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9483B1 - 단호박 찜 조리기구 - Google Patents

단호박 찜 조리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9483B1
KR100759483B1 KR1020060040505A KR20060040505A KR100759483B1 KR 100759483 B1 KR100759483 B1 KR 100759483B1 KR 1020060040505 A KR1020060040505 A KR 1020060040505A KR 20060040505 A KR20060040505 A KR 20060040505A KR 100759483 B1 KR100759483 B1 KR 100759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weet pumpkin
pumpkin
steamed
st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0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흥우
Original Assignee
신흥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흥우 filed Critical 신흥우
Priority to KR1020060040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94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9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94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16Inserts
    • A47J36/20Perforated bases or perforated containers to be placed inside a cooking utensil ; Draining baskets, inserts with separation w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47J36/2405Warming devices for warming food contained in vessels immersed in a water bath, e.g. chafers or steam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027/043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된 찜을 먹는 동안 그 찜이 식지 않고 그 찜의 온도와 맛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단호박 찜 조리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가열에 의해 수증기를 발생시키도록 물이 담겨지는 제 1 용기와, 단호박과 찜이 놓여진 채 상기 제 1 용기 위에 안치되는 제 2 용기를 포함하는 단호박 찜 조리기구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용기는, 경사부를 갖되, 상기 경사부에는 상기 제 1 용기에서 발생된 수증기가 배출되는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구멍들에는 상기 단호박이 놓여지는 단호박 안치부와; 상기 구멍과 상기 단호박 틈새로 배출된 수증기와 찜이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찜이 놓여지는 찜 안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단호박, 조리, 찜, 온도, 일정, 가열, 용기

Description

단호박 찜 조리기구{apparatus for cooking pumpkin and steaming food}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호박 찜 조리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2 는 도 1 의 제 2 용기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호박 찜 조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 는 도 3 에 적용되는 단호박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제 1 용기 110 : 물
200 : 제 2 용기 210 : 구멍
220 : 단호박 안치부 230 : 찜 안치부
300 : 단호박 400 : 찜
본 발명은 단호박 찜 조리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리된 찜을 먹는 동안 그 찜이 식지 않고 그 찜의 온도와 맛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단호박 찜 조리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호박은 그 맛이 달콤하면서도 성분면에서 비타민 A와 C가 매우 풍부하여 위장병과 당뇨병 등 성인병에 좋고, 카로틴을 비롯해 비타민과 철분, 칼슘 등의 영양소를 고르게 함유하고 있어 소화흡수가 잘 되고 비만 방지와 피부미용에도 좋아 다이어트 음식으로도 적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해물찜은 콩나물, 미나리 등의 비타민과 섬유질로 인하여 소화가 잘되고, 장에도 좋다.
이와 같은 해물찜에 쓰이는 재료를 보면 갑각류인 새우, 조개류인 키조개, 참소라, 그린홍합, 모시조개, 바지락, 연체류인 낙지, 오징어, 쭈꾸미 생선류인 아구, 곤이, 오알 등이 있어 고단백질 저칼로리를 섭취할 수 있으며 조개류의 핵산성분은 미각을 돋구게 한다.
이러한 해물찜은 따뜻하게 먹을 때 제맛이나는 음식으로, 그 보온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시켜야 하는데, 시간이 경과되면 식게 되어 해물찜의 제맛이 사라지게 된다.
또한, 해물찜은 그 맛이 맵기 때문에 가족 중에 매운 음식을 먹지 못하는 사람이 있는 경우 온가족이 같이 먹을 수 없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온가족이 같이 먹을 수 있는 음식을 선택할 수 있는 폭이 좁아, 음식 선택을 위해 많은 시간을 낭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리된 찜을 먹는 동안 그 찜이 식지 않고 그 찜의 온도와 맛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호박 찜 조리기구는 가열에 의해 수증기를 발생시키도록 물이 담겨지는 제 1 용기와, 단호박과 찜이 놓여진 채 상기 제 1 용기 위에 안치되는 제 2 용기를 포함하는 단호박 찜 조리기구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용기는, 경사부를 갖되, 상기 경사부에는 상기 제 1 용기에서 발생된 수증기가 배출되는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구멍들에는 상기 단호박이 놓여지는 단호박 안치부와; 상기 구멍과 상기 단호박 틈새로 배출된 수증기와 찜이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찜이 놓여지는 찜 안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2 용기는 일렬로 일정간격을 두고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호박 찜 조리방법은 제 1 용기 및 제 2 용기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준비된 제 2 용기의 구멍위에 단호박을 올려놓고 그 용기의 중앙에 찜을 올려놓는 단계; 상기 제 1 용기를 가열시키는 단계; 및 상기 가열을 통해 상기 제 2 용기에 안치된 찜의 온도를 유지시키고, 상기 구멍으로 배출되는 수증기에 의해 단호박의 온도를 유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호박은 속이 제거되고 익혀진 단호박 조각인 것을 특징으 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단호박은 상기 단호박 내부에 첨가물을 채워서 익힌 단호박 조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 상기 단호박은 상기 단호박 표피에 올리브유를 바르고 호일로 감싸서 익힌 단호박 조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호박 찜 조리기구를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호박 찜 조리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2 는 도 1 의 제 2 용기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호박 찜 조리기구는 크게 물을 담는 제 1 용기(100)와, 제 1 용기(100)에 안치되고 단호박(300)과 찜(400)을 올려놓는 제 2 용기(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단호박(300)은 속이 제거되고 익혀진 단호박 조각이고, 찜(400)은 따뜻하게 조리된 상태이다.
제 1 용기(100)는 가열에 의해 수증기를 발생시키도록 물(110)이 담겨진다. 이때, 제 1 용기(100)에 담겨지는 물(110)의 양은 조리시간동안 가열에 의해 수증기를 발생시킬 수 있는 물의 양이면 적당하다.
도 2를 참조하면 제 2 용기(200)는 단호박 안치부(220)와, 찜 안치부(230)를 포함한다.
단호박 안치부(200)는 경사부(미도시)를 갖되, 그 경사부에 제 1 용기(100)에서 발생된 수증기가 배출되는 복수의 구멍(210)이 형성되어 있다.
더 자세하게 설명하면, 단호박 안치부(220)는 테두리에서 중앙쪽으로 3 내지 6 cm 위치에 복수의 구멍(210)이 형성되어 있고, 그 구멍수가 4 내지 12개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그 구멍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렬로 일정간격을 두고 위치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구멍이 일렬로 일정간격을 두고 위치해 있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단호박 안치부(220)는 단호박(300)이 놓여지는 부분으로, 단호박(300)이 경사부에 형성된 복수의 구멍(210)위에 놓여진다.
여기서, 구멍위에 놓여지는 단호박(300)은 구멍(210) 하나당 하나씩 놓여질 수 있는 크기로 등분하여 단호박 조각을 만들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찜 안치부(230)는 찜(400)이 안치되는 부분으로, 복수의 구멍(210)과 단호박(300) 틈새로 배출되는 수증기와 찜(400)이 접촉된다. 이때, 찜 안치부(230)에 안치되는 찜은 해물찜, 아구찜 등과 같은 찜류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찜 안치부(230)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국물이 있는 찜이 안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리된 찜의 온도가 수증기로 인하여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사용자는 먹는 동안 식지 않은 따뜻한 상태로 찜을 먹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단호박 찜 조리기구를 이용한 단호박 찜 조리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호박 찜 조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호박(300)과 찜(400)을 조리하기 위한 제 1 용기(100) 및 제 2 용기(200)를 준비한다(S100). 이때, 제 1 용기(100)는 물을 담는다.
다음, 제 2 용기(200)에 단호박(300)과 찜(400)을 올려놓는다(S200). 즉, 제 2 용기(200)에 형성된 복수의 구멍(210)에 단호박(300)을 올려놓고, 제 2 용기(200)의 중앙에 찜(400)을 올려놓는다.
이때, 제 2 용기(200)에 올려지는 찜(400)은 이미 조리가 되어 있는 따뜻한 상태의 찜이다. 그리고, 제 2 용기(200)에 올려지는 단호박(300)은 속이 제거되고 익혀진 단호박 조각, 단호박 내부에 첨가물을 채워서 익힌 단호박 조각, 단호박 표피에 올리브유를 바르고 호일로 감싸서 익힌 단호박 조각 중 어느 하나의 단호박 조각이다.
이와 같이 제 2 용기(200)에 올려지는 단호박 제조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 물이 담겨진 제 1 용기(100) 위에 단호박(300)과 찜(400)이 올려진 제 2 용기(200)가 안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 1 용기(100)를 가열시킨다(S300). 이에 따라, 물이 담겨진 제 1 용기(100)에서 수증기가 발생된다.
다음, 이와 같이 제 1 용기(100)에서 발생된 수증기에 의해 제 2 용기(200)의 저면이 따뜻하게 되어, 제 2 용기(200)의 찜 안치부(230)에 안치된 찜을 따뜻하게 유지시키고, 제 2 용기(200)에 형성된 구멍(210)으로 제 1 용기(100)에서 발생된 수증기가 배출되어, 단호박을 따뜻하게 유지시킨다(S400).
따라서, 제 1 용기(100)에서 수증기가 올라와서 제 2 용기(200)를 따뜻하게 데우므로 제 2 용기(200)에 놓여진 찜을 따뜻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고 그 구멍위에 놓여진 단호박도 따뜻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 제 2 용기(200)의 중앙에 놓여지는 찜과 제 2 용기(200)의 구멍위에 놓여지는 단호박을 식사가 끝날때까지 음식을 처음 먹을 때의 맛과 마지막 먹을 때의 맛이 일치하여 끝까지 그 맛을 유지할 수 있다.
도 4 는 도 3 에 적용되는 단호박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단호박 상부를 절단한다(S210).
단호박 절단 단계는 단호박을 씻은 후 상부 꼭지부분을 절단한다.
이와 같이 절단된 부분은 단호박을 구울시 향미보존 및 수분보전을 위해 뚜껑으로 사용된다.
다음, 상부가 절단된 단호박 내부의 속을 제거한다(S220). 즉, 절단된 상부 꼭지 부분을 통해 내부의 씨와 속살을 제거한다.
다음, 속이 제거된 단호박 내부에 첨가물을 채운다(S230). 이때, 첨가물은 코코넛 밀크와, 딸기쨈과, 포도쨈과, 각 가정의 기호 및 계절적 특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재료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첨가물을 단호박 내부에 채울 때 첨가물이 부풀어 오름을 고려하여 단호박 내부의 첨가물을 채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단호박의 주황색 속살과 코코넛 밀크의 베이지색, 딸기쨈의 붉은색, 포도쨈의 보라색의 조화를 통해 각각의 풍미와 자연스러운 색상이 표현되어, 음식맛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어린이와 노인들에게 부드러운 맛을 제공하며, 여성들에게 화사한 음식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 내부에 첨가물이 채워진 단호박 표피에 올리브유를 바르고 호일을 감싼다(S240).
이와 같은 단호박 포장 단계는 상술한 S210 단계에서 단호박의 상부를 절단한 후에 절단된 뚜껑을 덮고 단호박 표피에 올리브유를 바르고 호일을 감쌀 수도 있다.
이때, 절단된 뚜껑을 덮지 않은 경우 내열온기나 레인지의 고온에서 구울시 단호박 내부의 수분이 쉽게 증발되어 단호박 내부의 단맛이 약해지기 때문에 절단된 뚜껑을 덮는다. 또한, 단호박을 증탕식 찜기에서 찌는 경우 향의 탈향과 수분의 침투를 막기 위해서 절단된 뚜껑을 덮는다. 이에 따라, 본래 음식의 맛을 보존할 수 있다.
단호박 표피에 올리브유를 바르는 이유는 단호박 표면의 자연스러운 색상을 유지시켜줌과 동시에 광택이 나게 함으로써 음식이 더욱 먹음직스럽게 하기 위함이다. 참고로, 올리브유는 단순불포화지방산, 비타민 A, C, D, E, F 등이 있으며, 특히 여성들에게 좋은 리놀렐산이 있다.
그리고, 호일로 감싸는 이유는 단호박을 구울시 발생하는 열로 인하여 단호박 표면이 메마르고 거칠어짐과 쭈글쭈글함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다음, 표피에 올리브유를 바르고 호일로 감싼 단호박을 익힌다(S250).
단호박을 익히는 단계를 더 설명하면, 단호박은 황토내열용기에 20여분간 구워내거나 전자레인지에 250℃ 온도에서 25~30여분간 익힌다.
이때, 황토내열용기는 고온으로 가열되는 경우 원적외선을 방사하게 된다. 원적외선은 파장이 길어 음식물 내부까지 침투하여 열에너지를 전달하게 되므로 음식물이 골고루 익게 된다.
이러한 황토내열용기는 특허등록 제0322961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단호박을 찜기를 이용하여 익힌 후 찜이 조리될 즈음, 조리실에 구비된 조리기구(예를 들면, 황토내열용기, 전자레인지 등과 같은)를 이용하여 단호박을 익힌다. 이때, 단호박은 표면이 타지 않도록 적당한 가열온도와 가열시간으로 익힌다.
다음, 이와 같이 익혀진 단호박을 자른다(S260).
단호박을 자르는 단계는 구워진 단호박을 8등분한다. 이와 같이 8등분한 단호박 조각은 먹기도 좋고 용기 즉, 제 2 용기(200)에 담기도 좋다.
본 실시예에서 단호박을 8등분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닌 바, 8등분한 단호박을 횡으로 다시 8등분할 수도 있다. 이렇게 횡으로 다시 잘려진 단호박은 어린이들이 먹기에 좋다.
이와 같이 8등분한 단호박 조각이 완성되면 완성된 단호박 조각을 용기에 올려놓는다.
단호박을 용기에 담을때 단호박 내부에 속을 채우지 않은 것과 속을 채운 것을 각각의 용기에 담거나 반반씩 담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단호박의 속을 제거한 후 그 내부를 첨가물로 채우고, 그 첨가물이 채워진 단호박 표피를 올리브유로 바르고 호일을 감싼 다음에 익히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단호박의 속을 제거한 후에 익힐 수 있고,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단호박의 속을 제거한 후에 첨가물을 채우고 익힐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단호박을 만들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리된 찜을 먹는 동안 제 1 용기에서 발생된 수증기에 의해 제 2 용기에 안치된 찜의 온도를 유지시킴으로써, 사용자는 식지 않은 따뜻한 상태로 찜을 먹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제 2 용기에 형성된 구멍으로 배출되는 수증기에 의해 제 2 용기에 안치되는 단호박의 온도를 유지시킴으로써, 사용자는 따뜻한 상태로 단호박을 먹을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일상적으로 먹던 찜에 더하여 단호박과 그 단호박 내부에 채워진 첨가물을 섭취함으로써, 다양한 맛을 즐길 수 있고, 더 많은 종류의 영양소를 섭취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해물찜의 매운 음식에 단호박의 순한 맛을 더함으로써, 남녀노소가 자신의 취향에 맞게 음식을 먹을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가열을 통하여 발생된 수증기를 배출시킴으로써, 건조해지기 쉬운 실내의 습도를 적정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2가지의 음식을 함께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음식의 매운맛과 순한맛을 맛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각적인 맛도 배가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6)

  1. 가열에 의해 수증기를 발생시키도록 물이 담겨지는 제 1 용기와,
    단호박과 찜이 놓여진 채 상기 제 1 용기 위에 안치되는 제 2 용기를 포함하는 단호박 찜 조리기구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용기는,
    경사부를 갖되, 상기 경사부에는 상기 제 1 용기에서 발생된 수증기가 배출되는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구멍들에는 상기 단호박이 놓여지는 단호박 안치부와;
    상기 구멍과 상기 단호박 틈새로 배출된 수증기와 찜이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찜이 놓여지는 찜 안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호박 찜 조리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용기는
    일렬로 일정간격을 두고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호박 찜 조리기구.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060040505A 2006-05-04 2006-05-04 단호박 찜 조리기구 KR1007594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0505A KR100759483B1 (ko) 2006-05-04 2006-05-04 단호박 찜 조리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0505A KR100759483B1 (ko) 2006-05-04 2006-05-04 단호박 찜 조리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9483B1 true KR100759483B1 (ko) 2007-10-04

Family

ID=39418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0505A KR100759483B1 (ko) 2006-05-04 2006-05-04 단호박 찜 조리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948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26454U (ko) 1977-07-26 1979-02-21
KR200197451Y1 (ko) 2000-02-17 2000-09-15 김팔용 다용도 용기의 구조
KR20030064184A (ko) * 2002-01-26 2003-07-31 박숙철 대나무통을 활용한 보쌈의 조리 방법
KR100458443B1 (ko) 2003-07-07 2004-12-03 주식회사 놀부 단호박 영양밥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26454U (ko) 1977-07-26 1979-02-21
KR200197451Y1 (ko) 2000-02-17 2000-09-15 김팔용 다용도 용기의 구조
KR20030064184A (ko) * 2002-01-26 2003-07-31 박숙철 대나무통을 활용한 보쌈의 조리 방법
KR100458443B1 (ko) 2003-07-07 2004-12-03 주식회사 놀부 단호박 영양밥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2386B1 (ko) 간편 조리용 죽 및 그 제조방법
CN1154211A (zh) 方便菜及加工方法
White The CBD Cookbook for Beginners: 100 Simple and Delicious Recipes Using CBD
KR100759483B1 (ko) 단호박 찜 조리기구
CN108523094A (zh) 一种螺蛳猪肉酱的制备方法
CN108157930A (zh) 一种辣椒酱及其制备方法
KR102076114B1 (ko) 연잎밥 제조방법
KR101376681B1 (ko) 볶음국수 제조방법
KR100393246B1 (ko) 즉석 불닭밥 구이의 제조방법 및 즉석 불닭밥 구이
KR100458443B1 (ko) 단호박 영양밥의 제조방법
JP2010142184A (ja) 冷凍味付麺食品の製造方法および冷凍味付麺食品
Hazelton The Regional Italian Kitchen
Child The way to cook
KR20210006067A (ko) 양파와 계란을 이용한 식품
Chan The Chinese Cook Book: Containing More Than One Hundred Recipes for Everyday Food Prepared in the Wholesome Chinese Way, and Many Recipes of Unique Dishes Peculiar to the Chinese, Including Chinese Pastry," stove Parties," and Chinese Candies
KR20090021908A (ko) 누룽지 김밥 및 누룽지 핫바 제조방법
CN107549262A (zh) 一种鲤鱼红豆沙月饼的制作方法
KR20050083358A (ko) 전복의 포장방법 및 포장전복의 조리방법
KR102098543B1 (ko) 김치류를 내장한 익힘용 삼겹살 및 그 제조방법
Ferroni An Avocado a Day: More Than 70 Recipes for Enjoying Nature's Most Delicious Superfood
Stone Gluten-free Living: Simple, Delicious, Gluten-free Recipes for the Modern Family
Nasrallah 5. Dishes and Prepared Foods: Main and Side Dishes, Snacks, Condiments, Pickles, Dips, and Table Sauces
JP3741650B2 (ja) パイ蓋付容器入り食品の製造方法
Hill Practical cooking and serving
Mueller The Quintessential Kale Cookbook: Simple and Delicious Recipes for Everyone's Favorite Superfo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1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