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0876B1 - 오보바톨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조성물 - Google Patents

오보바톨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0876B1
KR100760876B1 KR1020060090656A KR20060090656A KR100760876B1 KR 100760876 B1 KR100760876 B1 KR 100760876B1 KR 1020060090656 A KR1020060090656 A KR 1020060090656A KR 20060090656 A KR20060090656 A KR 20060090656A KR 100760876 B1 KR100760876 B1 KR 1007608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bovatol
effect
skin
cosmetic composition
active ingred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0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범천
홍진태
이동환
심관섭
최명숙
이승호
표형배
Original Assignee
한불화장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불화장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불화장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90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08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0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08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7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Abstract

본 발명은 오보바톨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오보바톨을 활성성분으로 0.001 - 30.0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 5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효과, 주름방지효과, 미백효과, 육모효과, 여드름방지효과, 자극완화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오보바톨은 항산화능 뿐만 아니라 인간 섬유아세포 콜라겐 생성 촉진효과, 피부 잔주름 개선효과, 미백효과, 육모효과, 여드름방지효과, 자극완화 효과가 있어 이 물질을 이용하여 각종 기능성 화장료를 제조할 수 있다.
오보바톨, 항노화용 화장료, 주름방지효과, 미백효과, 육모효과, 여드름방지효과, 자극완화효과, 피부외용제

Description

오보바톨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SKIN AGENT COMPOSITION CONTAINING OF OBOVATOL}
본 발명은 오보바톨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오보바톨을 활성성분으로 0.001 - 30.0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 5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효과, 주름방지효과, 미백효과, 육모효과, 여드름방지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피부는 노화 과정에서 다양한 물리·화학적인 변화가 일어나며 그 원인으로는 크게 내적인 노화(intrinsic aging)와 광노화(photo-aging)로 구분되며 이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왔다. 즉, 자외선, 스트레스, 질병상태, 환경인자, 상처,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프리라디칼이 활성화되며, 이런 상태가 심화될 경우 생체 내에 존재하는 항산화 방어망을 파괴하고, 세포 및 조직을 손상시켜 성인병 및 노화를 촉진하게 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피부의 주요 구성물질인 지질, 단백질, 다당류 및 핵산 등이 산화되어 피부세포 및 조직이 파괴되고, 결국 피부노화 현상이 생겨나는 것이다. 특히 산화 반응에서 생성되는 활성산소는 피부 의 결합조직인 콜라겐,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엘라스틴(elastin), 프로테오글리칸(proteoglycan), 피브로넥틴(fibronectin) 등이 절단되어 염증반응과 피부의 탄력을 감소시키고 이것이 심해질 경우 DNA의 변이에 의해 돌연변이, 암의 유발, 면역기능 저하에 이르게 된다.
그러므로 신체의 대사 과정에서 발생하는 프리라디칼이나 자외선 조사, 염증반응에 의해 매개되는 프리라디칼을 소거하여 세포막을 보호하고, 또 이미 손상된 세포는 활발한 신진대사에 의해 재생시켜서 세포를 증식시켜야 피부는 빠르게 회복되고 건강한 피부를 유지할 수 있다. 노화에는 프리라디칼 뿐만 아니라 기질 단백질 분해효소(MMP; Matrixmetalloproteinase)라는 효소가 관여하는데 생체 내에서 콜라겐과 같은 세포외 기질의 합성과 분해는 적절하게 조절되나 노화가 진행되면서 그 합성이 감소하며 콜라겐을 분해하는 효소인 기질 단백질 분해효소(MMP)의 발현이 촉진되어 피부의 탄력이 저하되고 주름이 형성된다. 또한 자외선 조사에 의해 이러한 분해효소가 활성화되기도 한다. 그러므로 세포 내에서 활성화가 유도되는 MMP 발현을 조절하거나 그 활성을 억제할 수 있는 물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제까지 화장품의 소재로서 사용된 원료들은 단순히 효소 활성만을 억제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이에 세포 내 자연 노화와 광 노화에 의해 그 발현이 유도되는 MMP 발현과 활성을 조절하고자 하였다.
다음으로, 색소 침착에 의한 피부 변화이다. 피부색에 영향을 주는 색소로는 멜라닌, 멜라노이드, 카로틴, 헤모글로빈 등이 있는데 이중 가장 중요한 것은 멜라닌으로 생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큰 요인은 자외선과 체내 호르몬 분비 정도이 다. 멜라닌은 자외선을 흡수 또는 산란시켜 자외선으로부터 피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데, 특별한 최대흡수파장이 없으며 전 영역의 빛을 흡수한다. 멜라닌의 생합성은 아미노산의 일종인 티로신이 멜라노사이트의 멜라노좀에서 티로시나제에 의해 산화되어 디하이드록시 페닐알라닌 (dihydroxy phenylalanine)으로 전환되는 것을 시작으로 계속되는 일련의 산화과정을 거쳐 갈색멜라닌(pheomelanin), 흑색멜라닌(eumelanin)의 중합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생합성 과정은 멜라노좀이라는 특수한 형태의 갈색 세포 내 소기관에서 진행되며 멜라닌 과립을 포함한 멜라노좀은 핵 주변 부위에서 수지상 돌기 끝부분으로 이동, 케라티노사이트의 식세포작용에 의해 세포질 내로 이동하고 이들은 케라티노사이트의 핵 주변에 축적된다. 이미 아스코르빈산(일본특개평 4-9320), 하이드로퀴논(일본특개평 6-192062), 코직산(일본특개소 56-7710), 알부틴(일본특개평 4-93150) 및 많은 다수의 천연 식물 추출물 등이 미백 화장료로 이용되고 있으나 화장품 제형 중에서의 안정성이 떨어지거나, 이취 발생, 생체 수준에서 효능, 효과의 불분명 및 발암성 물질이라고 판명되어 안전성 문제 등으로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다음으로, 남성형 탈모증은 남성호르몬 의존적이어서 남성호르몬의 양에 직접적인 관계가 있으며, 이에 따라 최근 남성호르몬 활성억제를 통한 탈모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많은 연구가 보고되고 있다. 한편, 남성호르몬의 분비상승에 의해 피지선의 기능이 상승되면 생성된 과잉의 피지가 모낭벽의 과각화로 인하여 모낭 내에 정체되면서 생기는 면포가 여드름의 초기단계이다. 남성호르몬에 의한 탈모 및 여드름의 기전을 설명하면, 5-알파-리덕타아제(5-α-Reductase)는 피지선, 모낭, 전립선, 부고환 등의 남성 호르몬 반응성 조직에서 존재하며 남성 호르몬들 중 하나로서,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을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ihydrotestosterone)으로 대사시키는데 관여하는 효소이며, 그 전환에는 NADPH를 필요로 한다. 또한,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은 남성 성충동, 골격근 증가, 남성외부생식기, 음낭성장, 정자형성 등에 관여하고,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ihydrotestosterone)은 여드름, 피지 증가, 탈모 및 전립선 비대증 등의 해당 조직에서 관여한다(Diane et al. J.I.D. 1995). 따라서, 이 효소의 억제제를 사용하여 피지 분비 억제제 및 탈모 방지제를 개발하려는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사춘기 이후에 남성 호르몬의 과량 분비는 여드름과 탈모를 유발하는데, 5-알파-리덕타아제에 의하여 남성 호르몬의 활성형태인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의 과량 생성을 막기 위해 5-알파-리덕타아제 억제제를 사용하여 육모제 및 여드름방지제를 개발하려는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피부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 여러 화학물질 등에 의한 피부 자극을 줄이기 위해 천연물을 사용한 화장품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천연 재료는 피부에 부작용이 적을 뿐 아니라, 최근 천연 재료를 이용한 화장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호응이 높아짐에 따라 화장품 원료로서 개발가치가 한층 늘어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이제까지 알려지지 않은 여러 천연물에 있어서 화장품으로의 응용 가능성을 연구한 결과, 후박나무 잎으로부터 오보바톨 성분을 분리하여, 항산화 효과, 콜라겐 합성효과, 피부 잔주름 완화효과, 미백효과, 육모효과, 여드름 방지 효과를 측정한 결과 우수하여 화장품으로서의 효능을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 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서 오보바톨(obovatol)은 공지의 화합물이다. 오보바톨(obovatol)은 후박나무의 잎에서 최초로 추출되었으며[B. M. Kwon et al., Planta Medica 63,550-551, 1997]. 항세균 작용[Ito et al., Chem. Pharm. Bull., 30(9): 3347-3353, 1982] 과 ACAT(Acyl-CoA:cholesteroacyltransferase) 저해 효과[B. M. Kwon et al., Planta Medica 63,550-551, 1997], 효모의 키틴 합성효소(chitin synthase) 2 저해제[Eui-il Hwang et al., J. Antimicrobial Chemother, 49(1), 95-101, 2002], 잠재적 리포옥시게나제(lipoxygenase) 저해 활성[Fukuyama et al., Tetrahedron Letters, 34(6), 1051-1054, 1993] 등이 있다고 보고되어 있을 뿐이다. 또한 오보바톨 또는 리도보바톨 함유 항진균제(대한민국 특허 제336964호)에 대한 특허가 공지되었다. 그러나 오보바톨을 이용한 화장료 및 피부 외용제로서의 효능에 대한 연구는 없었다.
본 발명은 천연물로부터 제조된 오보바톨을 선택하여, 피부 외용제 및 화장료로서의 효능을 확인하여 소정의 기능을 갖는 피부 외용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 화장료에 적용 가능하고 화장료에 함유하는 경우 항산화효과, 콜라겐 합성 효과, 피부 잔주름 방지효과 등 우수한 항노화 효과를 나타내는 오보바톨을 함유하는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 화장료에 적용시 자외선 조사 등에 대한 미백 효과와 염증매개 물질에 의한 피부 자극 완화 효과를 나타내는 오보바톨을 함유하는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한 탈모방지 효과 및 여드름방지 효과를 갖는 5-알파-리덕타아제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피부 외용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천연물로부터 제조된 오보바톨을 이용하여 화장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오보바톨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오보바톨을 0.01-30%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피부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오보바톨이 액상물이거나 추가로 용매를 감압농축 또는 동결건조하여 얻은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오보바톨의 함량이 피부외용제 조성물 전체에 대해서 동결건조중량 기준 0.001-30.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오보바톨의 함량이 0.001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피부개선 효과, 육모 효과가 거의 없으며, 30.0중량% 이상인 경우에는 함유량 증가에 대한 효과 증대 정도가 미미하여 경제적이지 못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이 화장료이거나 또는 약학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이 화장수, 젤, 수용성 리퀴드, 크림, 에센스, 팩, 샴푸, 린스, 헤어컨디셔너, 비누, 젤, 무스, 수중유(O/W)형 및 유중수(W/O)형 등의 다양한 제형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보바톨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오보바톨은 캡슐제, 액상제, 연고제, 첩부제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이용한 서방화 제제 등의 약학 조성물로 제제화할 수 있으며,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기제, 운반제, 부형제, 결합제(예: 전분, 트래거캔스 고무, 젤라틴, 당밀, 폴리비닐 알콜, 폴리비닐에테르, 폴리비닐 피롤리돈,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에틸 셀룰로오스 및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분쇄제(예: 한천, 전분, 젤라틴가루,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나트륨,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칼슘, 결정 셀룰로오스, 탄산칼슘, 탄산수소나트륨 및 알긴산 나트륨), 윤활제(예: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활석, 수첨 식물유) 및 착색제 등을 포함한다. 상기 운반제 및 부형제로는 젖당, 글루코오스, 수크로오스, 만니톨, 감자녹말, 옥수수녹말, 탄산칼슘, 인산칼슘 및 셀룰로오스 등을 사용한다. 상기 외에도 안정화제, 용해보조제, 경피흡수 촉진제 등의 보조제 방향제, 방부제 등의 첨가제가 더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오보바톨은 필요에 따라서 산 부가염으로 할 수 있다. 산 부가염으로서는 예를 들면 염산, 브롬화 수소산, 황산, 인산 등의 무기산과의 염, 초산, 프로피온산, 시트르산, 락트산, 옥살산, 말레인산, 푸마르산, 숙신산, 타르타르산, 메탄설폰산 등의 유기산과의 염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염은 통상의 방법에 의해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오보바톨은 우수한 발모촉진효과, 육모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이것을 두피에 도포하면 탈모의 치료·개선, 탈모의 예방을 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오보바톨은 남성형 탈모증과 남성호르몬성 탈모라고도 불리는 머리카락이 적어지거나, 탈모 이외에 원형탈모증, 비강성(粃糠性) 탈모증, 지루성 탈모증 등의 병적 탈모증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오보바톨 사용량으로서는 성별, 연령, 탈모와 줄어드는 머리카락 등의 증상의 정도 등에 따라서 적절히 결정되는 것으로서, 통상 0.01∼20㎎/㎠를 성인 1인당 하루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두피에 도포한다.
또, 본 발명의 오보바톨을 발모촉진, 육모촉진, 탈모예방 등 양모효과를 목적으로 한 의약품, 의약부외품 또는 화장품에 이용하는 경우, 그 제형은 본 발명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제형이면 특별한 제한 없이 임의로 선택할 수 있으며, 예컨대 토닉, 로션, 유액(乳液), 크림, 연고, 젤, 스프레이, 무스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제제중에는 본 발명에 관련된 오보바톨 이외에 의약품, 의약부외품, 화장품의 분야에서 통상 양모제에 배합가능한 성분을 배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혈행촉진작용을 갖는 비타민E 및 그 유도체 등의 약제, 항남성 호르몬작용을 갖는 에스트라디올, 에스트론과 같은 호르몬제 등을 들 수 있다.
또, 알콕시카르보닐피리딘 N-옥시드, 아세틸콜린 유도체 등의 혈관확장제; 세파란틴 등의 피부기능항진제; 헥사클로로펜, 운데실렌산, 트리클로로카르바니드, 비티오놀 등의 항균제; 아연 및 그 유도체; 락트산 또는 그 알킬에스테르; 시트르산 등의 유기산류; 트라네키사무산 등의 프로테아제 저해제 등을 배합할 수 있다.
또,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콜 등의 알콜류;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의 다가알콜류; 고급 지방산, 고급 알콜, 탄화수소유, 천연유지, 에스테르유, 실리콘유 등의 유분; 계면활성제; 향료; 킬레이트제; 1,3-부틸렌글리콜, 히알루론산 및 그 유도체, 말티톨, 아테로콜라겐, 락트산나트륨 등의 보습제; 카복시비닐폴리머 등의 증점제; 산화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색소; 물; 안정화제 등 통상 양모제에 배합되는 성분을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배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이들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기재일 뿐이고,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 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오보바톨 제조
세절하여 음건한 후박나무의 잎 10kg에 가열한 95%(V/V)메탄올 100ℓ를 가해 5시간씩 3회 환류 추출하고 냉침한 후, 와트만(Whatman) #10 여과지로 여과 후 감압농축하고, 에틸아세테이트에 용해되는 부분만을 취하였다. 활성성분이 들어있는 에틸에세테이트 층을 분리한 후 감압 농축시켰다. 농축액을 다양한 칼럼 크로마토 그라피법으로 분리하고 최종적으로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라피법(HPLC)를 이용하여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화합물 즉,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오보바톨(obovatol)을 분리 정제하여 목적화합물인 오보바톨 1.17g을 얻었다. 상기 컬럼 크로마토그라피법으로는 역상 크로마토그라피,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라피 등이 포함되며, 좀더 정제된 오보바톨을 얻기 위하여는 컬럼 크로마토그라피법을 수행한 후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라피(HPLC)법을 최종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06067582266-pat00001
실시예 2: NBT 법을 이용한 항산화 효과 측정 실험
본 실시예는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오보바톨의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실험실 조건에서 다른 항산화제 즉, 레티놀과 BHT(butylated hydroxy toluen)를 비교샘플로 하였으며, NBT법을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서 크산틴과 크산틴옥시다제에 의해 생성되는 활성산소를 NBT법에 의해 측정하고 피검물질이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효과, 즉 활성산소 소거효과를 평가한다. 크산틴과 크산틴옥시다제에 의해 활성산소를 생성시킨다. 이 활성산소가 니트로블루테트라졸리움(Nitro Blue Tetrazolium; NBT)과 반응하여 이것에 의해 생성되는 청색을 파장 560nm에서 측정하는 것으로 활성산소 소거율을 측정한다.
측정방법으로서
1. 0.05M Na2CO3 ------------------------------------ 2.4ml
2. 3mM 크산틴 용액---------------------------------- 0.1ml
3. 3mM EDTA 용액------------------------------------ 0.1ml
4. BSA 용액----------------------------------------- 0.1ml
5. 0.72mM NBT 용액---------------------------------- 0.1ml
6. 크산틴 옥시다제 용액----------------------------- 0.1ml
7. 6mM CuCl2 용액----------------------------------- 0.1ml
① 바이엘병에 상기 1,2,3,4,5번으로 표시된 약품을 가하고 여기에 시료용액 0.1ml을 첨가하고 25℃에서 10분간 방치한다.
② 6을 가하여 빨리 교반하고 25℃에서 20분간의 배양을 개시한다.
③ 그 후 7을 가하여 반응을 정지시키고 560nm에서의 흡광도 St를 측정한다.
④ 공시험은 시료용액 대신에 증류수를 사용한 것을 상기와 똑같이 조작해 흡광도 Bt를 측정한다.
⑤ 역시, 시료용액의 블랭크(Blank)는 6대신에 증류수를 사용해 똑같이 조작하여 흡광도 Bo를 측정한다.
효과의 결과는 수학식 1에 의하여 산출하였으며, 결과는 표1과 같다.
활성산소 소거율(%) = 〔1-(St-So)/(Bt-Bo)〕X 100
St : 시료용액의 효소 반응 후의 560nm에서의 흡광도
Bt : 공시험용액의 효소 반응 후의 560nm에서의 흡광도
So : 시료용액의 효소 무첨가시 반응전의 560nm에서의 흡광도
Bo : 공시험용액의 효소 무첨가시 반응전의 560nm에서의 흡광도
결과는 표 1과 같이 0.1%(w/v) 농도에서 시험한 시료 모두에서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오보바톨은 레티놀(retinol) 및 BHT(butylated hydroxy toluen)와 유사한 정도의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시료명 처리 농도 (%) 항산화효과(%)
오보바톨 (실시예 1) 0.1 94
레티놀 0.1 93
BHT(butylated hydroxy toluen) 0.1 90
실시예 3: DPPH 법을 이용한 항산화 효과 측정 실험
본 실시예는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오보바톨의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실험실 조건에서 녹차추출물과 비타민 E와 같은 항산화제를 비교 샘플로 하여 DPPH법을 이용,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DPPH법은 2,2-Di(4-tert-octylphenyl)-1-picrylhydrazyl free radical (DPPH)라는 유리기를 사용하여 환원력에 의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다. 피검물질에 의해 DPPH가 환원되어 흡광도가 감소하는 정도를 공시험액(blank)의 흡광도와 비교하여 파장 560nm에서 자유라디칼 소거율을 측정한다.
사용한 시약으로서는 2,2-Di(4-tert-octylphenyl)-1-picrylhydrazyl free radical (Aldrich Chem. Co., MW=618.76) 0.1mM 용액으로서 61.88mg을 메탄올에 용해하여 100ml로 한다.
측정방법으로서
① 96-웰 플레이트에 0.1mM DPPH 용액 0.15ml에 시료용액 0.15ml를 가하여 빨리 교반하고 25℃에서 10분간의 배양을 개시한다.
② 그 후 560nm에서의 흡광도 St를 측정한다.
③ 공시험은 시료용액 대신에 증류수를 사용한 것을 상기와 똑같이 조작해 흡광도 Bt를 측정한다.
④ 역시, 시료용액의 블랭크(Blank)는 0.1mM DPPH 용액 대신에 메탄올을 사용해 똑같이 조작하여 흡광도 Bo를 측정한다.
효과의 결과는 수학식 2에 의하여 산출하였으며, 결과는 표 2와 같다.
자유라디칼 소거율(%) = 〔1-(St-So)/(Bt-Bo)〕X 100
St : 시료용액의 자유라디칼 소거 후의 560nm에서의 흡광도
Bt : 공시험용액의 자유라디칼 소거 후의 560nm에서의 흡광도
So : 시료용액의 자유라디칼 무첨가시 반응 전의 560nm에서의 흡광도
Bo : 공시험용액의 자유라디칼 무첨가시 반응 전의 560nm에서의 흡광도
결과는 표 2와 같이 오보바톨은 0.01%(w/v) 농도에서 녹차추출물과 비타민E보다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시료명 처리 농도(%) 항산화 효과 (자유라디칼 소거율) (%)
오보바톨 (실시예 1) 0.01 83
녹차추출물 0.01 63
비타민E 0.01 76
실시예 4: 인비트로 MMP -1 저해 효과 측정
기질 금속단백질 분해효소(MMP)-1 저해 활성은 생화학적 모델에서 측정하였는데 이는 정제된 콜라게나제 및 이의 기질인 플루오레세인에 접합된 콜라겐과 젤라틴의 이용을 기초로 하였다(EnzChek(상표명) 젤라티나제/콜라게나제 키트, 몰큘라프루브 사). 클로스트리디움 히스토리티컴으로부터 정제된 콜라게나제를 상기 EnzChek(상표명) 젤라티나제/콜라게나제 키트 내에 공급하였다. 돼지 피부로부터 정제하고 플로오레세인에 접합된 DQ-콜라겐과 0.05M 트리스-HCl, 0.15M NaCl, 5mM CaCl2 및 0.2mM 나트륨 아자이드(pH 7.6)로 이루어지는 반응 완충액은 EnzChek(상표명) 젤라티나제/콜라게나제 키트(몰큘라 프로브스)를 이용하였다. 오보바톨은 상기 반응 완충액 내에 용해시켰다. 4%, 2%, 0.4%, 0.2% 및 0.1%(w/v)에서 테스트하였다. 테스트 추출물의 희석액은 25㎍/ml의 DQ-콜라겐 및 0.1U/ml의 콜라게나제와 함께 실온에서 15분, 45분, 120분 동안 항온처리하였다.
각각의 실험조건에서 콜라게나제와 DQ-콜라겐 혼합물에 상응하는 대조용 혼합물(control)도 동일하게 항온처리하였다. 또한 각각의 실험 조건에서 블랭크, 이하 '효소 비함유 블랭크'라 칭하는 샘플은 DQ-콜라겐의 존재 및 콜라게나제의 부재 하에서 항온처리하였다. 각각의 실험은 3회 수행하였다.
15분, 45분, 120분 경과 후 DQ-콜라겐의 분해에 상응하는 신호는 형광측정기(여기:485nm, 방출 505nm)로 측정하였다. '효소 비함유 블랭크' 형광값을 기준으로 하여 각 샘플의 형광값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샘플당 형광 단위 및 대조군에 대한 변이율(%)로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선택된 실험 조건 하에서 0.1 내지 4%(v/v)에서 테스트된 오보바톨은 투여랑 의존적으로 항 콜라게나제/젤라티나제 활성을 보유하였다.
결과는 표3에 나타내었다. 오보바톨은 0.1% 처리시 클로스트리디움 콜라게나제의 콜라겐 분해활성의 80%를 억제하였으며 이는 녹차추출물의 저해 효과 보다 우수하게 나타내었다.
처리농도(%) 실험샘플 MMP-1 저해율(%)
0.1 0.2
오보바톨 (실시예 1) 55 89
레티놀 0 5
녹차추출물 53 78
실시예 5: 자외선 조사 후 오보바톨에 의한 MMP -1 발현억제 평가
본 실시예는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오보바톨의 UV 조사 및 시료 첨가 후 MMP-1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효소면역측정법(Enzyme Linked Immunosorbant Assay; ELISA)를 실시하였다.
UV 챔버를 이용하여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에 UVA를 5J/㎠의 에너지로 조사하였다. 자외선 조사량과 배양시간은 예비 실험을 통하여 섬유아세포에서 MMP 발현량이 최대가 되는 조건을 확립하였다. 음성 대조군은 은박지로 싸서 UVA의 환경에 같은 시간 유지하였다. UVA 방출량은 UV 라디오미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UVA가 조사되는 동안의 세포는 이전에 분주된 배지 그대로이고 UVA를 조사 한 후 샘플이 들어간 배지로 교환하여 24시간 배양 후 배지를 회수하여 96-웰에 코팅하였다. 일차항체{MMP-1 (Ab-5) 단일클론항체와 MMP-2(Ab-3) 단일클론항체}를 처리하고 37℃에서 60분 반응시켰다. 이차항체인 안티마우스 IgG(whole mouse, alkaline phosphatase conjugated)를 다시 60분 정도 반응시킨 후, 알칼린 포스파타제 기질 용액(1mg/mlρ-nitrophenyl phosphate in diethanolamine 완충용액)을 상온에서 30분간 반응시키고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로 40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사용하였다.
자외선 조사시 발현이 유도되는 MMP-1에 대하여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하여 오보바톨은 68% 이상의 MMP-1 발현 억제율을 보였으며 이는 대조군으로 사용한 레티놀의 MMP-1 발현 억제율보다 우수한 결과이다(표 4).
시험군 처리농도(%) MMP-1 발현억제율(%)
대조군 - 0
오보바톨 (실시예 1) 0.1 68
레티놀 0.1 38
실시예 6: B16F1 멜라노싸이트를 이용한 멜라닌 생성 억제효과 측정 실험
본 실시예는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오보바톨의 미백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B16F1 멜라노싸이트에 대한 멜라닌 생성 억제 정도를 보고 미백 효과를 판단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사용된 B16F1 멜라노싸이트는 마우스에서 유래한 세포주이며, 멜라닌이라는 흑색색소를 분비하는 세포이다. 이 세포의 인공배양 중 시료를 처리하여 멜라닌 흑색색소가 감소하는 정도를 비교 평가하였다. 본 실시예에 사용된 B16F1 멜라노싸이트는 ATCC(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기탁번호 : 6323)로부터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B16F1 멜라노싸이트의 멜라닌 생합성 억제효과 측정은 다음과 같이 행하였다. B16F1 멜라노싸이트를 6웰 플레이트에 각 웰당 2x106 농도로 분주하고 세포를 부착시킨 후 독성을 유발하지 않는 농도로 시료를 처리하여 7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72시간 배양 후 세포를 트립신-EDTA로 떼어 낸 후 세포수를 측정한 다음 원심분리하여 세포를 회수하였다. 세포 내 멜라닌의 정량은 로탄(Lotan : Cancer Res ., 40: 3345-3350, 1980)의 방법을 약간 변형하여 실시하였다. 셀 펠릿을 PBS로 1회 세척한 후 균질화 버퍼액(50mM 소듐 포스페이트, pH 6.8, 1% Triton X-100, 2mM PMSF) 1ml를 첨가하여 5분간 와류하여 세포를 파쇄하였다. 원심분리(3,000rpm, 10분)하여 얻은 세포 여액에 1N NaOH(10% DMSO)를 첨가하여 추출된 멜라닌을 용해한 후 마이크로 플레이트 판독기로 405nm에서 멜라닌의 흡광도를 측정한 다음 멜라닌을 정량하여 시료의 멜라닌 생성 저해율(%)을 측정하였다. B16F1 멜라노싸이트의 멜라닌 생성 저해율(%)은 수학식 4에 의하여 계산하였으며, IC50값은 멜라닌 생성을 50% 저해하는 물질의 농도이다.
멜라닌 생성 저해율(%) = [(A-B)/A]x 100
A :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웰의 멜라닌 양
B : 시료를 첨가한 웰의 멜라닌 양
B16F1 멜라노싸이트의 멜라닌 생성 억제효과를 시험한 결과 오보바톨의 IC50값은 0.08%로 기존의 미백제인 하이드로퀴논, 알부틴, 유용성 감초 추출물, 상백피 추출물 등에 비해 유사하거나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표 5).
시료명 멜라닌 생성 저해율(IC50)
오보바톨(실시예 1) 0.08%
하이드로퀴논 0.03%
알부틴 0.2%
상백피 추출물 5%
유용성 감초 추출물 0.03%
실시예 7: 자외선 조사에 의한 세포독성 완화 효과
본 실시예는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오보바톨의 자외선 조사에 의한 세포독성의 완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섬유아세포(fibroblast)를 24-웰 시험 플레이트에 1x105개씩 넣고 24시간 동안 부착시켰다. 각 웰을 PBS로 1회 세척하고 각 웰에 500ul의 PBS를 넣었다. 이 섬유아세포에 자외선 B(UVB) 램프(Model : F15T8, UV B 15W, Sankyo Dennki사, Japan)를 이용하여 자외선 10mJ/㎠를 조사한 후 PBS를 덜어내고 세포배양 배지(DMEM에 10% FBS가 첨가된 것) 1㎖을 첨가하였다. 여기에 평가하고자 하는 오보바톨을 처리한 후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4시간이 지나 배지를 제거하고, 각 웰 당 세포배양 배지 500㎕ 배지와 MTT 용액(2.5㎎/㎖) 60㎕를 넣은 후 2시간 동안 37℃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배지를 제거하고 이소프로판올-HCl(0.04 N)을 500㎕씩 넣어주었다. 5분간 진탕하여 세포를 용해시키고 상등액 100㎕씩을 96-웰 시험 플레이트에 옮긴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에서 565nm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수학식 4에 의해 세포생존율(%)을 측정하고 자외선에 의한 세포독성 완화율은 수학식 5에 의하여 계산하였다.
세포생존율(%) =〔(St-Bo)/(Bt-Bo)〕X 100
Bo: 세포 배양배지만을 발색 반응한 웰의 565nm 흡광도
Bt: 시료를 처리하지 않고 발색 반응한 웰의 565nm 흡광도
St: 시료를 처리하고 발색 반응한 웰의 565nm 흡광도
자외선에 의한 세포독성 완화율(%) =〔1-(St-Bo)/(Bt-Bo)〕X 100
Bo: 자외선 조사하지 않고 시료 처리하지 않은 웰의 세포 생존율
Bt: 자외선 조사하고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웰의 세포생존율
St: 자외선 조사하고 시료를 처리한 웰의 세포생존율
실험 결과 오보바톨은 0.013% 농도에서 자외선에 의한 세포 독성을 26% 완화하여 자외선에 의한 세포독성을 효과적으로 방어함을 알 수 있었다. 상기 실험을 통해 자외선에 의한 세포손상을 낮은 농도에서 효과적으로 방어함을 알 수 있다(표 6).
시료명 처리농도(%) 세포독성 완화율(%)
오보바톨(실시예 1) 0.013 55
0.025 75
실시예 8: 자외선 조사에 의한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 억제효과
본 실시예는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오보바톨의 자외선 조사에 의해 발현되는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 억제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사람의 표피조직에서 분리한 섬유아세포(Fibroblast)를 24-웰 시험 플레이트에 5X104개씩 넣고 24시간 동안 부착시켰다. 각 웰을 PBS로 1회 세척하고 각 웰에 500㎕의 PBS를 넣었다. 이 섬유아세포에 자외선B(UVB) 램프(Model : F15T8, UV B 15W, Sankyo Dennki사, Japan)를 이용하여 자외선 10mJ/㎠를 조사한 후 PBS를 덜어내고 세포배양 배지(DMEM에 FBS가 첨가되지 않은 배지) 350㎕를 첨가하였다. 여기에 평가하고자 하는 오보바톨을 처리한 후 5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상층액을 150㎕ 취하여 프로스타글란딘 E2(PGE2)를 정량함으로써 오보바톨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 억제효과를 판단하였다. PGE2의 양은 효소면역분석법(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을 이용하여 정량화하였으며, 염증성 사이토카인 PGE2 발현 억제율은 수학식 6에 의해 계산하였다.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 억제율(%) =〔1-(St-Bo)/(Bt-Bo)〕X 100
Bo: 자외선 조사하지 않고 시료 처리하지 않은 웰의 PGE2 생성량
Bt: 자외선 조사하고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웰의 PGE2 생성량
St: 자외선 조사하고 시료를 처리한 웰의 PGE2 생성량
실험 결과 오보바톨은 자외선에 의한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PGE2의 생성을 0.013% 농도에서 58% 억제하여, 자외선에 의한 염증 발생을 낮은 농도에서 효과적으로 방어함을 알 수 있다(표 7).
시료명 처리농도(%) 염증성 사이토카인(PGE2) 발현 억제율(%)
오보바톨(실시예 1) 0.013 58
0.025 80
실시예 9: 항균력 시험( Paper Disc Test )
본 실시예는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오보바톨의 여드름균에 대한 항균력을 확인하기 위한 페이퍼 디스크 테스트(Paper Disc Test)를 실시하였다. 먼저, 여드름 발생원인의 피부 상재균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Propionibacterium acnes)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BHI액체배지(Brain-Heart Infusion Broth;3.7%)에서 48시간 전배양하였다. 이렇게 준비한 균배양액을 BHI고체배지(Brain-Heart Infusion Broth;3.7%; agar1.5%)에 0.1㎖씩 도말한 후 건조시켰다.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오보바톨을 95% 에탄올 수용액에 12%(w/v)로 희석하여 직경 8㎜의 ㅍ페이퍼 디스크에 50㎕씩 점적하고 앞서 준비한 고체배지 위에 올려놓은 후 이것을 35℃ 혐기 배양조에서 3일간 배양하였다. 페이퍼 디스크 주변에 생긴 균 성장 저지 영역을 관찰하고 저지환의 크기를 측정함으로써 항균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오보바톨의 균 성장 저지환의 크기는 22㎜인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10: 오보바톨의 5알파 - 리덕타아제 활성 억제력 평가실험
5 알파-리덕타아제 활성억제 실험에 사용된 5 알파-리덕타아제는 포피 유래의 섬유아세포가 생성하는 효소를 사용하였다.
섬유아세포를 마이크로플레이트 홀(microplate hole)마다 10,000개의 세포가 들어가도록 접종한 후 배양하였다. 각 홀마다 3H(트리튬)으로 방사선 표지(radio labelling)된 테스토스테론을 0.1.mμ.Ci 첨가한 후 배양하여 섬유아세포가 이를 이용하는지 측정하였다. 오보바톨이 들어가지 않은 것을 대조군으로 삼았다. 24시간 배양 후 상등액을 얻고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사이클로헥산(cyclohexane)(1:1) 추출용매 1㎖로 스테로이드(steroids)를 얻었다. 얻어진 스테로이드를 박막 크로마토그래피 판에 올려놓고 클로로포름/메탄올 혼합액(98/2 (v/v))으로 전개시켰다. 테스토스테론과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에 해당하는 점의 방사활성을 덴시토미터를 이용하여 측정하여 전환율을 계산하고, 그 결과를 대조군(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았을 때의 전환율)과 비교하여 하기 수학식 7에 의해 5 알파-리덕타아제 저해능을 평가하였다.
5 알파-리덕타아제 저해능(%)=[A-B]/[A] × 100
A=테스토스테론에서 다이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으로의 전환율(오보바톨 미첨가시)
B=테스토스테론에서 다이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으로의 전환율(오보바톨 첨가시)
실험결과 오보바톨은 5 알파-리덕타아제 저해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표 8).
오보바톨 농도(%) 1 0.1 0.05 0.01 0.005 0.001 0.0001
저해율(%) 100.0 100.0 95.0 82.5 73.8 52.6 41.5
실시예 11: 모발성장 효과 시험
본 실시예는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오보바톨 0.1%(w/v)를 함유하는 30% 함수 에탄올(ethanol) 용액을 제조하여 시험에 사용하였다. 모발성장 효과 시험은 마우스(ICR), 생후 47~53일 것을 사용하여 등 부위 털을 제거하고, 등 부위가 깨끗한 것을 골라 물질군마다 10마리를 사용하여 다음날부터 매일 실시예의 시험물질을 개체당 100㎕씩 도포하였다. 최초에 처리한 날부터 15일 동안 시간경과에 따른 모발의 길이 및 모발 성장 정도를 모 제거 후 복원 정도에 따라 모발성장 스코어(hair growth score)를 부가하여 각각 비교하였다. 모발성장 스코어는 모의 복원정도 및 복원면적에 따라 완전 탈모상태를 0으로 하고, 모발이 완전히 복원된 상태를 3으로 하며, 그 사이를 모낭의 길이 및 면적을 측정하여 0.5 단위로 세분하여 판정하였다. 시간 경과에 따른 모발의 길이 및 모발 성장 정도를 모 제거 후 복원 정도에 따라 점수를 부가하여 각각 비교하였다. 모발성장 정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대조군으로는 30% 알코올 용액을 각 개체에 도포하여 성장 상태를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 오보바톨의 모발성장 촉진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표 9).
시료\경과일수 5일 10일 15일
오보바톨 0.1% 0.27 0.96 1.92±0.43
대조군 0.08 0.26 1.01±0.23
실시예 12 및 비교예 1
본 실시예는 사람을 대상으로 피부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오보바톨을 함유한 화장료 실시예 12와 비교시료로 비교예 1을 제조하였다.
비교실험에 사용된 화장료는 크림형태이고, 그 조성은 표 10에 나타낸 바와 같다. 우선 표 10에 기록되어 있는 나)상을 가열하여 70℃에 보존하였다. 이것에 가)상을 가하여 예비 유화 후 호모믹서로 균일하게 유화하고 다음에 서서히 냉각하여 크림(실시예 12, 비교예 1)을 제조하였다.
원료 실시예 12 비교예 1
스테아릴 알콜 8 8
스테아린산 2 2
스테아린산 콜레스테롤 2 2
스쿠알란 4 4
2-옥틸도데실알콜 6 6
폴리옥시에틸렌(25몰 부가) 알콜에스테르 3 3
글리세릴모노스테아린산에스테르 2 2
오보바톨 0.1 -
프로필렌글리콜 5 5
정제수 적량 적량
실시예 13: 피부탄력 개선효과 확인시험
본 실시예는 오보바톨을 함유한 화장료의 피부 탄력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예 12 및 비교예 1에서 수득한 화장료를 사람을 대상으로 비교실험을 행하여 평가하였다.
실험자(20세-35세의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얼굴 오른쪽 부위에는 실시예 12에서 제조된 크림을 얼굴 왼쪽 부위에는 비교예 1에서 제조된 크림을 각각 1일 2회씩 연속 3개월간 도포하였다.
실험완료 후 피부 탄력 개선 효과는 제품 사용 전과 2개월간 사용 후에 피부탄력측정기(cutometer SEM 575, C+K Electronic Co., German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실험결과는 하기 표 11에 Cutometer SEM 575의 △R8값으로 기재하였는데 R8값은 피부의 점탄성(viscoelasticity) 성질을 나타낸다. 표 11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오보바톨을 함유한 크림을 도포한 실험자의 피부 탄력개선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험제품 피부탄력효과(△R8)
실시예 12 0.24
비교예 1 0.12
n=30, p<0.05
실시예 14: 피부 미백 효과 확인 시험
본 실시예는 오보바톨을 함유한 화장료의 피부 미백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예 12 및 비교예 1에서 수득한 화장료를 사람을 대상으로 비교실험을 행하여 평가하였다.
실험자(20세-35세의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얼굴 오른쪽 부위에는 실시예 12에서 제조된 크림을, 얼굴 왼쪽 부위에는 비교예 1에서 제조된 크림을 각각 1일 2회씩 연속 2개월간 도포하였다. 시험 완료 후 얼굴 좌우 양편의 도포 부위 피부를 화상분석기 및 피부색의 변화를 크로마메타(Minolta CR300)를 이용하여 색의 밝기변화(ΔL)를 측정하고, 복수의 숙련자에 의한 객관적 육안 관찰과 피검자에 의한 주관적 육안 관찰을 실시하여 하기 등급 분류에 따라 효과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2에 나타내었다. 이때 미백 효능 정도를 다음의 7등급으로 분류하여 평가하였다.
<미백효능 평가 기준>
-3: 매우 악화, -2: 악화, -1: 약간 악화, 0: 변화 없음
1: 약간 개선 2: 개선 3: 매우 개선
표 1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오보바톨을 함유한 크림을 도포한 실험자의 안면 피부에서 미백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피부색의 밝기 변화(ΔL) 숙련자의 객관적 평가 피검자의 주관적 평가
실시예 14 비교예 2 실시예 14 비교예 2 실시예 14 비교예 2
평균값 5.03 2.03 2.7 1.9 2.5 1.7
이하에 그 외의 실시예를 나타내었다. 즉,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오보바톨을 함유한 화장수, 유액 및 미용액을 실시예 15 내지 17에서 제조하였다. 이들 오보바톨을 함유한 화장수, 유액 및 미용액은 항산화 효과,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 피부 잔주름 개선 효과, 육모효과, 여드름방지효과, 피부자극 완화효과 등 피부개선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15: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오보바톨을 함유한 화장수의 제조
95% 에탄올 8g에 폴리피로리돈 0.05g, 올레일알콜 0.1g, 폴리옥시에틸렌모노올레이트 0.2g, 향료 0.2g,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에스테르 0.1g, 소량의 산화방지제, 소량의 색소를 혼합용해하였다.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오보바톨 0.05g, 글리세린 5g을 정제수 85.33g에 용해한 것에 상기 혼합액을 첨가한 후 교반하여 피부개선효과가 있는 화장수를 얻었다.
실시예 16: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오보바톨을 함유한 유액의 제조
세틸알콜 1.2g, 스쿠알란 10g, 바세린 2g, 파라옥시안식향산에틸에스테르 0.2g, 글리세린모노에스테아레이드 1g, 폴리옥시에틸렌(20몰부가)모노올레이트 1g 및 향료 0.1g을 70℃에서 가열혼합용해하고,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오보바톨 0.1g, 디프로필렌글리콜 5g, 폴리에틸렌글리콜-1500 2g, 트리에탄올아민 0.2g, 정제수 76.2g을 75℃로 가열해서 용해시켰다. 양자를 혼합하여 유화시킨 후 냉각하여 수중유(O/W)형의 피부개선효과가 있는 유액을 얻었다.
실시예 17: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오보바톨을 함유한 미용액의 제조
95% 에틸알콜 5g에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모노올레이트 1.2g,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0.3g, 히아론산나트륨 0.2g, 비타민 E-아세테이트 0.2g, 감초산 나트륨 0.2g, 파라옥시안식향산에틸에스테르 0.1g,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오보바톨 0.1g 및 적량의 색소를 혼합하여 피부개선효과가 있는 미용액을 얻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오보바톨은 항산화 효과와 MMP 저해 효과와 자외선 조사에 의한 MMP 발현 조절효과, 잔주름 개선 효과 등 우수한 항노화 효과와 자외선 조사 후 야기되는 피부 자극을 완화시켜 주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오보바톨은 기미, 주근깨 및 피부 색소 침착의 원인이 되는 물질인 멜라닌 생성억제 효과 등의 미백작용을 나타내었다.
또한, 오보바톨은 우수한 탈모방지 효과와 여드름방지 효과를 갖는 여드름균 항균활성과 5알파-리덕타아제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이러한 오보바톨을 함유하는 화장수, 크림, 유액, 팩, 파우더 등의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 효과와 콜라겐 분해효소 활성 조절 효과, 피부 잔주름 개선 효과, 미백, 육모, 여드름방지, 피부자극 완화효과 등 우수한 피부 외용제 효과 를 가짐을 알 수 있다.

Claims (6)

  1. 오보바톨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보바톨은 조성물 전체에 대해서 0.001 - 30.0중량%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보바톨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 노화방지, 주름완화, 미백, 양모, 여드름 예방, 자외선에 의한 피부손상 억제 또는 자극완화 기능을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보바톨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젤, 수용성 리퀴드, 크림, 에센스, 팩, 샴푸, 린스, 헤어컨디셔너, 비누, 무스, 수중유(O/W)형 또는 유중수(W/O)형 제형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보바톨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탈모 예방, 치료 및 개선 기능을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보바톨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060090656A 2006-09-19 2006-09-19 오보바톨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조성물 KR1007608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0656A KR100760876B1 (ko) 2006-09-19 2006-09-19 오보바톨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0656A KR100760876B1 (ko) 2006-09-19 2006-09-19 오보바톨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0876B1 true KR100760876B1 (ko) 2007-10-04

Family

ID=39418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0656A KR100760876B1 (ko) 2006-09-19 2006-09-19 오보바톨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087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1237A (ko) * 1999-06-02 2001-01-05 복성해 오보바톨 또는 리도보바톨 함유 항진균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1237A (ko) * 1999-06-02 2001-01-05 복성해 오보바톨 또는 리도보바톨 함유 항진균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공개특허공보 특2001-0001237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5392B1 (ko)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24595B1 (ko) 곰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728813B1 (ko) 고려엉겅퀴 추출물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0829728B1 (ko) 봉미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00117550A (ko) 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070021585A (ko) 돌나물 추출물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외용제조성물
KR100563548B1 (ko) 마가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29729B1 (ko) 병이소초 추출물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140081138A (ko) 우장지버섯 자실체 추출물 또는 우장지버섯 균사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402193B1 (ko) 아위버섯 자실체 추출물 또는 아위버섯 균사체 추출물 또는 아위버섯 균사체 배양액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08013B1 (ko) 참바늘버섯 균사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00018139A (ko) 돌나물 추출물 및 리포익산-peg 콘쥬게이트를 함유하는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160096272A (ko) 아이스플랜트 발효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458496B1 (ko) 아위버섯 자실체 추출물 또는 아위버섯 균사체 추출물 또는 아위버섯 균사체 배양액을 함유하는 항염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090097550A (ko) 슈잔드린 및 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20140081137A (ko) 곰보버섯 자실체 추출물 또는 곰보버섯 균사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US11110117B2 (en) Skin preparation composition for external use containing complex hyaluronic acid
KR100728810B1 (ko) 참나물 추출물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외용제조성물
KR100760876B1 (ko) 오보바톨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조성물
KR20160024527A (ko) 돌소리쟁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460672B1 (ko) 참바늘버섯 자실체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손상 방지용 조성물
KR20140081982A (ko) 만가닥버섯 자실체 추출물 또는 만가닥버섯 균사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975078B1 (ko) 물개구리밥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60012805A (ko) 산마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1138811B1 (ko) 버들송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