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4685B1 - 수동 해정장치 및 플랫폼 스크린 도어장치 - Google Patents

수동 해정장치 및 플랫폼 스크린 도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4685B1
KR100764685B1 KR1020060095479A KR20060095479A KR100764685B1 KR 100764685 B1 KR100764685 B1 KR 100764685B1 KR 1020060095479 A KR1020060095479 A KR 1020060095479A KR 20060095479 A KR20060095479 A KR 20060095479A KR 100764685 B1 KR100764685 B1 KR 1007646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lever
key
door panel
lock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5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8001A (ko
Inventor
요시히로 카시마
토모아키 니이야마
Original Assignee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38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80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4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46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3/00Operation or control of locks by mechanical transmissions, e.g. from a distanc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02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wings in general, e.g. fanl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1/00Means for allowing passage through fences, barriers or the like, e.g. stiles
    • E06B11/02Gates;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조작레버에 의한 록 해제조작의 조작성을 유지하면서, 열쇠부에 의한 록 해제조작의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측 록부재(41)와 열쇠부(47)를 연결하도록 설치되고, 록위치와 해정위치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연결부(55)와, 조작레버(46)에 연동하는 레버 연동부(56)를 구비한다. 연결부(55)는 록위치와 해정위치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레버측 로드(66)와 접촉분리 가능하게 구성된 연결구(61)를 갖는다. 연결구(61)는 조작레버(46)의 록 해제조작에 따라 레버측 로드(66)가 접촉해서 록위치로부터 해정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한편, 열쇠부(47)의 록 해제조작에 따라 레버측 로드(66)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수동 해정장치 및 플랫폼 스크린 도어장치{MANUAL UNLOCKING APPARATUS AND PLATFORM SCREEN DOOR APPARATUS}
도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1에 따른 스크린 도어장치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2는, 스크린 도어장치의 스크린 도어를 다수 연결하여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3은, 상기 스크린 도어장치에 설치된 비상용 도어 패널을 나타내고 있으며, (a)는 (b)의 III-III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며, (b)는 정면도이다.
도4는, 상기 스크린 도어장치의 스크린 패널, 도어 패널 및 비상용 도어 패널의 배치관계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5는, 상기 비상용 도어 패널의 끝점(end-point)측의 세로 프레임내에 설치된 수동 해정장치를 나타내고 있으며, (a)는 조작레버에 의한 조작전의 상태를 궤도측에서 본 도이며, (b)는 조작레버에 의한 조작전의 상태를 축 베이스측에서 본 도이며, (c)는 조작레버에 의한 조작후의 상태를 축 베이스측에서 본 도이다.
도6은, 상기 비상용 도어 패널의 끝점측의 세로 프레임내에 설치된 수동 해정장치를 나타내고 있으며, (a)는 열쇠부에 의한 조작전의 상태를 플랫폼측에서 본 도이며, (b)는 열쇠부에 의한 조작후의 상태를 축 베이스측에서 본 도이며, (c)는 열쇠부에 의한 조작후의 상태를 플랫폼측에서 본 도이다.
도7(a)는, 도6(a)의 주요부를 확대한 도이며, 도7(b)는, 도6(b)의 주요부를 확대한 도이다.
도8은, 상기 끝점측의 세로 프레임의 상단부 부근을 확대해서 나타내는 도면이고, (a)는 플랫폼측에서 본 도이며, (b)은 끝점측에서 본 도이며, (c)는 가이드부재의 상면도이며, (d)는 끝점측의 세로 프레임의 상면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2에 따른 스크린 도어장치에 설치된 비상용 도어장치의 수동 해정장치를 나타내고 있으며, (a)는 조작레버에 의한 조작전의 상태를 궤도측에서 본 도이며, (b)는 조작레버에 의한 조작전의 상태를 축 베이스측에서 본 도이며, (c)는 조작레버에 의한 조작후의 상태를 축 베이스측에서 본 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2에 따른 스크린 도어장치에 설치된 비상용 도어장치의 수동 해정장치를 나타내고 있으며, (a)는 열쇠부에 의한 조작전의 상태를 플랫폼측에서 본 도이며, (b)은 열쇠부에 의한 조작후의 상태를 축 베이스측에서 본 도이며, (c)는 열쇠부에 의한 조작후의 상태를 플랫폼측에서 본 도이다.
도11은, 종래의 수동 해정장치를 나타내는 도이다.
본 발명은, 플랫폼 스크린 도어장치의 비상용 도어 패널의 록을 해제하는 수동 해정장치 및 플랫폼 스크린 도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플랫폼 스크린 도어장치에 설치된 비상용 도어 패널로서,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2001-233201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크레몬 록으로 이루어지는 록기구가 설치된 것이 알려져 있다. 이 공보에 개시된 록기구에서는, 도11에 나타내듯이, 비상용 도어 패널(100)로부터 상측 및 하측으로 돌출된 상하 한쌍의 로드(101,102)가 도어 프레임(103,104)에 걸어맞춰짐으로써 도어 패널(100)을 록한다. 그리고, 상측 로드(101)에는 압축스프링(105)이 끼워져 있으며, 이 압축스프링(105)의 탄발력에 의해 로드(101,102)를 돌출된 상태로 가압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평상시는 록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이 록기구의 수동 해정장치는, 비상용 도어 패널(100)에 있어서의 궤도측에서 조작 가능하게 설치된 패닉레버라고 불리는 조작레버(106)와, 이 조작레버(106)와 상하 한쌍의 각 로드(101,102) 사이에 끼워 설치된 도시가 생략된 랙앤피니언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 랙앤피니언기구는 한쌍의 랙을 갖는 것이며, 조작레버(106)를 지지축(107) 둘레에 회동시킴으로써, 각 랙이 상하방향으로 역방향으로 움직인다. 조작레버(106)는 도어 패널(100)의 폭방향의 거의 전체에 걸친 크기이다. 이 조작레버(106)를 압압해서 지지축(107) 둘레에 회동시키면, 상측의 로드(101)가 하방으로 이동함과 아울러 하측의 로드(102)가 상방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비상용 도어 패널(100)의 록이 해정된다.
그런데, 상기 공보에는 기재되어 있지 않지만, 수동 해정장치로서, 플랫폼측에서 역무원이 해정조작하기 위한 열쇠부를 설치하는 일이 있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열쇠부를 상기 랙앤피니언기구와 직결시켜 열쇠부를 회동조작함으로써, 랙앤피 니언기구의 피니언을 회동시키고, 그것에 의해서 랙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록을 해정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열쇠부의 회동조작의 조작성을 좋게 할 수 없다는 문제가 생긴다. 즉, 조작레버(106)의 조작에 있어서는, 조작레버(106)를 압압함으로써, 조작레버(106)를 지지축(107) 둘레에 회동시켜서 록을 해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랙앤피니언기구에 열쇠부가 연결되었다고 해도, 조작레버(106)에 의한 조작성을 악화시키는 일은 없다. 이것에 대해서, 열쇠부에서의 회동조작에 있어서는, 랙앤피니언기구에 연결되는 조작레버(106)가 열쇠부의 회동조작에 연동되게 되므로, 사람의 손으로 직접 열쇠부를 회동하는 회동조작에 있어서 조작레버를 움직이기만 하는 힘이 필요하게 되어, 열쇠부의 조작성이 나쁜 것으로 되어 버린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한 수동 해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작레버에 의한 록 해제조작의 조작성을 유지하면서, 열쇠부에 의한 록 해제조작의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면에 의하면, 플랫폼 스크린 도어장치의 비상용 도어 패널을 록하는 록위치와 록을 해제하는 해정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록부재를 구비하고, 비상용 도어 패널의 한쪽 면측에서 조작레버에 의한 록 해제조작이 가능하며, 또한 비상용 도어 패널의 다른쪽 면측에서 열쇠부에 의한 록 해제조작이 가능한 수동 해정장치로서, 상기 록부재와 상기 열쇠부를 연결하여, 상기 록위치와 해 정위치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연결부와, 상기 조작레버에 연동하는 레버 연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록위치와 해정위치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상기 레버 연동부와 접촉분리 가능한 수용부를 갖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조작레버의 록 해제조작에 따라 상기 레버 연동부가 접촉해서 록위치로부터 해정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한편, 상기 열쇠부의 록 해제조작에 따라 상기 레버 연동부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의 면에 의하면, 도어 패널이 궤도를 따르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플랫폼 상에 설치되는 플랫폼 스크린 도어장치로서, 상기 도어 패널의 폐쇄위치 이외의 위치에 배치되는 비상용 도어 패널과, 상기 수동 해정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형태1)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 스크린 도어장치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동 도면에 나타내듯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플랫폼 스크린 도어장치(이하, 간단히 스크린 도어장치라고 함)는, 스크린 패널(11)과, 도어 패널(12,12)과, 비상용 도어 패널(13)(ED)을 갖는 플랫폼 스크린 도어(이하, 간단히 스크린 도어라고 함)(14)를 구비하고 있다. 도어 패널(12,12)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양쪽으로 잡아당시는 식으로 구성된 한쌍의 것으로 되어 있다. 스크린 패널(11)은, 도1에 있어서의 우측 도어 패널(12)의 우측에 배치되어 있다. 비상용 도어 패널(13)은, 도1에 있어 서의 좌측 도어 패널(12)의 좌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1은 도어 패널(12,12)이 폐쇄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도2에 나타내듯이, 이 스크린 도어(14)와, 비상용 도어 패널(13) 대신에 스크린 패널(11)이 설치된 스크린 도어(15)를, 다수 연결시켜 역의 플랫폼(도시생략)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설치됨으로써, 플랫폼상이 궤도측과 그 내측의 플랫폼측으로 나뉘어진다. 승객은 이 플랫폼 내측에서 전차가 오는 것을 기다리는 것으로 되고, 전차가 도착해서 도어 패널(12,12)이 개방되었을 때만 궤도측으로 나갈 수 있다.
도1은 스크린 도어(14)를 플랫폼 내측(플랫폼측)에서 본 것이며, 동 도면에 나타내듯이, 스크린 도어장치는, 천정구조물의 보에 고정된 통형상의 헤더박스(17)를 구비하고 있다. 이 헤더박스(17)는 스크린 도어(14) 및 도어 패널(12,12,13)의 상측에 설치되고, 헤더박스(17)는 플랫폼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헤더박스(17)내에는 통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주행 레일(20)이 설치되어 있다. 이 주행 레일(20)과 평행하게 그 상방에는, 구동 스프로킷(21a)과 종동 스프로킷(21b)에 걸쳐진 타이밍벨트(21c)가 배치되어 있다. 타이밍벨트(21c)는 양 스프로킷(21a,21b)사이를 주회한다. 구동 스프로킷(21a)은 도어 엔진(21d)에 의해 구동된다.
타이밍벨트(21c)에는, 연결기구(12c,12c)를 통해 각각 도어 행거(12a,12a)가 결합되어 있다. 이들 도어 행거(12a,12a)는, 각각 도어 패널(12,12)의 상측 프레임에 설치되어 있다. 이 각 도어 행거(12a,12a)에는, 한쌍의 호차(12b,12b)가 축지지 되어 있고, 이 호차(12b,12b)가 주행 레일(20) 상을 구름이동함으로써, 도어 패널(12,12)은 주행 레일(20)을 따라 이동한다.
이 도어 패널(12,12)의 이동은, 도어 엔진(21d)에 의해 타이밍벨트(21c)를 주행시킴으로써 행해진다. 도어 엔진(21d)의 구동동작은 헤더박스(17)내에 수용된 컨트롤러(22)에 의해 제어된다. 그리고, 플랫폼에 차량이 도착했을 때에, 그 차량의 측문의 개폐에 대응해서 도어 엔진(21d)을 구동하고, 이것에 의해, 도어 패널(12,12)이 개폐된다.
도3의 (a), (b)에 비상용 도어 패널(13)을 확대해서 나타내고 있다. 도3의 (b)는 비상용 도어 패널(13)을 플랫폼측에서 본 도이다. 비상용 도어 패널(13)은 반도어(barn door)식이며(도4 참조), 끝점측(도3의 (b)의 우측)의 세로 프레임(30), 축 베이스측(도3의 (b)의 좌측)의 세로 프레임(32)을 상측 프레임(33), 중간 프레임(34) 및 하측 프레임(35)으로 결합한 프레임체를 구비하고 있다. 이 프레임체에는, 중간 프레임(34)을 사이에 두고 상하에 유리 패널(37a,37b)이 끼워 넣어져 있다. 상측 프레임(33)에는, 비상용 도어 패널(13)을 폐쇄방향으로 가압하는 도어 클로저(38)가 설치되어 있다.
비상용 도어 패널(13)의 끝점측의 세로 프레임(30)에는, 도5의 (a)∼(c) 및 도6의 (a)∼(c)에 나타내듯이, 비상용 도어 패널(13)로부터 상하로 진출 가능한 록부재(41,42)가 설치되어 있다. 또, 도5의 (a)는 궤도측에서 끝점측의 세로 프레임(30)을 본 도이며, 도5의 (b), (c)는 축 베이스측에서 끝점측의 세로 프레임(30)을 본 도이다. 또한 도6의 (a), (c)는 플랫폼측에서 세로 프레임(30)을 본 도이며, 도6의 (b)는 축 베이스측에서 세로 프레임(30)을 본 도이다. 또한 도6의 (a)를 확대한 도를 도7의 (a)에 나타내고, 도6의 (b)를 확대한 도를 도7의 (b)에 나타내고 있다.
록부재는, 상측 록부재(41)와 하측 록부재(42)를 갖고, 각 록부재(41,42)는 비상용 도어 패널(13)을 록하는 록위치와, 록을 해제하는 해정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즉, 상측 록부재(41)는 록위치에 있어서 비상용 도어 패널(13)의 끝점측의 세로 프레임(30)의 상단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한편, 해정위치에 있어서 세로 프레임(30)의 내측으로 당겨넣어진다. 한편, 하측 록부재(42)는 록위치에 있어서 비상용 도어 패널(13)의 세로 프레임(30)의 하단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는 한편, 해정위치에 있어서 세로 프레임(30)의 내측으로 당겨넣어진다.
비상용 도어 패널(13)에는, 비상용 도어 패널(13)의 록을 수동으로 해제하기 위한 수동 해정장치(45)가 설치되어 있다. 이 수동 해정장치(45)는 궤도측에서도 플랫폼 내측에서도 록 해제조작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수동 해정장치(45)는 궤도측에서는 조작레버(46)의 조작에 의해, 또 플랫폼측에서는 열쇠부(47)의 조작에 의해, 각각 록 해제조작이 가능하다.
상기 조작레버(46)는 중간 프레임(34)에 있어서의 궤도측 면에 배치되어 있고, 이 조작레버(46)는 양 세로 프레임(30,32) 사이의 간격과 거의 같은 길이를 갖고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조작레버(46)는 지축부(46a)와, 암부(46b)와, 레버본체(46c)를 구비하고 있 다. 지축부(46a)는, 양 세로 프레임(30,32)에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각 지축부(46a)는 중간 프레임(34)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둘레에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암부(46b)는, 각 지축부(46a)에 대응해서 설치되며, 각 지축부(46a)로부터 각각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레버본체(46c)는 중간 프레임(34)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자세로 설치되어 있으며, 양 암부(46b)의 선단부끼리를 연결하고 있다.
끝점측의 세로 프레임(30)의 측벽에 기판(49)이 체결 고정되어 있다. 지축부(46a)는, 이 기판(49)에 설치되어 있는 레버 축받이부(50)에 회동 가능하게 끼워넣어져 있다. 이것에 의해, 조작레버(46)는 지축부(46a)를 중심으로 해서 중간 프레임(34)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둘레에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조작레버(46)는 양 록부재(41,42)가 록위치에 있을 때, 암부(46b)가 레버 축받이부(50)로부터 비스듬히 하방으로 신장하고, 레버본체(46c)가 지축부(46a)보다 비스듬히 하방에 위치한다.
한편, 상기 열쇠부(47)는, 끝점측의 세로 프레임(30)에 있어서의 플랫폼 내측면에 설치된 열쇠구멍내에 배치되어 있다. 열쇠부(47)는, 상기 열쇠구멍을 통해서 삽입되는 열쇠에 대응한 형상의 것이고, 이 열쇠부(47)는, 상기 기판(49)으로부터 플랫폼 내측을 향해서 돌출되고, 선단부가 각기둥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판(49)과, 이 기판(49)과 평행하게 설치되어서 기판(49)에 고정된 고정판(51) 사이에, 열쇠 축받이부(52)가 설치되어 있다. 열쇠부(47)는 이 열쇠 축받이부(52)에 회동 가능하게 끼워넣어져 있다. 그리고, 열쇠 축받이부(52)는, 중간 프레임(34)과 수직인 방향(비상용 도어 패널(13)의 두께방향)으로 연장되는 축둘레에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열쇠구멍을 통해 삽입된 도면에 생략된 열쇠를 열쇠부(47)에 끼워 회동조작함으로써, 열쇠 축받이부(52)가 회동한다. 또, 열쇠는, 가령 역무원 등이 소유하는 것이며, 플랫폼 내측에서의 조작은 역무원 등만이 행할 수 있다.
수동 해정장치(45)는 연결부(55)와 레버 연동부(56)를 구비하고 있다. 연결부(55)는 열쇠 회동판(57)과 열쇠측 로드(58,59)와 연결구(61,62)를 구비하고 있다. 열쇠측 로드(58,59) 및 연결구(61,62)는, 열쇠 회동판(57)의 상하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열쇠 회동판(57)은, 수평축둘레에 상기 열쇠부(47)와 일체적으로 회동하도록 열쇠부(47)에 고정되어 있다. 열쇠 회동판(57)에는, 회동축에 대해서 대칭이 되는 위치에 열쇠측 로드(58,59)의 기단부가 각각 결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열쇠 회동판(57)의 회동에 따라, 상측의 열쇠측 로드(58)와 하측의 열쇠측 로드(59)는 각각 상하 역방향으로 이동한다.
열쇠 회동판(57)은 록자세와 해정자세를 취할 수 있다. 록자세에서는, 상측의 열쇠측 로드(58)의 결합부가 상측위치가 되고, 또한 하측의 열쇠측 로드(59)의 결합부가 하측위치가 된다. 한편, 해정자세에서는, 상측의 열쇠측 로드(58)의 결합부가 하측위치가 되고, 또한 하측의 열쇠측 로드(59)의 결합부가 상측위치가 된다. 그리고, 열쇠 회동판(57)이 록자세와 해정자세 사이에서 회동함에 따라 열쇠측 로드(58,59)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때의 스트로크량과, 록부재(41,42)가 록위치 및 해정위치 사이를 이동할 때의 스트로크량이 일치하도록, 열쇠측 로드(58,59)의 결 합위치가 설정되어 있다.
상측의 열쇠측 로드(58)와 하측의 열쇠측 로드(59)는, 각각 같은 형상의 것이고, 이들이 상하 역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측의 열쇠측 로드(58)가 열쇠 회동판(57)으로부터 상방을 향해서 연장되는 한편, 하측의 열쇠측 로드(59)가 열쇠 회동판(57)으로부터 하방을 향해서 연장되어 있다.
상측의 연결구(61)와 하측의 연결구(62)는 각각 같은 형상의 것이지만, 이들은 서로 상하 반대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측의 연결구(61)는 금속판을 단면 ㄷ자형상으로 구부린 구성이며, 연결구(61)의 상단부(61a) 및 하단부(61b)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판형상으로 구성되고, 그 중간부(61c)가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판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측의 연결구(61)의 하단부(61b)가 상측의 열쇠측 로드(58)의 선단부(상단부)에 고정되고, 하측의 연결구(62)의 상단부가 하측의 열쇠측 로드(59)의 선단부(하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한편, 상기 레버 연동부(56)는 레버 회동판(65)과 레버측 로드(66)를 구비하고 있다. 레버 회동판(65)은, 상기 지축부(46a)와 일체적으로 회동하도록 지축부(46a)에 고정되어 있다. 이 레버 회동판(65)은 지축부(46a)로부터 지름방향의 외측을 향해서 연장되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레버 회동판(65)의 외단부 근방에는 관통구멍(65a)이 형성되어 있다.
레버측 로드(66)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로드본체(66a)와, 이 로드본체(66a)의 하단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는 핀부(66b)를 구비하고, L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핀부(66b)는 레버 회동판(65)의 관통구멍(65a)에 삽입통과되 어 있다. 그리고, 레버측 로드(66)는 레버 회동판(65)의 회동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고정판(51)에는, 받침부(68)와 규제부(69)가 설치되어 있다. 받침부(68)는 고정판(51)에 체결 고정되어 있으며, 이 받침부(68)의 삽입통과구멍(도시생략)에는, 레버측 로드(66)의 로드본체(66a)가 삽입통과되어 있다. 그리고, 로드본체(66a)에는, 받침부(68)보다 상방의 부위에 플랜지부(66c)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플랜지부(66c)와 받침부(68) 사이에 코일스프링(70)이 설치되어 있다. 레버측 로드(66)는 코일스프링(70)에 의해 상방으로 가압되어 있다.
규제부(69)는 받침부(68)보다 하방의 위치에서 고정판(51)에 체결 고정되어 있다. 규제부(69)에는, 상하로 연장되는 긴 구멍(69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긴 구멍(69a)에 레버측 로드(66)의 핀부(66b)가 삽입통과되어 있다. 긴 구멍(69a)은 레버측 로드(66)의 스트로크량을 규제하기 위한 것이다. 레버측 로드(66)는 코일스프링(70)에 의해 상방으로 가압되어 있으므로, 조작레버(46)의 압압조작이 되지 않으면, 핀부(66b)가 긴 구멍(69a)의 상단에 접촉하고 있다.
상기 레버측 로드(66)의 로드본체(66a)는 상측의 연결구(61)의 하단부(61b)에 형성된 관통구멍(61d)에 삽입통과되어 있다. 그리고, 이 관통구멍(61d)보다 상방으로 돌출한 로드본체(66a)의 선단부에는 관통구멍(61d)보다 큰 직경의 접촉부재(66d)가 끼워져 있다. 그리고, 레버측 로드(66)가 하방으로 이동할 때에는, 접촉부재(66d)가 상측의 연결구(61)의 하단부(61b)에 접촉하고, 그 상태에서 레버측 로드(66)와 상측의 연결구(61)가 일체로 되어 하강한다. 한편, 상측의 열쇠측 로 드(58)가 하방으로 이동하고, 상측의 연결구(61)가 하방으로 이동할 때에는, 연결구(61)의 하단부(61b)가 접촉부재(66d)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레버측 로드(66)가 함께 이동하지는 않고, 열쇠측 로드(58)는 단독으로 이동한다. 즉, 본 실시형태1에서는, 상측의 연결구(61)의 하단부(61b)가, 록위치와 해정위치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레버 연동부(56)와 접촉분리 가능하게 구성된 수용부를 구성하고 있다.
상측의 연결구(61)에는, 상기 상측 록부재(41)가 결합되고, 하측의 연결구(62)에는, 상기 하측 록부재(42)가 결합되어 있다. 상측 록부재(41)는 도8의 (a), (b)에도 확대해서 나타내듯이, 연결구(61)에 고정된 기부(41a)와, 이 기부(41a)에 대해서 상대 변위 가능하게 설치된 록부(41b)를 구비하고 있다. 기부(41a)에는, 숫나사부가 설치되는 한편, 록부(41b)의 기단부에 이 숫나사부에 나사결합하는 암나사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록부(41b)는, 기부(41a)에 대해서 상하방향으로 상대 변위 가능하다. 그리고, 이 나사삽입량을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세로 프레임(30) 상단부로부터의 록부재(41)의 돌출량을 조정할 수 있어, 헤더박스(17) 등에 고정된 근접 스위치(72)(도8의 (a)참조)와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또, 하측 록부재(42)도, 상측 록부재(41)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끝점측의 세로 프레임(30)에 있어서의 상단부에는, 도8의 (a)∼(d)에 나타내듯이, 커버판(75)과, 이 커버판(75)에 체결되어서 세로 프레임(30)내에 수납된 가이드부재(76)가 설치되어 있다. 커버판(75)에는, 상측 록부재(41)의 록부(41b)를 삽입통과시키는 개구부(75a)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부재(76)의 상면에는, 평면에서 볼 때에 대략 직사각형상의 직사각형 오목부(76a)와, 이 직사각형 오목부(76a)보다 깊게 형성된 수용 오목부(76b)가 형성되어 있다. 직사각형 오목부(76a)는, 가이드부재(76)의 상면에 있어서의 적어도 중앙부를 포함하는 영역에 형성됨과 아울러, 궤도측의 끝면에까지 연장되어 있다. 세로 프레임(30)의 궤도측의 측벽에는 직사각형 오목부(76a)에 대응해서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용 오목부(76b)는 직사각형 오목부(76a)의 저면의 중앙부가 오목한 것이며, 그 일부가 직사각형 오목부(76a)로부터 플랫폼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가이드부재(76)에는, 상측 록부재(41)의 록부(41b)를 삽입통과시키는 가이드 구멍(76c)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 구멍(76c)의 상단부는, 수용 오목부(76b)의 저면에 개구되어 있으며, 록부(41b)는 수용 오목부(76b) 및 직사각형 오목부(76a)를 관통하고 있다. 이 록부(41b)의 측면에는,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 한쌍의 평면부(41c)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수용 오목부(76b)에는, 록부(41b)의 회동방지수단으로서의 회동방지부재(78)가 설치되어 있다. 회전방지부재(78)는 평면에서 볼 때에 대략 U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록부(41b)를 끼워넣어 평면부(41c)와 결합함으로써, 록부(41b)가 축둘레에 회동하는 것을 규제한다.
가이드부재(76)에는, 비상용 도어 패널(13)의 개폐동작에 연동해서, 상측 록부재(41)의 록위치와 해정위치 사이를 차단하는 셔텨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이 셔터수단에는, 셔터부재(81)와 코일스프링(82)이 포함된다.
셔터부재(81)는 록부(41b)가 삽입통과 가능한 삽입통과구멍(도시생략)이 형 성된 직사각형 평판형상의 셔터부(81a)와, 이 셔터부(81a)의 끝부에 설치된 압압부(81b)를 갖는다. 셔터부(81a)는, 수용 오목부(76b)에 걸쳐지도록 직사각형 오목부(76a)에 적재되어 있으며, 압압부(81b)는 셔터부(81a)의 끝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셔터부(81a)는, 그 궤도측 끝면이 세로 프레임(30)의 궤도측 끝면보다 돌출 가능한 상태로 설치된다. 그리고, 셔터부(81a)를 밀어넣으면, 압압부(81b)와 수용 오목부(76b)의 벽면 사이에 설치된 코일스프링(82)이 압축되고, 이것에 의해 셔터부(81a)의 궤도측 끝면이 세로 프레임(30)의 궤도측 끝면과 거의 면일치의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 셔터부(81a)의 삽입통과구멍과 커버판(75)의 개구부(75a)가 겹쳐져서 록부(41b)가 삽입통과 가능하게 된다. 바꿔 말하면, 코일스프링(82)이 복원된 상태에서는, 셔터부(81a)의 삽입통과구멍과 커버판(75)의 개구부(75a)의 위치가 어긋나서, 록부(41b)가 삽입통과 불가능한 상태로 된다. 즉, 상측 록부재(41)가 해정위치까지 하강되면, 압축된 코일스프링(82)이 신장해서 셔터부재(81)가 커버판(75)의 개구부(75a)의 적어도 일부를 폐쇄하므로, 궤도측에서 셔터부재(81)를 밀어넣지 않는 한, 상측 록부재(41)는 해정위치로부터 록위치로 복귀할 수 없다.
가이드부재(76)의 하단부에는, 록부(41b)에 끼워진 코일스프링(84)을 유지하기 위한 브래킷(85)이 설치되어 있다. 이 브래킷(85)은, 가이드부재(76)의 하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둔 곳에 배치되는 수평판부(85a)를 갖고 있으며, 이 수평판부(85a)에는 록부(41b)를 삽입통과시키는 삽입통과구멍(도시생략)이 형성되어 있다. 이 수평판부(85a)와, 수평판부(85a)보다 상방에서 록부(41b)에 설치된 플랜지 부(41d) 사이에 코일스프링(84)이 설치되어 있다. 이 코일스프링(84)은, 상측 록부재(41)가 하강해서 해정위치에 있을 때, 상측 록부재(41)를 록위치를 향해서 가압하는 가압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스크린 도어장치의 동작 및 비상시 등에 있어서의 수동 해정조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통상시에 있어서, 도어 패널(12,12)은 폐쇄되어 있다(도1 및 도2 참조). 이 때, 비상용 도어 패널(13)은 폐쇄위치에 있으며, 상하의 록부재(41,42)가 비상용 도어 패널(13)로부터 각각 상방 또는 하방으로 돌출된 록위치에 있다. 이 때문에, 비상용 도어 패널(13)은 개방할 수 없다.
그리고, 플랫폼에 차량이 도착하면, 차량의 측문이 개방되는 데에 맞춰서 컨트롤러(22)는 도어 엔진(21d)에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것에 의해, 구동 스프로킷(21a)이 회전하여 타이밍벨트(21c)가 주행해서 도어 패널(12,12)이 개방된다. 그리고, 차량의 측문이 폐쇄되는 데에 맞춰서, 컨트롤러(22)로부터의 제어신호가 도어 엔진(21d)에 입력되면, 구동 스프로킷(21a)이 이번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타이밍 벨트(21c)가 주행해서 도어 패널(12,12)이 닫혀진다.
다음에 차량의 정지위치가 크게 벗어나 버린 경우 등과 같은 비상시에 있어서의 수동 해정조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통상, 록부재(41,42)가 록위치에 있고, 비상용 도어 패널(13)은 록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6의 (a)에 나타내듯이, 열쇠 회동판(57)이 록자세로 유지되어 있으며, 상측의 열쇠측 로드(58)의 결합부가 상측위치이며, 또한 하측의 열쇠측 로드(59)의 결합부가 하측위치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상측의 연결구(61)가 상측위치에 위치되고, 상측 록부재(41)가 비상용 도어 패널(13)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록위치에 위치됨과 아울러, 하측의 연결부(55)가 하측위치에 위치되고, 하측 록부재(42)가 비상용 도어 패널(13)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록위치에 위치되어 있다. 그리고, 레버측 로드(66)가 코일스프링(70)의 탄발력을 받아, 핀부(66b)가 규제부(69)의 긴 구멍(69a)의 상단에 접촉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때, 상측의 연결구(61)의 하단부(61b)가 레버측 로드(66)의 접촉부재(66d)에 접촉된 상태가 되어 있어도 좋고, 또는 접촉부재(66d)가 연결구(61)의 하단부(61b)로부터 약간 상방으로 이간된 상태로 되어 있어도 좋다.
그리고, 비상시에 있어서 궤도측의 승객 등이 플랫폼 내측으로 탈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비상용 도어 패널(13)의 록을 수동으로 해제하게 된다. 이 도어 패널(13)의 해정에는, 플랫폼측에서의 조작과 궤도측에서의 조작이 가능하다.
우선 플랫폼측에서의 해정조작에 대해서 설명하면 이 조작에서는 역무원 등이 소유하고 있는 소정의 열쇠를 사용한다. 플랫폼측에 있는 역무원 등이 이 열쇠를 비상용 도어 패널(13)의 끝점측위치에 있는 열쇠구멍에 삽입해서 회동조작하면, 그것에 따라 열쇠부(47)가 회동한다. 이 회동조작 이전에는, 도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열쇠 회동판(57)이 록자세로 되어 있지만, 열쇠부(47)의 회동에 의해 열쇠 회동판(57)이 회동하여, 도6의 (b), (c)에 나타내듯이, 해정자세로 된다. 이것에 따라, 상측의 열쇠측 로드(58) 및 상측의 연결구(61)가 하강함과 아울러, 하측의 열쇠측 로드(59) 및 하측의 연결구(62)가 상승한다. 그리고, 상측 록부재(41) 및 하측 록부재(42)가 모두 록위치로부터 해정위치로 이동하여, 비상용 도어 패 널(13)의 록이 해제된다.
상측의 연결구(61)가 하강할 때에는, 이 연결구(61)의 하단부(61b)가 레버측 로드(66)의 접촉부재(66d)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조작레버(46)와의 연결이 차단된다. 이 때문에, 레버측 로드(66)가 이동하는 일은 없어, 조작레버(46)가 연동해서 움직이는 일도 없다. 따라서, 열쇠의 회동조작에 있어서, 조작레버(46)를 움직이게하는 힘을 가할 필요가 없어, 열쇠에 의한 해정조작을 편안히 행할 수 있다.
상측 록부재(41)가 세로 프레임(30)의 상단면보다 하방으로 당겨넣어진 해정위치로 이동하면, 비상용 도어 패널(13)의 개방조작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비상용 도어 패널(13)이 개방되면, 세로 프레임(30) 상단부의 셔터부재(81)가 코일스프링(82)의 탄발력을 받아서 궤도측으로 이동해서 세로 프레임(30)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된다. 이것에 의해, 셔터부(81a)의 삽입통과구멍이 커버판(75)의 개구부(75a)로부터 위치가 어긋나서, 개구부(75a)의 적어도 일부를 폐쇄한다. 이 때문에, 비상용 도어 패널(13)이 개방되어 있을 때에는, 록부재(41,42)는 해정위치로 유지된다. 이 때, 상측 록부재(41)는 코일스프링(84)에 의해 상방향의 힘을 받고 있다.
그 후에 비상용 도어 패널(13)이 폐쇄되면, 셔터부재(81)가 헤더박스(17)의 브래킷 금속부재(도시생략)와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셔터부재(81)는 비상용 도어 패널(13)의 세로 프레임(30)내에 밀어넣어지고, 셔터부(81a)의 삽입통과구멍과 커버판(75)의 개구부(75a)가 겹쳐져서, 상측 록부재(41)의 록부(41b)가 이들 삽입통과구멍 및 개구부(75a)를 통해서 상방으로 돌출된다. 이것에 의해, 비상용 도어 패 널(13)은 다시 록된다.
한편, 궤도측에서의 해정조작에서는, 궤도측에 있는 승객 등이 비상용 도어 패널(13)의 조작레버(46)를 회동조작함으로써 행해진다. 통상시에는, 조작레버(46)는 도5의 (a), (b)에 나타내듯이, 암부(46b)가 지축부(46a)로부터 비스듬히 하방으로 연장되는 자세로 되어 있다. 이 상태일 때, 레버 회동판(65)은 수평배치로 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레버(46)의 레버본체(46c)를 궤도측에서 플랫폼측을 향하는 방향(도5의 (b)에 있어서의 우측방향)으로 압압조작하면, 조작레버(46)는 지축부(46a)를 중심으로 해서 회동한다. 이것에 따라, 레버 회동판(65)은 수평위치로부터 외단부(선단부)가 하강하도록 회동하고, 이것에 의해, 핀부(66b)가 관통구멍(65a)에 삽입통과되어 있는 레버측 로드(66)는 하강한다. 이것에 의해, 레버측 로드(66)는 그 접촉부재(66d)가 상측의 연결구(61)의 하단부(61b)와 접촉한 상태에서 하강하므로, 연결구(61)가 밀어 내려지고, 록부재(41)는 록위치로부터 해정위치까지 당겨넣어진다. 또, 이 때, 상측의 연결구(61)와 함께 상측의 열쇠측 로드(58)도 하강하므로, 열쇠 회동판(57)이 그것에 연동해서 회동하게 된다. 그 후의 셔터부재(81)의 동작은 플랫폼측에서 조작했을 때와 같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조작레버(46)에 의한 록 해제조작에 있어서, 레버측 로드(66)가 상측의 연결구(61)의 하단부(61b)에 접촉함으로써 연결구(61)가 록위치로부터 해정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따라, 연결구(61)에 연결된 록부재(41)가 록위치로부터 해정위치로 이동하여 비상용 도어 패널(13)의 록이 해제된다. 한편, 열쇠부(47)에 의한 록 해제조작시에 있어 서, 연결구(61)는 레버측 로드(66)를 움직이는 일없이 록부재(41)를 록위치로부터 해정위치로 이동시킨다. 이 때문에 조작레버(46)가 연동해서 이동하는 일도 없다. 따라서, 열쇠부(47)에 의한 록 해제조작에 있어서, 조작레버(46)를 움직이는 데에 필요한 힘을 가할 필요가 없어져서, 열쇠의 회동조작을 편안히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조작레버(46)에 의한 록 해제조작의 조작성을 유지하면서, 열쇠부(47)에 의한 록 해제조작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1에서는, 비상용 도어 패널(13)이 개방되는 방향으로 조작레버(46)를 미는 것만으로 록이 해제되므로, 비상용 도어 패널(13)의 해정조작을 간편하게 할 수 있고, 비상문으로서의 기능을 유효하게 발휘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1에서는, 비상용 도어 패널(13)이 개방되어 있을 때에는, 셔터부재(81)에 의해 상측 록부재(41)가 해정위치로부터 록위치로 되돌아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비상용 도어 패널(13)의 개방시에 록부재(41,42)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해정위치에 있는 상측 록부재(41)를 코일스프링(84)에 의해 록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므로, 셔터부재(81)에 의한 차단이 해제됨에 따라 상측 록부재(41)를 록위치로 자동적으로 되돌릴 수 있다. 따라서, 록이 해제된 후, 다시 비상용 도어 패널(13)이 폐쇄되었을 때라도, 록 해제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1에서는, 상측 록부재(41)를 기부(41a)와 록부(41b)에 의해 구성하고, 이들이 나사로 나사결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록부(41b)를 회동시킴으로써 록부재(41)의 돌출량을 조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록부(41b)의 설치 위치를 미조정하는 경우에, 수동 해정장치(45)를 세로 프레임(30)로부터 꺼내서 해체하고, 다시 수동 해정장치(45)를 조립한다는 번거로운 작업을 하지 않아도, 간단히 록부(41b)의 미조정을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비상용 도어 패널(13)의 개폐를 검지하기 위한 근접스위치(72)와 록부(41b)의 간격을 미조정하는 작업을 용이화할 수 있다. 또한 하측 록부재(42)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되어 있어, 하측 록부재(42)의 미조정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실시형태2)
도9의 (a)∼(c) 및 도10의 (a)∼(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2를 나타낸다. 또, 여기에서는, 실시형태1과 같은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실시형태1에서는, 레버 연동부(56)가 레버 회동판(65)과 레버측 로드(66)를 구비하고, 레버측 로드(66)가 연결부(55)에 대해서 접촉분리되는 구성으로 했지만, 본 실시형태2에서는, 레버측 로드(66)가 설치되어 있지 않고, 연결부(55)와 레버 회동판(65)이 접촉분리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연결부(55)는 열쇠 회동판(57)과 열쇠측 로드(58,59)와 연결구(61,62)를 구비하고 있다. 열쇠 회동판(57), 하측의 열쇠측 로드(59) 및 연결구(61,62)의 구성은 실시형태1과 같다.
상측의 열쇠측 로드(58)는 실시형태1과 달리, 열쇠 회동판(57)과 상측의 연결구(61)를 연결하는 주 로드(90)와, 이 주 로드(90)로부터 분기되는 부 로드(91) 를 구비하고 있다. 주 로드(90)의 상단부는 상측의 연결구(61)의 하단부(61b)에 결합되고, 주 로드(90)의 하단부는 열쇠 회동판(57)에 결합되어 있다. 부 로드(91)는 주 로드(90)의 중간부분으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는 횡부(91a)와, 이 횡부(91a)의 선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종부(91b)와, 이 종부(91b)의 하단으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는 핀부(91c)를 갖고 있다.
상기 레버 회동판(65)은 지축부(46a)로부터 지름방향의 외측을 향해서 연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조작레버(46)가 조작되지 않는 통상위치에 있을 때, 수평방향을 향해서 연장되는 자세로 되어 있다. 레버 회동판(65)의 외단부 근방에는 노치부(65b)가 형성되어 있다. 이 노치부(65b)는 레버 회동판(65)이 수평자세에 있을 때에 레버 회동판(65)의 하단부로부터 상방을 향해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노치부(65b)내에 부 로드(91)의 핀부(91c)가 삽입통과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2에서는, 조작레버(46)에 의한 록 해제조작에 있어서, 조작레버(46)가 밀려서 도9의 (b), (c)에 있어서의 우측방향으로 회동하면, 레버 회동판(65)은 하방향으로 회동한다. 이것에 의해, 레버 회동판(65)은, 부 로드(91)의 핀부(91c)를 압압해서 상측의 열쇠측 로드(58)를 밀어 내리고, 록부재(41)를 록위치로부터 해정위치로 후퇴시킬 수 있다. 한편, 열쇠부(47)에 의한 록 해제조작에서는, 열쇠부(47)의 회동조작에 의해 상측의 열쇠측 로드(58)가 하강해서 록부재를 록위치로부터 해정위치로 후퇴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부 로드(91)의 핀부(91c)가 하강하지만, 이 때 핀부(91c)는 레버 회동판(65)의 노치부(65b)로부터 빠져 나와서 하방으로 이간되므로, 레버 회동판(65)은 회동하지 않는다. 즉, 본 실 시형태2에서는, 핀부(91c)가 록위치와 해정위치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레버 연동부(56)와 접촉분리 가능하게 구성된 수용부를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2에 있어서도, 열쇠부(47)에 의한 록 해제조작에 있어서, 조작레버(46)를 움직이는데에 필요한 힘을 가할 필요가 없어져, 열쇠의 회동조작을 편안히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조작레버(46)에 의한 록 해제조작의 조작성을 유지하면서, 열쇠부(47)에 의한 록 해제조작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2에서는, 상측의 열쇠측 로드(58)가 주 로드(90)로부터 분기된 부 로드(91)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이것에 대신해서, 상측의 열쇠측 로드(58)를 실시형태1과 동일하게 구성함과 아울러, 하방으로 연장되는 로드부재를 상측의 연결구(61)에 결합해서 로드부재의 하단부에 핀부를 형성하고, 그 핀부가 레버 회동판(65)의 노치부(65b)에 삽입통과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그 밖의 구성, 작용 및 효과는 그 설명을 생략하지만, 상기 실시형태1과 같다.
(본 발명의 개요)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조작레버에 의한 록 해제조작에 있어서, 레버 연동부가 연결부의 수용부에 접촉함으로써 연결부가 록위치로부터 해정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따라, 연결부에 연결된 록부재가 록위치로부터 해정위치로 이동하여, 비상용 도어 패널의 록이 해제된다. 한편, 열쇠부에 의한 록 해제조작에 있어서는, 수용부가 레버 연동부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으로 연결부가 이동한다. 이 때문에, 연결부는, 레버 연동부를 움직이는 일없이 록부재 를 록위치로부터 해정위치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열쇠부에 의한 록 해제조작시에 있어서, 연결부는 레버 연동부를 움직이지 않고 록부재를 록위치로부터 해정위치로 움직이므로, 열쇠부의 조작시에 있어서, 조작레버를 움직이는데에 필요한 힘을 가할 필요가 없어져, 열쇠의 회동조작을 편안히 행할 수 있고, 열쇠부에 의한 록 해제조작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비상용 도어 패널이 열리는 방향으로의 상기 조작레버의 동작에 의해, 상기 레버 연동부가 상기 연결부의 수용부와 접촉해서, 상기 록부재를 록위치로부터 해정위치에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비상용 도어 패널이 열리는 방향으로 조작레버를 미는 것만으로 록이 해제되므로, 비상용 도어 패널의 해정조작을 간편하게 할 수 있어, 비상문으로서의 기능을 유효하게 발휘시킬 수 있다.
그리고, 해정위치에 있는 상기 록부재를 록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수단과, 상기 비상용 도어 패널의 개폐동작에 연동해서, 상기 록부재의 록위치와 해정위치 사이를 차단하는 셔터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형태에서는, 비상용 도어 패널이 개방되어 있을 때에는, 셔터수단에 의해, 록부재가 해정위치로부터 록위치로 되돌아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해정위치에 있는 록부재를 록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므로, 셔터수단에 의한 차단이 해제됨에 따라서 록부재를 록위치로 자동적으로 되돌릴 수 있다. 따라서, 록이 해제된 후, 다시 비상용 도어 패널이 폐쇄되었을 때라도, 록 해제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록부재는, 상기 연결부에 연결됨과 아울러 나사부를 갖는 기부와, 이 기부의 나사부에 나사결합되는 나사부를 갖는 록부를 구비하고, 상기 록부의 회동방지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형태에서는, 기부에 대해서 록부를 회동시킴으로써, 기부에 대한 록부의 상대적인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록부를 회동시킴으로써 록부재의 돌출량을 간단하게 조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비상용 도어 패널의 개폐를 검지하기 위한 근접 스위치와 록부의 간격을 미조정하는 작업을 용이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조작레버에 의한 록 해제조작의 조작성을 유지하면서, 열쇠부에 의한 록 해제조작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5)

  1. 플랫폼 스크린 도어장치의 비상용 도어 패널을 록하는 록위치와 록을 해제하는 해정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록부재를 구비하고, 비상용 도어 패널의 한쪽 면측에서 조작레버에 의한 록 해제조작이 가능하고, 또한 비상용 도어 패널의 다른쪽 면측에서 열쇠부에 의한 록 해제조작이 가능한 수동 해정장치로서,
    상기 록부재와 상기 열쇠부를 연결해서 상기 록위치와 해정위치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연결부; 및
    상기 조작레버에 연동하는 레버 연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록위치와 해정위치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상기 레버 연동부와 접촉분리 가능한 수용부를 갖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조작레버의 록 해제조작에 따라 상기 레버 연동부가 접촉해서 록위치로부터 해정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한편, 상기 열쇠부의 록 해제조작에 따라 상기 레버 연동부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해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용 도어 패널이 열리는 방향으로의 상기 조작레버의 동작에 의해, 상기 레버 연동부가 상기 연결부의 수용부와 접촉해서, 상기 록부재를 록위치로부터 해정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해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해정위치에 있는 상기 록부재를 록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수단; 및
    상기 비상용 도어 패널의 개폐동작에 연동해서, 상기 록부재의 록위치와 해정위치 사이를 차단하는 셔터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해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부재는 상기 연결부에 연결됨과 아울러 나사부를 갖는 기부와, 이 기부의 나사부에 나사결합되는 나사부를 갖는 록부를 구비하고,
    상기 록부의 회동방지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해정장치.
  5. 도어 패널이 궤도를 따르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플랫폼 상에 설치되는 플랫폼 스크린 도어장치로서,
    상기 도어 패널의 폐쇄위치 이외의 위치에 배치되는 비상용 도어 패널; 및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동 해정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 스크린 도어장치.
KR1020060095479A 2005-10-04 2006-09-29 수동 해정장치 및 플랫폼 스크린 도어장치 KR1007646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90973A JP4734078B2 (ja) 2005-10-04 2005-10-04 手動解錠装置及びプラットホームスクリーンドア装置
JPJP-P-2005-00290973 2005-10-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8001A KR20070038001A (ko) 2007-04-09
KR100764685B1 true KR100764685B1 (ko) 2007-10-09

Family

ID=38027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5479A KR100764685B1 (ko) 2005-10-04 2006-09-29 수동 해정장치 및 플랫폼 스크린 도어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734078B2 (ko)
KR (1) KR100764685B1 (ko)
CN (1) CN1982640B (ko)
HK (1) HK1103775A1 (ko)
TW (1) TW20071642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296Y1 (ko) 2009-06-30 2011-04-20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스크린 도어 시스템의 비상도어 안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6335B1 (ko) * 2006-09-30 2007-11-16 장복규 스크린 도어의 비상탈출 개폐장치
EP2518219B1 (en) 2009-12-25 2018-03-21 Takeuchi Mfg. Co., Ltd. Device for driving/controlling ac motor
JP5762772B2 (ja) * 2011-02-25 2015-08-12 株式会社高見沢サイバネティックス ホームドア装置
US9759004B2 (en) 2011-09-09 2017-09-12 Nabtesco Corporation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with lock
JP5887177B2 (ja) * 2012-03-26 2016-03-16 ナブテスコ株式会社 プラットホームスクリーンドア装置
GB2568607B (en) 2012-06-15 2019-08-14 Piolax Inc Lock device for opening/closing body
JP6037720B2 (ja) * 2012-08-24 2016-12-07 三菱電機株式会社 可動ホーム柵
CN106639684B (zh) * 2016-10-21 2018-11-02 中车南京浦镇车辆有限公司 一种城轨车辆后隔墙结构
CN109538004B (zh) * 2018-12-11 2024-05-10 创景传感工业(惠州)有限公司 一种轨道交通站台屏蔽门电磁锁
CN109798030B (zh) * 2019-03-20 2023-05-09 方大智创科技有限公司 站台屏蔽门手动解锁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5570A (ko) 2000-02-25 2001-09-07 오다 시게루 플랫폼 스크린 도어장치 및 그 비상탈출 패널
JP2004332270A (ja) 2003-05-01 2004-11-25 Takigen Mfg Co Ltd 二段階開放型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JP2005213900A (ja) 2004-01-30 2005-08-11 Nabtesco Corp 非常脱出ドアの錠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1351A (ja) * 2000-02-25 2001-11-09 Nabco Ltd プラットホームスクリーンドア装置
JP3502001B2 (ja) * 2000-02-25 2004-03-02 株式会社ナブコ 非常脱出ドア装置
JP2001254558A (ja) * 2000-03-10 2001-09-21 Takigen Mfg Co Ltd 非常脱出用の扉装置
CN2438791Y (zh) * 2000-08-30 2001-07-11 方大集团股份有限公司 地铁站台应急门解锁机构
CN2438790Y (zh) * 2000-08-30 2001-07-11 方大集团股份有限公司 地铁站台活动门解锁机构
JP4533675B2 (ja) * 2004-06-16 2010-09-01 ナブテスコ株式会社 プラットホームスクリーンドア装置
JP4551825B2 (ja) * 2005-06-24 2010-09-29 ナブテスコ株式会社 手動解錠装置及びプラットホームスクリーンドア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5570A (ko) 2000-02-25 2001-09-07 오다 시게루 플랫폼 스크린 도어장치 및 그 비상탈출 패널
JP2004332270A (ja) 2003-05-01 2004-11-25 Takigen Mfg Co Ltd 二段階開放型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JP2005213900A (ja) 2004-01-30 2005-08-11 Nabtesco Corp 非常脱出ドアの錠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296Y1 (ko) 2009-06-30 2011-04-20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스크린 도어 시스템의 비상도어 안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02887B (ko) 2008-11-11
CN1982640A (zh) 2007-06-20
HK1103775A1 (en) 2007-12-28
TW200716421A (en) 2007-05-01
JP4734078B2 (ja) 2011-07-27
CN1982640B (zh) 2010-06-16
KR20070038001A (ko) 2007-04-09
JP2007100372A (ja) 2007-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4685B1 (ko) 수동 해정장치 및 플랫폼 스크린 도어장치
US8517433B2 (en) Locking device of a door
JP5354756B2 (ja) 電気式ドアロック装置
JP5010063B2 (ja) 車両ルーフ
KR100645289B1 (ko) 플랫폼 스크린 도어 장치
CN108291414B (zh) 具有锁式致动的连接机构的门或其他可关闭的板体
EP2436860A2 (en) Electric door-locking system using a cam
US8959838B1 (en) Cargo vehicle security system and method of use
US6854399B2 (en) Side sliding door apparatus for electric railcar
EP3421700B1 (en) Door operator system, emergency release device and door isolation lock for a transit vehicle door
US20040050121A1 (en) Lock system with a function controlling mechanism
KR101192049B1 (ko) 록킹 장치
JP4837491B2 (ja) 非常解錠装置及びプラットホームドア装置
JP2001233201A (ja) 非常脱出ドア装置
KR200453296Y1 (ko) 스크린 도어 시스템의 비상도어 안전장치
US8438784B1 (en) Automated vehicle cargo door opener
EP3280665B1 (en) Accessible elevator buffer
RU2350728C1 (ru) Фикс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к приводу засова задвижной двери
JP2018119259A (ja) 引き違い戸装置
JP4511843B2 (ja) 非常脱出ドアの錠装置
US11572255B2 (en) Door lock operation member for elevator door lock device
US6851730B2 (en) Device for locking a separative element
JP4010155B2 (ja) シートトラック装置
TWI733625B (zh) 滑軌總成
JP2021137571A (ja) ドアをロック及び及びロック解除するためのデバイスを備えるキャビン並びに少なくとも1つのそのようなキャビンを備える乗客輸送施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