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5804B1 - 자동음정조절기능을 가지는 노래반주기 및 그의자동음정조절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음정조절기능을 가지는 노래반주기 및 그의자동음정조절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5804B1
KR100765804B1 KR1020060070123A KR20060070123A KR100765804B1 KR 100765804 B1 KR100765804 B1 KR 100765804B1 KR 1020060070123 A KR1020060070123 A KR 1020060070123A KR 20060070123 A KR20060070123 A KR 20060070123A KR 100765804 B1 KR100765804 B1 KR 100765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pitch
song
tun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0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터기술
이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터기술, 이경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터기술
Priority to KR1020060070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58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5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5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10H1/366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with means for modifying or correcting the external signal, e.g. pitch correction, reverberation, changing a singer's voic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095Identification code, e.g. ISWC for musical works; Identification dataset
    • G10H2240/101User identification
    • G10H2240/105User profile, i.e. data about the user, e.g. for user settings or user preferen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음정조절기능을 가지는 노래반주기 및 그의 자동음정조절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노래 반주기는, 제1모드에서 동작하며, 입력되는 사용자 발음정보를 토대로 사용자의 음정을 설정하고 사용자 음정 정보를 저장하는 설정부와; 제2모드에서 동작하며, 상기 사용자에 의해 곡이 선택되면, 선택된 곡을 상기 설정부에 저장된 사용자 음정정보에 맞도록 변환하여 연주하는 연주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음정을 설정하여 이를 저장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곡을 사용자의 음정 영역에 맞도록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음정, 노래반주기, 음역대, 기본음

Description

자동음정조절기능을 가지는 노래반주기 및 그의 자동음정조절방법{Music accompaniment apparatus having automatic musical interval control fun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래 반주기의 블록도
도 2는 도 1의 노래반주기의 동작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노래반주기 110 : 설정부
112 : 사용자 정보 입력부 114 : 음정설정부
116 : 음정정보 저장부 120 : 연주부
122 : 곡 선택부 124 : 음정 조절부
126 : 출력부
본 발명은 자동음정조절기능을 가지는 노래반주기 및 그의 자동음정조절방법 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음정을 설정하고 사용자의 음정에 맞도록 반주하는 자동음정조절기능을 가지는 노래반주기 및 그의 자동음정조절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래반주기(song accompaniment apparatus)는 기록매체에 기록된 반주곡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들려줌으로써 사용자가 따라 부를 수 있도록 한 장치이다. 이와 같은 노래반주기는 통상적으로 보다 나은 현장감을 제공하기 위하여 해당 곡의 진행 정도에 따라 변화하는 영상이나 자막을 디스플레이해주는 영상시스템과 함께 사용된다. 또한 사용자가 자신의 노래실력을 객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사용자의 가창에 따른 음량상태, 박자상태 등의 정도를 평가하여 점수로써 디스플레이 해주는 점수 평가 장치를 부수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노래반주기의 노래반주를 통하여 사용자가 노래를 부르는 경우에, 상기 노래 반주기를 통하여 연주되는 노래의 반주음정(musical interval)과 사용자의 발성음정(또는 발성음역)이 일치되지 않으면 주위의 분위기가 어색해지거나 노래에 자신이 없어지는 경우가 발생되는 등 사용자가 노래를 자연스럽게 부를 수 없다. 즉 사용자의 발성 음정과 노래 반주기의 반주음정이 가장 적절하게 일치되어야 사용자가 노래를 자연스럽게 부를 수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노래 반주기는 남/여 음정 조절키, 음정 플러스(+)/마이너스(-) 조절키 등 음정조절을 위한 음정조절키를 구비하고 있다.
사용자는 종래에는 노래 반주기의 반주음정을 사용자의 발성음정에 맞추기 위하여 상기 음정 조절키를 조절하여 왔다. 그러나 노래반주기를 사용하는 사용자 마다 음정의 개인차가 있고 노래를 부르는 사용자 자신도 자신의 음정이 구체적으로 어느 수준인지, 어느 레벨에 해당되는지 모르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사용자의 음정과 노래반주기의 반주음정을 일치시키기가 상당히 어렵다. 더군다나 반주되는 노래의 반주음정을 모르는 경우에는 노래를 부르면서 음정을 수동으로 조절해야 하는 등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자동음정조절기능을 가지는 노래반주기 및 그의 자동음정조절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음정을 파악하고 이를 저장할 수 있는 자동음정조절기능을 가지는 노래반주기 및 그의 자동음정조절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반주되는 노래의 음정을 사용자의 음정에 맞도록 조절할 수 있는 자동음정조절기능을 가지는 노래반주기 및 그의 자동음정조절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들의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화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노래 반주기는, 제1모드에서 동작하며, 입력되는 사용자 발음정보를 토대로 사용자의 음정을 설정하고 사용자 음정 정보를 저장하는 설정부와; 제2모드 에서 동작하며, 상기 사용자에 의해 곡이 선택되면, 선택된 곡을 상기 설정부에 저장된 사용자 음정정보에 맞도록 변환하여 연주하는 연주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1모드는 사용자의 음정을 설정 및 저장하기위한 음정설정모드이며, 상기 제2모드는 사용자의 음정에 맞는 곡을 자동으로 서치하며, 선택된 곡이 사용자의 음정에 맞는 경우에는 변화없이 연주하고 맞지 않는 경우에는 설정된 사용자의 음정에 맞게 곡의 음정을 변환하여 연주하는 연주모드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설정부는, 사용자의 발음정보가 입력되는 사용자 정보 입력부와; 상기 사용자 정보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사용자 발음정보를 토대로 사용자의 음정을 설정하는 음정설정부와; 상기 음정설정부에서 설정된 사용자의 음정정보를 저장하는 음정정보 저장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주부는, 판넬 또는 패드가 구비되며, 사용자에 의해 곡이 선택되는 곡 선택부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곡이 상기 음정정보 저장부로부터 출력되는 사용자 음정정보에 맞게 변환되어 연주되도록 하는 음정조절부와; 상기 음정조절부에서 변환된 곡을 스피커를 통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음정설정부는, 성별 기본음을 기준으로 사용자 발음의 강약의 정도를 단계별로 캡쳐하여, 낮은음 최대치와 높은음 최대치를 판정하는 방법으로 사용자의 음정을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음정조절부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곡의 음정 평균값과 사용자의 음정 평균값을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음정평균값에 상기 선택된 곡의 음정 평균값을 일치시키고, 선택된 곡의 낮은음 최대치와 높은음 최대치를 상기 사용자의 음정 대역에 근접하도록 조절함에 의해 음정을 변환시킬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들의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구체화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반주기의 자동음정 조절방법은, 음정설정모드가 시작되면, 사용자의 성별정보를 토대로 기본음을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발음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기본음을 기준으로 사용자의 음정을 설정하고 상기 사용자의 음정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연주모드가 시작되면, 사용자에 의해 곡이 선택되는 단계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곡이 사용자의 음정과 맞지 않는 경우에 사용자의 음정에 맞도록 변환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상기 사용자 음정의 설정은, 상기 기본음을 기준으로 사용자 발음의 강약의 정도를 단계별로 캡쳐하여, 낮은음 최대치와 높은음 최대치를 판정하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곡의 음정변환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곡의 음정 평균값과 사용자의 음정 평균값을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음정평균값에 상기 선택된 곡의 음정 평균값을 일치시키고, 선택된 곡의 낮은음 최대치와 높은음 최대치를 상기 사용자의 음정 대역에 근접하도록 조절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사용자의 음정을 설정하여 이를 저장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곡을 사용자의 음정에 맞도록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할 의도 외에는 다른 의도 없이,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음정조절기능을 가지는 노래반주기 의 개략적 블록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음정조절기능을 가지는 노래반주기(100)는 설정부(110) 및 연주부(120)를 구비한다.
상기 설정부(110)는 제1모드에서 동작되며, 상기 제1모드는 음정설정모드를 포함한다. 상기 연주부(120)는 제2모드에서 동작되며, 상기 제2모드는 연주모드를 포함한다. 상기 제1모드와 상기 제2모드는 상기 노래반주기에 구비되는 모드 전환메뉴의 동작에 의해 변환된다.
상기 설정부(110)는 입력되는 사용자 발음정보를 토대로 사용자의 음정을 설정하고 사용자 음정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설정부(110)는 사용자 정보 입력부(112), 음정설정부(114), 및 음정정보 저장부(116)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제1모드는 음정설정모드를 말한다. 상기 제1모드는 사용자의 음정을 설정하기 위한 모드를 말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종래의 노래반주기에서는 구비되지 않는다.
상기 사용자 정보 입력부(112)는 사용자의 성별이나 발음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사용자 정보 입력부(112)는 사용자의 성별을 구분하기 위한 외부 선택 버튼과 사용자의 발음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마이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성별 및 발음정보는 사용자의 음정을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사용자의 발음정보는 사용자가 최대로 낼 수 있는 고음(높은음) 및 저음(낮은음) 등을 포함한다.
상기 음정설정부(114)는 상기 사용자 정보 입력부(112)를 통하여 입력되는 사용자 발음정보를 토대로 사용자의 음정을 설정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성별을 구분하여 성별에 따른 기본음을 선택한다. 즉 남과 여의 평균적인 기본음을 미리 설정하여 놓은 상태에서, 성별의 선택에 따라 그에 따른 기본음이 등록되고 이에 따른 코드화된 음정정보가 표시된다.
이후 상기 기본음의 발음과 사용자 발음의 차이를 파악하여 사용자의 음정을 판단한다. 예를 들어, 기본음을 기준으로 -2단계 또는 -3 단계로 단계를 점점 낮춰가면서 사용자 입력 발음의 강약의 정도를 판단하고, 낮은음 최대치를 캡쳐한다. 여기서, 단계는 반음 또는 1키(key)라고도 불린다. 이후 낮은음 최대치를 등록하고, 상기 기본음을 기준으로 +2단계 또는 +3단계로 단계를 점점 높여가면서 사용자 입력 발음의 강약의 정도를 판단하여 높은음 최대치를 캡쳐한다. 이후 높은음 최대치를 등록한다. 상기 낮은음 및 높은음 최대치를 등록한 후 검증작업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판정된 음역대에 맞는 곡 1 내지 2곡을 따라 불러보게 하여 정확한 오차범위를 조정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음정이 설정된다.
상기 음정정보 저장부(116)는 음정설정부(114)에서 설정된 사용자의 음정정보를 저장한다. 즉 상기 음정설정부(114)에서 오차범위 조정을 통하여 사용자의 음정이 설정되면, 상기 사용자의 음정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한다.
상기 설정부(110)는 사용자가 한 명인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하였지만, 복수의 사용자가 있는 경우에도 코드를 달리하여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음정정보의 설정 및 저장이 가능하다.
상기 연주부(120)는 제2모드에서 동작하며, 상기 사용자에 의해 곡이 선택되면, 선택된 곡을 상기 음정정보저장부(116)에 저장된 사용자 음정정보에 맞도록 변 환하여 연주한다.
상기 제2모드는 2가지 기능을 가진다. 제1기능은, 상기 설정부(110)에서 설정된 사용자의 음정정보를 토대로 하여 노래반주기(100) 내의 모든 곡 중에서 상기 사용자의 음정정보에 맞는 곡들을 자동으로 서치하여 이들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함에 의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음정에 맞는 곡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말한다. 또한 다른 기능인 제2기능은 사용자의 음정에 맞지 않는 곡이 선택되는 경우에 선택된 곡의 음정변환 기능을 말한다.
상기 연주부(120)는 곡선택부(122), 음정조절부(124), 및 출력부(126)를 구비한다. 상기 연주부(120)는 일반적인 노래 반주기의 구성과 유사하다.
상기 곡 선택부(122)는 외부에 구비되는 판넬 또는 패드 등의 제어판을 통하여 입력되는 곡 번호를 통하여 원하는 곡이 선택된다. 상기 곡 선택부(122)의 구성은 일반적인 노래 반주기의 곡 선택방식과 동일하다. 예를 들어, 번호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그 번호에 대응되는 곡의 선택이 가능하다.
추가적으로, 상기 곡 선택부(122)에서는 상기 사용자의 음정에 맞는 곡을 자동으로 서치하여 이에 따른 곡 리스트(list)를 디스플레이 하고 이들 중에서 곡이 선택되도록 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곡 선택부(122)는 상기 제2모드의 상기 제1기능을 담당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음정조절부(124)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곡을 상기 음정정보 저장부(116)로부터 출력되는 사용자 음정정보에 맞도록 변환한다.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곡이 사용자 음정에 맞는(사용자의 음역대에 있는) 곡 일 경우에는 음정 변환 없이 그대로 연주되도록 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곡이 사용자 음정에 맞지 않는 경우에는 이를 변환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음정과 선택된 곡의 음정이 서로 다른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음정을 변환하여 출력한다.
사용자의 음정과 선택된 곡의 음정 대역차이가 크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의 음정정보와 선택된 곡의 음정정보를 비교하여 그 음정 평균값을 구한다.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곡의 음정 평균값과 사용자의 음정 평균값을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음정평균값에 상기 선택된 곡의 음정 평균값을 일치시키고, 선택된 곡의 낮은음 최대치와 높은음 최대치를 상기 사용자의 음정 대역에 근접하도록 조절함에 의해 음정을 변환시킨다.
또한 사용자의 음정과 선택된 곡의 음정의 대역차이가 큰 경우에는 상기 변환방법이외에도, 남자일 경우에는 낮은 음 부분의 비율을 증가시키고, 여자인 경우에는 높은 음 및 비음의 비율이 증가되는 방향으로 음정을 변환시키는 과정이 추가된다.
상기 음정조절부(124)는 종래의 노래 반주기의 수동으로 조작하도록 되어 있는 음정변환장치를 이용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도록 함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그 외 다양한 방법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출력부(126) 상기 음정조절부(124)에서 변환된 곡을 스피커를 통하여 외부로 출력한다.
도 2는 상기 도 1의 노래반주기의 동작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2를 토대로 하여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래 반주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모드인 음정설정모드에서의 음정설정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사용자의 성별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사용자의 성별정보를 수신한다(S10).
상기 사용자의 성별 정보가 수신되면, 성별에 따른 기본음이 선택된다(S20). 남자로 선택되면, 미리 정의된 평균적인 남자의 평균음인 남자 기본음이 선택되고, 여자로 선택되면 미리 정의된 평균적인 여자의 평균음인 여자 기본음이 선택된다. 선택된 기본음은 등록되고 코드화하여 표시된다.
다음으로 사용자의 발음정보가 수신된다(S30). 상기 사용자의 발음정보는 마이크를 통하여 수신될 수 있으며, 마이크를 통하여 수신되는 사용자의 발음정보를 토대로 사용자 음정이 설정된다(S40). 사용자 음정의 설정은 음정 설정부(114)에서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기본음을 기준으로 사용자의 낮은음 최대치와 높은음 최대치를 판정하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음정이 설정되면 이에 따른 검증 작업이 수행된다(S50). 상기 검증작업에 의해 잘못된 설정이나 오차의 조정이 가능하다.
검증절차가 완료되면 상기 사용자 음정정보는 메모리에 저장된다(S60). 이상에 의해 사용자 음정 설정을 위한 제1모드는 종료된다.
상기 제1모드는 상기 노래 반주기의 동작 중 언제든지 가능하며, 상기 노래 반주기에 구비된 모드 전환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가능하다.
이후 제2모드인 연주모드가 개시된다. 여기서는 제1모드와 제2모드가 연속적인 것으로 표현하였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이다. 상기 제1모드와 상기 제2모드는 연속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독립적으로 동작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노래 반주기에 구비된 모드 전환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에 제1모드가 선택되면 음정설정모드의 동작이 수행되며, 제2모드가 선택되면 연주모드의 동작이 수행되는 것이다.
연주모드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곡이 선택된다(S70). 즉 특정번호를 선택하거나 곡의 제목을 입력하는 방식에 의해 곡이 선택된다.
사용자에 의해 곡이 선택되면, 사용자의 음정에 맞도록 상기 선택된 곡의 음정을 변환한다(S80). 상기 음정의 변환은 상기 음정조절부(12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수행된다.
상기 선택된 곡의 음정 변환은 영구적인 것이 아니라 선택된 순간에만 유효한 것이며, 이후 다시 선택된다면 원래의 음정을 유지하며 또 다른 사용자의 음정에 맞도록 변환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음정을 자동으로 판단 설정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곡을 자동으로 사용자의 음정에 맞춰서 연주함에 의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실시예의 설명은 본 발명의 더욱 철저한 이해를 위하여 도면을 참조로 예를 든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 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본적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음정을 자동으로 파악하고 이를 저장할 수 있으며, 반주되는 곡의 음정을 사용자의 음정에 맞도록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2)

  1. 노래 반주기에 있어서:
    제1모드에서 동작하며, 입력되는 사용자 발음정보를 토대로 사용자의 음정을 설정하고 사용자 음정 정보를 저장하는 설정부와;
    제2모드에서 동작하며, 상기 사용자에 의해 곡이 선택되면, 선택된 곡을 상기 설정부에 저장된 사용자 음정정보에 맞도록 변환하여 연주하는 연주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모드는 사용자의 음정을 설정 및 저장하기위한 음정설정모드이며, 상기 제2모드는 사용자의 음정에 맞는 곡을 자동으로 서치하고 사용자의 음정에 맞는 곡이 선택되는 경우에는 음정변화 없이 그대로 연주하고, 사용자 음정에 맞지 않는 곡이 선택되는 경우에는 설정된 사용자의 음정에 맞게 곡의 음정을 변환하여 연주하는 연주모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는,
    사용자의 발음정보가 입력되는 사용자 정보 입력부와;
    상기 사용자 정보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사용자 발음정보를 토대로 사용자의 음정을 설정하는 음정설정부와;
    상기 음정설정부에서 설정된 사용자의 음정정보를 저장하는 음정정보 저장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기.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주부는
    판넬 또는 패드가 구비되며, 사용자에 의해 곡이 선택되는 곡 선택부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곡이 상기 음정정보 저장부로부터 출력되는 사용자 음정정보에 맞게 변환되어 연주되도록 하는 음정조절부와;
    상기 음정조절부에서 변환된 곡을 스피커를 통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음정설정부는,
    성별 기본음을 기준으로 사용자 발음의 강약의 정도를 단계별로 캡쳐하여, 낮은음 최대치와 높은음 최대치를 판정하는 방법으로 사용자의 음정을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곡 선택부는,
    설정된 사용자의 음정에 맞는 곡을 자동으로 서치하여 이들 곡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수단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 반주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음정조절부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곡의 음정 평균값과 사용자의 음정 평균값을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음정평균값에 상기 선택된 곡의 음정 평균값을 일치시키고, 선택된 곡의 낮은음 최대치와 높은음 최대치를 상기 사용자의 음정 대역에 근접하도록 조절함에 의해 음정을 변환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 반주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음정조절부는,
    선택된 곡의 음정 변환시에 사용자가 남자인 경우에는 낮은음 비율을 증가시키고, 여자인 경우에는 높은음 및 비음의 비율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음정을 변환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기.
  9. 노래반주기의 자동음정 조절방법에 있어서:
    음정설정모드가 시작되면, 사용자의 성별정보를 토대로 기본음을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발음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기본음을 기준으로 사용자의 음정을 설정하고 상기 사용자의 음정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연주모드가 시작되면, 사용자에 의해 곡이 선택되는 단계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곡이 사용자의 음정에 맞지 않는 경우에 사용자의 음정에 맞도록 변환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음정 조절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음정의 설정은,
    상기 기본음을 기준으로 사용자 발음의 강약의 정도를 단계별로 캡쳐하여, 낮은음 최대치와 높은음 최대치를 판정하는 방법으로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음정 조절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곡의 음정변환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곡의 음정 평균값과 사용자의 음정 평균값을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음정평균값에 상기 선택된 곡의 음정 평균값을 일치시키고, 선택된 곡의 낮은음 최대치와 높은음 최대치를 상기 사용자의 음정 대역에 근접하도록 조절함에 의해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음정 조절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곡의 음정변환은,
    선택된 곡의 음정 변환시에 사용자가 남자인 경우에는 낮은음 비율을 증가시키고, 여자인 경우에는 높은음 및 비음의 비율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음정을 변환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음정 조절방법.
KR1020060070123A 2006-07-26 2006-07-26 자동음정조절기능을 가지는 노래반주기 및 그의자동음정조절방법 KR1007658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0123A KR100765804B1 (ko) 2006-07-26 2006-07-26 자동음정조절기능을 가지는 노래반주기 및 그의자동음정조절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0123A KR100765804B1 (ko) 2006-07-26 2006-07-26 자동음정조절기능을 가지는 노래반주기 및 그의자동음정조절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5804B1 true KR100765804B1 (ko) 2007-10-12

Family

ID=39419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0123A KR100765804B1 (ko) 2006-07-26 2006-07-26 자동음정조절기능을 가지는 노래반주기 및 그의자동음정조절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580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4942B1 (ko) * 2014-07-30 2015-08-18 윤여준 지능형 음역조정 노래방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의 운용 방법
KR20200119545A (ko) * 2019-04-10 2020-10-20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음소 발음 차이를 이용한 가창 가능 여부 판단 방법 및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9415A (ko) * 1993-09-24 1995-04-24 이헌조 영상가요 반주기의 음정 조절방법
KR950030109A (ko) * 1994-04-29 1995-11-24 배순훈 가요반주기기의 음정자동조절장치
KR19980020278A (ko) * 1996-09-06 1998-06-25 김광호 노래반주기의 자동음정 조절장치
KR19980067955A (ko) * 1997-02-13 1998-10-15 배순훈 노래반주기용 자동음정 조정회로
KR100489162B1 (ko) 2004-09-17 2005-06-10 (주)더드림스튜디오 음악 데이터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9415A (ko) * 1993-09-24 1995-04-24 이헌조 영상가요 반주기의 음정 조절방법
KR950030109A (ko) * 1994-04-29 1995-11-24 배순훈 가요반주기기의 음정자동조절장치
KR19980020278A (ko) * 1996-09-06 1998-06-25 김광호 노래반주기의 자동음정 조절장치
KR19980067955A (ko) * 1997-02-13 1998-10-15 배순훈 노래반주기용 자동음정 조정회로
KR100489162B1 (ko) 2004-09-17 2005-06-10 (주)더드림스튜디오 음악 데이터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4942B1 (ko) * 2014-07-30 2015-08-18 윤여준 지능형 음역조정 노래방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의 운용 방법
KR20200119545A (ko) * 2019-04-10 2020-10-20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음소 발음 차이를 이용한 가창 가능 여부 판단 방법 및 장치
KR102258386B1 (ko) * 2019-04-10 2021-05-31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음소 발음 차이를 이용한 가창 가능 여부 판단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34180B2 (ja) 撥弦楽器演奏評価装置
JP2006259707A (ja) 携帯用端末機における演奏機能を行う装置及び方法
US8802956B2 (en) Automatic accompaniment apparatus for electronic keyboard musical instrument and fractional chord determination apparatus used in the same
JP5144333B2 (ja) カラオケ装置
KR100765804B1 (ko) 자동음정조절기능을 가지는 노래반주기 및 그의자동음정조절방법
JP4637341B2 (ja) 調律器
JP5704368B2 (ja) 楽音演奏装置及び楽音演奏処理プログラム
WO2019180830A1 (ja) 歌唱評価方法及び装置、プログラム
JP4211388B2 (ja) カラオケ装置
JP2004205818A (ja) カラオケ装置
JPH113077A (ja) カラオケ装置
JP2014026213A (ja) 楽音演奏装置
JP2003015672A (ja) 声域告知機能付きカラオケ装置
JP2007011090A (ja) カラオケ装置
JP2006276560A (ja) 音楽再生装置および音楽再生方法
JP4180548B2 (ja) 声域告知機能付きカラオケ装置
JP6141737B2 (ja) ストレッチチューニングを考慮して歌唱採点を行うカラオケ装置
JP5787279B2 (ja) 楽音演奏装置
JP2001060089A (ja) カラオケ装置
JP2006259401A (ja) カラオケ装置
JP6065827B2 (ja) 楽音演奏装置及び楽音演奏処理プログラム
JP5321653B2 (ja) 楽音演奏装置
JP5413749B2 (ja) 楽音演奏装置
JP5648877B1 (ja) 楽音演奏装置及び楽音演奏処理プログラム
JP2009008934A (ja) 楽音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