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4154B1 - 차량용 스티어링 칼럼의 텔레스코픽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스티어링 칼럼의 텔레스코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4154B1
KR100764154B1 KR1020010060030A KR20010060030A KR100764154B1 KR 100764154 B1 KR100764154 B1 KR 100764154B1 KR 1020010060030 A KR1020010060030 A KR 1020010060030A KR 20010060030 A KR20010060030 A KR 20010060030A KR 100764154 B1 KR100764154 B1 KR 1007641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housing
slot
steering column
telescop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0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8091A (ko
Inventor
이병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010060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4154B1/ko
Publication of KR20030028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80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4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41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9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arrangements, e.g. by being yieldable or collapsible
    • B62D1/192Yieldable or collapsible colum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스티어링 칼럼의 텔레스코픽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마찰저항이 크지않은 재질로 마련되는 부시를 튜브에 형성되는 슬롯의 내부에 삽입가능하도록 마련하여 정확한 조립과 소음이 저감되는 차량용 스티어링 칼럼의 텔레스코픽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중공으로 마련되는 하우징(50)과, 상기 하우징(50)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 설치되는 튜브(60)와, 상기 하우징(50)과 튜브(60) 사이의 반경방향 틈새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5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튜브(60)를 가압하는 스톱퍼(70)를 구비함에 있어, 상기 스톱퍼(70)는 상기 튜브(60)의 외부 일측에 형성된 슬롯(71)과, 상기 슬롯(71)과 연통되도록 상기 하우징(50)의 일측에 외부로 연장 형성된 중공의 설치부(72)와, 상기 설치부(72)에 삽입 설치되는 볼트(73)와, 상기 볼트(73)의 외측 선단과 나사결합되는 너트(74)와, 상기 볼트(73)의 내측 선단에 설치되는 탄성부재(75)와, 상기 탄성부재(75)에 의해 상기 튜브(60)의 외부면과 밀착되되 일측 선단은 상기 슬롯(71)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부시(80)가 구비되는 구성이다.
하우징, 튜브, 슬롯, 부시, 안내돌기, 접시스프링

Description

차량용 스티어링 칼럼의 텔레스코픽장치{TELESCOPIC DEVICE OF STEERING COLUMN FOR VEHICLE}
도 1은 종래 텔레스코픽장치의 스토퍼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칼럼을 보인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스티어링 칼럼 20:틸트장치
30:텔레스코픽장치 40:모터
50:하우징 60:튜브
70:스톱퍼 71:슬롯
72:설치부 73:볼트
74:너트 75:탄성부재
80:부시 81:밀착면
82:안내돌기
본 발명은 차량용 스티어링 칼럼의 텔레스코픽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축방향으로 신장 및 수축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스티어링 칼럼 하우징과 텔레스토픽 튜브 사이의 반경방향 틈을 조절하는 스토퍼의 구조를 개선하여 조립이 용이해지고 소음이 방지되는 차량용 스티어링 칼럼의 텔레스코픽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스티어링 칼럼은 스티어링 휠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기어박스를 통해 바퀴에 전달해줄 수 있도록 운전석의 내부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운전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스티어링 휠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경사방향 조절을 위한 틸트장치와 축방향 조절을 위한 텔레스코픽장치가 마련된다.
한편, 텔레스코픽장치는 수동식과 전동식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수동식 텔레스코픽 장치는 부품수가 적어,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고, 중량이 가벼우며, 생산원가가 낮은 이점이 있지만, 모든 동작을 수동으로 동작시켜야 하는 불편이 있어 저가형 및 소형 차량에 주로 사용된다.
이에 비해 전동식 텔레스코픽장치는 모터와 기어 등을 구비하여 버튼의 조작으로 스티어링 칼럼을 간단히 신장 및 수축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으로서, 운전자를 인식하는 센서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자동으로 동작시킬 수 있어 고급형 및 중대형 차량에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전동식 텔레스코픽장치는 텔레스코픽 작동을 하기 위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마련된 스티어링 칼럼 하우징과 텔레스코픽 튜브 및 하우징과 튜브 사이의 반경방향 틈새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스토퍼를 구비한다.
도 1은 이러한 종래의 스토퍼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텔레스코픽장치(1)는 수축 가능하도록 서로 삽착 설치하여 구비되는 것으로서, 외부측에는 스티어링 칼럼 하우징(2)이 마련되고, 내부측에는 텔레스코픽 튜브(3)가 설치된다.
즉, 중공으로 마련된 하우징(2)의 내부에 중공의 튜브(3)가 삽입되어 튜브(3)가 축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스티어링 칼럼의 길이를 신장 및 수축시키는 것으로서, 하우징(2)과 튜브(3) 사이에는 원활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반경방향 틈새가 존재하게 된다.
이때, 틈새가 너무 작은면 슬라이딩 동작이 제대로 이루어지질 않고, 틈새가 너무 크면 슬라이딩 동작 중에 유동이 생겨 진동 및 소음을 발생시키게 되므로, 틈새의 크기는 슬라이딩에 장애가 되지 않는 한도내에서 최소화되어야한다.
한편, 이러한 반경방향 틈새를 유지할 수 있도록 텔레스코픽장치(1)의 일측에는 스톱퍼가 설치되어, 하우징(2)과 튜브(3) 사이의 반경방향 틈새를 최소화하고, 이로 인해 고유진동수 및 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즉, 스톱퍼는 튜브(3)의 일측에 절개 형성된 슬롯(4a)과, 이 슬롯(4a) 외측의 하우징(2)에 외부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중공의 설치부(4b)와, 이 설치부(4b)의 내부에 삽입되어 끝단이 슬롯(4a)의 내부로 연장되는 볼트(4c)와, 이 볼트(4c)의 외주측에 설치되어 튜브(3)의 외부면에 밀착되는 부시(4f)와, 이 부시(4f)의 배면에 위치하여 이를 탄성지지할 수 있도록 볼트(4c)의 지지를 받으며 그 외주측에 설치되는 코일스프링(4e)으로 구비된다.
또, 볼트(4c)의 외부측에는 이와 나사결합되어 볼트(4c)를 설치부(4b)의 외부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너트(4d)가 구비되어, 이로 인해 볼트(4c)를 회전시킴에 따라 스프링의 탄성력이 조절되어 부시(4f)와 튜브(3)와의 밀착력을 조절하게 된다.
이때, 부시(4f)는 마찰저항이 높지않은 재질로 마련되고, 튜브(3) 면에 밀착되도록 라운드 타입으로 제작되어, 볼트(4c)를 조임에 따라 하우징(2)과 튜브(3)의 반경방향 틈새를 줄여가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차량용 스티어링 칼럼의 텔레스코픽장치는, 볼트와 부시가 별개로 제작되어 볼트의 외부에서 부시가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됨으로 인해 부시의 조립시 라운드 형성된 부분이 튜브 외주의 곡면에 밀착되지않는 경우가 발생된다.
이러한 경우 초기동작시는 유격발생이 없으나, 내구 후에는 틀어져서 밀착된 부분이 쉽게 마모가 되므로, 유격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튜브의 슬롯과 직접 밀착되는 볼트가 마찰저항이 높은 스틸재로 마련되므로, 설치 및 동작시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부시를 튜브에 형성되는 슬롯의 내부에 삽입가능하도록 마련하여 정확하게 조립되도록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칼럼의 텔레스코픽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차량용 스티어링 칼럼의 텔레스코픽장치는, 중공으로 마련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 설치되는 튜브와, 상기 하우징과 튜브 사이의 반경방향 틈새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튜브를 가압하는 스토퍼를 구비한 차량용 스티어링 칼럼의 텔레스코픽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튜브의 외부 일측에 형성된 슬롯과, 상기 슬롯과 연통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외부로 연장 형성된 중공의 설치부와, 상기 설치부에 삽입 설치되는 볼트와, 상기 볼트의 외측 선단과 나사결합되는 너트와, 상기 볼트의 내측 선단에 설치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튜브의 외부면과 밀착되되 일측 선단은 상기 슬롯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마련된 부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칼럼을 보인 측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어링 칼럼(10)은 운전자가 발생시킨 회전력을 바퀴측에 전달할 수 있도록 그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설치되어 양단측으로 돌출된 조향축은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일단은 스티어링 휠에 연결되고 타단은 기어박스에 연결된다.
한편, 스티어링 칼럼(10)은 운전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스티어링 휠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경사방향 조절을 위한 틸트장치(20)와 축방향 조절을 위한 텔레 스코픽장치(30)가 마련된다.
이때, 전동식 텔레스코픽장치(30)는 모터(40)와 기어 등을 구비하여 버튼의 조작으로 스티어링 칼럼(10)을 간단히 신장 및 수축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으로서, 텔레스코픽 작동을 하기 위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마련된 스티어링 칼럼 하우징(50)과 텔레스코픽 튜브(60) 및 하우징(50)과 튜브(60)의 반경방향 틈새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스톱퍼(70)를 구비한다.
도 3은 이러한 텔레스코픽장치의 스토퍼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측에는 스티어링 칼럼 하우징(50)이 마련되고, 내부측에는 텔레스코픽 튜브(60)가 설치되며, 하우징(50)의 일측에는 스톱퍼(70)가 설치된다.
이 스톱퍼(70)는 하우징(50)과 그 내부에 설치되는 튜브(60) 사이의 반경방향 틈새를 조절하여, 그 반경방향 틈새를 최소화하고, 이로 인해 고유진동수 및 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다.
즉, 스톱퍼(70)는 튜브(60)의 외부 일측에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슬롯(71)과, 이에 대응되도록 하우징(50)의 일측에 외부로 연장 형성된 중공의 설치부(72)와, 이 설치부(72)에 삽입 설치되는 볼트(73)와, 이 볼트(73)의 외측 선단과 나사결합되는 너트(74)와, 볼트(73)의 내측 선단에 설치되는 탄성부재(75)와, 탄성부재(75)에 의해 튜브(60)의 외부면과 밀착되는 부시(80)로 구성된다. 상기 부시(80)는 일측에는 슬롯(71)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돌출된 안내돌기(82)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상기 안내돌기(82)의 후단에서 양측으로 확장되어 일면이 상기 슬롯(71) 부위 상기 튜브(60)의 외면과 밀착되는 밀착면(81)을 형성하고 타면은 상기 탄성부재(75)에 의해 지지되는 밀착부가 형성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부시(80)는 대략 'ㅓ'자 형으로 형성된다.
이때, 부시(80)는 튜브(60)의 외부면과 밀착되는 밀착면(81)이 라운딩 형성되며,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슬롯(71)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안내돌기(82)는 슬롯(71)의 내부에 삽입되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직사각형의 단면으로 마련된다.
아울러, 부시(80)의 배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75)는 원형의 접시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하부면에 압력을 가할 때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접시스프링을 다수개 적층시킨 것으로서, 그 개수를 조절하여 탄성력을 조절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차량용 스티어링 칼럼의 텔레스코픽장치는, 튜브(60)에 형성된 슬롯(71)과 하우징(50)에 형성된 설치부(72)가 마주할 수 있도록 하우징(50)의 내부에 튜브(60)를 설치하고, 설치부(72)를 통해 그 내부로 부시(80)를 삽입한다.
그리고 부시(80)의 안내돌기(82)를 슬롯(71)에 삽입하여 라운딩 형성된 면이 튜브(60)의 외부면과 밀착되도록 설치하고, 부시(80)의 배면으로는 접시스프링으로 마련된 탄성부재(75)를 다수개 적층한 후 설치부(72)의 내부에 볼트(73)를 삽입하고 이 볼트(73)의 외부측에는 너트(74)를 설치하여 볼트(73)를 고정하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칼럼의 텔레스코픽장치는, 슬롯에 삽입되는 안내돌기가 비틀린 위치에서의 삽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사각형 단면으로 마련됨으로 인해 부시의 설치 불량과 이로 인한 유격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 항상 부시의 밀착면이 튜브의 외부면과 정확히 밀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 마찰저항이 적은 재질로 마련되는 부시가 튜브의 슬롯에 삽입되므로 튜브의 슬라이딩 동작시 발생되는 마찰에 의한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어 제품을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중공으로 마련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 설치되는 튜브와, 상기 하우징과 튜브 사이의 반경방향 틈새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튜브를 가압하는 스토퍼를 구비한 차량용 스티어링 칼럼의 텔레스코픽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70)는 상기 튜브(60)의 외부 일측에 형성된 슬롯(71)과, 상기 슬롯(71)과 연통되도록 상기 하우징(50)의 일측에 외부로 연장 형성된 중공의 설치부(72)와, 상기 설치부(72)에 삽입 설치되는 볼트(73)와, 상기 볼트(73)의 외측 선단과 나사결합되는 너트(74)와, 상기 볼트(73)의 내측 선단에 설치되는 탄성부재(75)와, 상기 탄성부재(75)에 의해 상기 튜브(60)의 외부면과 밀착되되 일측 선단은 상기 슬롯(71)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마련된 부시(8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칼럼의 텔레스코픽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시(80)의 상기 튜브(60) 외부면과 밀착되는 밀착면(81)은 이에 대응되도록 라운딩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칼럼의 텔레스코픽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71)은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슬롯(71)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부시(80)의 선단에 형성된 안내돌기(82)는 상기 슬롯(71)의 내부에 삽입되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직사각형의 단면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칼럼의 텔레스코픽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75)는 다수개가 적층되는 접시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칼럼의 텔레스코픽장치.
KR1020010060030A 2001-09-27 2001-09-27 차량용 스티어링 칼럼의 텔레스코픽장치 KR1007641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0030A KR100764154B1 (ko) 2001-09-27 2001-09-27 차량용 스티어링 칼럼의 텔레스코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0030A KR100764154B1 (ko) 2001-09-27 2001-09-27 차량용 스티어링 칼럼의 텔레스코픽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8091A KR20030028091A (ko) 2003-04-08
KR100764154B1 true KR100764154B1 (ko) 2007-10-05

Family

ID=29562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0030A KR100764154B1 (ko) 2001-09-27 2001-09-27 차량용 스티어링 칼럼의 텔레스코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41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7003B1 (ko) * 2001-11-12 2007-04-11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스티어링컬럼의 텔레스코픽장치
KR100814759B1 (ko) * 2007-02-13 2008-03-19 주식회사 만도 유격 보상 텔레스 스토퍼를 구비한 전동식 텔레스코프조향장치
KR101010271B1 (ko) * 2008-11-06 2011-01-24 엘지엔시스(주)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인식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1935A (ja) * 1991-11-12 1993-05-28 Toyota Motor Corp テレスコピツクステアリング装置
JPH06107186A (ja) * 1992-09-29 1994-04-19 Nissan Motor Co Ltd ステアリング装置の振動抑制装置
KR20010088187A (ko) * 2000-03-11 2001-09-26 밍 루 텔레스코픽 조향장치의 샤프트 유격흡수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1935A (ja) * 1991-11-12 1993-05-28 Toyota Motor Corp テレスコピツクステアリング装置
JPH06107186A (ja) * 1992-09-29 1994-04-19 Nissan Motor Co Ltd ステアリング装置の振動抑制装置
KR20010088187A (ko) * 2000-03-11 2001-09-26 밍 루 텔레스코픽 조향장치의 샤프트 유격흡수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8091A (ko) 2003-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63423B2 (ja) チルトアンドテレスコピック操向装置
EP1884446A1 (en) Steering apparatus equipped with ring type support yoke
US5685606A (en) Adjustable lumbar support
US7261014B2 (en) Backlash preventing structure for steering column
KR20100137170A (ko) 랙 구동식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
JPH06221377A (ja) トーションダンパー
JP4714138B2 (ja) ドア停止具及びドア停止具の製造方法
JP6556261B2 (ja) ステアリングシャフトを支持するための軸受ユニット
KR102639799B1 (ko) 샤프트 커플링
US11251678B2 (en) Small-sized motor apparatus for vehicle provided with improved shaft thrust gap prevention structure
GB2430184A (en) Auxiliary propulsion motor activation mechanism for wheelchair
KR100764154B1 (ko) 차량용 스티어링 칼럼의 텔레스코픽장치
MX2007006496A (es) Disco y sistema de embrague.
CN109421786B (zh) 电动转向柱装置
EP2095996B1 (en) Rotatable vehicular lamp assembly having a plate spring
JP2004503196A (ja) 調整可能なポテンショメータを備えた調整駆動装置
JP2007513004A (ja) ラックを加圧する装置
KR20160004694A (ko) 후륜 조향 장치
KR20160053075A (ko) 차량용 전동 스티어링 장치의 안티래틀장치
KR102138773B1 (ko) 전동식 조향 장치
KR100691814B1 (ko) 텔레스 부시를 구비한 텔레스코프 조향장치
KR102076011B1 (ko) 차량용 스티어링 구조체
GB2031554A (en) Air impeller assembly for a rotating electrical machine
KR100802928B1 (ko)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유닛
KR100444083B1 (ko) 텔레스코픽 조향장치의 샤프트 유격흡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