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1190B1 - 공작기계의 팔레트 표시 상태를 이용한 가공방법 - Google Patents

공작기계의 팔레트 표시 상태를 이용한 가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1190B1
KR100761190B1 KR1020060088575A KR20060088575A KR100761190B1 KR 100761190 B1 KR100761190 B1 KR 100761190B1 KR 1020060088575 A KR1020060088575 A KR 1020060088575A KR 20060088575 A KR20060088575 A KR 20060088575A KR 100761190 B1 KR100761190 B1 KR 1007611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let
machining
machine tool
processed
pall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8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호
Original Assignee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8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11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1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1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0009Energy-transferring means or control lines for movable machine parts; Control panels or boxes; Control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0009Energy-transferring means or control lines for movable machine parts; Control panels or boxes; Control parts
    • B23Q1/0045Control panels or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14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co-ordinated in production lin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09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using manual data input [MDI] or by using control panel, e.g. controlling functions with the panel; characterised by control panel details or by setting para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Numerical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재 팔레트의 상태와 다음 가공될 팔레트의 상태를 한 화면에서 모두 표시함으로서 작업자가 효율적인 감독과 상태 파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공작기계의 팔레트 상태 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복수의 팔레트 및 팔레트를 교환하는 교환수단을 포함하는 공작기계에 있어서, 현재 가공중인 팔레트 정보와 가공대기중인 팔레트 정보를 구별하여 표시하는 제 1 표시수단; 가공대기중인 팔레트의 셋업 완료를 지시하는 지시수단;을 포함하여 지시수단에 의해 셋업 완료가 지시되면 가공후 교환수단에 의해 현재 팔레트와 가공대기중인 팔레트를 교환하도록 구성된다.
공작기계, 팔레트, 상태, 가공, 대기, 프로그램, 지시수단, 셋업, 교환

Description

공작기계의 팔레트 표시 상태를 이용한 가공방법{machining method using a pallet display status of machin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작기계에 있어서 팔레트의 상태가 표시되는 화면의 일예,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작기계의 팔레트 상태 표시를 수동으로 입력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작기계가 자동운전 모드에서 동작될 때 팔레트 상태에 따른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5 : (가공대기중인) 팔레트의 일련번호,
10 : (가공대기중인) 가공 프로그램 번호,
12 : (가공중인) 팔레트의 일련번호,
15 : (가공중인) 가공 프로그램번호,
20 : 공작물당 가공시간
30 : 전체 가공개수,
40 : 가공대기 팔레트
50 : 가공중인 팔레트,
본 발명은 공작기계의 팔레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작기계의 팔레트 상태 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작기계에는 복수의 팔레트가 사용되며, 각 팔레트에는 동일한 공작물이 위치하여 가공될 수도 있으나 서로 다른 공작물이 서로 다른 프로그램에 의해 가공되는 사례가 더 많다. 또한, 생산성 향상을 위해 공작기계는 연속적으로 동작되는데 이를 위해, 공작기계는 가공중인 팔레트와 다음 가공을 위해 대기중인 팔레트로 구분하여 운영되고 있다. 즉, 하나의 팔레트가 공작기계 속으로 진입하여 가공되고, 다음번 팔레트가 밖에서 순서를 기다리며 대기하고 있다.
가공중인 팔레트의 가공이 완료되면, 완료된 팔레트와 대기중인 팔레트가 교체되고, 공작기계는 새로이 교체된 팔레트에 대하여 지정된 프로그램 가공을 시작하게 된다.
이 경우, 각 팔레트 위에 설치된 공작물이 다양하기 때문에 서로 다른 가공시간, 가공 프로그램, 가공 갯수를 갖게 된다. 따라서, 공작기계의 작업자는 이러한 가공 데이터(즉, 가공시간, 가공 프로그램, 가공 갯수 등)가 올바른지, 현재 어떤 팔레트가 어떤 프로그램에 의해 가공중인지, 다음 팔레트는 무엇인지 등에 관해 항상 파악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종래의 공작기계에서는 현재 가공중인 팔레트의 상태나 조건 등을 알기 위해서는 해당 데이터를 일일이 찾아서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즉, 가공시간은 시간 영역에서 찾아 확인하고, 가공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리스트 중에서 찾아 확인해야 했다.
이와 같은 종래의 공작기계 시스템에서는 현재 가공중인 팔레트의 가공 데이터를 한눈에 일목요연하게 파악할 수 없었고, 각 데이터를 파악하는데 매우 번거로운 입력이나 브라우징을 필요로 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현재 팔레트의 상태와 다음 가공될 팔레트의 상태를 한 화면에서 모두 표시함으로서 작업자가 효율적인 감독과 상태 파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공작기계의 팔레트 상태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팔레트 및 팔레트를 교환하는 교환수단을 포함하는 공작기계에 있어서,
현재 가공중인 팔레트 정보와 가공대기중인 팔레트 정보를 구별하여 표시하는 제 1 표시수단;
가공대기중인 팔레트의 셋업 완료를 지시하는 지시수단;을 포함하여
지시수단에 의해 셋업 완료가 지시되면 가공후 교환수단에 의해 현재 팔레트와 가공대기중인 팔레트를 교환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팔레트 상태 표시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팔레트의 정보는 팔레트의 일련번호, 해당 가공프로그램 번호, 공작물당 가공시간 및 전체 가공갯수로 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인 것이 바람직 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카테고리로서, 복수의 팔레트 및 팔레트를 교환하는 교환수단을 포함하는 공작기계의 가공방법에 있어서,
운전시간 파라미터를 사이클 타임으로 설정하고, 이를 작업자에게 표시하는 단계(S110);
공작기계가 가공을 위한 소정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
소정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가공중인 팔레트(12)와 가공대기중인 팔레트(5)의 위치를 변경하여 교환하는 단계(S140);
사이클타임을 초기화하는 단계(S150);
교환된 팔레트(5)에 대응어진 가공 프로그램으로 변경하는 단계(S170, S175); 및
변경된 가공 프로그램에 따라 교체된 팔레트의 공작물을 가공하는 단계(S19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팔레트 표시 상태를 이용한 가공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판단단계는,
공작기계가 가공중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20);
공작기계가 자동운전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30); 및
공작기계의 팔레트 셋업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35);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 도면들과 관련되어 설명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공작기계의 팔레트 상태 표시장치의 구성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작기계에 있어서 팔레트의 상태가 표시되는 화면의 일예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의 상단에는 현재 가공중인 팔레트(50)의 일련번호(5)(예를 들어, #1)와 해당 가공 프로그램의 번호(10)(예를 들어, "0260")가 표시된다. 그리고, 그 우측에는 가공을 대기중인 팔레트(40)의 일련번호(12)(예를 들어, #2)와 해당 가공 프로그램의 번호(15)(예를 들어, "0800")가 표시된다.
그리고, 화면에는 현재 팔레트에 장착된 공작물의 개당 가공시간(20)(예를 들어 "CYCLE TIME")이 시분초 단위로 표시되고, 전체 가공개수(30)(예를 들어 "PART COUNT")가 표시된다.
화면의 중간영역에는 공작기계 내부를 의미하는 "MACHINING SIDE"와 대기를 의미하는 "WAITING SIDE"로 분할 되어 있다.
즉, 도 1의 화면과 같은 상태에서는 #1번 팔레트가 공작기계 내부에서 가공중인 팔레트(50)로 표시되고, #2번 팔레트가 공작기계의 외부에서 가공을 대기중인 팔레트(40)로 표시된다. 그리고, 화면의 하단에는 "자동운전", "수동운전" 등을 제어하기 위한 버튼들이 다수 구비되어 있다.
도 1과 같은 화면상에서 만약, 가공중인 팔레트(50)의 가공이 완료되면, 공 작기계에 설치된 교환수단(미도시)에 의하여 1# 팔레트와 2번 팔레트가 교체된다. 따라서, 공작기계는 2번 팔레트를 가공중인 팔레트(50)로 재지정하고, 2번 팔레트의 가공 프로그램 번호(15)에 따라 가공을 시작한다. 가공이 완료되어 교체된 1# 팔레트는 다음 공정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또 다른 팔레트가 이송되어 가공대기 팔레트(40)에서 가공순서를 대기하게 된다. 이 때, 공작기계의 지시수단은 가공대기중인 팔레트의 셋업이 완료되면 이를 지시하고, 공작기계의 중앙연산장치를 이러한 지시 신호에 기초하여 해당 팔레트의 팔레트 번호, 가공 프로그램 번호 등이 도 1의 화면에 표시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공작기계는 연속 가공을 하게 되고, 모니터 화면에는 가공중인 팔레트(50)의 정보와 가공 대기중인 팔레트(40)의 정보가 함께 표시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작기계의 팔레트 상태 표시를 수동으로 입력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첫번째 단계로서, 수동으로 입력될 데이터의 값들을 초기화한다(S10). 이 때, 대부분의 값 및 플래그 값들은 "0"으로 초기화한다.
그 다음, 초기화된 데이터값들을 화면에 표시한다(S20). 이를 통해 작업자는 입력할 데이터의 종류와 값들을 확인 및 인지할 수 있다.
그 다음, 작업자는 팔레트 상태 표시에 필요한 데이터를 수동으로 입력한다(S30 단계). 즉, 수동 입력모드에서 팔레트 1번용 프로그램 번호(15)와 팔레트 2번용 프로그램 번호(10)를 입력한다. 만약 3개 이상의 팔레트가 있는 경우 각각의 프로그램 번호를 입력한다.
그리고, 팔레트의 자동운전(자동투입) 여부를 입력한다. 이는 플래그 값으로서 만약 "자동운전 = 1"이면 팔레트는 자동으로 투입되며, "자동운전 = 2"이면 팔레트는 수동으로 투입되도록 설정된다.
그리고, 설치완료 유무의 플래그 값(셋업)을 입력한다. "셋업 = 1"이면 팔레트가 설치 완료되었음을 의미하고, "셋업 = 2"이면 아직 설치완료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데이터의 입력을 통해 수동입력 과정이 종료된다. 공작기계는 수동입력된 데이터에 따라 가공을 시작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작기계가 자동운전 모드에서 동작될 때 팔레트 상태에 따른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운전시간 파라미터를 사이클 타임으로 설정한다(S100).
그 다음, 설정된 사이클 타임을 표시하여 작업자에게 표시한다(S110).
그 다음, 공작기계가 현재 절삭 가공중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20). 만약 가공중이라면(A120 : 예), 초기상태(S100 단계 이전)로 되돌아 가고, 만약 가공중이 아니라면, 다음 단계가 수행된다.
다음 단계에서, 자동운전이 설정되었는가 여부를 판단한다(S130). 즉, 자동운전의 플래그 값이 "1" 이면, "ON"으로 판단하고, "2"이면 "OFF"로 판단하여 초기상태로 되돌아 간다.
그 다음, 셋업이 설정되었는가 여부를 판단한다(S135). 즉, 셋업의 플래그 값이 "1" 이면, "ON"으로 판단하고, "2"이면 "OFF"로 판단하여 초기상태로 되돌아 간다.
다시 말해, 현재 가공중이지 않으면서, 자동운전중이고, 셋업이 설정된 것이라면 가공중인 팔레트(12)와 가공대기중인 팔레트(5)의 위치를 변경하여 교환한다(S140). 이 때, "PalletNo"에는 공작기계 내부의 팔레트 번호가 지정된다.
그 다음, 팔레트의 변경이 완료되면 사이클타임을 "0"으로 초기화하여 다시 가공될 팔레트 공작물의 가공시간에 대비한다(S150).
그 다음, 팔레트의 교환과 함께 가공에 사용되는 프로그램의 변경 단계가 실행된다. 우선, "PalletNo" 변수내에 저장된 값을 판단한다(S160). 만약, "PalletNo = 1" 이면, 가공 프로그램을 ProgNo#1로 변경하고(S170), "PalletNo = 2" 이면, 가공 프로그램을 ProgNo#2로 변경한다(S175).
그 다음, 변경된 프로그램에 따라 교체된 팔레트 공작물에 대해 가공이 개시되고(S180), "셋업 = 2"로 설정하여 다음 팔레트 교체를 준비한다(S190).
비록,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화면에 2개의 팔레트 정보만을 표시하였으나, 작업자의 선택이나 공정 특성에 따라 3개 또는 그 이상의 팔레트 정보를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표시하도록 변형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각 팔레트에 대한 일련번호, 가공 프로그램 번호, 가공시간 등을 표시하도록 구성하였으나, 그 외에도 팔레트의 공정 이력, 특이사항, 전체 팔레트 수 등 여러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팔레트 상태 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공방법에 의할 경우, 현재 팔레트의 상태와 다음 가공될 팔레트 의 상태를 한 화면에서 모두 표시함으로서 작업자가 효율적인 감독과 상태 파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불필요한 작업 공정을 없앨 수 있고, 예측할 수 없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해당 공작기계에 대한 통제력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 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복수의 팔레트 및 상기 팔레트를 교환하는 교환수단을 포함하는 공작기계의 가공방법에 있어서,
    운전시간 파라미터를 사이클 타임으로 설정하고, 이를 작업자에게 표시하는 단계(S110);
    상기 공작기계가 가공을 위한 소정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
    상기 소정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가공중인 팔레트(12)와 가공대기중인 팔레트(5)의 위치를 변경하여 교환하는 단계(S140);
    상기 사이클타임을 초기화하는 단계(S150);
    교환된 팔레트(5)에 대응되어진 가공 프로그램으로 변경하는 단계(S170, S175); 및
    변경된 상기 가공 프로그램에 따라 교체된 팔레트의 공작물을 가공하는 단계(S19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팔레트 표시 상태를 이용한 가공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단계는,
    상기 공작기계가 가공중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20);
    상기 공작기계가 자동운전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30); 및
    상기 공작기계의 팔레트 셋업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팔레트 표시 상태를 이용한 가공방법.
KR1020060088575A 2006-09-13 2006-09-13 공작기계의 팔레트 표시 상태를 이용한 가공방법 KR1007611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8575A KR100761190B1 (ko) 2006-09-13 2006-09-13 공작기계의 팔레트 표시 상태를 이용한 가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8575A KR100761190B1 (ko) 2006-09-13 2006-09-13 공작기계의 팔레트 표시 상태를 이용한 가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1190B1 true KR100761190B1 (ko) 2007-09-21

Family

ID=38738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8575A KR100761190B1 (ko) 2006-09-13 2006-09-13 공작기계의 팔레트 표시 상태를 이용한 가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119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4975A (ko) 2019-01-31 2020-08-10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그래픽 이미지 방식의 공작기계 팔레트 모니터 장치 및 그 표시방법
KR20210101996A (ko) 2020-02-11 2021-08-19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공작기계의 자동 워크피스교환 제어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8795A (ko) * 1996-11-26 1998-08-17 추호석 파레트 메거진의 파레트 넘버 표시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203813B1 (ko) 1996-12-31 1999-06-15 추호석 자동운전중 셋업 스테이션의 공작물 교환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8795A (ko) * 1996-11-26 1998-08-17 추호석 파레트 메거진의 파레트 넘버 표시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203813B1 (ko) 1996-12-31 1999-06-15 추호석 자동운전중 셋업 스테이션의 공작물 교환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4975A (ko) 2019-01-31 2020-08-10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그래픽 이미지 방식의 공작기계 팔레트 모니터 장치 및 그 표시방법
KR20210101996A (ko) 2020-02-11 2021-08-19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공작기계의 자동 워크피스교환 제어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62322A2 (en) Machining condition setting method for electrical discharge machines
EP1308806B1 (en) Monitoring device for production equipment controlled by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US20110015771A1 (en) Numerically controlling apparatus
KR100761190B1 (ko) 공작기계의 팔레트 표시 상태를 이용한 가공방법
JP5895633B2 (ja) 工作機械および生産システム
JP5858134B2 (ja) 工作機械
KR20060076884A (ko) 수치제어장치의 소프트웨어 plc 접점 처리장치 및 방법
JP2796297B2 (ja) 対話型数値制御装置のデータ入出力装置
KR20190051154A (ko) 공구 매거진의 이상 공구 교환방법
KR101190409B1 (ko) 공작기계의 atc 및 apc 매뉴얼 보수화면 표시방법 및그 표시장치
KR20110070941A (ko) 소재 가공 장치 및 그 작동 방법
JP3079973U (ja) 機械モニター画面の構成
KR100761204B1 (ko) 공작기계의 공구특성 표시장치 및 표시방법
KR950011752B1 (ko) 팰릿 매거진 머신에서의 공작물 가공순위 갱신제어 방법
JP7495494B2 (ja) 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JPH10146739A (ja) 工作機械の工具寿命管理装置
JP2886289B2 (ja) Fmsのワーク投入・回収方式
KR102625973B1 (ko) 그래픽 이미지 방식의 공작기계 팔레트 모니터 장치 및 그 표시방법
US20230072717A1 (en) Display control system
JPH02309405A (ja) 数値制御装置および数値制御装置の画面表示方法
KR20100123476A (ko) 중앙 집중식 제어 패널
KR200237556Y1 (ko) 자동 팔레트 교환기 제어시스템
KR100216796B1 (ko) 데이터 자동설정장치
KR102056737B1 (ko) 부품 지시 시스템
JP4085408B2 (ja) 数値制御装置のインタロック診断表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