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4942B1 - 지능형 음역조정 노래방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의 운용 방법 - Google Patents

지능형 음역조정 노래방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의 운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4942B1
KR101544942B1 KR1020140097042A KR20140097042A KR101544942B1 KR 101544942 B1 KR101544942 B1 KR 101544942B1 KR 1020140097042 A KR1020140097042 A KR 1020140097042A KR 20140097042 A KR20140097042 A KR 20140097042A KR 101544942 B1 KR101544942 B1 KR 1015449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ompaniment
user
transliteration
range
kara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7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여준
Original Assignee
윤여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여준 filed Critical 윤여준
Priority to KR1020140097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49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4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49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031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 G10H2210/066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for pitch analysis as part of wider processing for musical purposes, e.g. transcription, musical performance evaluation; Pitch recognition, e.g. in polyphonic sounds; Estimation or use of missing fundamental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031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 G10H2210/091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for performance evaluation, i.e. judging, grading or scoring the musical qualities or faithfulness of a performance, e.g. with respect to pitch, tempo or other timings of a reference perform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능형 음역조정 노래방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의 운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음역이 측정되며 사용자의 음역에 맞추어 자동으로 음역이 조정된 반주곡이 제공되는 지능형 음역조정 노래방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의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지능형 음역조정 노래방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의 운용 방법 {The management method of a smart adjustment compass karaoke appl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지능형 음역조정 노래방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의 운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음역이 측정되며 사용자의 음역에 맞추어 자동으로 음역이 조정된 반주곡이 제공되는 지능형 음역조정 노래방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의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래방 반주기기는 반주곡의 재생과 함께 가사가 제공되어 정해진 빠르기로 소정의 음도에 맞춰 노래를 따라 부를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반주곡들은 각각 재생 번호가 있어 사용자가 노래방 반주기기에 해당 번호를 입력하면 반주곡이 재생된다.
한편 노래방은 여러 명이 이용하는 서비스이며 복수 명의 노래방 사용자들은 음역이 서로 다르므로 동일한 반주곡이라도 복수 명의 사용자에 맞추어 음역이 조정되어야 하며 한 명의 사용자가 같은 반주곡을 반복하여 선택하여도 사용자의 음역을 벗어나는 반주곡이면 선곡될 때마다 매번 사용자의 음역에 맞추어 수동으로 음역이 조절되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한국특허 공개번호 제10-2009-0069384호는 불특정 다수의 불안정한 음정 및 박자 등의 가창자들에 대하여 상기 가창자의 음성신호(음정, 박자, 가사 등)가 자동 교정되는 노래방 반주장치 및 그 구현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창자가 노래방 반주기에 기 설정된 디지털 음향 신호레벨의 기본값의 범위를 초과하여 노래하는 경우에는 엠프의 제어부에서 자동으로 기 설정된 엠프의 디지털 음향신호 및 음성신호를 감지 제어하여 스피커를 통하여 기본값의 그 가수의 노래를 출력하게 함으로서 가창자의 불안정한 음정 및 박자등을 돕는 노래방 반주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사용자의 음도를 이상적인 음도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장치로서 사용자가 노래를 연습하기에는 적절하지 않으며 노래 실력이 향상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용자가 반주곡의 음역과 자신의 음역의 차이를 정확하게 알 수 없기 때문에 이후에 반주곡의 음역을 사용자의 음역에 임의로 맞추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특허 공개번호 제10-2009-0069384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음역이 저장되어 사용자 맞춤형 노래방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능형 음역조정 노래방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의 운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음역에 맞추어 자동으로 음역이 조정된 반주곡이 제공되는 지능형 음역조정 노래방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의 운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음역과 반주곡의 음역이 비교 표시되어 사용자의 반주곡 선택에 도움을 주는 지능형 음역조정 노래방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의 운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조정된 복수 개 반주곡의 음역은 각각 저장되어 다음 재생에도 해당 음역으로 재생될 수 있는 지능형 음역조정 노래방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의 운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지능형 음역조정 노래방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의 운용 방법은, 지능형 음역조정 노래방 애플리케이션으로 사용자의 음역이 측정되는 음역 측정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음역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음역 저장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음역에 맞추어 자동으로 음역이 조정된 반주곡의 목록과 원래 음역의 반주곡의 목록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제 1 선택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음역에 맞추어 자동으로 음역이 조정된 반주곡의 목록이 선택되면 음역이 자동으로 조정된 반주곡의 목록이 제공되는 제 1 검색 단계와, 원래 음역의 반주곡의 목록이 선택되면 원래 음역의 반주곡의 목록이 제공되는 제 2 검색 단계와, 상기 반주곡의 목록 중에 재생되기 위한 반주곡이 선택되는 반주곡 선택 단계와, 상기 반주곡이 재생되기 전 녹음 여부가 선택되는 제 2 선택 단계와, 상기 제 2 선택 단계에서 녹음이 선택되면 상기 반주곡의 재생이 종료될 때까지 상기 반주곡과 사용자의 음성이 녹음되는 녹음 단계와, 상기 애플리케이션에서 상기 반주곡과 노래 가사가 제공되는 재생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지능형 음역조정 노래방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의 운용 방법의 상기 제 2 검색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음역과 반주곡 사이의 음역 차이를 더 포함하여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지능형 음역조정 노래방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의 운용 방법의 상기 재생 단계는 상기 반주곡의 음역이 수동으로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지능형 음역조정 노래방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의 운용 방법의 상기 재생 단계 이후에, 상기 재생 단계에서 수동으로 조정된 음역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며 다음 재생부터 상기 조정된 음역을 전체 반주곡에 적용하는지 해당 반주곡에만 적용하는지 선택되는 제 3 선택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지능형 음역조정 노래방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의 운용 방법의 상기 재생 단계 이후에, 다시 듣기가 선택되어 저장된 녹음 파일이 재생되는 다시 듣기 단계와, 상기 녹음 파일이 SNS나 온라인 게시판에 업로드되는 업로드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지능형 음역조정 노래방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의 운용 방법의 상기 재생 단계 이후에, 상기 자신의 최고 음 높이와 연주곡의 최고 음 높이 사이의 차이가 표시되는 음역차 표시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지능형 음역조정 노래방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의 운용 방법의 상기 재생 단계 이후에, 사용자의 음도가 분석되어 노래 점수가 표시되는 점수 표시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지능형 음역조정 노래방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의 운용 방법의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노래방 기기별 반주곡의 목록과 각 반주곡의 재생 번호가 제공되며 네트워크 연결이 가능한 노래방 기기에 접속되어 상기 노래방 기기의 기능을 제어하고 사용자 음역에 맞추어 반주곡의 음역을 자동으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음역조정 노래방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의 운용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의 음역이 저장되어 사용자 맞춤형 노래방 서비스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음역조정 노래방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의 운용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의 음역에 맞추어 자동으로 음역이 조정된 반주곡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음역조정 노래방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의 운용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의 음역과 반주곡의 음역이 비교 표시되어 사용자의 반주곡 선택에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음역조정 노래방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의 운용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조정된 복수 개 반주곡의 음역이 저장되어 다음 재생에도 해당 음역으로 재생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음역조정 노래방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의 운용 방법의 운용 순서를 간략하게 도시한 순서도.
도 2는 일실시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음역조정 노래방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블록도.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지능형 음역조정 노래방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의 운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음역이 측정되며 사용자의 음역에 맞추어 자동으로 음역이 조정된 반주곡이 제공되는 지능형 음역조정 노래방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의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음역조정 노래방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의 운용 방법의 운용 순서를 간략하게 도시한 순서도이며, 도 2는 일실시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음역조정 노래방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능형 음역조정 노래방 애플리케이션으로 사용자의 음역이 측정되는 음역 측정 단계(S1)와, 상기 사용자의 음역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음역 저장 단계(S2)와, 상기 사용자의 음역에 맞추어 자동으로 음역이 조정된 반주곡의 목록과 원래 음역의 반주곡의 목록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제 1 선택 단계(S3)와, 상기 사용자의 음역에 맞추어 자동으로 음역이 조정된 반주곡의 목록이 선택되면 음역이 자동으로 조정된 반주곡의 목록이 제공되는 제 1 검색 단계(S4)와, 원래 음역의 반주곡의 목록이 선택되면 원래 음역의 반주곡의 목록이 제공되는 제 2 검색 단계(S5)와, 상기 반주곡의 목록 중에 재생되기 위한 반주곡이 선택되는 반주곡 선택 단계(S6)와, 상기 반주곡이 재생되기 전 녹음 여부가 선택되는 제 2 선택 단계(S7)와, 상기 제 2 선택 단계(S7)에서 녹음이 선택되면 상기 반주곡의 재생이 종료될 때까지 상기 반주곡과 사용자의 음성이 녹음되는 녹음 단계(S8)와, 상기 애플리케이션에서 상기 반주곡과 노래 가사가 제공되는 재생 단계(S9)로 구성된다.
음역 측정 단계(S1)는 지능형 음역조정 노래방 애플리케이션으로 사용자의 음역이 측정되는 단계이다.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낮은 음부터 높은 음까지 순서대로 재생하여 사용자가 상기 음을 순차적으로 따라 낼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사용자의 음역을 측정할 수 있다.
노래를 부르는 데 있어서는 최대한 낼 수 있는 높은 음이 중요한 요소이므로 낮은 음부터 높은 음까지 소정의 간격을 가지며 순차적으로 재생하며 상기 소정의 간격 중에 사용자가 음을 따라 내고 상기 사용자의 음이 분석되어 재생된 음과 비슷한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목에 무리가 없는 만큼 상기 애플리케이션에서 재생되는 음을 따라 내며 더 이상 낼 수 없는 높은 음에 다다랐을 때에는 중지 버튼을 눌러 음역 측정을 중지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의 음을 재생된 음과 비교하여 소정의 음 차이 이상을 가지면 음역 측정을 중지할 수도 있다.
음역 측정 단계(S1)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여러 번 반복될 수도 있으며 사용자의 목에 무리가 가는 일이 방지되기 위하여 하루 측정 횟수가 제한될 수도 있다.
음역 저장 단계(S2)는 상기 음역 측정 단계(S1)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음역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단계이다.
사용자에 의해 상기 음역 측정 단계가 여러 번 반복되는 경우에는 가장 최근의 사용자 음역이 저장되거나 여러 번 측정된 사용자 음역의 평균 음역이 최종 사용자의 음역으로 저장될 수도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에 사용자가 여러 명 등록되는 경우에는 각 사용자별 음역이 독립적으로 저장되어 이후에 한 명의 사용자가 접속하면 해당 사용자의 음역 정보를 불러올 수 있다.
제 1 선택 단계(S3)는 상기 사용자의 음역에 맞추어 자동으로 음역이 조정된 반주곡의 목록과 원래 음역의 반주곡의 목록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단계이다.
반주곡의 음역은 사용자가 자신에게 맞는 음역 이내에서 노래를 편안하게 부를 수 있도록 사용자의 음역 이내로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다.
자동으로 음역이 조정된 반주곡의 목록 중에는 사용자의 음역과 비슷하여 음역의 조정이 필요하지 않은 원래 음역의 반주곡이 포함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의 음역과 비슷한 음역의 반주곡의 목록이 따로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원래 음역의 반주곡의 목록이 제공되어 일반적으로 제공되는 음역의 반주곡이 선택될 수도 있다.
제 1 검색 단계(S4)는 상기 제 1 선택 단계(S3)에서 상기 사용자의 음역에 맞추어 자동으로 음역이 조정된 반주곡의 목록이 선택되면 음역이 자동으로 조정된 반주곡의 목록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 2 검색 단계(S5)는 상기 제 1 선택 단계(S3)에서 원래 음역의 반주곡의 목록이 선택되면 음역이 임의로 조정되지 않은 원래 음역의 반주곡의 목록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음역조정 노래방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의 운용 방법의 상기 제 2 검색 단계(S5)는 상기 사용자의 음역과 반주곡 사이의 음역 차이를 더 포함하여 제공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음역이 자동으로 조정되지 않은 반주곡의 음역이 자신의 음역과 얼마나 차이가 나는지 확인할 수 있으며 반주곡의 음역이 사용자의 음역과 비슷하면 부르기 수월한 곡이고 반주곡의 음역이 사용자의 음역과 차이가 크면 부르기 어려운 곡임을 알 수 있으므로 반주곡의 선택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음역보다 높은 음역의 반주곡은 높은 정도를 단계별로 나누어 난이도로 표시될 수도 있다. 제 2 검색 단계에서 난이도별 검색이 선택되면 선택된 난이도에 따른 반주곡의 목록이 제공될 수 있다.
반주곡 선택 단계(S6)는 상기 반주곡의 목록 중에 재생되기 위한 반주곡이 선택되는 단계이다.
상기 반주곡의 목록이 제공되면 사용자가 원하는 반주곡이 선택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데이터베이스로 상기 반주곡의 재생 정보를 요청하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반주곡의 재생 정보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반주곡의 재생 정보에는 반주곡의 가사와 상기 반주곡이 재생되는 도중에 보여질 수 있는 배경 이미지, 배경 동영상이 포함될 수도 있다.
제 2 선택 단계(S7)는 상기 반주곡이 재생되기 전 녹음 여부가 선택되는 단계이다. 사용자에 의해 이후에 재생되는 반주곡과 사용자의 노래가 녹음될 것인지 선택될 수 있다.
녹음된 파일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사용자에 의해 다시 재생될 수도 있고 SNS이나 게시판에 등록될 수도 있다.
반주곡이 재생된 이후에도 녹음의 중단이나 계속이 선택될 수도 있으므로 사용자가 녹음을 원하는 부분에서만 녹음이 시행될 수 있다.
녹음 단계(S8)는 상기 제 2 선택 단계(S7)에서 녹음이 선택되면 상기 반주곡의 재생이 종료될 때까지 상기 반주곡과 사용자의 음성이 녹음되는 단계이다.
녹음은 반주곡이 재생되기 직전부터 반주곡의 재생이 종료되는 순간까지 계속된다. 만약 사용자에 의해 반주곡의 재생이 중단되는 경우에는 임의로 중단된 부분까지만 녹음이 될 것이다.
또한 녹음이 종료되면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모바일 장치의 저장부에 임의로 저장하고 사용자에게 녹음된 파일을 저장할 것인지 선택하게 하고 저장하기가 선택되면 데이터베이스에 전송하여 사용자 개인 데이터에 추가할 수 있다. 또는 녹음된 파일을 저장하지 않기가 선택되면 임의로 저장된 녹음 파일이 삭제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반주곡의 재생이 종료된 후 생성된 녹음 파일이 사용자에게 묻지 않고 곧바로 데이터베이스에 전송되어 사용자의 개인 데이터에 저장될 수도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녹음 파일 중 사용자가 원하는 부분의 녹음만 남기고 삭제되거나 간주 부분이 삭제되는 등 간단한 편집 기능이 제공될 수도 있다.
재생 단계(S9)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에서 상기 반주곡과 노래 가사가 제공되는 단계이다.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반주곡의 재생 정보가 데이터베이스에서 다운로드되면 상기 반주곡이 재생되며 반주곡의 가사가 반주곡의 재생 속도에 따라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재생 단계(S9)에서는 필요에 따라 반주곡의 재생이 종료되거나 일시중지, 계속, 다시 시작, 재생 속도 제어, 가사 크기 제어, 간주 생략 등의 기능이 더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음역조정 노래방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의 운용 방법의 상기 재생 단계(S9)는 상기 반주곡의 음역이 수동으로 조정될 수도 있다.
사용자의 음역 중 최고 음에 근접한 영역의 음역을 가지는 반주곡은 사용자의 컨디션에 따라 부르기 힘들 수도 있으므로 사용자에 의해 음역이 수동으로 조정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반주곡의 음역 중에서 가장 높은 음과 사용자의 음역 중 가장 높은 음이 표시되면 사용자는 자신의 상태에 따라 상기 반주곡의 음역을 직접 조정하여 반주곡의 가장 높은 음을 낮출 수 있다.
또는 반주곡의 음역을 사용자의 음역보다 조금 높게 설정함으로써 사용자가 낼 수 있는 최고 음을 뛰어넘을 수 있도록 하며 기존의 반주곡보다 높은 난이도의 노래를 연습하는 데에 도움이 되어 노래 실력이 향상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음역조정 노래방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의 운용 방법의 상기 재생 단계(S9) 이후에, 상기 재생 단계에서 수동으로 조정된 음역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며 다음 재생부터 상기 조정된 음역을 전체 반주곡에 적용하는지 해당 반주곡에만 적용하는지 선택되는 제 3 선택 단계(S10)를 더 포함할 수다.
전체 반주곡에 적용하기가 선택되면 전체 반주곡이 상기 반주곡에서 수동으로 조정된 음역에 맞추어 자동으로 조정될 수 있다. 또한 해당 반주곡에만 적용하기가 선택되면 이후에 재생되는 해당 반주곡은 수동으로 조정된 음역으로 재생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반주곡은 사용자에게 맞추어 각각의 음역이 세세하게 조정될 수 있어 사용자 맞춤형 노래방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조정된 음역의 반주곡이 원래 음역으로 초기화될 수 있는 초기화 버튼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음역조정 노래방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의 운용 방법의 상기 재생 단계(S9) 이후에, 다시 듣기가 선택되어 저장된 녹음 파일이 재생되는 다시 듣기 단계(S11)와, 상기 녹음 파일이 SNS나 온라인 게시판에 업로드되는 업로드 단계(S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녹음된 파일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사용자에게 목록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녹음 파일의 제목이 알기 쉽게 변경될 수도 있다. 기본적으로는 녹음된 날짜와 시간으로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녹음된 파일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다시 재생될 수 있으며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음역을 반주곡의 음역과 비교하여 음이 이탈된 부분이나 부족한 부분을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상기 녹음 파일이 SNS나 온라인 게시판에 업로드되어 다른 사용자들에게 공개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자신의 노래와 다른 사용자들의 노래를 듣고 비교하며 의견을 나누면서 노래 실력이 향상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음역조정 노래방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의 운용 방법의 상기 재생 단계(S9) 이후에, 상기 자신의 최고 음 높이와 연주곡의 최고 음 높이 사이의 차이가 표시되는 음역차 표시 단계(S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반주곡의 재생이 종료된 후에 자신의 최고 음 높이와 연주곡의 최고 음 높이가 비교 표시됨으로써 사용자의 부족한 음역을 알 수 있으며 특히 부족한 음절 부분의 반주곡과 가사가 제공되어 반복적으로 연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음역조정 노래방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의 운용 방법의 상기 재생 단계(S9) 이후에, 사용자의 음도가 분석되어 노래 점수가 표시되는 점수 표시 단계(S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음역이 반주곡의 음역을 벗어나는 정도가 분석되어 수치로 표시될 수 있다.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일정 노래 부분의 사용자 음도가 반주곡의 음도를 소정의 음 이상 벗어났다면 1점 감점되는 방식으로 최종 점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상단에 점수 바(score bar)가 제공되어 소정의 점수 이하이면 반주곡의 재생이 중단될 수도 있으며 사용자가 재도전을 하도록 안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음역조정 노래방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의 운용 방법의 상기 애플리케이션(100)은 노래방 기기별 반주곡의 목록과 각 반주곡의 재생 번호가 제공되며 네트워크 연결이 가능한 노래방 기기(300, 도 2 참조)에 연결되어 상기 노래방 기기의 기능을 제어하고 사용자 음역에 맞추어 반주곡의 음역을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다.
노래방 기기별로 반주곡의 목록과 각 반주곡의 재생 번호는 상이하게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 개의 노래방에서 노래방 기기별로 서로 다른 노래방 책이 제공되고 있으나 사용자는 서로 다른 노래방 책에서 원하는 노래를 찾기가 어려우며 시간이 오래 걸린다.
요즘에는 노래방 리모콘으로도 반주곡이 검색될 수 있으나 노래방 기기별로 리모콘의 키 배치가 상이하여 조작이 불편하다.
따라서 상기 애플리케이션(100)은 사용자에게 익숙한 모바일 장치에 노래방 기기별 반주곡의 목록과 각 반주곡의 재생 번호를 제공하여 반주곡 검색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연결이 가능한 노래방 기기의 경우에는 리모콘 대신 상기 노래방 기기가 제어되기 위한 제어 버튼을 제공하여 상기 노래방 기기에 사용자가 원하는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의 음역을 바탕으로 노래방 기기에 저장된 반주곡의 음역이 자동으로 조정되어 사용자 맞춤 노래방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에 여러 명의 사용자가 등록되어 각 사용자별로 음역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면 여러 명이 상기 노래방 기기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각 사용자에 맞추어 음역이 조정된 반주곡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반주곡의 최고 음과 사용자가 낼 수 있는 최고 음이 표시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자신의 음역에 맞게 상기 반주곡의 음역을 수동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애플리케이션(100)은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음역조정 노래방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의 서버(200)와 통신되며 노래방기기(300)에 제어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서버(200)는 일실시 예로서 데이터베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음역 테스트용 데이터베이스(210), 반주곡 데이터베이스(220), 노래방 기기 제어용 데이터베이스(230), 게시판 데이터베이스(240), 사용자 데이터베이스(250)로 구분될 수 있다.
음역 테스트용 데이터베이스(210)는 마이크로 입력되는 음성의 음역을 분석하기 위하여 음역 분석에 요구되는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100)에서 낮은 음부터 높은 음까지 순서대로 재생되고 사용자가 상기 재생되는 음을 따라서 음을 내는 방식을 이용하면 사용자의 음역을 알 수 있다. 사용자는 목에 무리가 없는 정도로 재생되는 음을 따라 내며 더 이상 음을 따라 낼 수 없는 수준이 오면 중단 버튼을 누를 수 있다. 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에서 원래 음과 사용자가 낸 음을 비교하여 소정의 차이 이상이 발생되면 음역 테스트를 종료할 수 있다.
음역 테스트가 실시되기 이전에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음역 테스트에 방해될 수 있는 주변 음이 적은 환경에서 음역 테스트를 실시하고 목에 무리가 없는 만큼만 음역 테스트를 실시하라는 안내 메시지가 표시될 수 있다.
반주곡 데이터베이스(220)는 복수 개 반주곡의 재생 정보와 각 반주곡의 가사, 음역, 최고 음 등 반주곡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에게 상기 반주곡 데이터베이스(220)의 보유 반주곡의 목록이 제공되어 상기 반주곡의 목록 중 한가지 반주곡이 선택되면 재생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반주곡이 재생되며 상기 반주곡의 가사가 재생 속도에 맞추어 상기 애플리케이션(100) 내에 표시될 수 있다.
반주곡의 재생이 선택되기 전에 사용자에게 각 반주곡의 음역과 최고 음 중 하나 이상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주곡의 최고 음이 사용자의 최고 음과 비교되어 그 차이가 표시될 수 있다. 반주곡의 최고 음이 사용자의 최고 음보다 높을수록 부르기 어려운 곡이므로 반주곡의 제목이 붉은 색 계통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노래방 기기 제어용 데이터베이스(230)는 네트워크 연결이 가능한 노래방 기기(300)가 제어되기 위한 제어 명령이 저장되며 서버(200)를 통해 상기 노래방 기기(300)에 제어 명령이 전달될 수 있다.
노래방 기기(300)와 노래방 기기 제어용 리모콘은 주로 근거리에서 통신되며 적은 데이터량이 전송되므로 상기 애플리케이션(100)과 노래방 기기(300)는 블루투스나 지그비(ZigBee), 와이파이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게시판 데이터베이스(240)는 웹 페이지에 형성될 수 있는 노래 등록용 게시판에 등록되는 게시글 및 상기 녹음 단계에서 녹음된 파일이 관리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이다. 사용자는 상기 녹음 단계에서 생성된 녹음 파일을 게시판에 올리고 다른 사람의 노래를 듣거나 댓글을 달 수도 있다.
자신이 부른 노래를 바탕으로 다른 사용자와 교류하는 과정에서 노래 실력이 더 향상될 수 있다.
사용자 데이터베이스(250)에는 상기 음역 측정 단계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음역이 상기 음역 저장 단계를 거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검색한 반주곡의 목록과 반주곡의 검색 횟수, 재생 횟수 등이 저장될 수 있으며 반주곡 별 사용자가 수동으로 제어한 음역이 저장될 수 있다.
수동으로 제어된 음역은 반주곡의 재생이 종료된 이후에 전체 반주곡에 적용되는지, 해당 반주곡에만 적용되는지, 수동 제어된 음역이 삭제되는지에 대해 선택될 수도 있다.
'전체 반주곡에 적용하기'가 선택되면 수동으로 제어된 음역이 전체 반주곡에 적용되며 '해당 반주곡에만 적용하기'가 선택되면 해당 반주곡에만 수동으로 제어된 음역이 적용되며 다른 반주곡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또한 '수동 제어된 음역 삭제하기'가 선택되면 해당 반주곡의 음역이 원래 설정된 음역으로 돌아가므로 이후에 상기 반주곡이 재생될 때에는 원래의 음역 상태로 재생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음역조정 노래방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의 운용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의 음역이 저장되어 사용자 맞춤형 노래방 서비스를 제공하며 사용자의 음역에 맞추어 자동으로 음역이 조정된 반주곡이 제공될 수 있고 사용자의 음역과 반주곡의 음역이 비교 표시되어 사용자의 반주곡 선택에 도움을 주며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조정된 복수 개 반주곡의 음역이 저장되어 다음 재생에도 해당 음역으로 재생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애플리케이션
200 : 서버
210 : 음역 테스트용 데이터베이스
220 : 반주곡 데이터베이스
230 : 노래방 기기 제어용 데이터베이스
240 : 게시판 데이터베이스
250 :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300 : 노래방 기기

Claims (8)

  1. 지능형 음역조정 노래방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의 운용 방법에 있어서,
    지능형 음역조정 노래방 애플리케이션으로 사용자의 음역이 측정되는 음역 측정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음역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음역 저장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음역에 맞추어 자동으로 음역이 조정된 반주곡의 목록과 원래 음역의 반주곡의 목록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제 1 선택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음역에 맞추어 자동으로 음역이 조정된 반주곡의 목록이 선택되면 음역이 자동으로 조정된 반주곡의 목록이 제공되는 제 1 검색 단계;와
    원래 음역의 반주곡의 목록이 선택되면 원래 음역의 반주곡의 목록이 제공되는 제 2 검색 단계;와
    상기 반주곡의 목록 중에 재생되기 위한 반주곡이 선택되는 반주곡 선택 단계;와
    상기 반주곡이 재생되기 전 녹음 여부가 선택되는 제 2 선택 단계;와
    상기 제 2 선택 단계에서 녹음이 선택되면 상기 반주곡의 재생이 종료될 때까지 상기 반주곡과 사용자의 음성이 녹음되는 녹음 단계;와
    상기 애플리케이션에서 상기 반주곡과 노래 가사가 제공되는 재생 단계;로 구성되며
    상기 재생 단계는 상기 반주곡의 음역이 수동으로 조정되고
    상기 재생 단계 이후에, 상기 재생 단계에서 수동으로 조정된 음역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며 다음 재생부터 상기 조정된 음역을 전체 반주곡에 적용하는지 해당 반주곡에만 적용하는지 선택되는 제 3 선택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음역조정 노래방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의 운용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검색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음역과 반주곡 사이의 음역 차이를 더 포함하여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음역조정 노래방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의 운용 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단계 이후에, 다시 듣기가 선택되어 저장된 녹음 파일이 재생되는 다시 듣기 단계;와
    상기 녹음 파일이 SNS나 온라인 게시판에 업로드되는 업로드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음역조정 노래방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의 운용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단계 이후에, 자신의 최고 음 높이와 연주곡의 최고 음 높이 사이의 차이가 표시되는 음역차 표시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음역조정 노래방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의 운용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단계 이후에, 사용자의 음도가 분석되어 노래 점수가 표시되는 점수 표시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음역조정 노래방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의 운용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노래방 기기별 반주곡의 목록과 각 반주곡의 재생 번호가 제공되며 네트워크 연결이 가능한 노래방 기기에 접속되어 상기 노래방 기기의 기능을 제어하고 사용자 음역에 맞추어 반주곡의 음역을 자동으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음역조정 노래방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의 운용 방법.

KR1020140097042A 2014-07-30 2014-07-30 지능형 음역조정 노래방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의 운용 방법 KR1015449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7042A KR101544942B1 (ko) 2014-07-30 2014-07-30 지능형 음역조정 노래방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의 운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7042A KR101544942B1 (ko) 2014-07-30 2014-07-30 지능형 음역조정 노래방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의 운용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4942B1 true KR101544942B1 (ko) 2015-08-18

Family

ID=54061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7042A KR101544942B1 (ko) 2014-07-30 2014-07-30 지능형 음역조정 노래방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의 운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494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5804B1 (ko) * 2006-07-26 2007-10-12 주식회사 엔터기술 자동음정조절기능을 가지는 노래반주기 및 그의자동음정조절방법
JP5417022B2 (ja) * 2009-04-21 2014-02-12 株式会社第一興商 原曲歌手と異なる性別の人が歌うときに自動的にキーを変更するカラオケ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5804B1 (ko) * 2006-07-26 2007-10-12 주식회사 엔터기술 자동음정조절기능을 가지는 노래반주기 및 그의자동음정조절방법
JP5417022B2 (ja) * 2009-04-21 2014-02-12 株式会社第一興商 原曲歌手と異なる性別の人が歌うときに自動的にキーを変更するカラオケ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524656A (ja) 同期化されたプレゼンテーションを伴う楽譜捕捉および同期化されたオーディオパフォーマンス用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6452229B2 (ja) カラオケ効果音設定システム
JP2008209640A (ja) カラオケ効果音出力システム
JP6501344B2 (ja) 聴取者評価を考慮したカラオケ採点システム
JP2004233698A (ja) 音楽支援装置、音楽支援サーバ、音楽支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1095437A (ja) カラオケ採点システム
WO2018207936A1 (ja) 譜面自動検出方法および装置
JP6261129B2 (ja) 歌唱推奨楽曲報知システム
JP5986387B2 (ja)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歌詞表示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
JP6228473B2 (ja) 歌唱採点システム
KR101544942B1 (ko) 지능형 음역조정 노래방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의 운용 방법
JP2008058724A (ja) カラオケ装置の歌詞テロップ表示制御システム
JP5980931B2 (ja) コンテンツ再生方法、コンテンツ再生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5457791B2 (ja) カラオケ採点システム
JP2009180952A (ja) 電子目次本機能を有するカラオケシステム
JP2008083582A (ja) 電子早見本装置
JP5109426B2 (ja) 電子楽器及びプログラム
KR101790998B1 (ko) 악보전환방법 및 악보전환장치
JP2012234002A (ja) カラオケ楽曲検索システム
JP5551983B2 (ja) カラオケ演奏制御システム
JP2018112724A (ja) 演奏ガイド装置、演奏ガイドプログラムおよび演奏ガイド方法
JP5537263B2 (ja) カラオケシステム
JP2010060634A (ja) カラオケ装置
JP6543155B2 (ja) 操作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7010922A (ja) 利用者別楽曲別好適キー推奨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