의 기둥과;상기 기둥의 상기 플랜지 및 상기 웨브와 접하여 고정되는 상부 서포트 플레이트 및 하부 서포트 플레이트와;상기 상부 서포트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서포트 플레이트 사이에 단부가 삽입 거치되어 고정되는 수평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형강 기둥과 수평보의 결합구조.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수평보는 H형강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H형강 기둥과 수평보의 결합구조.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상부 서포트 플레이트는 상기 수평보의 상부에 위치되고, 상기 하부 서포트 플레이트는 상기 수평보의 하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형강 기둥과 수평보의 결합구조.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상부 서포트 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서포트 플레이트는, 가장자리에 형성된 용접 개선부분과;모서리에 형성된 스칼럽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H형강 기둥과 수평보의 결합구조.
-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상부 서포트 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서포트 플레이트는, 상기 기둥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H형강 기둥과 수평보의 결합구조.
-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상부 서포트 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서포트 플레이트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3면이 상기 기둥의 플랜지 및 상기 웨브에 용접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형강 기둥과 수평보의 결합구조.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62002A KR100766301B1 (ko) | 2006-07-03 | 2006-07-03 | H형강 기둥과 수평보의 결합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62002A KR100766301B1 (ko) | 2006-07-03 | 2006-07-03 | H형강 기둥과 수평보의 결합구조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60017958U Division KR200427087Y1 (ko) | 2006-07-03 | 2006-07-03 | H형강 기둥과 수평보의 결합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66301B1 true KR100766301B1 (ko) | 2007-10-12 |
Family
ID=39420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62002A KR100766301B1 (ko) | 2006-07-03 | 2006-07-03 | H형강 기둥과 수평보의 결합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66301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07858B1 (ko) | 2010-03-08 | 2012-12-05 | 이동우 | 철탑 허리 지지물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78517Y1 (ko) | 2004-12-14 | 2005-03-11 | 비비엠코리아(주) | 에이치형 스티프너를 이용한 에이치형강 기둥-보의 약축접합부구조 |
-
2006
- 2006-07-03 KR KR1020060062002A patent/KR10076630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78517Y1 (ko) | 2004-12-14 | 2005-03-11 | 비비엠코리아(주) | 에이치형 스티프너를 이용한 에이치형강 기둥-보의 약축접합부구조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07858B1 (ko) | 2010-03-08 | 2012-12-05 | 이동우 | 철탑 허리 지지물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645365B2 (ja) | 柱梁接合部 | |
JP2004324270A (ja) | ガセットプレートを用いた構造物の接合構造および建築物 | |
KR100516332B1 (ko) | 댐퍼 접합부를 구비한 철골구조 | |
JP2006316611A (ja) | 柱梁接合構造 | |
KR100766301B1 (ko) | H형강 기둥과 수평보의 결합구조 | |
KR20040020444A (ko) | 철골건축물의 기둥과 h형강 보의 접합구조 및 그 접합방법 | |
KR20120003342A (ko) | 보 이음부 강도 및 시공성이 향상된 산형라멘 | |
KR200427087Y1 (ko) | H형강 기둥과 수평보의 결합구조 | |
JP6763653B2 (ja) | ユニット建物 | |
JP3444797B2 (ja) | 鋼管柱と鉄骨梁との接合方法 | |
KR100627233B1 (ko) | 댐퍼기능을 갖는 철골구조물용 접합부재 | |
JP3963222B2 (ja) | 鉄骨軸組構造物に用いる筋交いフレームの組立構造 | |
KR101371198B1 (ko) | 조립식 사각강관 구조재 | |
JP2000192547A (ja) | 鉄骨構造物における柱部材と横架材との接合方法及び接合構造 | |
JP3401372B2 (ja) | 建物ユニット | |
JP7211915B2 (ja) | 耐震補強構造 | |
JPH09189075A (ja) | 角形鋼管柱とh形断面梁の接合構造 | |
JP3549488B2 (ja) | 木造軸組住宅用筋交い | |
JP2003074207A (ja) | 境界梁ダンパーおよびその取付方法 | |
JP4639012B2 (ja) | 箱形断面柱とh形断面梁の高力ボルト接合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 |
KR200223787Y1 (ko) | H빔결합용 건축자재 | |
JP4684800B2 (ja) | 鋼板コンクリート造部材の接合構造 | |
JP4449891B2 (ja) | ユニット建物 | |
JP2607596B2 (ja) | 建物ユニット | |
JP2002294864A (ja) | 横梁の取付工法とその工法に用いるウェヴプレー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G170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1006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