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9545A - 음소 발음 차이를 이용한 가창 가능 여부 판단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음소 발음 차이를 이용한 가창 가능 여부 판단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9545A
KR20200119545A KR1020190041846A KR20190041846A KR20200119545A KR 20200119545 A KR20200119545 A KR 20200119545A KR 1020190041846 A KR1020190041846 A KR 1020190041846A KR 20190041846 A KR20190041846 A KR 20190041846A KR 20200119545 A KR20200119545 A KR 202001195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ng
user
singing
songs
difficul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1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8386B1 (ko
Inventor
김규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Priority to KR1020190041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8386B1/ko
Publication of KR20200119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95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8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83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02Feature extraction for speech recognition; Selection of recognition unit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031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095Identification code, e.g. ISWC for musical works; Identification dataset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121Musical libraries, i.e. musical databases indexed by musical parameters, wavetables, indexing schemes using musical parameters, musical rule bases or knowledge bases, e.g. for automatic composing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노래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노래들 각각의 음역 및 상기 복수의 노래들 각각의 최고 음들에 대응하는 음소들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노래들 각각의 난이도 등급을 결정하는 동작, 사용자의 음성을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음역 및 발음 정확성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한 사용자의 음역 및 상기 발음 정확성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가창 등급을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결정한 사용자의 가창 등급과 상기 사용자가 상기 노래 리스트에서 선택한 노래에 해당하는 난이도 등급을 비교하여 상기 노래 리스트에서 선택한 노래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가창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음소 발음 차이를 이용한 가창 가능 여부 판단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vocal viability by using phoneme pronunciation difference}
아래의 실시예들은 음소 발음 차이를 이용한 가창 가능 여부 판단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목소리가 갈라지거나 깨지지 않고 낼 수 있는 가장 낮은 음부터 가장 높은 음까지를 그 사람의 음역이라고 하며, 이는 사람마다 다르기 때문에 사람마다 다르다.
남자가 소리를 낼 수 있는 음역과 여자가 소리를 낼 수 있는 음역은 서로 다르다. 일반적으로 여자는 남자보다 보다 높은 음을 낼 수 있기 때문에 여자는 남자보다 넓은 음역을 가질 수 있게 된다. 또한, 같은 성별을 가진 사람이라도 개개인이 낼 수 있는 최고 음과 최저 음은 상이하기 때문에 같은 성별을 가진 사람이라도 사람마다 낼 수 있는 음역은 서로 다르다.
가창이란 사람의 목소리로 음악을 표현하는 방식이다. 사람마다 낼 수 있는 음역이 서로 상이하기 때문에 사람마다 가창할 수 있는 노래의 종류는 달라지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노래들의 난이도 등급 및 사용자의 가창 등급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노래 리스트에서 선택한 노래에 대한 사용자의 가창 가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노래들의 난이도 등급을 재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선택한 노래에 대한 음정 조정 수치를 제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가창 등급에 해당하는 노래를 추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노래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노래들 각각의 음역 및 상기 복수의 노래들 각각의 최고 음들에 대응하는 음소들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노래들 각각의 난이도 등급을 결정하는 동작, 사용자의 음성을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음역 및 발음 정확성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한 사용자의 음역 및 상기 발음 정확성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가창 등급을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결정한 사용자의 가창 등급과 상기 사용자가 상기 노래 리스트에서 선택한 노래에 해당하는 난이도 등급을 비교하여 상기 노래 리스트에서 선택한 노래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가창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노래들 각각의 난이도 등급을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복수의 노래들 각각의 최고 음들을 결정하는 동작, 상기 결정한 최고 음들 및 상기 음역에 따라 상기 복수의 노래들의 난이도 등급을 결정하는 동작, 상기 결정한 최고 음들에 대응하는 상기 음소들의 발성 난이도에 따라 상기 음소들에 대해 각기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난이도 등급 결정 재조정 인자들을 생성하는 동작 및 상기 생성한 난이도 등급 결정 재조정 인자들을 기초로 상기 결정한 복수의 노래들 각각의 난이도 등급을 재조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정한 최고 음들에 대응하는 상기 음소들의 발성 난이도에 따라 상기 음소들에 대해 각기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난이도 등급 결정 재조정 인자들을 생성하는 동작은, 상기 결정한 최고 음들에 대응하는 상기 음소들의 발성이 쉬울수록 긍정적인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음소들의 발성이 어려울수록 부정적인 가중치를 부여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노래들 각각의 난이도 등급을 재조정하는 동작은, 상기 결정한 최고 음들에 대응하는 상기 음소들의 발성 난이도가 낮을수록 상기 사용자의 가창 가능성이 높아지는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노래들 각각에 대한 난이도 등급을 재조정하고, 상기 결정한 최고 음들에 대응하는 상기 음소들의 발성 난이도가 높을수록 상기 사용자의 가창 가능성이 낮아지는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노래들 각각에 대한 난이도 등급을 재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소 발음 차이를 이용한 가창 가능 여부 판단 방법은, 상기 노래 리스트에서 선택한 노래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가창이 불가능하다고 결정한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선택한 노래에 대한 음정 조정 수치를 제안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선택한 노래에 대한 음정 조정 수치를 제안하는 동작은, 상기 사용자의 가창 등급, 상기 선택한 노래에 대한 난이도 등급 및 상기 선택한 노래의 최고 음에 대응하는 음소를 고려하여 상기 음정 조정 수치를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소 발음 차이를 이용한 가창 가능 여부 판단 방법은,
상기 노래 리스트에서 선택한 노래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가창이 불가능하다고 결정한 경우, 상기 노래 리스트에서 상기 사용자의 가창 등급에 해당하는 노래를 추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가창 가능 여부 판단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창 가능 여부 판단 장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노래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노래들 각각의 음역 및 상기 복수의 노래들 각각의 최고 음들에 대응하는 음소들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노래들 각각의 난이도 등급을 결정하고, 사용자의 음성을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음역 및 발음 정확성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한 사용자의 음역 및 상기 발음 정확성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가창 등급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한 사용자의 가창 등급과 상기 사용자가 상기 노래 리스트에서 선택한 노래에 해당하는 난이도 등급을 비교하여 상기 노래 리스트에서 선택한 노래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가창 가능 여부를 결정한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노래들 각각의 최고 음들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한 최고 음들 및 상기 음역에 따라 상기 복수의 노래들의 난이도 등급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한 최고 음들에 대응하는 상기 음소들의 발성 난이도에 따라 상기 음소들에 대해 각기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난이도 등급 결정 재조정 인자들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난이도 등급 결정 재조정 인자들을 기초로 상기 결정한 복수의 노래들 각각의 난이도 등급을 재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결정한 최고 음들에서 상기 음소들의 발성이 쉬울수록 긍정적인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음소들의 발성이 어려울수록 부정적인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결정한 최고 음들에 대응하는 상기 음소들의 발성 난이도가 낮을수록 상기 사용자의 가창 가능성이 높아지는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노래들 각각에 대한 난이도 등급을 재조정하고, 상기 결정한 최고 음들에 대응하는 상기 음소들의 발성 난이도가 높을수록 상기 사용자의 가창 가능성이 낮아지는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노래들 각각에 대한 난이도 등급을 재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노래 리스트에서 선택한 노래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가창이 불가능하다고 결정한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선택한 노래에 대한 음정 조정 수치를 제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의 가창 등급, 상기 선택한 노래에 대한 난이도 등급 및 상기 선택한 노래의 최고 음에 대응하는 음소를 고려하여 상기 음정 조정 수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노래 리스트에서 선택한 노래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가창이 불가능하다고 결정한 경우, 상기 노래 리스트에서 상기 사용자의 가창 등급에 해당하는 노래를 추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노래들의 난이도 등급 및 사용자의 가창 등급을 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노래 리스트에서 선택한 노래에 대한 사용자의 가창 가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노래들의 난이도 등급을 재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선택한 노래에 대한 음정 조정 수치를 제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의 가창 등급에 해당하는 노래를 추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가창 가능 여부 판단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각 노래 별 음역 및 최고 음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노래의 음표와 가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노래들 각각의 최고 음들에 대응하는 음절들의 리스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음소에 따라 달라지는 입모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노래들의 난이도 등급을 재조정하기 위한 난이도 등급 결정 재조정 인자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가창 등급을 결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노래 리스트에서 선택한 노래가 가창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음소 발음 차이를 이용한 가창 가능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명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한 식별 기호는 동일한 구성을 의미하며, 불필요한 중복적인 설명 및 공지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통신', '통신망' 및 '네트워크'는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세 용어들은, 파일을 사용자 단말, 다른 사용자들의 단말 및 다운로드 서버 사이에서 송수신할 수 있는 유무선의 근거리 및 광역 데이터 송수신망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가창 가능 여부 판단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가창 가능 여부 판단 장치(100)는 프로세서(110), 인터페이스 모듈(120) 및 데이터베이스(130)를 포함한다.
가창 가능 여부 판단 장치(100)를 구성하는 프로세서(110), 인터페이스 모듈(120) 및 데이터베이스(130)는 연결되어 있으며, 상호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110)는 프로그램들이 저장된 메모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상기 포함한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프로그램들이 저장된 메모리(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상기 연결된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메모리(미도시)에는 가창 가능 여부 판단 장치(100)를 동작시키기 위한 동작프로그램(예컨대, OS)이 저장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가창 가능 여부 판단 장치(100)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가창 가능 여부 판단 장치(100)의 동작을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인터페이스 모듈(120)을 통해 노래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노래들에 관한 데이터들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노래들에 관한 데이터들은 노래들의 제목, 노래들의 악보, 노래들의 가사, 노래들의 음원, 노래들의 음역, 노래들의 키, 노래들의 최고 음, 노래들의 최고 음에 해당하는 음절, 노래들의 최고 음에 해당하는 음소 일 수 있으나, 상기 복수의 노래들에 관한 데이터들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복수의 노래들에 관한 데이터들은 디지털 정보로 표현될 수 있으나, 상기 복수의 노래들에 관한 데이터들이 디지털 정보로 표현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서(110)는 인터페이스 모듈(120)을 통해 사용자 식별 데이터 및 사용자의 음성에 관한 데이터들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식별 데이터는 사용자를 다른 사용자와 구별하기 위한 데이터로서 사용자의 이름, 성별, 나이, 아이디, 별명 등일 수 있으나, 사용자의 식별 데이터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음성에 관한 데이터들은 사용자의 실시간 가창 데이터, 사용자가 가창한 것을 저장한 데이터, 사용자가 낭독한 것을 저장한 데이터, 사용자가 가창한 노래의 제목, 사용자가 가창한 노래의 악보, 사용자가 가창한 노래의 가사, 사용자가 가창한 노래의 음원, 사용자가 가창한 노래의 음역, 사용자가 가창한 노래의 키, 사용자가 가창한 노래의 최고 음, 사용자가 가창한 노래의 최고 음에 해당하는 음절, 사용자가 가창한 노래의 최고 음에 해당하는 음소일 수 있으나 상기 사용자의 음성에 관한 데이터들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각 노래 별 음역 및 최고 음의 음이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서 “AAA”, “BBB”, “DDD”, “EEE”, “FFF”, “GGG” 또는 “HHH”는 노래 제목을 의미하며, “D#3”, “F5” “F3”, “D#5”, “C#3”, “D5”, “B3”, 또는 “D6” 등은 최고 음을 나타낸다.
음이름(pitch names)은 원음과 사이음으로 이루어져 있고, 건반의 흰 건반 또는 오선보 위에서 변화 기호가 없는 음을 원음이라고 하며, 원음의 음이름은 도에 해당하는 C 부터 D, E, F, G, A, B, C 순으로 표현된다.
또한, 원음에 변화 기호를 붙여 반음 위아래로 변화시킨 음을 사이음(파생음)이라하며, 영어 이름에서는 일률적으로 #(샤프) 또는 ♭(플랫)을 붙여 표현한다.
또한, 원문의 음이름이 같을 때, 음이름 뒤의 숫자가 클수록 높은 음을 의미한다.
도 2를 참고하면, 각 노래별로 최저 음부터 최고 음까지를 의미하는 음역은 모두 다름을 알 수 있다. 예컨대, “AAA”노래의 경우, 최저 음은“D#3”이며, 최고 음은 “F5”이며, “BBB”노래의 경우, 최저음은“F3”이며, 최저 음은“F3”이며, 최고 음은“D#5”이며,“CCC”노래의 경우, 최저 음은“C#3”이며, 최고 음은 “D5”이다.“AAA”노래,“BBB”노래, 및“CCC”노래의 최저 음을 비교하면, “CCC”노래의 최저 음(C#3)이 가장 낮고, “BBB”노래의 최저 음(F3)이 가장 높다. “AAA”노래, “BBB”노래, 및“CCC”노래의 최고 음을 비교하면, “CCC”노래의 최고 음(D5)이 가장 낮고, “AAA”노래의 최고 음(F5)이 가장 높다. 최저 음부터 최고 음까지를 의미하는 음역은“AAA”노래가 가장 넓고, “BBB”노래가 가장 좁다.
ⅰ) 난이도 등급 결정
프로세서(110)는 노래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노래들 각각의 음역 및 상기 복수의 노래들 각각의 최고 음들에 대응하는 음소들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노래들 각각의 난이도 등급을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 프로세서(110)는 노래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노래들 각각의 최고 음들을 결정하고, 결정한 최고 음에 해당하는 노래들부터 최고 음이 낮아지는 순서로 노래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노래들을 배치하고, 결정한 최고 음이 동일한 노래들은 음역이 더 넓은 노래를 더 위의 순서로 배치하여 노래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노래들 각각의 난이도 등급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110)는 노래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노래들 각각의 음역을 결정하고, 결정한 음역이 가장 넓은 노래들부터 음역이 좁아지는 순서로 노래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노래들을 배치하고, 결정한 음역이 동일한 노래들은 최고음이 더 높은 노래를 더 위의 순서로 배치하여 노래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노래들 각각의 난이도 등급을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노래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노래들 각각의 난이도 등급을 결정하는 것은 실시예에 불과하며, 상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노래의 음표와 가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노래에서 최고 음은 “F7”이며, 최고 음인 “F7”에 대응하는 음절은 “나”이다. 음절이란 말소리의 단위로, 음소들로 구성된다. 예컨대, “나”라는 음절은 “ㄴ”이라는 음소과 “ㅏ”라는 음소가 결합된 단어이다. 각 노래마다 최고 음에 대응하는 음절과 음소는 다를 수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노래들 각각의 최고 음들에 대응하는 음절들의 리스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 도 2 및 도4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10)는 노래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노래들 각각에 대응되는 음역들을 추출할 수 있다. 이때, 노래 리스트는 복수의 노래들을 포함하며, 도 2에서 도시된 노래들로 노래 리스트가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노래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노래들 각각의 제목과 대응되는 음역들을 추출한 후, 상기 복수의 노래들 각각의 제목과 대응되는 음역들을 데이터로서 데이터베이스(130) 또는 다른 저장 공간(미도시)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음역들을 추출하는 것이란 복수의 노래들 각각의 최저 음들과 최고 음들을 추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프로세서(110)는 상기 노래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노래들 각각의 제목과 대응되는 최고 음들만을 추출할 수 있다. 이렇게 최고 음들만을 추출하면 음역들을 추출할 때보다 속도가 향상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상기 노래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노래들 각각의 최고 음들에 대응하는 음절들을 결정하고, 결정한 음절에서 음소들을 추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추출한 복수의 노래들 각각의 제목, 최저 음, 최고 음 및 최고 음에 대응하는 음절을 도 4에 도시된 왼쪽 테이블과 같이 데이터베이스(130) 또는 다른 저장 공간(미도시)에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10)는 “AAA”노래의 최저 음인 “D#3”, 최고 음인 “F5”, 최고 음인 “F5”에 대응하는 음절인 “가”에 대한 정보를 도 4에 도시된 왼쪽 테이블의 제1행에, “BBB”노래의 최저 음인 “F3”, 최고 음인 “D#5”, 최고 음인 “D#5”에 대응하는 음절인 “사”에 대한 정보를 도 4에 도시된 왼쪽 테이블의 제2행에 저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110)는 최저 음을 제외하고, 추출한 복수의 노래들 각각의 제목, 최저 음, 최고 음, 및 최고 음에 대응하는 음절을 도 4에 도시된 왼쪽 테이블과 같이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도 4에서 최저 음들과 관련된 열은 삭제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추출한 복수의 노래들 각각의 제목, 최저 음들, 최고 음들 및 최고 음들 각각에 대응하는 음절들을 도 4에 도시된 왼쪽 테이블과 같이 저장한 후, 최고 음이 높은 순서에 따라 상기 복수의 노래들을 도 4의 오른쪽 테이블과 같이 배치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의 왼쪽 테이블에 포함된 복수의 노래들 중에서 최고 음이 가장 높은 노래는 “HHH”노래이며, 그 다음 “FFF”노래, “AAA”노래 순이다. 도 4의 왼쪽 테이블에 포함된 복수의 노래들 중에서 최고 음이 가장 낮은 노래는 “CCC”노래와 “EEE”노래이다. 따라서 프로세서(110)는 도 4의 오른쪽 테이블과 같이 최고 음이 높은 순서에 따라 복수의 노래들을 “HHH”노래, “FFF”노래, “AAA”노래, “GGG”노래, “DDD”노래, “BBB”노래, “CCC”노래, 및 “EEE”노래 순으로 배치할 수 있다. “AAA”노래와 “GGG”노래는 최고 음이 “F5”로 같으며, “CCC”노래와 “EEE”노래는 최고 음이 “D5”로 같다. 이들은 최고 음이 서로 같으므로, 노래 제목에 따라 배치되거나, 음역이 더 넓은 순서로 배치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최고 음이 높은 순에 따라 상기 복수의 노래들을 도 4의 오른쪽 테이블과 같이 배치한 후, 상기 복수의 노래들 각각의 최고 음들에 따라 상기 복수의 노래들 각각의 난이도 등급을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10)는 “HHH” 노래는 난이도 등급 A 등급으로 “FFF” 노래는 난이도 등급 B 등급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AAA”노래와 “GGG”노래는 최고 음이 “F5”로 같고, “BBB”노래, “CCC”노래, 및 “EEE”노래는 최고 음이 D5로 유사하다. 따라서 프로세서(110)는 “AAA”노래와 “GGG”노래는 난이도 등급 C 등급으로, “BBB”노래, “CCC”노래, 및 “EEE”노래는 난이도 등급 E 등급으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A 등급은 복수의 노래들 중에서 최고 음이 가장 높아 노래의 난이도 등급이 가장 높음을 의미하며, B 등급, C 등급, D 등급, 및 E 등급으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최고 음이 낮아져 노래의 난이도 등급이 상대적으로 낮아짐을 의미한다. 실시 예에 따라 순서는 반대가 될 수 있다. 예컨대, 난이도 등급 E 등급이 최고 음이 가장 높음을 의미하며, D 등급, C 등급, 및 B 등급으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최고 음이 낮아져 난이도 등급이 낮아짐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BBB”노래의 최고 음과 “CCC”노래 및 “EEE”노래의 최고 음은 “D5”로 유사하나, “BBB”노래의 최고 음은 “D#5”이며, “CCC”노래 및 “EEE”노래의 최고 음은 “D5”으로 차이가 있기 때문에, 프로세서(110)는 “BBB”노래의 난이도 등급과 “CCC”노래 및 “EEE”노래의 난이도 등급을 서로 다르게 결정할 수 있다.
도 4의 오른쪽 테이블에서는 5개의 영문자들을 이용하여 난이도 등급을 표시하였으나, 실시 예에 따라 난이도 등급을 표시하는 영문자들의 수는 다양할 수 있다. 예컨대, “HHH”노래, “FFF”노래, “AAA”노래, 및“GGG”노래는 난이도 등급이 A 등급으로 표시되고, “DDD”노래, “BBB”노래, “CCC”노래, 및 “EEE”노래는 난이도 등급 B 등급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도 4에서는 난이도 등급을 영문자로 표시하였으나, 실시 예에 따라 숫자(예컨대, 점수)로 표시할 수도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10)는 도 4의 오른쪽 테이블에 “HHH”노래에 대해 난이도 등급 A 등급 대신에 90점, “FFF”노래에 대해 난이도 등급 B 등급 대신에 80점, “AAA”노래에 대해 난이도 등급 C 등급 대신에 70점으로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난이도 등급을 영문자 또는 점수 이외에 다양하게 표시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110)가 난이도 등급을 표시하는 방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ⅱ) 사용자의 가창 등급 결정
프로세서(110)는 인터페이스 모듈(120)을 통해 획득한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사용자의 음성에 관한 데이터들을 기초로 사용자의 가창 등급을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사용자의 음성에 관한 데이터들을 기초로 사용자의 음역 및 사용자가 가창할 수 있는 최고 음을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사용자의 최저 음, 최고 음 및 사용자의 음역을 결정하기 위하여 사용자 음성의 주파수를 이용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사용자의 음성에 관한 데이터들을 기초로 사용자의 발음 정확성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0)는 사용자의 발음 정확성을 결정하기 위하여 발화 검증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나, 사용자의 발음 정확성을 결정하기 위하여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서(110)는 사용자의 음역, 사용자가 가창할 수 있는 최고 음 및 발음 정확성을 기초로 사용자의 가창 등급을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사용자가 가창할 수 있는 최고 음을 기준으로 사용자의 가창 등급을 결정하고, 결정한 상기 사용자의 가창 등급을 사용자의 음역 및 사용자의 발음 정확성을 이용하여 재조정할 수 있다.
일례로, 프로세서(110)는 사용자가 가창할 수 있는 최고 음을 기준으로 사용자의 가창 등급을 결정하고, 사용자의 나이, 성별 등을 고려하여 평균적인 음역을 결정한 후, 결정한 음역과 사용자의 음역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최고 음을 기준으로 결정한 사용자의 가창 등급을 재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110)는 사용자가 가창할 수 있는 최고 음을 기준으로 사용자의 가창 등급을 결정하고, 사용자의 나이, 성별 등을 고려하여 평균적인 발음 정확성을 결정한 후, 결정한 발음 정확성과 사용자의 발음 정확성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최고 음을 기준으로 결정한 사용자의 가창 등급을 재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110)는 사용자가 가창할 수 있는 최고 음을 기준으로 사용자의 가창 등급을 결정하고, 사용자의 나이, 성별 등을 고려하여 평균적인 음역 및 발음 정확성을 결정하고, 결정한 음역 및 발음 정확성과 사용자의 음역 및 발음 정확성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최고 음을 기준으로 결정한 사용자의 가창 등급을 재조정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사용자의 가창 등급을 재조정하는 것들은 실시예에 불과하며, 상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서(110)는 사용자의 가창 등급은 노래의 난이도 등급과 매칭될 수 있도록 A, B, C, D, E의 5 등급일 수 있으나, 프로세서(110)가 결정한 사용자의 가창 등급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ⅲ) 난이도 등급 재조정 및 가창 가능 여부 결정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음소에 따라 달라지는 입모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과 도 5를 참고하면, 음소에 따라 발음되는 입모양은 서로 다르다. 예컨대, 음소“ㅏ”의 경우, 발음하기 위해 가장 입을 크게 벌려야 하며, 음소“ㅓ”의 경우, 발음하기 위해 입을 옆으로 벌려야 하며, 음소“ㅗ”의 경우, 발음하기 위해 입을 동그랗게 벌려야 하며, 음소“ㅜ”의 경우, 발음하기 위해 음소“ㅗ”보다는 작게 입을 벌려야 하며 음소“ㅡ”의 경우, 발음하기 위해 이를 드러내고 약간 입을 벌려야 하며, 음소“ㅣ”의 경우, 발음하기 위해 이를 드러내고 입을 옆으로 벌려야 한다. 따라서 같은 최고 음이라도 하더라도 최고 음에 대응하는 음소에 따라 사용자가 낼 수 이는 최고 음이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낼 수 있는 최고 음이 “D5”, 노래의 최고 음이 “D5”이며, 최고 음에 대응하는 음소가 “ㅏ”인 경우, 사용자는 상기 노래에 대해 가창이 가능할 수 있다. 반면, 사용자가 낼 수 있는 최고 음이 “D5”, 노래의 최고 음이 “D5”이라 하더라도, 최고 음에 대응하는 음소가 “ㅣ”인 경우, 사용자는 상기 노래에 대해 가창이 불가능할 수 있다. 왜냐하면 같은 최고 음이라도 음소“ㅏ”가 음소“ㅣ”음소보다 발성하기가 더 쉽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가창 가능한 노래인지 판단하기 위해서는 노래의 최고 음에 대응하는 음소의 발성 난이도가 고려되어야 한다.
프로세서(110)는 사용자가 가창 가능한 노래인지 판단하기 위해 노래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노래들 각각의 최고 음에 대응하는 음소들의 발성 난이도에 따라 상기 음소들에 대해 각기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난이도 등급 재조정 인자들을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최고 음들에 대응하는 상기 음소들의 발성이 쉬울수록 긍정적인 가중치를 부여하여 난이도 등급 결정 재조정 인자들을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최고 음들에 대응하는 상기 음소들의 발성이 어려울수록 부정적인 가중치를 부여하여 난이도 등급 결정 재조정 인자들을 생성할 수 있다.
일례로, 모음 음소의 경우, “ㅏ”가 발성이 가장 쉬우며, “ㅓ”, “ㅜ”, “ㅡ”, 및 “ㅣ”순으로 발성이 어려워진다. 자음 음소의 경우, 음소가 예사소리(예컨대, “ㄱ”, “ㄷ”, “ㅂ”, “ㅅ”, 또는 “ㅈ”)인 경우가 된소리(예컨대, “ㄲ”, “ㄸ”, “ㅃ’, “ㅆ”, 또는 “ㅉ”), 및 거센소리(“ㅋ”, “ㅌ”, “ㅍ”, 또는 “ㅊ”)인 경우보다 발성이 쉽다. 따라서, 프로세서(110)는 모음의 음소 및 자음의 음소가 된소리 또는 거센소리인지 여부 등에 따라 각 음소의 발성 난이도를 결정하고, 결정한 발성 난이도에 따라 각각의 음소들에 대해 긍정적인 가중치 또는 부정적인 가중치를 부여하여 난이도 등급 결정 재조정 인자들을 생성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난이도 등급 결정 재조정 인자들을 생성하는 것은 실시예에 불과하며, 상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노래들의 난이도 등급을 재조정하기 위한 난이도 등급 결정 재조정 인자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복수의 노래들의 최고 음들에 대응하는 음소들에서 음소“ㅏ”는 상대적으로 발성하기가 쉽다. 반면 음소“ㄲ”는 된소리로 단자음 보다는 발성하기가 어렵다. 또한 받침 음소 “ㄶ”, 받침 음소 “ㄹ”이 존재하는 경우 받침 음소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발성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프로세서(110)는 복수의 노래들의 최고 음들에 대응하는 음소들에서 음소“ㅏ”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가중치(예컨대, 양의 점수)를 부여하고, 음소“ㄲ”, 음소“ㅃ” 또는 받침 음소 “ㄶ”, 받침 음소 “ㄹ”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가중치(예컨대, 음의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예컨대, 도 6에서는 난이도 등급 결정 재조정 인자로 음소“ㅏ”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가중치(예컨대, +2)를 부여하였으며, 받침 음소 “ㄶ” 또는 받침 음소 “ㄹ”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가중치(예컨대, -3)를 부여하였다. 또한, 된소리 음소인 음소“ㄲ” 또는 음소“ㅃ”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가중치(예컨대, -3)를 부여하였다.
프로세서(110)는 복수의 노래들의 최고 음들에 대응하는 음소가 “ㅗ” 또는 “ㅜ”인 경우, 기준 가중치(예컨대, 0)를 부여하여 난이도 등급 결정 재조정 인자를 생성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난이도 등급 결정 재조정 인자가 정수로 표현되었으나, 실시 예에 따라 영문자 등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110)는 상기 음소들의 발성이 쉬울수록 부정적인 가중치를 부여하여 난이도 등급 결정 재조정 인자를 생성하고, 상기 음소들의 발음이 어려울수록 긍정적인 가중치를 부여하여 난이도 등급 결정 재조정 인자를 생성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6에서는 음소“ㅏ”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가중치(예컨대, +2) 대신에 부정적인 가중치(예컨대, -2)를 부여하여 난이도 등급 결정 재조정 인자를 생성할 수 있으며, 받침 음소 “ㄹ”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가중치(예컨대, -3) 대신에 긍정적인 가중치(예컨대, +3)를 부여하여 난이도 등급 결정 재조정 인자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난이도 등급 결정 재조정 인자들을 기초로 복수의 노래들 각각의 난이도 등급을 재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상기 복수의 노래들 각각의 최고 음에 대응하는 음소들의 발성 난이도가 낮을수록 사용자의 가창 가능성이 높아지는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노래들 각각에 대한 난이도 등급을 재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최고 음들에 대응하는 상기 음소들의 발성이 쉬울수록 긍정적인 가중치를 부여하여 난이도 등급 결정 재조정 인자를 생성하고, 생성한 난이도 등급 결정 재조정 인자를 기초로 최고 음에 따라 결정한 노래의 난이도 등급을 재조정(예컨대, 난이도 등급을 낮춤)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결정한 사용자의 가창 등급과 사용자가 노래 리스트에서 선택한 노래에 해당하는 난이도 등급을 비교하여 상기 노래 리스트에서 선택한 노래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가창 가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AAA”노래의 난이도 등급은 C 등급이며, 난이도 등급 결정 재조정 인자는 +2이다. 프로세서(110)는 난이도 등급 결정 재조정 인자가 +2인 “AAA”노래의 난이도 등급을 C 등급에서 D 등급 또는 E 등급으로 낮출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가창 등급이 D 등급일 때, “AAA”노래의 난이도 등급이 C 등급에서 D 등급 또는 E 등급으로 재조정되었으므로, 프로세서(110)는 사용자가 “AAA”노래에 대해 가창이 가능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상기 복수의 노래들 각각의 최고 음에 대응하는 음소들의 발성 난이도가 높을수록 사용자의 가창 가능성이 낮아지는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노래들 각각에 대한 난이도 등급을 재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최고 음들에 대응하는 상기 음소들의 발성이 어려울수록 부정적인 가중치를 부여하여 난이도 등급 결정 재조정 인자를 생성하고, 생성한 난이도 등급 결정 재조정 인자를 기초로 최고 음에 따라 결정한 노래의 난이도 등급을 재조정(예컨대, 난이도 등급을 높임)할 수 있다.
예컨대, “GGG”노래의 난이도 등급은 C 등급이며, 난이도 등급 결정 재조정 인자는 -1이다. 프로세서(110)는 난이도 등급 결정 재조정 인자가 -1인 “GGG”노래의 난이도 등급을 C 등급에서 B 등급 또는 A 등급으로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가창 등급이 C 등급일 때, “GGG”노래의 난이도 등급이 C 등급에서 B 등급 또는 A 등급으로 재조정되었으므로, 프로세서(110)는 사용자가 “GGG”노래에 대해 가창이 불가능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ⅳ) 음정 조정 수치 제안 및 노래 추천
프로세서(110)는 노래 리스트에서 선택한 노래에 대한 사용자의 가창이 불가능하다고 결정한 경우, 사용자에게 상기 선택한 노래에 대한 음정 조정 수치를 제안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사용자의 가창 등급, 상기 선택한 노래에 대한 난이도 등급 및 상기 선택한 노래의 최고 음에 대응하는 음소를 고려하여 상기 음정 조정 수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 프로세서(110)는 사용자가 선택한 노래의 최고 음에 대응하는 음소를 고려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노래에 대한 난이도 등급을 재조정하고, 재조정한 사용자가 선택한 노래와 사용자의 가창 등급과의 차이를 기초로 음정 조정 수치를 제안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110)는 사용자가 선택한 노래의 최고 음에 대응하는 음소를 고려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노래에 대한 난이도 등급을 재조정하고, 재조정한 사용자가 선택한 노래와 사용자의 가창 등급의 차이가 발생하면 미리 설정된 조옮김 값(예컨대, 단 3 도)을 음정 조정 수치로 제안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110)는 사용자가 선택한 노래의 최고 음에 대응하는 음소를 고려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노래에 대한 난이도 등급을 재조정하고, 재조정한 사용자가 선택한 노래와 사용자의 가창 등급의 차이에 미리 설정된 조옮김 값(예컨대, 단 3 도)을 곱한 수치를 음정 조정 수치로 제안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음정 조정 수치를 제한하는 것들은 실시예에 불과하며, 상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서(110)는 노래 리스트에서 선택한 노래에 대한 사용자의 가창이 불가능하다고 결정한 경우, 노래 리스트에서 상기 사용자의 가창 등급에 해당하는 노래를 추천할 수 있다.
일례로, 프로세서(110)는 노래 리스트에 존재하는 노래의 최고 음에 대응하는 음소를 고려하여 노래 리스트에 존재하는 노래에 대한 난이도 등급을 재조정하고, 재조정한 노래 리스트에 존재하는 노래와 사용자의 가창 등급을 비교하여 사용자의 가창 등급에 해당하는 노래를 추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110)는 노래 리스트에 존재하는 노래의 최고 음에 대응하는 음소를 고려하여 노래 리스트에 존재하는 노래에 대한 난이도 등급을 재조정하고, 재조정한 노래 리스트에 존재하는 노래와 사용자의 가창 등급을 비교하여 사용자의 가창 등급보다 낮은 노래를 추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110)는 노래 리스트에 존재하는 노래의 최고 음에 대응하는 음소를 고려하여 노래 리스트에 존재하는 노래에 대한 난이도 등급을 재조정하여도 사용자의 가창 등급에 해당하는 노래가 없는 경우, 사용자의 가창 등급과 가장 가까운 등급의 노래를 추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110)는 노래 리스트에 존재하는 노래의 최고 음에 대응하는 음소를 고려하여 노래 리스트에 존재하는 노래에 대한 난이도 등급을 재조정하여도 사용자의 가창 등급에 해당하는 노래가 없는 경우, 사용자의 가창 등급과 가장 가까운 등급의 노래를 추천하고, 추천한 노래에 대한 음정 조정 수치를 제안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110)는 노래 리스트에 존재하는 노래의 최고 음에 대응하는 음소를 고려하여 노래 리스트에 존재하는 노래에 대한 난이도 등급을 재조정하여도 사용자의 가창 등급에 해당하는 노래가 없는 경우, 사용자의 가창 등급에 해당하는 노래를 가창 가능 여부 판단 장치(100) 외부로부터 획득하고, 획득한 노래를 추천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사용자에게 노래를 추천하는 것은 실시예에 불과하며, 상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가창 가능 여부 판단 장치(100) 외부로부터 복수의 노래들에 관한 데이터들 및 사용자의 음성에 관한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가창 가능 여부 판단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가창 가능 여부 판단 장치(100)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복수의 노래들에 관한 데이터들 및 사용자의 음성에 관한 데이터들을 수신하기 위하여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서버 등과 연결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복수의 노래들에 관한 데이터들 및 사용자의 음성에 관한 데이터들을 수신하기 위하여 외부 연결 단자(예컨대, USB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가창 가능 여부 판단 장치(100)와 일체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가창 가능 여부 판단 장치(100)에서 분리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가창 가능 여부 판단 장치(100)와 통신적으로 연결된 별도의 장치일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터치스크린, 마우스, 전자펜, 마이크로폰, 키보드, 스피커, 이어폰, 헤드폰 또는 터치패드 일 수 있으나, 인터페이스 모듈(120)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터치스크린, 마우스, 전자펜, 마이크로폰, 키보드, 스피커, 이어폰, 헤드폰 또는 터치패드 중 적어도 두개 이상의 결합일 수 있으나, 인터페이스 모듈(120)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데이터베이스(130)는 프로세서(110)가 결정한 복수의 노래들 각각의 난이도 등급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30)는 사용자 식별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30)는 프로세서(110)가 결정한 사용자의 가창 등급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30)는 프로세서(110)가 결정한 노래 리스트에서 선택한 노래에 대한 사용자의 가창 가능 여부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30)는 프로세서(110)가 생성한 난이도 등급 결정 재조정 인자들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30)는 프로세서(110)가 재조정한 복수의 노래들 각각의 난이도 등급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30)는 프로세서(110)가 제안한 음정 조정 수치 및 음정 조정 수치를 제안받은 사용자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30)는 프로세서(110)가 추천한 노래 및 노래를 추천받은 사용자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30)는 프로세서(110)가 재조정한 사용자의 가창 등급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30)는 프로세서(110)가 가창 가능 여부 판단 장치(100) 외부로부터 획득한 노래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된 '모듈'이라는 용어는 논리적인 구성 단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반드시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구성 요소가 아니라는 점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가창 등급을 결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가창 가능 여부 판단 장치(100)는 사용자의 음성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음역 및 발음 정확성을 결정하고 결정한 사용자의 음역 및 발음 정확성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가창 등급을 결정하기 위하여 도 7과 같은 인터페이스(121)를 인터페이스 모듈(120)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의 가창 등급을 결정하기 위하여 인터페이스 모듈(120)이 제공한 인터페이스(121)에 표시된 노래들 중 어느 하나의 노래 (예컨대, “KKK” 노래)를 선택하고, 시작 버튼을 누를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시작 버튼을 누른 후, 인터페이스 모듈(120)에 구비된 입력 장치(예컨대, 마이크로폰)를 통해 사용자의 노래를 실시간으로 가창 가능 여부 판단 장치(100)에 입력할 수 있다.
가창 가능 여부 판단 장치(100)는 사용자의 음성(사용자의 노래)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음역 및 발음 정확성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한 사용자의 음역 및 상기 발음 정확성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가창 등급을 결정할 수 있다.
가창 가능 여부 판단 장치(100)는 사용자의 음성에 대한 주파수를 확인하여 사용자의 최저 음, 최고 음 및 사용자의 음역을 추정할 수 있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노래 리스트에서 선택한 노래가 가창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8을 참조하면, 가창 가능 여부 판단 장치(100)는 인터페이스 모듈(120)을 통해 사용자에게 복수의 노래들을 노래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리스트는 인터페이스(121)에 표시되며, 사용자는 상기 복수의 노래들 중 어느 하나(예컨대, “AAA” 노래)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복수의 노래들 중 어느 하나(예컨대, “AAA”노래)를 선택할 때, 가창 가능 여부 판단 장치(100)는 사용자의 가창 등급(예컨대, D등급)과 사용자가 상기 복수의 노래들 중 선택한 노래의 난이도 등급(예컨대, D 등급 또는 E 등급)을 비교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노래가 가창이 가능한지 여부를 결정한다. 이때, 복수의 노래들 중 선택한 노래의 난이도 등급(예컨대, D 등급 또는 E 등급)은 난이도 등급 결정 재조정 인자들을 이용하여 난이도 등급이 재조정(예컨대, C 등급에서 D 등급 또는 E 등급)된 난이도 등급을 의미한다.
사용자의 가창 등급(예컨대, D등급)과 사용자가 복수의 노래들 중 선택한 노래의 난이도 등급(예컨대, D 등급 또는 E 등급)의 비교 결과, 사용자의 가창 등급(예컨대, D등급)이 복수의 노래들 중 선택한 노래의 난이도 등급(예컨대, D 등급 또는 E 등급)보다 상위 등급일 때, 가창 가능 여부 판단 장치(100)는 사용자가 선택한 노래에 대해 가창이 가능함을 알리기 위한 표시(예컨대, “가창 가능”이라는 문자 표시)를 인터페이스 모듈(120)을 통해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때, 상위 등급이라 함은 사용자가 낼 수 있는 최고 음보다 사용자가 선택한 노래의 최고 음이 더 낮은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가창 가능 여부 판단 장치(100)는 사용자가 선택한 노래에 대해 가창이 불가능함을 알리기 위한 표시(예컨대, “가창 불가능”이라는 문자 표시)를 인터페이스 모듈(120)을 통해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가창 가능 여부 판단 장치(100)는 상기 노래 리스트에서 선택한 노래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가창이 불가능하다고 결정한 경우, 사용자에게 상기 선택한 노래에 대한 음정 조정 수치를 제안할 수 있다. 이때, 가창 가능 여부 판단 장치(100)는 선택한 노래에 대한 음정 조정 수치의 제안을 알리기 위한 표시(예컨대, “선택한 노래의 반주를 감3도 낮추어 선택한 노래를 부를 수 있게 할까요?”라는 문자 표시)를 인터페이스 모듈(120)을 통해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가창 가능 여부 판단 장치(100)는 사용자의 가창 등급, 선택한 노래에 대한 난이도 등급 및 선택한 노래의 최고 음에 대응하는 음소를 고려하여 상기 음정 조정 수치를 결정할 수 있다.
가창 가능 여부 판단 장치(100)는 사용자의 가창 등급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가창 등급 또는 사용자의 가창 등급보다 낮은 등급의 노래를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음소 발음 차이를 이용한 가창 가능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음소 발음 차이를 이용한 가창 가능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방법에서 가창 가능 여부 판단 장치가 노래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노래들 각각의 난이도 등급을 결정한다(300).
이때, 가창 가능 여부 판단 장치는 노래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노래들 각각의 음역 및 상기 복수의 노래들 각각의 최고 음들에 대응하는 음소들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노래들 각각의 난이도 등급을 결정할 수 있다.
가창 가능 여부 판단 장치가 사용자의 가창 등급을 결정한다(310).
이때, 가창 가능 여부 판단 장치는 사용자의 음성을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음역 및 발음 정확성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한 사용자의 음역 및 상기 발음 정확성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가창 등급을 결정할 수 있다.
가창 가능 여부 판단 장치가 노래 리스트에서 선택한 노래에 대한 사용자의 가창 가능 여부를 결정한다(320).
이때, 가창 가능 여부 판단 장치는 결정한 사용자의 가창 등급과 상기 사용자가 상기 노래 리스트에서 선택한 노래에 해당하는 난이도 등급을 비교하여 상기 노래 리스트에서 선택한 노래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가창 가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가창 가능 여부 판단 장치가 사용자에게 상기 선택한 노래에 대한 음정 조정 수치를 제안한다(330).
이때, 가창 가능 여부 판단 장치는 상기 노래 리스트에서 선택한 노래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가창이 불가능하다고 결정한 경우, 사용자의 가창 등급, 선택한 노래에 대한 난이도 등급 및 선택한 노래의 최고 음에 대응하는 음소를 고려하여 상기 음정 조정 수치를 결정하고, 결정한 음정 조정 수치를 사용자에게 제안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적어도 하나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가창 가능 여부 판단 장치

Claims (14)

  1. 노래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노래들 각각의 음역 및 상기 복수의 노래들 각각의 최고 음들에 대응하는 음소들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노래들 각각의 난이도 등급을 결정하는 동작;
    사용자의 음성을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음역 및 발음 정확성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한 사용자의 음역 및 상기 발음 정확성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가창 등급을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결정한 사용자의 가창 등급과 상기 사용자가 상기 노래 리스트에서 선택한 노래에 해당하는 난이도 등급을 비교하여 상기 노래 리스트에서 선택한 노래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가창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음소 발음 차이를 이용한 가창 가능 여부 판단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노래들 각각의 난이도 등급을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복수의 노래들 각각의 최고 음들을 결정하는 동작;
    상기 결정한 최고 음들 및 상기 음역에 따라 상기 복수의 노래들의 난이도 등급을 결정하는 동작;
    상기 결정한 최고 음들에 대응하는 상기 음소들의 발성 난이도에 따라 상기 음소들에 대해 각기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난이도 등급 결정 재조정 인자들을 생성하는 동작; 및
    상기 생성한 난이도 등급 결정 재조정 인자들을 기초로 상기 결정한 복수의 노래들 각각의 난이도 등급을 재조정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음소 발음 차이를 이용한 가창 가능 여부 판단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한 최고 음들에 대응하는 상기 음소들의 발성 난이도에 따라 상기 음소들에 대해 각기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난이도 등급 결정 재조정 인자들을 생성하는 동작은,
    상기 결정한 최고 음들에 대응하는 상기 음소들의 발성이 쉬울수록 긍정적인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음소들의 발성이 어려울수록 부정적인 가중치를 부여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음소 발음 차이를 이용한 가창 가능 여부 판단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노래들 각각의 난이도 등급을 재조정하는 동작은,
    상기 결정한 최고 음들에 대응하는 상기 음소들의 발성 난이도가 낮을수록 상기 사용자의 가창 가능성이 높아지는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노래들 각각에 대한 난이도 등급을 재조정하고, 상기 결정한 최고 음들에 대응하는 상기 음소들의 발성 난이도가 높을수록 상기 사용자의 가창 가능성이 낮아지는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노래들 각각에 대한 난이도 등급을 재조정하는 음소 발음 차이를 이용한 가창 가능 여부 판단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소 발음 차이를 이용한 가창 가능 여부 판단 방법은,
    상기 노래 리스트에서 선택한 노래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가창이 불가능하다고 결정한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선택한 노래에 대한 음정 조정 수치를 제안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하는 음소 발음 차이를 이용한 가창 가능 여부 판단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선택한 노래에 대한 음정 조정 수치를 제안하는 동작은,
    상기 사용자의 가창 등급, 상기 선택한 노래에 대한 난이도 등급 및 상기 선택한 노래의 최고 음에 대응하는 음소를 고려하여 상기 음정 조정 수치를 결정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음소 발음 차이를 이용한 가창 가능 여부 판단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소 발음 차이를 이용한 가창 가능 여부 판단 방법은,
    상기 노래 리스트에서 선택한 노래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가창이 불가능하다고 결정한 경우,
    상기 노래 리스트에서 상기 사용자의 가창 등급에 해당하는 노래를 추천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하는 음소 발음 차이를 이용한 가창 가능 여부 판단 방법.
  8. 가창 가능 여부 판단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창 가능 여부 판단 장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노래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노래들 각각의 음역 및 상기 복수의 노래들 각각의 최고 음들에 대응하는 음소들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노래들 각각의 난이도 등급을 결정하고,
    사용자의 음성을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음역 및 발음 정확성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한 사용자의 음역 및 상기 발음 정확성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가창 등급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한 사용자의 가창 등급과 상기 사용자가 상기 노래 리스트에서 선택한 노래에 해당하는 난이도 등급을 비교하여 상기 노래 리스트에서 선택한 노래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가창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가창 가능 여부 판단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노래들 각각의 최고 음들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한 최고 음들 및 상기 음역에 따라 상기 복수의 노래들의 난이도 등급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한 최고 음들에 대응하는 상기 음소들의 발성 난이도에 따라 상기 음소들에 대해 각기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난이도 등급 결정 재조정 인자들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난이도 등급 결정 재조정 인자들을 기초로 상기 결정한 복수의 노래들 각각의 난이도 등급을 재조정하는 가창 가능 여부 판단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결정한 최고 음들에서 상기 음소들의 발성이 쉬울수록 긍정적인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음소들의 발성이 어려울수록 부정적인 가중치를 부여하는 가창 가능 여부 판단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결정한 최고 음들에 대응하는 상기 음소들의 발성 난이도가 낮을수록 상기 사용자의 가창 가능성이 높아지는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노래들 각각에 대한 난이도 등급을 재조정하고, 상기 결정한 최고 음들에 대응하는 상기 음소들의 발성 난이도가 높을수록 상기 사용자의 가창 가능성이 낮아지는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노래들 각각에 대한 난이도 등급을 재조정하는 가창 가능 여부 판단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노래 리스트에서 선택한 노래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가창이 불가능하다고 결정한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선택한 노래에 대한 음정 조정 수치를 제안하는 가창 가능 여부 판단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의 가창 등급, 상기 선택한 노래에 대한 난이도 등급 및 상기 선택한 노래의 최고 음에 대응하는 음소를 고려하여 상기 음정 조정 수치를 결정하는 가창 가능 여부 판단 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노래 리스트에서 선택한 노래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가창이 불가능하다고 결정한 경우,
    상기 노래 리스트에서 상기 사용자의 가창 등급에 해당하는 노래를 추천하는 가창 가능 여부 판단 장치.
KR1020190041846A 2019-04-10 2019-04-10 음소 발음 차이를 이용한 가창 가능 여부 판단 방법 및 장치 KR1022583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1846A KR102258386B1 (ko) 2019-04-10 2019-04-10 음소 발음 차이를 이용한 가창 가능 여부 판단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1846A KR102258386B1 (ko) 2019-04-10 2019-04-10 음소 발음 차이를 이용한 가창 가능 여부 판단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9545A true KR20200119545A (ko) 2020-10-20
KR102258386B1 KR102258386B1 (ko) 2021-05-31

Family

ID=73025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1846A KR102258386B1 (ko) 2019-04-10 2019-04-10 음소 발음 차이를 이용한 가창 가능 여부 판단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838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5804B1 (ko) * 2006-07-26 2007-10-12 주식회사 엔터기술 자동음정조절기능을 가지는 노래반주기 및 그의자동음정조절방법
JP2010085657A (ja) * 2008-09-30 2010-04-15 Brother Ind Ltd 難易度推定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2185325A (ja) * 2011-03-04 2012-09-27 Konami Digital Entertainment Co Ltd カラオケ装置、音域測定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2194317A (ja) * 2011-03-16 2012-10-11 Xing Inc カラオケ装置
JP2015079160A (ja) * 2013-10-17 2015-04-23 国立大学法人 名古屋工業大学 歌唱評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5804B1 (ko) * 2006-07-26 2007-10-12 주식회사 엔터기술 자동음정조절기능을 가지는 노래반주기 및 그의자동음정조절방법
JP2010085657A (ja) * 2008-09-30 2010-04-15 Brother Ind Ltd 難易度推定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2185325A (ja) * 2011-03-04 2012-09-27 Konami Digital Entertainment Co Ltd カラオケ装置、音域測定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2194317A (ja) * 2011-03-16 2012-10-11 Xing Inc カラオケ装置
JP2015079160A (ja) * 2013-10-17 2015-04-23 国立大学法人 名古屋工業大学 歌唱評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8386B1 (ko) 2021-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91928B2 (en) Automatic song generation
CN108806655B (zh) 歌曲的自动生成
Aarti et al. Spoken Indian language identification: a review of features and databases
JP7036141B2 (ja) 電子楽器、方法及びプログラム
Fine et al. Making myself understood: perceived factors affecting the intelligibility of sung text
JP2006293026A (ja) 音声合成装置,音声合成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2258386B1 (ko) 음소 발음 차이를 이용한 가창 가능 여부 판단 방법 및 장치
JP2014013340A (ja) 作曲支援装置、作曲支援方法、作曲支援プログラム、作曲支援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録媒体およびメロディ検索装置
JP6849977B2 (ja) テキスト表示用同期情報生成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音声認識装置および方法
JP2018159741A (ja) 歌詞候補出力装置、電子楽器、歌詞候補出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3210501A (ja) 素片登録装置,音声合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Baltazani et al. Drifting without an anchor: How pitch accents withstand vowel loss
JPWO2019003350A1 (ja) 歌唱音生成装置及び方法、プログラム
JP6144593B2 (ja) 歌唱採点システム
JP5301376B2 (ja) 音声合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Bonn " That's the Way I Am, Heaven Help Me": The Role of Pronunciation in Billy Bragg's Music
KR20190046312A (ko) 영어 능력 개선 장치 및 방법
Pratt Exploring the Modern Solo Snare Drum Tradition through Analyzing Five Snare Drum Solos
Ağbaht et al. The Fann, a Genre of Oral Poetry in Antiochian Arabic: Remarks on Form and Performance Practice
De'Ath Toward a Transcription Standard for Lyric Italian
Cashman Re-examining the roles of text and language in western classical singing
Knipper et al. Exploring microtonal performance of “… Plainte…” by Klaus Huber for viola d’amore in third-tone tuning
JP5704201B2 (ja) カラオケ装置及びカラオケ楽曲処理プログラム
JP5845857B2 (ja) パラメータ抽出装置、音声合成システム
JP6177091B2 (ja) 歌唱採点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