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1360B1 -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메탈 배선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메탈 배선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1360B1
KR100761360B1 KR1020060028619A KR20060028619A KR100761360B1 KR 100761360 B1 KR100761360 B1 KR 100761360B1 KR 1020060028619 A KR1020060028619 A KR 1020060028619A KR 20060028619 A KR20060028619 A KR 20060028619A KR 100761360 B1 KR100761360 B1 KR 1007613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conductive layer
memory device
flash memory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8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60028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13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1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13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3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conductors
    • H01L21/7684Smoothing; Planaris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3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conductors
    • H01L21/76877Filling of holes, grooves or trenches, e.g. vias, with conductiv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1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4011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for data storage electrodes
    • H01L29/40114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for data storage electrodes the electrodes comprising a conductor-insulator-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정 스텝을 감소시키면서 조사를 통한 정확한 피드백을 진행하는데 적합한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메탈 배선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한 본 발명의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메탈 배선 제조 방법은 소정 공정이 진행된 하부 레이어 상부에 콘택홀을 가지는 층간절연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콘택홀을 가지는 층간절연막 패턴의 표면을 따라 베리어 메탈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콘택홀을 매립하는 두께의 콘택용 도전층을 형성하는 단계; 평탄화 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콘택용 도전층 형성시 발생한 상기 콘택용 도전층의 표면 거칠기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콘택용 도전층 및 베리어 메탈을 차례로 식각하여 메탈 배선과 메탈 콘택을 동시에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낸드 플래쉬 소자의 메탈 배선 제조 공정에 있어서, 제1메탈콘택 형성 전 베리어 메탈과 제1메탈콘택용 텅스텐막 증착의 두 공정을 스킵할 수 있으므로 TAT(Turn Around Time)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메탈배선, TAT, 화학적·기계적 연마(CMP), 조사(Inspection)

Description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메탈 배선 제조 방법{METHOD FOR FABRICATING METAL LINE IN FLASH MEMORY DEVICE}
도 1a 내지 도 1e는 종래 기술에 따른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메탈 배선 제조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
도 2a 내지 도 2e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메탈 배선 제조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 하부 레이어 32 : 층간절연막
33 : 콘택홀 34 : Ti막
35 : TiN막 36 : 베리어 메탈
37 : 배선용 물질막 37a : 메탈 배선
본 발명은 반도체 제조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메탈 배선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플래쉬 디바이스의 게이트 공정에서는 제1메탈배선(Metal Line 1)을 형성하기 위해, 메탈 콘택홀을 형성하고, 메탈 콘택홀을 포함하는 구조물을 포함하는 전면에 메탈 콘택용 텅스텐막을 증착하고, 화학적·기계적 연마(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CMP)하여 제1메탈콘택을 형성한다. 그리고 나서, 그 상부에 메탈배선용 텅스텐막을 증착한 후, 이를 선택적으로 패터닝하여 제1메탈배선을 형성한다.
도 1a 내지 도 1e는 종래 기술에 따른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메탈 배선 제조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래쉬 메모리 소자를 구현하기 위한 소정 공정이 진행된 하부 레이어(11) 상부에 층간절연막(12)을 증착한다. 그리고 나서, 층간절연막(12)을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제1메탈콘택이 형성될 영역을 제공하는 메탈 콘택홀(13)을 형성한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탈 콘택홀(13) 및 층간절연막(12)의 표면을 따라 제1베리어 메탈(Barrier Metal, 16)을 형성한다. 제1베리어 메탈(16)은 Ti막(14)과 TiN막(15)가 차례로 적층된 구조를 가진다.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베리어 메탈(16)이 형성된 층간절연막(12)의 전면에 적어도 메탈 콘택홀(13)을 매립하는 두께의 메탈콘택용 텅스텐막(17)을 증착한다.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학적·기계적 연마를 실시하여 메탈콘택용 텅스텐막(17)을 평탄화하여 메탈 콘택홀에 매립되는 제1메탈콘택(17a)을 형성한다.
이어서, 제1메탈콘택(17a)이 형성된 층간절연막(12)의 전면에 제2베리어 메탈을 형성한다. 제2베리어 메탈(20)은 Ti막(18)과 TiN막(19)이 차례로 적층된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나서, 제2베리어 메탈(20) 상에 제1메탈배선용 텅스텐막(21)을 증착한다.
도 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메탈배선용 텅스텐막(21)을 선택적으로 패터닝하여 제1메탈배선(21)을 형성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 기술은 베리어 메탈 증착 공정이 제1메탈콘택 형성 전과 제1메탈배선 형성 전, 두 단계로 나누어져 있으므로 소자 제조시 TAT(Turn Around Time)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드레인 콘택의 최종 높이가 제1메탈콘택의 CMP 공정 후에 완성되기 때문에 공정 이상 발생시 피드백(Feed back)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제1메탈배선용 텅스텐막 증착시 발생하는 표면 거칠기(도 1e의 'A' 참조)가 제1메탈배선 식각후 조사(Inspection) 단계에서 노이즈로 작용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공정 스텝을 감소시키면서 조사를 통한 정확한 피드백을 진행하는데 적합한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메탈 배선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특징적인 본 발명의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메탈 배선 제조 방법은 소정 공정이 진행된 하부 레이어 상부에 콘택홀을 가지는 층간절연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콘택홀을 가지는 층간절연막 패턴의 표면을 따라 베리어 메탈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콘택홀을 매립하는 두께의 콘택용 도전층을 형성하는 단계, 평탄화 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콘택용 도전층 형성시 발생한 상기 콘택용 도전층의 표면 거칠기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콘택용 도전층 및 베리어 메탈을 차례로 식각하여 메탈 배선과 메탈 콘택을 동시에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 내지 도 2e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래쉬 메모리 소자 제조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래쉬 메모리 소자를 구현하기 위한 소정 공정 이 진행된 하부 레이어(31) 상부에 층간절연막(32)을 증착한다. 그리고 나서, 층간절연막(32)을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제1메탈콘택 및 제1메탈배선이 형성될 영역을 제공하는 메탈 콘택홀(33)을 형성한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탈 콘택홀(33) 및 층간절연막(32)의 표면을 따라 베리어 메탈(Barrier Metal, 36)을 형성한다. 베리어 메탈(36)은 Ti막(34)과 TiN막(35)이 차례로 적층된 구조를 가진다.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리어 메탈(36)이 형성된 층간절연막(32)의 전면에 적어도 메탈 콘택홀(33)을 매립하는 두께의 메탈콘택용 도전층으로 텅스텐막(37)을 증착한다. 메탈콘택용 도전층으로 텅스텐막(37)을 증착할 때, 텅스텐막(37)의 표면 거칠기(R)가 상당한 것을 알 수 있다.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학적·기계적 연마를 실시하여 메탈콘택용 텅스텐막(37)의 표면이 거친 부분(도 2c의 도면 부호'R' 참조)을 제거하기 위한 평탄화 공정을 진행한다. 이 때, 평탄화 공정은 화학적·기계적 연마 공정으로 진행한다. 평탄화 공정을 진행하여 메탈콘택용 텅스텐막(37)의 표면이 거친 부분을 제거하므로서, 조사(Inspection)시 노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메탈배선용 텅스텐막(37)을 선택적으로 패터닝하여 제1메탈배선(37a)을 형성한다.
종래 기술에서는 메탈콘택용 텅스텐막을 평탄화하여 제1메탈콘택을 형성한 후 후속 공정으로 다시 베리어 메탈을 증착하고, 메탈배선용 텅스텐막을 증착한 후 평탄화하고 제1메탈배선 패터닝 공정을 진행하였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 이 메탈콘택용 텅스텐막의 표면 거칠기가 심한 부분을 제거하기 위한 평탄화 공정을 진행하고 나서, 바로 제1메탈배선 패터닝 공정을 진행하여, 층간절연막(32) 상에 제1메탈배선(37a)을 형성하면서, 동시에 하부 레이어(31) 상에 제1메탈콘택(37b)도 형성할 수 있으며, 표면 상부(R1)도 매끄럽게 형성할 수 있다.
즉, 제1메탈콘택 형성전 베리어메탈을 증착하는 단계 및 제1메탈콘택용 텅스텐막 증착 단계를 생략하므로서, 공정 스텝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자세히는 제1메탈콘택용 텅스텐막 증착 후 화학적·기계적 연마 공정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층간절연막의 손실이 줄어들어, 층간절연막의 증착 두께를 낮게 하여 공정 비용 및 공정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적용하여 화학적·기계적 연마 공정을 제1메탈콘택용 텅스텐막 증착 후에서, 제1메탈배선용 텅스텐막 증착 후에 적용하므로서, 제1메탈배선과 제1메탈콘택을 동시에 형성할 수 있으므로 공정 스텝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조사(Inspection)를 통한 정확한 피드백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은 낸드 플래쉬 소자의 메탈 배선 제조 공정에 있어서, 제1메탈콘택 형성 전 베리어 메탈과 제1메탈콘택용 텅스텐막 증착의 두 공정을 스킵할 수 있으므로 TAT(Turn Around Time)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메탈콘택용 텅스텐막 증착 후 CMP를 실시하여 텅스텐막의 표면 거칠기를 완화시켜, 조사시(Inspection) 노이즈를 감소시켜 정확한 조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드레인 콘택 CMP후 드레인 콘택의 최종 프로파일이 결정되므로서, 신속한 조사와 피드백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하부층이 형성된 기판 상에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절연막을 식각하여 하부층이 노출되는 콘택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콘택홀을 포함하는 상기 기판 상의 단차면을 따라 베리어 메탈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콘택홀이 매립되도록 상기 기판 상에 텅스텐으로 이루어진 도전층을 증착하는 단계;
    상기 절연막 상에 일정 두께로 잔류되도록 상기 도전층을 평탄화하여 상기 도전층의 표면 거칠기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도전층과 상기 베리어 메탈을 식각하여 메탈 배선과 메탈 콘택을 동시에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메탈 배선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을 평탄화하는 단계는,
    화학적·기계적 연마를 사용하는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메탈 배선 제조 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리어 메탈은,
    Ti막/TiN막의 순서로 적층된 구조로 형성하는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메탈 배선 제조 방법.
KR1020060028619A 2006-03-29 2006-03-29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메탈 배선 제조 방법 KR1007613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8619A KR100761360B1 (ko) 2006-03-29 2006-03-29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메탈 배선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8619A KR100761360B1 (ko) 2006-03-29 2006-03-29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메탈 배선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1360B1 true KR100761360B1 (ko) 2007-09-27

Family

ID=38738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8619A KR100761360B1 (ko) 2006-03-29 2006-03-29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메탈 배선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136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14137A (ja) * 1988-02-23 1989-08-28 Nec Corp 集積回路の製造方法
JPH10172969A (ja) 1996-12-06 1998-06-26 Nec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20060008946A (ko) * 2003-04-28 2006-01-27 어드밴스드 마이크로 디바이시즈, 인코포레이티드 후속 cmp 공정의 공정 균일성 개선을 위한 패턴화된유전층에 대한 구리 전기도금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14137A (ja) * 1988-02-23 1989-08-28 Nec Corp 集積回路の製造方法
JPH10172969A (ja) 1996-12-06 1998-06-26 Nec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20060008946A (ko) * 2003-04-28 2006-01-27 어드밴스드 마이크로 디바이시즈, 인코포레이티드 후속 cmp 공정의 공정 균일성 개선을 위한 패턴화된유전층에 대한 구리 전기도금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9252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761360B1 (ko)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메탈 배선 제조 방법
KR100676597B1 (ko)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CN110473829B (zh) 层间膜的制造方法
KR20080001587A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JP2006202928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1060718B1 (ko) 반도체 소자 형성 방법
KR100766211B1 (ko)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콘택 형성방법
KR20100013948A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0791688B1 (ko)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의 듀얼 다마신 패턴 형성 방법
KR100680968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JP2009054879A (ja) 集積回路の製造方法
KR100607367B1 (ko) 반도체 장치의 콘택 형성 방법
KR20070102007A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0562319B1 (ko) 반도체 소자의 층간 절연막 형성 방법
KR100800728B1 (ko)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형성방법
KR100870299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0564803B1 (ko) 비아 플러그 형성 방법
KR100977975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0702768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0720262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20060061107A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100078340A (ko) 금속 배선 형성 방법
KR20060082309A (ko)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형성방법
KR20100008913A (ko) 듀얼 다마신 공정을 이용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