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6234B1 - 플래쉬 메모리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플래쉬 메모리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6234B1
KR100766234B1 KR1020060043335A KR20060043335A KR100766234B1 KR 100766234 B1 KR100766234 B1 KR 100766234B1 KR 1020060043335 A KR1020060043335 A KR 1020060043335A KR 20060043335 A KR20060043335 A KR 20060043335A KR 100766234 B1 KR100766234 B1 KR 1007662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
spacer
conductive film
film
flash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3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신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60043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62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6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62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7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1/78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 H01L21/8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 H01L21/82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using silicon technology
    • H01L21/8232Field-effect technology
    • H01L21/8234MIS technology, i.e. integration processes of field effect transistors of the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type
    • H01L21/823468MIS technology, i.e. integration processes of field effect transistors of the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type with a particular manufacturing method of the gate sidewall spacers, e.g. double spacers, particular spacer material or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1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4011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for data storage electrodes
    • H01L29/40114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for data storage electrodes the electrodes comprising a conductor-insulator-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1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 H01L29/423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not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42312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 H01L29/42316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4232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 H01L29/42324Gate electrodes for transistors with a floating gat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1/0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 H10B41/3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e memory core reg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Non-Volatile Memory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섭 효과를 줄이기 위한 플래쉬 메모리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플래쉬 메모리 소자는 반도체 기판상에 적층된 터널 산화막, 부유 게이트, 유전체막 및 제어 게이트로 구성되는 게이트와, 상기 게이트 양측면에 스페이서를 형성하되, 상기 스페이서는 절연막과 도전막의 이중막이 적어도 1회 이상 적층되고, 상기 도전막은 상기 부유 게이트와 격리된다.
간섭 효과, 도전막 스페이서

Description

플래쉬 메모리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Flash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단면도
도 2a 내지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공정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반도체 기판 11 : 게이트
12 : 스페이서 12a : 절연막 스페이서
12b : 도전막 스페이서
본 발명은 플래쉬 메모리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간섭 효과(interference effect)를 줄이기 위한 플래쉬 메모리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낸드 플래쉬 메모리(NAND flash memory)의 집적도가 향상됨에 따라 프로그램된 셀 주변의 셀이 프로그램 셀에 미치는 영향이 점점 커지고 있다.
비트라인 방향(이하, 'x 방향'이라 한다), 워드라인 방향(이하, 'y'방향'이라 한다) 및 xy 방향으로 이웃하는 셀들 간에 커패시턴스(capacitance)가 존재하는데, 이 커패시턴스는 소자 집적화로 셀간 거리가 가까워짐에 따라서 점차 증가되고 있다. 그 결과, 커플링 비(cell coupling ratio)가 감소되어 프로그램 스피드(program speed)가 저하되고, 간섭 효과(interference effect)가 커지게 된다.
간섭 효과란, 리딩(reading)하려는 셀(cell)의 바로 인접 셀을 프로그램(program)하게 되면 인접 셀의 부유 게이트의 전하(charge) 변화로 인해 바로 옆의 셀의 리드 동작시 인접 프로그램된 셀(programed cell)의 커패시턴스 작용으로 실제 셀의 문턱전압보다 높은 문턱전압이 리딩되는 현상을 일컫는 것으로, 리딩하는 셀의 부유 게이트의 전하 자체는 변하지 않지만 바로 인접 셀의 상태(status)의 변화에 의해 실제 셀의 상태가 왜곡되어 보이게 된다. 이러한 왜곡 현상은 셀의 분포(distribution)를 넓게 하여 셀 상태의 제어를 어렵게 하는 원인이 된다. 특히, 싱글 레벨 셀(Single Level Cell : SLC)에 비하여 셀 분포 마진이 작은 멀티 레벨 셀(Multi Level Cell : MLC)에서는 그 영향이 막대하다. 따라서, 셀 균일도(uniformity)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간섭 효과를 줄일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써, 간섭 효과를 줄이기 위한 플래쉬 메모리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래쉬 메모리 소자는 반도체 기판상에 적층된 터널 산화막, 부유 게이트, 유전체막 및 제어 게이트로 구성되는 게이트와, 게이트 양측면에 스페이서를 형성하되, 상기 스페이서는 절연막과 도전막의 이중막이 적어도 1회 이상 적층되고, 상기 도전막은 상기 부유 게이트와 격리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은 반도체 기판상에 터널 산화막, 부유 게이트, 유전체막 및 제어 게이트가 적층된 구조의 게이트를 형성하는 단계와, 게이트 측면에 절연막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단계와, 절연막 스페이서 표면상에 부유 게이트와 격리되는 도전막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절연막 스페이서 형성 단계와 상기 도전막 스페이서 형성 단계를 단위 사이클 공정으로 하여, 상기 단위 사이클 공정을 적어도 1회 이상 실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는 본원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플래쉬 메모리 소자는 반도체 기판(10)상에 적층된 터널 산화막(11a), 부유 게이트(11b), 유전체막(11c), 제어 게이트(11d)로 이루어진 게이트(11)와, 게이트(11) 양측면에 형성된 절연막 스페이서(12a)와 도전막 스페이서(12b)의 이중막으로 구성되는 스페이서(12)를 포함한다.
제어 게이트(11d)상에 하드마스크막(11e)을 더 구성할 수도 있으며, 도전막 스페이서(13)는 Ti, TiN, 폴리실리콘, W, Al, Pt, Ru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재료로 함이 바람직하다.
이 같은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 2a 내지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공정 단면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10)상에 터널 산화막(11a), 부유 게이트용 도전막, 유전체막(11c), 제어 게이트용 도전막과 하드마스크막(11e)을 순차 형성하고, 사진 식각 공정으로 하드마스크막(11e)을 패터닝한 다음, 패터닝된 하드마스크막(11e)을 마스크로 제어 게이트용 도전막부터 터널 산화막(11a)까지의 적층 구조물을 식각하여 터널 산화막(11a), 부유 게이트(11b), 유전체막(11c), 제어 게이트(11d) 및 하드마스크막(11e)이 적층된 구조의 게이트(11)를 형성한다.
그리고, 게이트(11)를 포함한 전면에 절연막을 형성하고 전면식각(etchback)하여 게이트(11) 양측면에 절연막 스페이서(12a)를 형성한다.
도 2b를 참조하면, 게이트(11) 및 절연막 스페이서(12a)를 포함한 전면에 도전막을 증착하고 전면식각하여 절연막 스페이서(12a)의 표면상에 부유 게이트와 격리되는 도전막 스페이서(12b)를 형성하여 절연막 스페이서(12a)와 도전막 스페이서(12b)의 이중막으로 이루어진 스페이서(12)를 형성한다. 도전막은 Ti, TiN, 폴리실리콘, W, Al, Pt, Ru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래쉬 메모리 소자 제조를 완료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스페이서(12)를 절연막 스페이서(12a)와 도전막 스페이서(12b)의 이중막을 1회만 적용하여 구성한 경우에 대해서만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절연막 스페이서(12a) 형성 공정과 도전막 스페이서(12b) 형성 공정을 단위 사이클로, 단위 사이클 공정을 2회 이상 실시하여 절연막 스페이서(12a)와 도전막 스페이서(12b)의 이중막이 2회 이상 적층된 구조로 스페이서(12)를 형성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게이트 측면에 게이트와 격리되는 도전막 스페이서를 형성하여 인접한 게이트들간에 전기적인 도전성 쉴드(shield)를 구성함으로써 인접한 부유 게이트들간의 간섭 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다.
둘째, 간섭 효과를 줄일 수 있으므로 간섭 효과 인한 소자 집적 한계를 극복하여 집적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간섭 효과를 줄일 수 있으므로 셀 분포를 줄이어 소자 동작 오류를 방 지할 수 있다.
넷째, 셀 분포를 줄일 수 있으므로 셀 분포 마진이 작은 멀티 레벨 셀 제조가 가능해 진다.
다섯째, 간섭 효과를 줄일 수 있으므로 커플링비를 향상시킬 수 있고 프로그램 스피드를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5)

  1. 반도체 기판상에 적층된 터널 산화막, 부유 게이트, 유전체막 및 제어 게이트로 구성되는 게이트; 및
    상기 게이트 양측면에 스페이서를 형성하되, 상기 스페이서는 절연막과 도전막의 이중막이 적어도 1회 이상 적층되고, 상기 도전막은 상기 부유 게이트와 격리되는 플래쉬 메모리 소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막을 Ti, TiN, 폴리실리콘, W, Al, Pt, Ru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하는 플래쉬 메모리 소자.
  3. 반도체 기판상에 터널 산화막, 부유 게이트, 유전체막 및 제어 게이트가 적층된 구조의 게이트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측면에 절연막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절연막 스페이서 표면상에 상기 부유 게이트와 격리되는 도전막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절연막 스페이서 형성 단계와 상기 도전막 스페이서 형성 단계를 단위 사이클 공정으로 하여 상기 단위 사이클 공정을 적어도 1회 이상 실시하는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막 스페이서를 Ti, TiN, 폴리실리콘, W, Al, Pt, Ru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형성하는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막 스페이서는 상기 게이트 및 상기 절연막 스페이서를 포함한 전면에 도전막을 형성하고 상기 도전막을 전면식각하여 형성하는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KR1020060043335A 2006-05-15 2006-05-15 플래쉬 메모리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7662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3335A KR100766234B1 (ko) 2006-05-15 2006-05-15 플래쉬 메모리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3335A KR100766234B1 (ko) 2006-05-15 2006-05-15 플래쉬 메모리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6234B1 true KR100766234B1 (ko) 2007-10-10

Family

ID=39420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3335A KR100766234B1 (ko) 2006-05-15 2006-05-15 플래쉬 메모리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62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7096B1 (ko) 2008-09-05 2010-07-0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5294A (ko) * 1999-12-29 2001-07-11 박종섭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JP2004080015A (ja) 2002-08-20 2004-03-11 Chartered Semiconductor Mfg Ltd その場でドープされる小さなポリシリコンスペーサーを用いて非対称不揮発性メモリデバイスを形成する方法
KR20040064926A (ko) * 2003-01-11 2004-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피롬(EPROM, EraableProgrammable Read OnlyMemory} 소자의 셀 구조 및 그 제조방법
KR20060131199A (ko) * 2005-06-15 2006-12-2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게이트 형성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5294A (ko) * 1999-12-29 2001-07-11 박종섭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JP2004080015A (ja) 2002-08-20 2004-03-11 Chartered Semiconductor Mfg Ltd その場でドープされる小さなポリシリコンスペーサーを用いて非対称不揮発性メモリデバイスを形成する方法
KR20040064926A (ko) * 2003-01-11 2004-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피롬(EPROM, EraableProgrammable Read OnlyMemory} 소자의 셀 구조 및 그 제조방법
KR20060131199A (ko) * 2005-06-15 2006-12-2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게이트 형성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7096B1 (ko) 2008-09-05 2010-07-0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1867B1 (ko) 메모리 어레이, 및 메모리 어레이를 형성하는 방법
JP2007300098A5 (ko)
KR100632634B1 (ko) 플래시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20150048434A1 (en)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Stacked Memory Array for Junction-Free Cell Transistors
US20120319186A1 (en)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CN112652626B (zh) NORD flash制造方法、器件和存储介质
KR100672162B1 (ko) 플래쉬 메모리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784081B1 (ko) 플래쉬 메모리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766234B1 (ko) 플래쉬 메모리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CN115881524A (zh) 嵌入式快闪存储器及嵌入式快闪存储器栅极及制备方法
US20090098700A1 (en) Method of fabricating a non-volatile memory device
TWI582965B (zh) 具縮小尺寸串列選擇線元件之三維半導體元件
KR100761409B1 (ko) 플래시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40214A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게이트 전극 제조방법
US6887756B2 (en) Method of forming flash memory with protruded floating gate
CN115274676B (zh) 一种闪存结构及其制作方法
JP2014053436A (ja) 半導体記憶装置の製造方法
KR101117604B1 (ko) 확장된 전하저장 노드를 갖는 낸드 플래시 메모리 어레이 및 그 제조방법
KR100702778B1 (ko)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US7982258B2 (en) Flash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device
KR100799039B1 (ko)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KR100782784B1 (ko) 플래쉬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
CN114695563A (zh) 存储器结构及其形成方法
KR20050070785A (ko) 플래시 메모리 셀의 게이트 형성 방법
KR20010086996A (ko) 드레인 턴온을 억제하는 노아형 플래시 메모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