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9545A - 음소 발음 차이를 이용한 가창 가능 여부 판단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음소 발음 차이를 이용한 가창 가능 여부 판단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119545A KR20200119545A KR1020190041846A KR20190041846A KR20200119545A KR 20200119545 A KR20200119545 A KR 20200119545A KR 1020190041846 A KR1020190041846 A KR 1020190041846A KR 20190041846 A KR20190041846 A KR 20190041846A KR 20200119545 A KR20200119545 A KR 2020011954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ng
- user
- singing
- songs
- difficult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02—Feature extraction for speech recognition; Selection of recognition unit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031—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095—Identification code, e.g. ISWC for musical works; Identification dataset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121—Musical libraries, i.e. musical databases indexed by musical parameters, wavetables, indexing schemes using musical parameters, musical rule bases or knowledge bases, e.g. for automatic composing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각 노래 별 음역 및 최고 음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노래의 음표와 가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노래들 각각의 최고 음들에 대응하는 음절들의 리스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음소에 따라 달라지는 입모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노래들의 난이도 등급을 재조정하기 위한 난이도 등급 결정 재조정 인자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가창 등급을 결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노래 리스트에서 선택한 노래가 가창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음소 발음 차이를 이용한 가창 가능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Claims (14)
- 노래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노래들 각각의 음역 및 상기 복수의 노래들 각각의 최고 음들에 대응하는 음소들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노래들 각각의 난이도 등급을 결정하는 동작;
사용자의 음성을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음역 및 발음 정확성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한 사용자의 음역 및 상기 발음 정확성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가창 등급을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결정한 사용자의 가창 등급과 상기 사용자가 상기 노래 리스트에서 선택한 노래에 해당하는 난이도 등급을 비교하여 상기 노래 리스트에서 선택한 노래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가창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음소 발음 차이를 이용한 가창 가능 여부 판단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노래들 각각의 난이도 등급을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복수의 노래들 각각의 최고 음들을 결정하는 동작;
상기 결정한 최고 음들 및 상기 음역에 따라 상기 복수의 노래들의 난이도 등급을 결정하는 동작;
상기 결정한 최고 음들에 대응하는 상기 음소들의 발성 난이도에 따라 상기 음소들에 대해 각기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난이도 등급 결정 재조정 인자들을 생성하는 동작; 및
상기 생성한 난이도 등급 결정 재조정 인자들을 기초로 상기 결정한 복수의 노래들 각각의 난이도 등급을 재조정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음소 발음 차이를 이용한 가창 가능 여부 판단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한 최고 음들에 대응하는 상기 음소들의 발성 난이도에 따라 상기 음소들에 대해 각기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난이도 등급 결정 재조정 인자들을 생성하는 동작은,
상기 결정한 최고 음들에 대응하는 상기 음소들의 발성이 쉬울수록 긍정적인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음소들의 발성이 어려울수록 부정적인 가중치를 부여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음소 발음 차이를 이용한 가창 가능 여부 판단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노래들 각각의 난이도 등급을 재조정하는 동작은,
상기 결정한 최고 음들에 대응하는 상기 음소들의 발성 난이도가 낮을수록 상기 사용자의 가창 가능성이 높아지는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노래들 각각에 대한 난이도 등급을 재조정하고, 상기 결정한 최고 음들에 대응하는 상기 음소들의 발성 난이도가 높을수록 상기 사용자의 가창 가능성이 낮아지는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노래들 각각에 대한 난이도 등급을 재조정하는 음소 발음 차이를 이용한 가창 가능 여부 판단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소 발음 차이를 이용한 가창 가능 여부 판단 방법은,
상기 노래 리스트에서 선택한 노래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가창이 불가능하다고 결정한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선택한 노래에 대한 음정 조정 수치를 제안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하는 음소 발음 차이를 이용한 가창 가능 여부 판단 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선택한 노래에 대한 음정 조정 수치를 제안하는 동작은,
상기 사용자의 가창 등급, 상기 선택한 노래에 대한 난이도 등급 및 상기 선택한 노래의 최고 음에 대응하는 음소를 고려하여 상기 음정 조정 수치를 결정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음소 발음 차이를 이용한 가창 가능 여부 판단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소 발음 차이를 이용한 가창 가능 여부 판단 방법은,
상기 노래 리스트에서 선택한 노래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가창이 불가능하다고 결정한 경우,
상기 노래 리스트에서 상기 사용자의 가창 등급에 해당하는 노래를 추천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하는 음소 발음 차이를 이용한 가창 가능 여부 판단 방법. - 가창 가능 여부 판단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창 가능 여부 판단 장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노래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노래들 각각의 음역 및 상기 복수의 노래들 각각의 최고 음들에 대응하는 음소들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노래들 각각의 난이도 등급을 결정하고,
사용자의 음성을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음역 및 발음 정확성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한 사용자의 음역 및 상기 발음 정확성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가창 등급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한 사용자의 가창 등급과 상기 사용자가 상기 노래 리스트에서 선택한 노래에 해당하는 난이도 등급을 비교하여 상기 노래 리스트에서 선택한 노래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가창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가창 가능 여부 판단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노래들 각각의 최고 음들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한 최고 음들 및 상기 음역에 따라 상기 복수의 노래들의 난이도 등급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한 최고 음들에 대응하는 상기 음소들의 발성 난이도에 따라 상기 음소들에 대해 각기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난이도 등급 결정 재조정 인자들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난이도 등급 결정 재조정 인자들을 기초로 상기 결정한 복수의 노래들 각각의 난이도 등급을 재조정하는 가창 가능 여부 판단 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결정한 최고 음들에서 상기 음소들의 발성이 쉬울수록 긍정적인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음소들의 발성이 어려울수록 부정적인 가중치를 부여하는 가창 가능 여부 판단 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결정한 최고 음들에 대응하는 상기 음소들의 발성 난이도가 낮을수록 상기 사용자의 가창 가능성이 높아지는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노래들 각각에 대한 난이도 등급을 재조정하고, 상기 결정한 최고 음들에 대응하는 상기 음소들의 발성 난이도가 높을수록 상기 사용자의 가창 가능성이 낮아지는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노래들 각각에 대한 난이도 등급을 재조정하는 가창 가능 여부 판단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노래 리스트에서 선택한 노래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가창이 불가능하다고 결정한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선택한 노래에 대한 음정 조정 수치를 제안하는 가창 가능 여부 판단 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의 가창 등급, 상기 선택한 노래에 대한 난이도 등급 및 상기 선택한 노래의 최고 음에 대응하는 음소를 고려하여 상기 음정 조정 수치를 결정하는 가창 가능 여부 판단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노래 리스트에서 선택한 노래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가창이 불가능하다고 결정한 경우,
상기 노래 리스트에서 상기 사용자의 가창 등급에 해당하는 노래를 추천하는 가창 가능 여부 판단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41846A KR102258386B1 (ko) | 2019-04-10 | 2019-04-10 | 음소 발음 차이를 이용한 가창 가능 여부 판단 방법 및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41846A KR102258386B1 (ko) | 2019-04-10 | 2019-04-10 | 음소 발음 차이를 이용한 가창 가능 여부 판단 방법 및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19545A true KR20200119545A (ko) | 2020-10-20 |
KR102258386B1 KR102258386B1 (ko) | 2021-05-31 |
Family
ID=73025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41846A Active KR102258386B1 (ko) | 2019-04-10 | 2019-04-10 | 음소 발음 차이를 이용한 가창 가능 여부 판단 방법 및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58386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65804B1 (ko) * | 2006-07-26 | 2007-10-12 | 주식회사 엔터기술 | 자동음정조절기능을 가지는 노래반주기 및 그의자동음정조절방법 |
JP2010085657A (ja) * | 2008-09-30 | 2010-04-15 | Brother Ind Ltd | 難易度推定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
JP2012185325A (ja) * | 2011-03-04 | 2012-09-27 | Konami Digital Entertainment Co Ltd | カラオケ装置、音域測定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JP2012194317A (ja) * | 2011-03-16 | 2012-10-11 | Xing Inc | カラオケ装置 |
JP2015079160A (ja) * | 2013-10-17 | 2015-04-23 | 国立大学法人 名古屋工業大学 | 歌唱評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
-
2019
- 2019-04-10 KR KR1020190041846A patent/KR102258386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65804B1 (ko) * | 2006-07-26 | 2007-10-12 | 주식회사 엔터기술 | 자동음정조절기능을 가지는 노래반주기 및 그의자동음정조절방법 |
JP2010085657A (ja) * | 2008-09-30 | 2010-04-15 | Brother Ind Ltd | 難易度推定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
JP2012185325A (ja) * | 2011-03-04 | 2012-09-27 | Konami Digital Entertainment Co Ltd | カラオケ装置、音域測定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JP2012194317A (ja) * | 2011-03-16 | 2012-10-11 | Xing Inc | カラオケ装置 |
JP2015079160A (ja) * | 2013-10-17 | 2015-04-23 | 国立大学法人 名古屋工業大学 | 歌唱評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58386B1 (ko) | 2021-05-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891928B2 (en) | Automatic song generation | |
CN108806655B (zh) | 歌曲的自动生成 | |
Bowling et al. | Major and minor music compared to excited and subdued speech | |
Abushariah et al. | Arabic speaker-independent continuous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based on a phonetically rich and balanced speech corpus. | |
Aarti et al. | Spoken Indian language identification: a review of features and databases | |
JP7036141B2 (ja) | 電子楽器、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de Mareüil et al. | A diachronic study of initial stress and other prosodic features in the French news announcer style: corpus-based measurements and perceptual experiments | |
Fine et al. | Making myself understood: perceived factors affecting the intelligibility of sung text | |
JP6849977B2 (ja) | テキスト表示用同期情報生成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音声認識装置および方法 | |
KR102258386B1 (ko) | 음소 발음 차이를 이용한 가창 가능 여부 판단 방법 및 장치 | |
JP2006293026A (ja) | 音声合成装置,音声合成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 |
JP2013210501A (ja) | 素片登録装置,音声合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 |
Meyer et al. | A Flute, Musical Bows and Bamboo Clarinets that “Speak” in the Amazon Rainforest; Speech and Music in the Gavião Language of Rondônia | |
JP2018159741A (ja) | 歌詞候補出力装置、電子楽器、歌詞候補出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Baltazani et al. | Drifting without an anchor: How pitch accents withstand vowel loss | |
JP6809608B2 (ja) | 歌唱音生成装置及び方法、プログラム | |
JP5301376B2 (ja) | 音声合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 |
JP5704201B2 (ja) | カラオケ装置及びカラオケ楽曲処理プログラム | |
Knipper et al. | Exploring microtonal performance of “… Plainte…” by Klaus Huber for viola d’amore in third-tone tuning | |
Bonn | " That's the Way I Am, Heaven Help Me": The Role of Pronunciation in Billy Bragg's Music | |
Pratt | Exploring the Modern Solo Snare Drum Tradition through Analyzing Five Snare Drum Solos | |
De'Ath | Toward a Transcription Standard for Lyric Italian | |
Hagen et al. | Singing your accent away, and why it works | |
KR20190046312A (ko) | 영어 능력 개선 장치 및 방법 | |
Cashman | Re-examining the roles of text and language in western classical sing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41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7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52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5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5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4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